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668A -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668A
KR20070106668A KR1020070103815A KR20070103815A KR20070106668A KR 20070106668 A KR20070106668 A KR 20070106668A KR 1020070103815 A KR1020070103815 A KR 1020070103815A KR 20070103815 A KR20070103815 A KR 20070103815A KR 20070106668 A KR20070106668 A KR 20070106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aft
gear
vehic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월태
Original Assignee
김월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월태 filed Critical 김월태
Priority to KR102007010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6668A/ko
Publication of KR2007010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668A/ko
Priority to KR1020080064097A priority patent/KR100865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를 운행하거나 내리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하면서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때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도 전방으로 운행하던 차량의 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저항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브레이크페달의 사용 빈도 및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강도를 줄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차량이 오르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할 때 저장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고, 이 회전동력을 프로펠러 샤프트에 전달함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를 운행하거나 내리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하면서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때 전방으로 운행하던 차량의 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로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공기탱크에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탱크의 공기 저항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브레이크페달의 사용 빈도 및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강도를 줄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차량이 오르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할 때 회전기로 공기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회전동력을 프로펠러 샤프트에 전달함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차량, 자동차, 동력발생, 기어박스, 공기압축기, 공기탱크, 회전기, 압력감지자동개폐밸브, 공기배출밸브, 공기공급개폐밸브, 브레이크 감지장치, 액셀레이터 감지장치

Description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POWER GENERATING APPARATUS USED PROPELLER SHAR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지의 도로를 운행하거나 특히 내리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하면서 브레이크페달과 액셀레이터페달을 작동하지 않거나,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때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도 전방으로 운행하던 차량의 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로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브레이크페달의 사용 빈도 및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강도를 줄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차량이 오르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할 때 저장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고, 이 회전동력을 프로펠러 샤프트에 전달함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동력은 변속기를 거쳐 프로펠러 샤프트에 의해 차축 에 전달되어 운행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프로펠러 샤프트(10)는 변속기(2)와 차동장치(4)를 연결하여 상기 변속기(2)의 구동력, 즉 엔진의 동력을 차동장치(4)를 통해 바퀴(차륜, 6)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펠러 샤프트(10)의 양측단에는 구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유니버셜 조인트(8)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은 평지의 도로와 내리막 도로를 운행할 때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때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킬 때에는 차량은 전방으로 운행하던 탄력에 의해 전방으로 운행되고, 전방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탄성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는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연료를 계속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평지의 도로와 내리막 도로에서 차량을 감속시킬 때에는 브레이크페달을 수시로 작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차량을 정지시키지 위해서는 강하게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초래하여 수명을 단축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량이 오르막 도로를 운행할 때 액셀레이터페달을 작동하여 차량이 전방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강한 엔진의 동력을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해 바퀴에 전달함으로써 연료의 소모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를 운행하거나 내리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하면서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때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도 전방으로 운행하던 차량의 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로 고압의 공기를 단시간에 생산하여 공기탱크에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탱크의 공기 저항에 의해 공기압축기를 통해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브레이크페달의 사용 빈도 및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강도를 줄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차량이 오르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할 때 공기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기로 회전동력을 발생하고, 상기와 같이 회전기로 발생된 회전동력을 프로펠러 샤프트에 전달함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프로펠러 샤프트에 회전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회전기와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와 연결되는 샤프트기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로 분리하여 각각 작동되어 회전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구동기어만 회전하도록 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저장하고, 공기배출관(12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탱크(100)와;
상기 공기배출관(120)에 설치되어 공기탱크(100)의 내부 공기가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저장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일정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닫히는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와;
상기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내부에 공급되면 작동하는 회전기(300)와;
몸체(410) 내부에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결합되어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동시에 회전하는 샤프트기어(420)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기어(420)의 상부에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는 연동기어(430)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기어(420)의 하부에는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며 회전기(300)에 의해 샤프트기어(4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440)가 구비된 기어박스(400)와;
상기 기어박스(400)의 연동기어(430)와 결합하여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압축기(500)와;
∪형상의 브라켓몸체(511) 전면으로 상기 회전기(300)와 공기압축기(500)가 고정되도록 제1받침대(512)와 제2받침대(513)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몸체(511) 내측에 기어박스(400)가 삽입되어 회전기(300)와 공기압축기(500), 기어박스(400)를 차량의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510)과;
상기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공기압축기(500)에서 공기유입관(110)으로 배출된 공기가 공기탱크(100)로 저장되지 않도록 대기중에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520)와;
상기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와 회전기(300) 사이 공기배출관(12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회전기(300)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공급개폐밸브(530))와;
브레이크페달(610)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기배출밸브(52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배출밸브(520)를 개폐하는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 페달(710)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기공급개폐밸브(53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공급개폐밸브(530)를 개폐하는 엑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에 운전자가 수동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차량의 핸들(140)에 구비되는 수동레버(7500)와;
