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846U - Backplate for chair - Google Patents

Backplate for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846U
KR20080000846U KR2020060028682U KR20060028682U KR20080000846U KR 20080000846 U KR20080000846 U KR 20080000846U KR 2020060028682 U KR2020060028682 U KR 2020060028682U KR 20060028682 U KR20060028682 U KR 20060028682U KR 20080000846 U KR20080000846 U KR 200800008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hape
rear support
chai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6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보
Original Assignee
김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보 filed Critical 김정보
Priority to KR2020060028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846U/en
Publication of KR20080000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84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에 탄성요소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101) 및 큐숀(401)(4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의자의 위에서 아래로 볼 경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상단돌출부(401a)의 형상은 등받이의 내측단(201)에서 일정거리에 수평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고 외측단(401b)으로 니은자(ㄴ)형으로 만곡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들의 측면에서 볼 경우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각각 형상 중 등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정 거리로 오목한 형상인 오목부(200)로 형성되어 있고, 등받이의 내측단(201)은 일직선상으로 되어 있다.While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ax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means of bolts with elastic elements, and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and 101 and cushioning (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401, 401 i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waist shaft of the human body, when vie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hair, the shape of the upper back portion 401a of the two backrest shells and the cushion is the inner end of the backrest. It keeps in a straight line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201 and protrudes into a curved portion in the form of a needle-shaped (b) to the outer end (401b),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backrest contact the back portion of each shape of the backplate outer plate and the cushion The part to be formed is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00 having a concave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ner end 201 of the backrest is in a straight line.

의자, 후방지지부, 등받이, 텐션, 오목부, 중간가로대, 탄성요소 Chair, rear support, backrest, tension, recess, middle rail, elastic element

Description

밀착형 의자 등받이{Backplate for chair}Backrest for chair {{Backplate for chair}

도1은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가 적용된 개략 배면사시도1 is a schematic rear perspective view to which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가 적용된 개략 측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to which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3은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가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back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를 위에서 본 개략적 평면도Figure 4 is a schematic plan view from above of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의 우측에서 본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as seen from the right side of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의자등받이 구조의 배면도Figure 6a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view of the chair back structure

도6b는 도6a의 A-A'선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로서, 실시예 중 탄성요소에 대한 확대단면도FIG. 6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6A, and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element in the embodiment; FIG.

도 7은 종래 의자 등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hair back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외판 102 : 탄성요소101: outer plate 102: elastic element

103 : 중간가로대 108 : 볼트103: middle side stand 108: bolt

본 고안은 밀착형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의 자에 앉아 등을 기댈 때 좌, 우 등판이 착석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락함은 물론 척추 및 요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몸을 뒤로 재낄 경우에도 등을 밀착시켜 받쳐주는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e-type chair back, and more particularly, to ensure that the left and right backboards conform to the body shape of the seated person when they sit on the chair to support the spine and lumbar spine, as well as comfort and comfort. And, even if the body is back to the back of the chair to support the back close.

일반적으로 의자 등받이는 말안장의 접촉면식으로 이루어져 착석시 등받이의 면이 일률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신체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만족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In general, the chair back is composed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rse saddle, so that the face of the back is uniformly formed when sitting,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atisfying people with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 및 가정용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쿠션과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쿠션과 등받이를 분리한 후 등받이는 쿠션의 후방으로 일정각도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주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office chairs and home chairs that are commonly used are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cushion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supporting the back portion, or after separating the cushion and the backrest,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at an angle to the rear of the cushion. It is intended to give users convenience.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 부위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을 뿐 아니라 등이 중심위치만 닿게 되므로 등의 좌, 우측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가 쉽게 피로하여지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such a case, the user's back and the back part are easily fatigued and correct because the back part of the user is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and the back part only touches the center position.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maintain post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등받이를 듀얼팩(Dual Pack)타입으로 구성하여 의자에 착석시 한 쌍의 등받이가 등의 양측을 편안하게 감싸주어 안정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ackrest in the recent years is composed of a dual pack type so that a pair of backrests comfortably wrap both sides of the back when seated on a chair to maintain a stable and correct postur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팩 타입의 등받이(1)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ackrest 1 of the conventional dual pack typ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두개의 등받이 외판(1)을 포함하고 있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등받이(A, B) 외판(1)이 서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으로 볼때 오목하고 상기 시트표면위에 배치된 횡방향 수평축 방향으로 볼때 볼록하게 말 안장의 접촉면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등받이 외판(1)의 상, 하단에서 탄성요소(2)의 단부들이 중간 가로대 및 지지축(4) 그리고 탄성 수단(6)으로 단단히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가 이미 공개되어 있었다.In a chair back comprising two backrest shells (1), the two backrests (A, 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n axial direction and concave when viewed in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and the seat surface. It is formed convexly in the form of contact surface of the horse saddle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horizontal axis direction disposed above, the ends of the elastic element 2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of the backrest shell 1, the intermediate crossbar and the support shaft 4 And the chair back, which is firmly connected by the elastic means 6, has already been disclosed.

