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076A -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076A
KR20070109076A KR1020060041575A KR20060041575A KR20070109076A KR 20070109076 A KR20070109076 A KR 20070109076A KR 1020060041575 A KR1020060041575 A KR 1020060041575A KR 20060041575 A KR20060041575 A KR 20060041575A KR 20070109076 A KR20070109076 A KR 2007010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puter
home
home network
hos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811B1 (ko
Inventor
이인홍
신찬호
염상용
염규태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주)엘스윈
이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스윈, 이인홍 filed Critical (주)엘스윈
Priority to KR102006004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81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통신망(WAN)과 연결되는 통신(WAN)포트(50); 각 컴퓨터 단말기(PC) 또는 허브(Hub)와 연결하기 위한 랜 케이블(LAN cable)이 연결되는 복수의 랜(LAN)포트(51); 자동으로 사설 아이피의 할당 및 네트워크 주소변환(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방식을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1개의 공인 아이피를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공유기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PC 원격제어 및 홈 네트워킹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이 포함된 펌웨어(firmware)가 내장되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52); USB 기기와 제어부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인터페이스(I/F)부(53); 무선랜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랜 인터페이스(I/F)부(54); 동작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LE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55); 홈네트워크 기기와 RS-232C, RS-485, RF(FM, Bluetooth, Zigbee), PLC등의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제어기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56); 집 내부에서 PC 제어 및 홈 네트워크용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적외선 또는 RF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57);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제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USB기기의 제어,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적절한 동작 수행, 동작상태의 표시제어 및 LAN포트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의 랜 카드와 연결되어 컴퓨터의 on/off와 원 격제어, 그리고 홈 네트워킹 기기와의 통신을 통한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한 제어부(58); 상기한 제어부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 및 작업공간으로 활용되는 램블럭(RAM BLOCK; SDRAM)(59); 및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서버(DDNS)(61)를 경유하여 웹이나 휴대폰으로부터 제어명령의 수신 및 웹이나 휴대폰에 IP정보와 컴퓨터나 홈 네트워크기기의 상태 정보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인터넷이 연결된 곳은 어디에서든지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컴퓨터(호스트 컴퓨터)의 전원을 휴대폰 또는 전용 웹페이지를 통해 켜고 끄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파일송수신, 인터넷 차단 등 원격으로 호스트 컴퓨터의 제어는 물론 가스밸브, 방범센서, 도어록 등의 제어기기와도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홈 네트워킹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홈 게이트웨이, 원격지, 컴퓨터 전원제어, 홈 네트워크.

Description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and home network control system of long distance computer power supply using home gateway}
도 1의 (a)는 종래의 컴퓨터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과 컴퓨터간의 연결도이
고,
(b)는 종래 컴퓨터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 블럭도 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
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
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의 요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원격지에서 집안에 있는 호스트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데
이터 전송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 컴퓨터 원격제어를 위한 웹페이지 제어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 컴퓨터 원격제어를 위한 휴대폰 제어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 컴퓨터 원격제어를 위한 관리서버의 제어 흐름도.
도 8 의 (a)(b)(c)는 본 발명 컴퓨터 원격제어를 위한 공유기의 제어 흐름
도.
도 9 는 본 발명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 원격지에서 집안에 있는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기 위
한 데이터 전송 구조도.
도 11 은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웹페이지 제어 흐름도.
도 12 는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휴대폰 제어 흐름도.
도 13 은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관리서버의 제어 흐름도.
