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352A -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352A
KR20070115352A KR1020060049634A KR20060049634A KR20070115352A KR 20070115352 A KR20070115352 A KR 20070115352A KR 1020060049634 A KR1020060049634 A KR 1020060049634A KR 20060049634 A KR20060049634 A KR 20060049634A KR 20070115352 A KR20070115352 A KR 20070115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tank
liquid storage
supply
liq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274B1 (ko
Inventor
히로시 이케다
가쯔하루 다카쯔카
유키히로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르티아하시모토
닛산 디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르티아하시모토, 닛산 디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르티아하시모토
Priority to KR102006004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27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1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dispensing by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예를 들면,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을 공급할 때에 적합하고, 예를 들면, 탱크차 등으로부터 대량의 수용액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소량의 수용액을 인력에 의해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
바깥 주위면에 설치한 급액구(7)을 개폐하는 탱크 캡(9)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한 액체 저장탱크(1)인 것.
상기 탱크 캡(9)에 관이음(11)의 한쪽 단부를 장착한다.
다른 쪽 단부를 상기 캡(9)의 외부에 돌출시킨다.
상기 관이음(11)에 공기 방출관(25)를 장착한다.
공기 방출관(25)의 한쪽 끝을 탱크 캡(9)의 안쪽에 배치한다.
상기 공기 방출관(25)의 다른 쪽 끝을 탱크 캡(9)의 바깥쪽에 배치한다.
디젤엔진,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 액체 저장탱크, 액체 공급장치

Description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Liquid storage tank and liquid suppl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을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인, 요소수(urea water)의 액체 저장탱크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액체 저장탱크에 적용한 급액 펌프(liquid supplying pump)의 설치상황의 요부(essential part)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액체 저장탱크에 적용한 탱크 캡(tank cap)과, 공기 방출관(air releasing pipe) 및 레버 커플링(lever coupling) 및 방진 커플링(dust preventing coupling)의 장착상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액체 저장탱크에 적용한 액면(液面) 표시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플로트(float), 플로트 게이지(float gauge), 플로트 스토퍼(float stopper) 및 게이지관(gauge pipe)의 설치상황과, 요소수를 가득 채운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1의 액체 저장탱크에 적용한 액면 표시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플로트, 플로트 게이지, 플로트 스토퍼 및 게이지관의 설치상황과, 요소수의 소정량 소비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인 요소수의 소정량을 수납한 용기를, 액체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상기 용기를 받침 선반(mouting shelf)에 적재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받침 선반을 회전시켜 용기를 경사지게 하여, 용기 내부의 요소수를 액체 저장탱크로 공급하고 있는 상황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인 요소수의 소정량을 수납한 용기를, 액체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상기 용기를 받침 선반에 적재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받침 선반에 수용한 용기의 주위면에 Y자형상의 벨트를 걸쳐 유지하고 있는 상황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액체 저장탱크
7 급액구
9 탱크 캡
11 관이음(pipe joint)
25 공기 방출관
26 공기 포집부(air collecting part)
27 배기부
28 공급액체(요소수)
46 용기
47 급액 호스
48 액체 공급장치(트럭)
49 기초틀(base frame)
51 지지틀(supporting frame)
52 받침 선반
54 주행차륜
55 지면(ground surface)
59 호스 리셉터클(hose receptacle)
61 벨트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을 공급할 때에 적합하고, 예를 들면, 탱크차(tank truck) 등으로부터 대량의 수용액을 신 속하고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소량의 수용액을 인력(人力)에 의해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젤엔진의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NOx의 저감 수단으로서,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구성하는 NOx 환원촉매를 장비하여, 상기 NOx 환원촉매에 소정의 환원제를 첨가하고, 상기 환원제를 배출가스 중의 NOx와 환원반응시켜, NOx의 배출농도를 저감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 중, 상기 환원제에 독성이 없는 요소(urine)를 채택한 것으로서,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정화장치인 NOx 환원촉매와, 환원제 용액을 제작하는 자동 조합장치(automatic blending device)를 탑재하고, 상기 조합장치는 요소분말 탱크와 물탱크, 및 이들의 소정량을 수용하여 교반하는 교반탱크와, 제작한 요소수를 수용하여, 그 소정량을 배기가스 정화장치로 공급하는 환원제 용액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물탱크로부터 소정량의 물을 교반탱크로 공급하고, 또한 요소분말 탱크로부터 소정량의 요소분말을 교반탱크로 공급하여, 이들을 교반하여 소정 농도로 제작 후, 이 요소수를 환원제 용액탱크에 저류(貯留)하여, 상기 요소수를 적시에 펌프로 압송(壓送)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로 분사(噴射)하여, 머플러(muffler)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NOx를 환원하여 정화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자동 조합장치는, 교반탱크와 물탱크와 요소분말 탱크를 갖기 때문에, 대형 중량화되어, 차량의 구조가 복잡해짐과 동시에, 그들의 설치 스페이 스를 필요로 하고, 또한 탑재한 요소분말이 수분을 흡수하여 굳어버려 그 첨가량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한편, 장거리 운전시에는 환원제 무첨가 운전의 우려가 있어,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급용 요소분말이나 물의 준비, 그의 번잡한 보급작업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환원제 용액탱크에 액면 센서(liquid surface sensor)와 농도 센서를 설치하고, 소정 이하의 액면 또는 농도를 검출시에 경보 작동신호를 출력 가능한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경보신호를 토대로 요소수를 적시에 제작하여 보급을 촉진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 종래의 것은, 액면 센서나 농도 센서 및 경보장치와 그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여, 구성이 복잡화되고 고가가 됨과 동시에, 경보시에 소요되는 요소수를 신속하게 제작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고, 또한 그 때문에 소요량의 요소분말과 물의 탑재, 및 그의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여, 차량이 대형 중량화될 뿐 아니라, 탑재한 요소분말이 수분을 흡수하여 굳어버려, 안정한 배기가스 정화작용을 확보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출원인은,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정화에 적합하고, 디젤 차량의 구조나 설치상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요소수 등의 환원제 수용액을 소정 농도로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것을 간편하게 디젤 차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 경량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 제작장치를 개발하여, 이것을 이미 제안하고 있다.