차량이 오르막을 주행할 때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공급개폐밸브(530)를 개폐하는 오르막감지장치(800)와;
차량이 후진할 때 상기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후진기어 작동스위치(920)가 구비되어 차량이 후진할 때 후진기어(910)의 위치를 감지하여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의 작동을 정지시키 는 후진기어 감지장치(9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는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에 연결되는 제 1밸브 몸체(210)와,
상기 제 1밸브몸체(210)에 +형상으로 구비된 제 1케이스(220)와,
일측은 공기탱크(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케이스(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탱크(100)의 내부의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통관(230)과,
일측 외주면에 제 1개폐홈(241)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통관(230)으로 유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케이스(220)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1밸브몸체(210) 내부를 개폐하는 제 1실린더(240)와,
상기 제 1실린더(240)의 타측에 일정한 압력으로 제 1실린더(240)를 이송시켜 제 1밸브몸체(210)를 밀폐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400)의 동력전달기어(440)는 원통형의 회전몸체(451) 일측에 회전기(300)와 결합되는 결합축(452)과 타측에 지지축(45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453a)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451)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반원형의 돌기 삽입홈(454)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 삽입홈(454)의 일측 회전몸체(451)의 외주면에 스프링 삽입홈(455)이 구비되며, 원통형의 몸체(456a) 일측에 돌기(456b)가 돌출되어 몸체(456a)가 상기 돌기 삽입홈(454)에 삽입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걸림돌기(456)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홈(455)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걸림돌기(456)의 돌기(456b)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57)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451)의 일측면에 돌기 삽입홈(454)에 삽 입된 걸림돌기(456)의 몸체(456a)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볼트(458a)로 고정되는 고정판(458)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몸체(451)의 양측 외주면 테두리에 중앙이 곡면을 이루는 제 1곡면홈(459)이 구비된 구동축(450)과;
외주면에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는 기어치차(461)가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가 삽입되는 삽입공(46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462)의 내주면 중앙을 따라 상기 구동축(450)의 걸림돌기(456) 돌기(456a)가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홈(463)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462)의 양측 내주면 테두리를 중앙이 곡면을 이루는 제 2곡면홈(464)이 구비되어 구동축(450)이 구동하여 회전할 때 샤프트기어(420)에 동력을 전달하고, 구동축(450)이 구동하지 않을 때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어 기어치차(461)만 회전하는 구동기어(460)와;
상기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 양측 외주면 테두리에 구비된 제 1곡면홈(459)과, 구동기어(460)의 삽입공(462) 양측 내주면 테두리에 구비된 제 2곡면홈(464)에 다수의 볼(471)이 삽입되어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와 구동기어(460)가 각각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470)과;
중앙에 상기 구동축(450)의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이 각각 삽입되는 통공(481)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상기 베어링(470)의 볼(471)이 삽입되는 삽입홈(482)이 구비되어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와 구동기어(460)의 양측에서 베어링(470)을 지지하는 지지판(480)과,
상기 구동축(450)의 결합축(452)과 지지축(453)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53a)에 나사결합되어 베어링(47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판(480)을 고 정하는 고정너트(49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밸브(520)는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에 연결되는 제 2밸브몸체(521)와,
상기 제 2밸브몸체(521)에 +형상으로 구비된 제 2케이스(522)와,
상기 제 2케이스(522)의 일측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 1피스톤(523a)을 동작시키는 제 1전자식 피스톤 동작기(523)와,
일측 외주면에 제 2개폐홈(524a)이 구비되어 상기 제 1전자식 피스톤 동작기(523)의 제 1피스톤(523a)에 의해 상기 제 2케이스(522)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2밸브몸체(521) 내부를 개폐하는 제 2실린더(524)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공급개폐밸브(530)는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에 연결되는 제 3밸브몸체(531)와,
상기 제 3밸브몸체(531)에 +형상으로 구비된 제 3케이스(532)와,
상기 제 3케이스(532)의 일측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 2피스톤(533a)을 동작시키는 제 2전자식 피스톤동작기(533)와,
일측 외주면에 제 3개폐홈(534a)이 구비되어 제2피스톤 동작기(533)의 제 2피스톤(533a)에 의해 상기 제 3케이스(532)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3밸브몸체(531) 내부를 개폐하는 제 3실린더(5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 감지장치(600)는 브레이크 페달(610)의 동작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센서(620)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감지센서(620)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610)이 동작하면 온(ON)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오프(OFF)되는 스위치(630)로 구성되고, 상기 액셀레 이터 페달 감지장치(700)는 액셀레이터 페달(710)의 동작을 감지하는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에 의해 액셀레이터 페달(710)이 동작하면 온(ON)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오프(OFF)되는 제 1동작스위치(73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에 의해 액셀레이터 페달(710)이 동작하면 오프(OFF)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온(ON)되는 제 2동작스위치(7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오르막 감지장치(800)는 차량의 차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감지장치 케이스(810)와,
하부는 원형이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차량의 배터리(150)와 연결된 제1전선(821)이 연결되고, 일측면에 제 1접촉판(822)이 구비되며, 상기 감지장치 케이스(810)의 내부 상부에 구비된 중심축(823)에 상부가 결합되어 중심축(823)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추(820)와,
상기 회동추(820)의 일측으로 감지장치 케이스(810)의 고정되어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와 연결된 제 2전선(831)이 연결되고, 상기 회동추(820)의 제 1접촉판(822)과 접촉되는 제 2접촉판(8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로를 운행하거나 내리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하면서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때 전방으로 운행하던 차량의 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로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공기탱크에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생산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탱크의 공기 저항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브레이크페달의 사용 빈도 및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강도를 줄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이 오르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할 때 회전기로 공기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회전동력을 프로펠러 샤프트에 전달함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펠러 샤프트에 회전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회전기와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와 연결되는 샤프트기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로 분리하여 각각 작동되어 회전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구동기어만 회전하도록 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기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기어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기어에서 걸림돌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에 차량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에서 동력전달기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압력감지자동개폐밸브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공기개폐밸브를 나타낸 예시도,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오르막감지센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로 130은 프로펠러 샤프트이고, 140은 차량 핸들, 150은 브라켓 고정볼트, 160은 차량용 배터리이다.
