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093A -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및 그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및 그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093A
KR20080000093A KR1020060057366A KR20060057366A KR20080000093A KR 20080000093 A KR20080000093 A KR 20080000093A KR 1020060057366 A KR1020060057366 A KR 1020060057366A KR 20060057366 A KR20060057366 A KR 20060057366A KR 20080000093 A KR20080000093 A KR 20080000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all
access gateway
idle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규
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5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093A/ko
Publication of KR2008000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통신망에서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을 시험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시험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은 특정 시험번호를 이용한 시험 호 착신시 상기 시험번호의 가입자 국번을 수용하는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유휴 전화 단말을 찾아낸 후 상기 유휴 전화 단말로의 시험 호 설정을 제어하며, 상기 시험 호 연결 완료시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소프트스위치; 발신 전화 단말로부터 상기 시험번호를 수집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로 전달하는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휴 전화 단말에 대한 시험 호 연결을 수행하고 시험 호 연결시 상기 시험톤 송출 지시에 따라 기 설정된 시험톤을 상기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 송출하는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신규 가입자 개통 시 정상개통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며 하나의 시험번호만을 이용하여 동일한 국번을 수용하는 다수의 엑세스게이트웨이들에 대한 소통기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및 그 시험 방법{SUBSCRIBER TELEPHONE CALL CONNECTION TEST SYSTEM AND METHODS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소프트스위치 및 엑세스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통신망에서의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odify 메시지 형식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프트스위치 110 : 프로토콜 처리부
130 : 호 제어부 150 : 시험 기능부
210, 220 : 엑세스게이트웨이 211, 221 : 프로토콜 처리부
213, 223 : 호 처리부 215, 225 : 톤 처리부
본 발명은 광대역통신망(BcN)에서 가입자 호 소통기능을 시험하는 시스템 및 그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대역통신망에서 엑세스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신규 설치되는 전화 단말에 대한 개통시험 또는 엑세스게이트웨이 간의 호 소통 상태를 자동으로 시험하여 광대역통신망 및 서비스제공 장비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및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통신망은 고속의 매우 높은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일종의 컴퓨터 통신망이며 다양한 장비를 통해 넓은 지역을 연결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광대역통신망은 전화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프트스위치와 각종 게이트웨이를 사용한다. 소프트스위치는 광대역통신망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신 및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실제 호 세션의 설정에 필요한 단말의 상태 데이터 등을 포함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엑세스게이트웨이는 가입자 단말(전화단말)과 직접 연결되어 가입자에게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광대역통신망에서는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전화가설 완료 후의 호 소통 시험기능을 기존 공중전화교환망에서와 같이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기존 공중전화교환망에서의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전화가설 완료 후의 개통시험은 다음과 같다. 선로 및 전화가설작업이 끝나고 교환기에 가입자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가설요원은 신설된 전화단말에서 특수 목적으로 지정된 시험번호(가입자 국번 + 4299)를 가입자 댁내에서 호출한다. 가입자의 선로가 정상적으로 연 결되고 교환기에 해당 가입자에 대한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 교환기는 발신 전화단말에 특정 톤을 발생시킨다. 가설요원은 톤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게 되면 개통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시험 기능 및 톤 발생을 위하여 교환기에서는 전화 호 소통 시험을 위한 부가적인 시험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광대역통신망에서도 이러한 호 소통 시험기능이 요구되나 기술적인 문제로 인하여 아직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대역통신망장비의 경우 공중전화교환망의 교환기와 달리 호 제어 및 음성통화 제공기능이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즉, 소프트스위치는 중앙집중적으로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엑세스게이트웨이는 지역별로 나뉘어져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소규모의 수많은 엑세스게이트웨이가 설치될 광대역통신망에서 시험자에게 시험 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엑세스게이트웨이에 특별한 부가적 시험장치 없이 톤을 제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벤더들이 제작한 엑세스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시험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호 처리 절차를 유지하며 프로토콜의 변경없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엑세스게이트웨이의 경우 동일한 국번을 가진 가입자가 하나 이상의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국번에 대한 엑세스게이트웨이의 운용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동일 국번의 엑세스게이트웨이를 모두 시험하여야 한다. 이때 시험자는 시험번호의 추가 없이 국번과 기존의 시험번호(4299) 만을 그대로 사용하여 모든 엑세스게이트웨이를 시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엑세스게이트웨이에 별도의 시험장비의 도입없이 유휴 상태의 착신 전화 단말(일반전화 가입자)을 이용하여 착신벨 울림 없이 시험 호를 호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시험번호만으로 동일 국번의 다수 엑세스게이트웨이들을 모두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은 특정 시험번호를 이용한 시험 호 착신시 상기 시험번호의 가입자 국번을 수용하는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유휴 전화 단말을 찾아낸 후 상기 유휴 전화 단말로의 시험 호 설정을 제어하며, 상기 시험 호 연결 완료시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소프트스위치; 발신 전화 단말로부터 상기 시험번호를 수집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로 전달하는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휴 전화 단말에 대한 시험 호 연결을 수행하고 시험 호 연결시 상기 시험톤 송출 지시에 따라 기 설정된 시험톤을 상기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 송출하는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은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부터 호 연결 요청 수신시, 요청된 호가 시험 호 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연결 요청된 호가 시험 호인 경우, 시험 대상 착신 엑세 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유휴 전화 단말을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유휴 단말과의 시험 호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 호 연결 완료시, 상기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게 상기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의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광대역통신망 시스템은 소프트 스위치(100),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 및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를 구비한다.
