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326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326A
KR20070107326A KR1020060039663A KR20060039663A KR20070107326A KR 20070107326 A KR20070107326 A KR 20070107326A KR 1020060039663 A KR1020060039663 A KR 1020060039663A KR 20060039663 A KR20060039663 A KR 20060039663A KR 20070107326 A KR20070107326 A KR 2007010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vided
hinge
backre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운
Original Assignee
김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운 filed Critical 김용운
Priority to KR102006003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7326A/ko
Publication of KR2007010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분할된 분할 등받이판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등받이 프레임상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스프링거치홈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스프링거치홈내에 삽입되며 양단부가 서로를 향하게 절곡되며 절곡된 단부는 전방의 인접한 분할 등받이판을 탄력지지하는 양단절곡스프링대로 구성된 탄성지지구조부를 갖는 등받이부와, 좌판이 좌우로 분할된 한쌍의 분할 좌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분할 좌판은 각기 저면부에 힌지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좌판을 힌지고정시키는 지지판이 상기 분할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분할 좌판이 힌지구동되도록 상기 분할좌판의 힌지브라켓에 대응되는 힌지브라켓이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좌판은 힌지축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분할 좌판과 지지판의 사이에는 절곡된 스프링판이 설치되어 상기 분할 좌판을 탄력지지하는 구조로서, 의자의 분할된 등받이판과 같은 분할지지체를 용이하게 탄력지지하는 구조가 개선된 탄력지지구조부를 제공하여 제조가 편리하여 사용인력이 절감되며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좌판을 회동가능하도록 분할하여 사용자의 착석시 분할좌판이 회동작동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면서 요도가 위치하는 부분이 개방되게 작동되어 요도부분을 압박하지 않게 되어 요도의 눌림이 없게 되어 전립선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의자{a chai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I-I선을 따라 취한 의자의 등받이부의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II-II선을 따라 취한 의자의 등받이부의 횡단면도
도4는 분할 등받이판의 힌지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a,5b는 도1의 III-III을 따라 취한 의자의 좌판의 종단면도
도6은 종래의 의자의 분할 등받이판을 지지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좌판 3. 등받이부 4. 등받이프레임
20. 분할좌판 21. 힌지브라켓 22. 지지판
25. 스프링판 32. 힌지축 33. 암나사홈부
34. 힌지축지지판 311. 스프링거치홈 312. 양단절곡스프링대
본 발명은 힌지작동되며 탄력지지되는 다수의 분할 등받이판과 분할 좌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이 2개이상으로 분할 구성되고 각 분할 등받이판은 설치구조가 단순하게 개선되어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며 제조가 용이하게 구조가 개선된 스프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구조부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좌판의 분할구성으로 인하여 전립선부분의 질환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건강이 증진되는 것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착석하는 도구로서 등을 기대도록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으나, 사용이 편리하게 휴식위치에서는 등받이가 뒤로 일정각도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것은 이미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의자는 일정한 힘만 가하면 뒤로 젖혀지므로 뒤로 젖히고자 하지 않은 경우에도 뒤로 젖혀지게 되는 불편이 있으며 일반적인 사용위치에서는 오로지 등을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제354384호에 '의자'라는 명칭으로 등받이가 상하로 분할된 등받이판으로 구성된 의자를 제안한 바 있으나, 상기 특허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등받이판을 탄력지지하는 탄성판(61)이 상하부 고정공(62,62')에 의하여 고정되어 탄성판(61)의 제조가가 고가로 되며 탄성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먼지가 끼어도 청소하기가 불편하여 장기간 의자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며 탄성판(61)을 고정공(62,62')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번잡하여 작업인력이 다수가 소요되며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자의 좌판은 편평한 구조의 단일체로 되어 사용자의 요도부분을 압박하므 로 의자에 장기간 착석하는 사용자는 요도부분이 폐색되어 전립선질환을 앓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의 분할된 등받이판과 같은 분할지지체를 용이하게 탄력지지하는 구조가 개선된 탄력지지구조부를 제공하여 제조가 편리하여 사용인력이 절감되며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판을 회동가능하도록 분할하여 사용자의 착석시 분할좌판이 회동작동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면서 요도가 위치하는 부분이 개방되게 작동되어 요도부분을 압박하지 않게 되어 요도의 눌림이 없게 되어 전립선 건강을 증진시키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분할된 분할 