도 14 는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홈 게이트웨이의 제어 흐름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플래쉬메모리 55: 표시부
57: 리모콘수신부 60: 홈 네트워크용 제어기기
본 발명은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이 연결된 곳은 어디에서든지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컴퓨터(호스트 컴퓨터)의 전원을 휴대폰 또는 전용 웹페이지를 통해 켜고 끄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파일송 수신, 인터넷 차단 등 원격으로 호스트 컴퓨터의 제어는 물론 가스밸브, 방범센서, 도어록 등의 제어기기와도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홈 네트워킹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우리나라의 IT 수준은 실로 급속히 발전하여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가 1,000 만 명을 넘어섰고 이제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서비스의 유형이 서서히 가정 내로 유입되고 있으며, 기존의 통신, 방송, 정보 산업의 융합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그에 따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 개발 촉진 및 인터넷 정보가전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가정 내에 AV 서비스, 데이터 및 네트워크 기기 공유 서비스, 가전제어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하여 광대역 액세스망과 댁내망을 엄격히 차단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유형을 수용하며 각 기기 간에 정보 공유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이 필요불가결하게 되었다. 또한 유선 및 무선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정 내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홈 네트워크가 현실화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는 국가 기간망, 가입자 액세스망에 이어 정보인 프라의 최종단을 담당하는 네트워크로서, Cyber Korea 21 정책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식 정보사회의 기반인 정보인프라를 조기에 구축을 위해 필수적인 분야이다. 홈 게이트웨이를 통한 원격 의료, 원격 교육 등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으로 복지 강화 기반을 조성하고 정보가전 제품의 저렴화와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으로 국민 복지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PC 사용 에 어려움을 느끼던 주부, 노령층 등이 친숙한 가전제품을 통해 보다 쉽게 정보화 대열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정보가전제품 이용의 일상화로 정보 유통속도의 가속화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통신망의 변혁 속에서,홈 네트워크는 이용자가 직접 통신망에 접속하여 각종의 통신망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보인프라의 최종단으로 위치하고, 사람의 순환계에 있어서 실핏줄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이며, 홈 게이트웨이는 이를 투명하게 전달,중재하는 핵심 역할을 맡는다. 상기와 같이 홈 네트워크는 사회 전반에서 창출된 정보가 국민 개개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인프라의 완성을 의미하며, 디지털 방송,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실현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는 점이 있다. 또한 Post PC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 분야 개발 및 주변 산업의 확대로 말미암아 기존 백색가전 산업의 후속 시장으로 홈 게이트웨이, 홈 네트워크 등 신규제품 및 서비스 산업이 창출될 수 있다. 디지털 정보가전을 인터넷 정보가전으로 전이시킴으로써, 현대문화의 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화에 부응하면서 그에 수반되는 무한의 정보 서비스 시장을 새로이 창출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기존 가전산업의 구조를 탈피하고,부품, 소프트웨어, 시스템 및 서비스에 이르는 신규 산업 및 신규 시장의 창출이 예상된다. 인터넷이라는 글로벌 네트워크화의 흐름은 UPnP, HomeAPI, OSGi, HAVi, HomePNA, HomePlug, Bluetooth 등 무수히 많은 정보가전 산업관련 단체들이 표준을 준비하고, 시장 흐름을 주도하기 위해 경쟁하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고, 이들 단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표준이 시장을 장악하게 되면 후발업체들은 시장에 접근조차 힐 수 없는 상황으로 발진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이에 대응 하기 위하여 분야별 유기적인 공조 체제를 통한 홈 게이트웨이 중심의 핵심,원천 기술 개발로 세계 정보가전 시장에서 주도권 내지,경쟁 우위를 확보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컴퓨터 원격제어 소프트웨어들이 상품화되면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컴퓨터 원격 제어란 임의의 장소에서 원하는 컴퓨터를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써, 예를 들어 회사에 있는 컴퓨터를 회사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최근에 국내의 많은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컴퓨터 원격제어 또는 원격 사용방법에 대해 많은 기술을 개발하였으나 이러한 모든 종류의 원격제어 소프트웨어는 조작하고자 하는 대상 컴퓨터(원격지에 있는 컴퓨터)가 켜져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며 컴퓨터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기술 [특허공개번호:10-2005-0044041]에서는 PSTN(전화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의 전원인가 상태를 파악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전원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발명은 또한, 사용자가 PSTN(전화선)망을 통해 제어하고자하는 컴퓨터와 원격 프로그램을 연계하기 위한 IP 및 현재의 동작 상태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 발명의 컴퓨터전원 원격제어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PCI 슬롯을 통하여 컴퓨터(10)의 스텐바이(Stand-by) 전원으로 동작하여 컴퓨터(10)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컴퓨터(10) 내부의 PCI 슬롯을 장착하는 PCI 슬롯 장착부(7); 컴퓨터(10)와 컴퓨터전원 원격제어시스템(1)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케이블로 연결되는 RS-232 연결 커넥터(6)(13); PCI 슬롯에서 스텐바이(Stand-by)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 컴퓨터전원 원격제어시스템(1)의 동작 전원을 외부에서 공급되도록 하는 어댑터 커넥터(2); 상기 컴퓨터전원 원격제어시스템(1)의 정상동작 상태와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3); 국내전화망인 전화선을 연결하는 국선연결 커넥터(5); 전화기와의 연결로 전화 통화를 가능하도록 하는 전화기 연결 커넥터(4); 사용자가 전화선을 통하여 컴퓨터(10)의 전원을 원격 제어하도록 전원 스위치(14)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전원 스위치 연결부(8); 컴퓨터 메인보드(1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연결해주는 전원 스위치 연결부(12); 및 컴퓨터전원 원격제어시스템(1)에서 상기 컴퓨터 메인보드(1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치 연결부(12)와 연결하는 메인보드 전원 스위치 연결부(9)로 이루어진다.
