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875A -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875A
KR20070109875A KR1020070044618A KR20070044618A KR20070109875A KR 20070109875 A KR20070109875 A KR 20070109875A KR 1020070044618 A KR1020070044618 A KR 1020070044618A KR 20070044618 A KR20070044618 A KR 20070044618A KR 20070109875 A KR20070109875 A KR 2007010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ing
added
picked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요시 구사야마
마끼비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유저가 원하는 노광량의 화상을 용이하게 취득한다. 촬상부(41)는,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고,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릴리즈 스위치(31)가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촬상부(41)가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하여, 가산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릴리즈 스위치(31)의 조작이 정지된 때, 입출력 제어부(62)는, 가산 화상을 기억부(63) 또는 메모리 카드(65)에 기록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등에 적용할 수 있다.
노광량, 가산 화상, 기억부, 손 떨림, 보정, 릴리즈 스위치, 벌브 촬영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IMA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의 1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움직임 벡터 검출부에 의한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의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움직임 벡터 검출부에 의한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의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4는 도 1의 보정부에 의한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가산 화상 생성부가, 새로운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표시부에, 가산 화상이 표시되는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벌브 촬영 모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가산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조작부
31 : 릴리즈 스위치
41 : 촬상부
54 : SDRAM
55 : 움직임 벡터 검출부
56 : SAD 테이블
57 : 보정부
58 : 가산 화상 생성부
59 : SDRAM
60 : 표시 제어부
61 : 표시부
62 : 입출력 제어부
63 : 기억부
64 : 드라이브
65 : 메모리 카드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4-235973호 공보
본 발명은,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유저가 원하는 노광량의 화상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한 화상의 촬영의 방법으로서, 벌브 촬영(촬상)과 같은 촬상의 방법이 있다. 벌브 촬영이란, 유저가, 릴리즈 버튼(스위치)을 계속해서 누르고 있는 동안, 노광 상태를 계속하고, 릴리즈 버튼의 눌려짐이 정지될 때에 노광을 종료하는, 장시간의 노광에 의한 촬영에서 행해지는 방법이다.
벌브 촬영에서는, 노광 시간에 따른 노광량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데, 어느정도의 노광량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릴리즈 버튼이 온된 직후에,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영된 1매의 화상(프리 촬영 화상)의 휘도 게인을, 소정의 시간으로서의 재기입 인터벌이 경과할 때마다 1단계 높여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참조).
그러나, 프리 촬영 화상의 휘도 게인을 높인 화상은, 예를 들면, 프리 촬영 화상의 S/N(Signal/Noise) 등에 기인하여, 실제의 벌브 촬영에서 촬영되는 화상과의 오차를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화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프리 촬영 화상의 휘도 게인을 높인 화상과 실제의 벌브 촬영에서 촬영되는 화상이 상이한 것으로 되어, 원하는 노광량의 화상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가 원하는 노광량 의 화상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촬상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로서,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하여,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 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제1 측면의 촬상 장치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촬상 장치에는, 상기 가산 화상의 화소값을, 소정의 값으로 제산하는 제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촬상 장치에는, 상기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 각각에 비치고 있는 피사체의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산 화상 생성 수단에서는,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진 화상을 가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촬상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 또는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된 화상이 가산됨으로써 가산 화상이 생성되고,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촬상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로서,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하여,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 화상 생성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제2 측면의 촬상 장치에는,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의 촬상 장치에는, 상기 가산 화상의 화소값을, 소정의 값으로 제산하는 제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의 촬상 장치에는,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 각각에 비 치고 있는 피사체의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산 화상 생성 수단에서는,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진 화상을 가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촬상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 또는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는,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된 화상이 가산됨으로써 가산 화상이 생성되고,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 형 태가 있다고 해도, 그것은, 그 실시 형태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실시 형태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해도, 그것은, 그 실시 형태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촬상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1))에서,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촬상부(41))과,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조작부(21))과, 상기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하여,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 화상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가산 화상 생성부(58))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예를 들면, 도 1의 기억부(63) 또는 메모리 카드(65))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입출력 제어부(62))을 구비한다.