즉, 이 이미 개발한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 제작장치는, 과립상 또는 분말상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를 물에 용해하여, 소정 농도의 환원제 수용액을 제작하고, 또한 상기 수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액 제작 탱크와, 상기 수용액 제작 탱크에 상기 환원제를 물에 용해하고, 또한 이들을 교반 가능한 교반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수용액 제작 탱크를 상기 수용액의 충전 공급 대상차량과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탱크를 이동 가능 또는 정위치(定位置)에 설치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교반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수용액을 외부에 공급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용액 제작장치는, 상기 환원제 수용액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소형 경량으로 소량 사용자에게 적합하지만, 대량 사용자에게는 환원제 수용액을 빈번하게 제작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량의 다소에 즉시 대응 가능한 장치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7001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71831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예를 들면,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을 공급할 때에 적합하고, 예를 들면, 탱크차 등으로부터 대량의 수용액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소량의 수용액을 인력에 의해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바깥 주위면(outer circumference surface)에 설치한 급액구(liquid supplying port)를 개폐하는 탱크 캡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한 액체 저장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 캡에 관이음의 한쪽 단부(端部)를 장착하고, 다른 쪽 단부를 상기 캡의 외부에 돌출시켜, 상기 관이음에 공기 방출관을 장착하고, 상기 관의 한쪽 끝을 탱크 캡의 안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공기 방출관의 다른 쪽 끝을 탱크 캡의 바깥쪽에 배치하여, 관이음의 다른 쪽 끝쪽으로부터, 예를 들면, 탱크차를 매개로 하여 대량의 공급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기 방출관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 안의 잔류 공기를 방출하여, 공급액체를 액체 저장탱크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 저장탱크의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펌프 구동시에 있어서의 액체 저장탱크의 수축이나 공기압축 등에 의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공기 방출관은, 대략 U자관형상의 공기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 한쪽 끝을 접속시키고, 다른 쪽 끝을 외부에 돌출시킨 대략 역U자관형상의 배기부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성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 안의 공기를 용이하게 포집하고, 이것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공기 포집부의 한쪽 끝을 탱크 캡의 안쪽에서, 액체 저장탱크의 상부벽 보다도 위쪽으로 배치하여, 탱크 캡의 탈착 시에 공기 방출관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 포집부의 한쪽 끝으로부터 공급액체가 유입되는 사태를 방지하여, 공기 방출관의 안정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탱크 캡과 관이음과 공기 방출관을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탱크 캡의 탈착시에 관이음과 공기 방출관을 함께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그들의 탈착작업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탱크 캡을 장착하여, 상기 관이음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대량의 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탱크 캡과 관이음과 공기 방출관을 분리하여 급액구를 개방하고, 상기 급액구측으로부터 소량의 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여, 공급액체의 다소에 따라, 그 공급부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액체 저장탱크에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을 수용 가능하게 하여, 대량의 수용액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수용액이 요소수로서,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요소수의 공급 및 그의 취급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액체 저장탱크의 바깥 주위면에 설치한 급액구의 위쪽으로 공급액체를 이동시키고 또한 배치 가능한 액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주행차륜을 설치한 기초틀에 지지틀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틀에 상기 공급액체를 수 납한 용기를 수용 가능한 받침 선반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공급액체를 수납한 용기를 소정 위치로 간편하게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받침 선반을 회전시켜 용기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내부의 공급액체를 인력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용기에 급액 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호스의 선단부(先端部)를 상기 급액구에 삽입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 선반에 급액 호스를 삽입 가능한 호스 리셉터클을 설치하여, 용기 안의 공급액체를 액체 저장탱크로 확실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급액 호스를 호스 리셉터클에 삽입 가능하게 하여, 급액 호스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또한 호스 리셉터클을 바닥이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급액 호스로부터의 누출(leaking)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기초틀의 한쪽 끝에 주행차륜을 장착하고, 이의 다른 쪽 끝을 지면에 착지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동 또는 정지 가능하게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액체 공급장치의 이동과 정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지지틀을 신축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받침 선반의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각종 사이즈의 액체 저장탱크에 대한 액체 공급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받침 선반에, 상기 용기의 주위면에 걸칠 수 있는 벨트를 장착하고, 상기 용기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 것을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벨트를 Y자형상으로 형성하면, 용기의 미끄러짐 방지 작용이 향상되어, 용기의 미끄러져 떨어짐 방지를 강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용기 내의 공급 유체(supplying liquid)를, 급액 호스를 매개로 하여 피공급측의 수납탱크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 저장탱크로 공급 유체의 이동(transferring)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급 