또한 PSTN(전화선)망과 연결되어 전화선에 링을 인가하는 국선연결잭(24); 포토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국선 연결잭(24)으로부터 링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하고, 감지된 링을 디지털 펄스로 변환하는 링감지부(32);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횟수의 링이 감지되면 원격제어시스템(1)에 의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를 전화 라인을 통해 연결시키는 제어용릴레이(28); 사용자에 의해 비밀정보, IP 정보, 컴퓨터제어를 위한 동작명령이 눌러지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다이얼번호수신부(31); 컴퓨터(10)의 전원 제어 시 사용자가 마치 컴퓨터(10)의 전원 스위치를 누르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접속/차단되는 전원스위치용 릴레이(37); 전원이 불안정 할 경우 컴퓨터전원 원격제어시스템(1)이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리셋하는 리셋회로(38); RS-232 연결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10)의 뒷면에 있는 RE-232 연결포트(13)와 연결되어 일반적인 원격제어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RS-232 연결잭(25); 다이얼번호(DTMF)에 의하여 전달되는 명령을 토대로 원격지 컴퓨터(10)와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RS-232 IC(33); 상기 링감지부(32)에서 감지된 링을 처리하여 제어용릴레이(28)를 접속함으로써 전화기 연결잭(23)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와 원격제어시스템(1)이 전화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비밀정보, IP 정보 및 컴퓨터제어용 동작 명령 신호가DTMF 수신부(31)를 통해 입력되면 이를 처리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동작 지시를 송출함과 동시에 전원스위치용 릴레이(37)를 제어하여 원격지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등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2)의 제어에 의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동작지시용 멘트를 송출하도록 여러 가지 음성을 저장한 음성 IC(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전원 원격제어 스템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컴퓨터의 PCI 슬롯에 장착되는 전용카드에 전화선을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 집이나 사무실 환경에서 일반 전화선, ADSL MODEM에 연결되는 전화선, 전용카드에 접속될 전화선등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일반 컴퓨터 초보자들이 컴퓨터 본체를 열고 전용카드를 PCI 슬롯에 장착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컴퓨터 전원을 켜는 것과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서로 독립적인 제품이므로 복잡하고 초보자가 사용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원격에서 전화로 컴퓨터를 켜는데 전화사용료를 지불하여야 하고, 또한 원격제어 프로그램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요금을 별도로 지불해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원격에서 전화로 컴퓨터를 켜는 동안에는 일반 전화의 사용을 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통신망(WAN)과 연결되는 통신(WAN)포트; 각 컴퓨터 단말기(PC) 또는 허브(Hub)와 연결하기 위한 랜 케이블(LAN cable)이 연결되는 복수의 랜(LAN)포트; 자동으로 사설 아이피의 할당 및 네트워크 주소변환(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방식을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1개의 공인 아이피를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공유기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PC 원격제어 및 홈 네트워킹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이 포함된 펌웨어(firmware)가 내장되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USB 기기와 제어부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인터페이스(I/F)부; 무선랜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랜 인터페이스(I/F)부; 동작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LE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 홈네트워크 기기와 RS-232C, RS-485, RF(FM, Bluetooth, Zigbee) PLC등의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제어기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 집 내부에서 PC 제어 및 홈 네트워크용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적외선 또는 RF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제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USB기기의 제어,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적절한 동작 수행, 동작상태의 표시제어 및 LAN포트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의 랜 카드와 연결되어 컴퓨터의 on/off와 원격제어, 그리고 홈 네트워킹 기기와의 통신을 통한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한 제어부; 상기한 제어부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 