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192A -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192A
KR20070110192A KR1020070041600A KR20070041600A KR20070110192A KR 20070110192 A KR20070110192 A KR 20070110192A KR 1020070041600 A KR1020070041600 A KR 1020070041600A KR 20070041600 A KR20070041600 A KR 20070041600A KR 20070110192 A KR20070110192 A KR 20070110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formation
management
mod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환
Original Assignee
한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환 filed Critical 한태환
Publication of KR2007011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04G9/007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combined with a calculator or computing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8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험과 관련된 정보(시험 시작 시간, 과목 정보, 각 과목당 문항 정보, 최종 점검 시간, 답안 기재 시간, 및 쉬는 시간 등)를 직접 입력하면, 시간 관리 장치가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각 시험 문항들을 풀어야 할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 결과에 따라서 시험 시간 중에 현재 사용자가 풀어야 할 적절한 문항 번호 및 잔여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다양한 시험에 대한 시험 시간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는 사용자 PC 와 USB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함으로써, 사전에 사용자 PC에서 설정된 시간 관리 정보를 간편하게 시간 관리 장치로 다운로드하여 시간 관리 설정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시간 관리 장치에 입력한 시간 관리 정보를 사용자 PC로 용이하게 백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요한 시험 정보를 시험 관리 장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명확하게 시험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Tim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통상의 시간 표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 은 상기 도 1 의 디스플레이부의 상세 평면도이다.
도 4 는 소과목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의 디스플레이부 상세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디스플레이부가 최종 검토 시간을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디스플레이부가 답안 체크 시간을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7 은 도 3 의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디스플레이부가 쉬는 시간을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에서의 관리 모드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의 시간 관리 정보 입력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시험과목 입력 단계에서의 버튼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상태 변화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소과목 입력 단계에서의 버튼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상태 변화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시험 정보 입력 단계에서의 버튼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상태 변화도이다.
도 13은 도9의 시험 정보 입력 단계에서의 입력 번호에 대한 입력이 종료되면 다음 번호를 표시하면서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디스플레이부 상태 변화도이다.
도14는 상기 도9의 시험 정보 입력 단계에서의 입력 시간의 분에 대한 정보 입력이 종료되면 입력 시간의 초에 대한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디스플레이부 상태 변화도이다.
도15는 도9의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의 연습 모드 정보 입력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부 상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험 정보 확인 및 보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8은 상기 도17의 다른 정보 표시 단계에서의 버튼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상태 변화도이다.
도19는 상기 도17의 상기 보정이 종료 되었나 확인 단계에서의 버튼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상태 변화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간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21은 상기 도20의 문항번호 표시 단계의 관리 모드3을 표시한 디스플레이부 상태도이다.
도22는 상기 도20의 문항번호 표시 단계의 관리 모드2를 표시한 디스플레이부 상태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연습 모드 사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상의 현재 시간 표시 모드에서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 는 시험 시작 시간을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 은 시험 시작 시간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 과 도 28 은 시험 정보 입력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 는 연습 모드에서 시작 과목 및 종료 과목을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 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입력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 은 입력된 정보를 확인 또는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정보 표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4 는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 는 연습모드에서 시간 관리 정보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를 식별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7 및 도 3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0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시험 스케줄에 따라서 시험 시간 관리를 수행하는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수험생이 소지하는 시계는 대부분 현재 시간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험생이 직접 시간을 관리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어 종래의 시계만으로는 수험생에게 시간의 경과를 순차적으로 알릴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시험 시작 후 남은 시험 시간을 표기하는 시계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시계는 막연히 남은 시험 시간만을 표시하므로, 수험생이 현재 자신의 문제 풀이 진척도가 적당한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남은 문제수와 잔여 시험 시간을 감안하여 문제를 푸는 진행 속도가 빠른지 또는 느린지 여부를 스스로 계산하여야 하므로, 수험생에게 명확한 시험 시간 관리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방식에 따르는 경우에, 수험생들은 문제 풀이의 오류 여부를 검토하거나, 답안을 체크하는 시간을 사전에 설정하여 스스로 관리하여야 하지만, 시간에 쫓기며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들에게는 이러한 시간을 스스로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 시험마다 시험 시간이 상이하고, 하나의 시험 시간에 복수 과목의 시험을 치르는 경우에, 수험생들은 각 시험에 따른 문제 풀이 시간 및 답안 체크 시간 등을 스스로 안배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심리적 부담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시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시험 시간, 시작 문항 번호, 종료 문항 번호, 검토할 시간, 답안표기 시간 등을 입력하면,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표기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시험 시간 중에 사용자가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계산하고, 해당 문항 번호를 사용 자에게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문제 풀이의 진행 속도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시험용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정보는 시험 시간 정보, 과목 정보, 및 문항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시험 시간 정보는 시험의 시작 시간, 시험 시간, 최종 검토 시간, 답안 기재 시간, 및 쉬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과목 정보는 각 시험에 포함되는 과목과 각 과목에 포함되는 소과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문항 정보는 각 과목 및 각 소과목의 시작 문항 번호와 종료 문항 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시간 관리 설정 정보는 시간 관리 온/오프 설정 정보,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한 모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시간 관리 정보는 상술한 시험 정보, 시간 관리 설정 정보, 및 상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의 내부에서 계산된 정보(문항당 시간 정보, 현재 시간,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등)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답안 체크와 답안 기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 터 시험 시간 정보 및 문항 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정보 입력부; 현재 시간 및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포함하는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시험 시간 정보와 문항 정보를 이용하여 시험 시간 동안 하나의 시험 문항을 풀어야하는 시간(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시험 문항 번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시험 시간 정보, 문항 정보 및 문항당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입력부는 시간 관리 설정 정보를 더 입력받고, 제어부는 시간 관리 설정 정보에 따라서 시간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개수의 시간 관리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 모드의 각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며, 데이터 베이스는 시간 관리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답안 기재 시간에 따라서 시험 시간 중 문제 풀이에 할당된 시간 및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 문제 풀이에 할당된 시간이 종료되면 답안 기재 시간의 잔여시간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 입력부는 시험 시간에 시험이 수행되는 과목 정보를 더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시험이 수행되는 과목 정보를 더 표시하며, 제어부는 과목별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여 과목 정보와 함께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며, 데이터 베이스부는 과목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수 모드는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 모 드; 시간 관리에 대한 연습이 수행되는 모드로서, 연습이 수행되는 시작 과목과 종료 과목, 현재 시간,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번호를 표시하는 연습모드;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관리모드1;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관리모드2; 과목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과목 정보, 과목의 문항 정보, 최종 검토 시간,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관리모드3; 및 각 과목에 대해서 잔여 시험 시간을 표시하는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모드는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변경되고, 관리모드1, 관리모드2, 및 관리모드3에서 정보 입력부로부터 시간 관리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어 해당 모드에서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며, 시간 관리 수행중에 모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관리모드1, 관리모드2, 및 관리모드3 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모드는 시간 관리가 수행될 시간 및 시간 관리 수행 여부를 설정하는 시작 시간 입력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의 정보 입력부는 복수의 모드를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시간 관리 설정 정보, 시험 시간 정보, 문항 정보, 및 현재 시간을 입력할 때, 입력 항목을 변경하는 