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576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 방법 및 이를위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 방법 및 이를위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576A
KR20070121576A KR1020070061074A KR20070061074A KR20070121576A KR 20070121576 A KR20070121576 A KR 20070121576A KR 1020070061074 A KR1020070061074 A KR 1020070061074A KR 20070061074 A KR20070061074 A KR 20070061074A KR 20070121576 A KR20070121576 A KR 2007012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request
radio resource
information
control node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536B1 (ko
Inventor
정경인
김성훈
최성호
리에샤우트 게르트 잔 반
데르 벨데 힘케 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2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measures in reaction to resource unavailability
    • H04L47/743Reaction at the end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8Autonomous allocation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04W74/0875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with assigned priorities bas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요청 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자원제어노드가 스케쥴링 요청 재전송을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다운링크로 주기적으로 통보하고, 단말기는 상기 재전송할 스케쥴링 요청이 포함하는 우선순위 정보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상기 스케쥴링 요청 재전송을 위한 최저 서비스 우선순위보다 낮을 때에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을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자원제어노드가 서비스 우선순위 별로 스케쥴링 요청 재전송을 위한 주기(타이머)를 설정하여 다운링크로 전송하고, 단말기는 초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 후에 또는 스케쥴링 요청을 재전송한 후에 상기 스케쥴링 요청이 포함하는 우선순위 정보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타이머)가 완료되기 전에는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Scheduling Request, Buffer Status Report, UE/User class level, data rate, Service priority level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서 참조하는 이동통신시스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무선자원이 로드된 상태에서의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재전송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이 로드된 상태에서의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재전송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네트워크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이 로드된 상태에서의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재전송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네트워크의 동작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은 다중화 방법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 방식,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 직교주파수 다중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무선통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이며, 이는 다시 동기 방식 및 비동기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은 기본적으로 코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직교코드의 자원으로 인한 자원부족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직교주파수분할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고 한다) 방식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OFDM 방식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Symbol) 열을 병렬 전환하여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들, 즉 다수의 서브캐리어 채널(Sub-carrier channel)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멀티캐리어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이하 MCM이라고 한다) 방식의 일종이다. OFDM 방식은 종래의 주파수분할다중(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FDM이라고 한다) 방식과 비슷하나 다수개의 서브캐리어들간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유지하여 전송하며 주파수 스펙트럼을 중첩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주파수 사용이 효율적이고,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과 다중경로 페이딩에 강하고, 보호구간을 이용하여 심벌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이하 ISI라고 한다)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 등화기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임펄스(Impulse) 잡음에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고속데이터 전송시 최적의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다.
한편, OFDM 방식을 적용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 제3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를 대신할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써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에서 논의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서 참조할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3GPP LTE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UE(User Equipment)(11)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단말기를 나타내며, E-RAN(Evolved Radio Access Network, 이하 E-RAN이라 한다)(14)은 기존 3GPP 시스템에서 단말기와의 통신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로 셀들을 관리하는 노드비(node B)의 역할과, 다수의 노드비를 제어하고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한다)의 역할을 수 행한다. 이때 E-RAN(14)은 기존 3GPP 시스템에서와 같이 E-NB(Evolved Node B)(12)와 E-RNC(Evolved RNC)(13)의 역할이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노드에 분리되어 있거나 하나의 노드로 합쳐(Merge)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E-NB(12)와 E-RNC(13)가 물리적으로 E-NB(12)의 한 노드에 합쳐져 있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E-RNC(13)가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노드로 분리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E-CN(Evolved Core Network)(15)은 기존 3GPP 시스템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과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의 기능을 하나로 합친 노드이다. E-CN(15)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이하 PDN이라고 한다)(16)와 E-RAN(14) 사이에 위치하여 UE(11)에게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UE(11)를 PDN(16)으로 연결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담당한다. SGSN과 GGSN의 정의와 기능은 'www.3GPP.org'의 표준을 따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MTS Radio Access Network, 이하 'E-RAN'라 한다)(110)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라 한다)(120, 122, 124, 126, 128)과 상위 노드(anchor node)(130, 132)의 2 노드 구조로 단순화된다.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기'라 한다)(101)은 E-RAN(110)에 의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한다) 네트워크로 접속한다. ENB(120 내지 128)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비(Node B)에 대응되며, UE(101)와 무선 채널로 연결된다. 기존 노드 B와 달리 상기 ENB(120 내지 128)는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20 내지 128)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또한, ENB에서는 단말기의 채널상태에 맞추어 변조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코딩율(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변조코딩(Adaptive Modulation&Coding, 이하 'AMC'라 한다)을 수행하며, UMTS의 HSDPA(High Speed Downl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E-DCH: Enhanced Dedicated Channel라고도 부름)처럼 LTE에서도 ENB(120내지 128)와 UE(101) 사이에 HARQ(Hybrid ARQ)가 수행된다. 그런데 HARQ 만으로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의 요구(Requirement)를 충족할 수 없으므로, 상위계층에서의 별도의 ARQ(Outer-ARQ)가 단말기(101)와 ENB(120 내지 128)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HARQ란,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를 폐기하지 않고, 재전송된 데이터와 소프트 컴바이닝함으로써 수신 성공률을 높이는 기법이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DCH(Enhanced Dedicated Channel) 등 고속 패킷 통신에서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최대 100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는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2는 3GPP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을 기반으로 할 때, UE가 E-NB로 스케쥴링 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를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UE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이 없을 때에 UE에서 전송해야 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생성되었다면, UE는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자원을 E-NB로 요청하기 위해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를 수행한다.
