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346A -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346A
KR20070106346A KR20060039102A KR20060039102A KR20070106346A KR 20070106346 A KR20070106346 A KR 20070106346A KR 20060039102 A KR20060039102 A KR 20060039102A KR 20060039102 A KR20060039102 A KR 20060039102A KR 20070106346 A KR20070106346 A KR 2007010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jaw
cylindrical screen
wast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3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334B1 (ko
Inventor
구대환
Original Assignee
구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환 filed Critical 구대환
Priority to KR2006003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33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건설폐기물의 처리하는 과정에서 콘크러셔(corn crusher) 또는 밀크러셔(mill crusher)에 의해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파쇄하는 경우, 순수한 콘크리트는 콘크러셔에 의해 세팅된 일정한 지름을 가지고 파쇄되어 조각으로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폐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프레임, 고형화된 플라스틱자재,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은 콘크리트 조각과 같이 일정한 세팅된 지름의 범위내에서 파쇄되지 않고 길쭉하거나 너덜너덜한 형태로 파쇄되어 배출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콘크러셔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된 콘크리트 조각들과 이물질을 분리하여 선별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of construc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
10: 콘크러셔 20: 폐콘크리트덩어리
22: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 24: 파쇄된 폐콘크리트 조각
30: 원통스크린 50: 제 1 콘베이어
52: 보조받침 60: 제 2 콘베이어
70: 제 3 콘베이어 100: 나선형 턱
110: 구멍 120: 골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건설폐기물의 처리하는 과정에서 콘크러셔(corn crusher) 또는 밀크러셔(mill crusher)에 의해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파쇄하는 경우, 순수한 콘크리트는 콘크러셔에 의해 세팅된 일정한 지름을 가지고 파쇄되어 조각으로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폐콘크리트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프레임, 고형화된 플라스틱자재,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은 콘크리트 조각과 같이 일정한 세팅된 지름의 범위내에서 파쇄되지 않고 길쭉하거나 너덜너덜한 형태로 파쇄되어 배출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콘크러셔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된 콘크리트 조각들과 이물질을 분리하여 선별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많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폐기물은 토사를 비롯하여,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벽돌, 폐타일, 폐석재, 폐기와, 폐블록 등이 포함되는 건설폐재류와, 폐목재류를 비롯하여, 폐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종이류, 폐유리류, 오니류 폐섬유류, 소각 잔재물 등이 포함되는 혼합폐재류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폐재류가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매립용, 소각용 및 재활용으로 분리 처리하게 되며, 특히 근년에는 폐기물량의 상당한 포션을 차지하는 건설폐재류를 각종 구조물 또는 건축재의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함으로써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건설폐기물중에서 폐콘크리트를 재생처리하기 위하여 콘크러셔를 이용하여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다만, 일반적으로 폐콘크리트에는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목재, 불연성자재, 내열성자재, 고형화된 폐합성수지, 직물이 지지수단으로 포함된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콘크리트 조각들과 이물질들을 선별하기 위해서 진동스크린 등을 사용하여지만, 콘크리트조각과 이물질의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폐콘크리트 덩 어리를 콘크러셔 (본 발명에서는 콘크러셔는 밀러(miller) 기계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한다.) 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 이하의 콘크리트조각들로 파쇄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조각들과 폐콘크리트 덩어리에 함유되어 있는 목재, 불연성자재, 내열성자재, 고형화된 폐합성수지, 직물이 지지수단으로 포함된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는, 폐콘크리트 덩어리 (10) 를 콘크러셔 (10)에 의해 일정한 지름의 범위내로 파쇄하는 경우, 상기 콘크러셔 (10) 로 부터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 (24) 과 상기 폐콘크리트 덩어리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22) 을 선별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로서,
상기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는 상기 콘크러셔 (20) 로 부터 파쇄되어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투입되는 원통스크린 (30) 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은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의 내부 표면 전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턱 (100) 이 나사선의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 모양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콜 (120) 에는 다수개의 구멍들 (110) 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상기 나사선 모양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에 놓여져 상기 원통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상기 골 (120) 에 놓여진 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상기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 (22) 은 상기 골에 놓여져 이동하여, 상기 원통스크린 (30) 에서 상기 이물질 (22) 이 투입된 반대쪽 개구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상기 콘크러셔 (10)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2개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장점 및 바람직한 실시예 등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는 돌 등의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콘크러셔 (10), 파쇄되거나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컨베이어들 (50, 60, 70), 콘크러셔 (10) 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돌 등의 석재와 나무조각 등으로 선별하는 원통스크린 (30) 로 구성된다. 제 1 컨베이어 (50) 와 원통스크린 (30) 사이에는 보조받침 (52) 이 설치되어 제 1 컨베이 어 (50) 로 부터 이송되는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 (24) 이 원통스크린 (30) 안으로 투입되게 한다.
