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544A - 전기 기계용 자성 분말 메탈 컴포지트 코어 - Google Patents

전기 기계용 자성 분말 메탈 컴포지트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544A
KR20070116544A KR1020070053917A KR20070053917A KR20070116544A KR 20070116544 A KR20070116544 A KR 20070116544A KR 1020070053917 A KR1020070053917 A KR 1020070053917A KR 20070053917 A KR20070053917 A KR 20070053917A KR 20070116544 A KR20070116544 A KR 2007011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ore segment
section
upper section
gene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763B1 (ko
Inventor
존 엔키스트
데이빗 파르니아
Original Assignee
버지스-노턴 매뉴팩처링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지스-노턴 매뉴팩처링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버지스-노턴 매뉴팩처링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8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pow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2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6Magnetic cores, or permanent magnets characterised by their sk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압축식 자성 분말 메탈 부품 조립체가 제공된다. 각각의 부품 조립체는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을 갖는다.
각각의 상부 섹션은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이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는 코어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하부 섹션은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이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상기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는 코어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은 부품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전기 기계용 자성 분말 메탈 컴포지트 코어{MAGNETIC POWDER METAL COMPOSITE CORE FOR ELECTRICAL MACHIN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별개의 부품을 분리한 상태의 부품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 압축 구성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 압축 구성의 세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상부 섹션 10 : 부품
12 : 중앙부 13 : 반경방향 중심축
14 : 코어 섹션 17 : 권선 지지체
29 : 바닥부 40 : 상부 에지
42 : 하부 에지
본 발명은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코어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기계, 가장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에 사용되는 부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모터 및 발전기와 같은 전기 기계는 고정식 요소(보통 "스테이터"라 함)와,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회전하는 요소(일반적으로 "로터"라고 함)를 구비한다.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상호작용은 스테이터 또는 로터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자계는 통상적으로 스테이터 또는 로터상에 위치된 권선 내의 전류에 의해 발생 또는 유도된다. 이러한 권선은 통상적으로 권선 지지체 둘레에 권취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권선 지지체는 통상적으로 선택된 강 재료의 적층체로 제조된 소프트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적층체는 와상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절연된다.
이러한 전기 기계의 설계에 있어서는, 전기 기계의 코어 내에 있는 스테이어와 로터 사이의 코깅 토크(cogging torque)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거나 요구된다. 비스듬한 스테이터와 로터는 코깅 토크를 감소시키고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전자계 내의 보다 효율적인 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보다 효율적인 모터 또는 발전기를 형성한다. 그러나, 코어 세그먼트의 비스듬한 치형부 또는 외부면을 갖는 로터 또는 스테이터를 제조할 때 하나의 문제점이 있다.
스테이터 또는 로터의 적층된 강 재료를 권선 지지체를 형성하도록 분말 야 금 작업에서 압축된 강자성 분말 입자로 대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강자성 분말 입자 자체는, 결과적으로 압축된 제품이 적층된 강 재료의 스택의 사용과 유사한 방식으로 낮은 와상 전류를 보이도록 서로 절연된다. 강자성 분말 입자로 이루어진 압축된 금속 분말을 사용하는 것은 미국 특허 제 6,956,307 호, 제 6,300,702 호 및 제 6,441,53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개선된 전기 기계 부품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코어 세그먼트는 비스듬한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모터 자체의 코깅 토크는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개선된 스테이터 또는 로터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체는 압축된 강자성 분말로 이루어진 코어 부품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전기 기계용의 개선된 부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모터 또는 발전기에 사용되는 개선된 스테이터 또는 로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부품 조립체는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부 섹션은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이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는 코어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하부 섹션은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이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는 코어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은 부품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은 강자성 분말 입자로 형성된다. 이러한 강자성 분말 입자는 서로 절연된다. 강자성 분말 입자는 분말 금속 작업에 의해 중실형으로 가압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서로 절연된 강자성 분말 금속 입자로 형성된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를 갖는 결합된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으로 이루어진 개선된 부품 조립체가 전기 기계에서 개선된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선된 성능은, 전기 기계의 코깅 토크 및 서로 절연된 철의 분말 금속 입자의 사용을 감소시켜서 와상 전류의 손실을 저감하는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을 형성하는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에 따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부품을 전체적으로 참조부호(10)로 나타낸다. 이러한 부품(10)은 가장 일반적으로 모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 또는 로터일 수 있지만, 부품(10)은 발전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부품(10)은 상부 섹션(9)과 중앙부(12)로 이루어진다. 중앙부(12)는 보통 중앙 개방 섹션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중앙부(12)는 반경방향 중심축(13)을 구비한다. 복수의 권선 지지체(17)는 중앙부(12)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권선 지지체의 개수는 부품(10)의 크기 및 설계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지만, 그 개수는 보통 8 내지 24개이다. 각각의 권선 지지체(17)는 상부 에지와, 평행한 하부 에지와, 중앙부(12)의 외부면에 인접한 내부 에지를 갖는 대체로 장방형 형상이다. 각각의 권선 지지체(17)는 또한 외측 에지를 갖는다.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14)는 각각의 권선 지지체(17)의 외측 에지 각각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14)는 상부 에지(40)와 하부 에지(42)를 가지며, 상부 에지(40)와 하부 에지(42)는 보통 평행하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44)는 또한 제 1 측면 에지(44)와 제 2 측면 에지(46)를 구비한다. 제 1 측면 에지(44)는 보통 반경방향 중심축(13)과 평행하다. 제 2 측면 에지(46)는 보통 반경방향 중심축(13)에 예각으로 비스듬하며, 이러한 예각은 보통 5° 내지 30°이다.