스케쥴링요청과 버퍼상태보고는 명칭상의 차이일 뿐이며, 업링크로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자원을 E-NB로 요청하기 위해, 상기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의 우선순위(Priority) 정보와 버퍼에 차 있는 각 우선순위별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의 정보량 등을 포함하여 E-NB에게 알려주기 위한 절차이다. E-NB는 UE로부터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UE별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케쥴링요청은 SI(Scheduling Information)으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BSR(Buffer Status Report)로 혼용하여 표기한다.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는 PHY(Physical) 시그널링이나 MAC(Media Access Control) 시그널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UE#1, UE#2, …,UE#N(201, 202, 203)에서 각각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상위 계층(High Layer)에 의해 발생하면, UE#1, UE#2, …,UE#N(201, 202, 203)은 각각 E-NB(211)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다(231, 232, 233). E-NB(211)는 UE로부터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를 수신하면, 셀의 로드상태가 낮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UE#1, UE#2, …,UE#N(201, 202, 203)을 위해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각 UE#1, UE#2, …,UE#N(201, 202, 203)에게 할당되는 무선자원은, 각 UE로부터의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에 해당하는 우선순위와, 버퍼에 차 있는 우선순위별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의 정보량에 따라 결정된다.
도 2에서는 셀의 로드상태가 높아서(221) 모든 UE에게 요청받은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가 없다. 만약 E-NB(211)가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를 수신받고 UE#1, UE#2, UE#N(201, 202, 203)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없다면, 다운링크로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에는 상기 UE들에 대한 아이디와 무선자원 할당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UE들(201, 202, 203)은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를 전송한 후에 다운링크로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로부터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면,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241, 242, 243)한다. 이는 E-NB(211)가 상기 UE들이 전송한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를 위한 동작이다. 그런데 UE들이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를 전송한 이후에 다시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41, 242, 243)를 전송하는 시점에서 UE들이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의 우선순위(Priority) 정보와 버퍼에 차 있는 각 우선순위별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의 정보량 등이 달라질 수 있며, 따라서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41, 242, 243)에는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와는 다른 값이 포함될 수도 있다.
E-NB(211)는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41, 242, 243)를 수신한다 하더라 도,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31, 232, 233)를 수신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셀의 높은 로드상태로 인해 UE#1, UE#2, UE#N(201, 202, 203)이 요청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못할 수 있다. UE는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41, 242, 243)을 전송한 후에 다운링크로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에 UE들의 아이디와 할당된 무선자원정보가 없으면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UE#1, UE#2, UE#N들(201, 202, 203)은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41, 242, 243)를 전송한 후에 상기 요청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면, 다시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51, 252, 253)를 전송한다. E-NB(211)가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51, 252, 253)를 수신한 후에도 UE들에게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는다면, UE들(201, 202, 203)은 다시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261, 262, 263)를 전송한다. 즉, UE들은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 후에, UE들의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면 계속 반복적으로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도 2에서와 같이 E-NB(211)가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아니라, 셀의 높은 로드상태 등에 의해,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를 제대로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UE들에게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241, 242, 243, 251, 252, 253, 261, 262, 263과 같은 반복적인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의 전송은 소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선자원의 비효율적인 소모, UE들의 비효율적인 전력소모, 불필요한 간섭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자원제어노드가 셀 내 단말기로부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단말기들에게 해당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로부터의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위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이 발생하면, 단말기가,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통지된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최고 우선순위가 상기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무선자원제어노드 간에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을 위한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위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이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할 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무선자원제어노드 간에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을 위한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위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이 발생하면, 단말기가,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통지된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최고 우선순위가 상기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을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의 상태에 따라 무선자원제어노드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버퍼관리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최저 우선순위 정보에 따른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 과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전송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을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의 상태에 따라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버퍼관리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재전송 주기 정보들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주기 정보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을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의 상태에 따라 무선자원제어노드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버퍼관리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전송 주기 정보들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주기 정보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타이머와, 상기 최저 우선순위 정보에 따른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최고 우선순위가 상기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전송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타이머와 상기 전송 판단부 모두로부터 요청을 받은 경우에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불필요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전송이나 재전송을 막기 위해, E-NB가 수신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들 중에서 성공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한 최저 우선순위(Lowest Priority) 정보를 다운링크로 단말기들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단말기들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 또는 재전송할 때에 상기 전송할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가 포함하는 우선순위 정보 들 중에서 최고 우선순위(Highest Priority)와 상기 다운링크로 통보되는 최저 우선순위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전송이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즉, E-NB는 소용없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이나 재전송을 금지시킴으로써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재전송을 최적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전송/재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UE(301)에서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상위 계층(High Layer)에 의해 발생하여 전송버퍼에 내려오면, UE(301)는 상기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E-NB(311)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321)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는 전송버퍼로 내려온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에 해당하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별 서비스 우선순위 정보(Priority)와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의 양 정보 등이 포함된다. 만약 데이터와 컨트롤 시그널이 함께 전송버퍼로 내려온다든지, 또는 각각 다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함께 전송버퍼로 내려오는 경우에는 각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에 매핑되어 있는 복수개의 우선순위 정보들이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정보부터 우선순위별로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링 양 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 3에서는 321에 포함되어 있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X로 가정한다.