콘 크러셔 (10) (본 발명에서는 밀 크러셔(Mill Crusher) 를 포함한다.)로 건설폐기물 중 폐콘크리트 덩어리 (20) 를 파쇄하는 경우에 폐콘크리트 조각 (24) 은 콘 크러셔 (10) 의 특성상 일정한 지름의 범위내에서 파쇄가 되지만, 폐콘크리트 덩어리 (20)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와 같은 목재, 석고판넬, 플라스틱 등의 이물질 (22) 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조각 (24) 처럼 일정한 지름을 가지면서 파쇄가 되지 않고 길쭉하거나, 넙적하거나, 너덜너덜한 형태를 가지며 파쇄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는 콘크러셔 (10) 에 의해 파쇄가 되면 일정한 지름을 유지하는 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들 (24) 의 지름만큼의 폭을 가지나 길죽하게 파쇄되기 쉬운 나무조각, 너덜너덜하게 파쇄되기 쉬운 직물이 포함된 석고보드 판넬조각 등의 이물질들 (22) 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콘크러셔 (cone crusher) (10) 란,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현장에서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장치로, 2차 또는 3차 파쇄를 하는 쇄석기로서 충격력과 압축력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기계이다. 짧은 수직 모양의 중심축 위에 우산처럼 생긴 콘 맨틀 헤드를 달아서, 이것의 편심운동으로 틀에 장치한 콘 케이브 볼(cone cave ball) 에 돌이 물려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파쇄된다. 회전속도는 430∼580rpm이다. 자이러토리 크러셔와 구조와 파쇄운동이 비슷하지만, 콘이 좀더 짧고 공급수 치수가 작으며 타격(打擊) 작용으로 파쇄되므로, 구조가 좀더 복 잡하고 파쇄비가 비싸다. 배출구 간격 치수가 커서 규격품을 생산할 수 있고 파쇄되는 범위를 세팅하여 일정한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잔 골재(骨材)를 대량 생산하기에 알맞다.
종래의 콘크러셔 (10) 는 기계적인 특성상 파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조각의 크기를 일정 지름으로 세팅을 하면 최대로 ± 10% 의 오차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세팅값의 지름을 가지는 파쇄된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배출된다. 예를 들어, 폐콘크리트의 파쇄 범위의 세팅값을 30mm 로 하면 최대로 ± 10% 를 넘지 않는 오차범위내인 27mm 내지 33mm 내의 지름을 가지도록 콘크리트 조각들 (24) 이 배출된다. 다만, 파쇄된 폐콘크리트 덩어리 (20) 에 함유된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은 그 물질의 특성상 파쇄 범위의 세팅값을 30mm 로 하여도 콘크리트 조각들 (24) 처럼 둥그렇게 파쇄되지 않고 폭이 30mm 가 되도록 눌려져 길죽하게 파쇄되어 배출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러셔 (10) 에서 폐콘크리트 덩어리 (20) 를 파쇄하여 배출하고자 하는 범위를 세팅한다. 예를 들어, 30mm 의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콘크리트 조각들로 폐콘크리트 (20) 를 파쇄하고자 하면, 콘크러셔의 세팅값을 30mm 로 한다. 콘크러셔 (10) 의 파쇄범위의 세팅값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는 구멍들 (110) 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스크린 (30) 을 설치한다.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현장에서는 콘크러셔 (10) 의 콘크리트 (20) 의 파쇄 범위의 지름을 일단 세팅을 하면 거의 바꾸지 않기 때문에 변화된 세팅값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을 교체할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러셔 (10) 에 파쇄하고자 하는 폐콘크리트 (20) 를 투입한다. 콘크러셔 (10) 에서 세팅된 지름값의 범위로 파쇄된 폐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들 (22) 이 제 1 컨베이어 (50) 에 올려져 이동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로 투입되고,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건설폐기물들 (22, 24) 중에서 일정한 규격의 지름을 가지는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들 (22) 은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고, 제 3 컨베이어 (70) 위에 떨어져서 이동한다. 그리고, 길죽하게 파쇄된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 (22) 들은 원통스크린 (30) 내부에 나사선 방식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컨베이어 (60) 로 떨어져서 이동하게 된다.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콘크러셔 (20) 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 (24) 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0 내지 20% 더 긴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더 긴 지름에 근접한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콘크러셔 (10) 를 통해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 (24) 의 최대 크기를 30mm 로 세팅한다면,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30mm 내지 36mm 의 범위로 제작하고, 33mm 가 10% 더 긴 지름이므로 특히 32mm 내지 34mm 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을 콘크러셔 (20) 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 (24) 들의 세팅된 지름 값보다 10 내지 20% 만큼 더 긴 지름으로 설정하여 제작한 경우에 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기 쉽고, 반면에 나무조각 등의 길죽한 이물질들 (22) 은 구멍들 (110) 을 통해 배출이 않되기 때문이다.
