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401A -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401A
KR20070117401A KR1020060051633A KR20060051633A KR20070117401A KR 20070117401 A KR20070117401 A KR 20070117401A KR 1020060051633 A KR1020060051633 A KR 1020060051633A KR 20060051633 A KR20060051633 A KR 20060051633A KR 20070117401 A KR20070117401 A KR 2007011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panel
emitting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959B1 (ko
Inventor
이경자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이경자
이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자, 이재화 filed Critical 이경자
Priority to KR102006005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95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54Light diffusing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63Layer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e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 및 상기 발광부 사이에 형성되어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의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고장치는 LED와 같은 발광부와 아크릴판 등의 패널 사이에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속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필터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Advertizing Apparatus Having Lighting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고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도 1에 도시된 패널부의 측면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1에 도시된 패널부의 단면 일부를 보여주는 일부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패널부가 복수개의 패널로 구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패널부 150: 문양
200: 발광부 300: 필터부
본 발명은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장치는 상점·영업소 등에서, 그 이름·판매 상품 따위를 나타내어 사람들의 눈에 잘 띄도록 걸거나 붙이는 간판 등이 있다.
종래의 광고장치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케이싱 내부 또는 외부에 형광등, 네온등의 발광체을 설치하고 케이싱의 외면에 일정한 문자, 도형 등으로 구성된 문향을 표시하고 발광체를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광고장치 중 하나로서, 아크릴판에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도형이나 문자 등의 문양을 조각 또는 스크래치하여 형성하고 이를 LED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여 문양에 난반사를 일으켜 광고를 하는 LED를 구비한 광고장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LED를 구비한 광고장치는 LED를 아크릴판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문양에 조사되는 빛에 변화를 주어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ED와 같은 발광부와 투명한 패널 사이에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속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필터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와 같은 발광부와 아크릴판 등의 패널 사이에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킬 수 있는 왜곡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양이 각각 형성된 평판을 복수개로 구성함으로써 각 패널에 형성된 문양에 의하여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는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 및 상기 발광부 사이에 형성되어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의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패턴을 이루어 도색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패널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패턴을 이루어 부착되는 필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패턴을 이루어 형성된 요홈부에 도료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의 측면은 상기 발광부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키기 위한 왜곡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왜곡부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왜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는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문양은 상기 패널부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부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개 의 패널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LED는 청색, 적색 및 녹색이 일정한 규칙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일정한 패턴으로 점멸되는 복수개의 LED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의 측면은 상기 발광부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키기 위한 왜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필터부 및/또는 왜곡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키거나 속성을 변화시켜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문양(150)이 형성된 패널부(100)와, 패널부(100)의 측면(120)에서 패널부(100)의 내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부(100)는 문양(1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평판 등의 형상을 이루며, 유리, 아크릴 등과 같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널부(100)의 테두리에는 패널부(100)를 보호하거나 건물의 외벽 등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16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60)은 패널부(100)의 테두리 전체에 결합되거나 일부분에만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발광부(2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60)는 패널부(100)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 발광부(200)를 내장한 상태로 패널부(100)의 일변에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60)은 발광부(200)에 조사되는 빛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패널부(100)의 테두리 전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과 같이 견고한 부재로 패널부(100)의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ㄷ'자 형상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ㄷ'자 형상의 프레임(160)의 내측에 후술할 발광부(200)를 이루는 발광부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장착돌기(161)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60)에는 건물 등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162)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부(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문양(150)은 문자, 도형 등으루 구성되며, 패널부(10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조각 또는 스크래치 등에 의하여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다. 