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122Y1 - Backplate for chair - Google Patents

Backplate for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122Y1
KR200422122Y1 KR2020060011371U KR20060011371U KR200422122Y1 KR 200422122 Y1 KR200422122 Y1 KR 200422122Y1 KR 2020060011371 U KR2020060011371 U KR 2020060011371U KR 20060011371 U KR20060011371 U KR 20060011371U KR 200422122 Y1 KR200422122 Y1 KR 200422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support
lumba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석출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차석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석출 filed Critical 차석출
Priority to KR2020060011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12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12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의자등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측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외판(101)의 아래에 안락을 도모하는 요추를 받쳐주는 2개의 요추받이(201)가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103)에 탄성요소(102)로 볼트(108)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성 전체가 일렬상으로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전체로 보아 타원형처럼 둥근형상을 하고 있으며,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등받이 외판(101)이 니은자(ㄴ)형으로 좌우측부에서 만곡부(111)가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 외판(101)의 각각 형상 중 척추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탄성요소(102)는 의자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트에 의하여 의자등받이 중앙지점에서 상단이 고정되고, 의자등받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자등받이 중앙 하단지점에서 하단이 고정되며 중간가로대(103)의 가로이동고정용 장공과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며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back structure, wherein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late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wo lumbar supports 201 supporting the lumbar spine for comfort under the outer plate 101 are left and right. Is formed in,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is coupled to the middle rail 103 to the elastic element 102 by the bolt 108,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is the waist of the human body It i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shaft, and is rounded like an oval when viewed as a whole so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can support the back in a lin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When looking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axis), which is a horizontal plane on the surface of the seat,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has a needle-shaped (b) shape, and the curved portions 111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each shape of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pinal column The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elastic element 102 is a trapezoidal shape for fixing the chair back, the upper end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chair back by bolts, and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chair back at the lower center of the chair back The bottom is fixed and fix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fixing hole of the middle side stand 103 and the bolt can adjust the width.

의자, 등받이, 외판, 허리받이, 요추받침부, 척추받침부, 만곡부 Chair, backrest, outer plate, backrest, lumbar support, spine support, curve

Description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Backplate for chair}Backrest for chair {Backplate for chair}

도 1a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듀얼백 타입으로 된 제1실시예의 개략 사시도Figure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dual back type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b는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의 개략 평면도1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듀얼백 타입으로 된 제2실시예의 개략 사시도Figure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dual back type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b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개략 측면도2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제2실시예의 의자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개략 사시도Figure 2c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chair back of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a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추등받이의 변형에 대한 개략 사시도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odification of the lumbar backre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추등받이의 변형에 대한 개략 측면도Figure 3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modification of the lumbar backre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제3실시예의 개략 정면도Figure 4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b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제4실시예의 개략 정면도Figure 4b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fourth embodimen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및 요추받이와 중간가로대에 결합되는 고무탄성체의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elastomer coupled to the chair back and lumbar support and the middle side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Figure 6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hair back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Figure 6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hair back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제2, 3실시예에 따라 초기 착석시의 의자등받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hair back at the time of initial seating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chair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제2, 3실시예에 따라 착석 후의 의자 등받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7B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hair back after being seated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chair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 의자 등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hair back

도 9는 종래 다른 실시예의 요추받이 구조를 나타낸 실물 사진9 is a real photograph showing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 101 : 의자 등받이 102 : 탄성요소100, 100 ', 101: chair back 102: elastic element

103 : 중간가로대 108 : 볼트103: middle side stand 108: bolt

201 : 요추받이 202 : 소형탄성요소201: Lumbar support 202: Small elastic element

203 : 소형중간가로대 204 : 연결대203: small middle side stand 204: connecting rod

207 : 탄성연결대 400 : 지지대207: elastic connector 400: support

401, 402 : 지지대401, 402: support

본 고안은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의자에 앉아 등을 기댈 때 좌, 우 등판이 착석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락함은 물론 척추 및 요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체결수단을 견고하게 하는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backrest for lumbar spine, and more particularly, the left and right backboards are adapted to the seater's body shape when the seated person sits on a chair to support the spine and lumbar spine. And it relates to a chair back for tightening the fastening means.

