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773A -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773A
KR20070114773A KR1020077021942A KR20077021942A KR20070114773A KR 20070114773 A KR20070114773 A KR 20070114773A KR 1020077021942 A KR1020077021942 A KR 1020077021942A KR 20077021942 A KR20077021942 A KR 20077021942A KR 20070114773 A KR20070114773 A KR 2007011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mixture
sealing material
liquid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859B1 (ko
Inventor
마스히로 사토
도모키 혼마
히로노부 다카기
타카요시 진
노부타카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iltering bands, e.g. movable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iltering bands, e.g. movable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B01D29/09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29/82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using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1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without use of a casing
    • B30B9/10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without use of a casing using a press ram co-operating with an intermittently moved endless convey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는 혼합체(S)로부터 액상 물질과 고형 물질을 분리하는 고액 분리 장치(10)로서, 표면에 혼합체(S)가 공급되는 여과부(11a)와, 혼합체(S)에 압압되는 프레임 형상 압압면(12d)을 가지고, 압압면(12d)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여과부(11a)의 표면, 또는 표면에 공급된 혼합체(S)에 압압되어 밀접 가능한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12a)와, 시일재(12a)를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일 장치(12)와,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혼합체(S)를 압압면의 안쪽에 있어서 가압하는 가압 장치(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SOLID AND LIQUID SEPARATOR AND SOLID AND LIQUID SEPARATING METHOD}
본 발명은 혼합체로부터 액상 물질과 고형 물질을 분리하는 고액(固液)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5년 3월 2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 2005-087602호 및 2005년 9 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 2005-271722호에 의거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러한 종류의 고액 분리 장치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것과 같은, 표면에 상기 혼합체가 공급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를 가압하는 가압 장치와, 상기 여과부의 이면측에 상기 액상 물질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가 구비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의 상기 가압 장치는, 복수의 관통공이 천공되고, 이들 관통공이 개구하는 표면이 상기 혼합체에 접촉해 가압하는 가압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판을 상기 혼합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가압 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혼합체를 상기 가압판 및 상기 가압 유체에 의해 가압한다.
이와 같이, 혼합체가 상기 가압판 및 상기 가압 유체의 양쪽에 의해 가압되 고, 상기 혼합체로부터 짜내어진 액상 물질이 상기 회수 장치에 의해 회수됨으로써, 혼합체로부터 액상 물질과 고형 물질이 분리된다.
[특허 문헌 1:특허 제 331141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 종래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는, 상기 가압판에 의해 혼합체를 가압할 때, 상기 관통공이 개구하고, 또한, 혼합체에 접촉해 가압하는 이면측(이하, 「가압 영역」이라고 한다)에 의해, 혼합체를 여과부의 표면측을 향해 단순히 압압하고 있는 것뿐이었다. 따라서, 가압 시에, 혼합체가,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따라, 상기 가압 영역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거나, 혹은 비산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하여 밀려나간 혼합체는, 상기 가압 영역에 위치하는 것보다 액상 물질의 잔존양이 많아져,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에 편차가 발생하므로, 결과적으로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압 시에, 혼합체가, 상기 여과부의 표면을 따라 가압 영역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거나, 혹은 비산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가 흩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이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는, 표면에 혼합체가 공급되는 여과부와, 상기 혼합체에 압압되는 프레임 형상의 압압면을 가지고, 상기 압압면이 전 둘레에 걸쳐 상기 여과부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에 압압되어 밀접 가능한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와, 상기 시일재를 상기 여과부의 표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일 장치와,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를, 상기 압압면의 내측에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일재는, 압압면이 전 둘레에 걸쳐 상기 여과부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에 압압되어 밀접 가능해지도록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여과부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에 밀접된 상기 시일재의 압압면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혼합체를 가압해 상기 액상 물질을 분리하므로, 상기 가압 장치에 의한 혼합체의 가압 시에, 상기 혼합체가, 상기 여과부의 표면을 따라 상기 시일재의 개구면 내측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거나, 혹은 비산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시일재의 압압면 내측에 위치하는 혼합체를, 상기 내측에 고정시킨 상태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가 흩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이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는, 상기 시일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가압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각각 독립 설치함으로써, 시일재와 가압 장치가 각각 독립하여 구동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시일재에 의한 상기 압압의 하중을, 예를 들면 혼합체의 성질과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압 장치에 의한 혼합체의 가압시에, 이 혼합체가 상기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거나, 혹은 비산되는 것을, 혼합체의 종류를 불문하고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혼합체를 압착·통기 여과할 때에도, 혼합체를 비산시키지 않고 안정된 여과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고액 분리 장치의 취급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일재는 탄성 변형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는, 예를 들면 발포 고무(rubber foam), 단일 기포 스펀지(closed cell sponge) 혹은 우레탄(urethane)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일재를, 여과부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혼합체에, 탄성변형시켜 밀접시킨 상태에서, 시일재의 개구면 내측에 위치하는 혼합체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가압시에, 상기 혼합체가 시일재의 개구면 내측으로부터 상기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 및 고형 물질의 순도 편차의 저감을 확실히 도모할 수 있다.
