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447B1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447B1
KR100670447B1 KR1020040115118A KR20040115118A KR100670447B1 KR 100670447 B1 KR100670447 B1 KR 100670447B1 KR 1020040115118 A KR1020040115118 A KR 1020040115118A KR 20040115118 A KR20040115118 A KR 20040115118A KR 100670447 B1 KR100670447 B1 KR 10067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device
function
portable termi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634A (ko
Inventor
홍재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4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모듈, 상기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진 명령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프리젠테이션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PC 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프리젠테이전시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information preservation and treatment device using portabl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 전달과 상기 명령의 처리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과정을 표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소프트웨어 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에 대한 분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용 소프트웨어 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에 대한 분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0: 휴대 단말기 110: 휴대 단말기 소프트웨어 모듈
120: 데이터 송수신용 하드웨어 모듈 200: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210: 기능/응용 소프트웨어 220: 정보매체 운영체제 모듈
230: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소프트웨어 모듈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저장 및 처리기기들의 기능을 제어하 므로써,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시, 자료의 선택 및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응용분야로 그 기능들이 확대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휴대 단말기의 주소록관리, 통화관리 등 기본 기능 외에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강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MP3 재생, 동영상 재생,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등 통합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 외에 비지니스(business) 사용자를 위한 일정관리, 작업 관리, 약속 관리, 거래처 관리 등 비지니스 분야를 위한 기능들도 추가되면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휴대 단말기들이 가지고 있는 메모리의 양도 증가하고 있으며 LCD 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지니스 사용자들은 제품 설명 및 프리젠테이션을 하기 위하여 PC 나 노트북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휴대 단말기에 모두 저장되기에는 너무 크며, 프로젝터와 같은 기기와의 연동, 전원관리 등 여러가지 제약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는 항상 보조적인 기구로서만 활용되고 있다.
한편, 프리젠테이션 시 레이져 포인터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레이저 포인트 등 장비가 구비 되어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더라도 PC 나 노트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PC 나 노트북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치를 제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프리젠테이션시 사용자가 PC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를 분주히 움직 이거나 아예 PC 앞에 앉아서 설명을 하는 경우를 손쉽게 볼 수 있다.
최근 무선 마우스나 PC제어 장치를 장착한 레이저 포인터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별도로 상기 장치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휴대 단말기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경우, 전원용 건전지 등의 관리를 평소에 잘 해 놓지 않아서, 사용 도중 불편을 겪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사람과,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해당 자료를 순서대로 선택해주는 사람이 따로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 특허 공보 특2002-0074362호 '레이저 포인터와 무선 버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가 발명되었다. 상기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레이저 포인터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기업 및 학교 등에서 프리젠테이션시 휴대 단말기와 레이저 포인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외부 중 어느 한 부분에 노트북 컴퓨터의 무선 인터페이스 카드와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버튼을 설치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시 자료의 슬라이드 선택 및 이동을 직접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포인터와 무선 버튼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의 종래 기능에 레이저 포인터 기능과 슬라이드 선택 및 전환 기능만을 부과하여 휴대 단말기의 폭넓은 활용이 제한되고, PC와 휴대 단말기는 블루투스만을 사용하여 서로 신호를 교환하므로 블 루투스의 수신 범위를 벗어난 거리를 두고 PC를 조작하여야 할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리젠테이션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PC 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프리젠테이전시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 편의에 따라 추가 및 변경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구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모듈, 상기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진 명령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프리젠테이션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PC 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프리젠테이전시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라 함은 PCS폰, 셀룰러폰, 휴대폰, 스마트폰, PDA, PDA 폰 등을 통칭한다.
상기 정보저장 및 처리기기들이라 함은 PC 나 노트북 등 정보의 저장기능 및 이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싱 기능을 가지는 기기들을 통칭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의 요소들이 필요하다.
첫째,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들 간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적 모듈이 필요하며, 둘째,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해야 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 모듈이 필요하다. 또한, 셋째,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진 명령들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필요하다.
상기 세 가지의 요소들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간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적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들이 충족되어져야 한다.