이때 조사되는 빛이 난반사되어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패널부(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문양(150)은 조각 또는 스크래치 등에 의하여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양(150)은 그 자체로 색상을 가지도록 패널부(100)의 표면에 도색되어 형성되거나 색상을 가지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시트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200)는 패널부(10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어 패널부(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패널부(100)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그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부(200)는 하나 이상의 LED(210)와, LED(210)들이 고정시킴과 동시에 LED(210)들에 전원의 공급 및 점멸 제어 등을 위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220)을 포함하는 발광부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20)은 프레임(160)에 형성된 장착돌기(161)들 사이에 끼워져 프레임(16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210)는 삼색광을 모두 발하거나, 청색, 적색 및 녹색이 일정한 규칙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210)는 일정한 패턴으로 회로기판(220)에 설치된 제어회로에 의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조립체는 회로기판(2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장치가 내장되어 구성되거나, 회로기판(220)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전원연결선(221)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0)의 측면을 통하여 내부로 진행하여 문양(150)에 이르게 되며, 난반사 등에 의하여 외부에 문양을 독특하게 표시하게 된다. 이때 패널부(100)의 측면을 통하여 조사되는 빛은 휘도, 색상 등의 그 속성이 변화하거나 굴절 등에 의하여 왜곡되는 경우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0)의 측면 및 발광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빛의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필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00)는 발광부(200)에서 발생되는 빛을 휘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며, 패널부(100)의 측면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분에 패턴을 이루어 도색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부(300)는 패널부(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패턴을 이루어 부착되는 필터부재(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0)는 패널부(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패턴을 이루어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도료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0)는 발광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때 색상이나 휘도 등 빛의 속성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바, 패널부(100)의 측면에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패널부(1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0)의 측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0)의 측면을 면분할하고 각 분할된 면들에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나 이상의 선들로 형성되거나, 도 4e 내지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별, 사각형 등 도형의 배열 등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부(200)를 구성하는 색상은 단색뿐만아니라, 청, 적, 녹 등 여러 색상의 조합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부(300)는 발광부(2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필터부(300)를 투과할 때 그 속성의 변화를 가미하여 문양(150)에 빛이 조사되게 함으로써 발광부(200) 자체만으로 구현할 수 없는 빛의 속성 변화를 가미하여 시각효과를 높이게 된다. 예를 들면 특정 색상을 강조하고자 하는 경우 발광부(200) 자체로는 휘도를 감소시켜야만 구현이 가능하나, 필터부(300)를 추가로 구비한 경우에는 발광부(200)의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특정 색상을 강조할 수 있으며, 구간별로 다른 색상을 부가하여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색상의 변화를 일으켜 보는 이로 하여금 독특한 시각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패널부(100)의 측면은 발광부(200)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키기 위한 왜곡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왜곡부는 발광부(200)에서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거나, 일부를 산란시키는 등 패널부(100) 측면을 투과하는 빛을 왜곡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며,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00)의 측면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왜곡부는 패널부(100)의 단면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150)이 형성된 평면과 경사(즉, 쇄기 형상 등)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부는 도 5b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의 측면에 형성된 하 나 이상의 요홈부(410)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부(410)의 형상은 각진 형상을 이루거나 곡선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왜곡부는 패널부(100)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왜곡부는 필터부(3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왜곡 및 속성의 변화를 부가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300)는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부를 이루는 부분에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부(10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판 또는 3개의 평판 등 복수개의 평판(101, 101)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평판(101)들 각각은 문양(200)이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 평판에 문양부(200)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각 평판(101)에 형성된 문양(200)들에 의하여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300) 및/또는 왜곡부는 패널부(1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평판(101)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LED와 같은 발광부와 투명한 패널 사이에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속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필터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LED와 같은 발광부와 아크릴판 등의 패널 사이에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킬 수 있는 왜곡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보 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필터부 및/또는 왜곡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키거나 속성을 변화시켜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문양이 각각 형성된 평판을 복수개로 구성함으로써 각 패널에 형성된 문양에 의하여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6)