일반적으로 의자 등받이는 말안장의 접촉면식으로 이루어져 착석시 등받이의 면이 일률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신체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만족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In general, the chair back is composed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rse saddle, so that the face of the back is uniformly formed when sitting,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atisfying people with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 및 가정용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쿠션과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쿠션과 등받이를 분리한 후 등받이는 쿠션의 후방으로 일정각도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주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office chairs and home chairs that are commonly used are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cushion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supporting the back portion, or after separating the cushion and the backrest,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at an angle to the rear of the cushion. It is intended to give users convenience.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 부위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을 뿐 아니라 등이 중심위치만 닿게 되므로 등의 좌, 우측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가 쉽게 피로하여지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such a case, the user's back and the back part are easily fatigued and correct because the back part of the user is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and the back part only touches the center position.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maintain post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등받이를 듀얼팩(Dual Pack)타입으로 구성하여 의자에 착석시 한 쌍의 등받이가 등의 양측을 편안하게 감싸주어 안정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ackrest in the recent years is composed of a dual pack type so that a pair of backrests comfortably wrap both sides of the back when seated on a chair to maintain a stable and correct postur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팩 타입의 등받이(1)를 도 8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ackrest 1 of the conventional dual pack typ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두개의 등받이 외판(1)을 포함하고 있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등받이(A, B) 외판(1)이 서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으로 볼때 오목하고 상기 시트표면위에 배치된 횡방향 수평축 방향으로 볼때 볼록하게 말 안장의 접촉면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등받이 외판(1)의 상, 하단에서 탄성요소(2)의 단부들이 중간 가로대 및 지지축(4) 그리고 탄성 수단(6)으로 단단히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가 이미 공개되어 있었다.In a chair back comprising two backrest shells (1), the two backrests (A, 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n axial direction and concave when viewed in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and the seat surface. It is formed convexly in the form of contact surface of the horse saddle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horizontal axis direction disposed above, the ends of the elastic element 2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of the backrest shell 1, the intermediate crossbar and the support shaft 4 And the chair back, which is firmly connected by the elastic means 6, has already been disclosed.

따라서, 종래의 의자 등받이의 구조상으로 보았을 때 착석자가 장시간 또는 강하게 등을 밀착시켰을 시에는 신체의 등과 허리에 압박감을 주는 것은 물론 척추의 휘어짐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hair back, when the seated pers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for a long time or strongly,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gives a feeling of pressure on the back and waist of the body but also may cause the spine to bend.

이러한 가운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추를 받쳐줄 수 있는 개량된 의자가 출시되고 있었다.Among these, as shown in FIG. 9, an improved chair capable of supporting the lumbar spine was being relea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요추를 받쳐주는 요추받이의 구조가 1개로 요추만을 받쳐주기 때문에 안전감이 없고, 안락으며, 연결부위가 지지대와 탄성을 주기 위하여 스프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체결되는 구성도 요추받이의 연결부위가 강철선과 플라스틱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재질의 구성(강성 : 딱딱함)에 따라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lumbar support supporting the lumbar spine as above only supports the lumbar spine with only one, so there is no sense of safety, comfort, and the connection part can be fastened with a spring to give elasticity to the support, and the configuration is also fastened. Because the connection part of the lumbar spine is combined with steel wire and plastic, there was a problem of easily breaking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 material (stiffness: rigidity).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등받이가 착석자의 등 좌, 우측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의자등받이를 개선하고, 척추를 중심으로 의자 등받이를 구성하고, 그 하부에 요추받이를 형성하되, 상기 요추받이는 양쪽 엉덩이를 받쳐줄 수 있도록 개선하고, 결합이 용이하고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나아가 척추 교정도 가능하도록 의자등받이가 척추에 직선으로 접촉되어 움직이도록 함과 동시에 척추를 곧게 뻗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의자 등받이의 구조를 개선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chair for lumbar spine, more specifically, a pair of backrests provided in pairs to surround the seat left and right of the seated person. Improving the backrest of the chair, constituting the backrest of the chair around the spine, and forming a lumbar support in the lower part thereof, the lumbar support is improved to support both hips, and formed to facilitate coupling and elasticity, further It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hair back to maintain the spine straight while the chair back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pine so that the spine can be corrected.