다음, E-NB(311)가, 셀 내의 UE들에게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을 허 용하는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다운링크로 셀 내의 UE들에게 통지(331)한다.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 허용 최저 우선순위의 설정은, 일 예로서 E-NB(311)가 해당 셀 내에서 이전에 수신했었던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들 중에서 성공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한 우선순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순위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자원이 많이 남는 경우에는 이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 무선자원을 할당했던 최저 우선순위가 6이라 하더라도 단말기로 통보하는 스케쥴링 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1(또는 0)로 설정하여 모든 단말기들로부터의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들을 허용할 수도 있다.
331에서 UE(301)로 전송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이하 '허용 최저 우선순위'와 혼용한다)는 셀 내의 UE로 하여금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UE(301)는 전송하려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가 포함하는 정보 중의 하나인, 상위 계층에 의해 전송버퍼로 내려온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와, 상기 331의 허용 최저 우선순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허용 최저 우선순위보다 낮다면, UE(301)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더라도 E-NB(311)가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것이므로 UE(301)는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지 않으며, 반면에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허용 최저 우선순위보다 같거나 높으면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한다. 상기 허용 최저 우선순위 정보 는 공통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공통채널을 통해 매 서브프레임(여기서 서브프레임은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을 위해 무선자원을 할당해주는 최소단위로서, 매 서브프레임마다 셀 내 단말기에게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정보가 전송될 수 있음)마다 셀 내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스케쥴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 이하 SI라 한다)와 함께 허용 최저 우선순위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가정한다. 하지만, 공통채널이 아니라 단말기별로 할당된 전용채널을 통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알려주는 방법도 본 발명에서 배제하지 않는다. 도 3에서는 일 예로서 331의 허용 최저 우선순위로 Y를 가정한다.
만약 UE(301)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321)를 전송하였지만 E-NB(311)로부터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했다면, UE(301)는 E-NB(311)로부터 가장 최근에 통보받은 331의 허용 최저 우선순위인 Y와 UE(301)가 전송하려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321)의 최고 우선순위인 X를 비교한다(341). 비교 결과 만약 X가 Y보다 낮은 우선순위라면(X<Y), UE(301)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332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허용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나타내며, 342는 UE(301)가 상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332의 허용 최저 우선순위 정보(Y)를 수신해서, 상기 UE(301)가 전송하려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최고 우선순위(X)와 비교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332와 351 이전까지 E-NB(311)로부터 UE(301)로 계속적으로 허용 최저 우선순위 정보가 전송되고, UE(301)가 전송하려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최고 우선순위가 X이므로, UE(301)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한편, 셀의 로드상태 변화 등으로 인해 허용 최저 우선순위가 Z로 변경되었다면(351), UE(301)는 전송하려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최고 우선순위인 X와 변경된 허용 최저 우선순위인 Z를 비교한다(361). 비교 결과 X가 Z보다 같거나 높으면, UE(301)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E-NB(311)로 재전송한다(371). E-NB(311)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371)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해서 UE(301)에게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다운링크로 전송한다(372).
또한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거나 재구성(Radio Bearer Setup/Reconfiguration)될 때에, E-NB가 상기 서비스에 해당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에 대한 MAC 논리 채널 우선순위를 상기 서비스에 맞게 설정하여 이를 단말기에게 알려줌으로써 UE와 E-NB간에 우선순위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계층에 의해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링이 발생하여 업링크 자원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스케쥴링요청이나 버퍼상태보고 정보를 전송해야 할 때에,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초기 전송은 허용하며, 만약 상기 초기 전송 이후에 UE가 E-NB로부터 해당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했지만(즉, E-NB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전송의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링정보(SI)에 UE의 아이디와 무선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 해야 하는 경우에, UE는 다운링크로 통보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보다 같거나 높은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만을 E-NB로 재전송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서부터 다운링크로 통보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먼저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인지를 체크한 후에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331, 332, 351에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사용하는 대신에, 허용 단말기(UE)나 유저 클래스(User Class)나 허용 서비스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UE나 유저의 클래스가 상기 허용 단말기/유저 클래스보다 같거나 높을 때에만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다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목적 서비스 데이터레이트가 허용 서비스 데이터 레이트보다 같거나 낮을 때에만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다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되는 서비스 우선순위와 상기 단말기/유저 클래스, 서비스 데이터레이트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흐름 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초기전송은 그대로 수행하고, 재전송부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4b는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부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도 4a의 단말기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생성되어 전송버퍼로 내러와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이 필요하게 되면, 단말기는 402 단계에서 E-NB로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고, 403 단계에서 E-NB로부터 자원 할당(Grant) 채널을 수신한다. 상기 자원 할당 채널을 통해 스케쥴링정보(SI)가 전송되며,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 어떤 단말기에게 어떤 무선자원이 할당되었는지를 셀 내 단말기들이 알 수 있다.
