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557A -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557A
KR20070105557A KR1020060037822A KR20060037822A KR20070105557A KR 20070105557 A KR20070105557 A KR 20070105557A KR 1020060037822 A KR1020060037822 A KR 1020060037822A KR 20060037822 A KR20060037822 A KR 20060037822A KR 20070105557 A KR20070105557 A KR 20070105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portable terminal
function
imag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은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6003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557A/ko
Publication of KR2007010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와 특정 방향으로 포인터 광을 투사하기 위한 포인터부 및 영상이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밝기 및 초점의 자동 조절이 가능하다.
휴대용 단말기, 프로젝터, 포인터, 거리센서

Description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AND POINTER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와 포인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젝션 및 포인팅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의 거리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의 동작 범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기능과 포인터 기능을 포함하고 동시에 구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여러가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특히 영상 또는 동영상을 확인하거나 상대방에게 보여줄 때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작은 표시창을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확대하여 보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PC나 노트북 등의 다른 단말기와 연결해야 하거나 별도의 프로젝터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프로젝터 기능과 포인터 기능을 개별적으로 구비하거나 모두 구비하였으나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선행기술이 존재하였으나 이는 프로젝터 기능과 포인터 기능 중 어느 한 기능만을 특화한 것이다. 즉,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젝터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상의 특정 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타 프로젝터를 통하여 출력된 공유 영상의 특정 지점을 포인팅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포인터 기능을 개별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프로젝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별도의 포인터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확대된 영상의 밝기와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못하여, 프로젝터로서의 실질적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가 프로젝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포인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하고,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프로젝션의 밝기와 초점 및 포인터의 밝기와 방사각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동시에 구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프로젝션의 밝기와 초점 및 포인터의 밝기와 각도의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동시에 구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리센서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거리측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동시에 구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를 구동시켜 프로젝션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동시에 구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 특정 방향으로 포인터 광을 투사하기 위한 포인터부; 및 상기 영상이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외부환경정보를 인식하거나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부환경정보 중 외부 밝기에 상응하는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투사 영상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영상 투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사 영상이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정보를 인식하거나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거리정보에 상응하는 투사 영상의 초점 조절을 위한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상기 투사 영상의 초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영상 투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방향으로 포인터 광을 투사하기 위한 포인터 기능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거리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최대이각에 대한 기본값을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각도 변경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영상 투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포인터 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동작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포인터의 동작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형성면에 포인터 광을 투사하는 단계; 및 포인터의 방향이동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포인터의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각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포인터 각도 제어 방법은 상기 영상이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정보를 인식하거나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거리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최대이각에 대한 기본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포인터의 각도 변경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리센서에서 상기 영상 형성면의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영상 형성면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상기 거리센서의 수광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센서부에서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투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방향이동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퀵 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각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프로젝션부(120), 포인터부(130), 거리센서부(140), 카메라부(150), 키 입력부(160), 데이터 저장부(170) 및 표시부(180)를 포함한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100)는 구비한 기능에 따라 추가 구성요소(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송화부, 음성 처리부 등)을 더 포함할 것임은 자명하나 본 발명의 요지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것은 자명하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하여 동시에 구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프로젝션부(120), 포인터부(130), 거리센서부(140), 카메라부(150), 키 입력부(160), 데이터 저장부(170), 표시부(18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젝션부(120)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210)를 포함하며 표시부(180)를 통해 표시된 영상,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정보, 또는 무선 또는 유선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정보를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휴대용 단말기(100) 외부로 영상의 형태로 투사한다.