등받이판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등받이 프레임상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스프링거치홈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스프링거치홈내에 삽입되며 양단부가 서로를 향하게 절곡되며 절곡된 단부는 전방의 인접한 분할 등받이판을 탄력지지하는 양단절곡스프링대로 구성된 탄성지지구조부를 갖는 등받이부와, 좌판이 좌우로 분할된 한쌍의 분할 좌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분할 좌판은 각기 저면부에 힌지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좌판을 힌지고정시키는 지지판이 상기 분할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분할 좌판이 힌지구동되도록 상기 분할좌판의 힌지브라켓에 대응되는 힌지브라켓이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좌판은 힌지축에 의해 상기 지지 판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분할 좌판과 지지판의 사이에는 절곡된 스프링판이 설치되어 상기 분할 좌판을 탄력지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1)상에 배치된 좌판(2)의 후방에 등받이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3)는 상하로 분할된 3개의 분할등받이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등받이판(30)은 등받이 프레임(4)상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좌판(2)은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분할좌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할좌판(20)은 하방으로 힌지회동하는 구조이다. 상기 각 분할 좌판(20)은 각기 저면부에 힌지브라켓(21)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좌판(20)을 힌지고정시키는 지지판(22)이 상기 분할 좌판(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22)은 상기 분할 좌판(20)이 힌지구동되도록 상기 분할 좌판(20)의 힌지브라켓(21)에 대응되는 힌지브라켓(23)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분할 좌판(20)은 힌지축(24)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분할 좌판(20)과 지지판(22)의 사이에는 절곡된 스프링판(25)이 설치되어 상기 분할 좌판(20)을 탄력지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등받이부(3)의 상기 각 분할 등받이판(30)은 탄력지지구조부(31)에 의하여 탄력지지된다.
상기 각 분할 등받이판(30)은 힌지브라켓(30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 켓(301)상에는 힌지축(32)이 힌지고정되며, 힌지축(32)은 암나사홈부(33)가 형성되고 등받이프레임(4)상에 밀착고정되는 힌지축지지판(34)과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힌지축지지판(34)은 상기 암나사홈부(33)에 결합되는 고정나사(35)에 의하여 등받이 프레임(4)상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나사(35)와 등받이 프레임(4)사이에는 손가락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4)과 힌지축지지판(34)을 덮는 덮개판(36)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힌지축(32)과 힌지축지지판(34)이 일체로 고정되며 힌지축지지판(34)상에 암나사홈부(33)가 형성되어 분할등받이판(30)을 등받이 프레임(4)상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탄력지지구조부(31)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4)은 중간에 상기 분할등받이판(30)의 방향으로 개방되며 등받이 프레임(4)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거치홈(311)과, 상기 스프링거치홈(311)내에는 양 단부(312a)가 서로를 향하게 절곡되며 절곡된 각 단부(312a)는 전방의 인접한 분할등받이판(30)을 탄력지지하는 양단절곡스프링대(3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A)는 사용자가 좌판(2)상에 착석할 경우에는 분할 좌판(20)이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므로, 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의 요도부분이 좌판에 접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주게 되므로 전립선의 건강을 증대시키면서도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A)에서 일어날 경우에는 스프링판(25)이 탄성복원력이 발휘되어 상방으로 분할 좌판(20)을 밀어서 회동시키므로 분할 좌판(20)은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할된 분할등받이판(30)을 등받이 프레임(4)상에 형성된 스프링거치홈(311)에 의하여 양단절곡스프링대(312)가 설치되므로 양단절곡스프링대(312)의 설치가 극히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다른 지지수단이 필요없게 되므로 구조가 지극히 간단하게 되고 사용인력이 절감됨은 물론이고 양단절곡스프링대(312)의 크기가 크지 않아도 사용가능하게 되므로서 원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구조이다. 특히, 양잔절곡스프링(312)의 양 단부(312a)는 각기 분할등받이판(30)을 돌출되게 부분적으로 탄력지지하므로 탄력지지력이 월등히 향상되므로 사용자의 의자에 대한 안락감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분할된 분할 등받이판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등받이 프레임상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스프링거치홈이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스프링거치홈내에 삽입되며 양단부가 서로를 향하게 절곡되며 절곡된 단부는 전방의 인접한 분할 등받이판을 탄력지지하는 양단절곡스프링대로 구성된 탄성지지구조부를 갖는 등받이부와, 좌판이 좌우로 분할된 한쌍의 분할 좌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분할 좌판은 각기 저면부에 힌지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좌판을 힌지고정시키는 지지판이 상기 분할 좌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분할 좌판이 힌지구동되도록 상기 분할좌판의 힌지브라켓에 대응되는 