소프트 스위치(100)는 광대역통신망에서 착/발신 번호에 대한 정보 및 전화 단말들(11, 12)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해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 등 호 세션의 설정에 필요한 장비들을 제어함으로써 광대역통신망에서의 호 연결 및 호 복구 등 호 설정을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프로토콜 메시지의 프로토콜로는 H.323,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및 MEGACO(Media Gateway Contr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된다. 특히 소프트 스위치(100)는 요청된 호가 일반 호 인지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시험 호 인지를 구분하여 시험 호인 경우 시험 호가 착신될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를 선택한 후 선택된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 내에서 유휴 상태에 있는 임의의 전화 단말(12)을 지정하여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게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전화 단말(12)로의 착신 호 설정을 지시한다. 이러한 호 시험을 위한 착신 호 설정시, 소프트 스위치(100)는 착신 측 전화 단말(12)에서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게 지시한다. 그리고, 소프트 스위치(100)는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로부터 통보 받으면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게 시험톤 송출을 지시한다. 또한, 소프트 스위치(100)는 시험 대상 엑세스게이트웨이가 복수인 경우 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호 설정 및 시험톤 송출을 반복 수행한다.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는 시험자에 의해 전화 단말(11)로부터 번호 호출이 이루어지면 해당 번호를 수집하여 소프트스위치(1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발신 억세스게이트(210)의 호 설정을 위한 처리 절차는 종래 일반적인 호 처리를 위한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에서의 호 처리 절차와 동일하다. 즉,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호 처리 절차나 호 처리 절차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는 소프트스위치(100)로부터의 특정 전화 단말(12)에 대한 착신 호 설정 요구(호 자원 점유 지시)가 수신되면 해당 전화 단말(12)을 위한 음성 통화 자원을 확보하여 호를 연결한다. 이때,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는 소프트스위치(100)로부터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하라는 지시가 수신되면 해당 전화 단말(12)에 대한 호 설정시에는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호 연결이 완료된 후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는 소프트스위치(100) 로부터 시험톤 송출을 지시받으면 기 설정된 특정 시험톤을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로 송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소프트스위치(100) 및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소프트스위치(100)는 프로토콜 처리부(110), 호 제어부(130) 및 시험 기능부(150)를 구비한다.
프로토콜 처리부(110)는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들과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지원한다. 프로토콜 메시지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며,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는 프로토콜 메시지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따라서, 프로토콜 처리부(110)는 소프트스위치(100)의 제어 명령을 프로토콜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로 전송하고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로부터 수신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소프트스위치(100) 내부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호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소프트스위치(100)와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 사이의 제어 메시지는 MEGACO 프로토콜 메시지가 사용된다.
호 제어부(130)는 전화 단말들(11, 12)의 상태를 관리하며 발신 및 착신 호에 대한 호 연결 및 호 복구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호 제어부(130)는 호 연결이 요청된 착신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통해 착신번호가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시험번호인 경우 해당 시험번호를 시험 기능부(150)로 전송하고 시험 기능부(150)와 연동하여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호 설정을 제어한다.
