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136A -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136A
KR20070110136A KR1020077022952A KR20077022952A KR20070110136A KR 20070110136 A KR20070110136 A KR 20070110136A KR 1020077022952 A KR1020077022952 A KR 1020077022952A KR 20077022952 A KR20077022952 A KR 20077022952A KR 20070110136 A KR20070110136 A KR 2007011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eparator
power generation
solid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395B1 (ko
Inventor
마사노부 카와조에
카즈오 요네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01M8/124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4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corrugated or und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과제] 구성을 간단화하고, 나아가, 연료 가스를 재순환시킨다.
[해결 수단] 원판형의 전지 셀(1)과 원판형의 세퍼레이터(separator, 2)를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스택(stack, 10)을 케이싱(11)에 수용하고, 케이싱(11)의 상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2)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 송출부(14)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주연부(周緣部)를 관통하고, 발전 후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된 결과의 배기 가스를 송출하는 배기 송출부(15)가 설치되고, 연료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된 발전 후의 연료를, 새롭게 공급되는 연료에 혼합하는 재순환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전지, 고체 산화물, 전지 스택, 잔존 연료

Description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SOLID OXIDE FUEL CELL}
본 발명은, 복수의 셀을 집합시켜 전지 스택(stack)을 구성하고, 발전(發電) 후의 잔존 연료와 공기가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가운데, 평판형의 것은 발전의 전력 밀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평판형 셀을, 실(seal)부를 적게 하면서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스택화하는 방법으로서, 원판형의 평판 셀을 세퍼레이터(separator)와 함께 적층하고, 원판 주위의 실은 행하지 않고, 셀 외주(外周)에서 반응 후의 잔존 연료 가스와 산화제를 포함하는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연료 전지는, 셀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고, 셀 중앙부로부터 외주로 향하여 연료와 공기를 흐르게 하여 발전을 행하고, 외주부에서 발전 후의 잔존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것이다.
또한, 발전 후의 잔존 연료와 공기가 혼합하지 않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9079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33129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연료 전지에서는, 발전 후의 잔존 연료와 공기를 셀의 외주에서 혼합하여 연소시켜 버리기 때문에, 연료 가스의 재순환에 의한 수증기의 재이용이나 발전 효율의 향상이 그대로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외주 실이 없는 평판형 연료 전지에 있어서, 연료 가스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안도 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대하여, 외주부에 실부를 가지는 구조를 채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실 길이가 길어지면, 응력 완화를 위하여 실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신뢰성의 저하, 코스트 업, 형상의 대형화, 대형화에 수반하는 방열 손실의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실을 생략하면, 연료 가스를 재순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나아가, 연료 가스를 재순환시킬 수 있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복수의 셀을 집합시켜 전지 스택을 구성하고, 연료와 산화제를 이용하여 발전하며, 발전 후의 잔존 연료와 공기가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이며, 발전 후의 잔존 연료의 일부를 공기와의 접촉 전에 셀 마다 분기(分岐)시키는 분기 수단과, 분기된 연료를 연료 공급 라인에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유로(流路)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구조가 심플한 외주 실레스(sealless)형 스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연료 가스의 재순환에 의하여, 수증기의 재이용이나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평판형 셀 및 세퍼레이터를 번갈아 적층하여 전지 스택을 구성하고, 이 전지 스택은, 그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실(seal)이 없고, 발전 후의 잔존 연료, 산화제를 포함하는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것과 함께, 전지 스택 내부의 셀에 면한 연료 가스 통로의 하류부로부터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일부를 각 셀 마다 분기시켜 연료 공급 라인에 재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구조가 심플한 외주 실레스형 스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연료 가스의 재순환에 의하여, 수증기의 재이용이나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연료 가스 및 산화제 함유 가스를 셀 중심 부근에서 공급하기 위한 각 셀을 가로지르는 통로와, 분기된 발전 후의 잔류 연료 가스를 셀 중심 부근으로 유도하는 세퍼레이터 내 통로와, 셀 중심 부근으로 유도된 잔류 연료 가스를 재순환 회로로 공급하기 위한 셀 중심 부근을 가로지르는 통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셀을 가로지르는 매니폴드(manifold) 방식으로 하여, 이 매니폴드부를 셀 중심 부근으로 가지고 오는 것에 의하여, 셀 외주부 매니폴드에 의하여 연료 가스, 산화제 함유 가스를 공급하고,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를 배출하는 방식보다도 컴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세퍼레이터의 리브 형상에 의하여 형성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와, 세퍼레이터 외주부 부근에 있는,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로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세퍼레이터를 한 