먼저 본 발명의 동력발생장치는 도 2 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저장하고, 공기배출관(12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탱크(10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관(120)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에 연결되는 제 1밸브 몸체(210)에 +형상으로 제 1케이스(220)가 구비되고, 일측은 공기탱크(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케이스(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탱크(100)의 내부의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통 관(230)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면에 제 1개폐홈(241)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통관(230)으로 유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케이스(220)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1밸브몸체(210) 내부를 개폐하는 제 1실린더(240)와, 상기 제 1실린더(240)의 타측에 일정한 압력으로 제 1실린더(240)를 이송시켜 제 1밸브몸체(210)를 밀폐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50)으로 구성되어 공기탱크(100)의 내부 공기가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저장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일정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닫히는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내부에 공급되면 내부의 회전축(도면에 미도시)이 회전하여 작동하는 회전기(300)가 구비된다.
또한 도 6과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0) 내부에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결합되어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동시에 회전하는 샤프트기어(420)와, 상기 샤프트기어(420)의 상부에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는 연동기어(430)와, 상기 샤프트기어(420)의 하부에는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며 회전기(300)에 의해 샤프트기어(4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440)가 구비된 기어박스(400)를 구비하되, 상기 기어박스(400)의 동력전달기어(44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회전몸체(451) 일측에 회전기(300)와 결합되는 결합축(452)과 타측에 지지축(45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453a)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451)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반원형의 돌기 삽입홈(454)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 삽입홈(454)의 일측 회전몸체(451)의 외 주면에 스프링 삽입홈(455)이 구비되며, 원통형의 몸체(456a) 일측에 돌기(456b)가 돌출되어 몸체(456a)가 상기 돌기 삽입홈(454)에 삽입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걸림돌기(456)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홈(455)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걸림돌기(456)의 돌기(456b)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57)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451)의 일측면에 돌기 삽입홈(454)에 삽입된 걸림돌기(456)의 몸체(456a)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볼트(458a)로 고정되는 고정판(458)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몸체(451)의 양측 외주면 테두리에 중앙이 곡면을 이루는 제 1곡면홈(459)이 구비된 구동축(4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는 기어치차(461)가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가 삽입되는 삽입공(46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462)의 내주면 중앙을 따라 상기 구동축(450)의 걸림돌기(456) 돌기(456a)가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홈(463)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462)의 양측 내주면 테두리를 중앙이 곡면을 이루는 제 2곡면홈(464)이 구비되어 구동축(450)이 구동하여 회전할 때 샤프트기어(420)에 동력을 전달하고, 구동축(450)이 구동하지 않을 때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어 기어치차(461)만 회전하는 구동기어(4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 양측 외주면 테두리에 구비된 제 1곡면홈(459)과, 구동기어(460)의 삽입공(462) 양측 내주면 테두리에 구비된 제 2곡면홈(464)에 다수의 볼(471)이 삽입되어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와 구동기어(460)가 각각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470)과, 중앙에 상기 구동축(450)의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이 각각 삽입되는 통공(481)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상기 베어링(470)의 볼(471)이 삽입되는 삽입홈(482)이 구비되어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와 구동기어(460)의 양측에서 베어링(470)을 지지하는 지지판(48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450)의 결합축(452)과 지지축(453)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53a)에 나사결합되어 베어링(47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판(480)을 고정하는 고정너트(490)가 구비된다.
한편 공기압축기(500)는 상기 기어박스(400)의 연동기어(430)와 결합하여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한다.
그리고 도 4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00)은 ∪형상의 브라켓몸체(511) 전면으로 상기 회전기(300)와 공기압축기(500)가 고정되도록 제1받침대(512)와 제2받침대(513)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몸체(511) 내측에 기어박스(400)를 삽입하고, 상기 제1받침대(512)와 제2받침대(513)에 회전기(300)와 공기압축기(500)를 각각 브라켓 고정볼트(150)로 고정하여 브라켓몸체(511)를 차량의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회전기(300)와 기어박스(400), 공기압축기(500)를 차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공기배출밸브(5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면 공기압축기(500)에서 공기유입관(110)으로 배출된 공기가 공기탱크(100)로 저장되고, 밀폐되면 공기압축기(500)에서 공기유입관(110)으로 배출된 공기가 공기탱크(100)로 저장되지 않고 대기중에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밸브(520)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에 제 2밸브몸체(521)가 연결되고, 상기 제 2밸브몸체(521)에는 +형상으로 제 2케이스(5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케이스(522)의 일측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 1피스톤(523a)을 동작시키는 제 1전자식 피스톤 동작기(523)와, 일측 외주면에 제 2개폐홈(524a)이 구비되어 상기 제 1전자식 피스톤 동작기(523)의 제 1피스톤(523a)에 의해 상기 제 2케이스(522)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2밸브몸체(521) 내부를 개폐하는 제 2실린더(5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와 회전기(300) 사이 공기배출관(12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회전기(300)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공급개폐밸브(5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에 제 3밸브몸체(531)가 연결되고, 상기 제 3밸브몸체(531)에 +형상으로 제 3케이스(532)와, 상기 제 3케이스(532)의 일측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 2피스톤(533a)을 동작시키는 제 2전자식 피스톤동작기(533)와, 일측 외주면에 제 3개폐홈(534a)이 구비되어 제2피스톤 동작기(533)의 제 2피스톤(533a)에 의해 상기 제 3케이스(532)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3밸브몸체(531) 내부를 개폐하는 제 3실린더(534)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배출밸브(52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610)의 동작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센서(620)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감지센서(620)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610)이 동작하면 온(ON)되고, 동작이 정지되 면 오프(OFF)되는 스위치(630)를 통해 상기 공기배출밸브(52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배출밸브(520)의 개폐를 조절한다,
그리고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는 액셀레이터 페달(710)의 동작을 감지하는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에 의해 액셀레이터 페달(710)이 동작하면 온(ON)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오프(OFF)되는 제 1동작스위치(73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에 의해 액셀레이터 페달(710)이 동작하면 오프(OFF)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온(ON)되는 제 2동작스위치(740)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개폐밸브(53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공급개폐밸브(530)의 개폐를 조절한다.
