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623A -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법 - Google Patents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623A
KR20070115623A KR1020070048733A KR20070048733A KR20070115623A KR 20070115623 A KR20070115623 A KR 20070115623A KR 1020070048733 A KR1020070048733 A KR 1020070048733A KR 20070048733 A KR20070048733 A KR 20070048733A KR 20070115623 A KR20070115623 A KR 2007011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ask
user interface
task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호크
알란 메세르
송유
미툰 세사기리
아누기타 쿤지타파탐
프라빈 쿠마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1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3Remote control using macros, scrip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근가능한 핸드헬드(hand-held) 모바일 장치의 동적이고, 변경가능하며, 직관적인 태스크 지향(task-oriente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모바일 핸드헬드 장치는 제한된 작은 화면과 키보드와 비교해 적은 입력 키들로 특징되어진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러한 모바일 핸드헬드 장치들은 가정용 장치들에서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동작한다. 그러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전형적인 예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universal remote control)과 셀룰라폰(cell phone)이다.
본 발명은 작은 화면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추상적인 이용가능한 옵션(option)들을 인식할 수 있게 만들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리모트 컨트롤이 이해할 수 있고 실행할 수 있는 태스크(task) 선택을 원활하게 가이드(guide)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법{Method of Task-Oriented Universal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현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가 네비게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가 목록 보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리모트 컨트롤 유닛에서 GUI의 작동 시나리오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홈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정보를 모으고 인터페이스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제어부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은 범용 리모트 컨트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스크 지 향(task-oriented)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원격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장치의 확산으로, 그러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들의 요구가 있다. 홈 네트워크에서, 모든 가정용 전자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각각의 장치에 대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다룸으로써 생기는 인지부하(cognitive load)를 줄이기 위함이다.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비록 작은 디스플레이 분야이기는 하나 고해상도를 가진 장치들과 네트워크 접속이 이용 가능하다. 스마트 폰, PDA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가진 범용 리모트 컨트롤기들과 같은 장치들은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어떤 종래의 리모트 컨트롤 솔류션(solution)들은 장치-기반이다. 이것은 그 솔류션들이 특정 형태의 장치나 일련의 특정 형태의 장치를 위해 설계된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들 솔류션들의 제어 방법은 시작점으로서 제어되는 장치들에 의존하고있다. 이것은 사용자는 반드시 먼저 원하는 장치를 찾기 위해서 탐색해야하고, 후에 장치의 기능성을 제어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PDA의 리모트 컨트롤 응용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장치를 먼저 선택하기를 필요로 한다. 일단 사용자가 장치를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예, play, pause, rewind, stop) 다음 스크린으로 옮긴다.
반면에 다른 전통적인 리모트 컨트롤 솔류션은 장치가 선택되기 전에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예, TV 채널, TV 프로그램 가이드 등)를 먼저 선택하게 한다. 그 러나, 그러한 솔류션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상호작용하고 있는 장치(예,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장치)를 선택하고 있어야 한다는 절대적인 가정이 있다.
그러나 다른 전통적인 리모트 컨트롤 솔류션 맵(map)은 단순화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의 버튼들에 대한 동작을 고정시켰다. 그러나 그러한 고정된 매핑(Mapping)은 불가변적이다. 장치들이 온/오프(ON/OFF)될 때마다 많은 이용가능한 태스크들은 변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GUI는 동적이어야 한다.
