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716A -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716A
KR20070113716A KR1020060047345A KR20060047345A KR20070113716A KR 20070113716 A KR20070113716 A KR 20070113716A KR 1020060047345 A KR1020060047345 A KR 1020060047345A KR 20060047345 A KR20060047345 A KR 20060047345A KR 20070113716 A KR20070113716 A KR 20070113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unit
cylindrical portion
flan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흠
Original Assignee
백상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흠 filed Critical 백상흠
Priority to KR102006004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716A/ko
Publication of KR2007011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0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positive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 외측에 도어고정유닛이 90도 이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도어고정유닛이 걸려 정지되는 로커(locker)를 마련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를 걸어 잠금같이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제2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상기 원통부의 상 하측과 대응하여 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닛;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와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비틀림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외측에 도어고정유닛이 소정각도이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도어고정유닛이 걸려 정지시킬 수 있는 로커(lock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결합원통부에는 그 양단에서 돌출된 회동 축이 도어프레임고정유닛 상하부의 원통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 축 양쪽단부의 축홀에는 원통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는 고정 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비틀림 탄성스프링은 고정 축의 외면에 설치되어 한쪽끝단은 회동 축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끝단은 고정 축의 끝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힌지, 로커, 스토퍼

Description

도어힌지{DOOR HIN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가 적용되어 도어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가 적용되어 도어를 열어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프레임고정유닛 11: 제1고정플랜지
12: 원통부 13: 캡
14,25: 스크루 홀 15: 로커
16: 통체 17: 강구
18: 스프링 19: 홈붙이볼트
20: 도어고정유닛 21: 제2고정플랜지
22: 회동결합원통부 23: 핀홀
24: 고정핀 30: 비틀림 탄성스프링
40: 회동 축 41: 요홈
42: 고정핀홀 43: 스프링코일홀
44: 축홀 50: 고정 축
51: 헤드 52: 스프링코일홈
본 발명은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을 위해 도어를 열었다 놓으면 자동으로 닫힘은 물론 도어를 일정각도로 열어 놓을 수 있는 로커기능이 구비된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이루도록 구획하는 입구에는 도어가 설치되며, 이 도어는 그 일측에 문틀과 일명, 경첩이라는 도어힌지를 통해 열고 닫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도어힌지는 수많은 종류가 있는데, 이들 중에서 단순히 문틀과 도어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힌지와, 이 도어힌지에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놓으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도어힌지로 대분된다 할 수 있다.
이렇게 대분되는 도어힌지 중에서 자동 닫힘이 이뤄지는 도어힌지와 관련된 것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4242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제1고정플랜지의 한쪽에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제2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상기 원통부의 상 하측과 대응하여 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 유닛;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끝단이 걸리는 고정부재; 및,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다른 끝단이 걸리는 도어회동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의 도어힌지는 도어를 여는 상태에서 탄성스프링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열려진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므로 도어를 열고 출/입한 상태에서 도어를 반드시 닫아야만 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닫아주는 힘을 얻으므로 저가로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의 도어힌지에 있어서는,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와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의 연결을 그 구성이 복잡한 고정부재와 도어회동지지부재로 결합함은 물론 베어링, 2개의 링, 탄성스프링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그 구성부품 또한 많아 제작단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회동결합원통부에 도어회동지지부재를 고정시 강구수납 홈과 강구가이드 홈이 일치되도록 한 후 이에 강구를 강압적으로 타설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어서 회동결합원통부의 외면이 손상되기 쉽고 이로 인해 그 내부의 도어회동지지부재 또한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도어고정유닛의 제1, 제2고정플랜지가 이 중으로 겹쳐지게 마련된 것이어서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엔 