한편 차량의 핸들(140)에는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에 운전자가 수동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수동레버(750)가 구비되고, 차량이 오르막을 주행할 때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공급개폐밸브(530)를 개폐하는 오르막감지장치(800)를 구비하되, 상기 오르막 감지장치(8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차체에 수평으로 감지장치 케이스(810)가 고정되고, 상기 감지장치 케이스(810)의 내부에는 하부는 원형이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차량의 배터리(150)와 연결된 제1전선(821)이 연결되고, 일측면에 제 1접촉판(822)이 구비되며, 상기 감지장치 케이스(810)의 내부 상부에 구비된 중심축(823)에 상부가 결합되어 중심축(823)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회동추(8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추(820)의 일측으로 감지장치 케이스(810)의 고정되어 액셀 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와 연걸된 제 2전선(831)이 연결되고, 상기 회동추(820)의 제 1접촉판(822)과 접촉되는 제 2접촉판(830)이 구비된다.
한편 후진기어 감지장치(900)는 차량이 후진할 때 상기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후진기어 작동스위치(920)로 후진기어(910)가 작동될 때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와 공기배출밸브(520), 공기공급개폐밸브(530),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 오르막감지장치(800), 후진기어 감지장치(900)는 차량용 배터리(160)에 서로 연결되어 스위치의 전기적 신호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동력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을 운행하면 프로펠러 샤프트(1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중간에 연결된 기어박스(400)의 몸체(410) 내부에 설치된 샤프트기어(420)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어박스(400) 몸체(410) 내부의 샤프트기어(420)가 회전하면 샤프트기어(420)의 상부에 연동하도록 설치된 연동기어(4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연동기어(430)는 연동기어(430)와 결합된 공기압축기(500)를 작동하여 고압의 공기를 생산,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으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유입관(110)으로 배출된 공기가 차량이 오르막 도로를 주행하거나 가속하려고 액셀레이터페달(710)을 작동할 때 공기탱크(100)에 저장되면 공기탱크(100)의 내부에서 압력(공기의 저항)이 발생하여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엔진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연료의 소모량을 증가시키므로 상기와 같이 공기압축기(500)에 의해 공기유입관(110)으로 배출된 고압의 공기는 도 14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밸브(520)의 제 2밸브몸체(521) 내부로 유입되어 제 2밸브몸체(521)에 +방향으로 구비된 제 2케이스(522) 내부에 제 2실린더(524)에 형성된 제 2개폐홈(524a)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차량을 평지 또는 내리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하다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고자 할 때 브레이크페달(610)을 작동하면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의 브레이크페달 감지센서(620)가 작동하여 오프(OFF)) 상태의 스위치(630)가 온(ON) 상태로 작동되고, 상기 스위치(630)는 전기적 신호를 공기배출밸브(520)의 제 1피스톤동작기(523)로 전송하여 제 1피스톤(523a)을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밸브(520)는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의 액셀레이터페달(710)이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온(ON) 상태의 제 2동작스위치(740)와 연결되어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의 스위치(630) 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공기배출밸브(520)의 제 1피스톤동작기(523) 제1피스톤(523a)은 제 2케이스(522) 내부의 제 2실린더(524)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 2개폐홈(524a)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서 제 1밸브몸체(521)를 밀폐시킴으로써 공기압축 기(500)에서 공기유입관(110)으로 배출된 고압의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탱크(100)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기압축기(500)에서 생산된 공기가 공기탱크(100)에 저장되며 공기압축기(500) 내부의 회동축(도면에 미도시)에 저항이 생기게 되고, 상기와 같은 공기압축기(500)의 저항은 공기압축기(500)와 연결된 연동기어(430)와 연동하는 샤프트기어(420)에 전달되어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저하시켜 브레이크페달(610)의 사용과 브레이크페달(610)의 밟는 강도를 줄이면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압축기(500)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도면에 미도시)와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도면에 미도시)가 작으면 공기압축기(500) 내부에서 작동되는 피스톤(도면에 미도시)에 저항이 발생하여 샤프트기어(420)와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압축기(500) 내부에서 작동되는 피스톤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흡입구와 배기구가 크게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시간마다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과 배기의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흡입구와 배기구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진 DOHC(double over head cap) 타입의 공기압축기(500)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흡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진 DOHC(double over head cap) 타입의 공기압축기(500)를 사용함으로써 공기압축기(500)의 배기를 원활히 하여 차량을 운행할 때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는 연동기어(430)의 작동으로 공기압축기(500)가 작동함에 따른 공기압축기(500) 내부의 저항이 연동기어(430)와 샤 프트기어(420)에 전달되어 프로펠러 샤프트(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을 통해 내부에 저장되는 고압의 공기는 일정한 압력으로 이상으로 저장되면 공기배출관(120)에 설치된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의 공기유통관(230)으로 유통되어 제 1밸브몸체(210)에 +방향으로 설치된 제 1케이스(220) 내부에서 지지스프링(250)에 의해 일측이 지지된 제 1실린더(240)를 상기 지지스프링(250)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스프링(250)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 1실린더(24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 1개폐홈(241)이 이송되어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의 제 1밸브몸체(210)가 개폐되어 공기탱크(100) 내부의 공기는 공기공급개폐밸브(53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개폐밸브(530)는 밀폐된 상태로 공기는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어박스(400)의 