제1 측면의 촬상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표시부(61))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표시 제어부(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촬상 장치는, 상기 가산 화상의 화소값을, 소정의 값으로 제산하는 제산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입출력 제어부(6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촬상 장치는, 상기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 상 수단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 각각에 비치고 있는 피사체의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보정부(57))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진 화상을 가산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촬상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 또는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고(예를 들면, 도 7의 스텝 S37),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예를 들면, 도 7의 스텝 S40)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촬상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1))에서,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촬상부(41))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하여,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 화상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가산 화상 생성부(58))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표시부(61))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표시 제어부(60))을 구비한다.
제2 측면의 촬상 장치는,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입출력 제어부(6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의 촬상 장치는, 상기 가산 화상의 화소값을, 소정의 값으로 제산하는 제산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입출력 제어부(6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의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 각각에 비치고 있는 피사체의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보정부(57))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진 화상을 가산할 수 있다.
제2 측면의 촬상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 또는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고(예를 들면, 도 7의 스텝 S37),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예를 들면, 도 7의 스텝 S38) 스텝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스틸 카메라)(11)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1)는, 조작부(21), 촬상부(41),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54), 움직임 벡터 검출부(55),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s) 테이블(56), 보정부(57), 가산 화상 생성부(58), SDRAM(59), 표시 제어부(60), 표시부(61), 입출력 제어부(62), 기억부(63), 드라이브(64), 및 메모리 카드(65)로 구성된다.
조작부(21)는, 예를 들면, 릴리즈 스위치(31) 및 후술하는 표시부(61)에 중첩된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고,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부(21)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11)의 필요한 블록에 공급한다.
촬상부(41)는, 거기에 입사하는 광을 수광해서 광전 변환함으로써 피사체를 촬상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촬영 화상을 SDRAM(54)에 공급하고,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여기에서, 촬상부(41)는, 촬상 렌즈(51), 촬상 소자(52), 및 카메라 신호 처리부(53)로 구성되어 있고, 촬상 렌즈(51)는, 촬상 소자(52)의 수광면에 피사체의 상을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52)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s)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그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의 상(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로서, 카메라 신호 처리부(53)에 공급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53)는, 촬상 소자(52)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예를 들면 감마 보정 처리나 화이트 밸런스 처리 등을 행한다. 그 후, 카메라 신호 처리부(53)는, 그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를 A/D(Analog/Digital) 변환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디지털의 화상 신호(촬상 화상)를 SDRAM(54)에 공급하 고, 기억시킨다.
SDRAM(54)은, 카메라 신호 처리부(53)(촬상부(41))로부터 공급된 촬상 화상을 기억한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11)의 촬영 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촬상부(41)에서, 릴리즈 스위치(31)의 1회의 누름 조작에 따라서, 1매의 촬상 화상을 적정 노광으로 되는 노광 시간으로 촬상하는 통상 촬영 모드와,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에 따라서, 복수매의 촬상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소정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된 화상을 얻는 벌브 촬영 모드가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 모드가, 벌브 촬영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벌브 촬영 모드란, 예를 들면, 유저가, 릴리즈 스위치(31)를 계속해서 누르고 있는 동안, 노광 상태를 계속하고, 릴리즈 스위치(31)의 눌려짐이 정지될 때에 노광을 중지하는 벌브 촬영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장시간의 노광의 촬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가, 통상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움직임 벡터 검출부(55) 내지 가산 화상 생성부(58)가 기능하지 않을 뿐이다.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촬상부(41)로 촬상된 촬상 화상을, 촬상된 순번으로, SDRAM(54)으로부터 판독한다.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SDRAM(54)으로부터 판독한 1매째의 촬상 화상(릴리즈 스위치(31)가 눌려지고 나서, 촬상부(41)에 의해 최초로 촬상된 촬상 화상)을, 보정부(57) 및 가산 화상 생성부(58)를 통해서 SDRAM(59)에 공급하고, 후술하는 가산 화상으로서 기억시킴과 함께, SAD 테이블(56)에 공급하고, 후술하는 기준 화상으로서 기억시킨다.
여기에서, 가산 화상이란, 촬상부(41)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이, 후술하는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의해 가산됨으로써 생성되는 화상을 말한다. 또한, 기준 화상이란, 후술하는 보정부(57)가,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릴리즈 스위치(31)가 눌려지고 나서, 촬상부(41)에 의해 2번째 이후에 촬상된 촬상 화상)의 위치를 보정함에 있어서 기준으로 되는 화상을 말한다.