포인터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인터 광을 발생시키는 포인터(220)를 포함하며 제어부(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형성면(410, 도 4 참조)에 포인터 광(예를 들어, 레이저 빔)을 투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리센서부(140)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230)를 포함하며, 제어부(110)의 동작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영상 형성면(4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거리센서부(140)는 포인터(220)가 포인터 광을 투사하는 경우, 포인터(220)에서 투사되는 포인터 광을 수신하여 거리측정을 할 수 있다. 또한 거리센서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거리측정기능만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줄자기능, 자동차 주차시 앞벽과 차량간의 거리알림 등). 거리센서부(140)에 의해 측정된 거리 측정값은 프로젝션부(120)에 의해 투사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거나, 포인터 광의 방사각을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270)를 포함하여 카메라부(150)의 일반적인 기능인 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빛의 세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0)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6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아 상응하는 동작명령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또한 키 입력부(160)는 미리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환경(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 패드상의 "상" 키를 길게 누르면 프로젝터가 동작하여 영상을 투사하거나 "하" 키를 길게 누르면 포인터가 동작하여 포인터 광을 투사할 수 있음)에 따라 프로젝터(210)의 동작 여부, 포인터(220)의 동작 여부 및 포인터의 방향이동 명령, 거리센서(230)의 동작 여부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키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물론, 당해 운용 프로그램 등은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발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외부환경정보(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사용되는 주변환경의 밝기 정보) 및 거리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의 밝기 또는 초점과 초점 조절, 포인터의 밝기와 각도의 기본값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선택된 데이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등을 표시창(260)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80)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와 포인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프로젝터(210), 포인터(220), 거리센서(230), 선택스위치(240), 키 패드(250), 표시창(260), 카메라(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 스위치(240)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볼륨 조절 등의 기능 외에 설정 여부에 따라 프로젝션 기능의 수행 개시 등을 위한 기능 버튼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프로젝터 기능과 포인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순서를 상세히 살펴보며, 각 도면의 세부 설명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순서에 따라 필요한 위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젝션 및 포인팅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의 거리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의 동작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버튼 조작에 의해 프로젝터(210)의 동작명령을 입력받는다. 이 경우 동작명령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환경에 따라 선택스위치(240)나 키 패드(250)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스위치나 키 패드상의 임의의 키를 길게 누르면, 프로젝터의 동작명령신호가 제어부(110)로 입력됨).
단계 310에서 프로젝터부(120)는 표시창(260)상에 표시된 영상, 표시창(260)상의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휴대용 단말기(100) 외부로 투사(projecting)한다. 이 경우 투사된 영상의 밝기, 초점 등은 미리 설정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단계 3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수동 프로젝션 제어모드 진입명령을 입력(예를 들어, 키 패드상의 "상" 키를 길게 누름)하면 단계 320을 수행하고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 340을 수행한다.
단계 320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상의 선택 스위치(240)나 키 패드(250)을 이용하여 표시창(260)상에 표시된 메뉴 항목들 중 영상상태조정 메뉴(예를 들어, 영상의 밝기 조정 메뉴, 영상의 초점 조정 메뉴 등)를 입력하면, 명령을 입력 받은 제어부(110)는 입력된 명령에 상응하는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170)로부터 독출하여 투사된 영상의 밝기와 초점 등을 조절한다.
단계 325에서 사용자가 키 패드(250)상의 미리 지정된 키 번튼을 선택(예를 들어, "우" 키를 길게 누름)하여 포인터 구동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을 입력 받은 제어부(110)는 포인터 구동명령신호를 생성하여 포인터(220)를 구동 시킨다. 이 경우 포인터(220)의 구동명령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실시 형태에 따라 키 패드(250)가 아닌 다른 입력 가능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인터(220)에서 투사되는 포인터 광의 밝기는 미리 설정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1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사용자가 키 패드(250)상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선택(예를 들어, "좌,우" 키를 누름)하여 포인터(220)의 밝기조절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 받은 명령에 상응하여 포인터(220)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 경우 포인터(220)의 밝기조절명령은 선택스위치(240)이나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현된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단계 335에서 사용자가 키 패드(250)상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선택(예를 들어, "우" 키를 길게 누름)하여 포인터(220)의 방향이동모드 진입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 받은 명령에 상응하여 포인터(220)의 밝기 조절 모드의 수행을 정지하고 방향이동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키 패드(250)상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선택(예를 들어, "상,하,좌,우" 키를 누름)하여 포인터(220)의 방향이동명령을 입력하면, 제어 부(110)는 사용자가 키 패드(250)를 터치한 시간에 상응하는 포인터(220)의 이동 각도를 계산하여 포인터(220)의 각도를 조절하여 포인터 광의 포인팅 방향을 제어한다.
