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675A -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675A
KR20070110675A KR1020060043442A KR20060043442A KR20070110675A KR 20070110675 A KR20070110675 A KR 20070110675A KR 1020060043442 A KR1020060043442 A KR 1020060043442A KR 20060043442 A KR20060043442 A KR 20060043442A KR 20070110675 A KR20070110675 A KR 2007011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character input
consonant
hangul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177B1 (ko
Inventor
정주한
김상철
박용관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06004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17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는, 소정의 제1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자음군 및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모음군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입력부, 소정의 제2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상기 자음군 및 상기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상기 모음군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호환 기능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글, 터치스크린, 자음, 모음, 네비게이션 시스템

Description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문자 입력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문자 입력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문자 입력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문자 입력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을 호환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한글 입력 장치
110: 제1 문자 입력부
120: 제2 문자 입력부
130: 호환 기능 제공부
131: 선택 기능 제공부
132: 제공부
본 발명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상에 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한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과 상기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의 예로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와 함께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설치된 자차의 현재 위치, 진행 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표시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길 안내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복수의 키들을 조작하여 검색창에 목적지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 나,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키패드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LCD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서, 한글 자음과 모음, 숫자, 특수기호를 한 화면에 모두 사용하기에는 공간적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모음, 자음, 숫자, 특수기호를 그룹핑하여 시인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글과, 숫자, 영문을 각각 다른 화면으로 구성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키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하기 위해서 여러 번 화면 전환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가지의 한글 입력 방식만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하나의 한글 입력 방식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잘 맞지 않는 한글 입력 방식에 익숙해지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한글의 자음은 두벌식 자판에서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모음은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조합을 이용하여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글의 자음 순서대로 상기 자음을 배치하고 모음은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일반 컴퓨터의 상기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상기 한글 입력 장치에 익숙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서로 다른 한글 입력 방식간에 서로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는, 소정의 제1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자음군 및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모음군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입력부, 소정의 제2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상기 자음군 및 상기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상기 모음군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호환 기능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음군은 한글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ㅁ, ㄴ, ㅇ, ㄹ, ㅎ) 및 (ㅋ, ㅌ, ㅊ, ㅍ)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ㄱ/ㄲ, ㄴ, ㄷ/ㄸ, ㄹ, ㅁ), (ㅂ/ㅃ, ㅅ/ㅆ, ㅇ, ㅈ/ㅉ, ㅊ) 및 (ㅋ, ㅌ, ㅍ, ㅎ)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ㅏ/ㅑ, ㅓ/ㅕ), (ㅡ, ㅣ) 및 (ㅗ/ㅛ, ㅜ/ㅠ)의 형태로 상기 모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방법은,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제2 문자 입력부를 선택하는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한글 입력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기능을 통해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는 한글 입력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자판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입력 장치(100)는 제1 문자 입력부(110), 제2 문자 입력부(120), 및 호환 기능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문자 입력부(110)는 소정의 제1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자음군 및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모음군을 포 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자음군은 한글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ㅁ, ㄴ, ㅇ, ㄹ, ㅎ) 및 (ㅋ, ㅌ, ㅊ, ㅍ)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모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ㅏ/ㅑ, ㅓ/ㅕ), (ㅡ, ㅣ) 및 (ㅗ/ㅛ, ㅜ/ㅠ)의 형태로 상기 모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자음 배치 형태는 일반 컴퓨터의 두벌식 자판의 자음 배치 