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390A -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390A
KR20100063390A KR1020080121892A KR20080121892A KR20100063390A KR 20100063390 A KR20100063390 A KR 20100063390A KR 1020080121892 A KR1020080121892 A KR 1020080121892A KR 20080121892 A KR20080121892 A KR 20080121892A KR 20100063390 A KR20100063390 A KR 20100063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character
group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재
이훈
이준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8012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3390A/ko
Publication of KR2010006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는 단계,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문자, 입력, 휴대용 단말기, 화면영역

Description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Method of inputting letter using touch input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고,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고,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창보다 메인 표시창을 크게 표시하여 쉽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종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사양도 점차 좋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단순히 화면을 표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입력도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게 되었다. 터치스크린의 휴대용 단말기는, 기존의 LCD화면보다 크기도 커지고, 표시와 동시에 입력까지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의 휴대용 단말기도 문자 입력 시에는, 메인 화면보다 문자 입력 화면이 더 크게 표시되어,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도면부호(110)는 "나랏글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일례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전체 화면 중, 문자 입력 화면이 메인 화면보다 커서, 문자 입력창에서 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부분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120)는 "천지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일례이며,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는 있지만, 입력된 문자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문자 입력창보다 작은 메인 화면창으로 입력된 문자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시한 도면부호(110, 120)는 세로로 문자를 입력하는 일례이고, 도면부호(130, 140)는 가로로 문자를 입력하는 일례이다. 도면부호(130, 140)에서도 휴대용 단말기는 전체 화면 중, 약 10~20%정도만을 메인 화면창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을 모두 문자 입력창으로 구성함으로써, 입력된 문자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고,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고,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창보다 메인 표 시창을 크게 표시하여 쉽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고,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고,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복수의 문자를 입력받음으로써,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표시창에,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를 배열하고, 상기 배열되는 문자를, 선정된 조합 규칙에 기초하여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는 단계,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 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는 화면 제어수단,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수단, 및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고,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고,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복수의 문자를 입력받음으로써,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표시창에,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를 배열하고, 상기 배열되는 문자를, 선정된 조합 규칙에 기초하여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는 화면 제어수단(230),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수단(210), 및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0)는 종래와 달리,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메인 표시창이 매우 크게 표시되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화면 제어수단(230)은 상기 메인 표시창을 전체 화면영역의 80%를 차지하도록 분할하고, 상기 문자 입력창을 전체 화면영역의 10%를 각각 차지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고,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복수의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례로, 문자 입력수단(210)은 2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여 1개의 단위입력영역에 제1 문자 입력창을 배치하고, 다른 한 개의 단위입력영역에 제2 문자 입력창을 배치할 수 있다. 문자 입력수 단(210)은 제1 문자 입력창에 한글의 자음을 표시하고, 제2 문자 입력창에 한글의 모음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제1 문자 입력창에 m(m은 자연수)개의 자음버튼을 마련하여, 상기 m개의 자음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의 자음을 입력받고, 상기 제2 문자 입력창에 n(n은 자연수)개의 모음버튼을 마련하여, 상기 n개의 모음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의 모음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310)에서는 상기 m, n을 "6"으로 이용하는 일례이며, 설정에 따라 m, n의 개수는 설계변경 가능하다. 