장치 중심인 종래 솔류션들은 아직 다른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장치를 먼저 선택하라고 명령되어지는 위자드-스타일 네비게이션 가이드(Wizard-style navigation guide)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것은 다음의 경우에 적용될 수 없다. (1)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장치들이 주어지면, 사용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모른다(사용자는 이용 가능한 장치, 컨텐츠, 위치 혹은 관계된 요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레벨(user-level) 태스크를 제안하는 네트워크를 선호한다). (2)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여왔다. 선택된 컨텐츠에서 작동할 수 있는 많은 수의 장치들이 주어지면, 사용자는 선택해야하는 장치, 장치를 이용하는 컨텐츠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 컨텐츠를 가진 장치에서 사용자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알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근가능한 핸드헬드(hand-held) 모바일 장치의 동적이고, 변경가능하며, 직관적인 태스크 지향(task-oriente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 공한다. 모바일 핸드헬드 장치는 제한된 작은 화면과 키보드와 비교해 적은 입력 키들로 특징되어진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러한 모바일 핸드헬드 장치들은 가정용 장치들에서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동작한다. 그러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전형적인 예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universal remote control)과 셀룰라폰(cell phone)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작은 화면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이용가능한 태스크들을 인식할 수 있게 만들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태스크(task) 선택을 원활하게 가이드(guide)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관점, 이점들은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근가능한 핸드헬드(hand-held) 모바일 장치의 동적이고, 변경가능하며, 직관적인 태스크 지향(task-oriente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모바일 핸드헬드 장치는 제한된 작은 화면과 키보드와 비교해 적은 입력 키들로 특징되어진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러한 모바일 핸드헬드 장치들은 가정용 장치들에서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동작한다. 그러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전형적인 예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universal remote control)과 셀룰라폰(cell phone)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작은 화면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추상적인 이용가능한 옵션(option)들을 인식할 수 있게 만들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리모트 컨트롤이 이해할 수 있고 실행할 수 있는 태스크(task) 선택을 원활하게 가이드(guide)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 태스크(task), 컨텐츠의 숫자를 변화시키는 조작과 적용에 대한 다이나미즘(dynamism)을 제공한다.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활동/태스크(activity/task)를 설정하여 시작하게 함으로써 가변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먼저 활동/태스크를 위해 장치를 선택하고, 그가 먼저 사용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장치의 위치로부터 시작하고, 동작(action)을 이용하여 활동을 구성한다. 동작들은 태스크의 짧은 표현이다. 사용자가 선택을 할 때 그의 의도가 파악되고 선택된 것은 모든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훨씬 사용자 친화적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그가 선택했던 것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홈(Home) 환경에서 다양한 장치들을 원격적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GUI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레벨(level)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들을 공급하고 모든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충분하게 적합한 GUI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설계 원칙으로서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오디오/비쥬얼(AV) 장치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상세하게 한다.
정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음의 정의들이 사용된다.
태스크( task ) :
태스크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하이-레벨(high-level) 사용자 중심의 활동(activity)을 나타낸다. 의사-문장(Pseudo-sentence)들은 태스크를 표현하는 것이다. 태스크 절은 동사(Verb)(예, paly), 대상(Subject)(예, Music), 위치(Location)(예, bedroom), 그리고 하나 이상의 장치(device)(예, Hi-Fi Audio)로 구성된다. 동사와 대상은 동작(action)으로 불린다. 동작의 예는 “play Music”과 “Print Picture”들이다. 절 “Play Music Hi-Fi Audio”는 태스크의 전형적인 예이다. 태스크들과 태스크 제너레이션(Generation)의 예들은 2004년 9월 22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10/947,774호인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에게 태스크들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과 2004년 9월 24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10/950,121호인 “분리된 태스크와 장치 설명서를 이용하는 가전제품을 설명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2004년 9월 24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제10/948,399호인 “가전제품들에서 태스크들의 통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기재되어 있다.
제어부( Controller ) :
제어부는 홈 네트워크에서 모든 정보를 모으고, 인터페이스 메카니즘(Mechanism)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메카니즘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원으로 동작하고,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에 의해 태스크 를 실행하는 메카니즘으로 동작한다.
데이터-아이템( Data - item ) :
데이터-아이템은 태스크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부분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대상, 동사, 위치와 동작들이 데이터-아이템이다.