상부 섹션(9)의 중앙부(12)는 중심설정된 개방 섹션과 반경방향 중심축(13)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이다. 중앙부(12)는 대체로 평탄한 바닥면(26)을 갖는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14)는 상부 섹션 반경방향 축(13) 둘레에서 볼록한 외부면(16)을 갖는다.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14)의 외부면(16)이 볼록한 특성은 상부 섹션(9)의 대체로 원통형의 외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부품(10)은 중앙부(20)를 갖는 하부 섹션(29)으로 이루어진다. 중앙부(20)는 보통 중앙 개방 섹션을 갖는 원통형이다. 중앙부(20)는 상부 섹션(9)이 하부 섹션(29)과 결합할 때 반경방향 중심축(13)을 구비한다. 복수의 권선 지지체(27) 는 중앙부(20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권선 지지체의 개수는 부품(10)의 크기 및 설계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지만, 그 개수는 보통 8개 내지 24개이다. 각각의 권선 지지체(27)는 상부 에지와, 평행한 하부 에지와, 중앙부(20)의 외부면에 인접한 내부 에지를 갖는 대체로 장방형이다. 각각의 권선 지지체(27)는 또한 외측 에지를 갖는다.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는 각각의 권선 지지체(27)의 외측 에지 각각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는 상부 에지(50)와 하부 에지(52)를 가지며, 상부 에지(50)와 하부 에지(52)는 보통 평행하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는 또한 제 1 측면 에지(54)와 제 2 측면 에지(56)를 구비한다. 제 1 측면 에지(54)는 보통 반경방향 중심축(13)과 평행하다. 제 2 측면 에지(56)는 보통 반경방향 중심축(13)에 예각으로 비스듬하며, 이러한 예각은 보통 5° 내지 30°이다.
하부 섹션(29)의 중앙부(20)는 중앙의 개방 섹션과 반경방향 중심축(13)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이다. 중앙부(20)는 대체로 평탄한 바닥면(24)을 갖는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는 상부 섹션 반경방향 축(13) 둘레로 볼록한 외부면(30)을 갖는다.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의 외부면(30)이 볼록한 특성은 하부 섹션(29)의 대체로 원통형의 외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상부 섹션(9)을 하부 섹션(29)의 상부에 끼워맞추면, 완성된 부품(10)이 형성된다. 상부 섹션 중앙부(12)의 하부면(26)은 하부 섹션 중앙부(20)의 상부면(24)에 대해 고정된다.
상부 섹션(9)의 권선 지지체(17) 각각은 하부 섹션(29)의 권선 지지체(27)에 인접하에 고정된다. 대체로 장방형의 결합된 권선 지지체는 권선(18)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권선(18)은 일반적으로 전기 기계에 자계를 제공하는 절연된 전선이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14)는 조립된 부품(10)내에 결합된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25)를 형성하도록 인접한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와 결합한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14)의 측면 에지(44)는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의 측면 에지(5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14)를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22)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때, 결합된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25)를 형성한다. 결합된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25)는 보통 평행한 상부 에지(35)와 하부 에지(37)를 갖는다. 결합된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25)는 또한 보통 평행하지만 상부 에지(35)로부터 5°내지 30°의 예각으로 형성된 제 1 측면 에지(39)와 제 2 측면 에지(41)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결합된 비스듬한 코어 조립체(25)는 보통 평행사변형이고 또한 각각의 결합된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25)는 인접한 결합된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로부터 절연되도록 이격된다.