이 경우 방향이동명령은 키 패드(250)가 아닌 휴대용 단말기(100)의 실시 형태에 따라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퀵 포인트, 무선 리모콘 등의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버튼이 눌린 횟수에 상응하여 이동 각도가 계산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포인터의 동작과 관련된 단계, 즉 단계 325 내지 단계 335는 프로젝터의 동작 보다 선행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로젝터 동작 여부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거리센서(230)를 독립적으로 구동시켜 거리정보를 생성한 경우에 제어부(110)는 생성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20)의 각도를 영상 형성면(410)에 맺힌 영상의 범위로 제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단계 350에서 생성한 포인터(220)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20)의 각도를 영상 형성면(410)에 맺힌 영상의 범위 내로 제한한다. 여기서 포인터 각도 제한을 위한 기본값은 영상의 최대이각 θ(510), 포인터와 프로젝터의 거리 D(520) 및 영상 형성면까지의 거리 H(530)를 요소로 하여 미리 연산되어 입력된 기본값이다. 따라서 영상 형성면까지의 거리 H(530)가 측정되면 제어부(110)은 H(530)에 따른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170)으로부터 독출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220)의 각도를 영상 형성면(410)에 맺힌 영상의 범위 내로 제한한다.
단계 315에서 사용자에 의한 수동 프로젝션 제어모드 진입명령이 없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계 340을 수행한다.
단계 340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외부환경정보(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주위환경의 밝기 정보 등)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외부환경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은 미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입력화면 내에는 광원의 종류(예를 들어, 형광등), 광원과의 거리, 광원의 색상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가 카메라(270)를 포함하고 있으며 카메라(270)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에, 제어부(110)는 카메라(27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빛의 세기를 이용하여 외부환경정보 중 밝기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단계 345에서 제어부(110)는 거리센서(23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구동신호를 수신한 거리센서부(140)는 거리센서(230)를 이용하여 영상 형성면(4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거리측정 방법과 관련해 도 4를 참조하면, 거리센서(230)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기파 출력부(미도시)에서 영상 형성면(410)을 향해 전자기파가 방출되고, 영상 형성면(410)에서 반사된 전자기파를 거리센서(230)에 포함되어 있는 수광부(미도시)에서 수신한다. 이 경우 수신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거리센서(230)가 영상 형성면(410)까지의 거리를 연산한다. 이때 연산된 거리연산값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거리측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표시창(260) 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제어부(110)는 단계 340과 단계345의 외부환경정보와 거리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의 밝기와 초점 및 포인터(220)의 밝기와 각도 제어를 위하여 미리 설정된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영상과 포인터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355에서 제어부(110)는 단계 350에서 생성한 영상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프로젝터(210)가 투사한 영상의 밝기와 초점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젝션부(120)는 초점의 자동조절을 위하여 포커싱 모터를 포함하는 포커싱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초점의 자동조절은 제어신호를 수신한 포커싱 구동부가 미리 설정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포커싱 모터를 구동 시킴으로써 이루어 진다. 물론, 영상의 밝기와 초점이 자동으로 제어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영상의 밝기와 초점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사용자가 키 패드(250)상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선택(예를 들어, "우" 키를 길게 누름)하여 포인터 구동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을 입력 받은 제어부(110)는 포인터 구동명령신호를 생성하여 포인터(220)를 구동 시킨다. 이 경우 포인터(220)의 구동명령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실시 형태에 따라 키 패드(250)가 아닌 다른 입력 가능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단계 350에서 생성한 포인터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형성면(410)까지의 외부환경정보 및/또는 거리에 따른 포인터의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물론, 포인터의 밝기가 자동으로 제어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포인터의 밝기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단계 365에서 단계 335에서 사용자가 키 패드(250)상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선택(예를 들어, "하" 키를 길게 누름)하여 포인터(220)의 방향이동모드 진입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 받은 명령에 상응하여 포인터(220)의 밝기 조절을 정지하고 방향이동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키 패드(250)상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선택 (예를 들어, "상,하,좌,우" 키를 누름)하여 포인터(220)의 방향이동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키 패드(250)를 터치한 시간에 상응하는 포인터(220)의 이동 각도를 계산하여 포인터(220)의 각도를 조절하여 포인터 광의 포인팅 방향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단계 350에서 생성한 포인터(220)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20)의 각도를 영상 형성면(410)에 맺힌 영상의 범위 내로 제한한다. 여기서 포인터 각도 제한을 위한 기본값은 영상의 최대이각 θ(510), 포인터와 프로젝터의 거리 D(520) 및 영상 형성면까지의 거리 H(530)를 요소로 하여 미리 연산되어 입력된 기본값이다. 따라서 영상 형성면까지의 거리 H(530)가 측정되면 제어부(110)은 H(530)에 따른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170)으로부터 독출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220)의 각도를 영상 형성면(410)에 맺힌 영상의 범위 내로 제한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가 프로젝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포인터를 구비할 필요 없이 양 기능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로젝션의 밝기와 초점 및 포인터의 밝기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리센서와 카메라를 포함함으로써 측정거리에 따른 투사된 영상의 밝기와 초점 및 포인터의 밝기와 각도 제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리센서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거리측정기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