첫째, 데이터 송수신시 데이터의 완전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둘째, 유선이 아닌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셋째, 두 기기간의 통신을 위하여 충분한 거리에서도 송수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넷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지 말아야 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송수신 장치들로 적외선 통신이나 블루투스,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IrDA)은 이름처럼 적외선(光)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 v1.0 규격인 SIR(SerialInfraRed)과 v1.1 규격인 FIR(Fast InfraRed)이 있다. 적외선 통신은 기본적으로 1m 이내에서만 동작하며, 특정한 방향에서만 데이터를 송수 신할 수 있는 지향성 구조를 가진다. 휴대형 장비를 위해 절전형 설계를 할 경우에는 20cm 이내에서만 동작하는 단점이 있다. v1.0 규격인 SIR은 최대 115.2 Kbps의 속도로, v1.1 규격인 FIR은 4~16Mbps 속도로 동작한다. 반면, 적외선 통신은 리모콘과 TV에 리모콘 센서의 방향을 맞추듯, 두기기의 IrDA 포트를 마주보기만 하면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이 아주 쉽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블루투스는 10세기경에 덴마크와 네덜란드를 통일한 바이킹의 왕 Herald Bluetooth의 이름에서 유래된 용어로, 당시 그는 노르웨이, 덴마크 등의 북유럽을 통일했다고 한다. 결국 블루투스라는 명칭에는 `PC와 휴대전화 및 그 외의 디지털 기기 등을 하나의 무선 통신 규격으로 통일한다'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다.
상기 블루투스는 방향의 제한이 없는 무지향성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며 10m~100m(고출력일경우)이내의 거리에서 1MBps의 속도로 동작한다. 개인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을 구성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목적으로 개발된 규격으로 여러개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 휴대폰, 헤드셋,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C 및 프린터 등의 기기 간에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2,400개 이상의 회사가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를 형성, 장비간 상호운용을 보장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회사로는 에릭슨사, IBM사, 인텔사, 루슨트사, 마이크로소프트사, 노키아사, 도시바사, 모토로라사,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참여하고 있다.
적외선 통신(IrDA)의 경우 그 특성상 기기들끼리 연결되는 1:1(Point-to- Point)통신이 주로 이용되며, 블루투스는 1:N(point-to-multipoint) 기기들끼리 연결되거나 주변에 있는 여러 기기들과 연결하여 개인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무선랜은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통신망(LAN)을 가리킨다. 무선 네트워크를 하이파이 오디오처럼 편리하게 쓰게 한다는 뜻에서 와이파이(Wi-fi)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PDA나 노트북 컴퓨터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이 필요없으나 PDA나 노트북 컴퓨터에는 무선랜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1980년대 말 미국의 프록심(Proxim)사와 심볼(Symbol)사 등의 무선기기 회사에서 처음으로 사업화하였으나 다양한 방식이 난립하여 일반화되지는 못했다. 1999년 9월 미국 무선랜협회인 WECA(Wireless Ethernet Capability Alliance; 2002년 WiFi로 변경)가 표준으로 정한 IEEE802.11b와 호환되는 제품에 와이파이 인증을 부여한 뒤 급속하게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에는 2000년에 도입되어 대학과 기업을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초기에는 전파 도달거리가 10m에 불과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50~200m 정도까지 대폭 늘어났다. 전송속도가 4∼11Mbps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해도 사용료가 저렴하고, 이동성과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다. 유선 연결이 복잡한 백화점이나 병원·박물관 등과 전시회·세미나·건설현장 등 일시적으로 네트워크를 설치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상기 적외선 통신이나 블루투스, 무선랜 등 송수신 방식은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와 PC간의 송수신 거리가 짧고 전력소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블루투스를 사용하고, 송수신 거리가 멀어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는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해야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은 크게 몇가지의 기능이 요구된다.
먼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기능을 휴대 단말기의 각 키나 메뉴에 등록할 수 있는 기능과, 소프트웨어를 실행 시킨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등록되어진 기능에 대한 데이터 및 정보를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들로 송신하는 기능 및 전송된 정보의 정확한 수신 여부에 대한 응답을 받아 처리하는 부분이 필요하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위에서 언급한 세가지의 기본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동작하게 된다.