시험 기능부(150)는 호 제어부(130)가 일반 호와 시험 호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시험 기능부(150)는 호 제어부(130)로부터 시험번호를 제공받으면 시험번호의 가입자 국번 정보를 이용하여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착신 대상 엑세스게이트웨이(220)를 선택한 후 선택된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 수용된 전화 단말들 중 임의의 유휴 전화 단말(12)을 지정하여 호 제어부(130)에게 지정된 전화 단말(12)에 대한 착신 호 설정을 지시한다. 이때, 시험 기능부(150)는 해당 전화 단말(12)에 대한 착신 호 설정 시도시 해당 전화 단말(12)에서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호 제어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시험 기능부(150)는 전화 단말(12)과의 호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로부터 통보받으면,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게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로 시험톤을 송출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시험 기능부(150)는 시험이 진행되는 도중에 착신 가입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전화 단말(12)의 수화기를 들거나(OFF-HOOK) 전화 단말(12)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전화 단말(12)을 신속하게 일반 상태로 복구하여 전화 단말(12)이 일반 전화 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시험 기능부(150)는 시험의 계속적인 진행을 위해 동일한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 수용된 다른 유휴 전화 단말을 지정하여 시험을 다시 시작한다.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는 프로토콜 처리부(211, 221), 호 처리부(213, 223) 및 톤 처리부(215, 225)를 구비한다.
프로토콜 처리부(211, 221)는 소프트스위치(100)의 프로토콜 처리부(110)와 연동하여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통신기능을 지원한다. 즉, 프로 토콜 처리부(211, 221)는 호 처리부(213, 223)로부터의 메시지를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프로토콜 처리부(110)로 전송하며, 프로토콜 처리부(110)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엑세스게이트웨이(211, 221) 내부에서 처리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호 처리부(213, 223)로 전송한다.
호 처리부(213, 223)는 전화 단말(11, 12)에서 발생하는 이벤트(OFF-HOOK, 번호 호출, 호 연결 완료 등)를 감지하고 감지된 내용을 프로토콜 처리부(211, 221)를 통해 소프트스위치(100)에 보고하고 소프트스위치(100)의 제어에 따라 전화 단말(11, 12) 사이의 실제 호 연결 또는 호 해제를 처리한다. 특히,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의 호 처리부(223)는 소프트스위치(100)로부터 착신 호 설정 요구와 함께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하는 착신벨 발생금지 요구가 수신되면 해당 호 연결시에는 전화 단말(12)에서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호 처리부(223)는 소프트스위치(100)로부터 시험톤 송출 지시가 수신되면 톤 처리부(225)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특정한 시험톤이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톤 처리부(215, 225)는 호 처리부(213, 223)의 제어에 따라 시험톤을 발생시켜 호 처리부(213, 223)으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통신망에서의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해 시험자가 광대역통신망에 수용된 전화 단말(11)의 수화기를 들고 시험번호를 눌러 번호를 호출한다(단계 311).
이때, 시험번호는 시험하고자 하는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가 수용한 전화번호의 가입자 국번과 '4299'로서 기존 공중전화망에서 시험번호로 사용되고 있는 번호이다.
전화 단말(11)에서 번호 호출이 발생하면,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의 호 처리부(213)는 해당 번호를 수집한 후 수집된 번호를 프로토콜 처리부(211)를 통해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소프트스위치(100)로 전송한다(단계 312).
번호를 전달받은 소프트스위치(100)의 호 제어부(130)는 전달받은 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고 호 연결을 위한 발신측 음성 통화 자원을 확보한다(단계 313).
다음에, 호 제어부(130)는 번호번역을 통해 해당 번호가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시험번호인지 아니면 일반 전화통화를 위한 번호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14).
이때, 해당 번호가 일반 번호인 경우, 호 제어부(130)는 발신 번호와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 및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로 전송해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일반 전화 통화에 대한 호 설정을 수행하여 해당 전화 단말 사이의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한다(단계 315).
그러나, 해당 번호가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시험번호인 경우, 호 제어부(130)는 시험 기능부(150)를 구동시킨 후 수신된 시험번호를 시험 기능부(15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시험 기능부(150)는 시험번호의 가입자 국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국번을 수용하는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를 선택한 후 선택된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 수용되는 전화 단말들 중 임의의 유휴 전화 단 말(12)을 지정하여 해당 정보를 호 제어부(130)로 전송한다(단계 316).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가 복수개인 경우 일정 순서에 따라 엑세스게이트웨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호 제어부(130)는 시험 기능부(150)에서 지정한 유휴 전화 단말(12)로의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착신 호 설정을 시도한다(단계 317).
이러한 착신 호 설정은 전화 단말(12)에 대한 시험 호 착신을 위하여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로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호 자원의 점유를 지시한다.