탄성 변형하는 상기 시일재로는, 다른 하나로서 튜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내에 가압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시켜 탄성변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재질에 의해 형성된 시일재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튜브 내에 제1 가압 유체가 직접 공급됨으로써, 팽창 탄성 변형하여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밀접하므로, 시일재에 의한 혼합체의 시일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일 장치는, 상기 여과부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에 대해 상기 시일재를 그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영역에서 서로 독립해 압압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시일재의 둘레 방향 위치마다 여과부의 표면 등으로의 밀접력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혼합체의 성질과 상태나 장치 상의 제약 등에 따라, 이 밀접력을 시일재의 둘레 방향 위치마다 조정함으로써, 시일재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여과부의 표면 등으로의 밀접 상태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혼합체가 상기 시일재의 압압면 내측으로부터 상기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시일재의 압압면 내측에 공급되는 제2 가압 유체에 의해 상기 혼합체를 가압해도 된다.
상기 가압 장치는 또한, 복수의 관통공이 천공되고, 이들 관통공이 개구하는 표면이 상기 혼합체에 접촉해 가압하는 가압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판을 상기 혼합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제2 가압 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혼합체를 상기 가압판 및 상기 제2 가압 유체에 의해 가압해도 된다. 이 경우,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 및 고형 물질의 순도의 편차 저감을 확실히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의 이면측에, 진공 흡인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 물질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가 구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를, 그 상측으로부터 상기 가압 장치에 의해 가압할 뿐만 아니라, 아래쪽으로부터 진공 흡인 장치에 의해 진공 흡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고액 분리 효율 및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인의 압력은, 예를 들면, -0.01~-0.1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부의 표면은, 대략 수평으로 주행하는 여과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회수 장치는, 상기 진공 흡인 장치에 연결된 진공 트레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여과포 아래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혼합체를 여과포에 의해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하여, 고액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액 분리 처리를 고효율로 실시할 수 있고,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액 분리 방법은,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액상 물질 및 고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체를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에 의해 둘러싸 가압 영역을 시일하고, 상기 가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혼합체를 가압하여, 상기 액상 물질과 고형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액 분리 방법은,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액상 물질 및 고형 물질을 포함한 혼합체를 프레임 형상의 상기 시일재에 의해 둘러싸 가압 영역을 시일하고, 상기 가압 영역 내에 위치하는 혼합체를 가압해 액상 물질을 고형 물질로부터 분리하는데 있어,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를, 상기 여과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진공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가 흩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이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가 흩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이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도시한 고액 분리 장치의 주요부 개략 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여과포의 주행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여과포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 도시한 고액 분리 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도시한 고액 분리 장치의 주요부 개략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 도시한 고액 분리 장치의 주요부 개략 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고액 분리 장치 10a : 장치 본체
11 : 여과포 11a : 여과부
12, 30, 40 : 시일 장치 12a, 31 : 시일재
12d : 압압면 13 : 가압 장치
14 : 회수 장치 A1~A4 : 진공 트레이
F : 여과포의 주행 방향 S : 슬러리(혼합체)
V : 진공 흡인 장치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10)는 표면에 혼합체가 공급되는 여과부(11a)와,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12a)를 가지는 시일 장치(12)와,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혼합체를 가압하는 가압 장치(13)와, 여과부(11a)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체로부터 분리된 액상 물질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과부(11a)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10a)에 대략 수평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여과포(11)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과포(1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a)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안내 롤(15)에 무단상으로 뻗어 설치되어 있다. 여과포(11) 중, 장치 본체(10a)의 위쪽에 수평으로 뻗어 설치된 수평 부분이, 상기 여과부(11a)를 구성하고 있다.