셋째,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으로 이하 설명하는 몇 가지가 요구된다.
먼저, 사용자가 제어하기를 원하여 선택한 기능을 등록 및 삭제하는 기능이 필요하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달되어진 데이터 및 정보들을 분석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들이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진 데이터 및 정보들에 대한 정확한 수신 여부 판단 및 응답기능이 필요하다.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세가지 모 듈간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인해 동작을 하게되며, 기본적인 동작 방식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1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한정, 삭제, 추가 등에 의하여 동일 범위의 발명이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 전달과 상기 명령의 처리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과정을 표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휴대 단말기(100)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간 송수신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용 소프트웨어 모듈(110)과, 상기 소프트웨어(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용 하드웨어 모듈(120)이 형성된다.
상기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에는 상기 기기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기능/응용 소프트웨어(210)와,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시스템 프로그램들의 집합인 정보 매체 운영체제 모듈(220)과,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소프트웨어 모듈(230) 및 휴대 단말기(100)와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송수신용 하드웨어 모듈(240)이 포함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 순서별 동작에 대한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로 명령 (Commonand) 전달 단계를 살펴보면, 휴대 단말기(100)에 기 등록되어진 기능을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 모듈(110)에서 선택하여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C-1). 상기 입력 사항에 대하여 소프트웨어 모듈(110)이 인식을 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packet)으로 만든 후 하드웨어 모듈(120)로 데이터를 전송/제어 한다(단계 C-2). 상기 하드웨어 모듈(120)은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제어한 명령에 의하여 전달받은 커멘드 패킷(command packet)을 무선을 통하여 상대기기(pair device)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C-3).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진 데이터를 상대기기(Pair Device)의 하드웨어 모듈(240)에서 수신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230)로 전달하게 된다(단계 C-4). 상기 데이터를 전달받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의 소프트웨어 모듈(230)이 커멘드 패킷(command packet)을 분석한 후 해당 명령에 따라 운영체제(Operating System:22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이벤트(event)로 변환하여, 해당 이벤트를 운영체제(220)로 전달하게 된다(단계 C-5). 해당 이벤트를 받아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했던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단계 C-6).
다음으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로 부터 휴대 단말기(100)로 응답(Commonand) 전달 단계를 살펴보면, 상기 운영체제(220)로 부터 해당 이벤트(event)를 입력받아 처리가 되었음을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230)로 전달해주게 된다(단계 A-1).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230)은 상기 운영체제(220)로부터 전달받은 응답을 인식하고 이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응답 패킷(ACK packet)을 만들고 이를 하드웨어 모듈(240)로 전달하게 된다(단계 A-2). 상기 전달받은 응 답 패킷(ACK packet)을 하드웨어 모듈(240)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된다(단계 A-3). 상기 수신되어진 응답 패킷(ACK packet)을 휴대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 모듈(110)이 받아 상기 패킷을 분석하고 실행의 성공여부를 결정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단계 A-4).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각 모듈들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100)에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를 제어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소프트웨어 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에 대한 분류도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소프트웨어 모듈(110)의 기능 분류도를 참조하여 각각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이하와 같다.
첫째, 키 맵핑(key Mappping) 기능(300)이 제공된다.
상기 키 맵핑 기능(300)은 특정하게 정의되어진 키들을 휴대 단말기(100)의 키에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PC의 방향키, 페이지 업/다운(page up/down)키, 엔터(enter)키 등을 휴대 단말기(100)의 방향키나 볼륨 업/다운(volume up/down)키 등에 일대일 매핑을 시킴으로서 휴대 단말기(100)에서 해당 키를 누르면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에서는 상기 매핑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가지 기본 기능이 제공된다.
먼저 키 맵핑(Key mapping) 등록/수정/삭제 기능(301)이 제공된다. 상기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기능이다. 맵핑 키(Mapping key) 실 행 기능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해당키를 조작할 경우 이를 상대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키 맵핑 디스플레이(Key mapping display) 기능은 사용자에게 현재 어떤 키가 어떻게 매핑되어있는지를 보여주는 기능으로 문자로서 알려줄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고유 키배치를 그림으로 만들어 각 키의 기능을 보여줄 수도 있다.
