KR20080001296U -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1296U KR20080001296U KR2020060030050U KR20060030050U KR20080001296U KR 20080001296 U KR20080001296 U KR 20080001296U KR 2020060030050 U KR2020060030050 U KR 2020060030050U KR 20060030050 U KR20060030050 U KR 20060030050U KR 20080001296 U KR20080001296 U KR 2008000129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sink
- sink ball
- pressing member
- fixing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47B2077/025—Fixing means therfore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싱크볼이 고정되는 싱크대 상판의 저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싱크볼 외곽의 플랜지부를 싱크대 상판에 고정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를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으로; 상기 몸체(10)와 누름부재(20)에는 상호 탄성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레일(12)과 레일 홈(22)이 형성되며, 이 레일(12)과 레일 홈(22)의 대응되는 면에는 톱니형 돌기(13)와 탄성 걸림부재(23)가 형성되어 있어 누름부재(20)가 몸체(10)에 형성된 레일(12)을 타고 위치이동을 하도록 되어 있어 싱크볼(1) 외곽의 플랜지부(1a)를 견고하게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기존의 싱크볼 고정용 쐐기나 고정구에서 사용하던 고정나사에 의한 결합방식 대신 레일과 레일 홈에 의한 탄성결합방식으로 이루어져 부품 수를 2개로 줄일 수 있고, 브라켓 몸체에 금속재 암나사를 인서트 사출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으며, 전동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 및 싱크볼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싱크볼의 설치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누름부재(20)의 위치조절에 의해 싱크볼(1)을 더욱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싱크볼, 고정, 브라켓, 탄성, 레일, 레일 홈, 톱니형 돌기, 슬라이드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의 저면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 볼 고정용 브라켓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브라켓으로 싱크 볼을 싱크대 상판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작업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 - 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싱크볼 1a : 플랜지부
2 : 싱크대 상판 2a : 개구부
10 : 몸체 12 : 레일
13 : 톱니형 돌기 13a : 경사면
13b : 직각면 14 : 절개홈
15 : 접착면 15a : 접착제 수용홈
20 : 누름부재 22 : 레일 홈
22a : 이탈방지턱 22b : 경사면
23 : 탄성 걸림부재 23a : 걸림턱
23b : 해제용 노브 24 : 누름부
25 : 절개홈 26 : 탄성보유부
본 고안은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싱크볼이 고정되는 싱크대 상판의 저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싱크볼 외곽의 플랜지부를 싱크대 상판에 고정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를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에서 몸체와 누름부재가 상호 탄성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레일과 레일 홈이 형성되고, 이 레일과 레일 홈의 대응면에는 일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톱니형 돌기와 탄성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누름부재가 일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싱크볼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방용 싱크대에는 설거지를 하기 위해 그릇이 수납되고 배수트랩이 설치된 볼(bowl)이 설치되는데, 이 볼은 싱크대에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 위에 안착되는 방식이거나, 싱크대의 개구부 하면에 브라켓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둘레를 실리콘 실란트를 사용하여 실링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이 중에서 싱크볼을 싱크대의 개구부 하면에 고정하고 둘레를 실리콘 실란트를 사용하여 실링을 하는 설치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321263호의 싱크대의 볼 고정용 쐐기, 동 등록 제357311호의 싱크대의 볼 고정구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볼 고정구 또는 쐐기는 싱크대 상판의 저면 둘레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몸체 내부에는 암나사가 인서트 사출성형되고, 고정판은 별도의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이의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싱크볼의 고정작업시에도 고정나사를 일일이 수동 드라이버나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조여주어야 했었으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결합방식의 몸체와 누름부재로 이루어진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을 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0027944호(출원연월일;2006.10.17)로 출원한 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을 좀 더 개량하여 몸체와 누름부재를 상호 탄성결합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누름부재의 위치조절 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싱크볼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볼이 고정되는 싱크대 상판의 저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싱크볼 외곽의 플랜지부를 싱크대 상판에 고정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를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누름부재는 상호 탄성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레일과 레일 홈이 형성되고, 이 레일과 레일 홈의 대응되는 면에는 톱니형 돌기와 이 톱니형 돌기에 맞물리는 탄성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누름부재가 몸체에 형성된 레일을 타고 일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하도록 한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의 분리상태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브라켓의 저면 결합사시도와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A - A선과 B - B선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본 고안의 브라켓으로 싱크 볼을 싱크대 상판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작업상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 - C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은 싱크볼(1)이 고정되는 싱크대 상판(2)의 저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몸체(10)와, 이 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싱크볼(1) 외곽의 플랜지부(1a)를 싱크대 상판(2)에 고정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22)를 갖는 누름부재(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몸체(10)와 누름부재(20)에는 상호 탄성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레일(12)과 레일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12)과 레일 홈(22)의 대응되는 면에는 톱니형 돌기(13)와 탄성 걸림부재(23)가 형성되어 있어 누름부재(20)가 몸체(10)에 형성된 레일(12)을 타고 일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누름부재(20)의 누름부(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1) 외곽의 플랜지부(1a)를 눌러주는 부분이 압박력을 갖도록 탄성보유부(26)를 더 갖고 있다.