형태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두벌식 자판에 익숙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제1 문자 입력부(110)를 통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문자 입력부(120)는 소정의 제2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상기 자음군 및 상기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상기 모음군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ㄱ/ㄲ, ㄴ, ㄷ/ㄸ, ㄹ, ㅁ), (ㅂ/ㅃ, ㅅ/ㅆ, ㅇ, ㅈ/ㅉ, ㅊ) 및 (ㅋ, ㅌ, ㅍ, ㅎ)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글의 자음 순서대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상기 제2 자음 배치 형태를 통해 상기 두벌식 자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제2 문자 입력부(120)를 통해 쉽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문자 입력부(110) 및 제2 문자 입력부(120)는 한글 입력 장치(100)의 사 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자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 자판은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문자가 배치된 경우, 상기 버튼의 연속 입력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호환 기능 제공부(130)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호환 기능 제공부(130)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선택 기능 제공부(131) 및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제공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환 기능 제공부(130)를 통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한글 입력부인 제1 문자 입력부(110) 및 제2 문자 입력부(120)를 서로 호환하여 사용함으로써 한글 입력 장치(100)의 사용자가 더 편리한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문자 입력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자 입력부(110)는 네 개의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행(201)은 순서대로 자음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및 모음 ㅏ/ㅑ, ㅓ/ㅕ를 포함할 수 있고,
두번째 행(202)은 자음 ㅁ, ㄴ, ㅇ, ㄹ, ㅎ, 및 모음 ㅡ, ㅣ를 포함할 수 있고,
세번째 행(203)은 자음 ㅋ, ㅌ, ㅊ, ㅍ, 특수키 i , 및 모음 ㅗ/ㅛ, ㅜ/ㅠ를 포함할 수 있고,
네번째 행(204)은 한글, 영어, 숫자, 특수, 이전, 를 키의 명칭으로 하는 특수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첫번째 행(201) 내지 세번째 행(203)에 포함된 자음군의 배치는 컴퓨터 키보드에서 사용되는 두벌식 자판의 자음군이 배치된 형태를 따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두벌식 자판에 익숙한 사용자는 쉽게 한글 입력 장치(100)에 익숙해질 수 있다. 첫번째 행(201)과 같이 한 개의 키에 복수의 자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키의 연속 입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행(201) 내지 세번째 행(203)에 포함된 모음군(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의 조합을 통해 한글의 모음을 조합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작은 LCD 크기에서 오는 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키의 개수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세번째 행(203) 및 네번째 행(204)에 포함된 상기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뿐만이 아니라 영어, 숫자 및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1) 이전 메뉴로의 이동, (2) 하나의 문자 삭제 및 (3) 도움말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로의 이동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문자 입력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자 입력부(110)는 세 개의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행(301)은 순서대로 자음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모음 ㅏ/ㅑ, ㅓ/ㅕ 및 이전, 를 키의 명칭으로 하는 특수키를 포함할 수 있고,
두번째 행(302)은 자음 ㅁ, ㄴ, ㅇ, ㄹ, ㅎ, 모음 ㅡ, ㅣ 및 한글, 영어를 키의 명칭으로 하는 특수키를 포함할 수 있고,
세번째 행(303)은 자음 ㅋ, ㅌ, ㅊ, ㅍ, 특수키 i , 모음 ㅗ/ㅛ, ㅜ/ㅠ 및 숫자, 특수를 키의 명칭으로 하는 특수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문자 입력부(110)는 문자를 입력 받는 전자기기의 LCD 형태가 대부분 정사각형이 아닌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의 형태이고, 상기 LCD상에 상기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문자를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상기 행에 더 많은 키를 배치하여 상기 LCD에 있어서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1 문자 입력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문자 입력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문자 입력부(120)는 네 개의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행(401)은 순서대로 자음 ㄱ/ㄲ, ㄴ, ㄷ/ㄸ, ㄹ, ㅁ 및 모음 ㅏ/ㅑ, ㅓ/ㅕ를 포함할 수 있고,
두번째 행(402)은 자음 ㅂ/ㅃ, ㅅ/ㅆ, ㅇ, ㅈ, ㅊ 및 모음 ㅡ, ㅣ를 포함할 수 있고,
세번째 행(403)은 자음 ㅋ, ㅌ, ㅍ, ㅎ, 특수키 i , 및 모음 ㅗ/ㅛ, ㅜ/ㅠ를 포함할 수 있고,
네번째 행(404)은 한글, 영어, 숫자, 특수, 이전, 를 키의 명칭으로 하는 특수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첫번째 행(401) 내지 세번째 행(403)에 포함된 자음군은 한글 자음의 순서를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두벌식 자판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쉽게 한글 입력 장치(100)에 익숙해질 수 있다. 첫번째 행(401) 및 두번째 행(402)에 포함된 복수의 자음을 포함하는 키의 경우, 상기 키의 연속 입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행(401) 내지 세번째 행(403)에 포함된 모음군(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의 조합을 통해 한글의 모음을 조합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작은 LCD 크기에서 오는 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키의 개수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세번째 행(403) 및 네번째 행(404)에 포함된 상기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뿐만이 아니라 영어, 숫자 및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1) 이전 메뉴로의 이동, (2) 하나의 문자 삭제 및 (3) 도움말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로의 이동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문자 입력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문자 입력부(120)는 세 개의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행(501)은 순서대로 자음 ㄱ/ㄲ, ㄴ, ㄷ/ㄸ, ㄹ, ㅁ, ㅂ/ㅃ, ㅅ/ㅆ 및 모음 ㅏ/ㅑ, ㅓ/ㅕ, ㅡ 를 포함할 수 있고,
두번째 행(502)은 자음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및 모음 ㅗ/ㅛ, ㅜ/ㅠ, ㅣ 를 포함할 수 있고,
