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790A -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790A
KR20070117790A KR1020060051873A KR20060051873A KR20070117790A KR 20070117790 A KR20070117790 A KR 20070117790A KR 1020060051873 A KR1020060051873 A KR 1020060051873A KR 20060051873 A KR20060051873 A KR 20060051873A KR 20070117790 A KR20070117790 A KR 20070117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ne
building
anchor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Priority to KR102006005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7790A/ko
Publication of KR2007011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유닛과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단위 석재 패널의 배면부에서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을 씰링하기 위한 코킹재가 충전된 석재 패널 유닛과 트러스 프레임 유닛이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대면한 상태로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형성하는 단위 시공유닛 다수가 건축물 슬라브에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도록 시공되는 구성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 마감 시공시 시공상의 용이성과 시공비의 절감 및 시공기간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공법과 오픈 조인트(open joint) 공법의 양자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건축 외장 석재 패널,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Description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Stone pannel exterior wall constru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도 1은 종래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 시공구조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개략적인 결합 측면도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단위 시공유닛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석재 패널 단위 시공유닛에서 석재 패널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에 도시된 석재 패널 유닛의 개략적인 결합 측면도와 평면도,
도 8은 도 4의 석재 패널 단위 시공유닛에서 트러스 프레임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구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와 결합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공정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공정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석재 패널 유닛 101...석재 패널
101a...앵커홀 102...앵커
103...앵커 볼트 110...브라켓 프레임
120...앵커 브라켓 200...트러스 프레임 유닛
210...트러스 프레임 220...단열부재
221...C.R.C. 보드 222...압축발포 단열재 방수지(ISO PINK)
230...결합부재 240...보온단열재
300...석재 패널 시공유닛 310...체결부재
C...코킹재 S...코킹 시트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벽 마감 시공구조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 월(curtain wall) 형태의 건축물 외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 및 그 석재 패널 시공유닛을 이용하여 시공한 건축물 외장벽 마감 시공구조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층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내외장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마감재로서, 사각 평판형으로 가공 제작된 대리석이나 화강암과 같은 석재 패널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 내외장벽 시공 마감재로 사용되는 석재 패널은 통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슬라브(30)의 외벽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나란한 상태로 배열되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체를 형성하도록 마감 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석재패널(10)을 건축물의 외장벽으로 마감하여 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통상 앵커(41)와 브라켓(42) 및 볼트(43) 등과 같은 다수의 고정구들을 이용하여 트러스(20)를 건축물 슬라브(30)에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트러스(20)는 각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가 일정한 규격의 격자형 단위 모듈을 이루도록 철제틀로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트러스(20)에 석재 패널(30)이 고정되도록 "ㄴ"형 앵커 또는 브라켓 및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다수의 체결부재(51 내지 59)를 체결하여 커튼월 형태의 외벽체로 시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는 주로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공법이나 오픈 조인트(open joint)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즉, 클로우즈드 조인트 공법은 서로 인접한 석재 패널(3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소정 간격의 틈새를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예컨대, 실리콘 등과 같이 반죽상태의 석유화합물로 이루어진 코킹재(C)를 충전하여 씰링된 시공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오픈 조인트 공법은 서로 인접한 석재 패널(3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소정 간격의 틈새가 오픈된 상태의 시공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클로우즈드 조인트 시공구조의 경우, 코킹재(C)가 태양열, 자외선, 산성비 등의 외부환경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물성이 기름성분으로 변하면서 석재 패널(30)의 외벽면에 기름띠와 같은 얼룩 등의 오염상태를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 외관미의 저하는 물론 오염에 따른 앵커와 브라켓 등의 철제 고정구와 트러스(20)의 부식으로 인하여 내구성과 안전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오픈 조인트 시공구조의 경우, 석재 패널(30)의 틈새를 통한 빗물 누수 등으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함으로써, 앵커와 브라켓 등의 철제 고정구와 트러스(20)의 부식으로 인하여 내구성과 안전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에 따르면, 트러스(20)의 제작과 운반 및 설치과정에 따른 준비절차가 복잡함과 동시에 앵커 또는 브라켓 및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다수의 체결부재가 소요되므로, 시공시간과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등 시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간편 시공이 가능하도록 시공 용이성의 향상과 시 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공법과 오픈 조인트(open joint) 공법의 양자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을 이용하여 간편 시공이 가능하도록 시공 용이성의 향상과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공법과 오픈 조인트(open joint) 공법의 양자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유닛을 이용하여 간편 시공이 가능하도록 시공 용이성의 향상과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클로우즈드 조인트(closed joint) 공법과 오픈 조인트(open joint) 공법의 양자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은,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커 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도록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후방에서 충전된 코킹재가 개재되도록 씰링되며, 상기 코킹재의 배면과 단위 석재 패널의 배면은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석재 패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석재 패널 시공유닛은 코킹재를 백업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된 코킹 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은, 복수의 단위 석재 