또한, n매째의 촬상 화상이란, 벌브 촬영 모드에서 촬상된 복수매의 촬상 화상 중의, n번째로 촬상된 촬상 화상을 말한다. 즉, 벌브 촬영 모드에서의 디지털 카메라(11)에서는,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이 개시되고나서, 그 누름 조작이 정지(해제)될 때까지의 동안에 촬상된 N매의 촬상 화상이, 가산의 대상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n매째의 촬상 화상이란,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져 있는 동안에 촬상된 N매의 촬상 화상 중의, n(n=1, 2, …, N-1, N)번째로 촬상된 촬상 화상이다.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SDRAM(54)으로부터 판독한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에 대해서는, SAD 테이블(56)에 기억된 기준 화상에 대한 촬상 화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그 촬상 화상과 함께 보정부(57)에 공급한다.
SAD 테이블(56)은,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로부터 공급되는 1매째의 촬상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서 기억한다.
보정부(57)는,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로부터 공급된 촬상 화상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동일하게,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로부터 공급된 그 촬상 화상을 보정하고, 보정 후의 촬상 화상을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공급한다.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SDRAM(59)으로부터 판독한 가산 화상과, 보정부(57)로부터 공급된 보정 후의 촬상 화상을 가산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새로운 가산 화상으로서, SDRAM(59)에 공급하고, 덮어쓰기하는 형태로 기억시킨다.
SDRAM(59)은, 가산 화상 생성부(58)로부터 공급된 가산 화상을 기억한다.
표시 제어부(60)는, 가산 화상 생성부(58)에서, 새로운 가산 화상(1매째의 촬상 화상을 포함함)이 생성되고, SDRAM(59)에 기억될 때마다, SDRAM(59)으로부터 그 새로운 가산 화상을 판독하고, 표시부(61)에 공급해서 표시시킨다.
표시부(61)는, 표시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표시 제어부(60)로부터 공급된 가산 화상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61)로서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62)에는, SDRAM(59), 기억부(63), 및 드라이브(64)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제어부(62)는, SDRAM(59), 기억부(63), 또는 드라이브(64) 각각과의 사이에서의 화상의 주고받음을 제어한다.
기억부(63)는, 입출력 제어부(62)로부터 공급된 화상을 기억한다.
드라이브(64)는, 입출력 제어부(62)로부터 공급된 화상을, 메모리 카드(65)에 공급하고, 기억시킨다. 또한, 드라이브(64)는, 메모리 카드(65)로부터 화상을 판독하고, 입출력 제어부(62)에 공급한다.
메모리 카드(65)는, 디지털 카메라(11)의 드라이브(64)에 탈착가능으로 리무버블한 메모리 카드이며, 입출력 제어부(62)로부터 공급된 화상을 기억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도 1의 움직임 벡터 검출부(55)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움직임 벡터 검출부(55)가, 벌브 촬영 모드에서,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상측은, 피사체(161)가 투영된 기준 화상(151), 및 피사체(161)와 동일한 피사체(162)가 투영된(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15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하측은, 세로×가로가 m×n개인 블록으로 분할된 기준 화상(15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 하측의 m×n개의 블록 내의 화살표는, 각각의 블록에 기초해서 검출된 움직임 벡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화상(151)은, 1매째의 촬상 화상을 나타내고 있고, 촬상 화상(152)은,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준 화상(151)에 대한 피사체(161)의 위치와, 촬상 화상(152)에 대한 피사체(162)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은, 예를 들면, 손 떨림이 발생한 것에 의한다.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기준 화상(151)과 촬상 화상(152)을 이용하여, 기준 화상(151)에 대한 촬상 화상(152)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다.
즉,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도 2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화상(151)을 세로×가로가 m×n개인 블록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블록에 가장 유사한 촬상 화상(152) 상의 영역을 구함으로써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블록 매칭을 행한다.