세번째 행(503)은 한글, 영어, 숫자, 특수, 이전 및 를 키의 명칭으로 하는 특수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문자 입력부(12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를 입력 받는 전자기기의 LCD 형태가 대부분 정사각형이 아닌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의 형태이고, 상기 LCD상에 상기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문자를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행에 더 많은 키를 배치하여 상기 LCD에 있어서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2 문자 입력부(12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상기 모음군(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을 통해 한글의 모음을 조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ㅔ ⇒ ‘ㅓ’ + ‘ㅣ’, ㅖ ⇒ ‘ㅓ’ + ‘ㅓ’ + ‘ㅣ’,
ㅐ ⇒ ‘ㅏ’ + ‘ㅣ’, ㅒ ⇒ ‘ㅏ’ + ‘ㅏ’ + ‘ㅣ’,
ㅢ ⇒ ‘ㅡ’ + ‘ㅣ’, ㅟ ⇒ ‘ㅜ’ + ‘ㅣ’,
ㅝ ⇒ ‘ㅜ’ + ‘ㅓ’, ㅞ ⇒ ‘ㅜ’ + ‘ㅓ’ + ‘ㅣ’,
ㅘ ⇒ ‘ㅗ’ + ‘ㅏ’, ㅚ ⇒ ‘ㅗ’ + ‘ㅣ’,
ㅙ ⇒ ‘ㅗ’ + ‘ㅏ’ + ‘ㅣ’
과 같이 최대 3번의 입력으로 한글에서 조합되는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을 호환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기기를 통해 문자를 입력 받기 시작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드를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 중 원하는 상기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제1 문자 입력부(110)를 포함하는 두벌식 자판(601) 및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제2 문자 입력부(120)를 포함하는 자음 순서 자판(602)을 각각 터치 스크린을 통해 선택하여 원하는 상기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시작 시 상기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 이후 사용중에도 메뉴의 이동을 통해 상기 필드로 들어와 상기 한글 입력 방식을 변경하는 호환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언제든 본인에게 편리한 상기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701)에서 한글을 입력 받기 위한 한글 입력 장치는 상기 한글 입력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자판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제2 문자 입력부를 선택하는 선택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자판은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문자가 배치된 경 우, 상기 버튼의 연속 입력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 입력부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ㅁ, ㄴ, ㅇ, ㄹ, ㅎ) 및 (ㅋ, ㅌ, ㅊ, ㅍ)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제1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자음군 및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ㅏ/ㅑ, ㅓ/ㅕ), (ㅡ, ㅣ) 및 (ㅗ/ㅛ, ㅜ/ㅠ)의 형태로 배치된 모음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문자 입력부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ㄱ/ㄲ, ㄴ, ㄷ/ㄸ, ㄹ, ㅁ), (ㅂ/ㅃ, ㅅ/ㅆ, ㅇ, ㅈ/ㅉ, ㅊ) 및 (ㅋ, ㅌ, ㅍ, ㅎ)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제2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상기 자음군 및 상기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상기 모음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음군은 한글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702)에서 상기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입력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기능을 통해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다
단계(S703)에서 상기 한글 입력 장치는 상기 선택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한글의 자음은 두벌식 자판에서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모음은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조합을 이용하여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 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한글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글의 자음 순서대로 상기 자음을 배치하고 모음은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일반 컴퓨터의 상기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상기 한글 입력 방식에 익숙해질 수 있다.
이에 더해, 단계(S702) 및 단계(S703)를 통해 두 개의 서로 다른 한글 입력 방식간에 서로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 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의 자음은 두벌식 자판에서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모음은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조합을 이용하여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한글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의 자음 순서대로 상기 자음을 배치하고 모음은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일반 컴퓨터의 상기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상기 한글 입력 방식에 익숙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서로 다른 한글 입력 방식간에 서로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1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자음군 및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모음군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입력부;
    소정의 제2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상기 자음군 및 상기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상기 모음군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호환 기능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군은 한글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ㅁ, ㄴ, ㅇ, ㄹ, ㅎ) 및 (ㅋ, ㅌ, ㅊ, ㅍ)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ㄱ/ㄲ, ㄴ, ㄷ/ㄸ, ㄹ, ㅁ), (ㅂ/ㅃ, ㅅ/ㅆ, ㅇ, ㅈ/ㅉ, ㅊ) 및 (ㅋ, ㅌ, ㅍ, ㅎ)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ㅏ/ㅑ, ㅓ/ㅕ), (ㅡ, ㅣ) 및 (ㅗ/ㅛ, ㅜ/ㅠ)의 형태로 상기 모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는 상기 한글 입력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자판은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문자가 배치된 경우, 상기 버튼의 연속 입력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기능 제공부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선택 기능 제공부; 및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8. 