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712A -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712A
KR20070110712A KR1020060043510A KR20060043510A KR20070110712A KR 20070110712 A KR20070110712 A KR 20070110712A KR 1020060043510 A KR1020060043510 A KR 1020060043510A KR 20060043510 A KR20060043510 A KR 20060043510A KR 20070110712 A KR20070110712 A KR 20070110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player
mobile multimedia
video device
communication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4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0712A/ko
Publication of KR2007011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입출력 단자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접속이 되었으면 상기 영상기기 내에 형성된 슬롯에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삽입되어 통신환경이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통신환경이 설정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커스텀 코드를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응답코드가 송출되면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영상기기의 디바이스로 최종 인식시켜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내의 영상 정보를 재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접속/착탈 환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사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접속할 시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IR(Infrared Ray) 입출력 단자

Description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METHOD FOR CONNECTING IMAGE PROCESSOR AND MOBILE MULTIMEDIA P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기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접속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부 입출력단자 102 : 제어부
104 : OSD(On Screen Display)부 106 : 영상처리부
108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용을 활성화시키고 편리한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 다.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선두주자격인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는, 음악 재생은 물론 동영상 재생이나 디지털 카메라 기능까지 갖춘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또는 차세대 휴대형 컨버전스(conversions) 기기라고도 한다. 기본적인 구조는 기존의 MP3 플레이어와 같으나, 음악 재생 기능만 있는 MP3 플레이어와는 달리 동영상도 재생할 수 있고,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촬영기능, 최근에는 네비게이션(navigation)기능도 갖춘 PMP가 출시되고 있다.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출시되기 시작하였는데, 전문가들은 머지않아 기존의 MP3를 대체할 것으로 보고 있다.
크기는 휴대하기 쉽도록 손바닥보다 작게 만들어졌고, 무게도 250g 이내이다. 또한 3.5인치 안팎의 액정디스플레이(LCD) 화면이 장착되어 있다. MP3 플레이어 기능 외에 FM방송 수신기능, 게임기능, 전자사전기능, 동영상재생기능, 디지털카메라기능, 네비게이션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용량은 20∼40 기가바이트로, 90분짜리 영화 40편 이상, 뮤직비디오 1,000편 이상을 담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PMP는 주로 이동성향이 강한 소비자(지하철이나 차량 이용자)를 위해 개발된 영상 장치로서, 가정 내에서는 거의 사용이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즉, 최근의 가정 내에는 홈씨어터를 비롯하여 기타 첨단 영상장치들, 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 DVD-RW, 브이씨알, PVR 등과 같은 장치들이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PMP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집에 들어오면 작은 액정의 PMP 대신 대형 화면의 TV를 통해 영상물을 접하고자 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이때, PMP 사용자가 자신의 PMP 내에 저장된 영상물을 대형 화면을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PMP를 별도의 외부 입출력 단자,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PC 또는 TV)와 연결시켜 자료를 공유하여야만 한다.
또는, PMP에 옵션 또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크래들(cradle)이라는 장치를 통해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시켜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PMP와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접속 및 통신 기술은, 몇 가지 문제점 및 단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예컨대, 외부 입출력 단자를 사용하든 크래들을 사용하든 PMP와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부 입출력 라인이나 AV 라인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들 라인은 접속 환경을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거나 어린이가 지나갈 경우에 라인을 건드릴 수 있어 PMP가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PMP 사용자 입장에서는 라인들로 인해 영상기기와의 접속이 번거롭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가정 내에서의 PMP 사용이나 내부 정보들의 시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접속/착탈 환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입출력 단자를 갖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접속이 되었으면 상기 영상기기 내에 형성된 슬롯에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삽입되어 통신환경이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환경이 설정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커스텀 코드를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응답코드가 송출되면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영상기기의 디바이스로 최종 인식시켜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내의 영상 정보를 재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기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로서, 외부 입출력 단자(100), 제어부(102), OSD부(104), 영상 처리부(106), 디스플레이부(108)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입출력 단자(100)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예컨대 PMP(도시 생략됨)가 접속되는 단자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IR(Infrared Ray : 적외선) 입출력 단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IR 입출력 단자는 양방향, 비접촉 방식으로 구성되며, 영상기기 내의 별도 슬롯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영상기기의 접속환경은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기기(200)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는 영상기기(200) 내에 별도로 형성된 슬롯(202)에 삽입되는 형태이며, 이 슬롯(202) 내부에 외부 입출력 단자(100)가 형성되어 영상기기(200)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종래와 같이 통신 환경을 라인으로 연결하면 시스템 간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 방식인 IR방식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해 준다.
또한, 슬롯(202) 내부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의 크기와 거의 일치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슬롯(202) 내부로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아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IR 통신을 수행하는데 큰 무리를 주지 않으며, 슬롯(202)이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를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IR 진행 방향도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02)는 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가 영상기기(200)에 접속되면, 양방향 IR 통신을 설정하고 통 신 설정이 성공되면 영상기기(200)에서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를 영상기기(200)의 디바이스, 예컨대 하드디스크형 저장매체로 인식하도록 하여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 내에 저장된 영상물을 재생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부(102)는 영상기기(200)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간의 통신 설정이 실패될 경우에, 후술하는 OSD부(104)를 통해 에러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SD부(104)는 제어부(102)의 제어하에 영상기기(200)의 OSD 정보를 외부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에러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처리부(106)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영상기기(200)의 영상 정보를 출력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08)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06)는 영상기기(200) 내의 영상 정보들뿐만 아니라, 영상기기(200)에 IR 접속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 내의 영상 정보들도 디스플레이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8)는, 예컨대 LCD 구동 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어부(102)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영상 처리부(106)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들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과정을 첨부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300)에서 제어부(102)는 외부 입출력 단자(100)와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데, 외부 입출력 단자(1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316)로 진행하나, 접속된 경우에는 단계(S302)로 진행한다.