상기 몸체(10)는 싱크대 상판(2)의 개구부(2a) 저면 둘레에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 부착하게 되는데, 그 접착면(15)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착면(15)에는 도포된 접착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몸체(10)와 싱크대 상판(2)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접착제가 수용되는 접착제 수용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10)에는 레일(12)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20) 에는 이 레일(12)에 결합되는 레일 홈(22)이 형성되어 있는데, 먼저 레일(1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의 단면도에 레일(12)의 형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몸체(10) 상면의 중간 부분에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12)의 상면에는 경사면(13a)과 직각면(13b)으로 이루어진 톱니형 돌기(13)가 일정간격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12)은 좌,우의 폭이 탄성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14)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12)의 좌,우측 어깨부(16)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16a)과 대략 수평상태의 저면(16b)을 갖고 있다.
또, 상기 레일(12)이 끼워지는 누름부재(20)의 레일 홈(22)은 누름부재(20)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누름부재(20)가 몸체(10)에 형성된 레일(12) 위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레일 홈(22)의 천정면에는 상기 레일(12) 상면의 톱니형 돌기(13)와 맞물리도록 톱니형의 걸림턱(23a)을 갖는 탄성 걸림부재(23)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누름부재(20)가 몸체(10)의 후부에서 전방을 향하여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22a는 레일홈(22)의 좌,우 양측 하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으로, 레일(12)의 어깨부(16) 저면(16b)이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부호 22b는 이탈방지턱(22a)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레일(12)을 레일 홈(22)에 끼울 때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23b는 상기 탄성 걸림부재(23)의 외측에 형성되는 해제용 노브로 탄성 걸림부재(23)를 들어올려 레일(12) 상면의 톱니형 돌기(13)에 물린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누름부재(20)를 몸체(10)의 후방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부호 25는 누름부(22)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으로, 누름부(22)가 적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파지력의 분산을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브라켓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상판(2)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상판(2)의 개구부(2a) 저면에 싱크볼(1)을 올리고, 그 외측에 브라켓 몸체(10)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시킨 다음,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브라켓 몸체(10)가 견고하게 부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이 브라켓 몸체(10)에 누름부재(20)를 결합시키면 되는데, 본 고안은 별도의 고정나사나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단순히 누름부재(20)의 레일 홈(22)을 몸체(10)의 레일(12) 위에 맞추어 눌러 끼워주기만 하면 누름부재(20)가 몸체(10)에 결합되는 것이며, 누름부재(20)의 누름부(24)가 싱크볼(1) 외곽의 플랜지부(1a)를 눌러주게 되므로 싱크볼(1)이 싱크대 상판(2)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싱크볼(1)의 플랜지부(1a) 둘레와 싱크대 상판(2)의 저면 사이를 실리콘 실란트를 사용하여 실링 처리를 해주면 싱크볼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누름부재(20)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측으로 위치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싱크볼(1) 외곽의 플랜지부(1a)를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몸체(10)의 부착위치가 약간 부정확하더라도 누름부재(20)의 위치조절 및 싱크볼(1) 외관의 플랜지부(1a)에 대한 누름 강도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기존의 싱크볼 고정용 쐐기나 고정구에서 사용하던 고정나사가 없으므로 부품 수를 2개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 몸체에 금속재 암나사를 인서트 사출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으며, 전동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싱크볼을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싱크볼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고정구)의 부품 수가 적고 이의 제작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볼의 고정작업시에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누름부재를 몸체에 눌러서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누름부재는 위치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정한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싱크볼의 두께나 플랜지부의 형태에 상관없이 호환성을 가져 규격이 다른 여러 업체의 싱크볼을 고정할 때에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 싱크볼이 고정되는 싱크대 상판의 저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싱크볼 외곽의 플랜지부를 싱크대 상판에 고정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를 갖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으로;상기 