411 단계에서 단말기는 자원 할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에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포함되어 있다면 421 단계로 가서 상기 할당받은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버퍼에 있는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을 전송한다. 반면에, 자원 할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에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기는 422 단계로 가서 주기적으로 다운링크로 전송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한다.
431 단계에서 단말기는, 402 단계에서 전송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422 단계에서 수신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보다 낮은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가 포함하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보다 낮으면 단말기는 403 단계로 가서 자원할당 채널을 수신하며, 그렇지 않다면 442 단계로 가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한 후에 403 단계로 복귀한다.
다음, 도 4b의 단말기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451 단계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생성되어 전송버퍼로 내러와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이 필요하게 되면, 단말기는 452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E-NB로부터 다운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한다. 461 단계에서 단말기는 451 단계에서 전송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와 452 단계에서 획득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허용 최저 우선순위보다 낮다면 단말기는 452 단계로 가며, 그렇지 않다면 472 단계로 가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또는 재전송)한 후, 473 단계에서 자원 할당 채널을 수신한다.
481 단계에서 단말기는, 473 단계에서 수신한 자원 할당 채널에 472 단계에 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기는 491 단계로 가서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버퍼에 있는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을 전송하며,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기는 452 단계로 복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NB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다운링크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허용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주기가 도래했으면, E-NB는 511 단계에서 셀 내에서 기 수신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들 중에서 성공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받은 가장 낮은 우선순위와 셀의 로드상태 등을 관리하는 RRM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521 단계에서 E-NB는 511 단계에서 설정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정해진 채널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다운링크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장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위 레이어(601)와, 데이터/시그널링 버퍼관리부(611)와, 송수신부(621)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 판단부(631)과 타이머(641)를 포함한다. 상위 레이어(601)는 컨트롤 시그널을 생성하는 상위 제어부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위 어플리케이션부를 모두 포함한다.
상위 레이어(601)에서 생성된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은 전송버퍼(도시하지 않음)로 내려온다. 상위 레이어(601)로부터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내려와서 전 송버퍼가 차면, 데이터/시그널링 버퍼관리부(611)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송수신부(621)를 통해 E-NB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다. 단말기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 후에 송수신부(621)를 통해 다운링크로 수신받는 자원 할당 채널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한 업링크 전송 무선자원이 할당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상기 단말기를 위한 무선자원이 할당되었다면 상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버퍼에 있는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을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를 위한 무선자원이 할당되지 않았다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 판단부(631)는 송수신부(621)를 통해 다운링크로 수신받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바탕으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거나, 또는 재전송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원 할당 채널과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 판단부(631)는 다운링크로 수신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보다 상기 단말기가 재전송하려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되어 있는 최고 우선순위가 높거나 같은 경우에만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기로 결정한다. 타이머(641)는 전송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를 결정한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 설명한바와 같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초기 전송부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에는,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하기 전에 송수신부(621)를 통해 다운링크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수신받으며,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판단부(631)에서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에 따라 송수신부(621)는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거나 또는 재전송하지 않고 계속해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NB의 장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NB는 타이머(701)와 송수신부(721)와 최저우선순위 결정부(711)를 포함한다.
타이머(701)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다운링크로 전송하기 위한 주기를 결정한다. 최저우선순위 결정부(711)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부분으로서, 이전에 셀 내에서 수신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들 중에서 성공적으로 무선자원이 할당된 최저 우선순위와 셀 내의 로드상태 등을 고려하여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최저우선순위 결정부(711)에서 설정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는 송수신부(721)를 통해 타이머(701)의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다운링크로 해당 채널을 통해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서는 다운링크로 단말에게 통보되는 최저 우선순위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되는 서비스 우선순위정보로써 설명하였지만, 단말기/유저 클래스나 요청하려는 서비스의 데이터레이트(Data rate)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우선순위별 재전송 타이머를 정의하고,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초기 전송 후에 요청한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면, 재전송할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가 포함하고 있는 우선순위 정보들 중에서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타이머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면 우선순위가 낮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는 우선순위가 높은 스케쥴링이나 버퍼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덜 빈번하게 전송되므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재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셀 내 UE(801)는 우선순위별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을 위한 주기(타이머) 정보를 획득한다(821). 이때 주기 정보는 셀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시스템정보를 통해 전송하거나, 단말기별로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암시적인 룰(Implicit rule)에 의해 UE(801)와 E-NB(811)간에 미리 정할 수 있다. 만약 암시적인 룰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면, 이는 UE 내부에 하드코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방법에 대해 제한하지 않으나, 도 8에서는 UE(801)가 시스템정보를 통해 주기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UE(801)에서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상위 계층에 의해 발생하여 전송버퍼에 내려오면, UE(801)는 E-NB(811)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831)를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우선순위별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타이머)를 시작한다. 즉, 도 8에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831)에 포함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X로 가정하면, X에 해당하는 주기(타이머)가 시작되는 것이다.