두 개의 한글 입력 방식간에 호환이 가능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제2 문자 입력부를 선택하는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한글 입력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기능을 통해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 사이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및 상기 제2 문자 입력부는 한글 입력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입력부는 소정의 제1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자음군 및 ㅏ/ㅑ, ㅓ/ㅕ, ㅡ, ㅣ, ㅗ/ㅛ, ㅜ/ㅠ 의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모음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문자 입력부는 소정의 제2 자음 배치 형태에 따라 배치된 상기 자음군 및 상기 모음 배치 형태로 배치된 상기 모음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군은 한글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ㅁ, ㄴ, ㅇ, ㄹ, ㅎ) 및 (ㅋ, ㅌ, ㅊ, ㅍ)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ㄱ/ㄲ, ㄴ, ㄷ/ㄸ, ㄹ, ㅁ), (ㅂ/ㅃ, ㅅ/ㅆ, ㅇ, ㅈ/ㅉ, ㅊ) 및 ( ㅋ, ㅌ, ㅍ, ㅎ)의 형태로 상기 자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음 배치 형태는 상기 제1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제2 문자 입력부에서 포함하는 세 개의 연속된 행에 각각 (ㅏ/ㅑ, ㅓ/ㅕ), (ㅡ, ㅣ) 및 (ㅗ/ㅛ, ㅜ/ㅠ)의 형태로 상기 모음군을 배치한 배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자판은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문자가 배치된 경우, 상기 버튼의 연속 입력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043442A 2006-05-15 2006-05-15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6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42A KR100864177B1 (ko) 2006-05-15 2006-05-15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42A KR100864177B1 (ko) 2006-05-15 2006-05-15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675A true KR20070110675A (ko) 2007-11-20
KR100864177B1 KR100864177B1 (ko) 2008-10-17

Family

ID=3908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442A KR100864177B1 (ko) 2006-05-15 2006-05-15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1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058A (ko) * 2008-11-28 2010-06-07 제이씨현시스템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04041B1 (ko) * 2009-11-24 2012-01-06 (주)코어테크놀로지 가상 키보드의 인터페이스 장치
WO2012044870A2 (en) * 2010-10-01 2012-04-05 Googles Inc. Touch keyboard with phonetic character shortcuts
KR101482114B1 (ko) * 2008-07-0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719U (ko) * 1997-08-25 1999-03-15 구자홍 한글 가상 키보드
KR100284945B1 (ko) * 1998-03-13 2001-03-15 조관현 한글키보드
KR200221584Y1 (ko) 1998-12-31 2001-05-02 김종수 리모콘입력방식 한글자판
KR100446553B1 (ko) * 2000-05-12 2004-09-01 윤필규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0566427B1 (ko) 2004-05-18 2006-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키패드 및 검색 단어 입력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14B1 (ko) * 2008-07-0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100061058A (ko) * 2008-11-28 2010-06-07 제이씨현시스템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04041B1 (ko) * 2009-11-24 2012-01-06 (주)코어테크놀로지 가상 키보드의 인터페이스 장치
WO2012044870A2 (en) * 2010-10-01 2012-04-05 Googles Inc. Touch keyboard with phonetic character shortcuts
WO2012044870A3 (en) * 2010-10-01 2012-07-12 Googles Inc. Touch keyboard with phonetic character shortc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177B1 (ko) 200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041B2 (en) Keyboard layout for mouse or rocker switch text entry
CN101910986B (zh) 信息输入设备、信息输入方法及电子设备
JP5295392B2 (ja) 入力装置
US20140123050A1 (en) Text input
US20080122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Pointing Device
KR970049361A (ko) 문자입력장치
US10078423B2 (en) Device associated with a vehicle and having a spelling system with a completion suggestion
JP4922352B2 (ja) 日本語入力方法および日本語入力端末
KR100864177B1 (ko)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804087A2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text using the same
KR101046914B1 (ko) 귀환적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1520694B (zh) 字符输入接收装置和用于接收字符输入的方法
US2014028544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apparatus for the same
MX2007008165A (es) Metodo y aparato para introducir caracteres a traves de un dispositivo de senalamiento.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2160192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で一つの文字入力キーにいろんな文字と符号などを割り当て、文字入力キー上で上下左右、左上、左下、右上及び右下方向に線を引くと、該当文字が入力されるようにする線引き方式の文字入力方法
JP2008090794A (ja) 文字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165226A (ja) 名称入力装置および名称入力方法
US1010190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entering and displaying on touch screen display
KR101243754B1 (ko)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KR101198675B1 (ko) 조그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KR20060000393A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및 한글입력방법
KR20100063390A (ko)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00061591A (ko) 2개의 자판부와 2개의 제어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JP2011238150A (ja) 検索結果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04

Effective date: 200807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