몸체(410) 내부에 설치된 샤프트기어(420)가 작동될 때 상기 샤프트기어(420)의 하부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동력전달기어(4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도록 기어치차(461)가 구비된 구동기어만(460)이 상기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46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462)에 삽입되어 결합된 구동축(450)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회전기(300)와 결합된 결합축(452)과, 지지축(453), 회전몸체(451)는 정 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구동기어(460)의 삽입공(462)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63)과 결합되는 회전몸체(451)의 돌기삽입홈(454)에 삽입된 걸림돌기(456)의 돌기(456a)가 서로 걸리지 않게 되어 구동축(450)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구동기어(460)만이 회전하여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기(300)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동력전달기어(440)의 구동기어(460)만 회전하여 작동되므로 샤프트기어(420)가 작동될 때 회전기(300)의 축이 같이 회전하여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 중 브레이크페달(610)을 작동하게 되면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차량의 탄력에 의해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500)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공기탱크(100)에 연속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에 설치된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를 통해 공기탱크(100) 내부의 공기를 공기공급개폐밸브(530)로 이송되면서 공기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 1밸브몸체(210)의 제 1케이스(220) 내부에 제 1실린더(240) 일측을 지지하고 있던 지지스프링(250)에 의해 제 1실린더(240)가 공기유통관(230) 방향으로 이송되어 제 1개폐홈(241)에 의해 제 1밸브몸체(210)가 다시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밸브(520)의 제 1피스톤동작기(523)와 공기공급개폐밸브(530)의 제 2피스톤동작기(53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160) 와 한 극의 전원선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평지와 내리막으로 경사진 도로를 운행하다 오르막 도로를 운행할 때 또는 오르막 도로에서 주정차한 후 출발할 때 운전자가 액셀레이터페달(710)을 작동하게 되면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의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센서(720)가 작동되고, 상기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센서(720)는 오프(OFF) 상태의 제 1동작스위치(730)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고, 온(ON)상태의 제 2동작스위치(740)를 오프(OFF) 상태로 동작시켜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는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배터리(160)와 한 선이 연결된 공기공급 개폐밸브(53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제 2피스톤동작기(533)를 작동시킴으로써 제 2피스톤(533a)을 이송시켜 제 3케이스(532) 내부에 구비된 제 3실린더(534)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 개폐밸브(530)의 제 3실린더(534)가 작동되면 제3실린더(534)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 3개폐홈(534a)이 일측으로 이송되어 제 3밸브몸체(531)를 개방하여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을 통해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를 통과한 고압의 공기를 회전기(300) 내부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액셀레이터페달(710)을 작동하게 되면 배터리(160)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의 스위치(630)와 수동레바(750)의 전원은 차단되어 작동되지 않고, 액셀레이터페달(710)의 작동이 멈추면, 즉 액셀레이터페달(71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다시 전원이 연결되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기(300)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회전기(300)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도면에 미도시)이 고압의 공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기(300)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기(300)와 연결된 결합축(452)이 회전함에 따라 기어박스(400) 몸체(410) 내부에 설치된 동력전달기어(440)의 구동축(45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300)는 고압의 공기를 내부에 주입하면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이 회전하는 장치이면 본 발명에서 어떤 종류의 회전기(300)라도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기어(440)의 구동축(450) 회전몸체(451)에 구비된 지지축(453)은 상기 회전몸체(451)를 기어박스(400)의 몸체(410)에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기(300)에 의해 기어박스(400) 몸체(410) 내부에 설치된 동력전달기어(440)의 구동축(450)이 회전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구동축(450) 회전몸체(451)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 삽입홈(454)에 삽입된 걸림돌기(456)의 돌기(456b) 선단부가 회전몸체(451)의 돌기삽입홈(454)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삽입홈(455)에 삽입된 지지스프링(457)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며 몸체(456ㅁ))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되어 구동기어(460)의 삽입공(462) 내주면에 구비된 걸림홈(463)에 걸리면서 구동기어(46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장치(440)의 구동축(450)은 샤프트기어(420)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기어(460)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걸림돌기(456)가 구동기어(460)의 걸림홈(463)에 걸리도록 하여 샤프트기어(42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 외주면에 구비된 걸림돌기(45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451)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원형으로 구비된 돌기삽입홈(454)에 삽입되어 회전몸체(451) 외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몸체(456a)를 원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스프링(457)의 일측은 스프링삽입홈(455)에 삽입되도록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실시하고, 타측은 걸림돌기(456)의 돌기(456b) 하부를 지지하도록 호형으로 구부러지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 돌기삽입홈(454)에 삽입된 걸림돌기((456) 몸체(456a)가 회전몸체(451)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몸체(451) 일측에 고정볼트(458a)를 이용하여 고정판(458)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기어(440)의 