본 고안은 통상의 좌판과 의자등받이를 구비하고, 의자등받이의 하단부에 요추받이를 구비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는 양측으로 2개로 형성하되 소형탄성요소(202)에 의하여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측부에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중간부에서 연결수단에 의하여 좌판과 결합되어 있으며, 요추받이의 형상은 위에서 수평방향으로 보아 오목하고, 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보아 일직선형상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며, 또한 의자등받이는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측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103)에 탄성요소(102)로 볼트(108)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성 전체가 일렬상으로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전체로 보아 타원형처럼 둥근형상을 하고 있으며,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등받이 외판(101)이 니은자(ㄴ)형으로 좌우측부에서 만곡부(111)가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 외판(101)의 각각 형상 중 척추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at back and a chair back, and the back of the chair back for lumbar support provided with a lumbar support at the lower end of the chair back, the lumbar support is formed by two on both sides, but small by a small elastic element 202 It is coupled by a bolt at the side of the middle stand 203, and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by the connecting means at the middle of the small middle stand 203, the shape of the lumbar support conc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above, the side The backrest chair backres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lin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hairback has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late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has a middle side stand ( It is coupled to the elastic element 102 by the bolt 108 to the 103,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 101 is both sides of the waist axis of the human body It i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ack of the back, and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hee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is rounded like an oval as a whole so as to support the back in a line.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axis), which is a horizontal surface on the seat surface,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has a needle-shaped (b) shape, and the curved portion 111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site relates to a backrest fo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aight line.

그리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중간부에서 등받이연결대(204)에 의하여 의자 지지대(400)에 볼트(204a)(204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이며, 상기 요추받이는 하단부에 니은자형상의 오목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And, the connecting means is a lumbar suppor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hair support 400 by the bolt support (204a) (204b) by the back support 204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mall intermediate frame (203) It is a backrest, and the lumbar support relates to a chair backrest for lum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has a needle-shaped recess 211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중간부에서 의자 지지대(401)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이며, 상기 요추받이는 하단부에 니은자형상의 오목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ans is a backrest chai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hair support 401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mall middle side stand 203, the lumbar support is a needle-shaped recess at the lower end ( 211) relates to a chair backrest for lum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중간가로대를 제외하고 양측으로 2개로 형성된 의자 등받이(201)에 각각 디긋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07)에 의하여 지지대(400)와는 체결공(207a)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며, 요추등받이(202)와는 체결공(207b)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이며, 상기 연결수단은 중간가로대를 제외하고 양측으로 2개로 형성된 의자 등받이(201)에 각각 유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17)에 의하여 지지대(402)와 체결공(217a)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며, 요추등받이(202)와는 체결공(217b)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ans is fastened by bolts by the fastening hole 207a with the support member 400 by elastic connecting members 207 each having a declination shape on the chair back 201 formed on two sides except for the middle side stand. And, lumbar backrest 202 and the lumbar support chai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s fastened with a bolt by a fastening hole (207b), the connecting means is a chair backrest 20 formed on two sides on both sides except the middle stand. Each of them is fastened by bolts by the support 402 and the fastening hole 217a by the elastic connecting rod 217 that is in the shape of a citron, and the lumbar backrest 202 is fastened by a bolt by the fastening holes 217b. It relates to a backrest chair for lumbar support.

더구나, 상기 의자등받이는 의자등받이(100)(100')의 일측에 척추받침부(12)가 등받이부(13)보다 상대적으로 튀어 나와 수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방부에는 평면으로 보아 등을 받칠 수 있는 둥근 형상으로 홈이 파져있으며, 측면으로 보아 상기 홈이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이며, 상기 의자등받이(100)(100')의 상하단에는 완만한 곡선형태의 꺽임부 (12a)(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hair back has a spinal column 12 on one side of the chair back (100, 100 ') is formed in a vertical linear shape relative to the back of the back portion 13, the middle portion is viewed in a plane, etc. The grooves are dug into a round shape to support the, and the groove is a backrest fo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vertically from the sid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hair backrest 100, 100 ' It relates to a lumbar support chair b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s (12a) (12b) are formed.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도 1a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듀얼백 타입으로 된 제1실시예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의 개략 평면도이다.Figure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dual back type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듀얼백 타입으로 된 제2실시예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2c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제2실시예의 의자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개략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dual back type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second application of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chair back of 2nd Example was formed integrally.

