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594A -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594A
KR20070113594A KR1020060047047A KR20060047047A KR20070113594A KR 20070113594 A KR20070113594 A KR 20070113594A KR 1020060047047 A KR1020060047047 A KR 1020060047047A KR 20060047047 A KR20060047047 A KR 20060047047A KR 20070113594 A KR20070113594 A KR 2007011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adjustment
audio
audiovis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선오
윤종석
Original Assignee
남선오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선오, 윤종석 filed Critical 남선오
Priority to KR102006004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594A/ko
Publication of KR2007011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디스플레이(예컨대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에 대한 수평/수직방향 시청각이 전동방식으로 조정되도록 하기 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장치는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시청각 조정을 위한 전동모터와 볼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제 1 ∼ 제3시청각조정유니트 및, 조정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시청각조정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에 의한 시청각조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ELECTROMOTIVE VIEWING-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FLAT-TYP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를 구성하는 시청각조정유니트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를 구성하는 시청각조정유니트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에 대한 원격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가 벽걸이 형태로 적용된 경우의 시청각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가 스탠드 형태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평판형 디스플레이, 12: 고정패널,
20A,20B,20C: 제1, 제 2, 제3시청각조정유니트, 30a,30b,30c: 전동모터,
32: 회전변환부재, 32b: 나선형 안내홈,
38: 실린더부재, 40: 안내핀,
42: 실린더하우징, 44: 하우징본체,
46: 볼링크하우징, 48: 볼링크부재,
54: 조정단말, 58: 제어부,
62: 베이스체, 64: 고정지주.
본 발명은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라든지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벽걸이 또는 스탠드 형태로 고정지지하면서 시청각(視廳角)을 전동식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펑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CRT(Cathode Ray Tube)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는 R/G/B컬러비임의 조사거리가 필요함으로 말미암아 그 외관치수가 대형으로 되는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컬러화상신호에 대응하여 액정의 투과도가 변화되어 영상을 재현하는 액정표시장치(LCD)라든지, 2장의 박형 유리기판 사이에 봉입된 네온가스가 수직/수평의 투명전극의 대전에 의해 대응하는 화소가 발광되어 영상을 재현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가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다.
그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패널형태를 취하면서 대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CRT방식의 디스플레이에 비해 유리하게 된다.
대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후면에 취부되는 벽고정구조에 의해 벽에 장착되거나 스탠드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바, 그 벽고정구조라든지 스탠드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최적의 시청각을 벗어나거나 주변에서 측광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선명한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청각의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그런데, 벽고정구조에 의해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벽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그 벽고정구조가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벽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주기능을 갖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시청각의 조정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되고, 스탠드구조에 의해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인위적인 시청각 조정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필요시마다 직접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을 조정해주어야만 되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벽걸이지지방식 또는 스탠드지지방식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면서 수평/수직방향의 시청각 조정이 전동식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시청각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시청각 조정을 위한 전동모터와 볼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제 1 ∼ 제3시청각조정유니트, 조정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시청각조정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에 의한 시청각조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 제3시청각조정유니트는 각기 상기 전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면서 외주면에 나선형 안내홈이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전달하는 회전변환부재와, 상기 회전변환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면서 그 회전변환부재의 나선형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핀이 대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전진/후진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가 수용되고 내벽에는 다수의 볼베어링이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전진/후진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부재가 관통되는 상기 고정패널의 개방구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수평회동을 지지하는 강구베어링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볼링크부재의 연결단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선단에 결합되고 그 볼형상부는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설치된 볼링크하우징에 회동수납된다.
또, 상기 고정패널은 '∪'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벽걸이지지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고정패널의 후면에 정의된 고정지주결합부에는 베이스체에 고정된 고정지주가 결합되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스탠드지지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는 그 평팡형 디스플레이(10)를 벽고정방식 또는 스탠드지지방식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면서 그 평판형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수평/수직방향의 시청각 조정기능을 달성하도록 제공되는 고정패널(12)이 제공되는 바, 그 고정패널(12)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고정패널(12)에는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에 대해 실제 수평/수직방향의 시청각 조정을 위한 시청각조정부(20)가 취부되는 바, 그 시청각조정부(20)에는 상기 고정패널(12)의 좌하측에 배치되는 제 1의 시청각조정유니트(20A)와, 상기 고정패널(12)의 우상측에 배치되는 제 2의 시청각조정유니트(20B) 및, 그 제 2의 시청각조정유니트(20B)의 하측에서 상기 제 1시청각조정유니트(20A)와 대향위치에 배치되는 제 3의 시청각조정유니트(20C)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제 3시청각조정유니트(20A∼20C)에는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시청각을 전동식으로 조정하도록 하기 위해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30a,30b,30c)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지게 된다.