몸체(10)와 누름부재(20)에는 각각 레일(12)과 레일 홈(22)이 형성되며, 이 레일(12)과 레일 홈(22)의 대응되는 면에는 톱니형 돌기(13)와 탄성 걸림부재(23)가 형성되어 누름부재(20)가 몸체(10)에 형성된 레일(12)을 타고 위치이동을 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몸체(10)의 접착면(15)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이 접착면(15)에는 접착제 수용홈(1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레일(12)은 몸체(10) 상면의 중간 부분에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레일(12)의 상면에는 경사면(13a)과 직각면(13b)으로 이루어진 톱니형 돌기(13)가 형성되며, 이 레일(12)은 좌,우의 폭이 탄성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14)이 형성되고, 이 레일(12)의 좌,우측 어깨부(16)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16a)과 대략 수평상태의 저면(16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레일 홈(22)은 누름부재(20)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고, 레일 홈(22)의 천정면에는 상기 레일(12) 상면의 톱니형 돌기(13)와 맞물리도록 톱니형의 걸림턱(23a)을 갖는 탄성 걸림부재(23)가 일체로 성형되어 누름부재(20)가 몸체(10)의 후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레일홈(22)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이탈방지턱(22a)이 형성되어 레일(12)의 어깨부(16) 저면(16b)이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이탈방지턱(22a)의 하부 양측에는 레일(12)을 레일 홈(22)에 끼울 때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2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탄성 걸림부재(23)의 외측에는 탄성 걸림부재(23)를 들어 올리기 위한 해제용 노브(23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0050U KR200441117Y1 (ko) | 2006-11-21 | 2006-11-21 |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0050U KR200441117Y1 (ko) | 2006-11-21 | 2006-11-21 |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1296U true KR20080001296U (ko) | 2008-05-26 |
KR200441117Y1 KR200441117Y1 (ko) | 2008-07-23 |
Family
ID=4164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30050U KR200441117Y1 (ko) | 2006-11-21 | 2006-11-21 |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111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108Y1 (ko) * | 2010-09-28 | 2011-06-15 | 박관종 | 씽크대의 볼 고정용 받침대 |
KR200469351Y1 (ko) * | 2009-09-11 | 2013-10-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고정단과 가동자의 금속간 마찰 방지를 위한 가이드링과 홈의 구조 |
KR102028007B1 (ko) * | 2019-02-01 | 2019-10-04 | 주식회사 이노프 | 수평 슬라이드 연결 구조를 갖는 조절발 |
-
2006
- 2006-11-21 KR KR2020060030050U patent/KR2004411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351Y1 (ko) * | 2009-09-11 | 2013-10-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고정단과 가동자의 금속간 마찰 방지를 위한 가이드링과 홈의 구조 |
KR200454108Y1 (ko) * | 2010-09-28 | 2011-06-15 | 박관종 | 씽크대의 볼 고정용 받침대 |
KR102028007B1 (ko) * | 2019-02-01 | 2019-10-04 | 주식회사 이노프 | 수평 슬라이드 연결 구조를 갖는 조절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1117Y1 (ko) | 2008-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1117Y1 (ko) | 싱크볼 고정용 브라켓 | |
US4230382A (en) | Plastics drawer for furniture | |
JP2007523277A (ja) | スライド又はガイドチャンネルのための固定装置 | |
ES2953961T3 (es) | Unidad de montaje con al menos un riel de montaje y con al menos una abrazadera de sujeción | |
US7882755B2 (en) | Sensor attachment device, a senso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a photo-electrical sensor | |
TW202003164A (zh) | 可快速調整之活動扳手 | |
KR20160113622A (ko) | 슬라이딩 도어 피팅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조립 보조 도구 | |
US20100297569A1 (en) | Dental Brace with Brackets Having a Latch Type Sliding Cover for Positioning Arch Wire | |
JP3962620B2 (ja) | 化粧材取付具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取付構造 | |
IT202100001490A1 (it) |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i un lavello | |
EP1736618A2 (en) | An adjustable handle and a method of mounting such a handle | |
CN213406379U (zh) | 可拆装冲牙器喷头的机身装置 | |
JP3880484B2 (ja) | センサ固定部の構造 | |
JP4394300B2 (ja) | 出隅材取付具、出隅材及び出隅材取付構造 | |
JP4338431B2 (ja) | 遊技盤の取付構造 | |
JP4209874B2 (ja) | モンキーレンチ | |
CN213090237U (zh) | 一种多功能冰箱端盖结构 | |
CN111622605B (zh) | 一种门窗用锁座、以及门窗 | |
TWI824799B (zh) | 假牙裝配器 | |
JP2007262885A5 (ko) | ||
KR20190000556U (ko) | 가구용 손잡이 | |
KR20180010656A (ko) | 싱크볼 고정용 클립기구 | |
KR100776652B1 (ko) |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 |
JP3755954B2 (ja) | 建築用化粧板材の取付金具 | |
JP2004011111A (ja) | ランナーストッパ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