유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공급액체가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으로서, 소량의 수용액의 간편한 공급을 실현하고, 또한 이것을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수용액이 요소수로서,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요소수의 공급 및 그의 취급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탱크 캡에 관이음의 한쪽 단부를 장착하고, 다른 쪽 단부를 상기 캡의 외부에 돌출시키며, 상기 관이음에 공기 방출관을 장착하여, 상기 관의 한쪽 끝을 탱크 캡의 안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공기 방출관의 다른 쪽 끝을 탱크 캡의 바깥쪽에 배치했기 때문에, 관이음의 다른 끝쪽으로부터, 예를 들면, 탱크차를 매개로 하여 대량의 공급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 방출관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 안의 잔류 공기를 방출하여, 공급액체를 원활하게 액체 저장탱크로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액체 저장탱크의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펌프 구동시에 있어서의 액체 저장탱크의 수축이나 공기압축 등에 의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공기 방출관은, 대략 U자관형상의 공기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 한쪽 끝을 접속시키고, 다른 쪽 끝을 외부에 돌출시킨 대략 역U자관형상의 배기부를 구비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 안의 공기를 용이하게 포집하여, 이것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공기 포집부의 한쪽 끝을 탱크 캡의 안쪽에서, 액체 저장탱크의 상부벽 보다도 위쪽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탱크 캡의 탈착시에 공기 방출관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 포집부의 한쪽 끝으로부터 공급액체가 유입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공기 방출관의 안정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탱크 캡과 관이음과 공기 방출관을 일체적으로 연결했기 때문에, 탱크 캡의 탈착시에 관이음과 공기 방출관을 함께 탈착할 수 있어, 그들의 탈착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탱크 캡을 장착하여, 상기 관이음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대량의 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탱크 캡과 관이음과 공기 방출관을 분리하여 급액구를 개방하고, 상기 급액구측으로부터 소량의 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공급액체의 다소에 따라, 그 공급부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액체 저장탱크에 디젤엔진의 배출 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을 수용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대량의 수용액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는, 상기 수용액이 요소수로서,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요소수의 공급 및 그의 취급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주행차륜을 설치한 기초틀에 지지틀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틀에 상기 공급액체를 수납한 용기를 수용 가능한 받침 선반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했기 때문에, 상기 공급액체를 수납한 용기를 소정 위치로 간편하게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받침 선반을 회전시켜 용기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내부의 공급액체를 인력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용기에 급액 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호스의 선단부를 상기 급액구에 삽입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 선반에 급액 호스를 삽입 가능한 호스 리셉터클을 설치했기 때문에, 용기 내의 공급액체를 액체 저장탱크로 확실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급액 호스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호스 리셉터클을 바닥이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급액 호스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기초틀의 한쪽 끝에 주행차륜을 장착하고, 이의 다른 쪽 끝을 지면에 착지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동 또는 정지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액체 공급장치의 이동과 정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지지틀을 신축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받침 선반의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각종 사이즈의 액체 저장탱크에 대한 액체 공급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받침 선반에, 상기 용기의 주위면에 걸칠 수 있는 벨트를 장착했기 때문에, 상기 용기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것을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벨트를 Y자형상으로 형성하면, 용기의 미끄러짐 방지 작용이 향상되어, 용기의 미끄러져 떨어짐 방지를 강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용기 내의 공급 유체를, 급액 호스를 매개로 하여 피공급측의 수납탱크로 공급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 저장탱크로 공급 유체의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급 유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공급액체가 디젤엔젠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인 것으로부터, 소량의 수용액의 간편한 공급을 실현시키고, 또한 이것을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공급장치는, 상기 수용액이 요소수인 것으로부터,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요소수의 공급 및 그의 취급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인 요소수의 액체 저장탱크 및 그의 공급장치에 적용한 도시(圖示)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 면,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1은 합성수지제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액체 저장탱크로서, 약 1000 리터의 요소수를 수용 가능한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면에 강성(剛性) 강화용의 다수의 오목부 내지 오목형상 리브(recessed rib)(2)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액체 저장탱크(1)은,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forklift) 반송용 가대(conveyance base frame)(3) 위에 올려 놓여지고, 평상시에는 급유 기지(oil supplying station)나 트럭 스테이션(truck station), 공장 등의 적소에 안정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4는 상기 탱크(1)의 주위에 장착한 방호 네트(protection net)로서, 방호틀(protection frame)(5)를 종횡으로 조립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호틀(5)의 하단부를 가대(3)에 고정하고 있다. 6은 상기 가대(3)의 주위면에 개구된 각 한쌍의 포크 삽입공(fork insertion hole)이다.