구동축(450) 회전몸체(451) 양측 테두리와 구동기어(460)의 삽입공(462) 양측 테두리에 구비된 제 1곡면홈(459)과 제 2곡면홈(464)에는 다수의 베어링(470) 볼(471)의 일측을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47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판(480)의 통공(481)에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을 삽입하여 일측면에 구비된 삽입홈(482)에 베어링(470) 볼(471)의 타측면이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에 구비된 나사산(453a))에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회전기(300)에 의해 구동축(450)과 구동기어(460)가 회전할 때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회전기(300)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기어(440)의 구동축(450) 이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45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460) 외주면에 구비된 기어치차(461)에 연동되도록 결합된 샤프트기어(42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기어(420)에 연결된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증대시켜 차량이 원활히 전방으로 운행될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400)의 샤프트기어(420)와 연동기어(430), 동력전달기어(440)의 기어비율은 각각 1:1.5:1로 하여 프로펠러 샤프트(130)가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샤프트기어(420)에 비해 공기압축기(500)가 연결된 연동기어(430)는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페달(610)을 밟지 않아도 내리막 도로와 같은 운행 상태에 따라 브레이크페달(610)을 작동하기 전에 운전자가 핸들(140)에 설치된 수동레버(750)를 조작하여 액셀레이터 감지장치(700)의 제 2동작스위치(740)와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의 스위치(630)를 작동시켜 공기배출밸브(520)를 개폐함으로써 공기탱크(100)에 필요에 따라 수시로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오르막감지장치(800)는 차량이 오르막에 위치해 있을 때 차체에 수평으로 고정된 감지장치 케이스(810)도 한쪽으로 기울어지며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와 연결된 제 2전선(831)이 연결된 제 2접촉판(830)이 중심축(823)을 중심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추(820)의 차량의 배터리(160)와 연결된 제 1전선(821)이 연결된 제 1접촉판(822)과 접촉되어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의 제 1동작스위치(730)를 작동시켜 공기공급 개폐밸브(530)를 동작시킴으로써 오르막 도로에서는 액셀레이터페달(710)을 동작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회전기(300)를 작동 시켜 기어박스(400)의 동력전달기어(440)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르막감지장치(800)는 평지와 같은 도로에서 차량을 출발시킬 때 액셀레이터페달(710)의 작동으로 차량이 전방으로 운행되면 관성에 따라 오르막감지장치(800)의 감지장치 케이스(810) 내부에 구비된 회동추(820)의 제 1접촉판(822)이 제 2접촉판(830)과 접촉되면 오르막을 운행할 때처럼 프로펠러 샤프트(130)의 회전력을 증대시켜 연료를 절감시키면서 순간 가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이 후진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후진기어(910)를 작동시키면 후진기어 감지장치(900)의 후진기어 작동스위치(920)가 작동되어 차량용 배터리(16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에 연결된 전원을 오프(OFF)시켜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기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기어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기어에서 걸림돌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에 차량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기어박스에서 동력전달기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압력감지자동개폐밸브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공기개폐밸브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오르막감지센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공기탱크
110 : 공기유입관 120 : 공기배출관
200 :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
210 : 제 1밸브몸체 220 : 제 1케이스
230 : 공기유통관 240 : 제 1실린더
241 : 제 1개폐홈 250 : 지지스프링
300 : 회전지
400 : 기어박스
410 : 몸체 420 : 샤프트기어
430 : 연동기어 440 : 동력전달기어
450 : 구동축 451 : 회전몸체
452 : 결합축 453 : 지지축
453a : 나사산 454 : 돌기삽입홈
455 : 스프링 삽입홈 456 : 걸림돌기
456a : 몸체 456b : 돌기
457 : 지지스프링 458 : 고정판
458a : 고정볼트 459 : 제 1곡면홈
460 : 구동기어 461 : 기어치차
462 : 삽입공 463 : 걸림홈
464 : 제 2곡면홈 470 : 베어링
471 : 볼 480 : 지지판
481 : 통공 482 : 삽입홈
490 : 고정너트
500 : 공기압축기
510 : 고정브라켓 511 : 브라켓몸체
512 : 제 1받침대 513 : 제 2받침대
520 : 공기배출밸브 521 : 제 2밸브몸체
522 : 제 2케이스 523 : 제 1피스톤동작기
523a : 제 1피스톤 524 : 제 2실린더
524a : 제 2개폐홈
530 : 공기공급개폐밸브 531 : 제 3밸브몸체
532 : 제 3케이스 533 : 제 2피스톤동작기
533a : 제 2피스톤 534 : 제 3실린더
534a : 제 3개폐홈
600 :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
610 : 브레이크페달 620 : 브레이크페달 감지센서
630 : 스위치
700 :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
710 : 브레이크페달 720 : 브레이크페달 감지센서
730 : 제 1동작스위치 740 : 제 2동작스위치
750 : 수동레버
800 : 오르막 감지장치
810 : 감지장치 케이스 820 : 회동추
821 : 제 1전선 822 : 제 1접촉판
823 : 중심축 830 : 제 2접촉판
831 : 제 2전선
900 : 후진기어 감지장치
910 : 후진기어 920 : 후진기어 작동스위치

Claims (8)

  1. 공기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저장하고, 공기배출관(12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탱크(100)와;
    상기 공기배출관(120)에 설치되어 공기탱크(100)의 내부 공기가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저장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일정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닫히는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와;
    상기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내부에 공급되면 작동하는 회전기(300)와;
    몸체(410) 내부에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결합되어 프로펠러 샤프트(130)와 동시에 회전하는 샤프트기어(420)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기어(420)의 상부에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는 연동기어(430)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기어(420)의 하부에는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며 회전기(300)에 의해 샤프트기어(4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440)가 구비된 기어박스(400)와;