모드 버튼을 구비할 수 있 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의 정보 입력부는 복수의 모드 중 시간 관리를 수행하는 모드에서 시간 관리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시간 관리 개시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시간 관리 설정 정보, 시험 시간 정보, 문항 정보, 및 현재 시간을 입력할 때, 입력되는 항목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시작 및 증가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의 정보 입력부는 리셋 버튼을 구비하고, 복수 모드 중 현재 시간 표시 모드에서 리셋 버튼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 정보 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복수 모드 중, 과목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과목 정보, 과목의 문항 정보, 최종 검토 시간,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관리모드3 에서, 리셋 버튼이 소정 시간동안 선택되는 경우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는 현재 시간을 시침과 분침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아날로그 시계부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아날로그 시계부의 상면에 투명 액정으로 구현되며, 제어부는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액정 표시 명령 및 액정 표시 해제 명령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로 시간 관리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상면에 위치하여 현재 시간을 표시하도록 시침 및 분침이 설치되고, 제어부는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액정 표시 명령 및 액정 표시 해제 명령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로 시간 관리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는 외부의 사용자 PC와 연결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를 사용자 PC로 백업하고, 사용자 PC 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로 출력하는 PC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는 임시 표시 명령 버튼을 더 포함하고, 임시 표시 명령 버튼으로부터 임시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만 시간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표시부로 구성되고, 복수의 표시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동일한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간 관리 방법은, (a)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시험 시간 정보 및 문항 정보를 입력받아 각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시간 관리 장치가 문항당 시간에 따라서 계산된,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포함하는 시간 관리 정보를 소정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시간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은, 제 18 항에 있어서, (a)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b) 시간 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시간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개수의 시간 관리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모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c)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선택 정보에 따라서 현재 시간 및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포함하는 시간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시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a) 단계는, 답안 기재 시간을 더 입력받아 각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 (c) 단계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고,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a) 단계는, 시험 시간에 시험이 수행되는 과목 정보를 더 입력받고, (c) 단계는, 과목별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여 과목 정보, 현재 시간, 및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시간 관리정보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b) 단계는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 모드; 시간 관리에 대한 연습이 수행되는 모드로서, 연습이 수행되는 시작 과목과 종료 과목, 현재 시간,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번호를 표시하는 연습모드;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관리모드1;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관리모드2; 및 과목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과목 정보, 과목의 문항수, 최종 검토 시간,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관리모드3; 및 각 과목에 대해서 잔여 시험 시간을 표시하는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b) 단계는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정보 입력부로부터 모드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c)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에서 정보 입력부로부터 시간 관리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어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며, 시간 관리 수행중에 모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관리모드1, 관리모드2, 및 관리모드3 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a) 단계는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PC 정보 송수신부를 통해서 접속된 사용자 PC 로부터 시험 시간 정보 및 문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상술한 (a) 단계는 (a1) 시간 관리 장치가 시험 과목 정보 및 시험 과목에 포함되는 소과목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시간 관리 장치가 과목 및 소과목에 대해서 시작 문항 번호, 종료 문항 번호, 시험 시간, 최종 점검 시간, 답안 기재 시간을 포함하는 시험 정보를 입력받아 각 과목 및 소과목의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a3)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a1) 단계에서 소과목이 입력된 경우에, 시험 관리 장치가 다음 소과목에 대해서 (a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4) (a1) 단계에서 입력된 다른 과목들에 대해서 (a2) 단계 및 (a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a) 단계는 연습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될 시작 과목 및 종료 과목 정보를 입력받고, (c) 단계는 시작 과목 내지 종료 과 목에 대해서 시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c) 단계는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액정 표시 명령 및 액정 표시 해제 명령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로 시간 관리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c) 단계는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임시 표시 명령 버튼으로부터 임시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소정 시간 동안만 시간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 관리 방법의 (c)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동일한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가 손목시계로 구현된 경우에, 통상의 시간 표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SET) 버튼(110), 모드(MODE) 버튼(120), 시작 및 증가 버튼(130), 리셋 버튼(140)으로 구성된 정보 입력부(100)와, 시험 과목과 현재 시간과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정보 입력부(100)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정보들로 출력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는 정 보를 생성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정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정보와 제어부(300)에서 계산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0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0)와 PC를 연결시켜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PC정보 송수신부(500)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수단(도 1 및 도 2 의 정보 입력부(100)에 대응됨),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제어부(300), 제어부(300)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도 1 및 도 2 의 디스플레이에 대응됨),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제어부(300)가 생성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수단(도 1 및 도 2 의 데이터 베이스에 대응됨)을 포함하는 구성이라면 그 형식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는 손목 시계, 탁상 시계, 이동통신 단말기, PDA, 전자 사전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가 손목시계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정보 입력부(100)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 입력부(100)의 세트(SET) 버튼(110)은 동작 시작시 선택되면 제어부(300)에게 정보 입력이 시작됨을 전송하고 정보 입력중에 선택되면 정보입력이 종료됨을 제어부(300)에 전송하고, 연습 모드와 시간 관리 실행중에 선택되면 실행하던 연습 모드나 시간 관리를 종료하고 통상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는 버튼이다.
모드 버튼(120)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정보가 현재 시간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선택되면 선택되는 회수에 따라 연습 모드와 관리 모드의 종류(관리 모드의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함)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하고, 정보 입력중에 선택되면 입력하는 정보의 항목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항목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또한, 모드 버튼(1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정보가 현재 시간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선택되면 통상의 시간을 표시하는 현재 시간 표시 모드, 연습 모드, 관리 모드1, 관리 모드2, 관리 모드3, 시작 시간 입력 모드,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 모드, 현재 시간 표시 모드로 표시되는 정보를 순환하여 표시하고, 입력 정보 확인중에 선택되면 정보 확인을 종료하고, 시간 관리 실행중에 선택되면 시간 관리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는 상태화면인 관리 모드의 종류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버튼이다.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정보가 연습 모드인 상태에서 선택되면 시간 관리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함으로써 연습 모드를 시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정보가 관리 모드인 상태에서 선택되면 역시 시간 관리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함으로써 시험 시간 관리를 시작하며, 연습 모드와 시간 관리 실행중에 선택되면 실행하던 연습 모드나 시간 관리의 실행을 정지하거나 재 동작 시키고, 정보 입력중에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커서가 있는 위치의 숫자를 증가 시키는 버튼이다.
상기 리셋 버튼(14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정보가 관리 모드인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모든 시험 관리 정보가 삭제되고, 시간 관리 중에 선택되면 시간 관리를 리셋하여 선택된 시간 부더 다시 시작하도록 하며, 정보 입력중에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커서가 있는 곳의 숫자를 감소시키고, 현재시간 모드에서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제어부(300)가 시간 관리 정보를 확인하는 버튼이다.
한편, 리셋 버튼(14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정보가 관리 모드인 상태에서 3초-5초 동안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모든 시험 관리 정보가 삭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는 도 3 에 도시된바와 같이 반복 연습 정보표시부(210), 과목 정보표시부(220), 남은 날짜 표시부(230), 현재 시간 표시부(240), 입력정보 표시부(250),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복 연습 정보표시부(210)는 실행되는 시간 관리가 연습 모드에서 선택된 과목들을 연습중이라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이다.
