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657A - 안경형 모니터 - Google Patents

안경형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657A
KR20070105657A KR1020060038098A KR20060038098A KR20070105657A KR 20070105657 A KR20070105657 A KR 20070105657A KR 1020060038098 A KR1020060038098 A KR 1020060038098A KR 20060038098 A KR20060038098 A KR 20060038098A KR 20070105657 A KR20070105657 A KR 2007010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ype monitor
monitor
spectac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2103B1 (ko
Inventor
송혁규
Original Assignee
(주)디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컴 filed Critical (주)디오컴
Priority to KR102006003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10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04N11/1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the chrominance signal alternating in phase, e.g. PAL-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로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안경형 모니터, 배경 영상 투과, 시력, 도수, 오버레이

Description

안경형 모니터{GLASS TYPE MONI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데이터 입력부 120: 영상 처리부
130: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 140: 영상 입사부
145: 후크 150: 도수 조절부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형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안경형 모니터는 사용자가 안경처럼 착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로서, 예컨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또는 FMD(Face Mounted Display) 등의 용어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이러한 안경형 모니터는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군사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 그리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 영상 및 통신 기술의 발전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점차 민간용으로도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개발에 따라서 점차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안경형 모니터의 보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안경형 모니터는 특히 시-쓰루(see-through) 형태로 구현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구현에 그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씨-쓰루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지닌다.
우선 시-쓰루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다.
즉 씨-쓰루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에서는 차광 필터를 사용하여 외부 배경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차광 필터를 제거하여 사용하고 외부 배경 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차광 필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광 필터의 구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안경형 모니터의 크기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은 특히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cybersickness)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외 부의 배경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씨-클로스(see-close) 형태의 경우 사이버증상이 좀더 악화되며, 또한 시-쓰루 형태의 경우에도 투과율에 따라서 사이버증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경형 모니터 사용 도중에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나 현재의 안경형 모니터 구성에서는 이러한 투과율 조절을 위해서는 복잡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생산 비용의 증가 및 부피 증가의 한 원인이 된다.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영상을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각 사용자에 따라서 시력이 다르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도수를 가지도록 영상을 변환하여야 하나 이러한 각 사용자마다 별도로 시력에 맞도록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은 안경형 모니터 생산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로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로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와, 상기 영상 입사부를 통과한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도수에 따라서 조절하는 도수 조절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안경형 모니터로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안경을 통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다수의 투과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도수 조절부는 상기 영상 입사부와 상기 사용자의 눈 사이의 광 경로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도수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안경 다리는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경 다리가 탈착되는 경우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부는 프로젝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또는 한쪽 눈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에서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부분을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부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외부의 오디오를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MPEG-2, MPEG-4 또는 Divx 규격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JPEG 규격의 정지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S-Video, 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의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안경형 모니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블록도는 데이터 입력부(110)와, 영상 처리부(120)와,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와, 영상 입사부(140)와, 도수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컨대 DVD 등을 통하여 판독되거나 TV 수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이거나 또는 PC 등의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부착되는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적외선 필터링 등의 처리를 통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는 예컨대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된 영상 재생장치, 즉 VTR 또는 DVD 플레이어,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또는 Divx 플레이어 등에 쓰이는 MPEG-2, MPEG-4, JPEG, Divx 등 각종 규격의 영상 신호일 수 있다. 또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일 수 있다. 또는 S-Video 신호일 수 있다. 또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컴퓨터 장치들의 영상 신호에 사용되는 영상출력 신호(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 등)에 대하여서도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전술한 각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입사부(140)는 영상 처리부(120)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영상 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통하여 투과되는 배경 영상을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킨다. 영상 입사부(14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미지 영상의 일부만을 반사시키는 프로젝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 입사부(140)는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양쪽 눈 또는 한쪽 눈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상 입사부(140)의 배치는 다양한 응용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쪽 눈으로는 외부 배경 영상만을 보면서, 다른 한쪽 눈으로는 이미지 영상을 보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의료 시술을 수행하는 의사의 경우 한쪽 눈에 대응해서는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되지 않고 다른 한 쪽 눈에 대응해서만 영상 입사부(140)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수술 도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된 쪽의 눈을 통하여 보면서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는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한다.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 즉 투과율의 조절은 전술하였듯이 증강 현실의 구현에 있어서 사용자의 몰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즉 배경 영상과 이미지 영상의 효율적인 동시 제공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정비 등에 있어서 배경 영상인 자동차 부품과 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이미지 영상, 예컨대 해당 부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 또는 정비 순서 등의 부가 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사이버증상의 경우 배경 영상을 보지 않고 이미지 영상만을 보는 경우 그 증상이 심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사이버증상이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에 의해서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높여서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이버증상이 완화된 경우에는 이미지 영상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도수 조절부(150)는 영상 입사부(140)를 통과한 이미지 영상 또는 배경 영상을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시력 도수에 따라서 조절한다.
