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167B1 - A chair having backrest - Google Patents
A chair having backr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2167B1 KR100772167B1 KR1020060085805A KR20060085805A KR100772167B1 KR 100772167 B1 KR100772167 B1 KR 100772167B1 KR 1020060085805 A KR1020060085805 A KR 1020060085805A KR 20060085805 A KR20060085805 A KR 20060085805A KR 100772167 B1 KR100772167 B1 KR 100772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rest
- chair
- supporting
- user
- wais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9 user support syste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의 의자를 나타낸 도면.1 shows a chair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3 is a side view of a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developed structure of a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등받이3: backrest
4 : 보조등받침4: auxiliary backrest
100 : 쿠션부100: cushion portion
120 : 중앙받침부120: center support
130 : 사이드받침부130: side support
200 : 지지판200: support plate
300 : 조립부재300: assembly member
400 : 체결나사400: tightening screw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자에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등과 허리 부분을 받쳐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등과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는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that is additionally mounted to the chair to induce a correct posture by supporting the back and waist and not to burden the back and the waist.
일반적으로, 등받침은 의자에 일체로 형성되어 등을 받쳐 주는 것으로 좌석부를 받침하는 다리와,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받침부가 한 셋트로 형성된다.In general, the backres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hair to support the back, the leg supporting the seat, the seat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user, and the back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eat supporting the user's back It is formed into a set.
근래에는 의자에서의 생활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장시간 앉아 있으므로 등과 허리 뼈에 무리가 가는 일이 많아 등과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을 갖도록 권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life of the chair gradually increases, sitting on the back for a long time tends to be difficult, and it is recommended to make a habit of sitting in the right posture to protect the back and waist.
그러나 장시간 앉아 공부나 일을 할 경우 바른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기 힘들고, 몸이 앞으로 굽어져 등과 허리 부분이 구부러지게 되어 디스크 및 요통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studying or work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for a long time, the body is bent forward and the back and waist bend the disc and back pain occurs.
그래서 장시간 의자에서의 생활로 인해 무리가 가는 등과 허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침을 형성하여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척추와 요추 부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a chair has been developed to induce a correct posture to prevent the crowd from going to the spine and lumbar region by forming a backrest that protects the back and the waist due to a long life in the chair.
이와 같은 등받침을 포함한 의자에 대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508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prior art for a chair including such a backres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0508.
도 1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일체형 등받침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integrated backrest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침은 척추와 요추의 만곡상태를 받쳐주도록 곡 면구조의 좌,우측 척추등판부(10, 20)와, 상기 좌,우측 척추등판부(10, 20)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대(40)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중앙에 가로지지대를 구성하되, 상기 가로지지대의 상단에 장착된 경추(목뼈)를 받쳐주는 경판대(50)와, 상기 세로지지대(30)의 탄성력을 갖는 받침대가 의자시트(7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backrest supports the left and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등받침이 일체로 형성되어 따로 분리되지 않아 등받침을 떼어냈을 경우 보조등받침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등받침의 교체 등이 필요할 때 의자 전체를 바꾸어야 하므로 낭비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hair is wasted because the backrest is integrally formed and not separated separately, so that the backrest cannot be used when the backrest is removed, and the entire chair must be replaced when the backrest needs to be replaced.