또한,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좌, 우에 배치한다고 기술하였으나, 상기 자음버튼과 상기 모음버튼보다 메인 표시창이 넓게 표시된다면 상기 자음버튼과 상기 모음버튼을 상, 하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도면부호(3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수단(210)은 화면영역의 좌측에 배치된 제1 문자 입력창에 "6"개의 자음버튼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음버튼은 "ㄱ, ㅋ", 제2 자음버튼은 "ㄴ, ㄷ, ㅌ", 제3 자음버튼은 "ㄹ", 제4 자음버튼은 "ㅁ, ㅂ, ㅍ", 제5 자음버튼은 "ㅅ, ㅈ, ㅊ", 제6 자음버튼은 "ㅇ, ㅎ"으로 마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문자 입력수단(210)은 화면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제2 문자 입력창 에 "6"개의 모음버튼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음버튼은 "ㅏ, ㅑ", 제2 모음버튼은 "ㅓ, ㅕ", 제3 모음버튼은 "ㅗ, ㅛ", 제4 모음버튼은 "ㅜ, ㅠ", 제5 모음버튼은 "ㅡ", 제6 모음버튼은 "ㅣ"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영역의 하단부분에는 문자 입력 시 필요한 메뉴, 한글/영어 변환, 지움 버튼을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종래의 나랏글 방식을 이용하면, 18번의 문자 입력이 필요하다. 즉, 입력되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ㅇ, ㅏ, ㄴ, ㄴ, ㅏ, ㅏ, 획추가, ㅇ, ㅇ, 획추가, ㅏ, ㅅ, ㅏ, ㅏ, ㅣ, ㅇ, ㅗ, 획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달리, 종래의 천지인 방식을 이용하면, 21번의 문자 입력이 필요하며, 입력되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ㅇ, ㅣ, ., ㄴ, ㄴ, ., ., ㅣ, ㅇ, ㅅ, ㅅ, ㅣ, ., ㅅ, ., ㅣ, ㅣ, ㅇ, ., ., ㅡ"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식을 이용하면, 16번의 문자 입력이 필요하며, 입력되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ㅇ, ㅏ, ㄴ, ㄴ, ㅓ, ㅓ, ㅇ, ㅇ, ㅇ, ㅏ, ㅅ, ㅓ, ㅣ, ㅇ, ㅗ, ㅗ"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식은 획추가 버튼 대신에 각각의 자음버튼 또는 모음버튼을 연속 선택하는 경우, 버튼에 표시된 자음,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을 입력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어 빠른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또 달리, 도면부호(3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수단(210)은 화면영 역의 좌측에 배치된 제1 문자 입력창에 "7"개의 자음버튼을, 제1 자음버튼은 "ㄱ, ㅋ", 제2 자음버튼은 "ㄴ, ㄷ", 제3 자음버튼은 "ㄹ, ㅌ", 제4 자음버튼은 "ㅁ, ㅂ", 제5 자음버튼은 "ㅅ, ㅈ", 제6 자음버튼은 "ㅇ, ㅎ", 제7 자음버튼은 "ㅍ, ㅊ" 으로 마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문자 입력수단(210)은 화면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제2 문자 입력창에 "6"개의 모음버튼을, 도면부호(310)와 동일하게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0)는 종래의 나랏글 방식 또는 천지인 방식보다 버튼을 입력하는 횟수를 줄여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표시수단(220)은 상기 메인 표시창에,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를 배열하고, 상기 배열되는 문자를, 선정된 조합 규칙에 기초하여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정된 조합 규칙은 사용자가 "ㅇ", "ㅏ", "ㄴ"을 차례대로 터치 입력할 경우, 입력된 문자를 조합하여 "안"이라는 한글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과 연관된 문자버튼과,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입력받을 문자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상기 문자버튼은 자음버튼, 모음버튼이며, 문자 입력수단(210)은 자음버튼 또는 모음버튼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면, 터치 입력된 자음버튼 또는 모음버튼을 식별하고, 식별된 자음버튼 또는 모음버튼의 터치 입력 횟수를 판단하여, 입력받을 한글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입력된 한글이 표시되는 영역(입력창)과, 웹페이지를 디스플레 이한 영역은 모두 메인 입력창으로 해석될 수 있다. 왜냐하면, 화면영역은 문자 입력창과 메인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문자 입력창을 제외한 영역이 모두 상기 메인 표시창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숫자 또는 알파벳을 입력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숫자 또는 알파벳을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문자 입력창은 k(k는 자연수)개의 숫자버튼을 포함하고,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k개의 숫자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k를 "5"로 이용하는 일례이며, 설정에 따라 k의 개수는 설계변경 가능하다.
도면부호(4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수단(210)은 화면영역의 좌측에 배치된 제1 문자 입력창에 "5"개의 숫자버튼, 1, 2, 3, 4, 5를 마련하고, 상기 화면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제2 문자 입력창에 "5"개의 숫자버튼, 6, 7, 8, 9, 0을 마련하여, 총 10개의 숫자 버튼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왼손으로 상기 제1 문자 입력창의 숫자버튼을 터치 입력하고, 오른손으로 상기 제2 문자 입력창의 숫자버튼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과 연관된 숫자버튼과,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입력받을 숫자를 식별할 수 있다. 화면 표시수단(220)은 상기 메인 표시창에,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문자 입력창은 j(j는 자연수)개의 알파벳 버튼을 포함하고,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j개의 알파벳 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알파벳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j를 "6"으로 이용하는 일례이며, 설정에 따라 j의 개수는 설계변경 가능하다.