상기 액체 저장탱크(1)의 상부 중앙에 급액구(7)이 설치되고, 상기 급액구(7)의 개구 가장자리(opening edge)의 나사부(screw part)(8)에 탱크 캡(9)가 돌려 넣어져 있다. 탱크 캡(9)의 중앙에 나사구멍(screw hole)(1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10)에 굽은 관(elbow)형상의 관이음(11)의 기단부(basal end part)가 돌려넣어져, 그의 한쪽 끝이 탱크 캡(9) 내부에 돌출되어 있다.
도면 중, 12는 관이음(11)의 기단부 주위면에 장착한 스토퍼 링(stopper ring)으로서, 상기 링(12)를 나사구멍(10)의 안쪽 돌출 가장자리(inner projecting edge)에 연결 가능하게 배치하여, 관이음(11)의 빠짐 방지와 지지의 안정화를 도모 하고 있다. 14는 관이음(11)의 중간부 주위면에 형성한 환상(環狀)의 가이드 홈(guide groove)으로서, 상기 홈(14)를 나사구멍(10)의 바깥쪽 돌출 가장자리(15)에 연결 가능하게 배치하여, 관이음(11)의 지지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관이음(11)의 다른 쪽 단부 주위면에 나사부(16)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6)에 레버 커플링(lever coupling)(17)의 나사구멍(18)이 돌려넣어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버 커플링(17)에 접속관(19)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관(19)에 대량의 요소수를 공급 가능한 탱크차(도시 생략) 등의 급액관(20)의 한쪽 끝을 접속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면 중, 21은 상기 접속관(19)에 끼움 장착 가능한 방진 커플링으로서, 한쪽의 관 단부가 폐색(閉塞)되고, 관이음(11)의 미사용시, 즉 요소수의 비공급시에 접속관(19)에 연결되어, 관이음(11)에 대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22는 방진 커플링(21)의 주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색인용 레버(towing lever)로서, 상기 레버(22)의 앞쪽 끝에 파지부(grip part)(23)이 설치되어 있다. 24는 레버 커플링(17)과 방진 커플링(21)을 접속시킨 체인이다.
상기 관이음(11)의 기단부측에 공기 방출관(25)가 설치되고, 상기 관(25)는 대략 U자형상의 공기 포집부(26)과, 상기 포집부(26)의 한쪽 관 단부에 연결한 대략 U자형상의 배기부(27)로 되어, 상기 공기 포집부(26)의 반 이상을 액체 저장탱크(1) 안에 수용한, 공급액체인 요소수(28) 중에 몰입하고, 그의 다른 쪽의 관 단부를 상기 급액구(7) 안의 요소수(28)의 액면상에 돌출시켜 배치하고 있다.
상기 배기부(27)의 한쪽 끝은 관이음(11)의 바깥쪽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그의 관 단부를 대기 중에 개구하고 있으며, 그의 관 단부에 그물 모양의 캡(netted cap)(29)가 장착되어,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고 있다.
도면 중, 30은 배기부(27)의 적소에 설치한 역지 밸브(check valve)로서, 외부로부터 공기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액체 저장탱크(1) 위의 관이음(1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급액 펌프(31)이 설치되어, 그의 펌핑업 파이프(pumping-up pipe)(32)를 요소수(28) 중에 몰입하며, 액체 저장탱크(1)의 외부에 급액 도관(supplying liquid conduit)(33)의 한쪽 끝이 접속되고, 이의 다른 쪽 끝에 급액 건 노즐(supplying liquid gun nozzle)(3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저장탱크(1) 위의 관이음(1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피팅(fitting)(35)가 장착되고, 그의 스크류축(screw shaft)(36)에 복수의 너트(37)이 돌려 넣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37, 37) 사이에, 대략 コ자형 단면의 합성수지제의 플로트 스토퍼(float stopper)(38)의 상단부(上端部)가 파지되고, 그 하단부(下端部)에 합성수지제의 중공 원통형의 플로트(hollow cylindrical float)(39)를 연결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상기 플로트 스토퍼(38)의 하단부는, 실시형태의 경우, 액체 저장탱크(1)의 높이의 대략 3/4에 설치되고, 요소수(28)이 액체 저장탱크(1)의 용적의 대략 3/4 공급되었을 때, 후술하는 플로트 게이지(float gauge)에 의한 액면표시를 개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플로트(39)에 합성수지제의 봉상(棒狀)의 플로트 게이지(40)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게이지(40)이 피팅(35)를 관통하여 직립하는 투명한 합성수지제의 게이지관(41)로 미끄러질 수 있게 끼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게이지관(41)에 눈금(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그의 상단부에 캡(42)가 장착되어 있으며, 플로트 게이지(40)의 상단부가 게이지관(41)의 상부로 이동하는 도 8의 상황에 있어서, 요소수(28)을 약 1000 리터 수용한 가득 채운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밖에, 도면 중 43은 액체 저장탱크(1)의 하부에 설치한 드레인 파이프(drain pipe)로서, 드레인 코크(drain cock)(44)를 매개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고, 45는 급액 펌프(31)의 급전 코드(power supplying cord)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액체 저장탱크(1)은, 대용량의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대(3) 위에 올려 놓여지고, 또한 그의 주위를 방호 네트(4)로 방호하여, 외부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에 의해 적절히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며, 평상시에는 급유 기지나 트럭 스테이션, 공장 등의 적소에 설치된다.