도 3a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추등받이의 변형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추등받이의 변형에 대한 개략 측면도이다.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odification of the lumbar backre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modification of the lumbar backre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제3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며, 도 4b는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제4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다.Figure 4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b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fourth embodimen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 및 요추받이와 중간가로대에 결합되는 고무탄성체의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elastomer coupled to the chair back and lumbar support and the middle side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고안은 의자등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측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외판(101)의 아래에 안락을 도모하는 요추를 받쳐주는 2개의 요추받이(201)가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103)에 탄성요소(102)로 볼트(108)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성 전체가 일렬상으로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전체로 보아 타원형처럼 둥근형상을 하고 있으며,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등받이 외판(101)이 니은자(ㄴ)형으로 좌우측부에서 만곡부(111)가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 외판(101)의 각각 형상 중 척추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탄성요소(102)는 의자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트에 의하여 의자등받이 중앙지점에서 상단이 고정되고, 의자등받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자등받이 중앙 하단지점에서 하단이 고정되며 중간가로대(103)의 가로이동고정용 장공과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며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back structure, wherein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late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wo lumbar supports 201 supporting the lumbar spine for comfort under the outer plate 101 are left and right. Is formed in,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is coupled to the middle rail 103 to the elastic element 102 by the bolt 108,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is the waist of the human body It i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shaft, and is rounded like an oval when viewed as a whole so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can support the back in a lin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When looking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axis), which is a horizontal plane on the surface of the seat,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has a needle-shaped (b) shape, and the curved portions 111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each shape of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pinal column The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elastic element 102 is a trapezoidal shape for fixing the chair back, the top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chair back by bolts, and the lower back of the chair back to prevent the chair back from sagging. At the bottom is fixed and fix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fixing holes and bolts of the middle side stand 103, the width can be adjusted.

상기 미설명 부호 301은 좌판에 연결된 지지대의 연결부로서, 세로로 형성된 장공(302)을 형성함과 동시에 체결되는 볼트(303)에 의하여 결합되는 중간가로대(10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reference numeral 301 is a connection portion of the support connected to the seat plat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iddle side stand 103 coupled by the bolt 303 is fastened at the same time to form a long hole 302 formed vertically.

그리고, 상기 2개의 요추받이(201)는 소형탄성요소(202)에 의하여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측부에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중간부에서 등받이 연결대(204)에 의하여 의자 지지대(400) 또는 중간가로대(103)의 하단과 전후방에서 볼트(204a)(204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wo lumbar support 201 is coupled by a bolt at the side of the small intermediate frame 203 by the small elastic element 202, the back support 204 in the middle of the small intermediate frame 203 ) Is coupled by bolts 204a and 204b at the bottom and front and rear of the chair support 400 or the middle side stand 103.

여기서, 탄성요소(102)는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무탄성체로 불리우며, 미설명부호 고무탄성체(7)의 101a 및 101a'는 등판결착부, 102a는 등판지지대결착부, 103a 및 103a'는 탄성부, 107 및 107'는 보강용힘살돌부이다.Here, the elastic element 102 is referred to as a rubber elastic body, as shown in Figure 5, 101a and 101a 'of the unexplained rubber elastomer (7) is a back binding portion, 102a is a back support binding portion, 103a and 103a' The elastic portions 107 and 107 'are reinforcing force rib portions.

상기 고무탄성체(7)는 본 고안자가 선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다.The rubber elastic body 7 has been registered by the present inventors in advance.

또한 요추받이(201)에 부착되는 소형탄성요소(202)는 상기 고무탄성체(107)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되, 그 크기를 소형으로 하여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mall elastic element 202 attached to the lumbar support 201 takes the same shape as the rubber elastic body 107, but is connected in a small size.

더구나, 2개의 요추받이(201)의 형상은 각각 인체의 엉덩이 양측면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오목하고,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엉덩이 및 요추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소형탄성요소(202)는 요추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트에 의하여 소형중간가로대(203)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wo lumbar support 201 respectively surrounds both sides of the hip of the human body, and is concav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and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 axis) which is horizontal to the seat surface. As shown in FIG. 3, the parts contacting the hip and lumbar region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small elastic element 202 is trapezoidal by a conventional fixing means to fix the lumbar support by the bolt to the small middle cross member 203. It is connected.