모터와 같은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스테이터 또는 로터를 이용한 이러한 결합된 코어 세그먼트(25)는 전기 모터의 코깅 토크를 저감하려는 경향이 있다.
상부 섹션(9)과 하부 섹션(29)은 보통 압축된 강자성 분말로 이루어진 단일 구조체이다. 압축된 강자성 분말 자체는 절연된 철 분말 입자로 이루어진다. 강자성 분말은 분말 금속 작업으로 다이 압축된다. 응력 저감된 부품을 제조하는 몇 가지의 후속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는 또한 높은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과 낮은 코어 손실을 갖는 부품을 제공할 때 도움을 준다. 사용된 강자성 분말 입자는 조립된 부품(10) 내의 와상 전류 축적을 줄이도록 서로 절연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섹션(9)의 다이 성형에 대한 세부도이다. 상부 섹션(9)은 전술된 부품으로 도시한다. 철 분말 금속 다이 압축 기술을 이용하면, 제 2 측면 에지(46)와 같은 비스듬한 에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은 비스듬한 에지의 압축으로부터 다이 압축 방향으로 다이 압축의 어려움과, 다이로부터 비스듬한 에지를 갖는 압축부의 제거시의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일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이 구성을 이용하여 상부 섹션(9) 및 하부 섹션(29)의 다이 압축을 성취시킨다.
다이(68)는 전체 형상이 다소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단면도에 제공된다. 다이(68)는 외부 에지(67), 상부 에지(65), 하부 에지(63) 및 내부 에지(61)를 갖는다. 다이(68)의 내부 에지(61)는 내측 다이 섹션(69)에 인접한다. 내측 다이 섹션(69)은 그내에 위치된 대체로 원통형의 개구를 갖는다. 내측 다이 섹션(69)은 상부 섹션(9)의 제 2 측면 에지(46)와 제 1 측면 에지(44)를 형성하는 선반 에지를 갖는다.
제 1 상부 충전 펀치(62)는 내측 다이 섹션(69)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다. 제 2 상부 충전 펀치(60)는 제 1 상부 충전 펀치(62)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다. 제 3 상부 충전 펀치(71)는 제 2 상부 충전 펀치(60)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다.
마찬가지로, 제 1 하부 충전 펀치(70)는 내측 다이 섹션(69)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다. 제 2 하부 충전 펀치(66)는 제 1 하부 충전 펀치(70)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다. 제 3 하부 충전 펀치(64)는 제 2 하부 충전 펀치(66)에 인접한다.
상술한 Al 충전 펀치는 상부 섹션(9) 및 다이(68)의 대체로 원통형 형상으로 제공된다.
코어 로드(65)는 상부 섹션(9)의 반경방향 중심축(13)을 따라 연장된다. 코어 로드(65)는 제 3 상부 충전 펀치(71)와 제 3 하부 충전 펀치(64)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다.
작동시에, 상부 섹션(9)이 되는 것에 상응하는 개구는 적절한 강자성 분말로 충전된다. 다이 압축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된 다이 구성을 이용하여 성취된다.
상부 섹션(9)과 하부 섹션(29)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강자성 분말은 보통 고순도의 소프트한 강자성 분말이다. 강자성 분말 입자는 유기성, 무기성 또는 조합된 절연 코팅으로 피복된다.
상부 섹션(9)과 하부 섹션(29)은 접착제 또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섹션(9)은 부품 설계에 따라서 권선(18)에 의해 하부 섹션(29)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개선된 전기 기계 부품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모터 자체의 코깅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전기 기계 내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로서 사용되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섹션은,
    반경방향 중심축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상기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고,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앙축을 따라 대체로 볼록한 외부면을 갖는 코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섹션은,
    중심축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상기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고, 하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을 따라 대체로 볼록한 외부면을 갖는 코어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가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상부 섹션과 상기 하부 섹션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2개의 측면 에지는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하나의 측면 에지는 상기 상부 에지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2개의 측면 에지는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 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하나의 측면 에지는 상기 상부 에지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외부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외부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결합시에 대체로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 외부 에지를 갖는 결합식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결합시에, 평행하고, 조립체의 상기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를 갖는 결합식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결합시에 서로 평행하고 조립체의 상기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를 갖고, 대체로 평행하고 조립체의 상기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에 예각인 제 1 측면 에지와 제 2 측면 에지를 갖는 결합식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은 강자성 금속 분말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은 압축된 강자성 금속 분말 입자로 이루어진 단일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섹션은 강자성 금속 분말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섹션은 압축된 강자성 금속 분말 입자로 이루어진 단일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에 사용되는 조립체.