이때, 호 제어부(130)는 시험 기능부(150)의 지시에 따라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로 전달되는 MEGACO 프로토콜 메시지의 Modify 메시지 내에 있는 신호처리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화 단말(12)에 대한 호 설정시 전화 단말(12)에서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호 제어부(130)는 특정 호 세션을 설정하는 단말에 대한 동작 정보(도 4의 M2)를 이용하여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가 착신 호를 연결하되 착신 단말(12)에 벨을 보내지 않도록 하여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통기능 시험에 대하여 가입자가 전화 단말(12)의 수화기를 들지 않도록 한다.
소프트스위치(100)의 착신 호 설정 지시에 따라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의 호 처리부(223)는 전화 단말(11, 12) 간 논리적 통화로 연결을 위한 착신측 음성 통화 자원을 확보한 후 그 상태를 소프트스위치(100)에게 통보한다(단계 318).
시험 기능부(150)는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로부터 통화 자원 확보 즉 호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받으면 호 제어부(130)를 통해 착신 엑세 스게이트웨이(220)에게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로 시험톤을 송출하도록 지시하며, 이에 따라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의 호 처리부(223)는 톤 처리부(225)를 구동시켜 기 설정된 시험톤을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로 송출한다(단계 319).
즉, 호 제어부(130)는 MEGACO 프로토콜 메시지의 Modify 메시지에서 단말의 동작 정보(도 4의 M3)를 이용하여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서 시험톤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되는 시험톤은 기존에 정의된 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엑세스게이트웨이(210, 220) 사이의 톤 송출은 IP 망을 통하여 패킷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서 톤을 패킷형태로 인코딩하여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로 전송하고,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210)는 이 패킷을 수신하여 음성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 전화 단말(11)을 통하여 시험자가 시험톤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음에 시험 기능부(150)는 현재의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가 최종 엑세스게이트웨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320), 최종 엑세스게이트웨이인 경우에는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동작을 종료한다(단계 321).
그러나, 시험 기능부(150)는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가 복수개 이며 아직 시험이 완료되지 않은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가 남아 있는 경우 소프트스위치가 가진 라우팅정보를 활용하여 시험이 완료되지 않은 다른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 순차적으로 통화로를 변경한다. 즉, 시험 기능부(150)는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 대한 호 소통기능시험이 완료되면 단계 316으로 되돌아가 단계 316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들로 순차적으로 통화로 를 변경하여 최종 엑세스게이트웨이까지 단계 316 내지 단계 319의 시험 호 연결 및 시험톤 송출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러한 통화로 변경은 시험 기능부(150)가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도 4와 같이 MEGACO 프로토콜 메시지의 Modify 명령을 이용하여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 경로 변경을 지시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변경시, 전화 단말(11)에 수신되는 시험톤이 순간적으로 단절되는데 시험자는 이를 통해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가 변경되어 시험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최종 엑세스게이트웨이에 대한 시험톤을 달리하여 시험이 완료되었음을 시험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자는 하나의 시험번호 만으로 동일 국번의 다수의 엑세스게이트웨이에 대한 호 소통기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 소통기능 시험을 위한 시험 호는 복수개의 소프트스위치를 걸쳐 호가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시험 기능부가 동작하는 소프트스위치는 착신 전화 단말을 수용하는 최종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스위치가 된다.
시험 기능부(150)는 전화 단말(12)로 호가 착신되거나 도 4의 Modify 메시지 형식에서 이벤트 정보(M1)을 통해 전화 단말(12)의 수화기가 들리는 이벤트가 발생시 해당 전화 단말(12)을 신속히 연결된 시험 호를 해제하여 일반 상태로 복구한 후 동일한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220)에 수용된 전화 단말들 중 다른 유휴 단말을 지정하여 다시 시험을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은 광대역통신망에서 신규 가입자 개통 시 정상개통의 여부를 가입자 댁내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광대역통신망장비 운용자에게는 전화 호 서비스 제공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네트워크의 장애, 시스템의 비 정상적인 운용상태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 서비스 연속성 및 운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험자는 수많은 엑세스게이트웨이 별로 각각의 시험번호를 따로 관리하지 않고 기존 사용하던 하나의 시험번호만을 이용하여 호 소통기능 시험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운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5)

  1. 특정 시험번호를 이용한 시험 호 착신시, 상기 시험번호의 가입자 국번을 수용하는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유휴 전화 단말을 찾아낸 후 상기 유휴 전화 단말로의 시험 호 설정을 제어하며, 상기 시험 호 연결 완료시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소프트스위치;
    발신 전화 단말로부터 상기 시험번호를 수집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로 전달하는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휴 전화 단말에 대한 시험 호 연결을 수행하고 시험 호 연결시 상기 시험톤 송출 지시에 따라 기 설정된 시험톤을 상기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 송출하는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MEGACO 프로토콜의 Modify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시험 호 연결 및 시험톤 송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시험 호 연결시 상기 유휴 전화 단말에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제어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시험번호의 가입자 국번을 수용하는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가 복수개인 경우 각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들의 시험 호 연결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시험 호 연결 중 상기 유휴 단말이 호를 시도하거나 상기 유휴 단말에 대한 호가 착신시, 상기 시험 호를 해제하고 상기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다른 유휴 단말을 지정하여 해당 유휴 단말에 대한 시험 호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와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제어 메시지 송수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부터 호 연결이 요청된 착신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통해 상기 시험번호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 호의 연결 및 복구 기능을 제어하는 호 제어부; 및
