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267A - 슬러지 탈수용 여포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용 여포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267A
KR20070104267A KR1020070038465A KR20070038465A KR20070104267A KR 20070104267 A KR20070104267 A KR 20070104267A KR 1020070038465 A KR1020070038465 A KR 1020070038465A KR 20070038465 A KR20070038465 A KR 20070038465A KR 20070104267 A KR20070104267 A KR 20070104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ollicle
dewatering
seam
filt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모리
히로유키 오토
가즈유키 사와다
겐 후나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디이
이치가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디이, 이치가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디이
Publication of KR2007010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 B30B9/24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co-operating with a drum or roll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을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으로 탈수 처리하기 위한 슬러지 탈수용 여포(濾布) 벨트의 걸어넣기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용 심(seam) 부착 여포 벨트 및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를 제공한다.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을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으로 탈수 처리하는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에 사용하는 여포 벨트로서, 양 단부에 심 루프를 구비한 오픈 엔드 벨트의 심 루프끼리를 맞물리게 하고, 그것에 의해서 생긴 공통 구멍에 심선(芯線)을 통하여 접합해서 형성된 슬러지 탈수용 심 부착 여포 벨트, 및 여포 벨트 위에 공급된 피탈수 처리물을 가압 벨트 또는 롤러에 의한 가압 및/또는 여포 벨트 하부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여과 탈수하는 탈수부를 구비하고, 이 심 부착 여포 벨트를 감아서,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을 탈수 처리하는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
피탈수 처리물, 여포 벨트, 스퀴즈 롤, 부압 탈수부

Description

슬러지 탈수용 여포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슬러지 탈수 장치{FILTER CLOTH BELT OF SPIN-DRYING SLUDGE AND SLUDGE SPIN-DRYING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의 구조의 일례.
도 2는 오픈 엔드의 여포 벨트의 개략도.
도 3은 오픈 엔드의 여포 벨트 단부의 시밍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바탕천 제직에 의한 루프의 형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바탕천의 CD 방향 단면도.
도 6은 CD사재 중의 단부 가장자리에 조정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CD 방향 단면도.
도 7은 심부가 플랩부에 덮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여포 벨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포 벨트 1A : 여포의 외면층
1B : 여포의 내면층 1C : 여포의 중간층
2 : 공급 박스 3 : 부압 탈수부
4 : 가압 탈수 회전 부착부 4A : 프레스 톱롤
4B : 프레스 보텀롤 5 : 처리물 회수부
5A : 독터 6 : 세정부
6A : 세정 풀 6B, 6C : 샤워 파이프
7 : 교축부 7A,7B : 스퀴즈 롤
S : 피탈수 처리물 C : 처리물
F : 펠트 B : 바탕천
W : 배트층 W1a : 배트층의 플랩 부분
L : 루프 T : 심선(芯線)
11∼19 : CD 사재(絲材) 21∼29 : MD 사재
30 : 조정사(調整絲)
본 발명은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을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으로 탈수 처리하기 위한 슬러지 탈수용 여포(濾布)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여포 벨트식 슬러지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산업 폐수, 하수, 또는 배설물 등을,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으로 탈수하여 처리하는 장치로서, 여포 벨트를 사용하는 벨트 프레스형 탈수 장치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벨트 프레스형 탈수 장치는 여포 벨트 위에서 피탈수 처리물을, 가압 벨트 또는 롤러로 가압하여 수분을 여과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피탈수 처리물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복수의 압착 롤러 및 고압 롤러에 감기는 2개의 무단(無端) 여포 벨트와, 이들을 고압 롤러에 가압하는 1개의 가압 벨트를 구비한 벨트 프레스형 오니(汚泥) 탈수기(특허 문헌 1), 피탈수 처리물을 끼워넣는 2개의 무단 여포 벨트와, 이들을 끼워넣는 2개의 가압 벨트를 복수의 탈수 롤러에 감게 한 구조를 갖는 벨트 프레스형 탈수 분리기(특허 문헌 2) 또는 피탈수 처리물을 끼워넣는 1개의 무단 여포 벨트와 1개의 무단 가압 벨트를 탈수 롤러 및 가압 롤러에 감게 한 구조를 갖는 탈수 장치(특허 문헌 3)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2개의 여포 벨트 사이에, 또는 여포 벨트와 가압 벨트 사이에 피탈수 처리물을 끼워넣어 이송, 탈수를 행하는 방식으로, 2세트의 롤러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단일의 여포 벨트를 사용하여, 부압 탈수부(1), 가압 탈수 회전 부착부 (2), 처리물 회수부 (3), 세정부 (4) 및 교축부(5)를 구비한 탈수 장치에 이 여포 벨트를 걸어 넣어서, 상기 각 파트간을 이 순서대로 주행시켜, 피탈수 처리물을 여포 벨트에 의해 이송하면서 탈수하는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를 제안했다(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소58-18149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소62-24459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6-79113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2001-170419호 공보
그러나, 이들의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에서는, 여포 벨트로서, 어느 것이나 무단 형상으로 감긴 여포 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탈수 장치에 사용하는 여포 벨트는 오염에 의한 교환 회수가 많고, 게다가 여포 벨트는 길고 크며, 또한 광폭으로서 탈수 장치 내를 복잡하게 감겨지므로, 탈수 장치에 걸어넣을 때, 무단 형상 벨트의 경우, 걸어넣기 작업은 곤란하여 걸어넣는 데 시간이 드는 작업이 된다.