틈새가 발생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틈새 없이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조립시공하기 위해서는 도어프레임과 도어에 제1, 제2고정플랜지의 두께만큼 파내어야 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도어고정유닛은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탄성스프링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그 열어진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는 것일 뿐이므로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도어고정유닛의 그 어디에도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체커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필요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켜 놓고자 할 때에도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 외측에 도어고정유닛이 90도 이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도어고정유닛이 걸려 정지되는 로커(locker)를 마련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를 걸어 잠금같이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 내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가 수용 설치되어 이중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프레임고정유닛 및 도어고정유닛이 설치되는 부위의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파내지 않아도 틈새 없이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프레임유닛과 도어유닛의 원통부를 연결하고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수단의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므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게 이뤄지도록 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제2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상기 원통부의 상 하측과 대응하여 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닛;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와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비틀림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외측에 도어고정유닛이 소정각도이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도어고정유닛이 걸려 정지시킬 수 있는 로커(lock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커는 원통부의 외면에 그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통체가 마련되고 이 통체 내에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와 접하는 쪽으로 강구가 돌출되게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강구를 지지하는 스프링 하단위치의 통체에는 스프링의 탄력을 제어하기 위한 홈붙이볼트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은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하되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가 중첩되어 돌출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는 플랜지홈을 형성하며 이 플랜 지홈의 내측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결합원통부에는 그 양단에서 돌출된 회동 축이 도어프레임고정유닛 상하부의 원통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 축 양쪽단부의 축홀에는 원통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는 고정 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비틀림 탄성스프링은 고정 축의 외면에 설치되어 한쪽끝단은 회동 축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끝단은 고정 축의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 축의 양쪽단부는 원통부에 삽입이 용이하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뤄지도록 끝단의 직경이 작게 경사져있다.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은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하며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가 중첩되어 돌출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는 플랜지홈을 형성하며 이 플랜지홈의 내측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마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일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힌지는 제1고정플랜지(11)의 한쪽 에 원통부(12)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닛(10)과, 제2고정플랜지(21)의 한쪽에 상기 원통부(12)의 상 하측과 대응하여 회동결합원통부(22)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닛(20)과,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10)의 원통부(12)와 도어고정유닛(20)의 회동결합원통부(22)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비틀림 탄성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회동결합원통부(22)의 양단에서 돌출된 회동 축(40)이 도어프레임고정유닛(10)상하부의 원통부(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 축(40)의 양쪽단부에 원통부(12)로부터 삽입 고정되는 고정 축(50)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은 고정 축(50)의 외면에 설치되되 한쪽끝단은 회동 축(4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끝단은 고정 축(50)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동 축(40)의 양쪽단부는 원통부(12)에 삽입이 용이하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뤄지도록 끝단의 직경이 작게 경사져있으며, 고정 축(50)은 회동되지 않도록 원통부(12)에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회동 축(40)은 