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557A -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557A
KR20070109557A KR1020060042660A KR20060042660A KR20070109557A KR 20070109557 A KR20070109557 A KR 20070109557A KR 1020060042660 A KR1020060042660 A KR 1020060042660A KR 20060042660 A KR20060042660 A KR 20060042660A KR 20070109557 A KR20070109557 A KR 2007010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optical
source uni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4349B1 (ko
Inventor
조한규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34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21V3/0625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the material diffusing light, e.g. translucent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2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mixing chambers, e.g. housings with reflectiv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빛을 출력하는 램프, 상기 광원부의 일 측에 이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 및 상기 광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반사경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 또는 상기 제 1 반사경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된 빛을 입력받아 외부로 빛을 출력하는 광학 파이프를 포함한다.
광학 파이프, 확산층, 조명 시스템

Description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ILLUMINATING SYSTEM UTILIZING A OPTICAL PIPE}
도 1a는 종래의 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 가이드에서의 빛의 전송 및 반사를 설명하기 위해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 가이드에서의 빛의 전송 및 반사를 설명하기 위해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의 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 가이드의 외부로 빛이 배출되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광 가이드의 일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광학 파이프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4a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명 시스템을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옥내 또는 옥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빛을 원거리까지 비교적 적은 전송 손실로 전송시킬 수 있는 광 가이드를 이요한 조명 장치가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광 가이드는 광원으로부터 배출되는 광학 부재로서, 광 도관(light conduit), 광 파이프(light pipe) 또는 광 튜브(light tube)라고도 불리며, 장식용이나 기능성 광을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효과적으로 분배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통상의 광 가이드 구조물은 투명한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며, 미세한 구조물로 구조화된 외면과, 이와 대향 하는 구조화되지 않은 매끈한 내면을 구비한 관 형태의 벽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화되지 않은 내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이에 반해, 상기 구조화된 외면은 상호 나란히 배열되어 광 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삼각형 홈을 형성하는 선형의 프리즘 배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해 광 가이드는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광 가이드 내로 입력된 빛을 내부 전반사에 의해 광 가이드의 내부에 구속함으로써 광 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빛을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광 가이드는 미국특허 제 4,805,98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한편, 광 가이드는 특정 지점을 조명하기 위한 포인트 조명의 용도만 아니라, 어떤 한 영역을 조명할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종래에 광 가이드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빛을 외부로 분배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의 하나의 기술로서, 구조화된 면에 배치된 프리즘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즉, 프리즘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하거나, 프리즘의 일부를 마모시키거나, 선택된 영역의 프리즘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광이 광 가이드의 변경된 영역을 통해 방출되게 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또한, 이와는 다른 기술로서, 광 가이드 내에 광 배출기(light extractor)를 배치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이러한 광 배출기에는 빛을 내부 전반사의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각도로 광 가이드 쪽으로 반사시키도록 형상화된 스트립 또는 시트 형태의 물질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광 가이드의 전반사율이 감소하며, 이로써 빛이 광 가이드의 벽을 통해 방출되게 하므로 장식용 또는 기능성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광 가이드는 통상적으로 광학 라이팅 필름(OLF : Optical Lighting Film)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전형적인 광학 라이팅 필름은 일면에 엠보싱 가공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성형된 선형의 프리즘 배열을 갖는 비교적 얇은 시트 형태의 투명 물질, 예를 들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이러한 시트 형태의 물질은 충분한 가요성이 있기 때문에 광학 라이팅 필름을 롤링 가공하여 관형 광 가이드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 가이드 제조용으로 적합한 광학 라이팅 필름은 미국특허 제 4,906,070호 및 제 5,056,89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문헌은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광 가이드의 광 전송 및 반사 원리를 본 발명의 이해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광 가이드에서의 빛의 전송 및 반사를 설명하기 위해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b는 광 가이드에서의 빛의 전송 및 반사를 설명하기 위해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이해의 편의상, 구조화되지 않은 내면을 상측으로 하고, 구조화된 외면을 하측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광원(미도시)으로부터의 빛은 화살표와 같이 광학 라이팅 필름의 구조화되지 않는 내면에 입사하여 굴절되고(1 지점), 구조화된 외면의 프리즘의 양 측면에서 전반사되고(2 및 3 지점), 이에 의해 외부로 향하던 빛은 상기 내면에서 굴절되어(4 지점) 다시 내부로 입력된다. 