상기 액체 저장탱크(1)의 상부 중앙에 탱크 캡(9)가 끼워지고, 상기 캡(9)에 관이음(11)이 장착되며, 상기 관이음(11)에 레버 커플링(17)이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17)에 방진 커플링(21)이 연결되며, 상기 커플링(21)의 폐색 단부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관이음(11)의 기부측에 공기 방출관(25)가 설치되고, 그의 공기 포집 부(26)이 액체 저장탱크(1) 안에 설치되며, 배기부(27)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그의 단부가 대기에 개구되어 있으며, 그의 관 단부에 그물 모양의 캡(29)가 장착되어,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저장탱크(1) 상부의 탱크 캡(9)와 떨어진 위치에 급액 펌프(31)이 설치되고, 상기 펌프(31)에 급액 도관(33)을 매개로 하여, 급액 건 노즐(3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액체 저장탱크(1) 상부의 탱크 캡(9)와 떨어진 위치에 게이지관(41)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관(41) 안을 플로트 게이지(40)이 미끄러질 수 있게 삽입되어, 상기 게이지(40)의 하단에 플로트(39)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39)는, 요소수(28)의 공급 전 또는 소정의 액면 레벨 이하일 때는, 플로트 스토퍼(38)의 하단에 연결하여, 정지(靜止)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액체 저장탱크(1)에 탱크차(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대량으로 요소수(28)을 공급하는 경우는, 탱크차를 액체 저장탱크(1) 부근에 정차하고, 상기 방진 커플링(21)을 분리하여, 레버 커플링(17)의 접속관(19)를 표출시킨다.
그리고, 탱크차의 급액관(20)의 한쪽 끝을 접속관(19)에 접속시키고, 급액관(20)의 관 단부를 탱크차 쪽의 커플링(도시 생략)으로 연결하며, 탱크차의 압송 펌프를 구동하여, 이미 제작된 요소수(28)을 급액관(20)으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 제작된 요소수(28)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탱크에서 요소수를 제작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균질의 요소수(28)을 신속하게 디젤 차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요소수(28)은 급액관(20)에 유도되어, 레버 커플링(17)로부터 관이음(11)로 이동하고, 액체 저장탱크(1) 안으로 유하(流下)된다. 이 때, 액체 저장탱크(1) 안의 액면 레벨은, 액체 저장탱크(1)이 투명 또는 반투명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액체 저장탱크(1) 안에 요소수(28)이 소정량 공급되면, 그 액면이 도 7과 같이 플로트 스토퍼(38)의 하단부에 도달하고, 플로트(39)가 부상(浮上)하여 액면 변화와 같이 움직여, 플로트 게이지(40)이 게이지관(41) 안을 위로 움직인다.
그리고, 플로트 게이지(40)의 상단부가 도 8과 같이 게이지관(41)의 상단부로 이동했을 때, 요소수(28)이 대략 가득 채워진 상태가 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압송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여 요소수(28)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 때, 액체 저장탱크(1) 안에 있어서의 요소수(28)의 액면 상승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1) 안의 공기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공기가 상기 탱크(1) 안의 상부로 개구된 공기 포집부(26)의 한쪽으로 밀어 넣어지며, 이것이 다른 쪽으로 이동하여 배기부(27)로 유도되어, 외부에 돌출된 배기부(27)의 한쪽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압출(押出)된다.
따라서, 액체 저장탱크(1) 안의 잔류 공기가 제거되고, 요소수(28)이 원활하게 액체 저장탱크(1) 안으로 공급된 후, 급액 펌프(31)을 구동하여 요소수(28)을 차량으로 공급할 때, 급액 펌프(31)의 공기압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액체 저장탱크(1)에 요소수(28)을 가득 채운 상태로 공급했을 때, 탱크차 쪽의 커플링을 분리하고, 급액관(20)을 분리한 후, 방진 커플링(21)을 레버 커플링(17)에 연결한다.
이어서, 액체 저장탱크(1)에 공급한 요소수(28)을 디젤 차량에 공급하는 경우는, 급액 펌프(31)을 구동하고, 요소수(28)을 펌핑업 파이프(32)로 펌핑업하여, 이것을 급액 도관(33)으로부터 급액 건 노즐(34)로 유도한다. 이것과 전후하여, 급액 건 노즐(34)를 피공급측인 디젤 차량에 탑재한 요소수 수납탱크(도시 생략)의 충전구(filling port)에 삽입하고, 그의 노즐 트리거(nozzle trigger)를 조작하여 밸브를 열고, 요소수(28)을 상기 요소수 수납탱크로 공급한다.