또한, 등받침의 양쪽이 따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기대었을 때, 사용자의 양 허리부분을 압박하여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both sides of the backrest is configured separately, when the user leans, there was an inconvenience by pressing both waist parts of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부착이 가능하고 등받침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chair having a secondary backrest that can be detachable and can be used even when the backrest is remov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등받침을 원피스로 제작하여 보조등받침에 가해지는 힘에 상관없이 편안한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having a comfortable auxiliary backrest irrespectiv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auxiliary backrest by making the auxiliary backrest in one pie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는 의자를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다리 상측에 연결되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 일측면에 연결된 등받이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앞면에는 사용자의 등에서부터 허리 부분까지를 부가적으로 받쳐주는 보조등받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조등받침(4)은 사용자의 허리 중앙을 받치는 중앙받침부, 허리의 양 옆을 받치는 사이드 받침부, 등을 지지하는 요입부, 허리 아래 부분을 지지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등과 허리의 굴곡에 맞추어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1볼트홀 및 쿠션재가 내장된 쿠션부, 상기 제 1볼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제 2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쿠션부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게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에 상기 지지판이 결합되게 상기 제1볼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 3볼트홀 및 중앙 부분이 완만한 반원형 형상으로 요입되어 상기 지지판과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등받이 쪽으로 돌출된 중앙에 체결홀이 형성된 조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g supporting a chair, a seat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leg, and a chair formed of a backres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at, the front of the backrest. There is an auxiliary back support for additionally supporting the user's back to the waist portion is coupled to be detachable, the auxiliary backrest (4) is a central support for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user's waist, side supports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waist. A cushion part including a recessed part supporting a part, a back, a curved part supporting a lower part of the waist, and formed with a smooth curved surfac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ser's back and waist, and having a first bolt hole and a cushion material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second plate hole penetr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lt hole is formed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shion part, and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flow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and the third bolt hole and the central portion formed to penetr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lt hole so that the support plate is coupled to the backrest is recessed in a semi-circular shape is smooth A support plate and a space are formed, and an assembly member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center protruding toward the backrest is provided.
삭제delete
또한, 상기 쿠션부와 지지판은 각각 원피스로 형성되고, 서로 상응하도록 같은 곡면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re each formed in one pie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curved portion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 는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면 중 동일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in the drawings,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has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expanded and showed the structure of a chair.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통상적인 의자와 마찬가지로, 바닥과의 거리를 갖도록 하고 의자의 무게를 지탱하며 의자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바퀴가 설치된 다리(1)와, 상기 다리(1)의 상측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앉는 좌석부(2)로 구성된다.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a conventional chair, has a leg (1) with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with a distance from the floor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chair and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chair, Connected to the upper side is composed of a seat (2) the user sits.
그리고, 상기 좌석부(2)의 일측 후방에는 등받이(3)가 형성되어 있고, 등받이(3)에는 좌석부(2)를 향하여 연장되는 팔걸이(미도시)가 형성되어 팔을 받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팔걸이(미도시)는 좌석부(2)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도 무방하다.And, one side rear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에서는, 곡면으로 형성된 보조등받침(4)이 등받이(3)에 부착되어 등과 허리 부분에 가해지는 무리를 줄이고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보조등받침(4)은 사용자의 등이 직접 닿는 쿠션부(100)와 상기 쿠션부(100)를 받치고 의자에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지지판(200)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쿠션부(100)와 지지판(200)은 사람의 등에서부터 허리까지의 형상에 상 응하도록 외형과 앞,뒷면이 완만한 곡면부로 형성되며,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폭이 줄어든 부분은 곡선으로 완만하게 연결된다.The
또한, 상기 쿠션부(100)와 지지판(200)은 각각 원피스로 형성되고, 서로 상응하도록 같은 곡면부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측면에서 봤을 때 허리가 받쳐지도록 돌출된 중앙받침부(120)를 중심으로 상부는 뒷쪽으로 요입된 요입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뒷쪽을 향해 곡면부(150)를 형성한다. 또한, 상면에서 봤을 때 양 옆부분은 앞쪽으로 돌출되어 사이드받침부(130)를 형성한다.As viewed from the side, the upper part is formed with a
허리 부분과 닿는 중앙받침부(120)는 사람의 허리 모양에 맞추어 앞쪽으로 돌출되어 허리가 받쳐지도록 하고, 양 옆에 형성된 사이드받침부(130)는 사용자의 허리를 양쪽에서 감싸며 받쳐준다.The
또한, 상측은 사용자가 기대어 허리의 요추가 바르게 펴졌을 때,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젖혀지는 등 부분을 받쳐주도록 중앙받침부(120)에서부터 뒷쪽을 향해 들어간 요입부(140)를 갖고, 상측 끝단부는 다시 위쪽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목이 바로 설 수 있도록 목과 등이 연결되는 부분이 받쳐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has a
여기서, 쿠션부(100)의 뒷편에는 후술하는 지지판(200)과 조립할 수 있도록 제 1볼트홀(110)을 갖는다.Here, the back side of the
쿠션부(100)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등을 기대었을 때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안에 쿠션재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쿠션재의 겉면 둘레에는 가죽소재 또는 패브릭 등의 커버와 합포 되고 쿠션재와 겉면에 둘러진 커버는 지지판(200)의 형상 대로 몰딩가공되어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상기 쿠션재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두께감을 갖는 것으로 형성하고, 피혁류의 소재 또는 패브릭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커버를 형성함으로써 여러가지 느낌의 의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쿠션부와 지지판이 분리가 되므로 쿠션부의 쿠션재 또는 커버의 교체가 필요할 때 교체가 용이하다.The cushion material is formed to have a sense of thickness so that the user feels comfortable when sitting on the chai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ir with a variety of feeling by forming a cover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leather material or fabric. In addition, since the cushion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re separated, it is easy to replace when the cushion member or the cover of the cushion portion needs to be replaced.