이러한 전반사 과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빛은 실질적으로 광 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행하게 되는데, 광 가이드 내측의 공기에서는 빛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빛은 광 가이드를 통해 근거리뿐만 아니라 원거리까지도 거의 손실 없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c는 광 가이드의 외부로 빛이 배출되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광 가이드의 일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광 가이드(10)는 광학 라이팅 필름(11)과 광 배출기(12)를 포함한다. 광 배출기(12)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며, 광학 라이팅 필름(11)의 구조화되지 않은 내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미도시)에서 배출된 빛은 광학 라이팅 필름(11)에 입사하며, 도 1a 및 도 1b와 관련하여 설명한 원리에 의해 광 가이드(10)의 길이 방향으로 전송된다. 한편, 광 가이드(10)의 내측에서 진행하던 빛이 광학 라이팅 필름(11)의 내면에 부 착되어 있는 광 배출기(12)의 표면에서 반사되면 빛의 투과 각도가 변경되면서 외부로 방출된다.
종래에 광 가이드에 이용되는 광학 라이팅 필름(11)은 일면이 구조화되고, 이와 대향 하는 면인 내면은 구조화되지 않은 평판 형태의 필름이며, 이러한 평판형 필름이 원통형의 투명 아크릴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원통형으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광학 라이팅 필름(11)은 접착 수단에 의해 양 모서리가 접착되거나 겹쳐져 접착된다.
그러나, 광 가이드(10)에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라이팅 필름(11)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학 라이팅 필름(11) 자체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광 가이드(10) 전체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광학 라이팅 필름(11)으로 제작된 광 가이드(10)는 빛의 반사 또는 굴절 등의 방출을 위해 별도의 조작, 예를 들어 광 배출기의 설치, 프리즘의 모서리 절삭, 선택된 프리즘의 완전 제거 등의 조작이 병행되어야 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번잡한 조작 없이도 빛을 균일하게 방출할 수 있는 구조의 광학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파이프의 내부로의 빛의 입력 및 광학 파이프의 외부로의 빛의 방출을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광학 파이프의 전 영역에서 균일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빛을 출력하는 램프, 상기 광원부의 일 측에 이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 및 상기 광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반사경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 또는 상기 제 1 반사경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된 빛을 입력받아 외부로 빛을 출력하는 광학 파이프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은, 상기 램프, 제 1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은, 상기 광학 파이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 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빛을 반사시키는 제 3 반사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파이프는, 복수의 확산 입자와 상기 복수의 확산 입자를 고정시키는 바인더 레진을 포함하는 확산층 및 상기 확산층과 접하여 배치된 지지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확산 입자는 5 내지 50 ㎛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비드는 광원부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분포량이 변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 레진은 자외선(UV) 경화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파이프는 투명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할로겐 램프, 발광 다이오드, 메탈할라이드 램프 또는 플라즈마 라이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은, 종래의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에 장착된 반사경을 통해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각도를 제어하여, 광학 파이프로의 빛의 입사각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파이프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광학 파이프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4a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조명 시스템을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100)은, 광원부(110), 광학 파이프(120) 및 반사 캡(130)을 포함한다.
광원부(110)는 외부의 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며,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광원부와 연결된 광학 파이프(120)에 제공된다.
광원부(110)는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118), 상기 램프(118)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제 1 반사경(116)과 제 2 반사경(114), 그리고 상기 램프(118), 제 1 및 제 2 반사경(116, 114)이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12)을 포함한다.