만약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831)를 전송한 후에 UE(801)가 다운링크 자원 할당 채널을 수신하였으나, 우선순위 X에 해당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 주기동안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 UE(801)를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한다면, UE(801)는 상기 재전송 주기(타이머)가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고 다시 재전송 타이머를 재시작한다(832). 두 번째 재전송 주기동안에도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면, 상기 재시작한 타이머가 완료되는 시점에 다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한다(833). 즉, UE(801)를 위한 무선자원이 할당되지 않으면 상기 획득한 초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되어 있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 정보에 따라 재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재전송을 위한 주기는 우선순위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는 덜 빈번하게 전송되도록 길게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는 더 빈번하게 전송되도록 주기를 짧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케 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재전송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UE(801)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831)를 전송하는 시점에 우선순위 X에 해당하는 주기(타이머)를 시작하는 대신에, 스케줄링요청/버퍼상태보고(831)를 전송한 후에 UE(801)가 다운링크 자원 할당 채널을 수신하였으나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 UE(801)를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에 상기 우선순위 X에 해당하는 주기(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는 과정에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최고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변경된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 단계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이 생성되어 전송버퍼로 내려와서 단말기가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해야 한다고 감지하면, 902 단계에서 단말기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E-NB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시스템 정보나 단말기별 시그널링을 통해 기 획득한 우선순위별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 주기(타이머) 정보에서, 902 단계에서 전송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재전송 주기(타이머)를 시작한다.
다음, 단말기는 903 단계에서 자원 할당 채널을 수신하고, 911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자원 할당 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기를 위한 무선자원이 할당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무선자원을 할당받았다면, 단말기는 921 단계로 가서 상기 할당받은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버퍼에 있는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을 전송한다. 반면에 무선자원을 할당받지 못했다면, 단말기는 931 단계로 가서 상기 시작한 주기(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주기(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단말기는 903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주기(타이머)가 종료되었다면 단말기는 941 단계로 가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며 상기 재전송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재전송 주기(타이머)를 시작한 후에 903 단계로 복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NB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E-NB는 1001 단계에서 우선순위별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 주기(타이머)를 시스템 정보로 전송할 주기가 완료된 것을 감지하거나 단말기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음을 감지하며, 1011 단계에서는 셀 내 로드상태(Load status) 등의 무선자원 상태와 셀 내 수신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별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을 위한 주기(타이머)를 설정한다. 1021 단계에서는 1011 단계에서 설정된 우선순위별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을 위한 주기(타이머)를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기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장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위 레이어(1101)와, 데이터/시그널링 버퍼관리부(1111)와, 송수신부(1121)와 타이머(1131) 를 포함한다.
상위 레이어(1101)는 컨트롤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상위 제어부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위 어플리케이션부를 모두 포함한다. 상위계층(1101)에서 생성된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링은 전송버퍼(도시하지 않음)로 내려온다. 이로써 전송버퍼가 채워지면, 데이터/시그널링 버퍼관리부(1111)는 송수신부(1121)를 통해 E-NB로 업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다. 타이머부(1131)에서는 시스템 정보나 단말기별 개별 시그널링을 통해 기 획득한 우선순위별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 주기(타이머)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전송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가 포함하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타이머)를 시작한다. 단말기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 후에 송수신부(1121)를 통해 다운링크로 수신받는 자원 할당 채널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위한 업링크전송 무선자원이 할당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상기 단말기를 위한 무선자원이 할당되었다면 단말기는 송수신부(1121)를 통해 상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버퍼에 있는 데이터나 컨트롤 시그널링을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를 위한 무선자원이 할당되지 못했으면 이전에 시작했던 주기(타이머)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주기(타이머)가 완료되었으면 송수신부(1121)를 통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고, 상기 재전송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가 포함하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타이머)를 시작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NB의 장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NB는 우선순위별 주기/타 이머 설정부(1201)와 송수신부(1211)와 타이머(1221)를 포함한다.