도 2는 상기 제 1∼제 3시청각조정유니트(20A∼20C) 중에서 대표적으로 제 1시청각조정장치(20A)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대표적인 제 1시청각조정장치(20A)의 조립단면도이다.
상기 대표적인 시청각조정유니트(20A)에 갖추어지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30a)는 선단의 일면이 평탄하게 절삭(예컨대 반구형 단면)된 모터축(31)을 갖추게 되고, 그 모터축(31)에는 그 전동모터(30a)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변환부재(32)가 연결된다.
상기 회전변환부재(32)의 일단(32a)에는 상기 전동모터(30a)의 모터축(31)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바, 그 전동모터(30a)의 모터축(31a)과 상기 회전변환부재(32)의 일단(32a)의 결합은 원통하우징(34)의 중공내부(34a)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변환부재(32)의 일단도 상기 모터축(31)의 절삭된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예컨대 반구형 단면)으로 가공됨으로써 상기 모터축(31)의 수납시 상기 전동모터(30a)의 회전에 대해 슬립현상이 방지된다.
또, 상기 회전변환부재(32)의 외주에는 일정한 길이로 상기 전동모터(30a)의 회전이 직선운동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나선형 안내홈(32b)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나선형 안내홈(32b)의 인접한 위치에는 해당하는 회전변환부재(3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원형베어링(36a,36b)이 배치된다.
상기 회전변환부재(32)의 상기 나선형 안내홈(32b)의 부분은 중공형태의 실린더부재(38)에 수용되는 바, 그 실린더부재(38)의 일단에 정의된 확관부에는 대향되는 위치에 안내핀장착공(38a)이 천공되고, 그 안내핀장착공(38a)에는 상기 회전 변환부재(32)의 나선형 안내홈(32b)에 대응하는 안내핀(40)이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전동모터(30a)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변환부재(32)가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변환부재(32)는 상기 전동모터(30a)의 모터축(31)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위치에서 회전하게 되고, 그 정위치에서 회전하는 상기 회전변환부재(32)의 나선형 안내홈(32b)에 상기 안내핀(40)이 안내되는 상기 실린더부재(38)는 상기 전동모터(30a)의 정/역회전에 따라 전진운동하거나 후진운동하게 되며, 결국 그 실린더부재(38)의 전진/후진범위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시청각 조정에 적용되게 된다.
상기 회전변환부재(32)가 수납된 상기 실린더부재(38)는 원통형 실린더하우징(42)에 수용되는 바, 그 실린더하우징(42)의 내벽에는 다수의 볼베어링(42b)이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38)의 전진/후진운동을 임의의 요동없이 안내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하우징(42)의 외주에는 일정한 범위로 나사형상부(42b)가 형성되고, 그 실린더하우징(42)의 나사형상부(42b)는 상기 고정패널(12)에 관통되어 고정설치된 하우징본체(44)의 내벽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본체(44)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고정패널(12)에 부분적으로 수납된 강구베어링(14)에 접면되는 바, 그 강구베어링(14)은 상기 실린더하우징(42)의 전진/후진운동에 의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가 적정한 시청각으로 조정되는 경우에 그 하우징본체(44)가 수평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전체적인 회동부하가 감소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본체(44)가 상기 고정패널(12)에 관통설치되는 경우 그 하우징본체(44)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고정패널(12)에 배치된 상기 강구(14)에 의해 접면되어지는 반면 그 하우징본체(44)의 양 측면에는 수평방향에서 그 하우징본체(44)가 회동가능하도록 다소 여유롭게 상기 고정패널(12)이 개방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는 볼링크하우징(46)이 고정설치되는 바, 그 볼링크하우징(46)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 고착된 후판(도 7에서 '11' 참조)상에 고정설치되면 유리하게 된다.
그 볼링크하우징(46)에는 볼링크부재(48)가 결합되는 바, 그 볼링크부재(48)의 연결단(48a)은 상기 하우징본체(44)에 형성된 관통구(44a)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부재(38)의 선단(38b)에 예컨대 나사(도시는 생략)에 의해 고정체결되고, 그 볼링크부재(48)의 볼형상부(48b)가 상기 볼링크하우징(46)에 이탈방지되도록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볼링크하우징(46)과 상기 볼링크부재(48)는 소위 '볼링크' 또는 '볼조인트'로 칭해지는 주지의 구성이 적용되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에 대한 원격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에서 54는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시청각을 원격지에서 조정하기 위한 예컨대 리모콘으로서의 조정단말(54)로서, 그 조정단말(54)의 전단에는 시청각조정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발신소자(예컨대 LED)(54a)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수평/수직방향 시청각을 조정하기 위한 4-방향키(54b)가 갖추어지게 된 다.