램프(118)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미도시)을 공급받아, 소정 파장의 빛을 제공한다.
램프(118)로서는 조명 시스템(100)이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118)에는 할로겐 램프, 발광 다이오드, 메탈할라이드 램프 또는 플라즈마 라이팅을 채용할 수 있다.
제 1 반사경(116)은 램프(118)의 전방에 설치되며, 램프(118)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시켜, 후술하는 제 2 반사경(114)로 입사시킨다. 따라서, 램프(118)에서 발생한 빛은 전방에 설치된 광학 파이프(120)로 바로 입사하지 않는다.
제 1 반사경(116)은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제 1 반사경(116)의 표면은 알루미늄이나 은과 같이 광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피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반사경(116)은 램프(118)에서 발생한 빛이 직접 광학 파이프(120)로 입력되지 않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 예를 들면, 평면 반사경, 오목 반사경, 볼록 반사경 등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반사경(114)은 램프(118)을 사이에 두고 제 1 반사경(116)과 대향 배치되며, 램프(118)로부터 직접 입사하는 빛과 제 1 반사경(116)에서 반사되어 입사하는 빛 모두를 반사시켜 광학 파이프(120)로 입사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빛은 제 2 반사경(114)에 의해 광학 파이프(120)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입력된다. 따라서, 제 2 반사경(114)은 빛이 광학 파이프(120)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입력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 2 반사경(114)의 구조는 빛이 입력되는 광학 파이프(120)의 길이에 따라 변할 것이나, 일반적으로는 원추 계수가 - 1 이하의 값을 갖는 비구면 반사경이다.
제 2 반사경(114)은 제 1 반사경(116)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제 2 반사경(114)는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제 2 반사경(114)의 표면은 알루미늄이나 은과 같이 광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피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2)은 이상 설명한 램프(118), 제 1 반사경(116) 및 제 2 반사경( 114)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한다.
하우징(112)은 강도가 우수하며, 방열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2)의 종단에는 광학 파이프(1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의해 광원부(110)와 광학 파이프(120)는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광원부(110)에서 발생한 빛은 광학 파이프(120)의 내부에 균일하게 입력되며, 광학 파이프(120)는 입력된 빛을 외면을 통해 방출한다.
이하, 광학 파이프(12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학 파이프(120)는 속이 빈 관형 광학 부재로서 그 내부는 공기와 같은 투 명한 매질로 채워진다. 빛은 공기 중에서 거의 손실 없이 전달되기 때문에, 광학 파이프(120)에 입력된 빛은 광학 파이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큰 손실 없이 전송될 수 있다.
광학 파이프(120)는 지지 파이프(112)와 상기 지지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된 확산층(124)을 포함한다.
지지 파이프(112)는 광 투과성, 기계적,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파이프(112)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다.
확산층(124)은 지지 파이프(112)의 내측에 배치되며, 광학 파이프(120)에 입력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확산층(124)은 복수의 확산 입자(125)와 바인더 레진(126)을 포함한다.
확산 입자(125)는 미세한 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확산제로서, 광학 파이프(120)의 확산층(124)에 입사한 빛을 산란시켜 광학 파이프(120)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확산 입자(125)는 일반적으로는 5 내지 50㎛의 범위의 크기를 갖는 비드(bead)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확산 입자(125)는 10 내지 20㎛의 범위의 크기를 갖는 비드로 구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산층(124)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UV) 경화수지로 구성된 액상 바인더 레진에 확산 입자들(125)을 분산시켜 제작된 혼합물을 지지 파이프(122)의 내면에 직접 도포하고, 도포막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입자들(125)이 바인더 레진(126)에 의해 지지 파이프(122)의 내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확산층(124)은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 파이프(12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입자들(125)은 확산층(124) 내에서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분포될 수 있다. 여기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포한다는 의미는 확산 입자(125)의 크기 및 확산층(124) 내에서의 공간상의 분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상, 확산 입자들(125)이 규칙적으로 분포하면 광학 파이프(120)를 통하는 빛의 투과량이 증가하여 휘도가 상승한다. 이에 비해, 확산 입자들(125)이 불규칙하게 분포하면 휘도는 다소 감소하지만, 상대적으로 광학 파이프(120)에서 방출되는 빛의 균일도는 증가하게 된다.