    상기 기어박스(400)의 연동기어(430)와 결합하여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압축기(500)와;
    ∪형상의 브라켓몸체(511) 전면으로 상기 회전기(300)와 공기압축기(500)가 고정되도록 제1받침대(512)와 제2받침대(513)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몸체(511) 내측에 기어박스(400)가 삽입되어 회전기(300)와 공기압축기(500), 기어박스(400)를 차량의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510)과;
    상기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공기압축기(500)에서 공기유입관(110)으로 배출된 공기가 공기탱크(100)로 저장되지 않도록 대기중에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520)와;
    상기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와 회전기(300) 사이 공기배출관(12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회전기(300)에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공급개폐밸브(530))와;
    브레이크페달(610)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기배출밸브(52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배출밸브(520)를 개폐하는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 페달(710)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기공급개폐밸브(53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공급개폐밸브(530)를 개폐하는 엑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에 운전자가 수동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차량의 핸들(140)에 구비되는 수동레버(750)와;
    차량이 오르막을 주행할 때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공기공급개폐밸브(530)를 개폐하는 오르막감지장치(800)와;
    차량이 후진할 때 상기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후진기어 작동스위치(920)가 구비되어 차량이 후진할 때 후진기어(910)의 위치를 감지하여 브레이크페달 감지장치(600)와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 수동레버(75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후진기어 감지장치(9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 자동개폐밸브(200)는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에 연결되는 제 1밸브 몸체(210)와,
    상기 제 1밸브몸체(210)에 +형상으로 구비된 제 1케이스(220)와,
    일측은 공기탱크(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케이스(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탱크(100)의 내부의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통관(230)과,
    일측 외주면에 제 1개폐홈(241)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통관(230)으로 유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케이스(220)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1밸브몸체(210) 내부를 개폐하는 제 1실린더(240)와,
    상기 제 1실린더(240)의 타측에 일정한 압력으로 제 1실린더(240)를 이송시켜 제 1밸브몸체(210)를 밀폐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400)의 동력전달기어(440)는 원통형의 회전몸체(451) 일측에 회전기(300)와 결합되는 결합축(452)과 타측에 지지축(45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453a)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451) 외주면 방사상의 위치에 반원형의 돌기 삽입홈(454)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 삽입홈(454)의 일측 회전몸체(451)의 외주면에 스프링 삽입홈(455)이 구비되며, 원통형의 몸체(456a) 일측에 돌기(456b)가 돌출되어 몸 체(456a)가 상기 돌기 삽입홈(454)에 삽입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걸림돌기(456)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홈(455)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걸림돌기(456)의 돌기(456b)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57)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몸체(451)의 일측면에 돌기 삽입홈(454)에 삽입된 걸림돌기(456)의 몸체(456a)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볼트(458a)로 고정되는 고정판(458)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몸체(451)의 양측 외주면 테두리에 중앙이 곡면을 이루는 제 1곡면홈(459)이 구비된 구동축(450)과;
    외주면에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는 기어치차(461)가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가 삽입되는 삽입공(46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462)의 내주면 중앙을 따라 상기 구동축(450)의 걸림돌기(456) 돌기(456a)가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홈(463)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462)의 양측 내주면 테두리를 중앙이 곡면을 이루는 제 2곡면홈(464)이 구비되어 구동축(450)이 구동하여 회전할 때 샤프트기어(420)에 동력을 전달하고, 구동축(450)이 구동하지 않을 때 샤프트기어(420)와 연동되어 기어치차(461)만 회전하는 구동기어(460)와;
    상기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 양측 외주면 테두리에 구비된 제 1곡면홈(459)과, 구동기어(460)의 삽입공(462) 양측 내주면 테두리에 구비된 제 2곡면홈(464)에 다수의 볼(471)이 삽입되어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와 구동기어(460)가 각각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470)과;
    중앙에 상기 구동축(450)의 결합축(452)과 지지축(453)이 각각 삽입되는 통공(481)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상기 베어링(470)의 볼(471)이 삽입되는 삽입홈(482)이 구비되어 구동축(450)의 회전몸체(451)와 구동기어(460)의 양측에서 베 어링(470)을 지지하는 지지판(480)과,
    상기 구동축(450)의 결합축(452)과 지지축(453)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53a)에 나사결합되어 베어링(47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판(480)을 고정하는 고정너트(4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밸브(520)는 공기탱크(100)의 공기유입관(110)에 연결되는 제 2밸브몸체(521)와,
    상기 제 2밸브몸체(521)에 +형상으로 구비된 제 2케이스(522)와,
    상기 제 2케이스(522)의 일측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 1피스톤(523a)을 동작시키는 제 1전자식 피스톤 동작기(523)와,
    일측 외주면에 제 2개폐홈(524a)이 구비되어 상기 제 1전자식 피스톤 동작기(523)의 제 1피스톤(523a)에 의해 상기 제 2케이스(522)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2밸브몸체(521) 내부를 개폐하는 제 2실린더(5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개폐밸브(530)는 공기탱크(100)의 공기배출관(120)에 연결되는 제 3밸브몸체(531)와,
    상기 제 3밸브몸체(531)에 +형상으로 구비된 제 3케이스(532)와,
    상기 제 3케이스(532)의 일측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 2피스톤(533a)을 동 작시키는 제 2전자식 피스톤동작기(533)와,