다음은 제2실시예로서, 도2a,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같이 의자등받이(101)의 하단에 요추받이(202)가 각각 소형탄성요소(202)에 의하여 소형중간가로대(203)에 형성하되, 소형중간가로대(203)에 별도로 의자의 좌판과 연결되는 지지대(401)를 형성하고 체결볼트공(203a)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구성이다.Next, as a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lumbar support 202 at the lower end of the chair back 101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is respectively formed by the small elastic elements 202. It is formed in, but is formed on the small middle side stand 203 to form a support 401 connected to the seat plate of the chair separately and fastened with bolts by the fastening bolt hole (203a).

또한, 2개의 요추받이(201)의 형상은 각각 인체의 엉덩이 양측면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오목하고,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엉덩이 및 요추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소형탄성요소(202)는 요추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트에 의하여 소형중간가로대(203)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wo lumbar support 201 respectively surrounds both sides of the hip of the human body, and is concav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and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 axis) which is horizontal to the seat surface. As shown in FIG. 3, the parts contacting the hip and lumbar region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small elastic element 202 is trapezoidal by a conventional fixing means to fix the lumbar support by the bolt to the small middle cross member 203. It is connected.

이에 따라, 요추받이(202)가 뒤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에 지지대(401)는 탄 성을 갖고 있으므로, 의자등받이(101)와는 별도로 작용되어 별도의 안락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lumbar support 202 is subjected to the back force, the support 401 has elasticity, so that the support 401 is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chair back 101 so as to feel a separate comfort.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요추받이 구조가 적용된 제2실시예의 의자등받이(121)가 일체로 형성된 개략 사시도이며, 상기 의자등받이(121)의 하부에는 요추받이를 수용할 수 있는 하부공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구조는 상기 실시예2와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c, the chair back 121 of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the lower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lumbar support in the lower part of the chair back 121 It is preferable to have, and the other structure can take the same structure as in Example 2.

상기와 같은 실시예2외에도 의자등받이 구조는 다음의 실시예3, 4에도 설계상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hair back structure may be applicabl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3 and 4 by design.

다음은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추등받이의 변형에 대한 고안으로서, 도 3a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추등받이의 변형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추등받이의 변형에 대한 개략 측면도이다.The following is a design for the modification of the lumbar backre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deformation of the lumbar backre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lumbar backre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variation of.

상기 도 3a,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추등받이(201)의 하단에는 니은자형 오목부(211)가 형성되어 몸을 뒤로 재켰을 경우에 양쪽 엉덩이를 위로 받쳐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안락감이 한층 더한 것이다.3A and 3B, the lower end of the lumbar backrest 201 has a needle-shaped recess 211 formed thereon to support both hips up when the body is back, and the comfort is further increased. will be.

다른 구조는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the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은 제3실시예로서, 도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같이 의자 등받이(101)의 하단에 요추받이(202)가 각각 디긋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07)에 의하여 지지대(400)와는 체결공(207a)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며, 요추등받이(202)와는 체결공(207b)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게 된다.Next, as a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4A, the lumbar support 202 at the lower end of the chair back 101 as shown in FIG. 4A is supported by an elastic connector 207 each having a deflected shape. ) Is fastened by bolts by fastening holes 207a, and lumbar backrest 202 is fastened by bolts by fastening holes 207b.

또한, 2개의 요추받이(201)의 형상은 각각 인체의 엉덩이 양측면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오목하고,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엉덩이 및 요추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요추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고정수단인 볼트 등에 의하여 직접 연결대와 요추받이나 지지대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wo lumbar support 201 respectively surrounds both sides of the hip of the human body, and is concav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and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 axis) which is horizontal to the seat surface. ), The parts in contact with the hip and lumbar region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d the lumbar support or the support by bolts, etc., to fix the lumbar support.

이에 따라, 요추받이(202)가 뒤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에 지지대(400)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안락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lumbar support 202 is forced back, the support 400 has elasticity and thus feels comfortable.

여기서, 상기 2개의 요추받이(201)는 도시는 되지 않았으나, 체결시에 상기 소형탄성요소(202)를 디긋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07)와 요추받이 사이에 끼워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two lumbar support 201 may be configured by fitting the small elastic element 202 between the elastic connecting rod 207 and the lumbar support in a zigzag shape at the time of fastening.