회동결합원통부(22)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원통부(12)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되, 이 그 길이전체에 대하여 중심선방향으로 요홈(41)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회동결합원통부(22)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핀홀(42)이 천공됨은 물론 그 양단에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의 한쪽끝단을 걸기위한 스프링코일홀(43)이 형성되며, 양단에 고정 축(50)이 삽입 지지되는 축홀(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결합원통부(22)의 중간에는 회동 축(40)의 고정핀홀(42)과 일치하 는 핀홀(23)이 형성되고 이 핀홀(23)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핀(2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 축(50)은 회동 축(40)의 축홀(44)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마련되되, 그 한쪽끝단엔 원통부(12)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헤드(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헤드(51)에는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의 끝단이 걸리는 스프링코일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10)의 상하단부인 원통부(12) 외측끝단은 원통부(12)내부로 이물질의 침투방지를 위함은 물론 원통부(12)내에 충진될 수 있는 윤활유의 누출방지를 위한 캡(13)이 씌워져 있다. 상기 원통부(12)내의 회동 축(40)단부와 고정 축(50)의 헤드(51)부분에 이르기까지 윤활유인 그리스를 채우면 회동 축(40), 고정 축(50) 및 비틀림 탄성스프링(30) 간의 마찰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 부품의 녹을 방지하여 장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은 고정 축(50)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면서 그 한쪽끝단은 회동 축(40)의 요홈(41)에 걸리고 다른 한쪽끝단은 고정 축(50)의 스프링코일홈(52)에 걸리게 설치됨으로써 회동 축(40)의 외면은 물론 고정 축(50)의 헤드(51)외주면에서 돌출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원통부(12)와 회동결합원통부(22)에 회동 축(40)과 고정 축(50)을 조립함에 아무런 지장 없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2)의 외측에는 도어고정유닛(20)이 소정각도이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도어고정유닛(20)의 하단을 걸어 정지시킬 수 있는 로커(locker, 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로커(15)는 원통부(12)의 외면에 그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 로 속이 빈 통체(16)가 마련되고 이 통체(16) 내에 도어고정유닛(20)의 회동결합원통부(22)와 접하는 쪽으로 강구(17)가 돌출되게 스프링(18)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강구(17)를 지지하는 스프링(18) 하단위치의 통체(16)에는 스프링(17)의 빠짐을 방지하고 그 탄력을 제어하기 위한 홈붙이볼트(19)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로커(15)의 스프링 탄력은, 도어의 중량이나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을 감안하여 도어를 90도 이상으로 열었을 때 도어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닫히지 않는 정도로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로 고정함과 도어의 닫음을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로커(15)의 스프링 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수공구인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홈붙이볼트(19)를 회전시켜 통체(16)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풀어 빼내되 홈붙이볼트(19)가 빠지는 만큼 스프링(18)을 눌러 가압정도의 탄성이 작아지므로 작은 힘으로도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로 고정함과 도어의 닫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통체(16)의 내부로 홈붙이볼트(19)를 삽입하는 만큼 스프링(18)을 눌러 가압정도의 탄성이 커지므로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로 고정함과 도어의 닫음에 좀더 큰 힘을 가하여야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어고정유닛(20)의 제2고정플랜지(21)는 도어프레임고정유닛(10)의 제1고정플랜지(11)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하되,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10)의 제1고정플랜지(11)에 도어고정유닛(20)의 제2고정플랜지(21)가 한 겹으로 겹쳐지도록 수용하는 플랜지홈(11a)을 형성하며 이 플랜지홈(11a)의 내측에 도어고정유닛(20) 의 제2고정플랜지(22)를 지지하는 스토퍼(11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1b)는 제1고정플랜지(11)의 플랜지홈(11a)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예일 뿐 원통부, 제2고정플랜지(21) 등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제2고정플랜지(11,21)에는 도어설치프레임(DF)과 도어(D)에 스크루로 장착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스크루 홀(14,2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는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도어설치프레임(DF)의 측벽엔 도어프레임고정유닛(10)의 제1고정플랜지(11)를, 도어(D)엔 도어고정유닛(20)의 제2고정플랜지(21)를 체결하되, 이들의 스크루 홀(14,25)을 통해 스크루로 견고하게 체결하여 장착한 다음, 도어(D)를 열면 도어프레임고정유닛(DF)에 대하여 도어고정유닛(D)이 상대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고정유닛(20)이 회전되면, 원통부(12)내에 고정 축(50)이 삽입 고정되어 있어 도어고정유닛(20)의 회전되는 만큼 회동결합원통부(22)에 고정된 회동 축(40)이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이 비틀리게 되므로 도어고정유닛(20)이 원래위치로 복귀되려한다.
이와 같이 출입자가 나가거나 들어온 후 파지하였던 도어(D)를 놓으면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되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출입자가 인위적으로 도어(D)를 닫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게 된다.