따라서, 종래의 의자 등받이의 구조상으로 보았을 때 착석자가 장시간 또는 강하게 등을 밀착시켰을 시에는 신체의 등과 허리에 압박감을 주는 것은 물론 척추의 휘어짐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hair back, when the seated pers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for a long time or strongly,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gives a feeling of pressure on the back and waist of the body but also may cause the spine to bend.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밀착형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등받이가 착석자의 등 좌, 우측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의자등받이를 개선하고, 의자 등받이를 각각 전면에서 보아 오목하게 형성하여 등이 의자등받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e-type chair back, more specifically, a chair having a pair of backrests to surround the seat left, right of the sea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backrest and to form a concave view from the front of the chair back so that the back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chair so that a comfortable posture can be take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에 탄성요소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101) 및 큐숀(401)(4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의자의 위에서 아래로 볼 경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상단돌출부 (401a)의 형상은 등받이의 내측단(201)에서 일정거리에 수평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고 외측단(401b)으로 니은자(ㄴ)형으로 만곡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들의 측면에서 볼 경우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각각 형상 중 등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정 거리로 오목한 형상인 오목부(200)로 형성되어 있고, 등받이의 내측단(201)은 일직선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중간 가로대는 평판의 후방지지부(18)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요소는 상기 후방지지부를 통과하여 해당 등받이부분에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지지부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축부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방지지부와 해당 등받이부분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머리부를 갖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의 동작에 텐션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상기 조절볼트의 축부와 상기 스프링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되,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two backrest outer plate 101 is ax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is coupled by a bolt with an elastic element on the middle side stan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101 and the cushion 401, 401 of the dog i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waist axis of the human body, and when vie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hair, The shape of the upper protrusion 401a is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end 201 of the backrest and protrudes into a curved portion in the form of a needle with the outer end 401b, when viewed from the sides of the backrests. The portions of the backrest outer plate and the cushioning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back portion ar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00 having a concave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ner end 201 of the backrest is in a straight line. The crosspiece forms a rear support portion 18 of the flat plate, wherein the elastic element passes through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a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is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support portion to expose the shaft portion. Adjusting bolt having a head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upport and the back portion by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t least one spring that imparts tension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bolt; And while shield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spring of the adjustment bolt from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rrugated pipe that can contract and exp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도1은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가 적용된 개략 배면사시도이고, 도2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가 적용된 개략 측면도이며, 도3은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가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4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를 위에서 본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의자등받이 구조의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의자등받이 구조의 배면도이며, 도6b는 도6a의 A-A'선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로서, 실시예 중 탄성요소에 대한 확대단면도 이다.1 is a schematic rear perspective view to which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to which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hair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ure 5 is a schematic plan view from above of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of the chair b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ck view of the chair back structure, Figure 6b is Fig. 6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ne A-A ', show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lastic element in the embodiment.