회수 장치(14)는, 여과부(11a)의 이면 측에, 상기 여과부(11a)의 주행 방향 F을 따라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개) 설치된다. 각 회수 장치(14)는, 진공 흡인 장치(V)에 연결된 상자 형상의 진공 트레이(A1~A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체는, 액상 물질 중에 고형 물질을 포함하는 이른바 슬러리(S)이다.
복수의 진공 트레이(A1~A4)의 상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11a)의 주행 방향 F으로부터 보아 그 단면의 중앙부인 수평부(14b)와, 상기 수평부(14b)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게 윗쪽으로 올라가는 경사부(14c)가 설치된 대략 U자 모양이다. 진공 트레이(A1~A4)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여과부(11a)도, 진공 트레이(A1~A4)의 상면에 따르도록 상기 대략 U자 모양이다.
진공 트레이(A1~A4)의 상면 중, 상기 수평부(14b) 및 상기 경사부(14c)의 수평부(14b)측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을 통해,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진공 흡인력이 작용하고, 슬러리(S)로부터의 액상 물질이 진공 트레이(A1~A4)의 내부에 유입된다. 진공 흡인의 압력은, 예를 들면, -0.001~-0.1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진공 트레이(A1~A4)는, 각각 독립되고, 도시되지 않은 제어 밸브와 여과액 조에 연결되어 있다. 각 여과액 조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 펌프 및 여과액 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각 진공 트레이(A1~A4)는, 독립되어 필요한 진공압 및 대기 개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각 진공 트레이(A1~A4)상의 여과포(11), 즉 여과부(11a)는, 각각, 케이크 형성 구획, 제1, 제2 세정 구획, 탈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다.
여과부(11a)의 윗쪽에는, 이동 프레임(10b)에 지지된 슬러리 공급 장치(16) 및 제1, 제2 세정 장치(17a, 17b)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여과부(11a)의 주행 방향 F을 따라 왕복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슬러리 공급 장치(16)는 상기 케이크 형성 구획에 슬러리(S)를 공급한다. 각 세정 장치(17a, 17b)는, 상기 제1, 제2 세정 구획에, 각각, 제2 세정 여과액(제2 세정 구획을 투과해 회수된 회수액) 및 신선한 세정액(예를 들면, 수도물)을 공급한다.
장치 본체(10a)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9)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19) 상에, 주행 대차(18)가 여과부(11a)의 주행 방향 F을 따라 주행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주행 대차(18)에는, 진공 트레이(A1~A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11)를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끼움 지지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10a)의 하부에는, 축선이 상기 주행 방향 F으로 연장되도록 이동 실린더(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실린더(20)의 일단부(주행 방향 F의 후단부)(20a)가 주행 대차(18)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진공 트레이(A1~A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11)를 상기 끼움 지지 실린더가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실린더(20)의 상기 일단측(20a)이 상기 주행 방향 F의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주행 대차(18)가 진공 트레이(A1~A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11)를 수반해 상기 주행 방향 F와 반대측을 향해 주행하는 동시에, 여과부(11a)가 상기 주행 방향 F를 향해 주행(즉, 전진)한다.
이동 실린더(20)의 타단부(상기 주행 방향 F의 전단부)(20b)에는, 세정 파이프(21)가 연결되어 있다. 세정 파이프(21)의 선단(상기 주행 방향 F의 전단부)에, 얻어진 고형 물질을 박리한 후의 여과포(11)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22)이, 세정수의 비산 방지용 덮개(23)에 둘러싸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10)에는, 여과부(11a)의 윗쪽에 있어서, 제2 세정액 공급 장치(17b)보다 상기 주행 방향 F의 전방측(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주행 방향 F에 있어서의 전단에 위치하는 진공 트레이(A4)의 설치 위치)에, 상기 가압 장치(13) 및 시일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장치(13) 및 시일 장치(12)는, 여과부(11a)의 주행 방향 F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여과부(11a)의 표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슬러리(S)에 대해서 동시에 작용한다.
가압 장치(1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부(13a)와, 여과부(11a)의 표면에 대향하는 본체부(13a)의 하면측에 설치된 평판상의 통기판(가압판)(13b)과, 본체부(13a) 및 통기판(13b)을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 장치의 구동부(13c)와, 본체부(13a)에 제2의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 유체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13a)의 상기 하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부(11a)의 표면에 대해 개구하는 개구부(13e, 13f)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개구부(13e, 13f)는 복수 설치된다. 개구부(13e)는, 여과부(11a)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부에 개구하는 주 개구부(13e)이다. 개구부(13f)는, 여과부(11a)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에 개구하는 부 개구부(13f)이다. 이들 개구부(13e, 13f)의 내부는, 제2 가압 유체 공급공(13h)을 통해 상기 가압 유체 공급 장치와 연통되어, 제2 가압 유체가 공급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유체로서 에어를 채용했다.