둘째, 원 샷(One shot) 실행 기능(310)이 제공된다.
상기 원 샷 실행 기능(310)은 상기 키 맴핑 기능(300)과 달리 휴대 단말기(100)의 특정한 키들에 대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의 특별한 프로그램 실행이나 설정, 일괄처리 명령 등을 매핑하여 휴대 단말기(100)에서 해당키를 누를 경우 매핑된 기능이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기능이 제공된다.
각 키(key)별 프로그램 등록기능(311)과, 각 키 별 프로그램 삭제/수정 기능(312)과, 각 키 별 프로그램 실행 기능(313) 및 각 key 별 등록 프로그램 표시 기능(314)이 제공된다.
셋째, 하드웨어 모듈(120) 제어 기능(320)이 제공된다.
상기 하드웨어 모듈(120) 제어 기능(320)은 사용자 입력을 상대방의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모듈(120)의 기능 설정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기능이 제공된다.
각 사용상태를 인식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모듈(12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전력 소모 관리 기능(321)과, 데이터 의 송수신을 위하여 하드웨어 모듈(120)을 제어하는 데이터(Data) 송수신 기능(322)이 제공된다.
넷째, 패킷(Packet) 관련 기능(330)이 제공된다.
상기 두 기기의 연동을 위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며 이는 전달 매체에 관계없이 두 기기간에 서로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할 규칙을 정해야 한다. 상기 패킷 관련 기능은 이런 맥락에서 상기 두 기기간 연동을 위한 데이터 포맷을 결정한 후 이에 맞게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드는 기능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다음 두 가지 기능이 수행된다.
커멘드 패킷(command packet) 생성기능(331)은 사용자의 입력을 상대기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커멘드 패킷(command packet)을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답 패킷(ACK packet) 분석 기능(332)은 상대기기의 응답 및 실행 상태에 대해 알기 위하여 수신되어진 응답 패킷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섯째, 에러 처리기능(34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두 기기의 상호연동을 통한 제어를 목표로 하므로, 에러 발생시 이의 적절한 처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에러처리 기능을 두어 다양한 에러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한다.
여섯째, 데이터 동시성(Data Synchronousness) 기능(350)이 제공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 간의 원활한 동 작을 위하여 두 기기간의 설정이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어느 한쪽에서만 수정을 하더라도 이후에는 두 기기간 설정을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 두가지 기능이 제공된다.
수동 동시성 기능(351)은 사용자의 데이터 싱크(data sync) 명령 실행에 의한 두 기기간 설정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자동 동시성 기능(352)은 각 소프트웨어 모듈(120,230)의 실행시 자동으로 설정 데이터를 검색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을 시 이를 일치시키거나, 한 쪽에서 설정을 변경한 경우 이 설정을 바로 상대기기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자동 동시성 기능(352)은 여러가지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며 다음과 같다.
일치하는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구하는 기능과, 우선 순위를 설정하게 하여 항상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기기로 일치시키는 기능 및 일치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는 두가지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일치시키는 기능이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용 소프트웨어 모듈의 세부적인 기능에 대한 분류도이다.
상기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용 소프트웨어 모듈(230) 대부분의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한 도 2의 기능에 대하여 각각 대응하는 기능들을 가진다.
이하 도 2와 상당부분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2와 차 이점을 가지는 운영체제(220)와의 연동 기능(440)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200)들은 운영체제(220)를 가지고 있으므로 운영체제(220)와의 인터페이스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게 된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모듈(230)은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을 검사한 후 각 데이터가 어떤 명령어인지 설정되어진 데이터를 참고로 하여 결정한 후 이에 따라 해당 기능을 운영체제(220)에서 정의하고 있는 이벤트 및 데이터 형태로 운영체제(220)에 전달을 하게 되며, 운영체제(220)는 이에 따라 해당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이벤트 생성 및 전달 기능(441)과 이벤트 수신 및 확인 기능(442)을 운영체제(220)와의 연동기능이라 한다.