본원 고안은 의자등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103)에 탄성요소(102)로 볼트(108)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요소(102)는 디긋자(ㄷ) 형상으로 된 몸체의 상하부가 의자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꺽어져 있으며, 볼트(107)에 의하여 의자 등받이 중앙지점에서 상단이 고정되고, 의자등받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자 등받이 중앙 하단지점에서 하단이 고정되며, 중간가로대(103)의 가로이동고정용 장공(111)과 볼트(108)에 의하여 고정되어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back structure, wherein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ax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is connected to the bolt 108 with an elastic element 102 on the middle rail 103. Is coupled to, the elastic element 102 is bent in order to secure the chair back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diverge (c), the upper end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chair back by bolts 107,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chair back, the bottom of the chair back is fix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and is fix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fixing hole 111 and the bolt 108 of the middle side stand 103 to adjust the width thereof.

또한,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101) 및 큐숀(401)(4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의자의 위에서 아래로 볼 경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상단돌출부(401a)의 형상은 등받이의 내측단(201)에서 일정거리에 수평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고 외측단(401b)으로 니은자(ㄴ)형으로 만곡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들의 측면에서 볼 경우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각각 형상 중 등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정 거리로 오목한 형상인 오목부(200)로 형성되어 있고, 등받이의 내측단(201)은 일직선상으로 되어 있으며, 의자의 앞에서 보면 등받이가 오목한 형상으로 하고 있어 사람의 등에 등글게 감싸여지는 형상을 취하여 밀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 101 (101) and the cushion (401) (401) is a shape surrounding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waist axis of the human body, when vie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two backrest The shape of the upper projection 401a of the outer plate and the cushion is kept in a straight line horizontally at a distance from the inner end 201 of the backrest, and protrudes into a curved portion in the form of a needle with the outer end 401b.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portion of each of the backrest outer plate and the cushion in contact with the back portion is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00 having a concave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ner end 201 of the backrest is in a straight line, and the chair From the front, the backrest has a concave shape, and the backrest has a shape that is enclosed by a person's back.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요소는, 상기 후방지지부를 통과하여 해당 등받이부분에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지지부의 후면으로 노 출되어 상기 축부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방지지부와 해당 등받이부분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머리부를 갖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의 동작에 텐션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상기 조절볼트의 축부와 상기 스프링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되,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astic element of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through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and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support portion to rotate the shaft portio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support the rear support portion. Adjusting bolt having a head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At least one spring that imparts tension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bolt; And while shield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spring of the adjustment bolt from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rrugated pipe that can contract and exp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미설명부호 110은 해드레스트이다Reference numeral 110 is a head restraint.

상기와 같이, 등받이 외판(101)의 각각 형상 중 등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오목한 부분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하단에는 등을 뒤로 기댈 경우에도 등과 의자등받이가 밀착되는 작용관계가 나타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ions of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back portion form a concave portion in a straight line, and at the bottom thereof, even when the back is leaned back, the back and the chair back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가 탄성을 주기 위하여, 후방지지부(18)를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S" 자 형태의 파 형상으로 마련하고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give the support elasticity, the rear support 18 is provided in a wave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S" shape, as shown in FIGS. 6A to 6B.

후방지지부(18)의 면적은 2개의 등받이(101) 전역을 걸치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도시된 것보다는 후방지지부(18)의 면적이 작아도 무방하며, 후방지지부(18)가 몇 개로 분리 제작되어도 좋다.The area of the posterior support 18 is formed to span the entire two backrest 101. However, the area of the rear support part 18 may be smaller than that shown, and the rear support part 18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이처럼 대략 "S" 자 형태의 파 형상으로 후방지지부(18)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서 등받이 외판(101)(101) 및 큐숀(401)(401)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부에 기대는 힘이 가중된다 하더라도 후방지지부(18)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force supported by the user on the backrest part is formed by forming the rear support part 18 in a wave shape having an approximately "S" shape, and thereby supporting the backrest shell 101, 101 and the cushion 401, 401. Even if this is weighted, deformation does not occur in the rear support 18.

물론, 형태적인 특징 외에도,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본연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후방지지부(18) 자체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후방지지부(18) 자체를 판스프링으로 대체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후방지지부(18)의 형태적인 특징은 의자에 대한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는 데도 기여한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morphological features, in order to faithfully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of supporting the backrest,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rear support 18 itself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In other words, the rear support 18 itself may be replaced by a leaf spring. On the other hand,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rear support 18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to the chair.