동적이고 적응적인 GUI( danamic and Adaptive GUI )
홈 네트워크의 예에서 구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이고 적응적인 GUI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홈 환경은 항상 장치들이 온/오프(ON/OFF)되면서 또는 컨텐츠가 추가/제거되는 경우 변한다. 태스크는 하나 이상의 장치와 컨텐츠를 수반한다. 따라서, 시스템에 있어서 많은 태스크들은 계속해서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이고 적응적인 제어 GUI의 예는 제어부로부터 얻은 데이터의 목록들과 버튼들을 동적으로 만듬으로서 이 문제를 처리한다. 제어부는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와 컨텐츠를 확인하고, 태스크를 생성하고, 태스크를 제어 GUI에 넘겨준다. 그러한 제어부 상호작용의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 더 설명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태스크는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는 점수(Score)를 가지고 있다. 모바일 장치(예, 리모트 컨트롤, 셀룰라폰 등등)에 보내진 태스크들의 목록은 태스크를 보완하는 장치들의 능력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매겨진다. 태스크의 데이터-아이템들 또한 태스크의 점수를 획득한다. GUI는 더 높은 점수를 가진 데이터-아이템들이 상위에 나타나도록 데이터-아이템들의 점수에 기초하여 모든 버튼과 목록을 생성한다. 이런 방식에서, GUI는 항상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최선의 선택을 보여준다.
태스크들은 장치들의 위치와 능력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어, 만약 두가지의 태스크가 있고, 한 장치에서는 비디오를 다른 한 장치에서는 오디오를 재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첫번째 태스크에서 두 장치는 같은 방에 있는 반면, 두 번째 태스크에서 두 장치가 다른 방에 있다면 그 후에 제어부는 전자에 더 높은 점수를 할당한다. 또한 제어부는 개인적인 각각의 장치의 능력/특징을 알고, 훨씬 더 좋은 능력을 가진 장치에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만약 두 오디오 장치가 있고, 하나는 오직 스트레오를 지원하고 다른 하나는 돌비(dolby)를 지원한다면, 그 후에 제어부는 첫 번째 장치를 사용하는 태스크보다 두 번째 장치를 사용하는 태스크에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제어부에 의해 GUI에 보낸 다양한 데이터-아이템(예, 대상, 동사, 위치, 장치 등등)들은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관계들에 의해 연결되어있다. 예를 들어, Hi-Fi 오디오 장치는 오직 “Play Music” 동작에서만 실행될 수 있고 또는 프린터는 오직 “print” 동사만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는 GUI에 데이터를 보낼 때 다양한 데이터-아이템들 간의 이들 관계를 첨부할 수 있다. 정보를 생성하는 동안, GUI는 태스크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 관계를 사용한다. 사용자가 특정 형태의 특정 데이터-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안, GUI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어진 하나와 양립할수 없는 다른 형태들의 데이터-아이템들은 삭제한다. 만약 사용자가 “Hi-Fi 오디오”를 선택한다면, “Music”을 제외한 다른 대상들은 사용불가능하다. “Hi-Fi 오디오” 가 위치한 위치는 자동적으로 GUI에 의해 선택되고, 다른 위치들은 선택되는 것으로부터 제외된다.
작은 크기의 화면 핸들링( handling )
모바일 장치의 제한된 화면의 크기는 본 발명에 의해 언급된 중대한 도전이다. 적당한 복잡성의 응용(application)은 여러 유형의 데어터와 관련되며 이들 데이터 유형의 일부는 많은 수의 인스턴스(Instance)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기술을 제공한다.
그룹핑(Grouping)에 의한 데이터 형태 줄이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형태들의 수는 데이터-형태를 다같이 그룹핑함으로써 감소된다. 예를 들어, 동작은 동사와 대상이 그룹되어지는 그룹핑의 예이다. 동사와 대상을 그룹핑하는 것은 데이터-형태들의 수를 1로 감소시키고, 이 감소는 한 화면에 모든 정보를 맞추는 것을 도와준다.