도면부호(4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수단(210)은 화면영역의 좌측에 배치된 제1 문자 입력창에 "6"개의 알파벳 버튼, 제1 알파벳 버튼(Q, W), 제2 알파벳 버튼(E, R), 제3 알파벳 버튼(A, S), 제4 알파벳 버튼(D, F), 제5 알파벳 버튼(Z, X), 제6 알파벳 버튼(C, V, B)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화면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제2 문자 입력창에 "6"개의 알파벳 버튼, 제7 알파벳 버튼(T, Y, U), 제8 알파벳 버튼(I, O), 제9 알파벳 버튼(P, L), 제10 알파벳 버튼(G, H), 제11 알파벳 버튼(J, K), 제12 알파벳 버튼(N, M)을 마련할 수 있다.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과 연관된 알파벳 버튼과,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입력받을 알파벳을 식별할 수 있다. 화면 표시수단(220)은 상기 메인 표시창에,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알파벳을 배열하고, 상기 배열되는 알파벳을, 선정된 조합 규칙에 기초하여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51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는 일례이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화면영역의 좌, 우측에 제1, 제2 문자 입력창을 마련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메인 표시창에 "그렇구나 난 또 나보고 못생겼다고?quot; 표시할 수 있다.
도면부호(52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인터넷 검색하는 일례이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인터넷 검색 화면을 메인 표시창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메인 표시창이 제1, 제2 문자 입력창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53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실행하는 일례이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모바일 메신저 화면을 화면영역의 메인 표시창에 표시하고, 좌, 우측에 제1, 제2 문자 입력창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메인 표시창을 보면서 문자를 입력하며, 큰 메인 표시창으로 인해 입력되는 문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2를 참조하여 도 6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610에서, 화면 제어수단(230)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일례로, 화면 제어수단(230)은 상기 화면영역의 좌, 우측에 상기 입력영역을 배치하고, 상기 화면영역의 중앙에 표시영역을 배치시킬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 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고,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복수의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문자버튼을 포함하고, 문자 입력수단(210)은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과 연관된 문자버튼과,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입력받을 문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문자버튼은 한글의 자음버튼, 한글의 모음버튼, 숫자버튼, 알파벳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화면 표시수단(220)은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표시수단(220)은 상기 메인 표시창에,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를 배열하고, 상기 배열되는 문자를, 선정된 조합 규칙에 기초하여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 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숫자 또는 알파벳을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휴대용 단말기
210: 문자 입력수단
220: 화면 표시수단
230: 화면 제어수단

Claims (19)

  1.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는 단계;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복수의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창에,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문자를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배열되는 문자를, 선정된 조합 규칙에 기초하여 조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문자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과 연관된 문자버튼과,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입력받을 문자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한글의 자음 또는 한글의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m(m은 자연수)개의 자음버튼 또는 n(n은 자연수)개의 모음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m개의 자음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의 자음을 입력받는 단계; 또는
    상기 n개의 모음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의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한글의 자음을, 자음그룹 "ㄱ, ㅋ", 자음그룹 "ㄴ, ㄷ, ㅌ", 자음그룹 "ㄹ", 자음그룹 "ㅁ, ㅂ, ㅍ", 자음그룹 "ㅅ, ㅈ, ㅊ", 또는 자음그룹 "ㅇ, 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자음그룹을 m(m은 자연수)개의 자음버튼에 각각 할당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자음버튼에 대한 터치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그룹 중 입력받을 자음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한글의 자음을, 자음그룹 "ㄱ, ㅋ", 자음그룹 "ㄴ, ㄷ", 자음그룹 "ㄹ, ㅌ", 자음그룹 "ㅁ, ㅂ", 자음그룹 "ㅅ, ㅈ", 자음그룹 "ㅇ, ㅎ", 또는 자음그룹 "ㅍ, ㅊ"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자음그룹을 m(m은 자연수)개의 자음버튼에 각각 할당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자음버튼에 대한 터치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그룹 중 입력받을 자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한글의 모음을, 모음그룹 "ㅏ, ㅑ", 모음그룹 "ㅓ, ㅕ", 모음그룹 "ㅗ, ㅛ", 모음그룹 "ㅜ, ㅠ", 모음그룹 "ㅡ", 또는 모음그룹 "ㅣ"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모음그룹을 n(n은 자연수)개의 모음버튼에 각각 할당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모음버튼에 대한 터치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모음버튼에 할당된 모음그룹 중 입력받을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k(k는 자연수)개의 숫자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k개의 숫자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j(j는 자연수)개의 알파벳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j개의 알파벳 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알파벳을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12. 화면영역을, 입력영역과, 상기 입력영역 보다 넓은 표시영역을 포함하여 분할하는 화면 제어수단;