본체부(13a)의 상면에는 가압 장치의 구동부(13c)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13c)를 구동함으로써, 본체부(13a)가 통기판(13b)마다 여과부(11a)의 표면에 대해 진퇴 이동할 수 있다.
통기판(13b)은 본체부(13a)의 하면에 개구부(13e, 13f)를 폐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통기판(13b)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3g)이 복수개 뚫려 있다. 상기 개구부(13e, 13f)에 가압 유체 공급공(13h)을 통해 공급된 제2 가압 유체가, 관통공(13g)을 통과하여,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접촉하여, 상기 슬러리(S)를 가압할 수 있다.
혼합체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유체의 압력으로는, 예를 들면, 0.1~1.O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 장치(1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12a)와, 상기 시일재(12a)의 상면에 접착된 백업 플레이트(12b)와, 백업 플레이트(12b)의 상면에 연결되고, 백업 플레이트(12b)를 시일재(12a)마다 여과부(11a)의 표면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실린더 장치 등의 시일재 구동 장치(12c)를 구비하고 있다. 시일 장치(12)는, 시일재(12a)의 압압면(12d)을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압압하여, 밀접시킬 수 있다. 시일재 구동 장치(12c)는, 가압 장치 구동부(13c)와는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되므로, 통기판(13b)과는 독립해 시일재(12a)를 진퇴시키고,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압압 할 수 있다.
시일재(12a)의 압압력은, 예를 들면, 0.1~1.O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 장치(12)는, 가압 장치(13)의 본체부(13a)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구비되어 있다. 시일재(12a)는, 그 하면측이 본체부(13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백업 플레이트(12b)는, 본체부(13a)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시일재 구동 장치(12c)는 본체부(13a)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백업 플레이트(12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재(12a)의 상면의 대략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그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즉, 백업 플레이트(12b)는, 시일재(12a) 중,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을 압압하는 부분과,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압압하는 부분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일재 구동 장치(12c)는, 복수로 분할된 백업 플레이트(12b)에 대응해 복수 구비되고, 상기 분할된 백업 플레이트(12b)를 각 개별로, 복수의 시일재 구동 장치(12c)에 의해 여과부(11a)의 표면에 대해 서로 독립하여 진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체적으로 형성된 시일재(12a)의 밀접력이,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 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을 압압하는 부분과,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압압하는 부분에서 다르다. 따라서, 시일재(12a)의 밀접 상태를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재(12a)는, 예를 들면 발포 고무, 단일 기포 스펀지 혹은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압압하여 밀접했을 때에 탄성 변형한다.
시일 장치(12) 및 가압 장치(13)의 평면에서 보아, 시일재(12a)의 내주 가장자리 형상은, 가압 장치(13)의 통기판(13b)의 외주 가장자리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시일재(12a)의 내주 가장자리와 통기판(13b)의 외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대략 간극이 없는 상태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통기판(13b) 및 시일재(12a)는, 통기판(13b)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가 시일재(12a)의 내주 가장자리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시일재(12a)는 상기 전진 이동되었을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 중, 여과부(11a)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주 가장자리측이,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의 상면에 여과포(11)를 통해 밀접하고, 여과부(11a)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내주 가장자리측이, 슬러리(S)의 상기 폭 방향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밀접한다. 시일재(12a)의 하면 중, 상기 주행 방향 F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리(S)에 밀접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액 분리 장치(10)에 의해 슬러리(S)로부터 액상 물질과 고형 물질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각 진공 트레이(A1~A4)로의 진공 흡인을 휴지(休止)한 후, 상기 끼움 지지 실린더에 의해, 진공 트레이(A1~A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11)를 끼운 상태에서, 이동 실린더(20)의 상기 일단부(20a)를 상기 주행 방향 F와 반대 방향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진공 트레이(A1~A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11)는, 상기 주행 방향 F의 반대측을 향해 이동되고, 여과부(11a)가 상기 주행 방향 F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다음에, 각 진공 트레이(A1~A4)의 진공 흡인을 개시한다. 이 때, 슬러리 공급 장치(16)에 의해 진공 트레이(A1)의 상면의 케이크 형성 구획에 슬러리(S)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제 1, 제2 세정 장치(17a, 17b)에 의해 진공 트레이(A2, A3) 상면의 제1, 제2 세정 구획에 각각 제2 세정 여과액 및 신선한 세정액이 빠짐없이 살포되고, 상기 제1, 제2 세정 구획에 형성된 케이크상의 슬러리(S)의 세정이 행해진다. 세정 노즐(22)에 의해 여과포(11)에 세정수가 공급되고, 여과포(11)의 세정이 행해진다. 상기 탈수 구획에 있어서는, 세정 후의 슬러리(S)를 진공 흡인함으로써, 탈수 건조가 행해진다.