  15. 전기 기계용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경방향 중심축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상기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고,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앙축을 따라 대체로 볼록한 외부면을 갖는 코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
    중심축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권선 지지체와,
    각각의 상기 권선 지지체의 반경방향 에지에 있고, 하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을 따라 대체로 볼록한 외부면을 갖는 코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하부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가 비스듬한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상부 섹션과 상기 하부 섹션을 서로 끼워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2개의 측면 에지는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하나의 측면 에지는 상기 상부 에지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2개의 측면 에지는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에지와 상기 하부 에지는 대체로 평행하고, 하나의 측면 에지는 상기 상부 에지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외부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외부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결합시에 대체로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 외부 에지를 갖는 결합식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결합시에, 평행하고, 조립체의 상기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를 갖는 결합식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섹션 코어 세그먼트는 결합시에 서로 평행하고 조립체의 상기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를 갖고, 대체로 평행하고 조립체의 상기 상부 섹션의 반경방향 중심축에 예각인 제 1 측면 에지와 제 2 측면 에지를 갖는 결합식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은 강자성 금속 분말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26. 전기 기계용 부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면을 갖는 다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이의 내부면에 인접하고 대체로 원통형의 제 1 충전 펀치와, 대체로 원통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내부면을 구비하고 대체로 원통형의 제 2 충전 펀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2 충전 펀치 내에 대체로 원통형의 상기 개구를 통해 코어 로드를 연장하는 단계;
    상기 다이 내부면, 상기 제 1 충전 펀치, 상기 제 2 충전 펀치 및 상기 코어 로드에 의해 형성된 공동을 강자성 분말로 충전한 다음, 전기 기계용 부품을 형성하도록 상기 강자성 분말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형성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는 대체로 원통형 내부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제 1 충전 펀치는 상기 다이의 내부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충전 펀치는 대체로 원통형 내부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충전 펀치는 상기 제 1 충전 펀치의 내부면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형성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의 내부면에 인접한 내측 다이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이는 대체로 원통형 내부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내측 다이 섹션은 전기 기계용 부품 상에 측면 에지를 형성하는 전기 기계용 부품의 형성 방법.
KR1020070053917A 2006-06-05 2007-06-01 전기 기계 내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로서 사용되는 조립체,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및 전기 기계용 부품의 형성 방법 KR100885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46,260 US7538467B2 (en) 2006-06-05 2006-06-05 Magnetic powder metal composite core for electrical machines
US11/446,260 2006-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544A true KR20070116544A (ko) 2007-12-10
KR100885763B1 KR100885763B1 (ko) 2009-02-26

Family

ID=3854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917A KR100885763B1 (ko) 2006-06-05 2007-06-01 전기 기계 내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로서 사용되는 조립체,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및 전기 기계용 부품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538467B2 (ko)
EP (1) EP1865587B1 (ko)
JP (1) JP4489096B2 (ko)
KR (1) KR100885763B1 (ko)
CN (1) CN101098087B (ko)
EA (1) EA011006B1 (ko)
ES (1) ES2693611T3 (ko)
TW (1) TWI3551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3982B2 (en) * 2007-02-16 2010-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ive reflective polarizer,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for the same
WO2008100043A1 (en) * 2007-02-16 200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ive reflective polarizer and magnetic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US7864269B2 (en) * 2007-02-16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witchable between reflective mode and transmissive mode by employing active reflective polarizer
US20080198441A1 (en) * 2007-02-16 200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selective active polarizer and magnetic display panel employing the same