상기 반복 연습 정보표시부(210)는 표시하는 정보는 반복(repeat)을 의미하는 영문자 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상기 반복 연습 정보표시부(210)는 반복 연습이 아닐시에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상기 과목 정보표시부(220)는 실행되는 시간 관리가 시험시간중 몇 번째 시험시간인가를 표시하는 과목 표시부(221)와 실행되는 시간 관리가 수학 능력 시험에서 언어 및 외국어 영역의 시험과 같이 한 단위의 시험 시간내에 여러 과목을 통합한 시험에서 각각의 과목을 가리키는 소과목중 몇 번째 소과목인가를 표시하는 소과목 정보표시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과목 정보표시부(225)는 도 4 에 도시된바와 같이 소과목이 없는 시 간 관리 실행시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상기 과목 정보표시부(220)는 실시예와 같이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고 문자 액정을 사용하여 문자로 각 과목과 소과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남은 날짜 표시부(230)는 통상의 시간 표시 상태에 대한 현재 시간 날짜들의 정보 입력시 함께 입력한 시험 시간까지 남은 날짜를 표시하고, 매일 남은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남은 날짜가 감소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남은 날짜 표시부(230)는 반복 연습에 대한 정보 설정시 연습 모드가 종료되는 과목과 소과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현재 시간 표기부(240)는 현재 시간의 시와 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이다.
입력정보 표시부(250)는 데이터 입력시에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입력 번호를 표시한다.
입력번호 입력하는 정보
1 시작 문항 번호
2 종료 문항 번호
3 시험 시간
4 최종 검토 시간
5 답안 체크 시간
6 쉬는 시간
상기 입력정보 표시부(250)에서 표시되는 입력 번호는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나 번호와 입력하는 정보의 종류의 링크는 변경, 추가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는 통상의 시간 표시 상태에서는 초를 표시하고, 시간관리 중에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답안 체크 시간 및 쉬는 시간을 표시한다.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는 최종 검토 시간을 표시할 때에는 도 5 에 도시된바와 같이 숫자의 앞에 굵은 선을 하나 표시하고, 답안 체크 시간을 표시할 시에는 도 6 에 도시된바와 같이 숫자의 주위에 테두리를 표시하며, 쉬는 시간을 표시할 시에는 도 7 에 도시된바와 같이 숫자의 하단에 줄을 하나 더 표시하여, 표시되는 시간이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답안 체크 시간 및 쉬는 시간 중에 어느 것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고 정보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정보들에 따라 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정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정보와 제어부(300)에서 계산된 정보 및 입력번호 표시부(250)에서 표시되는 입력번호들과 해당 번호가 어떤 정보를 표시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PC 정보 송수신부(500)는 PC와 연결되어 PC에서 작성된 시험 시간, 시작 문항 번호, 종료 문항 번호, 검토할 시간, 답안표시 시간, 쉬는 시간, 반복 연습 정보, 과목 정보, 남은 날짜 정보, 시작 시간 정보 등에 관한 정보들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시험 시간, 시작 문항 번호, 종료 문항 번호, 검토할 시간, 답안표기 시간, 쉬는 시간, 반복 연습 정보, 과목 정보, 남은 날짜 정보, 시작 시간 정보 등의 정보를 PC로 전송하여 백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C 정보 송수신부(500)는 적외선 포트로 구성되어 PC에 연결된 다른 적외선 포트를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USB 포트로 구성되어 USB 케이블을 통하여 PC에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관리 장치의 각 모드의 관리 모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모드의 종류에는 현재 시간의 시와 분만 표시되는 관리 모드1과, 시간 관리 중에 현재 시간을 현재 시간 표시부(240)에 표시하고,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남은 답안 검토 시간, 답안 체크 시간 및 쉬는 시간을 남은 시간 및 문항번호 표시부(260)에 표시하는 관리 모드2와, 시간 관리 중에 관리 모드2에 표시되는 내용에 더하여, 시간관리가 실행되고 있는 과목의 종류를 과목정보 표시부(220)에 더 표시하는 관리 모드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시험장에서의 검열 조건에 따라서 표시되는 정보를 제한하여 시간 관리 장치가 다양한 방식으로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리 모드를 제공한다.
관리 모드 1 은 수험생들이 시계의 초 표시를 동일하게 맞추어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과 분만을 표시하는 시계의 반입만이 허용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모드이다. 또한, 관리 모드 2와 모든 정보가 표시되는 관리 모드3은 시험장의 검열 조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장치는 각 관리 모드들의 변환을 모드 버튼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현재 시간 표시 모드에서 모드 버튼(도 8 에서 "B"로 지칭함, 이하 동일함)을 1회 누르면 연습 모드로 변환되고, 모드 버튼을 1 회 더 누르면 관리모드 1 이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드 버튼을 4번 누르면 관리모드 3 이 표시되고, 모드 버튼을 5 회 누르면 후술하는 시작 시간 입력 모드 화면이 표시되며, 다시 모드 버튼을 누르면 과목별 잔여시간 화면이 표시되고, 다시 모드 버튼을 누르면 현재 시간 표시 모드가 표시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의 시간 관리 정보 입력 단계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간 관리 정보 입력 단계는 시간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과목 입력 단계(S110)와 소과목 입력 단계(S120)와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30)와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0)와 입력을 종료하는가 확인 단계(S150) 및 다음 소과목이 입력여부 확인 단계(S160)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단계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험과목 입력 단계(S110)는 관리모드3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세트 버튼(110)이 선택되면 제어부(300)가 시간 관리 정보의 입력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시간관리 정보 입력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시험시간중 몇 번째 시험시간인가를 입력 받는 단계이다.
시험과목 입력 단계(S110)에서 제어부(300)는 도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과목 표시부(221)에 표시되는 과목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를 증가시키고,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과목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를 감소시키며, 상기 모드 버튼(120)이 선택되면 상기 소과목 입력 단계(S120)를 진행한다.