목록보기
컨텐츠와 같은 데이터-아이템들은 수에 있어서 본래부터 크고, 이런 종류의 데이터-아이템을 다루는 메카니즘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모든 아이템들에 대해 교대로 목록 보기를 제공한다. 태스크 구성 화면(예, 도 1에서의 화면(101))은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다른 데이터-형태(예, 홈 네트워크 시나리오에서 동작, 위치, 장치, 컨텐츠 등)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라이트-레프트(right-left)로 스크롤하면서 이들 데이터-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인스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구성화면에서 각각의 데이터-형태의 하나의 인스턴스가 보여진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서, 목록 보기는 분리된 화면에서 여러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목록보기가 제공된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씩 탐색해야 한다.
사용자 친화성( User - Friendliness )
사용자는 어떻게 그의 목적(예,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을 이루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멘탈 모델(Mental model)을 가지며 직관적인 GUI는 사용자의 멘탈모델을 모방한 것이다. 다른 사용자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다른 방법들을 가지고 있듯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태스크를 달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공하고, 다음의 대안들을 포함한다.
1.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먼저 제어할 장치를 선택한다. 일단 장치가 선택되면, GUI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장치에 그가 수행하기를 원하는 동작을 선택하기를 요구한다. 세 번째 선택은 컨텐츠이다. GUI는 오직 선택된 장치 및 동작과 양립할 수 있는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한다. 장치와 위치 사이의 다대일(many-to-one) 매핑(Mapping)을 이용하여 장치가 선택되었을 때 위치는 이미 결정되었다.
그것으로서, 조심스럽게 이 순서(예, 위치를 마지막으로 리스팅)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 과정을 통해 안내된다.
2.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먼저 동작을 선택한다. 그 후에 GUI는 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단 컨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선택된 동작이 선택된 컨텐츠에서 수행될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이전에 한 선택과 양립할 수 있는 장치를 선택한다.
3. GUI를 이용하여, 먼저 컨텐츠를 선택하고, 그 후에 GUI는 사용자에게 위 치를 선택하는 것을 요구한다. 세번째 선택은 선택된 컨텐츠를 생성시킬 수 있는 선택된 위치에 있는 장치이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그가 이전에 선택한 선택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동작을 선택한다.
4.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먼저 위치를 선택한다. 그 후에, GUI는 사용자에게 그 위치에 있는 장치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다음에 GUI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동작을 선택하라고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태스크를 위한 컨텐츠를 선택한다.
GUI는 사용자에게 이 대안의 어떤 것이라도 먼저 선택하는 것을 강요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어떤 순서라도 선택할 자유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다양한 컨텐츠와 다수의 다른 종류의 장치들을 가진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처리하는 중립적이고 유연한 방법이다.
데이터-아이템들을 같이 그룹핑함으로써, GUI는 항상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 모두를 디스플레이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에 의한 모든 선택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GUI는 사용자가 선택했던 것을 기억할 필요를 없앰으로써 사용자에게 걸린 부하를 감소시키고 태스크 구성을 단순화한다. 또한, 좀 더 적은 데이터-아이템들은 거의 모든 관계된 정보가 동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화면을 바꿈으로써 야기된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현 예( Example Implementation )
다양한 장치들과 컨텐츠들로, 태스크는 장치들과 컨텐츠에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V는 (1) 영화 감상, (2) 사진 슬라이드 쇼 감상, (3) 음악 감상 등을 사용자가 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장치와 다양한 컨텐츠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무엇”과 “장소”를 제안할 수 있게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숫자키 탐색의 감소가 직관적인 그래픽을 제공하는 것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이 인터페이스는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가진 리모트 컨트롤에 적합하다.