보조등받침(4)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지지판(200)은 쿠션부(100)의 뒷편에서 조립되고 쿠션부(100)와 같은 외형을 갖도록 형성하고, 쿠션부와의 조립 시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조등받침을 이용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The
상기 지지판(200)에는 제 2볼트홀(210)이 제 1볼트홀(110)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쿠션부(100)와 지지판(200)의 조립시 상기 2개의 홀이 일치하도록 한다.A
의자와의 조립을 돕는 조립부재(300)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등을 기대었을 때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유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제 3볼트홀(310)이 형성되어 제 1볼트홀(110) 및 제 2볼트홀(210)과 일치하도록 조립된다. 쿠션부(100), 지지판(200) 및 조립부재(300)에 형성된 각각의 3개의 홀을 일치 시키고 하나의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Assembling
상기 제 3볼트홀(310)은 조립부재(300)의 양끝에 앞뒤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조립부재(300)의 중앙에는 단이 형성되어 의자에 체결시 의자와의 거리를 확보하여 유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된 단의 중앙에는 체결나 사(400)가 삽입되는 체결홀(410)이 형성된다.The
또한, 조립부재(300)의 중앙 부분은 완만한 반원형 형상으로 요입되어 지지판(200)에 장착되었을 때 지지판(200)과 조립부재(3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동이 용이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의 뒷편에 지지판(200)이 위치하고 맞닿은 쿠션부(100)의 제 1볼트홀(110)과 지지판(200)의 제 2볼트홀(210)은 일치하게 된다. 일치된 제 1볼트홀(110)과 제 2볼트홀(210)의 위치에 제 3볼트홀(310)이 위치하도록 지지부재(300)를 놓고 볼트(32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As shown in FIG. 4, the
쿠션부(100)와 지지판(200) 및 지지부재(300)가 일체로 조립되어 보조등받침(4)을 형성하고 의자에 형성된 등받이(3)의 앞면에 등받이홀(3')과 체결홀(410)이 일치하도록 상기 보조등받침(4)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등받이(3)의 뒷면에서 체결나사(400)를 끼워 보조등받침(4)이 등받이(3)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여기서, 상기 등받이(3)는 좌석부의 후면에 연결 형성된 프레임에 조립되어 형성하고, 사용자가 착석하여 등을 기대어 보조등받침이 유동할 때 좀더 유연할 수 있도록 돕는다.Here, the backrest (3) is assembled to form a fram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portion, and helps the user to be more flexible when the auxiliary backrest flows by leaning against the bac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에 의하면, 보조등받침의 탈부착이 가능하고 보조등받침을 떼어낸 상태에서도 의자를 사용할 수 있 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ckres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chair can be used even when the auxiliary backrest is removed.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에 의하면, 보조등받침은 원피스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등과 허리가 압박하지 않도록 굴곡이 형성되어 등과 허리의 무리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ckrest is formed in one piece and bent on the surface so that the back and the waist is not pressed to reduce the back and waist.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에 의하면, 보조등받침을 구성하는 쿠션부와 지지판의 분리 가능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 그 작업이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ir having an auxiliary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constituting the auxiliary backrest can be detachable, so that the work is easy when replacement is necessary.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5805A KR100772167B1 (en) | 2006-09-06 | 2006-09-06 | A chair having backre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5805A KR100772167B1 (en) | 2006-09-06 | 2006-09-06 | A chair having backre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2167B1 true KR100772167B1 (en) | 2007-11-01 |
Family
ID=3906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5805A KR100772167B1 (en) | 2006-09-06 | 2006-09-06 | A chair having backre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216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56481A (en) * | 2015-05-06 | 2015-08-26 | 张素平 | Height adjustable computer chair |