소과목 입력 단계(S120)는 제어부(300)가 사용자로부터 몇 번째 소과목 시험시간인가 또는 소과목이 없는가를 입력 받는 단계로 0을 입력받으면 소과목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소과목 입력 단계(S120)에서 제어부(300)는 도11에 도시된바와 같이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소과목 표시부(225)에 표시되는 소과목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를 증가시키고,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소과목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를 감소시키며, 상기 모드 버튼(120)이 선택되면 상기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30)를 진행한다.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30)는 제어부(300)가 사용자로부터 시작 문항 번호, 종료 문항 번호, 시험 시간, 최종 검토 시간 , 답안 체크 시간, 쉬는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는 정보의 종류를 숫자로 입력번호 표시부(250)에 표시하고 입력 정보 표시부(260)에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입력 받는 단계로 순차적으로 입력 번호를 표시하고 해당 입력 번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력받는다.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제어부(300)는 도12에 도시된바와 같이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입력번호 표시부(250)에 표시된 입력 번호에 대응하여 입력 정보 표시부(260)에 표시된 숫자를 증가시키고,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입력번호 표시부(250)에 표시된 입력 번호에 대응하여 입력 정보 표시부(260)에 표시된 숫자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모드 버튼(120)이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입력 번호의 목록과 상기 입력정보 표시부(250)에 표시된 숫자를 비교하여 입력번호의 목록중 마지막 숫자이면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0)를 진행하고 마지막 숫자가 아니면 도 13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20)에 표시되고 있는 숫자를 상기 입력정보 표시부(250)에 표시된 숫자에 링크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고 입력 번호중 다음 숫자를 상기 입력정보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시험시간과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체크 시간은 도14에 도시된바와 같이 분단위 입력후에 초단위까지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하여 50분짜리 과목에 3개의 소과목이 있는 경우와 같이 시험시간이 소과목으로 나누어서 나머지가 발생하면 나머지를 초단위로 나누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0)는 제어부(300)가 상기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입력받은 시험 정보로 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 1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입력을 종료하는가 확인 단계(S150)는 제어부(300)가 세트 버튼(110)이 선택되면 정보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정보 입력 과정을 종료하고, 세트 버튼(110)이 아닌 모드 버튼(120)이 선택되면 다음 과목을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다음 소과목 입력여부 확인 단계(S160)는 제어부(300)가 상기 소과목 입력 단계(S120)에서 소과목을 입력받았나를 확인하여 입력받았으면 나머지 소과목을 입력받도록 소과목 입력 단계(S120)를 실행하고 입력받지 않았으면 상기 시험과목 입력 단계(S110)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도15는 도9의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0)는 도15에 도시된바와 같이 최종 검토 시간이 0인가 확인 단계(S141), 답안체크시간이 0인가 확인 단계(S142,S143)와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4, S145, S146, S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종 검토 시간이 0인가 확인 단계(S141)는 제어부(300)가 상기 시험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입력된 최종 검토 시간이 0인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입력된 숫자가 0이면 사용자가 최종 검토 시간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최종 검토 시간은 표1에 도시된바와 같이 입력번호 4로 표시되므로 상기 최종 검토 시간이 0인가 확인 단계(S141)에서 제어부(300)는 상기 시험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입력번호 4가 표시될 때 저장된 숫자가 0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답안 체크 시간이 0인가 확인 단계(S142,S143)는 제어부(300)가 상기 시험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입력된 답안 체크 시간이 0인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입력된 숫자가 0이면 사용자가 답안 체크 시간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답안 체크 시간은 표1에 도시된바와 같이 입력번호 5로 표시되므로 상기 답안 체크 시간이 0인가 확인 단계(S142,S143)에서 제어부(300)는 상기 시험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입력번호 5가 표시될 때 저장된 숫자가 0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4, S145, S146, S147)는 제어부(300)가 입력받은 정보들로 한 문항당 시간을 계산 하는 단계로 최종 검토 시간과 답안 체크 시간이 있으면 시험시간에서 최종 검토시간과 답안 체크 시간을 제외하고 남은 시간을 종료 문항번호에서 시작 문항번호를 빼고 1을 더한 숫자인 문항수로 나누어 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S144), 최종 검토 시간이 0이면 시험시간에서 답안 체크 시간을 제하고 남은 시간을 문항수로 나누어 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며(S146), 답안 체크 시간이 0이면 시험시간에서 최종 검토시간을 제하고 남은 시간을 문항수로 나누어 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S145), 최종 검토 시간과 답안 체크 시간이 모두 0이면 시험시간을 문항수로 나누어 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한다(S147).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의 상기 연습 모드 정보 입력 단계는 어느 과목의 어느 소과목부터 어느 과목의 어느 소과목까지 반복하여 연습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단계로 도16에 도시된바와 같이 과목 정보 표시부(220)의 과목 표시부(221)에 연습 모드 시작 과목을 입력하고 소과목 표시부(225)에는 연습 모드 시작 소과목을 입력한 다음 남은 날짜 표시부(230)에 연습 모드 종료 과목과 소과목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험 정보 확인 및 보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간 관리 정보 확인 및 보정 방법은 도17에 도시된바와 같이 시험정보 표시 단계(S210),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가 확인 단계(S220), 다른 시험정보 표시 단계(S225), 보정이 필요한가 확인 단계(S230), 정보 보정 단계(S240), 보정이 종료되었나 확인 단계(S250), 보정된 숫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260), 한 문항당 시간 재계산 및 정보 삭제 단계(S270) 및 정보 확인이 종료되었나 확인 단계(S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험정보 표시 단계(S210)는 현재 시간 표시 모드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제어부(300)가 시간 관리 정보의 확인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시간 관리 정보 확인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를 로드하고 디스플레이부(200)에 시간 관리 정보의 첫 번째 시간의 첫 번째 입력 번호와 그에 링크된 시험 정보를 표시한다.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가 확인 단계(S220)는 제어부(300)가 사용자로부터 현재 표시되지 않은 다른 시간에 대한 시간 관리 정보의 표시를 요구 받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시간에 대한 시간관리 정보 표시를 요청받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다른 정보 표시 단계(S225)는 제어부(300)가 리셋 버튼(140)이 선택될 때마다 도 18에 도시된바와 같이 입력 번호를 증가 시키며 표시된 입력번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보정이 필요한가 확인 단계(S230)는 제어부(3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보정할 정보가 있는가를 확인받는 단계로 제어부(300)는 세트 버튼(110)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보정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정보 보정 단계(S240)는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보정이 필요한가 확인 단계(S230)에서 선택된 정보를 재입력하는 단계로 제어부(300)는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입력번호 표시부(250)에 표시된 입력 번호에 대응하여 입력 정보 표시부(260)에 표시된 숫자를 증가시키고,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입력번호 표시부(250)에 표시된 입력 번호에 대응하여 입력 정보 표시부(260)에 표시된 숫자를 감소시킨다.
보정이 종료 되었나 확인 단계(S250)는 제어부(300)가 사용자로부터 보정이 종료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제어부(300)는 세트 버튼(110)이 선택되면 상기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고 있는 숫자를 상기 입력정보 표시부(250)에 표시된 숫자에 링크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고, 그 후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입력 번호중 다음 숫자를 상기 입력정보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보정이 종료 되었나 확인 단계(S250)에서 제어부(300)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입력 번호의 목록과 상기 입력정보 표시부(250)에 표시된 숫자를 비교하여 입력번호의 목록중 마지막 숫자이면 도 19에 도시된바와 같이 다른 과목의 입력번호와 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보정된 숫자가 존재하는지 확인 단계(S260)는 제어부(300)가 현재 보정된 정보가 삭제되거나 재계산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상기 보정이 종료 되었나 확인 단계(S250)에서 저장된 정보가 0이면 해당 정보를 삭제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 문항당 시간 재계산 및 정보 삭제 단계(S270)는 제어부(300)가 상기 보정된 숫자가 존재하는지 확인 단계(S260)에서 0으로 확인된 정보를 삭제하고 다른 보정된 숫자가 존재하면 그에 따라 한 문항당 시간 재계산하는 단계로 제어부(300)는 최종 점검 시간, 답안 체크 시간이 0이 되면 0이 된 시간을 삭제한 후 다시 한 문항당 시간을 재계산한다.