즉 현재의 안경형 모니터는 일반적인 사용자를 기준으로 제조되므로 특히 시력이 낮은 사용자는 사용에 불편함을 가져온다. 예컨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안경과 안경형 모니터를 동시에 착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경우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영상 입사부(140)를 통과한 이미지 영상 또는 배경 영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수 조절부(150)는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오목 렌즈 또는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의 조합, 또는 볼록 렌즈의 조합, 또는 오목 렌즈와 볼록 렌즈의 조합 등의 다양한 구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수 조절부(150)는 별도의 렌즈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안경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안경형 모니터를 착용하는 경우 예컨대 이어폰 또는 헤드폰 형태로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형태가 아니라 골전도 스피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마이크로폰 등의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이로 센서 등을 부착 또는 탈착 가능하게 설계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 움직임의 감지는 이를 통하여 간단한 신호 입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예컨대 데이터 입력부(110), 영상 처 리부(120),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 영상 입사부(140)를 안경 형태로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도수 조절부(150)를 탈착 또는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도수 조절부(150), 영상 입사부(140)를 안경 형태로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탈착 또는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영상 입사부(14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일체형 구성을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탈착 또는 부착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 오디오 신호 출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부, 움직임 감지부 등은 일체형 구성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데이터 입력부(110)와, 영상 처리부(120)의 도시는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가 안경 형태로 구현되며, 안경의 렌즈 부분에 대응하여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되어 있다.
영상 입사부(140)의 연결부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 또는 도수 조절부(150)의 장착을 위한 후크(145a, 145b)가 구비된다.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는 후크(145a)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부착 또는 탈착되며, 도수 조절부(150)는 후크(145b)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부착 또는 탈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 즉 필터를 부착하거나 탈착하고, 도수 조절부(150), 즉 렌즈를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자신이 원하는 환경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후크(145a)를 통하여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가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도시되었지만,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배치 또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컨대 다수의 편광 필터를 사용하여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즉 다수의 편광 필터를 고정적으로 영상 입사부(140)의 전면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다수의 편광 필터의 배치를 조절하여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는 도 2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의 부착 또는 탈착을 위한 후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투과 농도 조절 필터를 후크를 통하여 부착하거나 탈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집게 형태로 투과 농도 조절 필터를 부착하거나 탈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의 부착 또는 탈착을 위한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에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삽입하거나 또는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비록 도 2에는 후크(145b)를 통하여 도수 조절부(150)가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집게 형태로 자신의 시력에 맞는 렌즈를 부착하거나 탈착 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도수 조절부(150)의 부착 또는 탈착을 위한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에 도수 조절부(150)를 삽입하거나 또는 배출하도록 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안경형 모니터에서 안경 다리 부분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다리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머리끈 부착 고리 등을 이용하여 머리띠 형식의 탄성 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에 스키 고글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물론 안경 다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일반 안경과 같이 착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안경형 모니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데이터 입력부(110)와, 영상 처리부(120)의 도시는 생략된다.
도시되듯이, 사용자의 안경의 렌즈가 도수 조절부(150)에 대응되며, 한쪽 렌즈에만 대응하여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된다. 영상 입사부(140)와 안경의 탈부착은 예컨대 후크 등을 통해서 가능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영상 입사부(140)의 앞부분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또는 고정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도 3에 도시된 구현예는 오버레이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로도 지칭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다양한 사례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우선 안경 탈부착식 단안 모니터의 경우이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오버레이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를 구현하되 한쪽 눈에만 대응하여 영상 입사부(140)를 배치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한쪽 눈을 통해서는 외부의 배경 영상만을 보며 다른 한쪽 눈을 통해서는 이미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업 현장, 예컨대 자동차 정비 등에서 한쪽 눈으로는 부품을 보면서 다른 한쪽 눈으로는 부품의 정비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촬영 장치를 통하여 부품의 영상을 입력받아 확대하여 영상 입사부가 배치되는 쪽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장치를 통한 이미지 영상의 획득은 예컨대 의료용 수술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오버레이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를 사용자의 양쪽 눈 모두에 대응하도록 양안 오버레이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단안 또는 양안 안경형 모니터의 경우이다. 이 경우 도 2의 형태로 구현되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 또는 도수 조절부가 탈부착 가능 또는 고정 형태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내장 선글라스 형태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안경형 모니터에 소형 카메라를 장치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면서 즉시 안경형 모니터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산업용 투시 장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화재 현장에서 연기 가 자욱하여 앞이 보이지 않는 경우 등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IR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데이터 입력부로서 구비하여 IR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경우 화재 현장에서도 적외선 필터링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안경형 모니터로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
  2. 안경형 모니터로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와,
    상기 영상 입사부를 통과한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도수에 따라서 조절하는 도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
  3.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안경형 모니터로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안경을 통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부를 통과한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시력 도수에 따라서 조절하는 도수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
  5.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 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6. 제3항에 있어서,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안경을 통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7.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다수의 투과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8.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것인 안경형 모니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10.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 조절부는 상기 영상 입사부와 상기 사용자의 눈 사이의 광 경로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탈착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도수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안경 다리는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것인 안경형 모니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가 탈착되는 경우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1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부는 프로젝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1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또는 한쪽 눈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1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
  1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에서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부분을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외부의 오디오를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부는 골전도 스피커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
  2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
  21.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MPEG-2, MPEG-4 또는 Divx 규격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JPEG 규격의 정지 영상 데이터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
  22.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
  23.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S-Video, 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의 영상 신호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
KR1020060038098A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 KR100782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8A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8A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57A true KR20070105657A (ko) 2007-10-31
KR100782103B1 KR100782103B1 (ko) 2007-12-04