만일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이 콘크러셔 (20) 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 (24) 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10% 이하로 긴 경우에는, 콘크러셔 (20) 를 통하여 실제로 배출되는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들 (24) 의 지름 크기가 상기 파쇄 지름 세팅 값보다 큰 것이 있어서 쉽게 구멍 (110)을 통하여 배출되기 어렵울 수 있다.
그리고, 원통스크린 (30) 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이 콘크러셔 (20) 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 (24) 들의 지름 세팅값보다 20% 이상 큰 경우에는 콘크리트 조각들 (24) 뿐만 아니라 나무조각 등의 길죽한 이물질들 (22) 도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의 안쪽면 내부 전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턱 (100) 이 나선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스크린 (30) 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을 따라 길죽한 모양의 나무조각들의 이물질 (22)과 콘크리트 조각들 (24) 등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모양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에는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들 (24) 이 이탈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는 다수의 구멍들 (110) 이 형성되어 있다.
골 (120) 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콘크러셔 (10)로 파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조각 (24)의 크기의 지름을 세팅한 값보다 0 내지 20% 더 긴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더 긴 지름에 근접한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 (120) 의 폭은 구멍 (110) 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구멍 (110) 의 지름의 길이 보다 20% 를 넘지 않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멍이 30mm 라면 턱 (100) 을 제외한 골 (120) 의 폭 길이는 30mm 내지 36mm 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의 내부에 나선모양으로 턱 (100) 이 형성된 이유는 도 1 및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의 원통스크린 (30) 내부에서의 이송속도 및 이송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즉,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을 이송시켜서 원통스크린 (30) 의 투입된 개방부과 반대쪽 개방부로 배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원통스크린의 기울기를 기울이는 방식 또는 원통 스크린 (30) 을 진동시켜서 파쇄된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을 이송시키는 방식을 채용한다면,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이물질 (22) 과 콘크리 트조각들 (24) 의 초당 이송거리 및 이송속도의 조절이 불가능하다.
또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원통스크린 (30) 내부로 투입된다면, 단순히 기울어져 있거나, 진동하는 원통스크린 (30) 을 통하여 콘크리트 조각들 (24) 과 이물질 (22) 의 분리가 어려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나선형으로 형성된 턱 (100) 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원통스크린 (30) 내부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의 간격이 도 2 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통스크린 (30) 내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의 간격보다 2배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폐콘크리트 덩어리 (20) 가 콘크리트보다 많은 양의 나무가지 등의 이물질 (22) 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어야 하는 콘크리트 조각들 (24) 만큼 별도로 선별되어야 하는 이물질 (22) 의 양이 많기 때문에 턱 (100) 과 턱 (100) 의 사이의 골 (120) 에 모든 콘크리트조각들 (24) 과 이물질들 (22) 이 놓여지지 않고, 턱 (100) 위에 이물질 (22) 이 걸쳐져 놓여지게 된다.
특히, 이물질 (22) 이 다량의 직물이 함유된 석고보드 등인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원통스크린 (30) 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 콘크리트조각들 (24) 과 이물질들 (22)이 나사선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사이의 골 (120) 안착되어 이동하기 보다는 턱 (100) 에 걸려서 원통스크린 (30) 내부에서 위로 튈 가능성이 높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안으로 도 3 과 같이 턱 (100) 과 턱 (100) 의 사이의 골 (120) 의 폭을 2배로 증가한 것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 의 원통스크린 (30)이다.
도 3 의 제 2 실시예의 원통스크린 (30) 에서는 파쇄전의 폐콘크리트 (20) 에 이물질 (22) 이 20% 이상 함유된 폐콘크리트 (20) 가 콘크러셔 (10) 에 의해 파쇄된 경우 도 2 의 제 1 실시예의 원통스크린 (30) 보다 더욱더 효율적으로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 조각들 (24) 로 분리되어 선별이 되었다.
도 3 의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골 (120) 의 폭은 2개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의 합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2개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의 합의 길이보다 20% 를 넘지 않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멍의 지름이 30mm 라면 턱 (100) 을 제외한 골 (120) 의 폭 길이는 60mm 내지 72mm 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원통스크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파쇄된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제 1 콘 베이어 (50) 에 의해 투입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원통스크린 (30) 의 전체길이에서 2/3 부분에만 구멍들 (110) 이 형성되고, 이물질 (22) 이 배출되는 방향의 1/3 부분은 구멍들 (10)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통스크린 (30)의 구성이다.
