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145U -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145U
KR20080000145U KR2020080000576U KR20080000576U KR20080000145U KR 20080000145 U KR20080000145 U KR 20080000145U KR 2020080000576 U KR2020080000576 U KR 2020080000576U KR 20080000576 U KR20080000576 U KR 20080000576U KR 20080000145 U KR20080000145 U KR 200800001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formwork
aluminum
formwork
nu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국
Original Assignee
김흥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국 filed Critical 김흥국
Priority to KR2020080000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145U/ko
Publication of KR20080000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4Cores for anchor holes or the like around anchors embedded in the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위 아래층을 구분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시 설계된 배관 계획도에 따라 건물 내부에 각종 급, 배수관 및 전선관들을 배관 설치함에 있어, 급, 배수관 및 전선관 등 각종 관들을 위 아래층으로 관통 배관하기 위한 관통구멍 성형용 틀체를 슬라브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폼(이하 알루미늄 거푸집이라 한다)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또한 슬라브 아래로 수평 배관되는 관들을 잡아주기 위한 앵커의 체결 너트와 너트 홀더를 콘트리트 슬라브에 매립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관한 것인바,
배관 관통구멍 성형용 틀체 및 너트 매설용 고정구(1)를 알루미늄 거푸집(6)에 조립 고정함에 있어,
알루미늄 거푸집(6)의 두께에 해당하는 요입 단턱(4)이 형성되고, 그 아래로 점차 하향 경사지는 둥근 외면을 가지면서 소정 폭의 절개부(5)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한 탄력 걸림구(3)(3)가 고정구 본체(2)의 하단에 일체로 연설되어 알루미늄 거푸집(6)에 천공시킨 삽입공(6a)에 끼워 고정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 고정구{FLEXIBLE FIXTURE WITH ASSEMBLING STRUCTURE INSERTED AND FIXED IN ALUMINUM CAST}
본 고안은 건물의 위 아래층을 구분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시 설계된 배관 계획도에 따라 건물 내부에 각종 급, 배수관 및 전선관들을 배관 설치함에 있어, 급, 배수관 및 전선관 등 각종 관들을 위 아래층으로 관통 배관하기 위한 관통구멍 성형용 틀체를 슬라브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폼(이하 알루미늄 거푸집이라 한다)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또한 슬라브 아래로 수평 배관되는 관들을 잡아주기 위한 앵커의 체결 너트와 너트 홀더를 콘트리트 슬라브에 매립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천공시킨 관통구멍에 끼워 고정시키는 탄성 고정구에 관한 것이며, 상기 탄성 고정구가 조립 고정된 알루미늄 거푸집은 그 상태 그대로 다른 장소로 이동되어 다른 층 슬라브 시공을 위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면서, 알루미늄 거푸집에 일단 설치 고정된 탄성 고정구는 추후 재 고정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여 작업의 신속 간편성 부여와 함께 경제적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시 목재 거푸집을 사용했던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때 슬라브에 급, 배수관 및 전선관 등 각종 관을 관통 배관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성형함에 있어서는 관통구멍 성형용 틀체 또는 앵커용 체결 너트 매설용구를 목재 거푸집에 못을 박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킨 뒤 거푸집을 제거하여 슬라브에 관통구멍이 성형되게 하거나 앵커용 체결 너트가 매설되게 하였던 것인데, 이때 못을 박거나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켰던 고정부위가 상당히 취약하여 목재 거푸집 제거시의 충격으로 성형 틀체 또는 너트 매설용구의 못이나 나사가 쉽게 빠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잦았던 것이어서 재사용이 어려웠으며, 이 경우 일일이 못을 박거나 나사를 체결해 가며 다시 설치 고정시켜야 하는 추가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수반되었고, 목재 거푸집은 그 무게 또한 대단히 무거워서 이를 취급함에 있어 힘도 많이 들었고, 사용수명 또한 매우 짧아 비효율적이며 비경제적인 결점이 수반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는 목재 거푸집을 사용하는 대신 사용수명이 길고 가벼워서 그 취급이 간편한 알루미늄 