단계(S302)에서 제어부(102)는 영상기기(200) 내에 형성된 슬롯(202)에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가 삽입되어 양방향 IR 통신이 설정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302)의 판단 결과, 양방향 IR 통신이 설정되면, 제어부(102)는 단계(S304)로 진행하여 영상기기(200)에서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체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로 전송한다.
반면, 단계(S302)에서 양방향 IR 통신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02)는 단계(S312)로 진행하여 통신 재설정이 되는지를 판단하고, 통신 재설정이 되면 상술한 단계(S304)로 진행하여 커스텀 코드를 전송하나, 그렇지 않고 통신 재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어부(102)는 단계(S314)로 진행하여 OSD부(104)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통신 재설정을 사용자에게 다시 요구한다.
한편, 제어부(102)는 단계(S304)의 수행 후 단계(S306)로 진행하여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가 응답코드를 송출하는지를 판단하고, 응답코드를 송출하면 제어부(102)는 단계(S308)로 진행하여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를 영상기기(200)의 디바이스로 최종 인식시킨다. 즉, 단계(S310)에서와 같이, 제어부(102)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를 하드디스크형 저장매체로 인식하게 끔 하여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 내의 영상 정보를 재생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가 응답코드를 송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02)는 상기 단계(S314)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OSD부(104)를 제어하고 통신 재설정을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다른 한편, 상기 단계(S300)의 판단 결과, 외부 입출력 단자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02)는 단계(S316)로 진행하여 영상기기(200)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가 착탈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316)의 판단 결과, 영상기기(200)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가 착탈된 상태라면, 제어부(102)는 단계(S318)로 진행하여 착탈 메뉴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착탈 메뉴 모드는, 상술한 OSD부(104)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영상기기의 상태가 착탈 상태라는 것을 인지시키기 위한 문구를 출력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단계(S318)의 수행 후 단계(S320)에서 제어부(102)는, 영상기기(200)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가 성공적으로 착탈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성공적으로 착탈되었으면 제어부(102)는 단계(S322)로 진행하여 착탈 가능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OSD부(104)를 제어한다.
반면, 영상기기(200)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4)의 착탈이 실패되었으면, 제어부(102)는 단계(S324)로 진행하여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OSD부(104)를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영상기기 내에 별도의 IR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슬롯을 마련하여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접속/착탈 환경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접속/착탈 환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사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접속할 시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외부 입출력 단자를 갖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접속이 되었으면 상기 영상기기 내에 형성된 슬롯에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삽입되어 통신환경이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환경이 설정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커스텀 코드를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응답코드가 송출되면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영상기기의 디바이스로 최종 인식시켜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내의 영상 정보를 재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환경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통신 재설정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재설정이 되면 상기 커스텀 코드를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재설정이 되지 않았으면 상기 영상기기 외부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영상기기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착탈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착탈된 상태이면 착탈 메뉴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영상기기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성공적으로 착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성공적으로 착탈되었으면 착탈 가능 메시지를 상기 영상기기의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와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착탈이 실패되었으면 경고 메시지를 상기 영상기기의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의 디바이스로 인식시키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하드디스크형 저장매체로 인식하게끔 하여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내의 영상 정보를 재생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환경은, 양방향 적외선 통신 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접속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접속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고정시켜 상기 양방향 적외선 통신시 적외선 진행 방향을 흐트러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P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간의 통신 방법.
KR1020060043510A 2006-05-15 2006-05-15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 KR20070110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510A KR20070110712A (ko) 2006-05-15 2006-05-15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510A KR20070110712A (ko) 2006-05-15 2006-05-15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712A true KR20070110712A (ko) 2007-11-20

Family

ID=3908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510A KR20070110712A (ko) 2006-05-15 2006-05-15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07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97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utput control method
JP5527963B2 (ja) 音声出力装置
JP5323579B2 (ja) 撮影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映像処理システム
US201101879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1892959B1 (en)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KR2014009352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방법
US200903004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901545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406570B2 (en) Multisystem network, and device and method for access to data storage
US200900442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Startup Control Method
US20110128437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aching a plurality of mod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31616A1 (en) Terminal device, media processing apparatus connected to 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8294498A (ja) アップデートシステム
US20080036918A1 (en) Audio Control System Applied for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US20070159555A1 (en) Video displaying device
US20090049504A1 (en) Multivideo-purpose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0081638A (ja) 情報処理装置
JP2009071396A (ja) アドレス設定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機器
CN205622752U (zh) 一种新型智能语音感应触摸识读液晶电视机
KR20070110712A (ko) 영상기기와 모바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통신 방법
US20100053453A1 (en) Digital media controller
CN103686045A (zh) 音视频信息传输方法及设备
US201500247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9144788A1 (ja) 音声出力機能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該映像表示装置で行う音量制御方法
US11825164B2 (en) Media playback device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