도 3은, 이러한 블록 매칭에 의해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기준 화상(151)과 촬상 화상(152)이 서로 겹쳐져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기준 화상(151)(촬상 화상(152))의 좌측 아래의 점을 원점 O로 하고 우방향을 x방향, 상방향을 y방향으로 하는 xy 좌표계를 정의하고 있다.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화상(151) 상의 분할된 블록(151a) 내지 블록(151c)을 템플릿으로 하여, 각각의 블록(151a) 내지 블록(151c)에 가장 유사한 촬상 화상(152) 상의 영역(152a) 내지 영역(152c)을 구한다. 또한,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예를 들면, 기준 화상(151) 상의 블록(151a) 내지 블록(151c)의 중심(무게 중심)의 위치 (Cx, Cy)를 시점으로 하고, 영역(152a) 내지 영역(152c)의 중심의 위치 (Cx', Cy')를 종점으로 하는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도 2 하측에 도시되는 기준 화상(151) 상의 m×n개의 블록에 대하여 검출한 m×n개의 움직임 벡터를,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152)과 함께, 보정부(57)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도 1에 있어서의 보정부(57)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정부(57)는, 기준 화상(151)을 기준으로 하여, 촬상 화상(152)을 보정한다. 즉, 보정부(57)는, 기준 화상(151) 상의 피사체(161)의 위치와, 촬상 화상(152) 상의, 피사체(161)와 동일한 피사체(162)의 위치를 위치 정렬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아핀 변환에 의해, 촬상 화상(152)을 보정한다.
아핀 변환에서는, 기준 화상(151)(의 화소)의 위치 (x, y)와, 촬상 화상(152)의 위치 (x', y')와의 위치 관계는, 다음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07034200459-PAT00001
여기에서, 수학식 1의 아핀 변환에 따르면, 위치 (x, y)는, 그 위치 (x, y)를 원점 O의 주위에 각도 θ만큼 회전시키고, (x, y)=(s, t)만큼 평행 이동시킨 위치 (x', y')로 변환(보정)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수학식 1의 아핀 변환을 정의하는 파라미터 s, t, θ을, 아핀 파라미터(s, t, θ)라고 한다.
또한, 수학식 1의 아핀 변환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1)로부터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의, 디지털 카메라(11)의 움직임은 고려되어 있지 않지만, 아핀 변환은, 이러한 움직임도 고려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학식 1의 우변의 2×2의 행렬 대신에, 그 행렬에, 확대/축소에 관한 파라미터가 승산된 행렬이 사용된다.
보정부(57)는, 도 2 하측에 도시되는 m×n개의 움직임 벡터와 전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최소 제곱법에 의해, 아핀 파라미터(s, t, θ)를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정부(57)는, 기준 화상(151) 상의 m×n개의 블록의 중심의 위치 (Cx, Cy)에 대하여, 전술한 수학식 1에 의해 아핀 변환을 행한다. 그리고, 보정부(57)는, 기준 화상(151) 상의 m×n개의 블록의 중심의 위치 (Cx, Cy)를 시점으로 하고, 위치 (Cx, Cy)를 아핀 변환한 후의 위치를 종점으로 하는 움직임 벡터를, 변환 움직임 벡터 VGM으로서 산출한다. 변환 움직임 벡터 VGM은, 다음 수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112007034200459-PAT00002
여기에서, 수학식 2에 있어서의 변환 움직임 벡터 VGM은, 아핀 파라미터(s, t, θ)를 변수로 하는 식으로 표현된다.
보정부(57)는, 기준 화상(151) 상의 블록의 변환 움직임 벡터 VGM과, 그 블록의, 전술한 블록 매칭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 벡터(이하, 적절하게, 매칭 움직임 벡터 VBM이라고도 함)과의 제곱 오차의 총합 E를 최소로 하는 아핀 파라미터(s, t, θ)를 구한다. 이 제곱 오차의 총합 E는, 다음 수학식 3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7034200459-PAT00003
여기에서, 수학식 3의 Σ은, 도 2 하측에 도시된, 기준 화상(151) 상의 m×n개의 블록의 총합을 나타낸다. 수학식 3의 제곱 오차의 총합 E를 최소로 하는 아핀 파라미터(s, t, θ)는, 제곱 오차의 총합 E를, 아핀 파라미터(s, t, θ)로 편미분한 식을 구하고, 그 식을 0으로 한 방정식을 푸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정부(57)는, 구한 아핀 파라미터(s, t, θ)를 이용하여, 촬상 화상(152)의 위치 (x', y')를 기준 화상(151)의 위치 (x, y)로 보정(위치 정렬)하는 아핀 변환의 역변환을 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화상(1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화상(151) 상의 피사체(161)와, 촬상 화상(152) 상의 피사체(162)의 위치를 맞추도록 보정된다.