한편, 광학 파이프(120)의 길이가 길수록 광학 파이프(120)의 방향에 따른 조도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확산 입자들(125)은 광원부(110)의 거리에 비례하여 조밀하게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확산층(124)은 양면에 확산 입자들(125)이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127)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층(124)는 베이스 필름(127)의 양면에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수지로 이루어진 액상 바인더 레진에 확산 입자들(125)이 분산된 혼합물을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제작된 시트를 롤링 가공하여, 지지 파이프(122)의 내측에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확산층(124)는 베이스 필름(127)의 일면에만 확산 입자들(125)을 형성한 시트를 말아서 지지 파이프(122)의 내측에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도 있다.
베이스 필름(127)은 시트의 형태로 제작되며, 투과율이 좋고, 기계적 성질(특히 내충격성), 내열성 및 전기적 성질을 균형 있게 갖춘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제한됨이 없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와 같은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파이프(120)의 타측 종단에는 반사 캡(130)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반사 캡(130)은 광학 파이프(120)의 종단까지 전달된 빛을 반사시켜 빛을 재사용함으로써 빛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며, 광학 파이프(120)의 종단부에서의 휘도를 향상시켜 조도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반사 캡(130)은 캡부(134)와 상기 캡부의 내측에 고정된 제 3 반사경(132)을 포함한다.
캡부(134)는 제 3 반사경(132)이 광학 파이프(120)의 종단에 위치하도록 광학 파이프(120)와 착탁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3 반사경(132)은 반사 캡(134)의 내측에 배치되며, 광학 파이프(120)의 종단에 도달된 빛을 반사시킨다. 이를 위해, 제 3 반사경(132)의 표면은 광 반사도가 우수한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은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막을 구비할 수 있다.
제 3 반사경(132)은 평면 또는 구면 반사경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반사경(132)이 구면 반사경으로 구성될 경우, 곡률이 0.001 이하인 오목 거울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조의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외부의 전원(미도시)이 램프(118)에 인가되면, 램프(118)는 빛을 발생한다. 램프(118)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는 제 1 반사경(116)에서 반사되고, 제 1 반사경(116)에서 반사된 빛은 다시 제 2 반사경(114)에서 반사되어 광학 파이프(120) 내로 입력된다.
제 2 반사경(114)의 표면에서 반사된 빛은 광학 파이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확산층(124)의 내측 표면에 비교적 균일하게 입사하게 되며, 확산층(124)에 입사한 빛의 상당 부분은 확산층(124)의 복수의 확산 입자들(125)에 의해 산란되어 지지 파이프(12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확산층(124)에 입사한 빛의 일부는 확산층(124)에서 반사되어, 광학 파이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송된다. 광학 파이프(124)의 종단까지 전송된 빛은 상기 광학 파이프의 종단에 배치된 제 3 반사경(13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확산층(124)에 입사하게 되고, 이어 지지 파이프(12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은, 종래의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한 광 가이드를 이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에 장착된 반사경을 통해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각도를 제어하여, 광학 파이프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빛이 입력되기 때문에 광학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한 조도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Claims (9)

  1. 빛을 출력하는 램프;
    상기 광원부의 일 측에 이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 및
    상기 광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반사경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 또는 상기 제 1 반사경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된 빛을 입력받아 외부로 빛을 출력하는 광학 파이프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 1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광학 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빛을 반사시키는 제 3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파이프는,
    복수의 확산 입자와 상기 복수의 확산 입자를 고정시키는 바인더 레진을 포함하는 확산층; 및
    상기 확산층과 접하여 배치된 지지 파이프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산 입자는 5 내지 50 ㎛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비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광원부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분포량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레진은 자외선(UV) 경화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파이프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할로겐 램프, 발광 다이오드, 메탈할라이드 램프 또는 플라즈마 라이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KR1020060042660A 2006-05-11 2006-05-11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079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660A KR100794349B1 (ko) 2006-05-11 2006-05-11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660A KR100794349B1 (ko) 2006-05-11 2006-05-11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557A true KR20070109557A (ko) 2007-11-15