또,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측에는 상기 조정단말(54)에 대응하여 수광부(54)와 그 수광부(54)에서 수신된 시청각조정량에 의거하여 시청각조정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58) 및, 그 제어부(58)의 제어하에 상기 전동모터(30a,30b,30c)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부(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단말(54)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시청각조정을 위해 별개의 리모콘형태의 구성으로 제공되어도 되지만, 그 평판형 디스플레이(10)에 대해 제공되는 리모콘에 부가되어도 된다.
그에 대응하여, 상기 수광부(54)와 상기 제어부(58) 및 상기 모터구동부(60)는 하나의 시청각제어모듈로서 해당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10)에 내장되도록 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상기 조정단말(54)로부터의 시청각조정신호의 수신이 용이하도록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장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의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단말(54)의 4-방향키(54b)로부터 수평/수직방향의 시청각조정이 선택되면 그 시청각조정신호는 상기 신호발신소자(54a)에서 전송되고, 상기 수광부(56)에서 수신된 상기 시청각조정신호가 상기 제어부(58)에 인가되면 그 제어부(58)는 상기 시청각조정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구동부(60)를 통해 상기 전동모터(30a,30b,30c)가 회전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시청각조정신호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를 수평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또는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20A,20C)의 전동모 터(30a,30c)가 구동되는 반면, 상기 시청각조정신호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를 수직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제 2시청각조정유니트(20B)가 구동된다.
예컨대, 상기 시청각조정신호가 상기 제 1시청각조정유니트(20A)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모터구동부(60)로부터 예컨대 정회전의 모터구동신호(즉, 상기 시청각조정신호에 대응)가 상기 전동모터(30a)에 인가되고, 그 전동모터(30a)의 회전은 상기 원통하우징(34)내에서 그 전동모터(30a)의 모터축(31)에 결합된 상기 회전변환부재(32)에 전달되어 그 회전변환부재(32)도 연동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변환부재(32)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변환부재(32)의 나선형 안내홈(32b)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38)의 안내핀(40)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고, 그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38)가 전진운동하게 되는 바, 그 실린더부재(38)의 전진이동은 상기 실린더하우징(42)에 설치된 다수의 볼베어링(42b)에 의해 임의의 요동없이 안정되게 지지된다.
상기 실린더부재(38)가 전진이동하게 되면 그 실린더부재(38)에 연결된 상기 볼링크부재(48)도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30a)가 설치된 방향, 즉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좌측이 상기 실린더부재(38)의 전진이동거리만큼 변위됨으로써 수평방향의 시청각이 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시청각이 조정되는 경우 상기 제 1∼제 3시청각조정유니트(20A∼20C)에 갖추어진 상기 볼링크부재(48)의 볼형상부(48b)는 상기 볼링크하우징(46)내에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시청각조 정방향에 따라 회동변위되고, 그 볼형상부(48b)의 회동한계범위를 초과하는 수평방향의 시청각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즉, 상기 제 1 또는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20A,20C)에 의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패널(12)에 설치된 강구베어링(14)의 지원하에 상기 하우징본체(44)가 수평방향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볼형상부(48b)의 회동한계범위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시청각조정신호가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를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경우이면 상기 제 2시청각조정유니트(20B)에 갖추어진 전동모터(20b)에 대한 구동이 제어되고, 그에 따라 그 전동모터(20b)의 전진이동에 의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가 수직방향에서 시청각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수평/수직방향에서 시청각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한 과정에서는 조정대상의 방향에 대응하는 전동모터(30a,30b,30c)만이 작동되는 경우가 상정되어 설명되었지만, 보다 원활한 시청각조정을 위해서는 수평/수직방향의 시청각조정이 실행되는 경우 전체의 전동모터(30a,30b,30c)가 전진/후진 작동되도록 해도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가 벽걸이 형태로 적용된 경우의 시청각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가 벽걸이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패널(12)은 대체로 '∪'자형상을 이루면서 그 고정패널(12)의 후판(12a)이 벽(50)에 접면되는 상태로 복수의 취부나사(52)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가 벽(50)에 설치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수직방향 시청각 조정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8)의 제어하에 상기 제 2시청각조정유니트(20B)의 전동모터(30b)가 정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상측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진하게 되어 수직방향의 시청각이 조정된다.