여기에서, 촬상부(41)에서는, 촬상 화상(152)으로서 채용되는 유효 화소수보다도 많은 화소수에 의해 촬상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촬상 화상(152)보다도 큰 화상(화소수가 많은 화상)(182)의 촬상이 행해지고 있다.
보정부(57)는, 촬상 화상(152)을 포함하는 화상(182)의 보정을 행한 후, 화상(182) 중의 기준 화상(151)의 범위와 완전하게 일치하는 범위의 화상을, 보정 후의 촬상 화상(152)으로서 추출하고,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182)을, 촬상 화상(152)보다도 어느 만큼 큰 화상(화소수가 많은 화상)으로 할지는, 예를 들면, 사람이, 소위 소지 촬상을 행할 때의 손 떨림량의 통계량 등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1의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의해 생성되는 가산 화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가산 화상 생성부(58)에서, 새로운 가산 화상이 생성되어 가는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상측은,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된 1 내지 N매째의 촬상 화상의 노광량(2111) 내지 노광량(211N)을 나타내고 있고, 도 5 하측은,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의해 생성되는 가산 화상의 노광량(2321) 내지 노광량(232N)을 나타내고 있다.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보정부(57)로부터 공급되는 1매째의 촬상 화상을 그대로, 노광량(2111(2321))의 가산 화상으로 한다.
또한,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노광량(2321)의 가산 화상과, 보정부(57)로부터 공급되는 2매째의 촬상 화상을 가산하여, 노광량(2322)(노광량(2321)과 노광량(2112)을 가산한 노광량)의 가산 화상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노광량(2322)의 가산 화상과, 보정부(57)로부터 공급되는 3매째의 촬상 화상을 가산하여, 노광량(2323)의 가산 화상을 생성한다. 이러한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노광량(232n-1)의 가산 화상과, 보정부(57)로부터 공급되는 n매째의 촬상 화상을 가산하여, 노광량(232n)의 가산 화상을 생성한다(n=2, 3, …, N-1, N).
도 6은, 도 1의 표시부(61)의 가산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61)에서는, 새로운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그 새로운 가산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부(61)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노광량(2321)의 가산 화상(2611)이 표시되고, 이어서, 노광량(2322)의 가산 화상(2612)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가산 화상 생성부(58)로 가산 화상(261n)이 생성될 때마다, 새롭게 생성된 가산 화상(261n)이 표시된다(n=1, 2, …, N-1, N).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가산 화상(261n)의 생성은, 릴리즈 스위치(31)가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 행해진다. 따라서, 유저는 원하는 노광의 가산 화상(261N)이 표시부(61)에 표시되었을 때에,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정지함으로써, 원하는 노광 상태의 가산 화상(261N)을, 기억부(63)나 메모리 카드(65)에 기억시킬(촬상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계속한 결과, 표시부(61)에 표시되는 가산 화상(261N)이 지나치게 밝은 화상으로 되어버린 경우, 입출력 제어부(62)가, 가산 화상(261N)의 각 화소값을 소정의 값으로 제산함으로써, 가산 화상(261N)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1)의 벌브 촬영 모드의 처리를 설명한다.
유저가,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개시하면, 스텝 S31에서, 촬상부(41)는,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고, 그 결과 얻어지 는 촬영 화상을 SDRAM(54)에 공급해서 기억시키고, 스텝 S32으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서,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촬상부(41)로 촬상된 촬상 화상을, 촬상된 순번으로, SDRAM(54)으로부터 판독한다. 스텝 S32에서,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SDRAM(54)으로부터 판독한 촬상 화상이 1매째의 촬상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1매째의 촬상 화상이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33으로 진행하여, 1매째의 촬상 화상을, 보정부(57) 및 가산 화상 생성부(58)를 통해서 SDRAM(59)에 공급하고, 가산 화상으로서 기억시킴과 함께, SAD 테이블(56)에 공급하고, 기준 화상으로서 기억시키고, 스텝 S3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32에서,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1매째의 촬상 화상이 아니라고(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이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34로 진행하여, SDRAM(54)으로부터 판독한 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에 대해서는, SAD 테이블(56)에 기억된 기준 화상에 대한 촬상 화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그 촬상 화상과 함께 보정부(57)에 공급하고, 스텝 S35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서, 보정부(57)는,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로부터 공급된 움직임 벡터와 전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최소 제곱법에 의해, 아핀 파라미터(s, t, θ)를 구하고, 스텝 S36으로 진행하여, 구한 아핀 파라미터(s, t, θ)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로부터 공급된 촬상 화상을 보정하고, 보정 후의 촬상 화상을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공급하고, 스텝 S37로 진행한다.