KR100794349B1 KR100794349B1 (ko) 2008-01-15

Family

ID=3906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660A KR100794349B1 (ko) 2006-05-11 2006-05-11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3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15B1 (ko) * 2006-09-29 2008-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007329B1 (ko) * 2009-05-13 2011-01-13 주식회사 오에스에스 광도파로 및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원장치
WO2011153498A2 (en) * 2010-06-04 2011-12-08 Schwarz Reliance Llc Lighting device
KR101460351B1 (ko) * 2006-10-06 2014-11-10 퀄컴 엠이엠에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광학적 손실 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019590B2 (en) 2004-02-03 2015-04-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US9025235B2 (en) 2002-12-25 2015-05-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of color display having optical diffusion layer between substrate and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78092A3 (en) 1992-12-21 1994-06-15 Miroslav Hanecka Lighting system for lighting fittings, projection and enlarging apparatus
JPH07134297A (ja) * 1993-11-08 1995-05-23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KR100343626B1 (ko) * 2000-03-02 2002-07-11 손재익 고휘도 자연광 인공광 복합 조명 장치
JP4701509B2 (ja) * 2001-02-09 2011-06-15 株式会社Gsユアサ 照明器具
US20050157501A1 (en) 2003-10-14 2005-07-21 Seiko Epson Corporatio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or
KR20060031724A (ko) * 2004-10-09 2006-04-13 김이섭 전기램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5235B2 (en) 2002-12-25 2015-05-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of color display having optical diffusion layer between substrate and electrode
US9019590B2 (en) 2004-02-03 2015-04-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KR100816015B1 (ko) * 2006-09-29 2008-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460351B1 (ko) * 2006-10-06 2014-11-10 퀄컴 엠이엠에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광학적 손실 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019183B2 (en) 2006-10-06 2015-04-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loss structure integrated in an illumination apparatus
KR101007329B1 (ko) * 2009-05-13 2011-01-13 주식회사 오에스에스 광도파로 및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원장치
WO2011153498A2 (en) * 2010-06-04 2011-12-08 Schwarz Reliance Llc Lighting device
WO2011153498A3 (en) * 2010-06-04 2012-04-05 Schwarz Reliance Llc Lighting device
US8541945B2 (en) 2010-06-04 2013-09-24 Schwarz Reliance Llc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349B1 (ko)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7201B2 (en) Waveguide illumination system
US7658514B2 (en) Light guid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lluminating system having the same
US7565050B2 (en) Light pip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prisms
KR100988621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JP6157456B2 (ja) 照明器具
US7748874B2 (en) Light pipe and illumina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020091255A (ko) 내부 추출기를 갖춘 광 파이프 설비
KR100794349B1 (ko)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JP2014509433A (ja) 拡散光を発するための発光素子
KR20120066658A (ko) 발광 디바이스
US8789992B2 (en) Light pipe and illuminating device having the same
US20080037943A1 (en) Light pipe having a structure of enhancing an emission of a light
KR100794350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JP2014103063A (ja) 照明装置
KR100988626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090119561A (ko) 광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0816015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0794351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0775844B1 (ko) 하프 미러를 활용한 조명 시스템
KR20090008861A (ko) 배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 캡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0988624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0775845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000061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0816014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090116991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