아래의 구현의 예는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지는 리모트 컨트롤에 관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GUI는 감소된/최소의 탐색 키들을 가지고 그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동작, 컨텐츠, 위치, 장치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1-3을 참조하면, 작은 화면(101)을 가진 리모트 컨트롤(100)의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를 구현한 것이다. GUI는 (1)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진입점(entry point)으로서 동작, 위치, 컨텐츠 또는 장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101)에 디스플레이된 선택 메뉴(102); (2) 이용 가능한 동작들을 나타내는 동작 디스플레이 영역(104); (3) 이용 가능한 장치들을 나타내는 장치 디스플레이 영역(106); (4) 이용 가능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108); (5) 홈 환경에서 장치에 대한 다양한 위치들을 나타내는 위치 디스플레이 영역(109); (6) 이용 가능한 태스크, 컨텐츠, 장치들을 탐색할 수 있는 레프트키(Left-key)(110)와 라이트키(Right-key)(112); (7)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하는 선택키(Selection-key)(114);(8) 태스크 영역, 장치 영역, 컨텐츠 영역에 서 탐색을 위한 업키(Up-key)(116)와 다운키(down-key)(118); 및 (9) 사용자가 선택 메뉴로 점프(jump)할 수 있도록 하는 백키(back key)(1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도 3은 리모트 컨트롤(100)에 기술된 목록 보기의 예를 나타낸다. “목록(list)” 버튼을 활성화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이(101)의 화면으로 갈 수 있다. 도 3의 “취소(cancel)” 버튼이 활성화되는 경우 도 2의 디스플레이(101)에 나타난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화면(101)에 디스플레이된 GUI를 구현하는 리모트 컨트롤(100)의 작동의 예는 다음 1단계에서 12단계까지를 포함한다.
1.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100)의 전원을 온(ON)했을 때, 선택 메뉴(102)가 먼저 디스플레이된다(도 1). 선택 메뉴(102)는 네 가지의 아이템을 포함한다 : 동작, 장치, 위치, 컨텐츠. 이들 아이템 각각은 화면에 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버튼들과 맵핑된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업키(106)를 선택함으로써 시작점(starting point)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반면에 위치는 라이트키(112)를 활성화시킴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떤 아이템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방향키 중 하나를 누름으로써 상기 네 가지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한다.
3. 리모트 컨트롤(100)은 상기 네 아이템들의 값들이 디스플레이된 다음 화면(도 2)으로 넘어간다. 화면(101)은 네 영역을 포함한다 : 동작 영역(104), 장치 영역(106), 위치 영역(109), 컨텐츠 영역(108). 이 예에서, 사용자는 시작하기 위한 동작을 선택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동작 영역(104)이 하이라이트된다(도 2). 동 작 영역(104)은 홈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위치, 장치, 컨텐츠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한 동작의 하나를 보여준다.
4. 사용자는 이용 가능한 동작을 탐색하고 사용자 탐색(Navigation)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다른 데이터-아이템 영역을 적응적으로 바꾸기 위해서 레프트키(110)와 라이트키(112)를 사용한다. 각각의 시간에 사용자는 다른 동작을 위하여 탐색함으로써, 장치 영역(106), 위치 영역(109) 및 컨텐츠 영역(108)은 디스플레이된 동작과 양립할 수 있는 이용가능한 장치들과 컨텐츠들 중 하나를 보여주기 위하여 바뀐다. 그렇게 함으로써, 동작이 디스플레이될 때,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는 최상의 위치에 있는 최상의 장치(또는 장치들)가 디스플레이되고, 선택된 동작과 관계있고 상기 장치에 의해서 사용되는 컨텐츠도 디스플레이되고, 장치의 위치 역시 디스플레이된다.
5. 사용자는 장치 영역(106)에서의 탐색과 위의 동작 선택의 확인을 위하여 다운키(116)를 사용한다.
6. 태스크 동작 영역(104)과 같이, 사용자는 이용가능한 태스크를 탐색하기 위하여 레프트키(110)와 라이트키(112)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장치를 탐색하는 각각의 시간에, 컨텐츠 영역(108)과 같은 화면의 하위 영역(101)은 선택된 태스크와 선택된 장치에 부합(matching)하는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바뀔 수 있다.