장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세퍼레이터를 중공 구조로 하는 것으로 형성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와, 세퍼레이터 외주부 부근에 뚫린 복수의 연통(連通) 구멍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로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셀 외주부에 분기용 연통 구멍을 많이 분산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애노드(anode)측 유로 내의 연료 가스의 분포를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주부에 설치한 각 분기 구멍으로부터 셀 중심 부근의 배출부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압력 손실의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면 내의 가스 유량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동심원상(同心圓狀)의 리브와 리브 안부(鞍部)에 홈을 가지는 세퍼레이터를 2층으로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연료 가스 통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 통로 및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세퍼레이터가 인터커넥터를 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재 점수를 감소시켜, 스택 두께의 저감에 의한 컴팩트화, 컴팩트화에 의한 열 손실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동심원상의 리브와, 리브에 복수의 구멍 또는 리브 안부를 가로지르는 노치(notch) 또는 그 양방을 가지는 집전판과, 세퍼레이터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연료 가스 통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 통로 및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집전판에 유로의 분리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구멍이나 노치 등의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열 응력의 완화나 집전 성능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량 분포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세퍼레이터로서 반경 방향의 흐름 저항보다 원주를 따른 흐름 저항이 작은 형상을 가지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셀로의 연료 공급의 언밸런스를, 원주를 따른 흐름에 의하여 보상하고, 가능한 한 균일한 연료 가스의 면 내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은, 구조가 심플한 외주 실레스형 스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연료 가스의 재순환에 의하여, 수증기의 재이용이나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2의 발명은, 구조가 심플한 외주 실레스형 스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연료 가스의 재순환에 의하여, 수증기의 재이용이나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셀 외주부 매니폴드에 의하여 연료 가스, 산화제 함유 가스를 공급해,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를 배출하는 방식보다도 컴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4의 발명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압력 손실의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면 내의 가스 유량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스택 두께의 저감에 의한 컴팩트화, 컴팩트화에 의한 열 손실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자유롭게 구멍이나 노치 등의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열 응력의 완화나 집전 성능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량 분포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셀로의 연료 공급의 언밸런스를, 원주를 따른 흐름에 의하여 보상해, 가능한 한 균일한 연료 가스의 면 내 분포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도 7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에 채용되는 세퍼레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 도 7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에 채용되는 세퍼레이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지 셀
2 : 세퍼레이터
2F : 공기 안내 유로
2G : 연료 안내 유로
2H : 발전 후 연료 안내 유로
10 : 스택
14 : 연료 송출부
21, 22 : 세퍼레이터 부재
21A, 22A : 리브
23 : 세퍼레이터 부재
23A : 리브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원판형의 전지 셀(1)과 원판형의 세퍼레이터(2)를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스택(10)을 케이싱(11)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1)의 상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2)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 송출부(14)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주연부(周緣部)를 관통하고, 발전 후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된 결과의 배기 가스를 송출하는 배기 송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된 발전 후의 연료를, 새롭게 공급되는 연 료에 혼합하는 재순환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세퍼레이터(2)의 중앙부는 연료 공급부(12), 공기 공급부(13) 및 연료 송출부(14)가 관통하는 매니폴드부(2A)이며, 이 매니폴드부(2A)를 둘러싸는 반응부에는, 그 양 주면(主面)에 각각 다수의 원호상(圓弧狀)의 안내 날개(2B, 2C)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세퍼레이터(2)의 주연부에는, 발전 후의 연료를 분기시키는 분기부(2D)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분기부로부터 연료 송출부(14)로 향하여 발전 후의 연료를 보내는 유로(2E)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연료 전지의 발전 동작은 종래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구조가 심플한 외주 실레스형 스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연료 가스의 재순환에 의하여, 수증기의 재이용이나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원판형의 전지 셀(1)과 원판형의 세퍼레이터(2)를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스택(10)을 케이싱(11)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1)의 상부벽의 주연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주연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2)와, 