US20080199667A1 (en) * 2007-02-16 200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field controlled active reflector and magnetic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active reflector
US7931856B2 (en) * 2007-09-04 2011-04-26 Burgess-Norton Mfg. Co.,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rankshaft bushing
CN101977761B (zh) * 2008-03-19 2014-12-10 霍加纳斯股份有限公司 压制成一体的定子
US8754566B2 (en) * 2009-12-16 2014-06-17 Nidec Motor Corporation Assembling method for a stator and stator produced thereby
JP5642291B2 (ja) * 2011-10-13 2014-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WO2014095495A1 (en) * 2012-12-19 2014-06-26 Höganäs Ab (Publ) Inductor core
EP3631947A4 (en) * 2017-05-31 2021-01-27 Genesis Robotics and Motion Technologies Canada, ULC INSERTS FOR SUPPORTS OF ELECTRIC MACHINES
US20200350798A1 (en) * 2018-01-17 2020-11-05 Genesis Robotics And Motion Technologies Vanada Ukc Actuator stator
JP2020202705A (ja) * 2019-06-12 2020-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486428A1 (ru) * 1972-08-23 1975-09-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Машин Малой Мощност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и сборки статоро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JPH02254954A (ja) * 1989-03-27 1990-10-15 Hitachi Ltd スロットモータ
RU2016467C1 (ru) * 1991-07-03 1994-07-15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ермски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гнитопровода статора однофазного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US6060800A (en) * 1995-07-12 2000-05-09 Minebea Co., Ltd. Motor structure
AU2001289191A1 (en) * 2000-09-06 2002-03-22 Robert W. Ward Stator core design
US6441530B1 (en) * 2000-12-01 2002-08-27 Petersen Technology Corporation D.C. PM motor with a stator core assembly formed of pressure shaped processed ferromagnetic particles
JP3790438B2 (ja) * 2001-05-07 2006-06-28 建準電機工業股▲分▼有限公司 電動機のステータ組の改良構造
US6903480B2 (en) * 2003-02-26 2005-06-07 Asmo Co., Ltd. Core having axially assembled core sub-parts and dynamo-electric machine member having the same
JP2004260935A (ja) * 2003-02-26 2004-09-16 Asmo Co Ltd 回転電機のコア
JP4041443B2 (ja) * 2003-09-16 2008-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ローポール型モータのステータ
CA2453730C (en) * 2003-12-12 2012-02-21 Jean-Yves Dube Electric motor with modular stator ring and improved heat dissipation
JP2005184937A (ja) * 2003-12-17 2005-07-07 Asmo Co Ltd 電機子コア、電機子及びモータ
JP2005204369A (ja) * 2004-01-13 2005-07-28 Asmo Co Ltd 回転電機のコア、及びモータ
US6956307B2 (en) * 2004-03-08 2005-10-18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Soft magnetic composite powder metal cores
US7608968B2 (en) * 2004-04-30 2009-10-2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Dust 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48996A (ja) * 2004-11-16 2006-06-08 Asmo Co Ltd 回転電機の巻線方法、回転電機のコア、及び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8087B (zh) 2011-07-13
JP2007325492A (ja) 2007-12-13
KR100885763B1 (ko) 2009-02-26
EA011006B1 (ru) 2008-12-30
EP1865587A2 (en) 2007-12-12
EA200701004A1 (ru) 2008-02-28
TW200805857A (en) 2008-01-16
US20090183357A1 (en) 2009-07-23
EP1865587A3 (en) 2011-05-11
EP1865587B1 (en) 2018-10-10
CN101098087A (zh) 2008-01-02
TWI355129B (en) 2011-12-21
ES2693611T3 (es) 2018-12-12
US20070278891A1 (en) 2007-12-06
JP4489096B2 (ja) 2010-06-23
US7538467B2 (en)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763B1 (ko) 전기 기계 내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로서 사용되는 조립체, 전기 기계용 부품의 조립 방법, 및 전기 기계용 부품의 형성 방법
US10875053B2 (en) Method for making a component for use in an electric machine
EP1575146B1 (en) Soft Magnetic composite powder metal cores
JP4937274B2 (ja) ラインスタート型永久磁石同期モータ用のロータアセンブリ
US7592734B2 (en) Three-phase permanent magnet brushless motor
US11722019B2 (en) Stator assembly with heat recovery for electric machines
KR101098637B1 (ko) 액셜 갭형 회전 전기
US20150247530A1 (en) Active part of an electrical machine, radial magnetic bea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radial magnetic bearing
US7285893B2 (en) Magnetic powder metal component stator
JP2007097239A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とその製造方法
US20200112219A1 (en) Inserts for carriers for electric machines
JP2009516499A (ja) 冷却機能を有する電動機用回転子
JP2004140951A (ja) 永久磁石埋め込みモータ
JP2009239988A (ja) 永久磁石式モータ
JP5828272B2 (ja) 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回転機の製造方法
US20220278568A1 (en) Fabrication of synchronous reluctance machin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KR20060016953A (ko)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