이상에 의해, 상기 끼움 지지 실린더 및 이동 실린더(20)에 의해 여과부(11a)를 주행 방향 F로 소정 거리씩 간헐 이동하는 동시에, 여과부(11a)의 표면에 슬러리 공급 장치(16)에 의해 슬러리(S)를 공급하여 이를 진공 흡인함으로써, 케이크상의 슬러리(S)로 한 후에, 이 슬러리(S)에, 제1, 제2 세정 장치(17a, 17b)에 의해 제2 세정 여과액 및 세정액을 공급해 진공 흡인함으로써 이를 세정하고, 또한 이 슬러리(S)를 진공 흡인함으로써 탈수 건조를 행하여 고형 물질로서 도시되 지 않은 스크레이퍼(scraper)에 의해 여과포(11)로부터 벗겨내 회수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주행 방향 F에 있어서의 최선단부에 위치하는 진공 트레이(A4)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정 여과액 및 세정액이 공급된 슬러리(S)를 진공 흡인할 때, 여과포(1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가압 장치(13)의 가압 장치 구동부(13c)를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전진 이동하고, 본체부(13a)를 통기판(13b)마다 상기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전진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시일 장치(12)의 시일재 구동 장치(12c)를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전진 구동하고, 백업 플레이트(12b)를 통해 시일재(12a)를 상기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고, 시일재(12a)의 하면(압압면)(12d)을,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압압하여 밀접시킨다. 이 때, 시일재(12a)는 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상에 의해, 시일재(12a)의 하면이, 상기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압압되어 밀접하는 것과 대략 동시에, 시일재(12a)에 둘러싸여 시일된 슬러리(S)에 통기판(13b)의 하면이 접촉한다.
시일재(12a)에 의해 슬러리(S)를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 유체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고, 본체부(13a)에 형성된 가압 유체 공급공(13h)을 통해 제2의 가압 유체를 상기 개구부(13e, 13f)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3a)의 상기 개구부(13e, 13f)의 내부는, 통기판(13b) 및 슬러리(S)에 의해 폐색되고, 그 내압이 상승한다. 통기판(13b)에 뚫린 관통공(13g)를 통해, 상기 상승한 내압, 및 개구부(13e, 13f)에 공급된 상기 가압 유체가 슬러리(S)에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시일재(12a)의 압압면(12d) 내측에 위치하는 슬러리(S)는, 상기 개구부(13e, 13f) 내에 공급된 제2 가압 유체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 진공 트레이(A4)에 의해 여과부(11a)의 하면측을 진공으로 함으로써, 이 슬러리(S)가 고형 물질과 액상 물질로 분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고액 분리 장치(10)에 의하면, 시일재(12a)는, 그 압압면(12d)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압압되어 밀접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가압 장치(13)는 여과부(11a)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밀접된 시일재(12a)의 압압면(12d) 내측에 위치하는 슬러리(S)를 가압해 액상 물질을 분리한다. 따라서, 가압 장치(13)에 의한 슬러리(S)의 가압 시에, 이 슬러리(S)가, 여과부(11a)의 표면을 따라, 시일재(12a)의 개구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거나, 혹은 비산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일재(12a)의 압압면(12d)의 안쪽에 위치하는 슬러리(S)를, 상기 안쪽에 고정한 상태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가 흩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이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시일재(12a)는 상기 탄성 변형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일재(12a)를,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탄성 변형시켜 밀접시킨 상태에서, 시일재(12a)의 개구면 내측에 위치하는 슬러리(S)를 가압하 여 고액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압 시에, 이 슬러리(S)가 시일재(12a)의 개구면 안쪽으로부터 상기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 및 고형 물질의 순도의 흩어짐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시일재(12a)가, 백업 플레이트(12b)를 통해, 시일재 구동 장치(12c)에 의해 상기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상기 재질에 의해 형성된 시일재(12a)가 높은 유연성을 구비해도, 이 시일재(12a)를 시일재 구동 장치(12c)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진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시일재(12a)는, 그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영역에서 상호 독립하고,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대해 압압 가능하다. 따라서, 시일재(12a)의 둘레 방향 위치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을 압압하는 부분과,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압압하는 부분에서, 그 밀접력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슬러리(S)를 압압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압압력을, 상기 여과부(11a)의 표면을 압압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압압력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일재(12a)의 전체 둘레 걸쳐 상기 밀접 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슬러리(S)가 시일재(12a)의 개구면 안쪽으로부터 상기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10)에서는, 여과부(11a)의 표면이 장치 본체(10a)에 대략 수평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여과포(11)에 의해 구성되고, 회수 장치(14)가 여과부(11a) 하에 여과부(11a)의 주행 방향 F로 복수 설치되어 진공 흡인 장치(V)에 연결된 진공 트레이(A1~A4)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가압 장치(13)에 의해 가압하면서, 진공 트레이(A4)에 의해 여과포(11)를 통해 진공 흡인함으로써 액상 물질과 고형 물질을 분리하므로, 슬러리(S)를 여과포(11)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하고, 고액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가 향상된 고액 분리의 처리를 고효율로 실시할 수 있다.