패널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브라켓 프레임과, 상기 석재 패널과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결합시켜 주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와, 상기 1쌍의 브라켓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 브라켓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은,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의 앵커 브라켓과 정렬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앵커홀이 구비되며, 일면에 단열 부재가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트러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이 대면한 상태로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형성하도록 상기 앵커홀과 상기 앵커 브라켓을 관통 결합시켜 주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는,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으로 시공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후방에서 충전된 코킹재가 개재되도록 씰링되며, 상기 코킹재의 배면과 단위 석재 패널의 배면은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는,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도록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 시공되는 것으로, 복수의 단위 석재 패널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브라켓 프레임과, 상기 석재 패널과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결합시켜 주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와, 상기 1쌍의 브라켓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후방에서 충전된 코킹재가 개재되도록 씰링되며, 상기 코킹재의 배면과 단위 석재 패널의 배면이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의 앵커 브라켓과 정렬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앵커홀이 구비되며, 일면에 단열부재가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트러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이 대면한 상태로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형성하도록 상기 앵커홀과 상기 앵커 브라켓을 관통 결합시켜 주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의 결합부재가 결 합되도록 상기 단위 시공 유닛 다수가 설치되어 다수의 석재 패널이 건축물 슬라브에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은,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을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하여 건축물의 슬라브에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으로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석재 패널의 배면부에서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을 씰링하기 위한 코킹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코킹재의 충전 단계 전후에 각각,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에 씰링용 코킹재의 충전을 제어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코킹 시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코킹 시트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은,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건축물 슬라브에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석재 패널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브라켓 프레임과, 상기 석재 패널과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결합시켜 주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와, 상기 1쌍의 브라켓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코킹재가 후방에서 충전되어 개재되도록 씰링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석재 패널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의 앵커 브라켓과 정렬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앵커홀이 구비되며, 일면에 단열 보드가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트러스 프레임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앵커홀과 상기 앵커 브라켓을 관통 결합시켜 상기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이 대면한 상태로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형성하도록 단위 석재 패널 시공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의 결합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시공 유닛 다수를 설치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킹재의 두께는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 간격이 이루는 치수의 절반 이하로 형성되도록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은 석재 패널과 브라켓 프레임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두께 편차 보정용 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의 결합부재는 건축물 슬라브의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앵커 바아가 결합되는 장공을 가지며, 트러스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앵글에 소정 각도 스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부재는 1쌍의 C.R.C.보드의 사이에 압축발포 단열재 방수지(ISO PINK)가 개재되어 샌드위치 형태의 3층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과, 그 석재 패널 시공유닛을 이용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유닛(300)은 석재 패널 유닛(100)과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310)에 의해 서로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과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은 각각 별도 공정에 의해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단위 유닛으로 제작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은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101)과 브라켓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은 트러스 프레임(210)과 단열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101)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정한 면적의 사각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정렬된다. 이와 같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각 석재 패널(101)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에는 후방에서 충전된 코킹재(C)가 개재되도록 씰링된다.
상기 코킹재(C)의 충전시, 먼저 상기 석재 패널(101)의 틈새 간격 중앙부에 백업재(back-up plate)로서 본드 브레이커(bond breaker)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도 록 오일 등이 도포된 코킹 시트(S)를 설치해 두고, 코킹재(C)를 후방에서 충전한다.
따라서, 상기 코킹재(C)의 배면과 석재 패널(101)의 배면은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코킹재(C)의 두께는 상기 석재 패널(101)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 간격이 이루는 치수(t)의 절반(t/2) 이하로 형성되도록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킹 시트(S)는 상기 코킹재(C)의 충전 완료후 적절한 응고상태가 이루어지면, 코킹재(C)의 일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백업재의 기능과 역할을 하도록 그대로 둘 수도 있으며, 분리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코킹 시트(S)의 분리 제거시 미리 도포된 오일 등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석재 패널(101)의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1쌍의 브라켓 프레임(110)이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 프레임(110)의 몸체에는 각각 앵커 브라켓(120)이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석재 패널(101)의 배면에는 각각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복수의 앵커홀(101a)이 가공 형성된다.