및 작업공간으로 활용되는 램블럭(RAM BLOCK; SDRAM); 및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서버(DDNS)를 경유하여 웹이나 휴대폰으로부터 제어명령의 수신 및 웹이나 휴대폰에 IP정보와 컴퓨터나 홈 네트워크기기의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공유기를 내장한 장치이고, 별도의 전화선에 연결할 필요가 없고, 본체를 분해할 필요 없이 컴퓨터 주변에 설치하여 원격에서 웹 및 휴대폰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전원을 켤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컴퓨터 전원을 켜는 것과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통합한 것이므로, 설치도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PC 원격제어뿐 아니라, 홈네트워킹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PC를 항상 켜놓지 않고, 필요할 때 켜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인터넷이 연결된 곳 어디 에서나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휴대폰에서도 집안의 PC화면을 보거나 인터넷 차단 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의지력이 약한 자녀들의 인터넷 차단이나 사용시간 제한 등이 웹 및 휴대폰에서 원격으로 가능하며, 항상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집안 내부에서도 자녀방에 있는 컴퓨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원격에서 PC제어가 가능하므로 집내의 PC에 접속되어 있는 USB 카메라등을 통해서 집안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공유기능이 내장된 홈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므로 별도 공유기가 필요 없도록 한 것이며, 제10목적은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Total로 구입하지 않고, PC 원격제어 기능만 활용하고, 나중에 필요한 제어기기만 Add one으로 구입하여 설치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홈 네트워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도 2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PC 원격제어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주요 구성을 한다. 즉, 본 발명은 개인 ID 및 인증번호의 확인, PC의 원격제어 및 홈네트워킹을 위한 웹 프로그램이 설치된 DDNS서버(관리서버)와 DDNS서버(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아 저장되는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폰이 함께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연동 된다.
상기 DDNS서버(관리서버)는 각 세대의 유동 IP사용을 고려하여 IP가 변경되어도 웹과 휴대폰에서 상시 제어 가능하도록 각 세대와 웹/휴대폰을 링크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원격에서 호스트 컴퓨터 제어를 위한 전용프로그램이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된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크게 네 가지 작용을 한다.
1. 일반 공유기 기능
2. PC의 원격 전원 on/off 기능 및 PC 원격제어기능
3. 홈 네트워크 기능
4. 내부에서 리모콘 명령에 의해 PC 잠금/해제, 인터넷 차단/해제, PC on/off 기능
상기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통신망(WAN)과 연결되는 통신(WAN)포트(50)가 구비되고, 또한 각 컴퓨터 단말기(PC) 또는 허브(Hub)와 연결하기 위한 랜 케이블(LAN cable)이 연결되는 복수의 랜(LAN)포트(5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랜(LAN)포트(51)는 호스트 컴퓨터에 장착된 랜카드에 접속됨과 아울러 통신(WAN)포트를 통해 인터넷선에 연결되고, 제어기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용 제어기기(60)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자동으로 사설 아이피의 할당 및 네트워크 주소변환(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방식을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1개의 공인 아이피를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공유기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PC 원격제어 및 홈 네트워킹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이 포함된 펌웨어(firmware)가 내장되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52)가 구비된다.
더하여 USB 기기와 제어부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인터페이스(I/F)부(53)와, 무선랜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랜 인터페이스(I/F)부(54)와 동작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LE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55)가 구비된다.
그리고 홈네트워크 기기와 RS-232C, RS-485, RF(FM, Bluetooth, Zigbee), PLC등의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제어기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5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집 내부에서 PC 제어 및 홈 네트워크용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적외선 또는 RF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57)가 구비 된다.