    상기 착신번호가 상기 시험번호인 경우,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유휴 전화 단말을 찾아내고 상기 호 제어부로 해당 전화 단말에 대한 호 연결 및 상기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시험 기능부를 구비하는 것을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기능부는
    상기 시험 호 연결시 상기 유휴 전화 단말에서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상기 호 제어부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기능부는
    상기 시험 호 연결 중 상기 유휴 단말이 호를 시도하거나 상기 유휴 단말에 대한 호가 착신시, 상기 시험 호를 해제하고 상기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다른 유휴 단말을 지정하여 해당 유휴 단말에 대한 시험 호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
  9.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부터 호 연결 요청 수신시, 요청된 호가 시험 호 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연결 요청된 호가 시험 호인 경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 및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유휴 전화 단말을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유휴 단말과의 시험 호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
    호 연결 완료시, 상기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게 상기 발신 엑세스게이트웨이로의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호 연결 요청된 착신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여 상기 착신번호가 기 설정된 시험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는
    상기 시험번호의 국번을 수용하는 엑세스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호 연결 및 상기 시험톤 송출 제어는
    MEGACO 프로토콜의 Modify 메시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시험 호 연결시 상기 유휴 전화 단말에서 착신벨이 울리지 않도록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시험 호 연결 중 상기 유휴 단말이 호를 시도하거나 상기 유휴 단말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시험 호를 해제한 후 동일한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에 수용된 다른 유휴 단말을 찾아 다시 시험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대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가 복수인 경우 순차적으로 각 착신 엑세스게이트웨이들에 대해 상기 시험 호 연결 및 시험톤 송출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방법.
KR1020060057366A 2006-06-26 2006-06-26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및 그 시험 방법 KR20080000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366A KR20080000093A (ko) 2006-06-26 2006-06-26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및 그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366A KR20080000093A (ko) 2006-06-26 2006-06-26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및 그 시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93A true KR20080000093A (ko) 2008-01-02

Family

ID=3921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366A KR20080000093A (ko) 2006-06-26 2006-06-26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및 그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119B1 (en) Dual-circuit telephony
GB2411074A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rerouting around failed gateway
US20100157995A1 (en) Method for Setting Up a Telephone Connection, and Apparatuses
JP3680772B2 (ja) 音声コーデック指定方式
JPH1022897A (ja) Wllシステムにおける呼処理方法、加入者装置およびアクセス制御装置
JP2005184802A (ja) 公衆電話網のバックアップ機能を有するVoIP端末における呼待機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901841B (zh) 将cs域和ps域融合连通的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05721727A (zh) 呼叫转移的方法及装置
JPH08130577A (ja) 交換機装置及び同交換機装置の試験方法
US7466691B2 (en) Enhanced circuit-switched media transmission over IP access networks
KR20060003866A (ko) 통신로 설정 방법 및 통신로 설정 시스템
KR20080000093A (ko) 광대역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 호 소통기능 시험 시스템및 그 시험 방법
KR20060061803A (ko) 게이트웨이 장치, 내선전화 교환 시스템 및 내선전화 교환방법
US7756260B2 (en) Method for providing features to the user of a telephone, a central unit and a tele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KR101002678B1 (ko) VoIP 게이트웨이 및 그 음성 통화로 시험방법
JP3623669B2 (ja) ネットワーク間接続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ゲートウェイ間接続方法及び記録媒体
US6640318B1 (en) Continuity test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JP2000184411A (ja) 交換機及び交換機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8769441B (zh) 软交换通话方法和系统
EP1319258B1 (en) Continuity test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JP2005286638A (ja) Ip電話における呼び返し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RU2420012C1 (ru) Гибридный коммутатор
JP3689036B2 (ja) 構内交換装置
KR100668992B1 (ko) 음성 라인을 스위칭하는 방법 및 장치
JPH0282743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