다음은 제4실시예로서, 도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같이 의자 등받이(101)의 하단에 요추받이(202)가 각각 유(영문 U)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17)에 의하여 지지대(400)와는 별도로 형성된 지지대(402)와 체결공(217a)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며, 요추등받이(202)와는 체결공(217b)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게 된다.Next, as a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4B, the lumbar support 202 at the lower end of the chair back 101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i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elastic connecting rod 217 having a U shape. It is fastened by the bolt by the support 402 and the fastening hole 217a form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400, and the lumbar backrest 202 is fastened by the bolt by the fastening hole 217b.

또한, 2개의 요추받이(201)의 형상은 각각 인체의 엉덩이 양측면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오목하고,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엉덩이 및 요추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요추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고정수단인 볼트 등에 의하여 직접 연결대와 요추받이나 지지대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wo lumbar support 201 respectively surrounds both sides of the hip of the human body, and is concav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and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 axis) which is horizontal to the seat surface. ), The parts in contact with the hip and lumbar region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d the lumbar support or the support by bolts, etc., to fix the lumbar support.

이에 따라, 요추받이(202)가 뒤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에 지지대(400)는 탄 성을 갖고 있으므로, 의자등받이(101)와는 별도로 작용되어 별도의 안락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lumbar support 202 is subjected to the back force, the support 400 has elasticity, so that the supporter 400 is acted separately from the chair back 101 to feel a separate comfort.

여기서, 상기 2개의 요추받이(201)는 도시는 되지 않았으나, 체결시에 상기 소형탄성요소(202)를 유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17)와 요추받이 사이에 끼워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two lumbar support 201 may be configured by fitting the small elastic element 202 between the elastic connecting rod 217 and the lumbar support in the form of a U-shape at the time of fastening.

상기와 같은 요추받이는 실시예로서 도시한 듀얼백 스타일의 등받이에만 적용되지 아니하고, 1개로 형성된 등받이 구조에도 적용됨은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 것이다.The lumbar support as described above is not applicable only to the back of the dual back style shown as an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also applied to the backrest structure formed of one.

더구나, 이러한 작용효과는 엉덩이 부위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별개의 연결대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요추받이가 뒤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에 연결대의 탄성에 의하여 안락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Moreover, since this action is connected to a separate connection so as to contact the hip area,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on is felt when the lumbar support is forced backward.

다음은 상기 등받이(1)의 구조가 척추를 곧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Next, the structure of the backrest 1 may be formed in the following structure to straighten the spine.

즉, 도 6a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6b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3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That is, Figure 6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wo embodiments of the chair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ree embodiments of the chair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제2, 3실시예에 따라 초기 착석시의 의자등받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b는 본원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제2, 3실시예에 따라 착석 후의 의자 등받이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hair back at the time of initial seating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chair back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seat after the seat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backrest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arrangement state of a chair back.

여기서, 의자등받이의 제2, 3실시예의 의자등받이(100)(100')의 구조는 도 6a,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에는 척추받침부(12)가 등받이부(13)보다 상대적으 로 튀어 나와 있고, 그 중방부에는 평면으로 보아 등을 받칠 수 있는 둥근 형상으로 홈이 파져있고, 측면으로 보아 수직선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좌우측 등의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의자등받이(100)(100')의 상하단에는 완만한 곡선형태의 꺽임부(12a)(12b)가 형성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structure of the chair backs 100 and 100 ′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back of the chair revolves relatively to the back of the back 12 than the back 13. The groove is formed in a round shape that can support the back in the middle, and the groove is formed in a vertical l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accommodate the left and right parts, and the chair back 10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100 'are formed with gentle curved portions 12a and 12b.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의자등받이의 제2, 3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chair back of the subject innov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석자가 의자에 착석시 돌출된 좌우 등받이(100)(100')의 내측에 착석자의 등이 최초로 닿게 된다.As shown in FIG. 7A,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first touches the inside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s 100 and 100 ′ protruding when the seated person is seated on the chair.