상기 앵커홀(101a)은 수직단면 형상이 예컨대, 더브 테일형(dove tail type)으로 가공되며, 가공 깊이는 석재 패널(101)의 대략 1/2 내지 2/3의 두께 지점까지 가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석재 패널(101)의 두께에 따라 앵커홀(101a)을 적정 깊이로 조정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상기 앵커홀(101a)에는 콜렛형 앵커(102)가 삽입되며, 상기 앵커(102)의 중 심축공에 앵커 볼트(103)를 삽입함으로써, 콜렛형 앵커(102)의 끝단 외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석재 패널(101)에 대한 견고한 체결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 프레임(110)은 석재 패널(101)의 배면에 접하는 평판형 몸체(111)와, 그 평판형 몸체(111)의 일측단에 수직상태로 직립된 지지부(112)를 가지도록 "ㄴ"형상의 횡단면 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강재 앵글형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프레임(110)의 지지부(112)에는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랜지형 앵커 브라켓(120)이 미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앵커 브라켓(120)은 석재 패널 유닛(100)과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과의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아치형 몸체 중앙부에 체결공(121)을 가진다.
상기 브라켓 프레임(110)의 평판형 몸체(11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복수의 결합공(111a)이 미리 가공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11a)은 상기 앵커홀(101a)과 각각 대응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11a)을 통하여 앵커홀(101a)에 삽입된 앵커(102)의 중심축공으로 각각 앵커 볼트(103)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석재 패널(101)의 배면에 브라켓 프레임(110)이 일체화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은 격자형 트러스 프레임(210)과 단열부재(220) 및 결합부재(230)와 앵글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다.
상기 트러스 프레임(210)은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수직부재(211)와 수평부 재(212)가 일정한 규격의 격자형 단위 모듈을 이루도록 철제틀로 제작된다.
상기 단열부재(220)는 예컨대, 판상의 C.R.C.보드(Compressed Cellulose Reinferced Cement Board)(221)의 사이에 압축발포 단열재 방수지(ISO PINK)(222)가 개재되어 소위, 샌드위치 형태의 3층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부재(220)는 접착제 또는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트러스 프레임(210)의 일면에 적층된 형태로 부착되며, 굳이 3층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존의 통상적인 단열부재들을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230)는 건축물 슬라브(도 9의 참조부호 10 참조)의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앵커 바아(도 9의 참조부호 11 참조)에 삽입되도록 장공(231)을 가지며, 트러스 프레임(210)에 설치된 지지앵글(232)에 소정 각도 스윙 가능하도록 볼트(233)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프레임(210)의 후면부에 형성된 격자형 요부에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단열재(240)가 충전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은, 코킹재(C)가 석재 패널(101)의 배면 후방부에서 충전된 구조를 가지므로 실제로는 클로즈 조인트(Closed Joint) 시공구조를 가지나, 코킹재(C)의 충전 깊이로 인하여 석재 패널(101)의 전면부에서 관찰할 때 오픈 조인트(Open Joint) 시공구조의 외관 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 유닛(300)은 도 5 내지 도 8에 의해 각각 설명된 석재 패널 유닛(100)과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310)에 의해 서로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조의 단위 시공유닛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장벽을 커튼 월(curtain wall) 형태로 시공 건축하는 경우, 별도의 생산현장에서 대량생산 시스템 구축에 의해 표준화된 상태의 단위 석재 패널 시공 닛(300)을 양산하여 건축현장으로 운반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 용이성 향상과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 향상과 건축현장의 생(省)스페이스 즉, 건축현장의 자재적재 공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을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와 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이 건축 현장으로 운반되어 예컨대, 크레인이나 곤돌라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 슬라브(10)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 시공되어 다수의 석재 패널(101)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즉, 건축물 슬라브(10)의 바닥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앵커 바아(11)가 상기 석재 패널 시공 유닛(300)의 트러스 프레임(210)에 구비된 결합부재(230)의 장 공(231)에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너트부재로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석재 패널(101)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석재 패널 시공 유닛(300)을 건축물 슬라브(10)의 정해진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치 시공함으로써, 다수의 석재 패널(101)이 커튼월 형태로 건축물 외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은 석재 패널(101)과 브라켓 프레임(12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두께 편차 보정용 블록(B)을 더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석재 패널(101)은 가공상태에 따라 배면 편평도(평활도)의 편차에 대한 산포가 큰 경우가 많으므로, 이때 상기 두께 편차 보정용 블록(B)을 이용하여 산포를 보정하게 된다. 즉,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석재 패널(101)의 배면 편평도(평활도) 상태에 따라 두께 편차 보정용 블록(B)을 브라켓 프레임(120)의 사이에 개재하여 전체적인 두께가 일정한 레벨수준을 유지하도록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의 제작과정과 그 시공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은 각각 별도의 제작과정을 통하여 단위 유닛을 형성하게 되는 석재 패널 유닛(100)과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은 예컨대, 각파이프의 절단과 용접 공정 등을 통해 제작되는 통상의 트러스 프레임(210)의 제작과정과, 그 트러 스 프레임(210)에 구비되는 액서서리들 즉, 단열부재(200)와 결합부재(230) 및 지지앵글(232) 등을 설치하는 과정에 의해 제작 완료된다.