케이싱(11)의 상부벽의 주연부를 관통하여 스 택(10)의 주연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주연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주연부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 송출부(14)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주연부를 관통하고, 발전 후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된 결과의 배기 가스를 송출하는 배기 송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된 발전 후의 연료를, 새롭게 공급되는 연료에 혼합하는 재순환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에는, 공기 공급부(1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세퍼레이터(2)의 중앙부 하방(下方)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로(2F)와, 연료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세퍼레이터(2)의 중앙부 상방(上方)으로 안내하는 연료 안내 유로(2G)와, 세퍼레이터(2)의 주연부 상방으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의 일부를 연료 송출부(14)로 안내하는 발전 후 연료 안내 유로(2H)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연료 전지의 발전 동작은 종래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구조가 심플한 외주 실레스형 스택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연료 가스의 재순환에 의하여, 수증기의 재이용이나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원판형의 전지 셀(1)과 원판형의 세퍼레이터(2)를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스택(10)을 케이싱(11)에 수용하여 이루어지 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1)의 상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2)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 송출부(14)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주연부를 관통하고 발전 후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된 결과의 배기 가스를 송출하는 배기 송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된 발전 후의 연료를, 새롭게 공급되는 연료에 혼합하는 재순환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세퍼레이터(2)의 중앙부는 연료 공급부(12), 공기 공급부(13) 및 연료 송출부(14)가 관통하는 매니폴드부(2A)이며, 이 매니폴드부(2A)를 둘러싸 반응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세퍼레이터(2)의 주연부 상방으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의 일부를 연료 송출부(14)로 안내하는 발전 후 연료 안내 유로(2H)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연료 전지의 발전 동작은 종래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는, 원판형의 전지 셀(1)과 원판형의 세퍼레이 터(2)를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스택(10)을 케이싱(11)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1)의 상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2)와, 케이싱(11)의 상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택(10)의 중앙부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 송출부(14)와, 케이싱(11)의 하부벽의 주연부를 관통하여 발전 후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고 연소된 결과의 배기 가스를 송출하는 배기 송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된 발전 후의 연료를, 새롭게 공급되는 연료에 혼합하는 재순환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세퍼레이터(2)의 중앙부는 연료 공급부(12), 공기 공급부(13) 및 연료 송출부(14)가 관통하는 매니폴드부(2A)이며, 이 매니폴드부(2A)를 둘러싸 반응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세퍼레이터(2)의 주연부 상방으로부터 발전 후의 연료의 일부를 연료 송출부(14)로 안내하는 발전 후 연료 안내 유로(2H)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연료 전지의 발전 동작은 종래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6, 도 7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에 채용되는 세퍼레이터(2)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 세퍼레이터(2)는, 상향으로 만곡(彎曲) 형성된 복수의 동심원상의 리브(21A)를 가지는 제1 세퍼레이터 부재(21)와, 하향으로 만곡 형성된 복수의 동심원상의 리브(22A)를 가지는 제2 세퍼레이터 부재(22)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리브 안부에 홈(21B)을 형성하고, 양 세퍼레이터 부재의 이음부에도 홈(22B)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새롭게 공급되는 연료, 공기, 발전 후의 연료를 각각 안내하는 안내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세퍼레이터가 인터커넥터를 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재 점수를 감소시켜, 스택 두께의 저감에 의한 컴팩트화, 컴팩트화에 의한 열 손실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6, 도 7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에 채용되는 세퍼레이터(2)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 세퍼레이터(2)는, 상향으로 만곡 형성되고, 또한 소경의 구멍(23B)이 형성된 복수의 동심원상의 리브(23A)를 가지는 세퍼레이터 부재(집전판, 23)와 세퍼레이터 판(24)을 번갈아 적층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의하여, 새롭게 공급되는 연료, 공기, 발전 후의 연료를 각각 안내하는 안내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집전판에 유로의 분리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구멍이나 노치 등의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열 응력의 완화나 집전 성능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량 분포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셀을 집합시켜 전지 스택(stack)을 구성하고, 연료와 산화제를 이용하여 발전(發電)하며, 발전 후의 잔존 연료와 공기가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이며,