상기와 같이 착석자의 등이 상기 좌우 등받이(100)(100')의 내측과 닿게 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 등받이(100)(100')의 내측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좌우 등받이(100)(100')의 외측은 전방으로 밀려 나옴으로써 착석자의 체형에 맞도록 좌우 등받이(100)(100')이 움직임으로써 착석자의 척추 및 등을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seated person's back touches the inn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s 100 and 100 ', the inn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s 100 and 100' is pushed backward and the left and right backrests 100 and 100 '. The outer side of the) is pushed forward to support the vertebrae and back of the seat by moving the left and right back (100, 100 ') to fit the body of the seat.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착석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석자가 좌우 등받이(100)(100')에 등을 밀착 시키면 돌출된 좌우 등받이(100)(100')의 내측은 후방으로 밀려나고, 상기 좌우 등받이(100)(100')의 외측은 전방부로 돌출되어 상기 착석자의 신체구조에 맞도록 좌우 등받이(100)(100')이 움직임으로써 착석자에게 안락하고 편안함을 줄 뿐만 아니라 척추를 보호 할 수 있다.Figure 7b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se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100, 100 ') protruding when the seated pers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to the left and right backrest (100, 100') The inner side is pushed to the rear, and the out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100, 100 'protrudes to the front part so that the left and right backrest 100, 100' is moved to fit the body structure of the seated person. It can also protect the spine.

미설명부호 20, 20'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특허 2005-1974호에 나타난 상기 좌우 등받이(100)(100')가 상기 체결지지대에 연결되는 고무탄성편의 보호카바이 다.Reference numeral 20, 20 'is a protective carbide of a rubber elastic piece that the left and right backrest 100, 100' shown in the patent 2005-1974 developed by the applicant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support.

따라서, 본 고안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등받이가 착석자의 등 좌, 우측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의자등받이를 개선하고, 척추를 중심으로 의자 등받이를 구성하고, 그 하부에 요추받이를 형성하되, 상기 요추받이는 2개로 형성하여 인체의 엉덩이 부분을 받치도록 하여 안락감을 추구할 수 있으며, 지지대나 탄성요소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편안함을 제공하며, 나아가 척추 교정도 가능하도록 의자등받이가 척추에 직선으로 접촉되어 움직이도록 함과 동시에 척추를 곧게 뻗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hair back to the back seat is provided in a pair to surround the seat, left, right part of the seat, and to form a chair back around the spine, and to form a lumbar support in the lower part, the lumbar spine The backrest is formed in two to support the hip part of the human body to seek comfort, and the support or elastic element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to provide comfort, and furthermore, the chair back is straight to the spine so that the spine can be corrected.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spine straight.

더구나, 기존의 요추받이는 요추부위를 밀어주는 구조로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은 요추부위도 의자의 등받이처럼 감싸주면서 밀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Moreover, the existing lumbar suppor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pushes the lumbar reg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ffective to push the lumbar region while wrapping like the back of the chair.

Claims (8)