도 11은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해 보인 공정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 규격의 사각 패널 형태로 가공 완료된 단위 석재 패널(101)의 배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복수의 앵커홀(101a)을 가공한다(S-21 단계).
상기 앵커홀(101a)은 수직단면 형상이 예컨대, 더브 테일형(dove tail type)으로 가공되며, 가공 깊이는 석재 패널(101)의 대략 1/2 내지 2/3의 두께 지점까지 가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석재 패널(101)의 두께에 따라 앵커홀(101a)을 적정 깊이로 조정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앵커홀(101a)에 콜렛형 앵커(102)를 삽입한다(S-22단계).
이어서, 앵커홀(101a)이 가공 완료된 다수의 석재 패널(101)을 일정한 면적의 사각형태로 배열하여 정렬시킨다(S-23단계).
다음 단계로, 각 석재 패널(101)의 틈새 간격 중앙부에 본드 브레이커(bond breaker)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오일 등이 도포된 코킹 시트를 설치하고(S-24단계), 석재 패널(101)의 배면 후방부에서 코킹 시트상에 적층되도록 코킹재(C)를 충전한다(S-24-1단계). 이후, 석재 패널(101)의 틈새에서 코킹재(C)가 응고된 상태에서 코킹 시트(S)를 분리하여 제거한다(S-24-2단계). 이로써, 코킹재(C)의 배면과 석재 패널(101)의 배면은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구조를 가지게 된 다. 이때, 코킹재(C)의 두께는 석재 패널(101)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 간격이 이루는 치수(t)의 절반(t/2) 이하로 형성되도록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코킹 시트(S)는 상기 코킹재(C)의 충전 완료후 분리하여 제거할 수도 있으나, 코킹재(C)의 일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백업재의 기능과 역할을 하도록 그대로 둘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석재 패널(101)의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1쌍의 브라켓 프레임(110)을 나란하게 세로 배치되도록 배열하여 정렬시킨다(S-25단계).
상기 브라켓 프레임(110)에는 상기 앵커홀(101a)과 대응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결합공(111a)이 이미 가공되어 있으며, 별도 공정에 의해 앵커 브라켓(12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S-14단계에서 각각의 석재 패널(101)의 가공상태에 따른 배면 편평도(평활도)의 편차를 측정하여 높이(두께) 레벨 조정여부를 확인한다(S-26단계).
여기서, 석재 패널(101)의 높이(두께) 레벨 조정이 필요한 경우, 해당 석재 패널(101)과 브라켓 프레임(120)의 사이에 두께 편차 보정용 블록(B)을 개재시켜 가면서 석재 패널(101)의 전체적인 두께가 일정한 레벨수준을 유지하도록 보정한다(S-27단계).
다음 단계로, 상기 콜렛형 앵커(102)의 중심축공에 앵커 볼트(103)를 삽입하여 체결한다(S-28단계).
이로써, 콜렛형 앵커(102)의 끝단 외경이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석재 패널(101)에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수의 석재 패널(101)의 배면에 브라켓 프레 임(110)이 일체화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도록 결합됨으로써, 석재 패널 유닛(100)이 완성된다(S-29단계).