시일재 구동 장치(12c)는, 가압 장치 구동부(13c)와는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통기판(13b)과는 독립되고,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압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되는 슬러리(S)의 성질과 상태 등에 따라, 통기판(13b) 및 시일재(12a)의,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한 상기 압압의 하중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압 장치(13)에 의한 슬러리(S)의 가압 시에, 이 슬러리(S)가 상기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거나, 혹은 비산되는 것을, 슬러리(S)의 종류를 불문하고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슬러리(S)를 압착·통기 여과할 때에도, 슬러리(S)를 비산시키지 않고 안정된 여과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고액 분리 장치(10)의 취급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5에 따라 설명하는데,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장치(40)는, 시일 장치(12)의 실린더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재 구동 장치(12c)를 대신하여, 튜브로 이루어진 시일재 구동 장치(41)를 구비한다.
가압 장치(13)의 본체부(13a)에 형성된 가압 유체 공급공(42)을 통해 제1 가압 유체가 시일재 구동 장치(41) 내에 공급되면, 상기 시일재 구동 장치(41)가 탄성적으로 팽창 변형한다. 시일재 구동장치(41)의 변형에 의해 시일재(12a)가 여과부(11a)의 표면측을 향해 전진 이동되므로,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압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일재 구동 장치(41)가 복수 구비되어 있다. 이들 시일재 구동 장치(41)의 개수에 따라, 본체부(13a)에 복수의 가압 유체 공급공(42)이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가압 유체 공급공(42)으로부터, 각각의 시일재 구동 장치(41)의 내부에, 서로 독립하여 제1 가압 유체가 공급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일재(12a)에 있어서, 여과부(11a)의 표면을 압압하는 부분과,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압압하는 부분에서, 그 압압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시일 장치(12)와 비교해서, 시일 장치(40)의 구성 요소의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취급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장치의 고 비용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6에 따라 설명하는데,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장치(30)는, 제1 실시 형태의 시일재(12a) 및 백업 플레이트(12b)를 대신하여, 튜브에 의해 형성된 시일재(31)가 구비된다. 또한, 가압 장치(13)의 본체부(13a)에, 시일재(31)의 내부와, 도시되지 않은 가압 유체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가압 유체 공급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유체 공급공(32)을 통해 시일재(31)의 내부에 제1 가압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시일재(31)가 팽창 변형하고, 시일재(31)의 하면이, 여과부(11a)의 표면에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밀접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시일 장치(30)의 새로운 구성 요소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튜브를 시일재(31)로서 이용한 경우, 튜브의 내압은, 예를 들면 0.1~1.O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여과포(11)를 상기 주행 방향 F로 간헐적으로 이동시키 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액 분리 장치(10)로서, 도 4에 도시한 이른바 수평식 진공 여과기를 채용한 구성을 나타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여과부(11a)가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지 않은, 혼합체의 공급되는 여과부(11a)의 표면이 고정된 구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회수 장치(14)로서 진공 트레이(A1~A4)를 도시한 구성을 나타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수 장치(14)를 갖지 않는 구성, 즉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진공 흡인 장치(V)에 의해 진공 흡인하지 않고, 단순히 가압 장치(13)에 의해 가압하는 것만으로 고액 분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유체로서 에어를 채용한 구성을 나타냈는데, 예를 들면 물이나 세정액 등의 액체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통기판(13b)을 가지지 않는 고액 분리 장치(10)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통기판(13b)을,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가압하는 가압판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즉, 가압 장치 구동부(13c)를 여과부(11a)의 표면에 대해서 전진 구동했을 때, 통기판(13b)의 하면에 의해 여과부(11a) 표면의 슬러리(S)를 가압하도록 하고, 이 통기판(13b)에 의한 가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의 가압 유체에 의해 슬러리(S)를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고액 분리 효율 및 고형 물질의 순도의 향상을 더욱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의 가압 유체에 의한 가압을 행하지 않고, 통기판(13b)을 대신하여, 상기 관통공(13g)이 뚫리지 않은 가압판을 이용해 슬러리(S)를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기판(13b)을 가압판으로 하여 슬러리(S)를 압압하는 경우, 통기판(13b)의 가압 압력은, 예를 들면, 0.1~1.O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장치(13)에 의해 슬러리(S)를 가압하는 양태로서, 상기 제2 가압 유체만에 의한 양태, 상기 제2 가압 유체 및 상기 가압판으로서의 통기판(13b)의 양쪽에 의한 양태 및 상기 가압판만에 의한 양태의 3개를 나타냈다. 