    일측 외주면에 제 3개폐홈(534a)이 구비되어 제2피스톤 동작기(533)의 제 2피스톤(533a)에 의해 상기 제 3케이스(532)의 내부에서 이송되어 제 3밸브몸체(531) 내부를 개폐하는 제 3실린더(5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감지장치(600)는 브레이크 페달(610)의 동작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감지센서(620)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감지센서(620)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610)이 동작하면 온(ON)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오프(OFF)되는 스위치(6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장치(700)는 액셀레이터 페달(710)의 동작을 감지하는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에 의해 액셀레이터 페달(710)이 동작하면 온(ON)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오프(OFF)되는 제 1동작스위치(730)와,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 감지센서(720)에 의해 액셀레이터 페달(710)이 동작하면 오프(OFF)되고, 동작이 정지되면 온(ON)되는 제 2동작스위치(7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막 감지장치(800)는 차량의 차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감지장치 케이스(810)와,
    하부는 원형이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차량의 배터리(150)와 연결된 제1전선(821)이 연결되고, 일측면에 제 1접촉판(822)이 구비되며, 상기 감지장치 케이스(810)의 내부 상부에 구비된 중심축(823)에 상부가 결합되어 중심축(823)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추(820)와,
    상기 회동추(820)의 일측으로 감지장치 케이스(810)의 고정되어 액셀레이터페달 감지장치(700)와 연결된 제 2전선(831)이 연결되고, 상기 회동추(820)의 제 1접촉판(822)과 접촉되는 제 2접촉판(8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20070103815A 2007-10-16 2007-10-16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070106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815A KR20070106668A (ko) 2007-10-16 2007-10-16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20080064097A KR100865141B1 (ko) 2007-10-16 2008-07-02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815A KR20070106668A (ko) 2007-10-16 2007-10-16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668A true KR20070106668A (ko) 2007-11-05

Family

ID=390624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815A KR20070106668A (ko) 2007-10-16 2007-10-16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1020080064097A KR100865141B1 (ko) 2007-10-16 2008-07-02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097A KR100865141B1 (ko) 2007-10-16 2008-07-02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701066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840A (zh) * 2016-07-29 2016-10-12 王付民 车辆的停车制动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40B1 (ko) * 2008-12-10 2009-08-19 김월태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차량의 동력발생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724A (en) * 1979-05-22 1980-12-06 Shinwa Seikou Kk Method for storing and utilizing kinetic energy of vehicle and its apparatus
KR920006164A (ko) * 1990-09-28 1992-04-27 이석근 엔진 및 발전기의 동력 조력장치
JPH06183283A (ja) * 1992-12-18 1994-07-05 Hideji Zennami 自動車のブレーキ動力損を蓄勢し必要時之を活用す る方法
JPH11222047A (ja) * 1998-02-03 1999-08-17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回生ブレーキ装置
KR200239080Y1 (ko) * 2000-12-27 2001-09-29 전홍익 차량용 추진장치
KR20040027624A (ko) * 2004-02-18 2004-04-01 장광호 전기와 압축공기로 구동되는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742A (en) 1980-04-24 1980-12-06 Anzen Jidosha Kk Method of inspection and maintenance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724A (en) * 1979-05-22 1980-12-06 Shinwa Seikou Kk Method for storing and utilizing kinetic energy of vehicle and its apparatus
KR920006164A (ko) * 1990-09-28 1992-04-27 이석근 엔진 및 발전기의 동력 조력장치
JPH06183283A (ja) * 1992-12-18 1994-07-05 Hideji Zennami 自動車のブレーキ動力損を蓄勢し必要時之を活用す る方法
JPH11222047A (ja) * 1998-02-03 1999-08-17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回生ブレーキ装置
KR200239080Y1 (ko) * 2000-12-27 2001-09-29 전홍익 차량용 추진장치
KR20040027624A (ko) * 2004-02-18 2004-04-01 장광호 전기와 압축공기로 구동되는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840A (zh) * 2016-07-29 2016-10-12 王付民 车辆的停车制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141B1 (ko) 200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33521B (zh) 电源模块的驱动控制装置
US6612963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an automobile
CN1074659A (zh) 车辆高效节能多功能系统
WO2007141841A1 (ja) ハイブリット機能を可能にした発電機兼用駆動モーター
KR20110076735A (ko) 차량용 액추에이터
US20050224263A1 (en) Rotary engine with improved hybrid features
CN108839551A (zh) 混合动力系统及控制方法
KR20070106668A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JP2009262872A (ja) 車両用のインホイールモータ
JP2008044587A (ja) ハイブリット機能を可能にしたオーバーランニングクラッチと減速ギャーを組み込んだ発電機兼用駆動モーター
US7952305B2 (en) Reverse drive control for a motorcycle
CN207916551U (zh) 油电混合动力车变速器总成
CN201297640Y (zh) 一种新型旋转给料阀
US11607947B2 (en) Hybrid power train structure in off-road vehicle
JP2004256045A (ja) ハイブリッドコンプレッサシステム
KR100913140B1 (ko)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차량의 동력발생장치
KR101033531B1 (ko)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장치
KR100517434B1 (ko) 에어모터를 갖는 자전거
CN212046797U (zh) 半挂冷藏车用双驱机组
JP2004048943A (ja) 磁気式トルク誘導変換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各種設備
CN2649537Y (zh) 往复式转动输送泵
CN1227497C (zh) 电冰箱的制冰机
CN209382194U (zh) 一种摩托车发动机档位显示装置
KR100391523B1 (ko) 차량의 브레이크 배력보상 클러치장치
CN2563094Y (zh) 自行车后轴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