정보 확인이 종료되었나 확인 단계(S280)는 제어부(300)가 사용자로부터 보정 및 확인이 종료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모드 버튼(120)이 선택되면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사용방법은 모의 시험을 보면서 시간관리를 연습하는 연습 모드 사용방법과 실제 시험에서 사용되는 시간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간 관리 정보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간관리 방법은 도20에 도시된바와 같이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 최종 검토 시간 표시 단계(S320), 답안 체크 시간 표시 단계(S330), 쉬는 시간 표시 단계(S340), 소과목 정보가 입력되었나 확인 단계(S350), 소과목 정보에 따른 시간 관리 정보 표시 단계(S360), 소과목 시험 정보가 더 입력되었나 확인 단계(S370) 및; 다른 과목이 더 입력되었나 확인 단계(S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는 관리 모드1이나 관리 모드2 또는 관리 모드3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제어부(300)가 디스플레이부(200)에 사용자가 해당 시간에 풀고 있어야 하는 문항번호를 표시하는 단계로 관리 모드3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도21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시험과목 입력 단계(S110)에서 입력된 과목명을 나타내는 숫자를 상기 과목 정보 표시부(220)에 표시하고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에 해당 과목의 시작 문항 번호를 표시하며 상기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0)에서 계산된 한 문항당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표시된 숫자를 1씩 증가 시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소과목 정보가 있으면 소과목 정보표시부(225)에 소과목을 나타내는 문자를 표시하고 소과목 정보가 없으면 소과목 정보표시부(225)에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는다.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에서 제어부(300)는 관리모드1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화면에 정보를 표시 하지 않고 내부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에서 표시되어야 할 문항 번호를 계산하고, 관리모드2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도 2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도21에서 과목 정보 표시부(220)에 표시되던 과목만 표시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에서 제어부(300)는 문항 번호 표시중에 모드 버튼(120)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던 화면이 관리 모드1이면 관리 모드2의 상태로 변경하고,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던 화면이 관리 모드2이면 관리 모드3의 상태로 변경하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던 화면이 관리 모드3이면 관리 모드1의 상태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 방법의 문항번호 표시 단계를 표2에 도시된바와 같은 시험 정보를 가지는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정보 입력하는 정보
시작문항번호 41
종료문항번호 80
시험시간 85
최종검토시간 10
답안체크시간 15
표 2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는 한 문항당 시간 계산 단계(S140)에서 {시험시간(85분)-최종검토시간(10분)-답안체크시간(15분)}/{종료문항번호(80)-시작 문항번호(41)+1} = 한 문항당 시간(1.5분)의 수식에 의하여 계산된 한 문항당 시간 1분 30초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숫자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시험 시작 6분이 경과하면 한문항당 시간이 1분 30초이므로 6/1.5 = 4가 되어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에는 시작문항번호 41에 4를 더한 값인 45가 표시된다.
최종 검토 시간 표시 단계(S320)는 관리모드1이나 관리모드2 또는 관리모드3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및 증가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300)가 최종 검토 시간중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로 제어부(300)가 시험 시간중 남은 시간이 최종 검토 시간과 답안 체크 시간을 합한 시간과 같게 되고 최종 검토 시간 설정이 0이 아니면 최종 검토 시간의 남은 시간을 분 단위로 상기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어부(300)가 표시하는 숫자는 문항번호와의 구분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입력 번호 표시부(250)의 우측에 선이 표시된다.
최종 검토 시간 표시 단계(S320)에서 제어부(300)는 관리모드1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화면에 정보를 표시 하지 않고 내부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에서 표시되어야 할 최종 검토 시간의 남은 시간을 계산하고, 관리모드2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 정보중에 과목만 표시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답안 기재 시간 표시 단계(S330)는 관리모드1이나 관리모드2 또는 관리모드3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300)가 답안기재 시간중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로 제어부(300)가 시험시간중 남은 시간이 답안 체크 시간과 같게 되고 답안 체크 시간 설정이 0이 아니면 답안 체크 시간의 남은 시간을 분 단위로 상기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어부(300)가 표시하는 숫자는 문항번호 및 최종 점검시간과의 구분을 위하여 도 6 에 도시된바와 같이 주위에 테두리를 표시한 숫자이다.
답안 체크 시간 표시 단계(S330)에서 제어부(300)는 관리모드1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화면에 정보를 표시 하지 않고 내부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에서 표시되어야 할 답안 체크 시간의 남은 시간을 계산하고, 관리모드2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 중에 과목만 표시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최종 검토 시간 표시 단계(S320)와 답안 체크 시간 표시 단계(S330)에서 제어부(300)는 상기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와 동일하게 문항 번호 표시중에 모드 버튼(120)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던 화면이 관리 모드1이면 관리 모드2의 상태로 변경하고,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던 화면이 관리 모드2이면 관리 모드3의 상태로 변경하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던 화면이 관리 모드3이면 관리 모드1의 상태로 변경한다.
쉬는 시간 표시 단계(S340)는 제어부(300)가 상기 시험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입력된 쉬는 시간의 남은 시간을 분 단위로 상기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소과목 정보가 입력되었나 확인 단계(S350)는 제어부가 상기 소과목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20)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소과목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소과목 정보에 따른 정보 표시 단계(S360)는 제어부(300)가 소과목 입력 단계(S120)에서 소과목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가 저장된 후에 시험 정보 입력 단계(S130)에서 입력된 정보를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 최종 점검 시간 표시 단계(S320), 답안 체크 시간 표시 단계(S330) 및 쉬는 시간 표시 단계(S340)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이다.
소과목 시험 정보가 더 입력되었나 확인 단계(S370)는 제어부(300)가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상기 소과목 정보에 따른 정보 표시 단계(S360)에서 표시된 소과목외에 다른 소과목이 상기 소과목 입력 단계(S120)에서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다른 과목이 입력되었나 확인하는 단계(S380)는 제어부(300)가 상기 문항번호 표시 단계(S310), 최종 검토 시간 표시 단계(S320), 답안 체크 시간 표시 단계(S330), 쉬는 시간 표시 단계(S340) 및 소과목 정보에 따른 정보 표시 단계(S350)들에서 표시된 시간 관리 정보외에 다른 과목이 시간 관리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되었지를 확인하고 더 입력되었으면 해당 과목의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입력된 과목이 없으면 시간관리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이다.
제어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간관리 방법의 실행중에 세트 버튼(110)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를 종료하라는 입력으로 판단하여 시간관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시간관리 방법의 실행중에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의 실행을 잠시 정지하고, 시간 관리의 실행이 정지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다시 선택되면 시간 관리를 계속 진행토록 하며, 시간 관리의 실행을 잠시 정지한 상태에서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를 리셋하라는 입력으로 판단하여 진행되던 시간관리를 종료하고, 시간 관리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의 시간 관리 정보부터 다시 시간관리를 실행한다.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연습 모드 사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연습 모드 사용방법은 도 23에 도시된바와 같이 시작 및 종료 과목 확인 단계(S410), 시간 관리 정보 표시 단계(S420), 표시되는 정보가 종료과목인가 확인 단계(S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작 및 종료 과목 확인 단계(S410)는 연습 모드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제어부(300)가 정보 입력 방법의 상기 연습 모드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연습 모드 시작 과목 및 소과목과 종료 과목 및 소과목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시간 관리 정보 표시 단계(S420)는 제어부(300)가 상기 시작 및 종료 과목 확인 단계(S410)에서 확인된 시작 과목부터 상기 시간 관리 방법을 실행하여 시간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표시되는 정보가 종료과목인가 확인 단계(S430)는 제어부(300)가 디스플레이부(200)에서 표시되는 정보가 정보 입력 방법의 상기 연습 모드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연습 모드 종료 과목의 정보인가를 확인하고, 종료과목의 정보이면 표시되고 있는 과목의 표시가 끝나는 대로 반목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이다.