7. 사용자는 컨텐츠 영역(108)으로 가기 위해서 다운키(118)를 사용한다. 다운키(버튼)(118)는 장치를 선택하고 아래의 컨텐츠 영역(108)으로 스크롤하는 두 가지의 작동을 수행한다.
8. 태스크 동작 영역(104)과 같이, 사용자는 컨텐츠 영역(108)을 탐색하기 위하여 레프트키(110)와 라이트키(112)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을 확인하고 위치 영역(109)으로 가기 위해서 다운키(118)를 사용한다.
9. 모든 영역(특히 컨텐츠 영역(108))에서, 사용자는 도 2의 “목록”버튼을 사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목록 보기로 더 쉽게 갈 수 있다. 도 3은 목록 버튼이 키(132)와 매핑되어 있을 때 동작을 위한 목록 보기의 예를 나타낸다. 이 키는 복수의 인스턴스들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보기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키(132)를 누름으로써 이전/보통 보기로 돌아갈 수 있다.
10. 태스크 컨텐츠 영역(108)과 같이, 사용자는 위치 영역(109)을 탐색하기 위하여 레프트키(110)와 라이트키(112)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을 확인하거나 장치 영역(106)으로 가기 위해서 다운키(118)를 사용할 수 있다.
11. 태스크 위치 영역(109)과 같이, 사용자는 장치 영역(106)을 탐색하기 위하여 레프트키(110)와 라이트키(112)를 사용할 수 있다.
12.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선택 버튼(114)을 사용함으로써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일단 선택되면, 리모트 컨트롤(100)은 컨텐츠를 가진 장치에 명령을 보내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한다.
다른 데이터-아이템 값들의 디스플레이에서 적응적인 변화를 가지면서 선택된 데이터-아이템의 값들을 탐색하는 단계는 모든 이용가능한 데이터-아이템들이 선택될어 질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위의 예시 단계들은 사용자가 동작을 먼저 선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 단계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GUI는 도 1의 첫 번째 선택 화면에서 동작을 먼저 선택하라고 강요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선택 메뉴에서 장치 또는 컨텐츠를 자유롭게 먼저 선택할 수 있다. 심지어 도 2의 두 번째 화면에서 선택의 중간 단계에서도, 사용자는 다른 선택으로 다시 시작하기 위하여 도 1의 선택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동작에서 위치, 장치, 컨텐츠로의 전환 순서는 시작점에서 무엇이 선택되는지와 사용자의 의도를 만드는 관념사이에 논리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지역의 문화적 의미론에 따라 다르다. 의사-문장(Pseudo-sentence) 요소들(예, 동사, 대상 등등)을 사용하고 처음 선택 화면에 기초하여 선택의 논리적 순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의도를 결정함을 통해 원활하게 안내되기 위하여 상호작용을 읽을 수 있고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을 구체화하는 네트워크(500)의 예의 기능적인 블록 다이아그램을 나타낸다. 네트워크(500)는 리모트 컨트롤(501), 제어부(502), 상호연결된 장치들(504)을 구비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장치(504)들에서 모든 정보를 종합하고 인터페이스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제어부(502)와 리모트 컨트롤 장치(501) 사이의 상호작용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양방향 화살표는 리모트 컨트롤(501)과 제어부(502), 제어부(502)와 장치(504) 사이의 명령/정보의 교환을 가리킨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전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환경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GUI 실시예들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들에의해 제어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장치가 대상이다. GUI는 셀룰라폰 또는 다른 모바일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바람직한 형태들을 참고하며 상당히 자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른 형태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과 범위는 여기에 포함된 바람직한 형태들에 대한 기술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 태스크(task), 컨텐츠의 숫자를 변화시키는 조작과 적용에 대한 다이나미즘(dynamism)을 제공한다.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활동/태스크(activity/task)를 설정하여 시작하게 함으로써 가변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먼저 활동/태스크를 위해 장치를 선택하고, 그가 먼저 사용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장치의 위치로부터 시작하고, 동작(action)을 이용하여 활동을 구성한다. 동작들은 태스크의 짧은 표현이다. 사용자가 선택을 할 때 그의 의도가 파악되고 선택된 것은 모든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훨씬 사용자 친화적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그가 선택했던 것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25)

  1. 태스크 지향(task-oriented) 범용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네트워크에서 태스크(task)들을 탐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태스크들에 네트워크에서의 정보를 모으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하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태스크들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받고,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의 복수의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에서 사용자 선택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Task-Oriented Universal Remote Control Interfac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정보를 이용 가능한 태스크 선택들에 모으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태스크 선택들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입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guid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정보를 이용 가능한 태스크 선택들에 모으고,