이 경우, 액체 저장탱크(1) 안은 배기부(27)을 매개로 하여 대기와 연통(連通)하고 있기 때문에, 요소수(28)이 원활하게 급액 건 노즐(34)로 유도되어, 요소수 수납탱크(도시 생략)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요소수(28)이 디젤 차량으로 공급되면, 액체 저장탱크(1) 안의 요소수(28)의 액면이 낮아지고, 이것에 플로트(39)가 같이 움직여 플로트 게이지(40)이 아래로 움직이며, 그의 상단부가 게이지관(41) 안을 아래로 움직인다.
따라서 작업자는, 요소수(28)의 공급개시 당초의 플로트 게이지(40)의 상단부 위치로부터, 현재 상태의 하강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디젤 차량에 대한 현재 상태의 공급용량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급액 건 노즐(34) 대신에, 유량계(flow meter)를 구비한 급액 건 노즐을 사용하면, 디젤 차량에 대한 공급용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전술의 구성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중,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탱크차에 의해 요소수(28)을 액체 저장탱크(1)로 공급하는 대신에, 비교적 소량의 요소수(28)을 사람 손에 의해 액체 저장탱크(1)로 공급하는 경우에 적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요량의 시판의 상자형 용기(팩킹 박스(packing box))(46)을 구입하여, 상기 용기(46)은 한쪽 끝에 나사구멍 또는 관통구멍(through hole) 등의 장착구멍(attachment hole)(도시 생략)을 갖고, 상기 장착구멍에 용기(46)에 부속하는 소요 길이의 급유 호스(47)을 장착 가능하게 하여, 상기 용기(46)에 소요량의 요소수(28)을 수납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용기(46)을 내외 이중구조로 구성하여, 외부를 골판지 제로 하고, 내부를 합성수지제로 하여 재이용 가능하게 하며, 그의 내부에 약 20~30 리터의 요소수(28)을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어, 상기 용기(46)을 액체 공급장치인 캐리어(carrier)(48)에 의해, 반송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캐리어(48)은, 대략 역U자형상의 좌우 한쌍의 기초틀(49)와, 상기 기초틀(49)에 세워 설치한 지지기둥(sopporting post)(50)과, 상기 지지기둥(50)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끼움 장착한 대략 역U자형상의 지지틀(51)과, 상기 지지틀(51, 5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받침 선반(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초틀(49)는 보강틀(reinforcement frame)(53)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초틀(49)의 한쪽 끝에 주행차륜(54)가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되며, 다른 쪽 끝을 지면(55)에 착지 가능하게 하고 있어, 이 양쪽 끝에 의해 기초틀(49)를 입위(立位) 또한 정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지지기둥(50)은 보강틀(56)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기둥(50)의 상단부로 지지틀(51)의 하단부가 미끄러질 수 있게 끼움 장착되어 있으며, 지지틀(51)을 신축, 높이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어, 그 목적의 신축 변위(變位) 내지 높이를 잠금 노브(lock knob)(57)로 고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받침 선반(52)는, 지지축(supporting shaft)(58)을 매개로 하여 지지틀(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받침 선반(52)는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의 한쪽 끝에 급유 호스(47)을 삽입 가능한 칼집형상의 호스 리셉터클(59)를 설치하고 있다.
도면 중, 60은 받침 선반(52)의 다른 쪽 단부에 설치한 대략 U자형상의 손잡이(grip), 61은 받침 선반(52)의 전후 양단부에 한쪽 끝을 장착한 벨트로서, 상기 용기(46)의 주위면에 걸쳐, 이것을 파스너(fastener)(64)로 유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62는 상기 지지축(58)과 같은 축상에 설치한 잠금 손잡이(lock handle), 63은 받침 선반(52)의 바깥쪽 면에 돌출 설치한 스토퍼로서, 상기 지지틀(51)에 연결 가능하게 하고 있고, 그의 연결 위치에서 받침 선반(52)를 수평으로 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48)은 액체 저장탱크(1) 또는 요소수 함유 용기(46)의 보관장소의 주변에 놓여지고, 상기 캐리어(48)을 용기(46)의 보관장소로 이동시킨다.
이의 이동시에는, 지지틀(51)의 선단부를 파지하고, 주행차륜(54)를 중심으로 바로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기초틀(49)의 다른 쪽 끝을 지면(55)로부터 간격을 벌려, 지지틀(51)을 밀어 움직이게 하여, 주행차륜(54)를 지면(55) 위에 주행시켜 행한다. 그리고, 캐리어(48)을 상기 보관장소로 이동했을 때, 기초틀(49)의 다른 쪽 끝을 지면(55)에 착지시키고, 지지틀(51)을 직립시켜 정지한다.
이어서 잠금 노브(57)을 조작하여, 지지틀(51)의 길이 내지 높이를 신축 조정하고, 받침 선반(52)의 높이를 액체 저장탱크(1)의 탱크 캡(9)의 높이 이상으로 조정하여, 그의 조정위치를 잠금 노브(57)로 고정한다. 그 다음, 요소수 함유 용기(46)을 받침 선반(52)에 적재하고, 상기 용기(46)의 바깥면에 벨트(61)을 걸쳐, 이것을 파스너(64)로 팽팽하게 하여 용기(46)을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용기(46)을 받침 선반(52)에 적재했을 때, 캐리어(48)을 전술의 요령으로 액체 저장탱크(1)의 주변에 이동시키고, 지지틀(51)을 직립시켜 정지시킨다.