제어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의 반복 모드 실행 방법의 실행중에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의 실행을 잠시 정지하고, 시간 관리의 실행이 정지된 상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130)이 다시 선택되면 시간 관리를 계속 진행도록 하여 사용자가 긴급한 볼일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시간관리를 잠시 정지하고 그 볼일을 처리한 후 시간 관리를 실행시킴으로써 지속적인 시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간 관리의 실행을 잠시 정지한 상태에서 리셋 버튼(140)이 선택되면 시간 관리를 리셋하라는 입력으로 판단하여 진행되던 시간관리를 종료하고, 시간 관리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의 시간 관리 정보부터 다시 시간관리를 실행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36를 참조하여 시간 관리 장치의 정보 입력 및 시간 관리 과정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먼저, 도 2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상의 현재 시간 표시 모드에서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4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재 시간 화면에서 현재 시간 또는 남은 날짜등을 변경하기 위해서 세트 버튼(110; 이하 "A" 버튼으로 칭함)을 선택하면, 화면은 현재 시간 입력 모드로 변경되고, 커서는 먼저 "초"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현재 시간의 초가 표시되는 남은시간 및 문항번호 표시부(260)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작 및 증가 버튼(130; 이하 "C" 버튼으로 칭함)을 선택하면 초가 1씩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사용자가 리셋 버튼(140; 이하 "D" 버튼으로 칭함)을 선택하면 초가 1씩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커서가 남은시간 및 문항번호 표시부(260)에 위치한 상태에서 모드 버튼(120; 이하 "B" 버튼으로 칭함)을 선택하면, 시간을 수정할 수 있도록 커서가 현재 시간 표시부(240)의 시간에 위치하고, C 버튼과 D 버튼을 선택하여 시간을 조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B 버튼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면, 커서는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 월, 일, 남은 날짜, 시간 표시 형식(12시간 단위 또는 24시간 단위) 항목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사용자는 해당 항목에 커서가 위치했을 때, C 버튼 또는 D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현재 시간의 수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A 버튼을 선택하고, A 버튼이 입력되면 현재 시간 표시 모드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부(200)에는 현재시간과 남은 날짜 등이 표시된다.
도 25 는 시험 시작 시간을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드 버튼(120:B)을 5회 선택하여 시험 시작 시간 입력 모드 화면을 표시하고, 세트 버튼(110:A)을 선택하여 시간 관리 장치의 모드를 시험 시작 시간 입력 모드로 변경한다. 시험 시작 시간 입력 모드가 되면, 커서는 먼저 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시간 항목에 위치하고,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C 버튼 또는 D 버튼을 선택하여 시간을 변경한다.
그 후, 사용자는 B 버튼을 선택하여 커서의 위치를 시작 시간의 "분", 시작 시간 설정 여부로 이동시키고, 사용자는 C 버튼 또는 D 버튼을 선택하여 시작 시간의 분을 변경하거나, 시작 시간을 설정하거나 해지한다. 한편, 시작 시간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A 버튼을 선택하여 설정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시 B 버튼을 선택하여 시간 관리 장치의 모드를 현재 시간 표시 모드로 변경한다.
도 26 은 시험 시작 시간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시험 시작 시간 정보가 입력된 후, 사용자는 B 버튼을 5회 선택하여 시작 시간 입력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한다. 도 2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시간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C 버튼을 선택하여 시작 시간 설정을 ON 으로 설정하고, ON 으로 설정되면 현재 화면이 시험 시간 입력 모드임을 나타내는 남은 날짜 표시부(230)의 "STR" 주변에 검은 선이 표시되어 현재 시작 시간 설정이 ON 상태임을 알리고, 사용자가 다시 C 버튼을 선택하면, 시작 시간 설정이 OFF 되고, "STR" 주변의 검은 선이 사라져 현재 OFF 상태임을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가 B 버튼을 선택하면 현재 시간 표시 모드로 모드가 변경된다.
도 27 과 도 28 은 시험 정보 입력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시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B 버튼을 4회 선택하여 관리모드 3을 표시한다(2701). 그 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A 버튼을 선택하면 시간 관리 장치의 모드는 시험 정보 입력 모드로 변경되고, 커서가 과목 표시부(221)에 위치한다(2702). 사용자는 상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C 버튼 또는 D 버튼을 선택하여 과목 및 후술하는 시험시간, 답안 기재 시간 등을 변경한다.
한편, 사용자는 B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서 시험 정보를 수정할 항목들을 변경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과목 수정후 B 버튼을 선택하면 소과목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2703), 그 후 B 버튼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면 상술한 표 1 의 입력 정보가 입력 정보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면서, 해당 과목의 시작 문항 번호(2704), 해당 과목의 종료 문항 번호(2705), 해당 과목의 시험 시간의 분단위(2706), 해당 과목의 시험 시간의 초단위(2707), 최종 검토 시간 분단위(2708), 최종 검토 시간 초단위(2709), 답안 기재 시간 분단위(2710), 답안 기재시간 초단위(2711), 및 쉬는 시간(2712)를 순차적으로 입력 또는 수정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는 한 과목에 대한 시험 정보 입력 또는 수정이 완료되면, 다시 B 버튼을 선택하여 다음 과목의 시험 정보 입력 또는 수정을 수행한다(2713, 2714).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과목에 대한 시험 시간 정보 입력 과정은 도 27 에 도시되었고, 도 28 은 제 2 과목 내지 제 9 과목에 대한 시험 정보 입력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28 의 제 2 과목 이후의 과목들에 대한 시험 정보 입력 또는 수정 과정은 제 1 과목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 는 연습 모드에서 시작 과목 및 종료 과목을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현재 시간 표시 모드에서 B 버튼을 선택하여 연습 모드 화면으로 표시하고, 연습 모드 화면에서 A 버튼을 선택하여 연습 모드 정보를 입력 또는 수정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연습 모드 입력 또는 수정 화면에서 과목 정보 표시부(220)는 연습 모드를 수행할 시작 과목을 표시하고, 남은 날짜 표시부(230)는 종료 과목을 표시한다.
각 항목간 커서의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B 버튼을 선택하여 수행하고, 각 항목의 숫자 변경은 C 버튼 또는 D 버튼을 선택하여 수행한다. 또한, 각 항목의 입력 또는 수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A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B 버튼을 선택하여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
도 30 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입력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현재 시간 표시 화면에서 B 버튼을 4회 선택하여 관리모드 3을 표시하고, D 버튼을 소정 시간(약 3초 내지 약 5초)동안 누르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험 관련 입력 정보가 모두 삭제되고, B 버튼을 2회 선택하면 현재 시간이 표시된다.
도 31 은 입력된 정보를 확인 또는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현재 시간 표시 화면에서 D 버튼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현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입력 정보를 표시한다.
먼저, 현재 시간 표시 화면에서 D 버튼을 1회 선택하면, 현재 표시되는 입력 정보가 시작 문항 번호임을 나타내는 숫자 "1"이 입력 정보 표시부에 출력되고, 남은시간 및 문항번호 표시부에 제 1 과목의 제 1 소과목의 시작 문항 번호가 표시된다(3101). 그 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D 버튼을 선택하면, 표 1 에 기재된 입력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 때, 시험 시간, 최종 검토 시간, 답안 기재 시간, 및 쉬는 시간을 확인 하는 경우에, D 버튼을 선택하면 먼저 해당 시간의 "분"정보가 표시되고, 그 후, D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시간의 "초"정보가 표시되며, 다시 D 버튼이 선택되면 다음 입력 정보가 표시된다.
아울러, 표시된 정보를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A 버튼을 선택한 후(3102), C 버튼 또는 D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된 정보를 보정하고(3103 3104), 보정이 완료되면 다시 A 버튼을 선택하여 보정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3105), 그 후 D 버튼을 선택하여 다음 항목의 입력 정보를 확인하고(3106), 입력 정보 확인 및 보정이 완료되거나, 확인중에도 B 버튼을 선택하여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3107).