    상기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위치, 이용 가능한 동작들(actions), 이용 가능한 컨텐츠 그리고 이용가능한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태스크 선택들 및 사용자 위치, 이용 가능한 동작들, 이용 가능한 컨텐츠, 이용가능한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입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guid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의 상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태스크 선택들에 네트워크에서의 정보를 적응적으로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에서의 동작, 컨텐츠, 장치의 수와 상태의 변화를 반 영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태스크 선택들에 네트워크에서의 정보를 적응적으로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태스크에 대한 장치를 먼저 선택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태스크에 대한 컨텐츠를 먼저 선택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태스크에 대한 위치를 먼저 선택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장치의 위치로부터 시작하고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activity)을 구성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는 네트워크에서 수행될 수 있는 하이-레벨(high-level) 사용자 중심의 활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2. 태스크 지향(task-oriented) 범용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네트워크에서 개별적인 데이터 아이템을 포함하는 태스크(task)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태스크들에 네트워크에서의 정보를 모으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하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디스플레이된 태스크들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받고,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의 복수의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에서 사용자 선택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들은 의사-문장(Pseudo-sentence)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의 구(phrase)는 동사(verb), 대상(subject), 위치(location) 및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사와 대상의 조합은 동작(actio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태스크는 제어부에 의해서 계산된 점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태스크의 데이터-아이템들은 상기 태스크의 점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부에 의하여 동적으로 모인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상의 선택 버튼들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아이템들의 점수에 기초하여 버튼들과 태스크들의 목록들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최선의 태스크 선택을 항상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상기 태스크들은 태스크를 구성하는 장치들의 능력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매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보내진 상기 데이터-아이템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결정된 관계에 의해 모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아이템들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보내질 때 다양한 데이터-아이템들 사이의 관계를 동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 롤 인터페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아이템들을 생성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태스크들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형태의 특정 데이터-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것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형태의 데이터-아이템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
KR1020070048733A 2006-05-31 2007-05-18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법 KR20070115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44,994 2006-05-31
US11/444,994 US20070279389A1 (en) 2006-05-31 2006-05-31 Method of task-oriented universal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623A true KR20070115623A (ko) 2007-12-06

Family

ID=3878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733A KR20070115623A (ko) 2006-05-31 2007-05-18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79389A1 (ko)
KR (1) KR200701156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5013B2 (en) * 2005-05-02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the control of middleware control points
US8028283B2 (en) * 2006-03-20 2011-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invocation of device functionalities in a network
WO2008117586A1 (ja) * 2007-03-28 2008-10-02 Access Co., Ltd.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99889B2 (en) * 2007-12-07 2012-10-30 Cisco Technology, Inc. Home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presence and mobility via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KR20100000335A (ko) * 2008-06-24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컨텐츠 내비게이션 방법 및 컨텐츠 재생장치와 저장 매체
US8255531B2 (en) * 2009-06-30 2012-08-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device interoperability
US8508482B2 (en) * 2009-11-30 2013-08-13 Neil Van der Byl Programmable remote control
US9298334B1 (en) * 2011-02-18 2016-03-29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having a guided task flow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WO2012117689A1 (ja) * 2011-03-01 2012-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生体試料測定装置
KR101718894B1 (ko) 2011-11-29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01930B1 (ko) 2012-03-0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디바이스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를 위한 타임라인 ui