그리고, 용기(46)에 부속하는 급액 호스(47)을 빼내, 상기 호스(47)의 기단부를 용기(46)의 장착구멍(도시 생략)에 접속시킨다. 이 상황은 도 9 및 10과 같다.
한편, 상기 캐리어(48)의 도착 후, 액체 저장탱크(1)의 탱크 캡(9)를 분리하고, 상기 캡(9)와 공기 방출관(25), 및 레버 커플링(19)와 방진 커플링(21)을 함께 분리하여, 급액구(7)의 위쪽을 개방한다.
여기에서, 급액 호스(47)을 유지하여, 그의 선단부를 급액구(7)에 삽입 후, 잠금 손잡이(62)를 조작하고, 손잡이(60)을 유지하면서 받침 선반(52)를 지지축(58)을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46)을 회전시켜 기울인다. 이 상황은 도 11과 같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46) 내의 요소수(28)이 급액 호스(47)로 유도되어 액체 저장탱크(1)에 유입된다. 이 때, 받침 선반(52)는 회전 자유자재로 놓여지기 때문에, 손잡이(60)을 유지하면서 그의 회전각도를 점증시키고, 용기(46)의 기울임 각도를 점증시킴으로써, 용기(46) 내의 요소수(28)의 전량을 액체 저장탱크(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용기(46) 내의 요소수(28)을 액체 저장탱크(1)에 공급 후, 지지틀(51)을 경사지게 하여, 전술의 요령으로 캐리어(58)을 액체 저장탱크(1)로부터 이동시킨다. 그리고, 파스너(64)를 느슨하게 하여 벨트(61)을 분리하고, 빈 상태의 용기(46)을 받침 선반(52)로부터 꺼내, 이것을 적소에 보관하여, 요소수(28)의 재충전 및 용기(46)의 재이용에 사용한다.
그 다음, 액체 저장탱크(1) 안의 요소수(28)을 피공급측의 디젤 차량에 공급하는 경우는, 전술과 동일한 요령으로 행하여진다.
이 경우, 요소수(28)을 전량 사용하지 않고, 용기(46) 내에 요소수(28)이 잔류하는 경우는, 급액 호스(47)의 선단부를 호스 리셉터클(59)에 삽입하고, 캐리어(58)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직립상태에서 정지시키고, 또한 받침 선반(52)를 수평으로 지지하여, 상기 선반(52)에 용기(46)을 올려놓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기(46) 내의 잔류 요소수(28)을 적시에 신속하게 액 체 저장탱크(1)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탱크 캡(9)를 분리하고, 급액구(7)에 급액 호스(47)을 삽입하여 요소수(28)을 공급하고 있지만, 탱크 캡(9)를 분리하지 않고, 레버 커플링(19)의 선단부에 급액 호스(47)을 삽입하여 요소수(28)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전술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스 리셉터클(59)를 바닥이 있는 것으로 형성하여, 이것을 받침 선반(52)의 전단(前端) 또는 후단부(後端部)의 한쪽에 배치하여, 급액 호스(47)을 콤팩트하고 외관 좋게 호스 리셉터클(59)에 삽입하고, 또한 급액 후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벨트(61)을 대략 Y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용기(46)의 주위면에 걸치고, 용기(46)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의 실시형태와 같이 벨트(61)을 용기(46)의 주위면에 직선상으로 걸친 경우에 비해, 용기(46)의 유지력을 강화하여, 그의 미끄러져 떨어짐 방지를 향상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소요량의 요소수(28)을 수용한 용기(46)과, 상기 용기(46)을 반송하는 캐리어(48)을 사용함으로써, 요소수(28)의 제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이하고 저렴한 설비에 의해, 소요량의 요소수(28)을 액체 저장탱크(1)에 간편하고 손쉽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탱크차 등에 의한 요소수의 신속한 공급이 곤란한 경우의 응급처리로서, 또는 비교적 소용량의 액체 저장탱크(1)을 자가용(自家用)으로 설치 하여, 상기 탱크(1)에 간편하고 손쉽게 요소수(28)을 공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제2 및 제3의 실시형태에서는, 용기(46) 내의 공급 유체를 일단 액체 저장탱크(1)에 이동시켜, 액체 저장탱크(1)로부터 피공급측의 수납탱크로 공급하고 있지만, 소량의 공급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는, 급액 호스(47)을 차량측의 수납탱크의 공급구에 삽입하여, 용기(46) 내의 공급 유체를 직접 수납탱크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의 시간과 수고를 덜어, 공급 유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는, 예를 들면 탱크차 등으로부터 대량의 수용액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소량의 수용액을 인력에 의해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을 공급할 때에 적합하다.