    상기 입력영역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에 대한 터치신호의 발생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수단; 및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창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 역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수단은,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복수의 문자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문자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과 연관된 문자버튼과, 상기 터치신호의 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입력받을 문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화면영역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입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수단은,
    상기 단위입력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해, 한글의 자음 또는 한글의 모음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m(m은 자연수)개의 자음버튼 또는 n(n은 자연수)개의 모 음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수단은,
    상기 m개의 자음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의 자음을 입력받고, 또는 상기 n개의 모음버튼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한글의 모음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한글의 자음을, 자음그룹 "ㄱ, ㅋ", 자음그룹 "ㄴ, ㄷ, ㅌ", 자음그룹 "ㄹ", 자음그룹 "ㅁ, ㅂ, ㅍ", 자음그룹 "ㅅ, ㅈ, ㅊ", 또는 자음그룹 "ㅇ, 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자음그룹을 m(m은 자연수)개의 자음버튼에 각각 할당하며,
    상기 문자 입력수단은,
    자음버튼에 대한 터치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그룹 중 입력받을 자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한글의 자음을, 자음그룹 "ㄱ, ㅋ", 자음그룹 "ㄴ, ㄷ", 자음그룹 "ㄹ, ㅌ", 자음그룹 "ㅁ, ㅂ", 자음그룹 "ㅅ, ㅈ", 자음그룹 "ㅇ, ㅎ", 또는 자음그룹 "ㅍ, ㅊ"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자음그룹을 m(m은 자연수)개의 자음버튼에 각각 할당하며,
    상기 문자 입력수단은,
    자음버튼에 대한 터치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그룹 중 입력받을 자음을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2항, 제17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한글의 모음을, 모음그룹 "ㅏ, ㅑ", 모음그룹 "ㅓ, ㅕ", 모음그룹 "ㅗ, ㅛ", 모음그룹 "ㅜ, ㅠ", 모음그룹 "ㅡ", 또는 모음그룹 "ㅣ"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모음그룹을 n(n은 자연수)개의 모음버튼에 각각 할당하며,
    상기 문자 입력수단은,
    모음버튼에 대한 터치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모음버튼에 할당된 모음그룹 중 입력받을 모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80121892A 2008-12-03 2008-12-03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00063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92A KR20100063390A (ko) 2008-12-03 2008-12-03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92A KR20100063390A (ko) 2008-12-03 2008-12-03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390A true KR20100063390A (ko) 2010-06-11

Family

ID=4236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892A KR20100063390A (ko) 2008-12-03 2008-12-03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33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7487A (zh) * 2018-07-04 2018-11-27 常州新途软件有限公司 车载系统的快速显示方法
KR20190103614A (ko)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아이디프라임 자동차등록번호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614A (ko)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아이디프라임 자동차등록번호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장치
CN108897487A (zh) * 2018-07-04 2018-11-27 常州新途软件有限公司 车载系统的快速显示方法
CN108897487B (zh) * 2018-07-04 2021-09-07 常州新途软件有限公司 车载系统的快速显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039B2 (en) Text input
US8701050B1 (en) Gesture completion path display for gesture-based keyboards
KR101441200B1 (ko)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US20130307781A1 (en) Data entry systems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CN101984389B (zh) 输入汉语字符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1500822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text-input interfac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334154B1 (ko) 중국어 단어 입력 장치 및 방법
US8850311B2 (en) Word input method
KR20100063390A (ko)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atre A Position Paper On-Cross cultural Usability Issues of Bilingual (Hindi & English) Mobile Phones
US20210271364A1 (en) Data entry systems
US1010190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entering and displaying on touch screen display
US10671272B2 (en) Touchscreen oriented input integrated with enhanced four-corner indexing
KR20070110675A (ko)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82760B1 (ko) Acegi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2668554A2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s
US20160370991A1 (en) Keyboard interface application
US20160292140A1 (en) Associative input method and terminal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1653102B1 (ko)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KR102260468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050048978A (ko)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기기에서 소프트웨어 키보드 자판배열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