이러한 후방지지부(18)가 등받이 외판(101)(101) 및 큐숀(401)(401)의 등받이부분을 후방에서 지지함에 있어 후방지지부(18)를 2개의 등받이 외판에 각각 고정되어야 함은 물론, 후방지지부(18)에 대해 2개의 등받이부분들 각각은 그 거리가 탄성적으로 접근 및 이격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신체의 사이즈(Size)나 체중이 서로 다른 사용자가 모두 사용하기에 충분한 것이다.The rear support 18 is to support the backrest portion of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101 and the cushion portion 401, 401 from the rear should be fixed to the two backrest outer shell, respectively, of course, Each of the two backrest portions relative to the posterior support 18 need to be elastically approached and spaced apart. This is enough for all users of different sizes or weights.

이를 위해, 후방지지부(18)와 그에 해당하는 2개의 등받이 외판(101)(101) 및 큐숀(401)(401)에는 각각, 후방지지부(18)를 해당 등받이부분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후방지지부(18)에 대해 2개의 등받이부분 각각을 탄성적으로 거리 조절하여 그 텐션을 조절하는 탄성요소(22)가 더 마련되어 있다.To this end, the rear support 18 and the two backrest shells 101 and 101 and the cushion 401 and 401 corresponding thereto, respectively, not only secure the rear support 18 to the corresponding backrest, but also the rear support ( An elastic element 22 is further provided to adjust the tension by elastically adjusting each of the two backrest portions with respect to 18).

2개의 탄성요소(22)의 구조 및 동작은 모두 동일하므로 도 6b에 확대 도시된 것을 기초로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two elastic elements 22 are all the same, a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enlarged view of FIG. 6B.

탄성요소(22)는, 도 6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24), 스프링(26) 및 주름관(28)을 포함한다.The elastic element 22 includes an adjusting bolt 24, a spring 26, and a corrugated pipe 28, as enlarged in FIG. 6B.

조절볼트(24)는, 후방지지부(18)를 통과하여 해당 등받이부분에 결합되는 축부(24a)와, 축부(24a)의 단부에 형성되고 후방지지부(18)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축부(24a)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후방지지부(18)와 해당 등받이부분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머리부(24b)를 구비한다.The adjusting bolt 2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portion 24a through the rear support portion 18 and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and is expos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8 so as to expose the shaft portion 24a. It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24b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upport portion 18 and the backrest portion by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머리부(24b)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노브의 형태로서, 머리부(24b)를 만들어도 좋다. 따라서 도 6b를 참조하면, 후방지지부(18)의 배면에는 머리부(24b)만이 노출된 형태를 취한다.Head 24b is preferably made of a form that can be operated by hand without a separate tool. In the form of a so-called knob, the head 24b may be formed. Therefore, referring to FIG. 6B, only the head 24b is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18.

스프링(26)은, 조절볼트(24)의 동작에 텐션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형성되어도 좋고 혹은 그 이상의 개수가 채용되어도 좋다. 물론, 구성상 제외되어도 무방하다.The spring 26 serves to give tension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bolt 24. As shown, two may be formed or a larger number may be employed. Of course, the configuration may be excluded.

주름관(28)은, 조절볼트(24)의 축부(24a)와, 스프링(26)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들의 외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절볼트(24)의 머리부(24b)를 조작하여 축부(24a)가 회전함에 따라 후방지지부(18)와 해당 등받이부분 사이의 간격이 변하므로, 이에 대응하도록 주름관(28)이 마련되는 것이다.Corrugated pipe 28 serves to shield the outside of the shaft portion 24a of the adjustment bolt 24 and the spring 26 so that the spring 26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as the shaft portion 24a rotates by manipulating the head portion 24b of the adjustment bolt 24,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upport portion 18 and the backrest portion changes, so that the corrugated pipe 28 is provided to correspond thereto. will be.