통상의 좌판과 의자등받이를 구비하고, 의자등받이의 하단부에 요추받이를 구비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는 양측으로 2개로 형성하되 소형탄성요소(202)에 의하여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측부에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중간부에서 연결수단에 의하여 좌판과 결합되어 있으며, 요추받이의 형상은 위에서 수평방향으로 보아 오목하고, 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보아 일직선형상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In the back of the chair for back lumbar having a seat back and a chair back, and having a lumbar support at the lower end of the chair back, the lumbar support is formed in two on both sides, but is made of a small intermediate frame stand by the small elastic element 202 ( 203 is coupled by a bolt on the side, and in the middle of the small middle rail 203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by connecting means, the shape of the lumbar support conc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above, and vertical in the side Backrest fo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shape 제1항에 있어서, 의자등받이는 두개의 등받이 외판(101)이 서로 측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 외판(101)은 중간가로대(103)에 탄성요소(102)로 볼트(108)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2개의 등받이 외판(101)의 구성 전체가 일렬상으로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전체로 보아 타원형처럼 둥근형상을 하고 있으며,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등받이 외판(101)이 니은자(ㄴ)형으로 좌우측부에서 만곡부(111)가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 외판(101)의 각각 형상 중 척추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According to claim 1, the chair backrest has two backrest outer plates (101) late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backrest outer plates (101) are supported by bolts (108) with elastic elements (102) on the intermediate crosspiece (103). Combine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 101 i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waist axis of the human body,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two backrest outer plate 101 ) The whole structure of the) is rounded like an oval shape as a whole so as to support the back in a line, and when viewed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Y axis), which is a horizontal plane on the sheet surface, the back plate 101 is in the shape of a needle The curved portion 111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portions of the backrest outer plate 101 that contact the spinal column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backrest chair fo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중간부에서 등받이 연결대(204)에 의하여 의자 지지대(400)에 볼트(204a)(204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3. The connec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s coupled to the chair support 400 by bolts 204a and 204b by a backrest connecting rod 204 at the middle of the small middle rail stand 203. Backrest fo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는 하단부에 니은자형상의 오목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The lumbar support chair bac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umbar support has a needle-shaped recess 211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소형중간가로대(203)의 중간부에서 의자 지지대(401)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The backrest chai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s coupled by a chair support 401 at a middle portion of the small middle bench 20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는 하단부에 니은자형상의 오목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The lumbar support chair backres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umbar support has a needle-shaped recess 211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중간가로대를 대신하여 양측으로 2개로 형성된 의자 등받이(201)에 각각 디긋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07)에 의하여 지지대(400)와는 체결공(207a)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며, 요추등받이(202)와는 체결공(207b)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connecting means is fastened with the support 400 by the elastic connecting rod 207 each of the chair back (201) formed in two chairs 201 formed on both sides in place of the middle rail (207a) is fastened with bolts, lumbar support chai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and the backrest 202 is fastened with bolts by fastening holes (207b)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중간가로대를 대신하여 양측으로 2개로 형성된 의자 등받이(201)에 각각 유자형상으로 된 탄성연결대(217)에 의하여 지지대(402)와 체결공(217a)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며, 요추등받이(202)와는 체결공(217b)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connecting means is supported by the support 402 and the fastening hole (217) by the elastic connecting rod 217 respectively in the chair back 201 formed in two sides in place of the middle side stand 217a) is fastened by bolts, lumbar backrest 202 and lumbar support chair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s fastened by bolts by fastening holes (217b)
KR2020060011371U 2006-04-27 2006-04-27 Backplate for chair KR20042212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71U KR200422122Y1 (en) 2006-04-27 2006-04-27 Backplate for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71U KR200422122Y1 (en) 2006-04-27 2006-04-27 Backplate for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122Y1 true KR200422122Y1 (en) 2006-07-24

Family

ID=4177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71U KR200422122Y1 (en) 2006-04-27 2006-04-27 Backplate for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122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83B1 (en) * 2006-05-17 2007-08-21 철 김 Chair
KR102460662B1 (en) 2021-12-17 2022-10-31 주식회사 린백 Split-variable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back chairs
KR102506195B1 (en)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506194B1 (en)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574254B1 (en) 2022-10-12 2023-09-06 김소연 Backrest frame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elastic three-dimensional support structu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83B1 (en) * 2006-05-17 2007-08-21 철 김 Chair
KR102460662B1 (en) 2021-12-17 2022-10-31 주식회사 린백 Split-variable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back chairs
KR102506195B1 (en)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506194B1 (en)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574254B1 (en) 2022-10-12 2023-09-06 김소연 Backrest frame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elastic three-dimensional suppor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WO2014061299A1 (en) Chair
KR200422122Y1 (en) Backplate for chair
JP2007151582A (en) Body supporting plate and chair
CN112826263B (en) Chair structure
KR100772167B1 (en) A chair having backrest
KR102506194B1 (en)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138836B1 (en)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JP6140419B2 (en) Lumber support and chair
KR200423685Y1 (en) Backplate for chair
KR200385449Y1 (en) Backplate for chair
KR200428245Y1 (en) Waist supporter for chair
JP6078290B2 (en) Chair
KR200431249Y1 (en) Backplate for chair
JP6410886B2 (en) Chair back support component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KR200401558Y1 (en) Backplate for chair
KR100734166B1 (en) A changeable chair
KR102506195B1 (en)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200423242Y1 (en) Structure of backplate for chair
KR20080000846U (en) Backplate for chair
JP2012143634A (en) Human body support plate and chair
JP6169835B2 (en) Chair
KR102574254B1 (en) Backrest frame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elastic three-dimensional support structure
KR200375178Y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duo-back on chair
KR102588833B1 (en) Functional seat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