CN104856483A (en) * | 2015-05-13 | 2015-08-26 | 马玉荣 | Pneumatic lift chair |
CN108784073A (en) * | 2018-05-29 | 2018-11-13 | 湖州思凯家居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emory sponge convenient for cleaning leans against |
KR20190119959A (en) * | 2018-04-13 | 2019-10-23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Bath chair for the disabled or elderly |
KR20230089424A (en) * | 2021-12-13 | 2023-06-20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osture correction chair that helps maintain the right pos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187Y1 (en) | 2003-05-03 | 2003-07-25 | 주식회사 리바트 | The back of a chair |
KR200327969Y1 (en) | 2003-07-04 | 2003-09-26 | 전은수 | Chair having an elastic parts for the back thereof |
-
2006
- 2006-09-06 KR KR1020060085805A patent/KR10077216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1187Y1 (en) | 2003-05-03 | 2003-07-25 | 주식회사 리바트 | The back of a chair |
KR200327969Y1 (en) | 2003-07-04 | 2003-09-26 | 전은수 | Chair having an elastic parts for the back thereof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56481A (en) * | 2015-05-06 | 2015-08-26 | 张素平 | Height adjustable computer chair |
CN104856483A (en) * | 2015-05-13 | 2015-08-26 | 马玉荣 | Pneumatic lift chair |
KR20190119959A (en) * | 2018-04-13 | 2019-10-23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Bath chair for the disabled or elderly |
KR102040522B1 (en) * | 2018-04-13 | 2019-11-05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Bath chair for the disabled or elderly |
CN108784073A (en) * | 2018-05-29 | 2018-11-13 | 湖州思凯家居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emory sponge convenient for cleaning leans against |
KR20230089424A (en) * | 2021-12-13 | 2023-06-20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osture correction chair that helps maintain the right posture |
KR102630274B1 (en) * | 2021-12-13 | 2024-01-25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osture correction chair that helps maintain the right pos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36369B2 (en) | Posture holder | |
KR102163201B1 (en) | Functional chair | |
KR101517350B1 (en) | Chair | |
EP0268746A1 (en) | Shell chair and tilt mechanism | |
JP2002119366A (en) | Chair | |
KR102353586B1 (en) | A Functional Legless Chair | |
US20080252120A1 (en) | Chair having shape memory sponge mounted on backrest | |
KR100772167B1 (en) | A chair having backrest | |
JP4183084B2 (en) | Chair and its back | |
JP4332034B2 (en) | Ergonomic seat module and chair with the seat module mounted | |
KR100430481B1 (en) |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 |
JP2011101762A (en) | Backrest device for chair | |
KR200422122Y1 (en) | Backplate for chair | |
KR200423685Y1 (en) | Backplate for chair | |
JP2007151582A (en) | Body supporting plate and chair | |
JP2012143634A (en) | Human body support plate and chair | |
KR100772166B1 (en) | Support backrest for chair | |
KR100734166B1 (en) | A changeable chair | |
KR200327969Y1 (en) | Chair having an elastic parts for the back thereof | |
KR200258166Y1 (en) |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 |
KR102597324B1 (en) | A chair consisting of a seat with a backrest capable of correcting the spine. | |
JP3230846U (en) | Posture adjuster | |
KR102506195B1 (en)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
KR102323964B1 (en) |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 |
KR102661446B1 (en) | Functional seat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