상기와 같은 의자 등받이 구조는 오목한 등받이 외판(101)은 등의 좌우측을 함께 받쳐줌으로써 사람의 등 전체에 걸쳐 지지를 할 수 있으며, 등을 뒤로 재낄 경우에 등받이 외판(101)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한 니은자(ㄴ) 형상의 등받이가 양 어깨부분을 받쳐주므로서 더욱 안락감을 갖게 되며, 등을 기댈 경우에 등과 의자등받이가 밀착되어 더욱 안락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The chair back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 support the entire back of the person by supporting the concave back plate 101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and the concave teeth formed on the side of the back plate 101 when the back is pinched. The back of the chair (b) supports both shoulders to have more comfort, and when you lean on the back, the back of the chai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re comfortable.

Claims (3)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에 탄성요소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101) 및 큐숀(401)(4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의자의 위에서 아래로 볼 경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상단돌출부(401a)의 형상은 등받이의 내측단(201)에서 일정거리에 수평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고 외측단(401b)으로 니은자(ㄴ)형으로 만곡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들의 측면에서 볼 경우 등받이 외판 및 큐숀의 각각 형상 중 등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정 거리로 오목한 형상인 오목부(200)로 형성되어 있고, 등받이의 내측단(201)은 일직선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의자 등받이While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ax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means of bolts with elastic elements, and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and 101 and cushioning (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401, 401 i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waist shaft of the human body, when vie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hair, the shape of the upper back portion 401a of the two backrest shells and the cushion is the inner end of the backrest. It keeps in a straight line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201 and protrudes into a curved portion in the form of a needle-shaped (b) to the outer end (401b),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backrest contact the back portion of each shape of the backplate outer plate and the cushion The part to be formed is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00 having a concave sha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ner end 201 of the backrest is in a straigh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로대는 평판의 후방지지부(1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의자 등받이The seat b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ddle crosspiece forms a rear support portion 18 of the flat pl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는 상기 후방지지부를 통과하여 해당 등받이부분에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지지부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축부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방지지부와 해당 등받이부분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머리부를 갖는 조절볼트; 상기 조 절볼트의 동작에 텐션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상기 조절볼트의 축부와 상기 스프링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되,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의자 등받이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elastic element is passed through the rear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and formed in the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exposed to the rear of the rear support portion to expose the shaft portio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djusting bolt having a head for rot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upport and the back portion by rotating; At least one spring that imparts tension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bolt; And a pleated tube for shield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spring of the adjustment bolt from the outside, the corrugated tube contracting and expa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KR2020060028682U 2006-10-30 2006-10-30 Backplate for chair KR2008000084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82U KR20080000846U (en) 2006-10-30 2006-10-30 Backplate for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82U KR20080000846U (en) 2006-10-30 2006-10-30 Backplate for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846U true KR20080000846U (en) 2008-05-07

Family

ID=4132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682U KR20080000846U (en) 2006-10-30 2006-10-30 Backplate for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846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23B1 (en) * 2015-04-23 2016-06-23 심현섭 Acupressure apparatus for backrest of chair and Acupressure chair with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23B1 (en) * 2015-04-23 2016-06-23 심현섭 Acupressure apparatus for backrest of chair and Acupressure chair with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en) posture holder
JP4856911B2 (en) Chair with backrest
WO2007021005A1 (en) Chair
JP2002119366A (en) Chair
KR100995967B1 (en) Structure of backplate for chair
TWM551031U (en) Back and waist supporting structure and chair
JP2007151582A (en) Body supporting plate and chair
JP5339548B2 (en) Chair with backrest
KR200422122Y1 (en) Backplate for chair
KR100772167B1 (en) A chair having backrest
KR102506194B1 (en)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JP6140419B2 (en) Lumber support and chair
KR20080000846U (en) Backplate for chair
KR200423685Y1 (en) Backplate for chair
JPH0795913A (en) Chair with backrest
KR200431249Y1 (en) Backplate for chair
KR200401558Y1 (en) Backplate for chair
KR200445660Y1 (en) Chairs
KR101056076B1 (en) Chairs with backing members compatible with waist and headrest
KR200428245Y1 (en) Waist supporter for chair
JP2020058759A (en) Chair
JP4197045B2 (en) Chair
JP7312010B2 (en) folding chair
JP2012143634A (en) Human body support plate and chair
KR200385449Y1 (en) Backplate for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