본 발명은 프리젠테이션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PC 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프리젠테이전시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모듈;
    상기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진 명령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특정하게 정의되어진 키들을 휴대 단말기에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맵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사이의 통신이 수행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4. 특정하게 정의되어진 키들을 휴대 단말기에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맵핑 장치;
    상기 휴대 단말기의 특정한 키들에 대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의 특별한 프로그램 실행이나 설정, 일괄처리 명령 등을 매핑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해당키를 누를 경우 매핑된 기능이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원샷 장치;
    사용자의 입력을 상대방의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모듈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제어하는 하드웨어 모듈 제어 장치;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연동을 위한 데이터 포맷을 결정한 후 이에 맞게 데이터를 패킷으로 생성하는 패킷 관련 장치;
    상기 두 기기의 연동시 발생하는 에러를 처리하는 에러 처리 장치; 및
    사용자의 명령 실행에 의한 상기 두 기기간 설정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데이터 동시성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정보 처리 장치.
  5. 특정하게 정의되어진 키들을 휴대 단말기에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맵핑 장치;
    휴대 단말기의 특정한 키들에 대하여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 상의 특별한 프로그램 실행이나 설정, 일괄처리 명령 등을 매핑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해당키를 누를 경우 매핑된 기능이 정보 저장 및 처리 기기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원샷 장치;
    사용자의 입력을 상대방의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모듈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제어하는 하드웨어 모듈 제어 장치;
    휴대 단말기와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연동을 위한 데이터 포맷을 결정한 후 이에 맞게 데이터를 패킷으로 생성하는 패킷 관련 장치;
    상기 두 기기의 연동시 발생하는 에러를 처리하는 에러 처리 장치;
    사용자의 명령 실행에 의한 상기 두 기기간 설정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데이터 동시성 장치; 및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을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운영체제에 전달하는 운영체제와의 연동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는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용 정보 처리 장치.
KR1020040115118A 2004-12-29 2004-12-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KR10067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118A KR100670447B1 (ko) 2004-12-29 2004-12-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118A KR100670447B1 (ko) 2004-12-29 2004-12-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634A KR20060076634A (ko) 2006-07-04
KR100670447B1 true KR100670447B1 (ko) 2007-01-16

Family

ID=3716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118A KR100670447B1 (ko) 2004-12-29 2004-12-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99B1 (ko) 2010-11-23 2017-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99B1 (ko) 2010-11-23 2017-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838524B2 (en) 2010-11-23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634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0645B1 (en) Power-conserving intuitive device discovery technique in a bluetooth environment
US7809332B1 (en) Efficient service registration for legacy applications in a bluetooth environment
US75126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ireless data transfers between a selected group of mobile computing devices
US7356347B1 (en) Efficient discovery of devices in a bluetooth environment
JP4237771B2 (ja) ブルートゥース無線装置を備える通信端末間のリンク連結方法
EP18411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ing conferencing connection
US8560744B2 (en) Input interface providing USB apparatus and interface providing method
EP2466480B1 (en)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Erasala et al. Bluetooth technology: a strategic analysis of its role in global 3G wireless communication era
WO2021114952A1 (zh)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蓝牙设备及存储介质
JP2002202836A (ja) 入力装置、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2261879A (ja) 自動リンク連結可能の無線ヘッドセ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526251A (ja) アドホック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9000411A1 (zh) 一种无线通信连接建立的方法及设备
CN104205998A (zh) 用于在蓝牙网络中中继数据通信的方法和装置
US20060009154A1 (en) Computer input device with bluetooth hand-free handset
CN103593064A (zh) 一种触控笔
JP2006338406A (ja) 通信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通信端末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80211774A1 (en) Cordless mouse apparatus having internet phone based on bluetooth protocol,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net phone based on bluetooth protocol
KR100670447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저장 및 처리기기의 제어 시스템
US20010054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ata processors
US20050096083A1 (en) Dual communication mode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device
TW200809625A (en) Bluetooth automatic multi-point transmit control software
KR20040058592A (ko) 오디오 게이트웨이 겸용 블루투스방식의 무선 헤드셋
KR200800226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