스텝 S37에서,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SDRAM(59)으로부터 가산 화상을 판독하고, 그 가산 화상과, 보정부(57)로부터 공급된 보정 후의 촬상 화상의 화소값 을 가산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새로운 가산 화상으로서, SDRAM(59)에 공급하고, 덮어쓰기하는 형태로 기억시키고, 스텝 S38로 진행한다.
스텝 S38에서, 표시 제어부(60)는, 직전에 행해진 스텝 S33 또는 스텝 S37에서, SDRAM(59)에 기억된 가산 화상을 판독하고, 표시부(61)에 공급해서 표시시키고, 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39에서, 가산 화상 생성부(58)는,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9에서,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1에 되돌아가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에 의해, 스텝 S37에서, 가산 화상 생성부(58)가 새로운 가산 화상을 생성할 때마다, 그 새로운 가산 화상이 표시부(61)에 표시된다.
한편, 스텝 S39에서,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즉, 릴리즈 스위치(31)를 계속해서 누름 조작하고 있었던 유저가, 표시부(61)에 표시된 가산 화상을 보고, 원하는 노광량의 화상(가산 화상)이 얻어진 것으로 하여,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정지한 경우, 스텝 S40으로 진행하여, 입출력 제어부(62)는, SDRAM(59)으로부터 가산 화상(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정지한 때에, 표시부(61)에 표시되어 있었던 가산 화상)을 판독하고, 기억부(63) 또는(드라이브(64)를 통해서) 메모리 카드(65)에 공급하고, 기억시킨다. 그 후,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의 벌브 촬영 모드의 처리에 따르면, 촬상부(41)에서는,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기 때문에, 통상 촬영 모드에서 촬상한 경우 와 비교하여, 불선명이 없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보정부(57)에서는, 촬상부(41)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의 위치가, 기준 화상의 위치로 보정되기 때문에, 촬상 중에 발생한 손떨림 등의 화상 흔들림(위치 어긋남)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1)에서는,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의해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그 가산 화상이 표시되므로, 유저는, 가산 화상의 노광의 상태를 리얼타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원하는 노광량의 화상(가산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벌브 촬영 모드의 처리에 따르면, 릴리즈 스위치(31)가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적정 노광 미만으로 촬상된 화상이 가산되어 가기 때문에, 유저는, 예를 들면, 저조도의 피사체를 촬상하는 경우, 통상 촬영 모드에서의 촬상과 비교하고, S/N비가 개선되어 다이내믹 레인지가 확대된 선명한 가산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저는,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개시하고, 표시부(61)에, 원하는 노광량의 화상이 표시되었을 때에,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정지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노광량의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도 7에 있어서의 벌브 촬영 모드의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가, 부주의 등에 의해, 릴리즈 스위치(31)의 누름 조작을 계속한 것에 의해, 원하는 노광량을 초과하는 노광량의 화상(가산 화상)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디지털 카메라(11)에서는, 그 화상의 노광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상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가산 화상의 노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밝기를 조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기억부(63) 또는 메모리 카드(65)에 기억된 가산 화상을 표시부(61)에 표시시키도록, 조작부(21)를 조작하면, 스텝 S81에서, 입출력 제어부(62)는, 기억부(63) 또는 메모리 카드(65)에 기억된 가산 화상을 판독하고, SDRAM(59)에 공급해서 기억시킨다. 스텝 S81에서, 가산 화상이 SDRAM(59)에 기억되면, 표시 제어부(60)는, SDRAM(59)으로부터 가산 화상을 판독하고, 표시부(61)에 표시시키고, 스텝 S82로 진행한다.