  1.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 및 상기 발광부 사이에 형성되어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의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패턴을 이루어 도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패턴을 이루어 부착되는 필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패턴을 이루어 형성된 요홈부에 도료가 주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의 측면은 상기 발광부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키기 위한 왜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부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왜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은 상기 패널부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청색, 적색 및 녹색이 일정한 규칙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일정한 패턴으로 점멸되는 복수개의 LED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15.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16.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의 측면은 상기 발광부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을 왜곡시키기 위한 왜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KR1020060051633A 2006-06-08 2006-06-08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KR10080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633A KR100809959B1 (ko) 2006-06-08 2006-06-08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633A KR100809959B1 (ko) 2006-06-08 2006-06-08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401A true KR20070117401A (ko) 2007-12-12
KR100809959B1 KR100809959B1 (ko) 2008-03-06

Family

ID=3914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633A KR100809959B1 (ko) 2006-06-08 2006-06-08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9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865B1 (ko) * 2008-04-07 2009-07-14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번호판유닛
KR101107967B1 (ko) * 2010-06-08 2012-01-30 박민정 발광부를 구비한 원통형 광고장치
KR101107966B1 (ko) * 2010-06-08 2012-01-30 박민정 시각효과를 높인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WO2018092402A1 (ja) * 2016-11-18 2018-05-24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表示装置及び遊技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9B1 (ko) * 2009-01-20 2009-08-21 승리하이텍 주식회사 유도등
KR101329508B1 (ko) * 2012-12-17 2013-11-13 권오용 하향 조사 집중 타입의 광고용 발광전시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949A (ja) * 2001-09-11 2003-03-20 Onkyo Corp 情報ソ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03177B1 (ko) * 2004-04-26 2006-07-24 박용수 전자조명 유리장치
KR20040063887A (ko) * 2004-06-26 2004-07-14 최종오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아크릴 조명장치
JP2008001005A (ja) * 2006-06-23 2008-01-10 Ricoh Printing Systems Ltd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故障検出方法
JP2008001001A (ja) * 2006-06-23 2008-01-10 Shigeru Co Ltd 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865B1 (ko) * 2008-04-07 2009-07-14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번호판유닛
KR101107967B1 (ko) * 2010-06-08 2012-01-30 박민정 발광부를 구비한 원통형 광고장치
KR101107966B1 (ko) * 2010-06-08 2012-01-30 박민정 시각효과를 높인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WO2018092402A1 (ja) * 2016-11-18 2018-05-24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表示装置及び遊技機
JP2018081272A (ja) * 2016-11-18 2018-05-24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表示装置及び遊技機
US10802197B2 (en) 2016-11-18 2020-10-13 Omron Corporation Light guide plate, display apparatus, and gam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959B1 (ko)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6591A (en) Sign with indirect illumination from light emitting diodes
KR100787552B1 (ko) 직시형 컬러 발광 프레임을 갖는 광고용 싸인보드
KR100809959B1 (ko)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KR20080101748A (ko) 평면 광원을 이용한 조명 간판
KR20110113063A (ko) 전방 및 후방 측면에서 발광되는 면발광 광고장치
KR101107966B1 (ko) 시각효과를 높인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KR101186454B1 (ko) 입체 간판용 광확산 3면 구조체
KR101077237B1 (ko) 입체 간판용 구조체
CN101307881A (zh) 牌匾照明用平面光源
KR20180043053A (ko) 입체 문자 간판
US6591530B1 (en) Dynamic picture set
KR20070088240A (ko) 동적 효과를 연출하는 측 단면 조명 방식의 화면 장치.
KR20090001569U (ko) 엘이디 조명 아크릴 간판
JP2003050555A (ja) 屋外用看板装置
KR101107967B1 (ko) 발광부를 구비한 원통형 광고장치
KR101096627B1 (ko) 시인성이 향상된 간판
KR200315268Y1 (ko) 풀 컬러 싸인 보드의 패널구조
KR100541229B1 (ko) 광표출장치
KR20120047738A (ko) 채널사인의 측면 조명 구조
KR20160112194A (ko)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KR20040063887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아크릴 조명장치
KR200380978Y1 (ko) 멀티 컬러 발광보드
KR200370447Y1 (ko) 장식 겸용 광고장치
CN215951205U (zh) 一种自助设备隐藏式发光组件安装结构
KR200394336Y1 (ko) Led 램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