이때 상기 리모콘 수신부(57)은 적외선 또는RF 리모콘으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호스트 컴퓨터의 잠금 및 해제, 인터넷차단 및 해제, 컴퓨터 온/오프와 같은 컴퓨터 제어와 홈 네트워크 기기의 제어 및 상태파악을 행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제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USB기기의 제어,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적절한 동작 수행, 동작상태의 표시제어 및 LAN포트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의 랜 카드와 연결되어 컴퓨터의 on/off와 원격제어, 그리고 홈 네트워킹 기기와의 통신을 통한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한 제어부(5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8)는 상기한 WAN포트에 연결되고 물리적인 인터페이스(interface)와 비트(bit)를 다른 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규칙에 관련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피지컬 레이어(physical layer)부와, 피지컬 레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한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에 내장된 펌웨어를 사용하여 사설 아이피를 각 컴퓨터 단말기에 할당하는 작업과 이더넷(Ethernet)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랜(LAN)컨트롤러부와, 상기 랜(LAN)컨트롤러부와 LAN포트 사이에서 리피터(repeater)의 기능 등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 및 작업공간으로 활용되는 램블럭(RAM BLOCK; SDRAM)(59) 및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서버(DDNS)(61)를 경유하여 웹이나 휴대폰으로부터 제어명령의 수신 및 웹이나 휴대폰에 IP정보와 컴퓨터나 홈 네트워크기기의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 수신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웹 또는 휴대폰으로부터의 원격 컴퓨터 온(ON) 명령을 관리서버(DDNS)(61) 및 홈 게이트웨이(62)를 경유하여 호스트 컴퓨터(63)의 랜카드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내용 중에서 PC=(호스트)컴퓨터이고, 공유기=홈 게이트웨이=GW(공유기를 포함하고 있는 홈게이트웨이 이므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도 5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는 것으로, 이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 는 본 발명 컴퓨터 원격제어를 위한 웹페이지 제어 흐름도로, PC를 켜기, PC끄기, 차단설정, 파일전송, 원격제어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6 은 휴대폰 제어 흐름도로, DDNS서버 접근/서버 IP수신, 휴대폰 비밀번호 입력, 서버데몬접근/인증절차수행/공유기IP수신, 공유기접근, PC상태 표시, PC선택, PC상태표시/제어메뉴표시, 제어선택 및 제어실행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 컴퓨터 원격제어를 위한 관리서버의 제어 흐름도로, 접속대기, 수신대기, 웹/휴대폰접속, 키생성, 공유기접속, 공유기로 키전송, 공유기 접속종료, 웹/휴대폰으로 IP전송 및 공유기접속, GW ID인증, 공유기 IP저장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8 의 (a)(b)(c)는 본 발명 컴퓨터 원격제어를 위한 공유기의 제어 흐름도로, 도 8(a)는 랜포트의 적용예이고, 도 8(b)는 통신망을 적용한 예이고, 도 8(c)는 인터넷제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흐름도로, 초기화작업 후 사용자컴퓨터 접속대기, 사용자컴퓨터접속?, 원겨제어 FTP 구분 후 원결제어처리 쓰레드생성과 FTP처리 쓰레드 생성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초기화 작업이후 공유기로 접속, 공유기 접속?, 인증, 데이터수신?, 현재영상보기 쪽지수신 컴퓨터 끄기 처리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더 하여 도 11 은 휴대폰 제어 흐름도로, 모드상태 제어, 전등상태 제어, 가스밸브 제어, 도어센서 상태, 카메라상태 제어, 방범센서 상태, 전원상태 제어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12 는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웹페이지 제어 흐름도로, DDNS서버접근 서버 IP수신, 휴대폰 비밀번호 입력, 서버 데몬 접근/인증절차 수행/G/W IP수신, G/W접근, 현재상태 표시 및 제어메뉴 표시, 제어선택과 제어실행 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 은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관리서버의 제어 흐름도로 GW접속과 웹/휴대폰 접속으로 나뉘어져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14 는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원격제어를 위한 공유기의 제어 흐름도로 기기상태로딩 후 서버로 접속, 서버접속?, 인증, 기기상태전송, 데이터수신?/기기상태변경?, 데이터처리 및 응답을 거쳐 상기 서버로접속 단계로 이동하게 되고, 한편 기기상태변경?은 기기상태전송의 단계를 거친 후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작용을 단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호스트 컴퓨터가 전원에 연결됨과 아울러 그 호스트 컴퓨터에 장착된 랜 카드가 자동으로 부팅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에서는 인터넷상의 웹 페이지에서 ID와 패스워드를 치면 관리서버에서 사용자정보 확인 후, 집에 설치된 해당 홈 게이트웨이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가 호스트 컴퓨터의 IP정보(IP 주소, 맥어드레스 정보등 포함)와 랜 카드에 부여된 고유정보로서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 컴퓨터를 찾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PC 전원을 온(ON)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장착된 랜 카드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명령을 인가받아 활성화 상태로 됨과 아울러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호출하여 온(on) 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되고, 이후 호스트 컴퓨터의 온 상태에서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과의 통신을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여 파일을 공유하거나 파일 송수신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에 의해 본 발명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 정보 등을 인터넷상의 관리서버(DDNS)(61)를 경유하여 웹 및 휴대폰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공유기를 내장한 장치이고, 별도의 전화선에 연결할 필요가 없고, 본체를 분해할 필요 없이 컴퓨터 주변에 설치하여 원격에서 웹 및 휴대폰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전원을 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둘째 컴퓨터 전원을 켜는 것과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통합한 것이므로, 설치도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도록 한 것이다.