스텝 S82에서, 유저가, 표시부(61)에 표시된 가산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조작부(21)를 조작하면, 입출력 제어부(62)는, SDRAM(59)으로부터 가산 화상을 판독하고, 유저의 조작에 따른 소정의 값에 의해, 그 가산 화상의 화소값을 제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제산 화상을, SDRAM(59)에 공급하고, 기억시킨다. 또한, 스텝 S82에서, 표시 제어부(60)는, SDRAM(59)으로부터 제산 화상을 판독하고, 표시부(61)에 표시시킨다.
그 후, 스텝 S82로부터 스텝 S83으로 진행하여, 표시부(61)에 표시된 제산 화상을 확인한 유저가, 표시부(61)에 표시된 제산 화상을 확정하도록, 조작부(21)를 조작하면, 입출력 제어부(62)는, SDRAM(59)으로부터 제산 화상을 판독하고, 기억부(63) 또는 메모리 카드(65)에 공급하고, 원래의 가산 화상에 덮어쓰기하는 형 태로 기억시킨다. 그 후, 이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스텝 S82에서, 표시 제어부(60)는, SDRAM(59)으로부터 판독한 제산 화상을, 표시부(61)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했으므로, 유저는, 제산 화상의 노광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가 원하는 제산 화상이 얻어질 때까지, 스텝 S82에 있어서의 처리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83에서, 제산 화상을, 원래의 가산 화상에 덮어쓰기하는 형태로 기억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이 제산 화상은, 원래의 가산 화상과는 별도로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움직임 벡터 검출부(55), 보정부(57), 가산 화상 생성부(58), 표시 제어부(60), 및 입출력 제어부(62)가 행하는 일련의 처리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소위 내장형의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저장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9는,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는, ROM(Read Only Memory)(302), 또는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303)에는,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이들 CPU(301), ROM(302), 및 RAM(303)은, 버스(3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301)에는 또한, 버스(304)를 통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3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3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307)가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입력부(306)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해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301)는, 처리의 결과를 출력부(30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부(308)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로 이루어지고,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309)는, 인터넷이나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부(309)를 통해서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기억부(308)에 기억하여도 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3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311)가 장착된 때, 그들을 구동하여,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기억부(308)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 매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MD(Mini-Disc)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인 리무버블 미디어(311),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되는 ROM(302)이나, 기억부(308)를 구성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저장 매체에의 프로그램의 저장은, 필요에 따라 라우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인 통신부(309)를 통하여,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로그램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벌브 촬영 모드의 처리에서, 도 1의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전술한 블록 매칭에 의해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것으로 했지만, 움직임 벡터의 검출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구배법 등에 의해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의 움직임 벡터 검출부(55)는, 적당한 축소율로 축소한 기준 화상과(2매째 이후의) 촬상 화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보정부(57)에서는, 아핀 변환에 의해, 피사체의 위치 정렬을 하는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1)에 각속도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흔들림을 검출하고, 광학적인 보정을 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60)는, 가산 화상 생성부(58)가, 새로운 가산 화상을 생성하고, SDRAM(59)에 공급해서 기억시킬 때마다, 그 가산 화상을 SDRAM(59)으로부터 판독하고, 표시부(61)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가산 화상 생성부(58)에 의해 생성되는 가산 화상을, 예를 들면, m(<N)매 걸러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 제어부(60)는, 가산 화상 생성부(58)로 새로운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그 가산 화상을 표시부(61)에 표시시킬 때와 비교하여, 가산 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유저가 원하는 노광량의 화상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Claims (12)

  1.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하여,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 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
    을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화상의 화소값을, 소정의 값으로 제산하는 제산 수단을 더 구비하 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 각각에 비치고 있는 피사체의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진 화상을 가산하는 촬상 장치.
  5.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촬상 방법.
  6.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이 정지된 때,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7.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하여,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 화상 생성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화상의 화소값을, 소정의 값으로 제산하는 제산 수단을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 각각에 비치고 있는 피사체의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진 화상을 가산하는 촬상 장치.
  11.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촬상 방법.