또,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수평방향의 시청각 조정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8)의 제어하에 상기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20C)의 전동모터(30c)가 정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우측이 전진하게 되어 수평방향의 시청각이 조정된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58)의 제어하에 상기 제 1시청각조정유니트(20A)의 전동모터(30a)가 정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의 좌측이 전진하게 되어 수평방향의 시청각이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가 스탠드 형태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를 스탠드구조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20A,20B,20C)가 취부된 상기 고정패널(12)의 후면에는 고정지주결합부(14)가 정의되고, 바닥면에 접면되는 베이스체(62)로부터 상기 고정지주결합부(14)에는 일정한 길이의 직립형 고정지주(64)가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스탠드형태로 구성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장치의 경우에도 상기 베이스체(62)와 상기 고정지주(64)에 대해 고정결합된 상기 고정패널(12)의 지지하에 상기 제 1 ∼ 제3시청각조정유니트(20A ∼ 20C)의 전동모터(30a,30b,30c)가 상기 제어부(58)의 제어하에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수평/수직방향의 시청각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조정단말은 리모콘의 형태이지만, 스탠드지지구조의 경우 상기 베이스체에 4-방향키가 설치되도록 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장치에 의하면, 조정단말로부터의 시청각조정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 1 ∼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의 전동모터가 정/역회전구동되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수평/수직방향의 시청각을 전동방식으로 조정해줌에 따라 대화면의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청각 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시청각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시청각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시청각 조정을 위한 전동모터와 볼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제 1 ∼ 제3시청각조정유니트,
    조정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시청각조정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 제 3시청각조정유니트에 의한 시청각조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 제3시청각조정유니트는 각기 상기 전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면서 외주면에 나선형 안내홈이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전달하는 회전변환부재와,
    상기 회전변환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면서 그 회전변환부재의 나선형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핀이 대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전진/후진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가 수용되고 내벽에는 다수의 볼베어링이 배치되어 상기 실 린더부재의 전진/후진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부재가 관통되는 상기 고정패널의 개방구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수평회동을 지지하는 강구베어링을 포함하게 되고,
    상기 볼링크부재의 연결단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선단에 결합되고 그 볼형상부는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설치된 볼링크하우징에 회동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은 '∪'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벽걸이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의 후면에 정의된 고정지주결합부에는 베이스체에 고정된 고정지주가 결합되어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스탠드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KR1020060047047A 2006-05-25 2006-05-25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KR20070113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047A KR20070113594A (ko) 2006-05-25 2006-05-25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047A KR20070113594A (ko) 2006-05-25 2006-05-25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77U Division KR200424138Y1 (ko) 2006-05-25 2006-05-25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594A true KR20070113594A (ko) 2007-11-29

Family

ID=3909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047A KR20070113594A (ko) 2006-05-25 2006-05-25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5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922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38378A1 (en) * 2016-08-25 2018-03-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922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38378A1 (en) * 2016-08-25 2018-03-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051750B2 (en) 2016-08-25 2018-08-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512178B2 (en) 2016-08-25 2019-12-1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897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US571513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display with tilting and rotating movements with rack, pinion, and bevel gears
US20100084998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070235609A1 (en) Automatic wall mounting system for wall-mounted TV
CN101487560B (zh) 平板电视壁挂架
US7490804B2 (en) Mount system for a monitor having a motorized tilt
US7961259B2 (en) Imaging apparatus
KR200424138Y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JP3193309B2 (ja) 傾斜角調節装置
WO2021047302A1 (zh) 显示装置底座和显示装置
KR200441352Y1 (ko) 벽걸이 티브이의 자동 시청각 조절장치
KR20070113594A (ko)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KR20050083030A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KR20080099892A (ko) 영상표시모니터의 수평방향 시청각 조정장치
US11906138B2 (en) Lamp body bracket and lighting device
KR1018770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117481A (ko) 영상표시장치의 틸팅장치
KR200454220Y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KR200349503Y1 (ko) 틸팅 장치
KR20050099415A (ko) 텔레비젼용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장치
KR100798612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조절장치
CN218601667U (zh) 一种微型投影仪
KR2005003925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067573A (ja) 画像表示装置及び回動装置
JP2005195711A (ja) 表示装置の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