DE112013006711B4 (de) * 2013-02-21 2022-10-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uervorrichtung und Fernsteuervorrichtung
WO2017141219A1 (en) * 2016-02-18 2017-08-24 Tekoia Ltd. Architecture for remote control of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7028B1 (en) * 1999-06-11 2004-11-09 Scientific-Atlanta, Inc. Reduced screen control system for interactive program guide
US6823519B1 (en) * 1999-06-24 2004-11-23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networked devices
US6618764B1 (en) * 1999-06-25 2003-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two home networks of different software architectures
US6857128B1 (en) * 2000-02-14 2005-02-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browsing system
US6791467B1 (en) * 2000-03-23 2004-09-14 Flextronics Semiconductor, Inc. Adaptive remote controller
WO2001080023A1 (en) * 2000-04-14 2001-10-25 Goahead Software Inc. A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networked devices
US6640218B1 (en) * 2000-06-02 2003-10-28 Lycos, Inc. Estimating the usefulness of an item in a collection of information
US6501516B1 (en) * 2000-06-16 2002-12-31 Intel Corporation Remotely controlling video display devices
US7349967B2 (en) * 2000-07-21 2008-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chitecture for home network on world wide web with private-public IP address/URL mapping
US20020130834A1 (en) * 2001-03-16 2002-09-19 Emsquare Research, Inc.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control of devices
US6859197B2 (en) * 2001-05-02 2005-02-22 Universal Electronics Inc.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display and printer
US6748462B2 (en) * 2001-12-20 2004-06-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tivity-based remote control device
US8042049B2 (en) * 2003-11-03 2011-10-18 Openpeak Inc. User interface for multi-device control
EP1680740A2 (en) * 2003-10-02 2006-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capabilities and execution efficiency of script based applications
US7640546B2 (en) * 2004-01-16 2009-12-29 Barclays Capital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ctive devices on network
US8099313B2 (en) * 2004-09-22 2012-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he orchestration of tasks on consumer electronics
US8185427B2 (en) * 2004-09-22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user tasks for th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8412554B2 (en) * 2004-09-24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scribing consumer electronics using separate task and device descriptions
US7613285B2 (en) * 2004-12-07 2009-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oriented automatic remote control, remote server, and remote control agent
KR100714687B1 (ko) * 2004-12-3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칼럼으로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79389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5623A (ko) 태스크 지향 범용 리모트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법
US1075451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KR100657778B1 (ko) 시스템과 그 환경 장치들간에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태스크-연관 객체들의 클러스터링 방법
CN105103111B (zh) 用于计算设备的用户界面
JP5763345B2 (ja) 遠隔制御のためのタッチセンサ式無線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941113B1 (ko)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EP176057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jog dial and navigation key
US20080158148A1 (en) Programmable on screen display and remote control
TW200845710A (en) Multi-state unified pie user interface
JP2007249989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におけるスクロール可能な交差部分の検索方法及び構成
CN107992263A (zh) 一种信息分享方法及移动终端
GB2420429A (en) Method of navigating a hierarchical structure
JP201412712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103584A (ja) 機器制御方法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WO2013182143A2 (zh) 移动终端及其功能项快捷操作的实现方法
US2009010670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nsumer product for creating shortcut to interface element
Lee et al. Actual remote control: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ing hand motions on a virtual menu
CN106878783A (zh) 一种查找设备的方法及装置
Omojokun et al. Comparing end-user and intelligent remote control interface generation
KR20110064205A (ko)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US201400494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
JPH11237941A (ja) 操作キー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8258853A (ja) 機器操作支援装置及び機器操作支援方法
Nichols et al. Automatically generating interfaces for multi-device environments
JPH07146774A (ja) 対話型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