이들 각 양태에 있어서, 상기 회수 장치(14)에 의해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그 아래쪽으로부터 진공 흡인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시일 장치(30)에 대신하여, 시일재(31)를 그 둘레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5에 도시한 시일 장치(40)에 있어서, 시일재(12a)를 제거하고, 튜브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시일재 구동 장치(41)를 시일재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복수의 시일재(시일재 구동 장치(41))의 내부에 가압 유체 공급공(42)을 통해 각 개별로 제1 가압 유체가 공급되고, 각 시일재가 팽창 변형했을 때에, 이들 하면이, 진공 트레이(A4)의 상기 경사부(14c)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여과부(11a)의 표면, 및 상기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에 밀접하는 동시에, 그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시일재 구동 장치(41)의 둘레 단부끼리 탄성 변형한 상태로 밀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도 5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시일재(12a)를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진퇴 이동시키는 시일재 구동 장치(12c, 41)를, 상기 본체부(13a) 및 통기판(13b)을 여과부(11a)의 표면 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압 장치 구동부(13c)와는 별도의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했다. 이에 대신하여, 시일재(12a)를 가압 장치 구동부(13c)에 의해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진퇴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즉,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일재 구동 장치(12c, 41), 및 백업 플레이트(12b)를 가지지 않는 고액 분리 장치를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시일재(12a)는, 가압 장치 구동부(13c)에 의해 본체부(13a) 및 통기판(13b) 혹은 상기 가압판과 함께, 여과부(11a)의 표면을 향해 진퇴 이동된다. 따라서, 여과부(11a)의 표면에 공급된 슬러리(S)를 가압 장치(13)에 의해 가압할 때, 이 슬러리(S)를 시일재(12a)에 의해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 시에, 상기 여과부의 표면을 따라, 혼합체가 가압 영역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거나, 혹은 비산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고, 얻어지는 고형 물질의 순도가 흩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이 고형 물질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혼합체로부터 액상 물질과 고형 물질을 분리하는 고액(固液) 분리 장치로서,
    표면에 상기 혼합체가 공급되는 여과부와;
    상기 혼합체에 압압되는 프레임 형상의 압압면을 가지고, 상기 압압면이 전 둘레에 걸쳐 상기 여과부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에 압압되어 밀접 가능한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와;
    상기 시일재를 상기 여과부의 표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일 장치와;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를, 상기 압압면의 안쪽에 있어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재는, 탄성 변형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하는 재질은, 발포 고무, 단일 기포 스펀지 혹은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일재는, 내부에 제1 가압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팽창하여 탄성 변형 하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 장치는, 상기 여과부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에 대하여, 상기 시일재를 상기 시일재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영역에서 서로 독립하여 압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혼합체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유체를, 상기 시일재의 압압면 안쪽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복수의 관통공이 천공되고, 이들 관통공이 개구하는 표면이 상기 혼합체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판을 상기 혼합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상기 제2 가압 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혼합체를 상기 가압판 및 상기 제2 가압 유체에 의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진공 흡인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 물질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를, 상기 여과부의 이면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의 표면은, 대략 수평으로 주행하는 여과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회수 장치는, 상기 진공 흡인 장치에 연결된 진공 트레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여과포 아래에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장치.