요컨대,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이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310)에 의해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한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단위 석재 패널 시공 유닛(300)의 제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 시공방법은, 도 12에 도시한 공정 순서도에서와 같이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을 제작하는 단계(S-10)와, 상기 석재 패널 유닛(100)을 제작하는 단계(S-20)와,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200)과 석재 패널 유닛(100)을 결합하여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을 제작하는 단계(S-30) 및 그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건축물 슬라브(10)에 조립식으로 순차 설치 시공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다수의 석재 패널(101)이 커튼월 형태의 건축물 외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에 따르면, 코킹재(C)가 석재 패널(101)의 배면 후방부에서 충전된 구조를 가지므로 실제로는 클로즈 조인트(Closed Joint) 시공구조를 가지나, 코킹재(C)의 충전 깊이로 인하여 석재 패널의 전면부에서 관찰할 때 오픈 조인트(Open Joint) 시공구조의 외관 효과를 가질 수가 있으므로, 양자의 시공구조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생산현장에서 대량생산 시스템 구축에 의해 표준화된 상태의 단위 석재 패널 시공유닛(300)을 패키지화된 상태로 양산하여 건축현장으로 운반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 용이성 향상과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 향상과 건축현장의 생(省)스페이스 즉, 건축현장의 자재적재 공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석재 패널의 외장 마감 시공을 위한 준비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부품수의 삭감에 따라 추가적인 시공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 패널의 조립과정에서 인접된 석재 패널과의 정렬도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게 되므로, 시공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3)

  1.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도록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후방에서 충전된 코킹재가 개재되도록 씰링되며, 상기 코킹재의 배면과 단위 석재 패널의 배면은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석재 패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은,
    복수의 단위 석재 패널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브라켓 프레임과, 상기 석재 패널과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결합시켜 주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와, 상기 1쌍의 브라켓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의 앵커 브라켓과 정렬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앵커홀이 구비되며, 일면에 단열 부재가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트러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이 대면한 상태로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형성하도록 상기 앵커홀과 상기 앵커 브라켓을 관통 결합시켜 주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재는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 간격이 이루는 치수의 절반 이하로 두께가 형성되도록 충전되며, 일면이 코킹 시트에 접하여 백업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1쌍의 C.R.C.보드의 사이에 압축발포 단열재 방수지(ISO PINK)가 개재되어 샌드위치 형태의 3층 적층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 시공 유닛.
  5.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으로 시공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후방에서 충전된 코킹재가 개 재되도록 씰링되며, 상기 코킹재의 배면과 단위 석재 패널의 배면은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재는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 간격이 이루는 치수의 절반 이하로 두께가 형성되도록 충전되며, 일면이 코킹 시트에 접하여 백업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
  7.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도록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 시공되는 것으로,
    복수의 단위 석재 패널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브라켓 프레임과, 상기 석재 패널과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결합시켜 주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와, 상기 1쌍의 브라켓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후방에서 충전된 코킹재가 개재되도록 씰링되며, 상기 코킹재의 배면과 단위 석재 패널의 배면이 서로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의 앵커 브라켓과 정렬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앵커홀이 구비되며, 일면에 단열부재가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트러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이 대면한 상태로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형성하도록 상기 앵커홀과 상기 앵커 브라켓을 관통 결합시켜 주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의 결합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단위 시공 유닛 다수가 설치되어 다수의 석재 패널이 건축물 슬라브에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재는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 간격이 이루는 치수의 절반 이하로 두께가 형성되도록 충전되며, 일면이 코킹 시트에 접하여 백업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1쌍의 C.R.C.보드의 사이에 압축발포 단열재 방수지(ISO PINK)가 개재되어 샌드위치 형태의 3층 적층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
  10.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을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하여 건축물의 슬라브에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으로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석재 패널의 배면부에서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을 씰링하기 위한 코킹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재의 충전 단계 전후에 각각,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에 씰링용 코킹재의 충전을 제어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코킹 시트를 백업재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코킹 시트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재의 두께는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 간격이 이루는 치수의 절반 이하로 두께가 형성되도록 충전되며, 일면이 코킹 시트에 접하여 백업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
  13. 다수의 단위 석재 패널이 각각 인접한 단위 석재 패널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건축물 슬라브에 커튼월 형태의 외장벽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석재 패널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1쌍의 브라켓 프레임과, 상기 석재 패널과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결합시켜 주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와, 상기 1쌍의 브라켓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각 단위 석재 패널 사이의 틈새 간격에는 코킹재가 후방에서 충전되어 개재되도록 씰링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석재 패널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석재 패널 유닛의 앵커 브라켓과 정렬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앵커홀이 구비되며, 일면에 단열 보드가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단위 유닛을 이루는 트러스 프레임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앵커홀과 상기 앵커 브라켓을 관통 결합시켜 상기 석재 패널 유닛과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이 대면한 상태로 한조의 단위 시공 유닛을 형성하도록 단위 석재 패널 시공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앵커 바아와 상기 트러스 프레임 유닛의 결 합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단위 석재 패널 시공 유닛 다수를 설치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 형성용 석재 패널의 시공방법.