그리고 도어(D)를 개방시킨 상태로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출입을 하기 위해 도어(D)를 열은 상태에서 도 4b 및 도 4와 같이 좀 더 열어 제치면 도어고정유 닛(20)의 하단부분이 통체(16)상부로 돌출된 강구(17)를 누르면서 회전되게 되고, 상기 강구(17)를 통과하는 순간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강구(17)가 돌출되므로 도어고정유닛(20)의 하단부분이 걸리게 된다. 이때, 도어(D)에 가했던 힘(외력)을 제거하여도 도어는 닫히지 않는 것이어서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열어 놓은 도어를 닫고자 할 때에는 도어(D)를 여는 방향으로 좀 더 밀었다가 놓으면 비틀림 탄성스프링(30)의 복원력이 증대된 상태이므로 스프링(18)에 의해 지지된 강구(17)를 누르면서 통과하기 때문에 도어(D)가 닫히게 된다. 이때에도 도어(D)에 도어고정유닛(20)의 제2고정플랜지(21)가 강구(17)를 통과하는 순간 로커(15)를 이루는 통체(16)상부의 강구(17)는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통체(16)의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끝으로, 본 발명의 도어힌지에서 제1고정플랜지(11)의 하부측 원통부(12)에 설치하여 도어고정유닛(20)의 제2고정플랜지(21) 하단이 로커(15)의 강구(17)에 걸리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고정플랜지(11)의 상부측 원통부(12)에 설치하여 도어고정유닛(20)의 제2고정플랜지(21) 상단이 로커(15)의 강구(17)에 걸리는 것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고정유닛(20)에 취부된 도어(D)의 중량으로 인해 도어고정유닛(20)의 제2고정플랜지(21)가 처지더라도 도어의 개폐는 물론 로커의 기능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는,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 외측에 도어고정유닛이 90도 이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로커(locker)의 강구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를 걸어 정지시켜 놓을 수 있음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를 걸어 잠금같이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를 여는 방향으로 좀 더 밀었다가 놓으면 도어가 닫히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 내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가 수용 설치되어 이중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프레임고정유닛 및 도어고정유닛이 설치되는 부위의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파내지 않아도 거의 틈새 없는 상태로 조립 시공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도어고정유닛의 원통부를 연결하고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수단의 구성이 회동 축과 고정 축 및 비틀림 탄성스프링으로 지극히 간단하므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게 이뤄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제1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제2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상기 원통부의 상 하측과 대응하여 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닛;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와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비틀림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외측에 도어고정유닛이 소정각도이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도어고정유닛이 걸려 정지시킬 수 있는 로커(lock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원통부의 외면에 그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통체가 마련되고 이 통체 내에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와 접하는 쪽으로 강구가 돌출되게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를 지지하는 스프링 하단위치의 통체에는 스프링의 탄력을 제어하기 위한 홈붙이볼트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4. 제1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제2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상기 원통부의 상 하측과 대응하여 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닛;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와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비틀림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원통부에는 그 양단에서 돌출된 회동 축이 도어프레임고정유닛 상하부의 원통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 축 양쪽단부의 축홀에는 원통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는 고정 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비틀림 탄성스프링은 고정 축의 외면에 설치되어 한쪽끝단은 회동 축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끝단은 고정 축의 끝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축의 양쪽단부는 원통부에 삽입이 용이하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뤄지도록 끝단의 직경이 작게 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6. 제1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닛과; 제2고정플랜지의 한쪽에 상기 원통부의 상 하측과 대응하여 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닛;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원통부와 도어고정유닛의 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비틀림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은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되며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가 중첩되어 돌출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는 플랜지홈을 형성하며 이 플랜지홈의 내측에 도어고정유닛의 고정플랜지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KR1020060047345A 2006-05-26 2006-05-26 도어힌지 KR20070113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345A KR20070113716A (ko) 2006-05-26 2006-05-26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345A KR20070113716A (ko) 2006-05-26 2006-05-26 도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716A true KR20070113716A (ko) 2007-11-29

Family

ID=3909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345A KR20070113716A (ko) 2006-05-26 2006-05-26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7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78B1 (ko) * 2021-04-29 2021-12-21 정태영 안전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78B1 (ko) * 2021-04-29 2021-12-21 정태영 안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851B2 (en) Hinge
US8683655B2 (en) Separated type hinge apparatus with return function
JP4308254B2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JP5535580B2 (ja) 自動開閉扉蝶番
KR19980070776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20080111969A (ko) 회전 각도 제한 기능을 갖는 경첩
WO2001066894A1 (en) Door-hinge device having auto-locking function
KR20070113716A (ko) 도어힌지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JPH0913782A (ja) ダブルヒンジ構造及び蓋体の取付け構造
JP2004108110A (ja) ストッパー機能付き蝶番
US20050273978A1 (en) Friction Hinge System
JPH0243187Y2 (ko)
JP3505080B2 (ja) 貯蔵庫の扉装置
KR20110139362A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110007329A (ko) 경첩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KR200380539Y1 (ko) 레이디얼 베어링이 삽입된 도어용 힌지
KR20220005708A (ko)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KR200384265Y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US20060162125A1 (en) Hinge device
JP7221820B2 (ja) ドア
JP3999678B2 (ja) ヒンジカートリッジ及びドアヒンジ
KR870004016Y1 (ko) 경 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