힌지브라켓이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좌판은 힌지축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분할 좌판과 지지판의 사이에는 절곡된 스프링판이 설치되어 상기 분할 좌판을 탄력지지하는 구조로서, 의자의 분할된 등받이판과 같은 분할지지체를 용이하게 탄력지지하는 구조가 개선된 탄력지지구조부를 제공하여 제조가 편리하여 사용인력이 절감되며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좌판을 회동가능하도록 분할하여 사용자의 착석시 분할좌판이 회동작동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면서 요도가 위치하는 부분이 개방되게 작동되어 요도부분을 압박하지 않게 되어 요도의 눌림이 없게 되어 전립선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지지다리(1)상에 배치된 좌판(2)의 후방에 등받이부(3)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3)는 상하로 분할된 분할 등받이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등받이판(30)은 등받이 프레임(4)상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2)은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분할좌판(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좌판(20)은 하방으로 힌지회동하도록 상기 각 분할 좌판(20)은 각기 저면부에 힌지브라켓(21)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좌판(20)을 힌지고정시키는 지지판(22)이 상기 분할 좌판(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22)은 상기 분할 좌판(20)이 힌지구동되도록 상기 분할 좌판(20)의 힌지브라켓(21)에 대응되는 힌지브라켓(23)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분할 좌판(20)은 힌지축(24)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분할 좌판(20)과 지지판(22)의 사이에는 절곡된 스프링판(25)이 설치되어 상기 분할 좌판(20)을 탄력지지하며,
    상기 등받이부(3)의 상기 각 분할 등받이판(30)은 탄력지지구조부(31)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고, 상기 탄력지지구조부(31)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4)은 중간에 상기 분할등받이판(30)의 방향으로 개방되며 등받이 프레임(4)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거치홈(311)과, 상기 스프링거치홈(311)내에는 양 단부(312a)가 서로를 향하게 절곡되며 절곡된 각 단부(312a)는 전방의 인접한 분할등받이판(30)을 탄력지지하는 양단절곡스프링대(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 등받이판(30)은 힌지브라켓(30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301)상에는 힌지축(32)이 힌지고정되며, 힌지축(32)은 암나사홈부(33)가 형성되고 등받이프레임(4)상에 밀착고정되는 힌지축지지판(34)과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힌지축지지판(34)은 상기 암나사홈부(33)에 결합되는 고정나사(35)에 의하여 등받이 프레임(4)상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나사(35)와 등받이 프레임(4)사이에는 손가락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4)과 힌지축지지판(34)을 덮는 덮개판(3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60039663A 2006-05-02 2006-05-02 의자 KR20070107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63A KR20070107326A (ko) 2006-05-02 2006-05-02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63A KR20070107326A (ko) 2006-05-02 2006-05-02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26A true KR20070107326A (ko) 2007-11-07

Family

ID=3906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63A KR20070107326A (ko) 2006-05-02 2006-05-02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73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1862B (zh) * 2009-12-31 2012-09-12 福州赢创工贸有限公司 人体工程学座椅
RU2500323C2 (ru) * 2012-01-17 2013-12-10 Сергей Анатольевич Верещагин Кресло
WO2015112046A1 (ru) * 2014-01-24 2015-07-30 Сергей Анатольевич ВЕРЕЩАГИН Кресло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1862B (zh) * 2009-12-31 2012-09-12 福州赢创工贸有限公司 人体工程学座椅
RU2500323C2 (ru) * 2012-01-17 2013-12-10 Сергей Анатольевич Верещагин Кресло
WO2015112046A1 (ru) * 2014-01-24 2015-07-30 Сергей Анатольевич ВЕРЕЩАГИН Кресл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5046B2 (ja) 椅子
KR20110114509A (ko) 틸팅 의자
JP2009106422A (ja) 椅子
JP4575233B2 (ja) 椅子
JP4593439B2 (ja) 椅子とその背もたれ製造方法
KR20070107326A (ko) 의자
KR101131765B1 (ko) 틸팅 의자
US20020180252A1 (en) Chair
JP2012090786A (ja) 椅子
KR101000825B1 (ko) 요추 보호 의자
KR100420926B1 (ko) 가변식 침대
KR100730557B1 (ko) 등받이 조절 장치
KR100966112B1 (ko) 틸팅 의자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JP2006212152A (ja) 椅子
KR101378064B1 (ko) 좌판 포워딩 가능한 의자
KR200404407Y1 (ko)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KR100588979B1 (ko) 의자
JP2020058759A (ja) 椅子
KR101382534B1 (ko) 등판 굴곡 의자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JP2004129721A (ja) メモ台付き椅子
JP4884666B2 (ja) 椅子
JP2002119355A (ja) 椅 子
KR101304722B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