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200A -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200A
KR20070107200A KR1020060039371A KR20060039371A KR20070107200A KR 20070107200 A KR20070107200 A KR 20070107200A KR 1020060039371 A KR1020060039371 A KR 1020060039371A KR 20060039371 A KR20060039371 A KR 20060039371A KR 20070107200 A KR20070107200 A KR 20070107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external device
function
portable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605B1 (ko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6003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605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장치에 연결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장치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표시부는 블루투스 동글 메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커넥터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제1 외부장치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블루투스 모듈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제2 외부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저장부는 직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가 탑재된다.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블루투스 동글 선택 메뉴가 선택된 경우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여 제2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고, 제2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이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제1 외부장치로부터 커넥터를 통하여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모듈로 제공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커넥터를 통하여 제1 외부장치로 제공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장치와 블루투스 장치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BLUETOOTH DONGL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노트북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을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한 블루투스 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표시부
30 : USB 송수신부 40 : 커넥터
50 : 송수신부 60 : 블루투스 모듈
70 : 제어부 72 : 플러그 앤드 플레이 모듈
74 : 코덱 80 : 저장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근거리에서 통신기기 및 각종 전자 기기들을 상호 연결하여 각각의 통신기기 및 전자 기기에 대한 원격 접근과 제어가 가능하고 음악,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근거리에서 유선 형태의 통신 회선을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기기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ZigBee, UWB(UltraWideBand), 무선 1394 등이 포함된다.
블루투스는 저렴한 가격과 적은 전력소모로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주변기기, 가전제품 등과 같은 장치들 사이에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복잡한 유선 회선의 설치 없이 구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 제품을 총칭하는 용어로써,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의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무선 데이터 통신을 구현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 헤드셋, 무선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등이 시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정보기기나 가전제품과 같은 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되어야 하고,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장치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동글(dongle)과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와 블루투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장치에 연결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장치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동글 메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제1 외부장치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제2 외부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직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탑재한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블루투스 동글 선택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이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넥 터를 통하여 상기 제1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의 24 핀(pin) 규격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외부장치 정보를 상기 제1 외부장치에서 별도의 추가적인 설정없이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 외부장치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시 상기 제1 외부장치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설정 없이 통신 기반이 구축되기 위한 직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제1 외부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노트북 컴퓨터(110)와 통신 케이블(120)을 통하여 연결되고, 노트북 컴퓨터(110)가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동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110)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프린터(130), 헤드폰(140), 휴대폰(150), 키보드(160), 마우스(170) 등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와 노트북 컴퓨터(110)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120)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케이블(120)은 일측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이하 TTA로 약칭함)의 24 핀(pin) 규격을 만족하는 I/O 잭(jack)(121)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USB(Universal Serial Bus) 잭(122)으로 구성된다. I/O 잭(121)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커넥터와 접속되고, USB 잭(122)은 노트북 컴퓨터(110)의 USB 포트(port)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되는 USB 잭(122) 대신 EIA-232 잭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키입력부(10), 표시부(20), USB 송수신부(30), 커넥터(40), 송수신부(50), 블루투스 모듈(60), 제어부(70),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 모듈(72), 코덱(74) 및 저장부(8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0)는 복수의 숫자키, 메뉴기 및 기능키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키조작에 상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한다. 특히 키입력부(1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블루투스 동글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조작에 상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70)에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동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2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이며, 제어부(7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동글 메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나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고,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USB 송수신부(30)는 제어부(70)의 수신 제어 명령에 따라 커넥터(4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70)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60)로 전송하고, 제어부(70)의 송신 명령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60)로부터 제어부(7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커넥터(4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외부장치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신 EIA-232와 같은 시리얼(serial)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커넥터(4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TTA의 24 핀 규격을 만족한다.
표 1은 TTA의 24 핀 중에서 데이터 통신 기능에 사용되는 핀들과 각 핀의 신호명을 나타내고, 표 2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능에 사용되는 핀들과 각 핀의 신호명을 나타낸다.
송수신부(50)는 안테나(ANT1)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고주파(RF) 신호를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0)가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블루투스 모듈(60)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구동이 개시되며, 제어부(70)로부터 블루투스 장치의 탐색 명령을 수신하고,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블 루투스 장치를 탐색하고, 탐색된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핀번호 신호명 설 명
3 DSR 데이터 설정 준비
13 RXD 데이터 수신
14 TXD 데이터 송신
18 RI 호출 표시
17 DCD 데이터 반송파 감지
20 RFR:RTS 수신대기:송신요청
23 CTS 전송 준비 완료
24 DTR 데이터 단말 준비
핀번호 신호명 설 명
10 USB D- USB 데이터 신호
15 USB D+ USB 데이터 신호
16 USB POWER USB 전원 입력
12,19 POWER GROUND 전원 접지
즉, 블루투스 모듈(60)은 제어부(70)를 통해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ANT2)를 통해 연결된 블루투스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ANT2)를 통해 외부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한 후 제어부(70)를 통해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모듈(60)은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파일(profile)를 저장하고, 동일한 프로파일을 탑재한 외부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한다.
프로파일의 예를 들면,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파일로서 연결할 외부 블루투스 장치를 탐색하고 연결(connection)을 수락하여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에 관련된 보안에 관한 내용을 규정한 일반 접속 프로파일(GAP: Generic Access Profile)과, 블루투스 장치내의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블루투스 장치에 등록된 서비스를 발견하고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절차와 특징을 정의한 서비스 발견 프로파일(Service Discovery Profile)과, 키보드나 마우스를 지원하기 위한 HID(Human Interface Device) 프로파일과, 무선 전화, LAN, Intercom, 직렬 포트, 헤드셋, 전화접속 네트워킹과 FAX 등의 근거리 접속을 위한 프로파일과 어플리케이션 수준에서의 객체 교환 프로파일과 파일 전송 프로파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프로파일 중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를 블루투스 모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70)는 표시부(20)를 통해 블루투스 동글 메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휴대용 단말기(100)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면 외부 장치에 USB 드라이버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별도의 설정없이 외부 장치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기반이 구축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키입력부로부터 블루투스 동글 기능의 메뉴 선택에 대한 키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블루투스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블루투스 모듈(60)로 전송하고, 외부 블루투스 장치와 연결이 성립된 후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USB 송수신부(30)를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거나,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 동안에도 송수신부(50)가 수신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블루투스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중에도 전화의 착발신 및 SMS서비스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의 고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플러그 앤드 플레이 모듈(72)은 제어부(70)에 포함되며, 블루투스 모듈(60)을 통해 외부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를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에서 별도의 추가적인 설정 없이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러그 앤드 플레이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USB 송수신부(30)로 제공하고, USB 송수신부(30)를 통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역변환하여 블루투스 모듈(60)로 전송한다.
코덱(codec)(74)은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형식의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미도시)로 출력하거나, 마이크 단자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저장부(8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이나 각종 응용프로그램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80)는 휴대용 단말기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와 접속하여 통신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USB 드라이버를 저장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의 USB 포트에 접속되었을 때 외부 장치가 USB 드라이버를 통해 USB 접속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휴대용 단말기와 USB 기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블루투스 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모듈(60)은 기저대역 처리부(62), 고주파 처리부(64) 및 메모리(66)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처리부(62)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맞도록 처리를 수행한다.
고주파 처리부(64)는 기저대역 처리부(62)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위해 고주파(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2)를 통해 외부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고, 안테나(ANT2)를 통해 외부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여 기저대역 처리부(62)에 제공한다.
메모리(66)는 무선 통신의 대상이 되는 외부 블루투스 장치의 기능 또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파일이 저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 장치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연결이 구축되고, 유휴(idle)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제어부(70)는 키입력부(10)로부터 블루투스 동글 메뉴에 대한 키입력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01), 상기 키입력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블루투스 모듈(60)로 외부 블루투스 장치를 탐색하도록 탐색 명령 신호를 제공한다(단계 202).
블루투스 모듈(60)은 제어부(70)로부터 탐색명령을 수신하고, 외부 블루투스 장치를 탐색한 후(단계 205), 탐색 결과를 제어부(70)로 통보한다.
제어부(70)는 블루투스 모듈(60)로부터 상기 탐색 결과를 수신하고 외부 블루투스 장치가 탐색 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07), 블루투스 장치가 탐색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종료하고, 블루투스 장치가 탐색 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단계 209).
다음으로 제어부(70)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11),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고(단계 213),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15).
단계 215에서 판단결과, 외부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수신된 데이터를 USB 송수신부(3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키입력부(10)로부터 블루투스 동글 기능의 종료에 상응하는 키입력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19).
단계 219에서 판단결과, 블루투스 동글 기능의 종료에 상응하는 키입력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종료하고, 상기 키입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11로 되돌아 가서 단계 211부터 단계 217까지를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 장치와 유선 기반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고,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장치와 블루투스 장치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 다.