도 32 및 도 3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 및 33 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시간 관리를 위해서 현재 시간 표시 화면에서 모드 버튼(120;B)을 선택하여 관리모드 1, 관리모드 2 및 관리모드 3을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는 시작 및 증가 버튼(130;C)을 선택하여 시간 관리를 시작한다.
C 버튼이 선택되면,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는 각 시간에 풀어야 할 문항 번호를 표시하고, 문제 풀이에 할당된 시간이 경과되면, 최종 점검 시간의 잔여시간, 답안 기재 시간의 잔여 시간, 및 쉬는 시간의 잔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관리 모드 1에서 시간 관리 중에 사용자가 B 버튼을 선택하면 관리 모드 2 가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관리 모드 2에서 시간 관리 중에 사용자가 B 버튼을 선택하면 관리 모드 3 이 표시되어 시간 관리 중인 정보가 표시되며, 관리 모드 3에서 시간 관리중에 사용자가 B 버튼을 선택하면 다시 관리 모드 1 이 표시되어 과목 정보, 문항 번호, 최종 점검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등의 정보를 제외한 현재 시간만 표시된다.
도 34 는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시간 표시 화면에서 B 버튼을 6회 선택하면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모드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시작 및 증가 버튼(130; C 버튼)을 선택하면 각 과목별로 잔여시간이 남은 시간 및 문항 표시부(260)에 표시된다.
도 35 는 연습모드에서 시간 관리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재 시간 표시 화면에서 B 버튼을 선택하면 연습모드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시작 및 증가 버튼(130; C 버튼)을 선택하면 연습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시작된다.
도 3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작 과목과 종료 과목에 대해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고, 그 외의 시간 관리 내용은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다.
도 36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를 식별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표시되는 정보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도 3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남은 시간 및 문항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정보가 변경되고,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최종 점검 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입력정보 표시부 옆에 바를 표시하고, 답안 기재 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최종 점검 시간 주변에 네모 박스를 표시하며, 쉬는 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시간 밑에 밑줄을 그어서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방법 및 시간 관리 장치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시간 관리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하, 도 37 내지 도 39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7 및 도 3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7 및 도 38 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장치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시계의 시침, 분침, 및 초침이 설치된 상면에 투명한 액정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200)가 설치되고, 시간 관리 장치의 일정 영역에 소정의 버튼(이하, "bar" 버튼이라 칭함)이 설치된다. 도 37 및 도 38 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시험 시간 정보 입력 및 시간 관리 방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디스플레이부(200)에 시간 관리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현재 시간은 아날로그 표시부에 의해서 표시되므로 시간 관리 수행중에는 현재 시간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 시간 정보 등을 입력하고, 평상시에는 투명 액정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200)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일반적인 아날로그 시계로 이용하며(도 37 참조), 디스플레이부(200)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모드 버튼을 소정 시간(약 3~5초)동안 길게 누른다. 그러면, 모드 버튼은 액정 표시 명령을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시간 관리 정보와 동일한 시간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0)로 출력하여 아날로그 시계의 위에서 표시한다(도 38 참조). 이 상태에서 다시 모드 버튼을 소정 시간(약 3~5초)동안 길게 누르면 모드 버튼은 액정 표시 해제 명령을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시간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0)로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며, 따라서, 시계에는 시침, 분침, 및 초침만이 보여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bar 버튼을 누르면, bar 버튼은 임시 표시 명령을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상술한 시간 관리 정보를 소정 시간(약 2~3 초) 동안만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한 후, 정보의 출력을 중단한다.
도 3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 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장치는 아날로그 시계와 결합되어 구현되고, 액정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200)는 아날로그 시계의 시침, 분침, 및 초침의 하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평상시에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시간 관리 정보가 표시되지 않으나, 사용자가 모드 버튼을 소정 시간(약 3~5초)동안 누르면 액정 표시 명령이 제어부로 입력되어 시간 관리 정보가 표시되고, 다시 소정 시간(약 3~5초)동안 모드 버튼을 누르면 액정 표시 해제 명령이 제어부로 입력되어 시간 관리 정보의 표시가 중단되며, bar 버튼을 누르면, 임시 표시 명령이 제어부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시간 관리 정보가 소정 시간(약 2~3초) 동안만 표시된다.
아울러, 도 3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현재 시간 표시부는 제 3 실시예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 1 시간 표시부(242)와 분을 표시하는 제 2 시간 표시부(244)로 구현되고, 그 사이에 시침, 분침, 및 초침이 설치된다.
또한, 제 3 실시예는 사용자가 시간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시간 관리 수행중에 시간 관리 정보를 복수의 창에 동일하게 표시한다. 예컨대, 도 3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시험에서 또는 연습 모드에서 시간 관리 수행중에 문항 번호, 최종 점검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 쉬는 시간 등의 주요 정보는 제 1 시간 표시부(242), 제 2 시간 표시부(244), 입력정보 표시부(250), 및 남은시간 및 문항번호 표시부(260)에 동일하게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각각 결합되어, 도 8 에 도시된 각 관리 모드에서 시작 및 증가 버튼을 소정 시간(약 3~5초)동안 눌렀을때 시간 관리가 수행됨과 동시에 현재 시간 표시부(240)에 현재 시간 대신에 각 과목의 시험 시간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0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의 다른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를 참조하면, 도 3 과 마찬가지로 반복 연습 정보표시부(3910), 과목 정보표시부(3920), 남은 날짜 표시부(3930), 현재 시간 표시부(3940), 입력정보 표시부(3950),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39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도 40 의 과목 정보 표시부(3920)에서는 과목이 소과목보다 큰 숫자로 표시된다. 또한, 도 3 에서는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260)의 주위에 표시된 박스를 통해서 현재 표시되는 정보가 최종 검토 시간인지, 답안 기재 시간인지, 또는 쉬는 시간인지 여부를 표시하였으나, 도 40 의 경우에는 남은 시간 및 문항 번호 표시부(3960)의 옆에 두개의 컬러 세그먼트(3990)를 배치하여, 최종점검시간이 표시된 경우에는 파란색의 세크먼트(3990)를 표시하고, 답안 기재 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빨간색 세그먼트(3990)를 표시한다.