Family

ID=3881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98A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1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2855A2 (en) * 2011-10-07 2013-04-11 Google Inc. Wearable computer with nearby object response
WO2014120388A1 (en) * 2013-01-31 2014-08-07 Google Inc.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with eye prescription
WO2015002377A1 (en) * 2013-07-02 2015-01-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29646B2 (en) 2015-10-28 2019-10-01 Google Llc Free space optical combiner with prescription integ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551B1 (ko) 2015-01-29 2018-10-12 유퍼스트(주)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KR20230161699A (ko) 2022-05-19 2023-11-28 윤재현 SIM chip을 이용한 스마트 폰 발전형 다기능 컨텐츠 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8717A (en) * 1987-09-10 1989-03-14 Toshiba Corp Shutter spectacles
JPH0767055A (ja) * 1993-08-24 1995-03-10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装置
KR19980085444A (ko) * 1997-05-29 1998-12-05 구자홍 머리장착영상표시기의 외광 차단/통과 조절장치
KR19990048194A (ko) * 1997-12-08 1999-07-05 구자홍 씨-쓰루 기능의 hmd
KR100388392B1 (ko) * 2000-10-05 2003-06-25 (주)디오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셋
DE10311972A1 (de) * 2003-03-18 2004-09-30 Carl Zeiss HMD-Vorricht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2855A2 (en) * 2011-10-07 2013-04-11 Google Inc. Wearable computer with nearby object response
WO2013052855A3 (en) * 2011-10-07 2013-05-30 Google Inc. Wearable computer with nearby object response
WO2014120388A1 (en) * 2013-01-31 2014-08-07 Google Inc.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with eye prescription
US9057826B2 (en) 2013-01-31 2015-06-16 Google Inc.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with eye prescription
WO2015002377A1 (en) * 2013-07-02 2015-01-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29646B2 (en) 2015-10-28 2019-10-01 Google Llc Free space optical combiner with prescription integ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103B1 (ko) 200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80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head mounted vision augmentation systems
KR100782103B1 (ko) 안경형 모니터
US10139625B2 (en) Sliding frame
US20170235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head mounted vision augmentation systems
JP5250834B2 (ja) 頭部装着式映像表示装置
TWI564590B (zh) Image can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glasses
JP5720068B1 (ja) 自己撮影機能付スマートグラス
JP2017060078A (ja) 画像録画システム、ユーザ装着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録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88582A1 (en) Surgical telescope with dual virtual-image screens
KR20220055966A (ko) 높은 광시야각을 구현하기 위한 안경식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51428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20130067902A (ko) 안경형 이동 통신 단말 장치
JP2008123257A (ja) 遠隔作業支援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
JP2003287708A (ja) 視覚拡張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6544901B2 (ja) 視覚補助システムおよび視覚補助装置
KR20130045002A (ko) 안경형 모니터
KR200389180Y1 (ko)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안경
JP3907523B2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CN212064235U (zh) 一种全息波导显示系统
CN210199403U (zh) 一种可支持多种连接方式的vr眼镜
CN214586339U (zh) 一种穿戴式的电子取景器
JPH11341399A (ja) 眼鏡型画像表示装置
KR200304507Y1 (ko) 광 영상전송에 의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 장치
GB2597099A (en) Head mounted display
JP2001148871A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