  10. 여과부 표면에 공급되어 액상 물질 및 고형 물질을 포함한 혼합체를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에 의해 둘러싸서 가압 영역을 시일하고,
    상기 가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혼합체를 가압하여, 상기 액상 물질과 상기 고형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방법.
  11.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되어 액상 물질 및 고형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체를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에 의해 둘러싸서 가압 영역을 시일하고,
    상기 가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혼합체를 가압하여 상기 액상 물질을 고형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데 있어,
    상기 여과부의 표면에 공급된 상기 혼합체를, 상기 여과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진공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 분리 방법.
KR1020077021942A 2005-03-25 2006-03-10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KR101212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7602 2005-03-25
JP2005087602 2005-03-25
JPJP-P-2005-00271722 2005-09-20
JP2005271722A JP4597827B2 (ja) 2005-03-25 2005-09-20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773A true KR20070114773A (ko) 2007-12-04
KR101212859B1 KR101212859B1 (ko) 2012-12-14

Family

ID=3705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942A KR101212859B1 (ko) 2005-03-25 2006-03-10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97827B2 (ko)
KR (1) KR101212859B1 (ko)
CN (1) CN101146585B (ko)
TW (1) TW200633756A (ko)
WO (1) WO2006103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334B2 (ja) * 2005-07-29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粒子の製造方法
JP4847286B2 (ja) * 2006-11-14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粒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8545133B2 (en) 2008-03-05 2013-10-01 Canon Kabushiki Kaisha Filter cloth traveling type belt filter and production method of toner particles
US8663482B2 (en) 2008-03-25 2014-03-04 Tsukishima Kikai Co., Ltd. Solid-liquid separating device, filtering apparatus, and solid-liquid separating method
KR101140637B1 (ko) 2010-01-25 2012-05-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가능한 압착식 영양염 농축 및 농축수 회수장치
CN102961905A (zh) * 2012-11-30 2013-03-13 江门市慧信净水材料有限公司 压滤测试台
ITUA20163684A1 (it) * 2016-05-23 2017-11-23 Soc Agricola Monte Rossa S R L Torchio per la spremitura di frutta
US11511465B2 (en) * 2017-03-10 2022-11-29 Spencer Sitnik Rosin pres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4690U (ja) * 1983-02-08 1984-08-22 市川毛織株式会社 加圧脱水機における加圧箱のシ−ル構造
JPS6033900A (ja) * 1983-08-01 1985-02-21 Riken Corp 連続圧搾脱水装置
JP3311417B2 (ja) * 1993-03-18 2002-08-05 ディ・アンド・シィ・リミテッド 濾過装置
JP4014355B2 (ja) * 2000-07-03 2007-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ガス還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33756A (en) 2006-10-01
JP4597827B2 (ja) 2010-12-15
JP2006297366A (ja) 2006-11-02
CN101146585A (zh) 2008-03-19
TWI361714B (ko) 2012-04-11
CN101146585B (zh) 2010-09-15
WO2006103900A1 (ja) 2006-10-05
KR101212859B1 (ko) 201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859B1 (ko)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US6495031B1 (en) Enclosed belt filter apparatus
CN109381905B (zh) 一种可自动更换滤布的过滤装置
CN101925388A (zh) 固液分离装置、过滤装置及固液分离方法
KR20170098063A (ko) 폐기슬러지 탈수장치
US20030024869A1 (en) Belt filter press with improved belt washer assembly
US30849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ssure filtration of suspensions of solids in liquids
JP4522932B2 (ja) 固液分離方法
US5059323A (en) Self-cleaning vacuum filter with permanent, endless filter media particularly for industrial lubricating and cooling liquids
JP4522933B2 (ja) 固液分離方法
CN205532404U (zh) 钻井液回收固控装置
JP4275658B2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EP1862205A1 (en) Solid and liquid separator and solid and liquid separating method
JP2006334524A (ja) ベルト式脱液装置
JPH06277417A (ja) 濾過装置
JP3815433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用ろ布の保護方法
AU723824B2 (en) Filtration system for removing solid particles
EP0151288A2 (en) Belt filter
CN218881087U (zh) 一种具有过滤污水杂质的矿山治理装置
US1026917A (en) Filtering apparatus.
CN213885241U (zh) 一种固定盘式真空过滤机
CN211215589U (zh) 便于快速分离的滤板及带有该滤板的压滤机
CN212594194U (zh) 一种泥污压滤机板框组件
JPS61238308A (ja) フイルタプレスの濾布洗浄装置
JPH01148315A (ja) 真空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