거푸집(알루미늄 폼)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였으나, 이는 알루미늄 거푸집에 관통구멍 성형을 위한 틀체 또는 앵커용 체결 너트 매설용구를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조립구조의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고 단순히 못을 박거나 나사로 체결 고정하는 실정이었던 바, 목재 거푸집의 경우보다 오히려 그 고정상태가 취약한 것이어서 실용적으로 보완 개선된 조립구조의 등장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탄성 고정구(1)의 고정구 본체(2)하단에 일체화로 하향 연설된 탄력 걸림구(3)(3)를 알루미늄 거푸집(6)에 그 위치를 정해 미리 천공시킨 삽입공(6a)에 끼워 조립하는 간단한 작업만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이때 고정구(1)의 요입 단턱(4)에는 알루미늄 거푸집(6)이 끼워진 상태에서 탄력 걸림구(3)(3)에 의해 견고히 걸려 물리게 되면서 콘크리트 경화 후 알루미늄 거푸집(6)을 탈형시킬 때 발생하는 어떠한 충격에도 알루미늄 거푸집(6)에서 빠지지 않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못 박기 또는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탄성 고정구(1)를 조립하던 기존의 체결구조에 비해 그 조립작업을 매우 단순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일단 탄성 고정구(1)가 조립 고정된 상태로 탈형 된 알루미늄 거푸집(6)을 그 상태 그대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다른 층 슬라브(S) 시공을 위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알루미늄 거푸집(6)에 일단 설치 고정된 탄성 고정구(1)는 추후 재 고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작업의 신속 간편성 부여와 함께 상당한 경제적 절감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거푸집과 고정구의 조립구조에서 개선되어야 할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어, 못 박기 및 나사체결 등 비효율적인 조립구조와 그에 따른 번거로운 작업공정에서 벗어나 새롭게 개발 고안된 탄성 고정구의 탄력 걸림편을 이용한 조립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배관 관통구멍 성형 틀체의 위치 고정과 앵커용 체결 너트 매설용구의 고정 작업 등을 간편하고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게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구성 요부를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 도 3 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관 관통구멍 성형용 틀체 및 너트 매설용 고정구(1)를 알루미늄 거푸집(6)에 조립 고정함에 있어,
알루미늄 거푸집(6)의 두께에 해당하는 요입 단턱(4)이 형성되고, 그 아래로 점차 하향 경사지는 둥근 외면을 가지면서 소정 폭의 절개부(5)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한 탄력 걸림구(3)(3)가 고정구 본체(2)의 하단에 일체로 연설되어 알루미늄 거푸집(6)에 천공시킨 삽입공(6a)에 끼워 고정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 고정구 이다.
첨부도면 중 미 설명부호 2a는 슬라브 관통구멍 성형을 위한 틀체 설치용 고정구 본체(2)에 요입 형성된 전산 볼트 체결용 나선 홀을 나타내는 것이며, 2b는 체결 너트와 너트 홀더를 매립하기 위해 고정구 본체(2)에 돌출 형성된 너트 홀더 삽입봉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7은 전산 볼트, 8은 나비너트, 9는 체결 너트, 10은 너트 홀더, 11은 성형 틀체, A는 앵커, P는 관, S는 슬라브의 부호를 각기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관 배관용 관통구멍 형성을 위한 실시 예 1의 조립상태를 첨부도면 도 2와 도 3에 의거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지는 둥근 외면을 가지면서 소정 폭의 절개부(5)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한 탄력 걸림구(3)(3)을 알루미늄 거푸집(6)에 천공시킨 삽입공(6a)에 대고 가압하면 양측 탄력 걸림구(3)(3)가 절개부 (5)의 공간을 좁히면서 안쪽으로 모아져 눌리면서 점차 하강 진행하게 되고, 계속 가압되어 고정구 본체(2)의 저면이 알루미늄 거푸집(6)에 닿게 되면서 요입 단턱(4)에 알루미늄 거푸집(6)의 삽입공(6a) 단면이 끼워지는 동시에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벌어지는 탄력 걸림구(3)(3)의 상단 턱이 거푸집(6)의 저면에 걸리면서 탄성 고정구(1)는 알루미늄 거푸집(6)에 완전 조립되면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3에서와 같이 고정구 본체(2)의 나선 홀(2a)에 전산 볼트(7)를 수직으로 체결하고, 성형 틀체(11)를 설치한 뒤 나비너트(8)를 채워 이를 고정한 다음 알루미늄 거푸집(6)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기간 경화시킨 뒤 나비너트(8)를 풀어 전산 볼트(7)를 탄성 고정구(1)에서 이탈시킨 다음 성형 틀체(11)와 알루미늄 거푸집(6)을 탈형하게 되면 콘크리트 슬라브(S)에는 관(P) 배관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을 통해 위 아래층으로 관(P)들이 배관 설치되는 것이다.