  12. 입사하는 광을 광전 변환함으로써,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상 수단이 적정 노광 미만의 노광 시간으로 촬상한 화상을 가산함으로써 가산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이 가산된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상기 가산 화상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촬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070044618A 2006-05-09 2007-05-08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70109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0096A JP2007306106A (ja) 2006-05-09 2006-05-09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6-00130096 2006-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875A true KR20070109875A (ko) 2007-11-15

Family

ID=3882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618A KR20070109875A (ko) 2006-05-09 2007-05-08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85527A1 (ko)
JP (1) JP2007306106A (ko)
KR (1) KR20070109875A (ko)
CN (1) CN101072300A (ko)
TW (1) TW2008034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600B1 (ko) * 2010-05-14 2013-02-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손떨림 보정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3942B2 (en) * 2007-10-19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Motion assisted image sensor configuration
JP4655239B2 (ja) * 2008-09-24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06936B2 (ja) * 2008-09-26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26600B2 (ja) * 2009-04-28 2013-07-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変形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728450B2 (ja) * 2009-05-14 2011-07-2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2831870B (zh) * 2009-08-18 2015-05-1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亮度不均校正方法
TWI501635B (zh) * 2010-06-09 2015-09-21 Hon Hai Prec Ind Co Ltd 具圖像處理功能的相機及相機系統
JP5784426B2 (ja) * 2011-09-06 2015-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9609217B2 (en) * 2011-11-02 2017-03-28 Mediatek Inc. Image-based motion sensor and related multi-purpose camera system
KR20140089672A (ko) * 2013-01-04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106820B1 (en) * 2014-03-18 2015-08-11 Here Global B.V. Multi-stage trigger for capturing video images
JP6771674B1 (ja) * 2019-01-09 2020-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0113974A (ja) * 2019-01-11 2020-07-27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756680B (zh) * 2019-01-30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111265B (zh) * 2019-04-04 2021-08-0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叠加图形的校正方法及叠加图形的校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772A (ja) * 1982-08-20 1984-02-25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信号処理装置
JP3139028B2 (ja) * 1991-02-04 2001-02-26 株式会社ニコン 撮影装置
US6714689B1 (en) * 1995-09-29 2004-03-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ynthesizing method
JP3786242B2 (ja) * 1997-07-14 2006-06-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方法に使用する画像確認装置
US6704041B2 (en) * 1998-03-10 2004-03-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memory medium therefor
US6778210B1 (en) * 1999-07-15 2004-08-17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with blur compensation
US7038714B1 (en) * 2000-05-16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a digital printer that uses a digital camera image display
JP4163412B2 (ja) * 2001-12-19 2008-10-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7136101B2 (en) * 2001-12-24 2006-1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controlled exposure method and system with visual feedback
JP2003319252A (ja) * 2002-04-26 2003-11-07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7295232B2 (en) * 2003-01-15 2007-11-13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program
JP3722125B2 (ja) * 2003-01-30 2005-11-30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3867691B2 (ja) * 2003-07-15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522207B2 (ja) * 2004-09-17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及び交換レンズ
JP4378272B2 (ja) * 2004-12-15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装置
US7773115B2 (en) * 2004-12-15 2010-08-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deblurring digital camera images using reference image and motion estimation
JP4755490B2 (ja) * 2005-01-13 2011-08-2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ブレ補正方法および撮像装置
US7548659B2 (en) * 2005-05-13 2009-06-16 Microsoft Corporation Video enhancement
JP4823743B2 (ja) * 2006-04-03 2011-11-24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080143840A1 (en) * 2006-12-19 2008-06-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ag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600B1 (ko) * 2010-05-14 2013-02-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손떨림 보정 방법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3476A (en) 2008-01-01
CN101072300A (zh) 2007-11-14
JP2007306106A (ja) 2007-11-22
US20070285527A1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9875A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
JP570809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KR101156991B1 (ko) 촬상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9762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erforming image synthesis
JP475708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1536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ed therewith
JP505115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8042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732303B2 (ja) 撮像装置
JP4798236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29735A5 (ko)
JP3950188B2 (ja) 画像歪み補正用パラメータ決定方法及び撮像装置
JP4763469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ならびにその画像補正方法
JP4953770B2 (ja) 撮像装置
JP4678061B2 (ja) 画像処理装置、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8819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JP200516805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撮像データの利用装置
JP201015439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271825A (ja) 色合わせ方法、色合わせ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テレビジョンカメラ
JP2009098850A (ja) 演算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278701A (ja)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52665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44236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
TWI244860B (en) Image projection method, projecto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20166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