셋째 PC 원격제어뿐 아니라, 홈네트워킹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넷째 PC를 항상 켜놓지 않고, 필요할 때 켜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섯째 인터넷이 연결된 곳 어디에서나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휴대폰에서도 집안의 PC화면을 보거나 인터넷 차단 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여섯째 의지력이 약한 자녀들의 인터넷 차단이나 사용시간 제한 등이 웹 및 휴대폰에서 원격으로 가능하며, 항상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곱째 집안 내부에서도 자녀방에 있는 컴퓨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덟째 원격에서 PC제어가 가능하므로 집내의 PC에 접속되어 있는 USB 카메라등을 통해서 집안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아홉째 공유기능이 내장된 홈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므로 별도 공유기가 필요 없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 열 번째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Total로 구입하지 않고, PC 원격제어 기능만 활용하고, 나중에 필요한 제어기기만 Add one으로 구입하여 설치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홈 네트워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통신망(WAN)과 연결되는 통신(WAN)포트(50);
    각 컴퓨터 단말기(PC) 또는 허브(Hub)와 연결하기 위한 랜 케이블(LAN cable)이 연결되는 복수의 랜(LAN)포트(51);
    자동으로 사설 아이피의 할당 및 네트워크 주소변환(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방식을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1개의 공인 아이피를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공유기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PC 원격제어 및 홈 네트워킹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이 포함된 펌웨어(firmware)가 내장되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52);
    USB 기기와 제어부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인터페이스(I/F)부(53);
    무선랜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랜 인터페이스(I/F)부(54);
    동작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LE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55);
    홈네트워크 기기와 RS-232C, RS-485, RF(FM, Bluetooth, Zigbee), PLC등의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제어기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56);
    집 내부에서 PC 제어 및 홈 네트워크용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적외선 또는 RF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57);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제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USB기기의 제어,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적절한 동작 수행, 동작상태의 표시제어 및 LAN포트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의 랜 카드와 연결되어 컴퓨터의 on/off와 원격제어, 그리고 홈 네트워킹 기기와의 통신을 통한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한 제어부(58);
    상기한 제어부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 및 작업공간으로 활용되는 램블럭(RAM BLOCK; SDRAM)(59); 및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서버(DDNS)(61)를 경유하여 웹이나 휴대폰으로부터 제어명령의 수신 및 웹이나 휴대폰에 IP정보와 컴퓨터나 홈 네트워크기기의 상태 정보등의 데이터를 송수신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랜(LAN)포트(51)는 호스트 컴퓨터에 장착된 랜카드에 접속됨과 아울러 통신(WAN)포트를 통해 인터넷선에 연결되고, 제어기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용 제어기기(60)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웹 또는 휴대폰으로부터의 원격 컴퓨터 온(ON) 명령을 관리서버(DDNS)(61) 및 홈 게이트웨이(62)를 경유하여 호스트 컴퓨터(63)의 랜카드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57)은 적외선 또는RF 리모콘으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호스트 컴퓨터의 잠금 및 해제, 인터넷차단 및 해제, 컴퓨터 온/오프와 같은 컴퓨터 제어와 홈 네트워크 기기의 제어 및 상태파악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5. 호스트 컴퓨터가 전원에 연결됨과 아울러 그 호스트 컴퓨터에 장착된 랜 카드가 자동으로 부팅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
    사용자 컴퓨터에서는 인터넷상의 웹 페이지에서 ID와 패스워드를 치면 관리서버에서 사용자정보 확인 후, 집에 설치된 해당 홈 게이트웨이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
    홈 게이트웨이가 호스트 컴퓨터의 IP정보(IP 주소, 맥어드레스 정보등 포함)와 랜 카드에 부여된 고유정보로서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 컴퓨터를 찾는 단계;
    PC 전원을 온(ON)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장착된 랜 카드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명령을 인가받아 활성화 상태로 됨과 아울러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호출하여 온(on) 시키는 단계;
    호스트 컴퓨터의 온 상태에서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과의 통신을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여 파일을 공유하거나 파일 송수신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방법.