한편, 도 40 에서는 소과목 정보 하단에, 현재 입력되는 시간 또는 표시되는 시간이 초단위임을 나타내는 시간 종류 창(3970)을 배치하였다. 시간 종류 창(3970)은 현재 표시되는 시간 또는 입력되는 시간이 분단위인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도 40 에서는 남은 날짜 표시부(3930)의 하단에 시간 관리 설정 창(3980)을 표시하였다. 시간 관리가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창(3980)이 표시되거나 STR 주변에 박스가 표시되고, 시간 관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창(3980)이 표시되지 않거나 STR 주변에 박스가 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시험용 시간 관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험과 관련된 정보(시험 시작 시간, 과목 정보, 각 과목당 문항 정보, 최종 점검 시간, 답안 기재 시간, 및 쉬는 시간 등)를 직접 입력하면, 시간 관리 장치가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각 시험 문항들을 풀어야 할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 결과에 따라서 시험 시간 중에 현재 사용자가 풀어야 할 적절한 문항 번호 및 잔여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다양한 시험에 대한 시험 시간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간 관리 장치는 사용자 PC 와 USB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함으로써, 사전에 사용자 PC에서 설정된 시간 관리 정보를 간편하게 시간 관리 장치로 다운로드하여 시간 관리 설정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시간 관리 장치에 입력한 시간 관리 정보를 사용자 PC로 용이하게 백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요한 시험 정보를 시험 관리 장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명확하게 시험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사용자로부터 시험 시간 정보 및 문항 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정보 입력부;
    현재 시간 및 상기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포함하는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시험 시간 정보와 상기 문항 정보를 이용하여 시험 시간 동안 하나의 시험 문항을 풀어야하는 시간(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시험 문항 번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시험 시간 정보, 상기 문항 정보 및 상기 문항당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시간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시간 관리 설정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관리 설정 정보에 따라서 상기 시간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개수의 시간 관리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 모드의 각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시간 관리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답안 기재 시간에 따라서 상기 시험 시간 중 문제 풀이에 할당된 시간 및 상기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문제 풀이에 할당된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답안 기재 시간의 잔여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시험 시간에 시험이 수행되는 과목 정보를 더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시험이 수행되는 과목 정보를 더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목별로 상기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과목 정보와 함께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과목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모드는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 모드;
    시간 관리에 대한 연습이 수행되는 모드로서, 연습이 수행되는 시작 과목과 종료 과목, 현재 시간,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번호를 표시하는 연습모드;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관리모드1;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관리모드2;
    과목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과목 정보, 과목의 문항 정보, 상기 최종 검토 시간, 상기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관리모드3; 및
    각 과목에 대해서 잔여 시험 시간을 표시하는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변경되고,
    상기 관리모드1, 상기 관리모드2, 및 상기 관리모드3에서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시간 관리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어 해당 모드에서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며,
    시간 관리 수행중에 상기 모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관리모드1, 상기 관리모드2, 및 상기 관리모드3 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시간 관리가 수행될 시간 및 시간 관리 수행 여부를 설정하는 시작 시간 입력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PC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PC로 백업하고, 상기 사용자 PC 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 출력하는 PC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를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시간 관리 설정 정보, 상기 시험 시간 정보, 상기 문항 정보, 및 상기 현재 시간을 입력할 때, 입력 항목을 변경하는 모드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시간 관리를 수행하는 모드에서 시간 관리를 수행하도 록 지시하는 시간 관리 개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시간 관리 설정 정보, 상기 시험 시간 정보, 상기 문항 정보, 및 상기 현재 시간을 입력할 때, 입력되는 항목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시작 및 증가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리셋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모드 중 현재 시간 표시 모드에서 상기 리셋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시간 관리 정보 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복수 모드 중, 과목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과목 정보, 상기 과목의 문항 정보, 상기 최종 검토 시간, 상기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관리모드3 에서, 상기 리셋 버튼이 소정 시간동안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시간 관리 정보가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을 시침과 분침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아날로그 시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아날로그 시계부의 상면에 투명 액정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액정 표시 명령 및 액정 표 시 해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시간 관리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관리 장치는 임시 표시 명령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표시 명령 버튼으로부터 상기 임시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만 상기 시간 관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면에 위치하여 현재 시간을 표시하도록 시침 및 분침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액정 표시 명령 및 액정 표시 해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시간 관리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PC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PC로 백업하고, 상기 사용자 PC 에 저장된 시간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 출력하는 PC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관리 장치는 임시 표시 명령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표시 명령 버튼으로부터 상기 임시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만 상기 시간 관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표시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동일한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장치.
  18. (a)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시험 시간 정보 및 문항 정보를 입력받아 각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시간 관리 장치가 상기 문항당 시간에 따라서 계산된,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포함하는 시간 관리 정보를 소정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시간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b) 상기 시간 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시간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개수의 시간 관리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모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선택 정보에 따라서 현재 시간 및 상기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포함하는 시간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시간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답안 기재 시간을 더 입력받아 상기 각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c) 단계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고,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시험 시간에 시험이 수행되는 과목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과목별로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과목 정보, 현재 시간, 및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를 상기 시간 관리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현재시간 표시 모드;
    시간 관리에 대한 연습이 수행되는 모드로서, 연습이 수행되는 시작 과목과 종료 과목, 현재 시간,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번호를 표시하는 연습모드;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관리모드1;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관리모드2; 및
    과목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시간과 현재 시간에 풀어야 하는 문항 번호, 최종 검토 시간, 및 답안 기재 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과목 정보, 상기 과목의 문항수, 상기 최종 검토 시간, 상기 답안 기재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관리모드3; 및
    각 과목에 대해서 잔여 시험 시간을 표시하는 과목별 잔여시간 표시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정보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 드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모드에서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시간 관리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되어 표시되는 시간 관리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며,
    시간 관리 수행중에 상기 모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관리모드1, 상기 관리모드2, 및 상기 관리모드3 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4.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PC 정보 송수신부를 통해서 접속된 사용자 PC 로부터 상기 시험 시간 정보 및 상기 문항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5.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시간 관리 장치가 시험 과목 정보 및 상기 시험 과목에 포함되는 소과목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상기 시간 관리 장치가 상기 과목 및 상기 소과목에 대해서 시작 문항 번호, 종료 문항 번호, 시험 시간, 최종 점검 시간, 답안 기재 시간을 포함하는 시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각 과목 및 상기 소과목의 문항당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a3)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1) 단계에서 소과목 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시험 관리 장치가 다음 소과목에 대해서 상기 (a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4) 상기 (a1) 단계에서 입력된 다른 과목들에 대해서 상기 (a2) 단계 및 (a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6.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연습 모드에서 시간 관리가 수행될 시작 과목 및 종료 과목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시작 과목 내지 종료 과목에 대해서 시간 관리를 수행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7.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액정 표시 명령 및 액정 표시 해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시간 관리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8.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임시 표시 명령 버튼으로부터 임시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소정 시간 동안만 상기 시간 관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29.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시간 관리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동일한 시간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관리 방법.
  30.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의 시간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판독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70041600A 2006-05-09 2007-04-27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70110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391 2006-05-09
KR20060041391 2006-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192A true KR20070110192A (ko) 2007-11-16

Family

ID=3908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600A KR20070110192A (ko) 2006-05-09 2007-04-27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01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20B1 (ko) * 2009-02-11 2011-04-13 한태환 시험 시간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20B1 (ko) * 2009-02-11 2011-04-13 한태환 시험 시간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iele Learning patterns of online students
US9672752B2 (en) Learning assistance server, learning assistance system, and learning assistance program
US9536440B2 (en) Question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185693A (ja) レッスン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レッスン装置
JP6517987B1 (ja) 認知機能検査の進行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110192A (ko)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7065111A (ja) 教育支援システム、教育支援方法、教育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380692B1 (ko)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JP2021177224A (ja) 認知機能検査システム
KR101914736B1 (ko) 뇌질환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온라인 평가 방법
JP4908032B2 (ja) 受講状態把握方法及びシステム
JP6831551B2 (ja) 学習支援装置、プログラム、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システム
JP2002202712A (ja) ウェブベース教育方法
KR20080004396A (ko) 시험용 시간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9176373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901979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JP2004038033A (ja) 教育システム
Underwood et al. The PartoPen in practice: evaluating the impact of digital pen technology on maternal health in Kenya
JP6548181B1 (ja) 手書き文字の採点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05614B2 (ja) 記述遷移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06263B1 (ko) 주판알의 움직임을 포착한 주산암산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
CN109545019A (zh) 学习辅助装置及学习辅助方法
JP2009258393A (ja) 試験システム
Roberson Using a student response system to reduce academic cheating
JP2013054255A (ja) 授業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