원통스크린 (30) 의 전체길이를 길게 하여 원통스크린 (30) 에서 파쇄된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이 투입되는 부분쪽에만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배출되는 구멍들 (110) 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조각들 (24) 을 배출하여 원통스크린의 반대쪽 부분에는 구멍들 (110) 이 형성되지 않고 이물질 (22) 만이 원통스크린 (30) 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나사선 모양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을 따라 이송되어 제 2 콘베이어 (60) 로 배출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목재, 불연성자재, 내열성자재, 고형화된 폐합성수지, 직물이 지지수단으로 포함된 석고보드판넬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콘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순수한 콘크리트조각들과 이물질로 선별이 되는 수율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통스크린 자체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을 할 수 있으므로, 콘크러셔에 의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들의 지름값을 세팅한 값이 달라진다 하더라도, 많은 비용의 추가없이 콘크러셔에 의해 배출되는 콘크리트 조각들의 세팅된 지름값에 대응하는 구멍 사이즈를 가지는 원통스크린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현저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폐콘크리트 덩어리 (10) 를 콘크러셔 (10)에 의해 일정한 지름의 범위내로 파쇄하는 경우, 상기 콘크러셔 (10) 로 부터 파쇄되어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 (24) 과 상기 폐콘크리트 덩어리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22) 을 선별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로서,
    상기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는 상기 콘크러셔 (20) 로 부터 파쇄되어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투입되는 원통스크린 (30) 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스크린 (30) 은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의 내부 표면 전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턱 (100) 이 나사선의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 모양의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콜 (120) 에는 다수개의 구멍들 (110) 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22) 과 콘크리트조각들 (24) 이 상기 나사선 모양으로 형성된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 에 놓여져 상기 원통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상기 골 (120) 에 놓여진 콘크리트 조각들 (24) 은 상기 구멍들 (110) 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 (22) 은 상기 골에 놓여져 이동하여, 상기 원통스크린 (30) 에서 상기 이물질 (22) 이 투입된 반대쪽 개구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멍들 (110) 의 지름은 상기 콘크러셔 (10)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조각들의 지름세팅값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 (100) 과 턱 (100) 사이의 골 (120)의 폭길이는 상기 구멍 (110) 2개의 지름보다 0% 내지 20% 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060039102A 2006-04-29 2006-04-29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77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9102A KR100773334B1 (ko) 2006-04-29 2006-04-29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9102A KR100773334B1 (ko) 2006-04-29 2006-04-29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346A true KR20070106346A (ko) 2007-11-01
KR100773334B1 KR100773334B1 (ko) 2007-11-05

Family

ID=3906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9102A KR100773334B1 (ko) 2006-04-29 2006-04-29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3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73B1 (ko) * 2010-10-25 2013-03-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KR101491644B1 (ko) * 2013-12-31 2015-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매립용 혼합 건설폐기물의 복합식 분리선별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94954A1 (ko) * 2015-11-30 2017-06-08 태양산업주식회사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시스템
KR102607527B1 (ko) * 2023-06-08 2023-11-29 이인묵 폐태양광 패널 유리 재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235B1 (ko) * 2001-11-26 2004-03-18 경원광업 주식회사 건축폐기물 분리기
KR100488168B1 (ko) * 2002-04-03 2005-05-11 대금환경개발 주식회사 건축폐기물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40054849A (ko) * 2002-12-18 2004-06-26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73B1 (ko) * 2010-10-25 2013-03-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KR101491644B1 (ko) * 2013-12-31 2015-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매립용 혼합 건설폐기물의 복합식 분리선별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94954A1 (ko) * 2015-11-30 2017-06-08 태양산업주식회사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시스템
KR102607527B1 (ko) * 2023-06-08 2023-11-29 이인묵 폐태양광 패널 유리 재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334B1 (ko) 2007-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120B1 (ko)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16470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CN202097009U (zh) 环保干法集料机制砂生产系统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20080114459A (ko) 골재 분류 장치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CN101691732B (zh) 高速公路沥青路面集料破碎水洗工艺
KR20110090503A (ko) 다단 맨틀 구조를 갖는 임팩트형 콘 크러셔
KR102185882B1 (ko) 순환골재 생산 시스템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KR100773334B1 (ko)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CN106694157B (zh) 一种新型建筑垃圾处理装置
KR10076464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956741B1 (ko) 골재 파쇄물을 이용한 모래 제조방법
KR100529587B1 (ko) 골재 재생을 위한 건설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535654B1 (ko) 건축폐기물 자동처리장치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KR100810161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58365A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870986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197340B1 (ko)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0284248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원통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