    발전 후의 잔존 연료의 일부를 공기와의 접촉 전에 셀 마다 분기(分岐)시키는 분기 수단과, 분기된 연료를 연료 공급 라인에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유로(流路)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2. 평판형 셀 및 세퍼레이터(separator)를 번갈아 적층하여 전지 스택을 구성하고, 이 전지 스택은, 그 외주(外周)의 적어도 일부에 실(seal)이 없고, 발전 후의 잔존 연료, 산화제를 포함하는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것과 함께, 전지 스택 내부의 셀에 면한 연료 가스 통로의 하류부로부터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일부를 각 셀마다 분기시켜 연료 공급 라인에 재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료 가스 및 산화제 함유 가스를 셀 중심 부근에서 공급하기 위한 각 셀을 가로지르는 통로와, 분기된 발전 후의 잔류 연료 가스를 셀 중심 부근으로 유도하는 세퍼레이터 내 통로와, 셀 중심 부근으로 유도된 잔류 연료 가스를 재순환 회로 로 공급하기 위한 셀 중심 부근을 가로지르는 통로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리브 형상에 의하여 형성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와, 세퍼레이터 외주부 부근에 있는,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로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중공(中空) 구조로 하는 것으로 형성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와, 세퍼레이터 외주부 부근에 뚫린 복수의 연통(連通)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의 세퍼레이터 내 통로로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동심원상(同心圓狀)의 리브와 리브 안부(鞍部)에 홈을 가지는 세퍼레이터를 2층으로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연료 가스 통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 통로 및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7. 제5항에 있어서,
    동심원상의 리브와, 리브에 복수의 구멍 또는 리브 안부를 가로지르는 노치(notch) 또는 그 양방(兩方)을 가지는 집전판과, 세퍼레이터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연료 가스 통로, 발전 후의 잔존 연료 가스 통로 및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는 반경 방향의 흐름 저항보다 원주를 따른 흐름 저항이 작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KR1020077022952A 2005-04-20 2006-01-23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KR100876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2645A JP4735019B2 (ja) 2005-04-20 2005-04-20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JPJP-P-2005-00122645 2005-04-20
PCT/JP2006/300939 WO2006114920A1 (ja) 2005-04-20 2006-01-23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136A true KR20070110136A (ko) 2007-11-15
KR100876395B1 KR100876395B1 (ko) 2008-12-31

Family

ID=3721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952A KR100876395B1 (ko) 2005-04-20 2006-01-23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14907A1 (ko)
EP (1) EP1876667A1 (ko)
JP (1) JP4735019B2 (ko)
KR (1) KR100876395B1 (ko)
CN (1) CN100514736C (ko)
AU (1) AU2006240970A1 (ko)
WO (1) WO2006114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1273B2 (ja) * 2007-06-29 2013-02-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JP5190753B2 (ja) * 2007-08-02 2013-04-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と燃料電池システム
DE102008016578A1 (de) * 2008-04-01 2009-10-08 Daimler Ag Brennstoffzellen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stoffzelleneinrichtung
JP2013197075A (ja) * 2012-03-23 2013-09-30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スタック
WO2014063908A1 (en) * 2012-10-23 2014-05-01 Metacon Ab Disc shaped fuel cell
CN110729498B (zh) * 2019-10-22 2021-07-23 中国矿业大学 一种平板式固体氧化物燃料电池密封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731B2 (ja) * 1988-07-23 1996-11-20 富士電機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H0412460A (ja) * 1990-04-28 1992-01-17 Tonen Corp 高温型燃料電池
JP4292656B2 (ja) * 1999-11-12 2009-07-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組立体
JP4404331B2 (ja) * 2003-02-27 2010-01-27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2658A (ja) 2006-11-02
CN100514736C (zh) 2009-07-15
KR100876395B1 (ko) 2008-12-31
EP1876667A1 (en) 2008-01-09
US20090214907A1 (en) 2009-08-27
JP4735019B2 (ja) 2011-07-27
CN101164188A (zh) 2008-04-16
WO2006114920A1 (ja) 2006-11-02
AU2006240970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395B1 (ko)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AU2003259559B2 (en) Bipolar plates assembly for a fuel cell
US10170776B2 (en) Fuel cell module
US7125619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KR20210067366A (ko) 연료전지용 가습기의 카트리지 및 연료전지용 가습기
AU2003259560B2 (en) Fuel cell
CA2524717A1 (en) Fuel cell
JP2018169080A (ja) 燃焼システム、及び燃焼装置
JP2015185280A (ja) 燃料電池装置
CA2488166A1 (en) Separator for sofc with internal reactant gas flow passages
US7258944B2 (en) Fuel cell with improved separators and circular disk-shaped electrolyte electrode assemblies
KR20100111972A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전지 스택
KR102601882B1 (ko) 연료전지용 매니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US8251093B2 (en) Fuel supply apparatus for a combustor
JP6185903B2 (ja) 燃料電池用燃焼器及び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2023010793A (ja) 電気化学セルスタック、燃料電池および水素製造装置
KR20240003986A (ko) 연료전지용 판형 매니폴드, 연료전지 모듈,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