  6. 제 5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 정보 등을 인터넷상의 관리서버(DDNS)(61)를 경유하여 웹 및 휴대폰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방법.
KR1020060041575A 2006-05-09 2006-05-09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077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575A KR100777811B1 (ko) 2006-05-09 2006-05-09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575A KR100777811B1 (ko) 2006-05-09 2006-05-09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76A true KR20070109076A (ko) 2007-11-15
KR100777811B1 KR100777811B1 (ko) 2007-11-26

Family

ID=3906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575A KR100777811B1 (ko) 2006-05-09 2006-05-09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8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92B1 (ko) * 2008-04-30 2011-02-10 이인홍 Tv 전원차단 및 pc 원격제어가 가능한 인터넷기반의시큐리티 공유기
KR20110039142A (ko) * 2009-10-09 2011-04-15 주식회사 케이티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접속 방법
KR20120069342A (ko)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케이티 Dlna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 홈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3617B1 (ko) * 2012-10-04 2014-01-23 주식회사 경동원 와이파이모듈을 구비한 비디오폰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KR101383334B1 (ko) * 2011-11-29 2014-04-10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랩 원거리 통신망에서의 원격 부팅 시스템
KR20140147035A (ko) * 2013-06-18 2014-12-29 (주)파워보이스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포함된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17B1 (ko) * 2014-12-02 2015-05-04 주식회사 인소프트 가상 터널기능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26578B1 (ko) 2016-08-26 2017-04-13 최상덕 모바일 원격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807A (ko) 2000-04-18 2000-09-05 김홍일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pc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494429B1 (ko) * 2003-06-25 2005-06-10 (주)닥터소프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KR20050078546A (ko) 2004-02-02 2005-08-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컴퓨터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
KR20050078545A (ko) 2004-02-02 2005-08-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c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KR20050089358A (ko) 2004-03-04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92B1 (ko) * 2008-04-30 2011-02-10 이인홍 Tv 전원차단 및 pc 원격제어가 가능한 인터넷기반의시큐리티 공유기
KR20110039142A (ko) * 2009-10-09 2011-04-15 주식회사 케이티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접속 방법
KR20120069342A (ko)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케이티 Dlna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 홈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3334B1 (ko) * 2011-11-29 2014-04-10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랩 원거리 통신망에서의 원격 부팅 시스템
KR101353617B1 (ko) * 2012-10-04 2014-01-23 주식회사 경동원 와이파이모듈을 구비한 비디오폰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KR20140147035A (ko) * 2013-06-18 2014-12-29 (주)파워보이스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포함된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811B1 (ko) 2007-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811B1 (ko)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0424297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4243210B (zh) 远程访问路由器管理页面的方法和系统
US7412727B2 (en) Media streaming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333777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遠隔制御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KR100960586B1 (ko) 네트워크 시스템
JP2003143188A (ja) 単一の物理ネットワーク上にデバイスの複数の論理ネットワーク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2769619A (zh) 一种智能家电在网络中一键自动注册的方法
CN104125125A (zh) 一种智能家居系统和控制方法
CN105551120A (zh) 楼宇对讲方法、nfc开锁设备和楼宇对讲系统
KR100420526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owah et al. Design of a secure wireless home automation system with an open home automation bus (OpenHAB 2) framework
KR10035704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CN104426951A (zh) 一种智能机顶盒远程网络实时监控系统及其方法
WO2008023934A1 (en) Outdoor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device
KR100969906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0929773B1 (ko)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KR20020032028A (ko) 통합통신단자함
KR101390570B1 (ko) 트래픽 정보 기반 원격 전원 관리 및 대기전원 관리가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492543B1 (ko)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5308195B2 (ja) 宅内機器制御システム
KR100631515B1 (ko) UPn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0548265B1 (ko)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방법
WO2018146020A1 (en) Household appliance
JP2009130439A (ja) 中継装置、中継システム、中継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