우선순위별 주기/타이머 설정부(1201)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 재전송을 위한 우선순위별 주기(타이머)를 설정한다. 우선순위별 주기/타이머 설정부(1201)는 셀 내에서 수신되는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들과 셀 내 로드상태 등의 무선자원상태 등을 고려하여 상기 우선순위별로 해당 재전송 주기(타이머)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한 우선순위별 재전송 주기(타이머)는 송수신부(1211)를 통해 셀 내 시스템 정보로 전송하거나, 또는 단말기별 시그널링을 통해 해당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만약 시스템 정보로 상기 우선순위별 재전송 주기(타이머)가 전송된다면 타이머(1221)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E-NB로 전송한 최고 우선순위가 단말기가 E-NB로부터 수신한 허용 최소 우선순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고, 최고 우선순위가 허영 최소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우선순위별 재전송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의 재전송을 반복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자원제어노드가 셀 내 단말기로부터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단말기들에게 해당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못함으로써 단말기가 필요없이 스케쥴링요청/버퍼상태보고를 재전송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4)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위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이 발생하면, 단말기가,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통지된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최고 우선순위가 상기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자원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재전송하기 위해 상기 비교하는 과정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이 최초 발생된 것이면, 상기 비교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우선순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케쥴링 요청에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최고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최저 우선순위는 상기 스케쥴링 요청에 포함된 상기 최고 우선순위 정보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무선자원제어노드 간에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을 위한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위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이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된 스케쥴링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주기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주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와 상기 단말기 간에 암시적인 룰에 의해 상기 주기 정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1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무선자원제어노드 간에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을 위한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위계층으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이 발생하면, 단말기가,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통지된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최고 우선순위가 상기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발생된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주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자원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재전송하기 위해 상기 비교하는 과정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우선순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케쥴링 요청에 상기 최고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최고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최저 우선순위는 상기 스케쥴링 요청에 포함된 상기 최고 우선순위 정보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주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와 상기 단말기 간에 암시적인 룰에 의해 상기 주기 정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요청 전송 방법.
  16.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을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의 상태에 따라 무선자원제어노드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버퍼관리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최저 우선순위 정보에 따른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전송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판단부는,
    상기 최고 우선순위가 상기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단 말기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을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의 상태에 따라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버퍼관리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재전송 주기 정보들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주기 정보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최고 서비스 우선순위의 주기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주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을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의 상태에 따라 무선자원제어노드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버퍼관리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자원할당 채널을 통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우선순위별로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전송 주기 정보들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주기 정보들 중 최고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주기적으로 전 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타이머와,
    상기 최저 우선순위 정보에 따른 최저 우선순위와 상기 데이터 또는 컨트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들 중 최고 우선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최고 우선순위가 상기 최저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전송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타이머와 상기 전송 판단부 모두로부터 요청을 받은 경우에 상기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상기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자원제어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주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070061074A 2006-06-22 2007-06-21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 방법 및 이를위한 단말 장치 KR100886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414 2006-06-22
KR20060056414 2006-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76A true KR20070121576A (ko) 2007-12-27
KR100886536B1 KR100886536B1 (ko) 2009-03-02

Family

ID=3858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074A KR100886536B1 (ko) 2006-06-22 2007-06-21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 방법 및 이를위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243660B2 (ko)
EP (1) EP1871057B1 (ko)
KR (1) KR100886536B1 (ko)
CN (1) CN101473566B (ko)
RU (1) RU2417524C2 (ko)
WO (1) WO200714892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999A (ko) * 2008-08-11 2011-05-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11043637A3 (ko) * 2009-10-09 201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31197B1 (ko) * 2009-01-22 2012-04-12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스케줄링 요청의 재설정 절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391150B2 (en) 2009-12-16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uffer status reporting method for uplink schedul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395949B1 (ko) * 2008-04-22 201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우선순위를 가지는 무선베어러의무선자원 할당방법
KR101405041B1 (ko) * 2009-06-19 2014-06-10 지티이 코포레이션 버퍼 영역 상태 리포트의 리포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시스템
WO2016186698A1 (en) * 2015-05-21 2016-11-24 Intel IP Corporation Non-contention based low latency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KR20200017282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3566B (zh) * 2006-06-22 2013-01-30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传送调度请求的方法及其终端设备