KR1020060051873A 2006-06-09 2006-06-09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KR20070117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873A KR20070117790A (ko) 2006-06-09 2006-06-09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873A KR20070117790A (ko) 2006-06-09 2006-06-09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790A true KR20070117790A (ko) 2007-12-13

Family

ID=3914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873A KR20070117790A (ko) 2006-06-09 2006-06-09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779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8596B (zh) * 2008-08-13 2010-06-16 中山盛兴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单元式幕墙单元板块用的操作台
CN109736524A (zh) * 2018-12-18 2019-05-10 浙江绿筑集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石材反打构造的预制外墙及其制作方法
KR102020170B1 (ko) 2019-01-17 2019-09-09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CN110295697A (zh) * 2019-05-31 2019-10-01 温州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外立面镂空砖安装结构及其安装工艺
KR102054616B1 (ko) 2019-04-19 2019-12-11 서광석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KR20200089582A (ko) 2019-05-30 2020-07-27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KR102228485B1 (ko) 2020-07-28 2021-03-16 세종산업 주식회사 내진용 외장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17606A (ko) 2021-02-17 2022-08-24 심완섭 내진용 외장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86841B1 (ko) 2022-03-14 2023-01-10 디에스씨(주) 내진 구조 및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춘 외벽 시공 방법
KR102632642B1 (ko) 2023-07-26 2024-02-02 주식회사 에코텍이엔지 외벽 패널의 다중 진동 흡수용 내진 구조체 제조 및외벽 패널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8596B (zh) * 2008-08-13 2010-06-16 中山盛兴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单元式幕墙单元板块用的操作台
CN109736524A (zh) * 2018-12-18 2019-05-10 浙江绿筑集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石材反打构造的预制外墙及其制作方法
KR102020170B1 (ko) 2019-01-17 2019-09-09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KR102054616B1 (ko) 2019-04-19 2019-12-11 서광석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KR20200089582A (ko) 2019-05-30 2020-07-27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CN110295697A (zh) * 2019-05-31 2019-10-01 温州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外立面镂空砖安装结构及其安装工艺
KR102228485B1 (ko) 2020-07-28 2021-03-16 세종산업 주식회사 내진용 외장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17606A (ko) 2021-02-17 2022-08-24 심완섭 내진용 외장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86841B1 (ko) 2022-03-14 2023-01-10 디에스씨(주) 내진 구조 및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춘 외벽 시공 방법
KR102525669B1 (ko) 2022-03-14 2023-04-25 주식회사 에코텍이엔지 내진 구조 및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춘 외벽 시공 방법
KR102632642B1 (ko) 2023-07-26 2024-02-02 주식회사 에코텍이엔지 외벽 패널의 다중 진동 흡수용 내진 구조체 제조 및외벽 패널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7790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패널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KR100741419B1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판넬의 시공구조
US9340972B2 (en) Building panel,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8769891B2 (en) Building method using multi-storey panels
JP2003512546A (ja) フレームレス建築物システム
US20140298745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construction
AU2008286675A1 (en) Panel building system
WO2015042665A1 (en) Building panels – systems components & methods
CN110616846A (zh) 一种装配式砌块、装配式砌块锁锚墙体建筑体系及其施工方法
GB1601619A (en) Building block and module system for building
US11840836B2 (en) Structural wall panel system
CN210316179U (zh) 一种装配式砌块及装配式砌块锁锚墙体建筑体系
US3466828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WO2002064900A1 (en) Modular structure
KR100555320B1 (ko) 오픈조인트식 외벽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체 시공방법
US20060016143A1 (en) Insulated tile and stone block wall
US20240084593A1 (en) Structual Wall Panel System
AU2012201775B2 (en) A building panel,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AU2012100747B4 (en) A building panel,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20220235547A1 (en) Steel and concrete building module and connections
GB2497099A (en) Construction element and module formed from the element
OA20490A (en) Structural wall panel system
AU2010101491A4 (en) A Structural Panel
CN113958039A (zh) 一种防开裂的轻质墙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AU2012100259A4 (en) A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