도 4에 의거 본 고안의 앵커 조립용 너트와 너트 홀더 매설을 위한 실시 예 2의 조립상태를 첨부 도면 도 5와 도 6에 의거 설명한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지는 둥근 외면을 가지면서 소정 폭의 절개부(5)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한 탄력 걸림구(3)(3)를 알루미늄 거푸집(6)에 천공시킨 삽입공(6a)에 대고 가압하면 양측 탄력 걸림구(3)(3)가 절개부(5)의 공간을 좁히면서 안쪽으로 모아져 눌리면서 점차 하강 진행하게 되고, 계속 가압되어 고정구 본체(2)의 저면이 알루미늄 거푸집(6)에 닿게 되면서 요입 단턱(4)에 알 루미늄 거푸집(6)의 삽입공(6a) 단면이 끼워지는 동시에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벌어지는 탄력 걸림구(3)(3)의 상단 턱이 거푸집(6)의 저면에 걸리면서 탄성 고정구(1)는 알루미늄 거푸집(6)에 완전 조립되면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립과정은 실시 예 1의 도 2에서 확인되는 조립과정과 동일한 것이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탄성 고정구 본체(2)의 홀더 삽입봉(2b)에 너트 홀더(10)를 끼워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한 다음 알루미늄 거푸집(6)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기간 경화시킨 뒤 알루미늄 거푸집(6)을 탈형하게 되면 거푸집(6)과 함께 탄성 고정구(1)가 콘크리트 슬라브(S)에서 빠져나오면서 너트(9)와 너트 홀더(10)만이 슬라브(S)에 매설되고, 도 7에서와 같이 매설된 너트(9)에 앵커(전산볼트)(A)를 결합하여 수평 배관된 관들을 붙잡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그 실시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2)의 외주 형상을 필요에 따라 육각, 팔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제작이 가능한 것이며, 이를 일정한 한 가지 형상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사시도.
도 5-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조립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7- 본 고안에서 앵커를 사용한 수평 배관 고정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탄성 고정구 2- 고정구 본체 2a- 나선 홀
2b- 홀더 삽입봉 3- 탄력 걸림구 4- 요입 단턱
5- 절개부 6- 알루미늄 거푸집 6a- 삽입공

Claims (1)

  1. 배관 관통구멍 성형용 틀체 및 너트 매설용 고정구(1)를 알루미늄 거푸집(6)에 조립 고정함에 있어,
    알루미늄 거푸집(6)의 두께에 해당하는 요입 단턱(4)이 형성되고, 그 아래로 점차 하향 경사지는 둥근 외면을 가지면서 소정 폭의 절개부(5)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한 탄력 걸림구(3)(3)가 고정구 본체(2)의 하단에 일체로 연설되어 알루미늄 거푸집(6)에 천공시킨 삽입공(6a)에 끼워 고정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 고정구.
KR2020080000576U 2008-01-15 2008-01-15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KR200800001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576U KR20080000145U (ko) 2008-01-15 2008-01-15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576U KR20080000145U (ko) 2008-01-15 2008-01-15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45U true KR20080000145U (ko) 2008-02-05

Family

ID=4132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576U KR20080000145U (ko) 2008-01-15 2008-01-15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14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65B1 (ko) * 2009-03-12 2011-04-04 (주)진성테크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WO2019050190A1 (ko) * 2017-09-11 2019-03-14 이상식 광 송수신 장치
WO2019139242A1 (ko) * 2018-01-09 2019-07-18 (주)옵토마인드 광송수신용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65B1 (ko) * 2009-03-12 2011-04-04 (주)진성테크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WO2019050190A1 (ko) * 2017-09-11 2019-03-14 이상식 광 송수신 장치
WO2019139242A1 (ko) * 2018-01-09 2019-07-18 (주)옵토마인드 광송수신용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광송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2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20100001615U (ko)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KR20080000145U (ko)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JP2006016952A (ja) アンカーとその仮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仮固定構造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100920933B1 (ko) 조립식 내외장재
KR200442013Y1 (ko)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JP5500560B2 (ja) 転倒防止治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131166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JP6081843B2 (ja) 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CN108547447B (zh) 一种边模固定装置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KR101079781B1 (ko) 트러스 거더용 스페이서 결합구조
KR200459900Y1 (ko)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200399282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0720953B1 (ko) 에이엘씨 스톤패널
KR200340336Y1 (ko) 인서트용 고정구
KR100899537B1 (ko)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