KR101265643B1 (ko)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및 그 제어 방법
US8711765B2 (en) 2006-09-27 2014-04-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plink synchronization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EP2070368B1 (en) * 2006-10-02 2016-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84928B1 (en) * 2006-10-30 2017-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42017B2 (en) * 2006-10-30 2013-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random access channel message and response mess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U2441323C2 (ru) 2007-03-22 2012-01-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KR101386812B1 (ko) * 2007-04-30 201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더 필드 존재 지시자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블록송수신방법
KR101455999B1 (ko) 2007-04-3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생성 방법
KR101461236B1 (ko) 2007-04-30 2014-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호를 연결 과정에서 엔티티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KR100917205B1 (ko) 2007-05-02 2009-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구성 방법
WO2008156308A2 (en) 2007-06-18 2008-12-24 Lg Electronics Inc. Paging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for effective call setup
ES2428569T3 (es) 2007-06-18 2013-11-08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para llevar a cabo una sincronización de enlace a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RU2449502C2 (ru) 2007-06-19 2012-04-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ресурсов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AU2012216774B2 (en) * 2007-06-19 2014-10-30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AU2015200479B2 (en) * 2007-06-19 2017-02-16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531416B1 (ko) 2007-09-13 2015-06-24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US8400982B2 (en) * 2007-09-20 2013-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correctly received but header compression failed packets
KR101387537B1 (ko) * 2007-09-20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성공적으로 수신했으나 헤더 압축 복원에 실패한 패킷의 처리 방법
US8595516B2 (en) * 2008-01-03 2013-11-2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power management in a power over ethernet chassis
US20090176502A1 (en) * 2008-01-08 2009-07-09 Richard Lee-Chee Kuo Method of Receiving Signaling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483146B2 (en) * 2008-02-01 2013-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efficient BSR procedure using SPS resource
JP5091170B2 (ja) * 2008-02-13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KR100943908B1 (ko) 2008-02-19 201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ch를 통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EP2094039B1 (en) * 2008-02-20 2016-11-09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dding buffer status reports
JP5572149B2 (ja) * 2008-03-21 2014-08-1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アップリンク・グラントを求める無用なスケジューリング要求を禁止する方法
CN101978765B (zh) 2008-03-21 2013-12-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通信的方法及用于其的无线电台
JP2009296522A (ja) * 2008-06-09 2009-12-17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MX2010013646A (es) 2008-07-01 2010-12-21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 y disposicion en un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US20100034147A1 (en) * 2008-08-11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buffer status report robustness
US20100040028A1 (en) * 2008-08-13 2010-02-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on of procedur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13478B2 (en) * 2008-08-20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d allocating resources in multiple transmission opportunities
US8639997B2 (en) * 2008-09-03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Buffer status report trigger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167594B2 (en) * 2008-09-22 2015-10-20 Htc Corpo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of a trigger mechanism of buffer status report and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73474B2 (en) * 2008-10-17 2014-10-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mobile terminal providing priority-based 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EP2394458B1 (en) * 2009-02-03 2024-01-31 Lenovo Group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quantity of mobile terminals per quality of service class identifier
JP5417886B2 (ja) * 2009-02-24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及び通信方法
CN101860956B (zh) * 2009-04-10 2013-09-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在多载波系统中触发调度信息上报的方法和装置
US20100322086A1 (en) * 2009-06-17 2010-12-23 Motorola, Inc. Enabling buffer status report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282418A3 (en) * 2009-06-23 2011-03-09 Alcatel Lucent A station comprising at least two transmit antennas,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therefrom
EP2449844B2 (en) * 2009-06-29 2022-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63059B2 (en) * 2010-04-02 2016-06-07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CN102291200B (zh) * 2010-06-21 2014-05-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缓存状态报告的上报及数据量的确定方法、设备
EP2649858B1 (en) * 2010-12-07 2018-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enabling traffic accelera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8750224B2 (en) * 2011-09-26 2014-06-10 Nokia Corporation Preconfigured short scheduling request cycle
CN103036794A (zh) * 2011-10-10 2013-04-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的学习方法、装置和系统
WO2013064194A1 (en) * 2011-11-04 2013-05-10 Fujitsu Limited Buffer status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JP6050021B2 (ja) * 2012-04-19 2016-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20150201456A1 (en) * 2012-08-27 2015-07-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66918B1 (en) * 2013-03-29 2017-1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equest on uplink authorization resour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9204334B2 (en) * 2013-11-25 2015-12-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ase station, and a method for priorit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14112931A (ja) * 2014-02-12 2014-06-19 Fujitsu Ltd 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4131317A (ja) * 2014-02-12 2014-07-10 Fujitsu Ltd 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844538B1 (ko) * 2014-04-28 2018-04-02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이중 접속에서의 동시 스케줄링 요청 전송
KR102009495B1 (ko) * 2014-07-17 2019-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49902B2 (en) 2014-08-19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dmission control and load balancing
US20170111921A1 (en) * 2015-04-09 2017-04-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cheduling