    특정 방향으로 포인터 광을 투사하기 위한 포인터부; 및
    상기 영상이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하나 이상의 외부환경정보를 인식하거나 입력받는 단계;
    상기 외부환경정보 중 외부 밝기에 상응하는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투사 영상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영상 투사 방법.
  4. 투사 영상이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정보를 인식하거나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거리정보에 상응하는 투사 영상의 초점 조절을 위한 기본값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상기 투사 영상의 초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영상 투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방향으로 포인터 광을 투사하기 위한 포인터 기능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거리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최대이각에 대한 기본값을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기본값에 상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각도 변경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영상 투사 방법.
KR1020060037822A 2006-04-26 2006-04-26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70105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22A KR20070105557A (ko) 2006-04-26 2006-04-26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22A KR20070105557A (ko) 2006-04-26 2006-04-26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57A true KR20070105557A (ko) 2007-10-31

Family

ID=3881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822A KR20070105557A (ko) 2006-04-26 2006-04-26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5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91A3 (en) * 2009-12-17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utput of a mobile device
KR101231926B1 (ko) * 2008-04-10 2013-02-0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영상 투사부를 구비하는 초음파 시스템
KR101531506B1 (ko) * 2008-10-21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26B1 (ko) * 2008-04-10 2013-02-0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영상 투사부를 구비하는 초음파 시스템
KR101531506B1 (ko) * 2008-10-21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74891A3 (en) * 2009-12-17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utput of a mobile device
CN102668390A (zh) * 2009-12-17 2012-09-1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移动装置的输出的方法和系统
CN102668390B (zh) * 2009-12-17 2015-04-0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移动装置的输出的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72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display program stored therein
KR101811794B1 (ko) 위치 검출 장치, 위치 검출 시스템 및, 위치 검출 방법
US20150076991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Light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931907B2 (en) Projecting device for detecting brightness regions of a projecting surface and projecting method therefor
JP2010028412A (ja) 電子機器
CN104683722A (zh) 图像显示装置及其的控制方法
US20160070410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nd-wear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CN105938410B (zh)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WO2017130504A1 (ja) 画像投影装置
CN111796783A (zh) 显示屏颜色校准方法、装置及介质
CN109840056B (zh) 图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70105557A (ko)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2297119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08279774B (zh) 区域标定的方法、装置、智能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2333931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9061513A (ja) 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位置検出装置の制御方法
JP6569259B2 (ja) 位置検出装置、表示装置、位置検出方法、及び、表示方法
JP2017169086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3276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718377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6287294A (ja) 表示装置
JP2018054880A (ja)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6105222A (ja) 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発光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210143067A (ko) 스마트 미러 장치
JP5327470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