Claims (5)

  1. 블루투스 동글 메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제1 외부장치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제2 외부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직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탑재한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블루투스 동글 선택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외부장치와 통신 연결이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1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 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의 24 핀(pin) 규격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외부장치 정보를 상기 제1 외부장치에서 별도의 추가적인 설정 없이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 외부장치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시 상기 제1 외부장치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설정 없이 통신 기반이 구축되기 위한 직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제1 외부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60039371A 2006-05-02 2006-05-02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3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71A KR100836605B1 (ko) 2006-05-02 2006-05-02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71A KR100836605B1 (ko) 2006-05-02 2006-05-02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00A true KR20070107200A (ko) 2007-11-07
KR100836605B1 KR100836605B1 (ko) 2008-06-10

Family

ID=3906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371A KR100836605B1 (ko) 2006-05-02 2006-05-02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14B1 (ko) * 2007-11-27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전력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951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11626B1 (ko) * 2003-12-31 2006-08-11 시코드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합 통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14B1 (ko) * 2007-11-27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전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605B1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d communication between bluetooth® devices
US7809332B1 (en) Efficient service registration for legacy applications in a bluetooth environment
US7184707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device
KR100530233B1 (ko) 애드호크 네트워크로 연결가능한 기기를 사용자에게알려주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효율적인 연결 설정을가능하게 해주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장치 및 통신방법
US8671235B2 (en) KVM switch with embedded bluetooth module
US7356347B1 (en) Efficient discovery of devices in a bluetooth environment
US20030013411A1 (en) Integrated cordless telephone and bluetooth dongle
US20060094359A1 (en) Method for detecting bluetooth device using company ID
EP2466480B1 (en)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JP2003526251A (ja) アドホック無線通信システム
US9438718B2 (en) Method for selecting and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JP2003199160A (ja) 無線通信装置
US8533500B2 (en) Providing power to a communication device via a device switch
KR100836605B1 (ko) 블루투스 동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56049B1 (ko) 가상 환경에서 주변 컴포넌트 인터커넥트 익스프레스 (pcie)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JP4383700B2 (ja) 携帯通信端末
KR100480649B1 (ko) 블루투스 서비스 시스템
US200201186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039305A1 (en) Modular data device
KR10112340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70447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KR100773057B1 (ko) 슬롯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및 장치
JP3867780B2 (ja) ケーブルボックス、電気機器システム
KR20040083218A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48105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단말기의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