WO2016204713A1 (en) 2015-06-18 2016-12-22 Intel IP Corporation Low latency contention based scheduling request
CN108366430B (zh) * 2017-01-26 2023-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请求的方法和终端设备
US10568128B2 (en) 2017-06-14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cheduling request acknowledgement
WO2019028884A1 (en) * 2017-08-11 2019-02-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ORDERING REQUEST PROCEDURE WITH MULTIPLE SCHEDULING REQUEST CONFIGURATIONS
CN110225594B (zh) * 2019-05-27 2022-05-0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调整调度请求周期的方法及装置
EP3869890B1 (en) * 2020-02-21 2023-12-13 Nokia Technologies Oy Enhanced scheduling request handling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1920B (fi) * 1996-06-07 1998-09-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Kanavanvarausmenetelmä pakettiverkkoa varten
US5896376A (en) 1996-12-13 1999-04-20 Ericsson Inc. Optimal use of logical channel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400695B1 (en) * 1998-05-22 2002-06-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ansmission based access priority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268679B1 (ko) 1998-07-31 2000-10-16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우선순위 결정방법
DE19848116A1 (de) 1998-10-19 2000-05-04 Siemens Ag Verfahren und Funk-Kommunikationssystem zur Signalisierungssteuerung
US6925068B1 (en) * 1999-05-21 2005-08-02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539338B2 (ja) * 2000-03-23 2004-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優先データ転送方法
US6807426B2 (en) * 2001-04-12 2004-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376879B2 (en) * 2001-10-19 2008-05-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AC archite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H-ARQ
NO318841B1 (no) 2002-08-20 2005-05-09 Telenor Asa System og fremgangsmate for a gi mobiltjenester hoyere tilgjengelighet
US8504054B2 (en) 2002-09-10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scheduling
JP3654284B2 (ja) * 2002-10-03 2005-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GB0225903D0 (en) 2002-11-07 2002-12-11 Siemens Ag Method for uplink access transmission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155236B2 (en) * 2003-02-18 2006-12-2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ed and autonomous transmission and acknowledgement
UA89024C2 (ru) * 2003-02-18 2009-12-25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обратной линии (варианты)
KR100570830B1 (ko) * 2003-07-29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씨에스엠에이/씨에이에 기반한 무선 랜에서의 매체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4391316B2 (ja) * 2003-07-31 2009-12-2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レスlan用のメディア・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装置
US20070081498A1 (en) * 2003-11-07 2007-04-12 Mitsubishi Denki Kabushki Kaisha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488457B2 (en) * 2003-11-14 2013-07-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buffered enhanced uplink data from a mobile station to a node-B
EP1892901A3 (en) * 2004-10-01 2011-07-13 Panasonic Corporation Quality-of-service (qos)-aware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on dedicated channels
US7924871B2 (en) 2004-11-24 2011-04-12 Nextel Communications Inc. Control channel priority access systems and methods
CN101473566B (zh) * 2006-06-22 2013-01-30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传送调度请求的方法及其终端设备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49B1 (ko) * 2008-04-22 201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우선순위를 가지는 무선베어러의무선자원 할당방법
KR20110053999A (ko) * 2008-08-11 2011-05-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131197B1 (ko) * 2009-01-22 2012-04-12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스케줄링 요청의 재설정 절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559962B2 (en) 2009-01-22 2013-10-15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configuration procedure for scheduling request
KR101405041B1 (ko) * 2009-06-19 2014-06-10 지티이 코포레이션 버퍼 영역 상태 리포트의 리포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시스템
US8934360B2 (en) 2009-06-19 2015-01-13 Zte Corpo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ystem for reporting buffer status report
WO2011043637A3 (ko) * 2009-10-09 201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743814B2 (en) 2009-10-09 2014-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91150B2 (en) 2009-12-16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uffer status reporting method for uplink schedul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WO2016186698A1 (en) * 2015-05-21 2016-11-24 Intel IP Corporation Non-contention based low latency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US11558886B2 (en) 2015-05-21 2023-01-17 Apple Inc. Non-contention based low latency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KR20200017282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3385B2 (en) 2013-08-06
RU2008150474A (ru) 2010-06-27
US9215703B2 (en) 2015-12-15
US20130308574A1 (en) 2013-11-21
CN101473566B (zh) 2013-01-30
WO2007148927A1 (en) 2007-12-27
US20120275418A1 (en) 2012-11-01
CN101473566A (zh) 2009-07-01
US20080004058A1 (en) 2008-01-03
EP1871057B1 (en) 2017-02-22
RU2417524C2 (ru) 2011-04-27
EP1871057A1 (en) 2007-12-26
US8243660B2 (en) 2012-08-14
KR100886536B1 (ko) 200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53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 방법 및 이를위한 단말 장치
RU2408169C2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канала связи,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труктура канала связи на участке радиолинии
US8325655B2 (en) Multi-carrier HSDPA channel establishing method and the multi-carrier downlink packet data transmitting method
US1017867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488004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US10314032B2 (en) Method and base station identifying PUCCH for processing feedback of user equipment
KR101023162B1 (ko) 고속 다운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무선망 제어부와 노드 b의 자원 관리 방법
KR10100782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송 요구 방식을 사용하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21533590A (ja) スロット内のpuschミニスロットのフレキシブルな繰り返し
US200802323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KR2008001364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액세스 프로시져를 이용한 정보의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2008000368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재전송 타이밍을 조정해서패킷을 신속하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7526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10537593A (ja) リソース、ネットワーク要素及びユーザ機器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
KR1009290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회선 교환 방식을 이용한 통신자원 할당 방법과 장치 및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1001324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 상태 보고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