Claims (15)

  1. 바깥 주위면에 설치한 급액구를 개폐하는 탱크 캡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한 액체 저장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 캡에 관이음의 한쪽 단부를 장착하고, 다른 쪽 단부를 상기 캡의 외부에 돌출시켜, 상기 관이음에 공기 방출관을 장착하고, 상기 관의 한쪽 끝을 탱크 캡의 안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공기 방출관의 다른 쪽 끝을 탱크 캡의 바깥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출관은, 대략 U자관형상의 공기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 한쪽 끝을 접속시키고, 다른 쪽 끝을 외부에 돌출시킨 대략 역U자관형상의 배기부를 구비한 액체 저장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포집부의 한쪽 끝을 탱크 캡의 안쪽에서, 액체 저장탱크의 상부벽 보다도 위쪽으로 배치한 액체 저장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캡과 관이음과 공기 방출관을 일체적으로 연결한 액체 저장탱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캡을 장착하여, 상기 관이음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대량의 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탱크 캡과 관이 음과 공기 방출관을 분리하여 급액구를 개방하여, 상기 급액구측으로부터 소량의 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한 액체 저장탱크.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탱크에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을 수용 가능하게 한 액체 저장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요소수인 액체 저장탱크.
  8. 액체 저장탱크의 바깥 주위면에 설치한 급액구의 위쪽에 공급액체를 이동, 배치 가능한 액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주행차륜을 설치한 기초틀에 지지틀을 장착하여, 상기 지지틀에 상기 공급액체를 수납한 용기를 수용 가능한 받침 선반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급액 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호스의 선단부를 상기 급액구에 삽입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 선반에 급액 호스를 삽입 가능한 호스 리셉터클을 설치한 액체 공급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틀의 한쪽 끝에 주행차륜을 장착하고, 이의 다른 쪽 끝을 지면에 착지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동 또는 정지 가능하게 한 액체 공급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을 신축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받침 선반의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액체 공급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선반에, 상기 용기의 주위면에 걸칠 수 있는 벨트를 장착한 액체 공급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의 공급액체를, 상기 급액 호스를 매개로 하여 피공급측의 수납탱크로 공급 가능하게 한 액체 공급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액체가,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정화용 환원제의 수용액인 액체 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요소수인 액체 공급장치.
KR1020060049634A 2006-06-02 2006-06-02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KR10115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34A KR101157274B1 (ko) 2006-06-02 2006-06-02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34A KR101157274B1 (ko) 2006-06-02 2006-06-02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352A true KR20070115352A (ko) 2007-12-06
KR101157274B1 KR101157274B1 (ko) 2012-06-15

Family

ID=3914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634A KR101157274B1 (ko) 2006-06-02 2006-06-02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682A (ko) 2019-11-26 2021-06-03 정현각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128B1 (ko) * 2014-01-21 2015-10-14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요소수 주입기
CN105000526B (zh) * 2015-07-30 2019-04-02 厦门理工学院 液体卸载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976Y2 (ja) * 1993-12-10 1997-04-09 有限会社林工業 缶用給液装置
JPH08198390A (ja) * 1995-01-24 1996-08-06 Nasu Sangyo Kk 缶入り高粘度液体の取出し方法と装置
JP2001271740A (ja) * 2000-03-23 2001-10-05 Yoshio Kunito 灯油ポンプの定量停止装置
KR100667474B1 (ko) * 2003-03-05 2007-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질소 산화물 처리용 scr 시스템의 환원제 공급장치 및세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682A (ko) 2019-11-26 2021-06-03 정현각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274B1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53316B (en) Liquid storage tank and liquid supplying apparatus
US10081929B2 (en) Shovel
RU238522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7854242B2 (en) Device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from a container
CN100451275C (zh) 具有固定于车身底盘上用于布料杆的杆支承装置的自动混凝土泵
KR101157274B1 (ko)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KR20060051989A (ko) 음료 디스펜서용 카트리지 용기 및 그 지지구
US20090045216A1 (en) Portable fluid-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384301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lling a refillable container
US6464094B2 (en) Stand-by tank for remote access fire suppression
CN108128542A (zh) 一种汽车旅行用车载储液器
JP3150985U (ja) 活魚用運搬容器
JP4896097B2 (ja) 液体供給装置
AU2006202252B2 (en) Liquid storage tank
PL1789108T3 (pl) Urządzenie do usuwania cieczy w zakresie medycznym, zwłaszcza do usuwania dializatów
NZ547693A (en) Liquid storage tank, typically for aqueous solution to treat exhaust gas from diesel engines, with particular arrangement of tank cap and air release pipe
CN101081688B (zh) 贮液罐
RU26406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редотвращающих загрязнение добавочных жидкостей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с дизельным двигателем
WO2010008374A1 (en) Backpack having a reservoir
EP3190278B1 (en) Vehicle fluid delivery system
CN102190272A (zh) 液体供给装置
RU214612U1 (ru) Автоцистерна вакуумная промысловая
RU213047U1 (ru) Модуль вакуумной цистерны
CN208948038U (zh) 一种可折叠周转集装箱吨袋的排料结构
CN214030115U (zh) 一种可分离重复使用的防胀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