이러한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에서 무단 벨트의 결점을 개선하여, 걸어넣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비환형상, 오픈 엔드의 벨트를 사용하여, 이것을 탈수 장치상에서 무단 형상으로 접합(시밍)한 심(seam) 부착 여포 벨트로서 사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양 단부(端部)에 심 루프를 구비한 오픈 엔드 벨트의 심 루프끼리를 맞물리고, 그것에 의해 생긴 공통 구멍에 심선(芯線)을 통하여 접합시켜서 형성된 슬러지 탈수용 심 부착 여포 벨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심 부착 여포 벨트가 탈수 장치 내에 감겨서, 여포 벨트 위에 공급된 피탈수 처리물을 가압 벨트 또는 롤러에 의한 가압 및/또는 여포 벨트 하부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여과 탈수하는 탈수부를 구비한,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을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으로 탈수 처리하는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탈수용의 심 부착 여포 벨트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탈수 효 율, 벨트의 주행성의 향상을 위해, 벨트를 구성하는 각 층의 재료, 형상의 선택, 조합이 중요하다. 또한, 시밍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벨트 구조의 개량이나, 심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표면의 평활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접합부의 표면 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는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을 여과하여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으로 탈수 처리하는 장치이다. 피탈수 처리물로서는, 식품 공업에서의 잉여 오니, 화학 공업, 금속 공업에서의 슬러리로부터의 제품 회수, 폐기물, 하수의 활성 잉여 오니, 생활 배수 오니 등을 들 수 있다.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의 기본 원리는 여포 벨트 위에 공급된 피탈수 처리물을, 가압 벨트 또는 롤러에 의한 가압, 또는 여포 벨트 하부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여과 탈수하는 것에 있으며, 피탈수 처리물을 2개의 여포 벨트 사이에, 또는 여포 벨트와 가압 벨트 사이에 끼워넣어 가압 탈수하는 방법이나, 단일의 여포 벨트를 사용하여, 롤러에 의한 가압 및 여포 벨트 하부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탈수하는 등 각종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는 탈수 장치 내에 감겨진 여포 벨트와, 탈수부를 구비하고 있다. 탈수부는 여포 벨트 위에 공급된 피탈수 처리물을 가압 벨트 또는 롤러에 의한 가압 및/또는 여포 벨트 하부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여과 탈수하는 파트이며,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처리물 회수부, 세정부 및 교축부 등이 설 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의 일례로서 부압 탈수부, 가압 탈수 회전 부착부, 처리물 회수부, 세정부 및 교축부의 각 부로 이루어지며, 유단(有端) 형상 벨트의 양 단이 심되어 형성된, 단일의 심 부착 여포 벨트가 상기 각 부를 이 순서대로 연속 주행하는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서, 1매의 여포 벨트(1)가 부압 탈수부(3), 가압 탈수 회전 부착부(4), 처리물 회수부(5), 세정부(6) 및 교축부(7)를 통하여 감겨져 있다. 부압 탈수부(3)는 여포 벨트(1)의 상면측에 공급되는 피탈수 처리물(S)에 대해서 여포 벨트(1)의 하면측으로부터의 흡인 부압을 작용시켜서 피탈수 처리물(S)을 초기 탈수하는 파트이며, 가압 탈수 회전 부착부(4)는 초기 탈수된 피탈수 처리물(S)을 여포 벨트(1)와 함께 상하 한 쌍의 프레스 롤(4A, 4B) 사이에서 가압하여 탈수하고, 또한, 탈수된 처리물(C)을 상방의 프레스 톱롤(4A)에 회전 부착시켜서 여포 벨트(1)로부터 박리시키는 파트이며, 처리물 회수부(5)는 상방의 프레스 톱롤(4A)에 회전 부착된 처리물(C)을 긁어내어 회수하는 파트이며, 또한, 세정부(6)는 처리물(C)이 박리된 여포 벨트(1)를 세정하는 파트이며, 교축부(7)는 세정수를 짜내는 파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를 사용하여, 우선 피탈수 처리물(S)을 부압 탈수부(3)의 직전에 배치되어 있는 공급 박스(2)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여포 벨트(1)의 상면측에 공급한다. 부압 탈수부에서는 여포 벨트의 하면측으로부터 피탈수 처리물에 대해서 흡인 부압을 작용시켜서, 피탈수 처리 물 중의 수분을 여포 벨트의 하면측에 흡인하여 피탈수 처리물(S)을 초기 탈수한다. 다음에, 가압 탈수 회전 부착부(4)의 프레스 톱롤(4A), 프레스 보텀롤(4B)이 초기 탈수된 피탈수 처리물을 여포 벨트와 함께 가압하여 탈수하고, 탈수된 처리물을 상방의 프레스 톱롤(4A)에 회전 부착시켜서 여포 벨트로부터 박리시킨다. 이어서, 처리물 회수부(5)에서 한쪽의 프레스 롤(4A)에 회전 부착된 처리물을 독터(5A)에 의해 긁어내어 회수하고, 이렇게 하여 피탈수 처리물은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의 처리물(C)로서 분리되어, 회수 박스(5B)에 회수된다. 한편, 처리물이 박리된 여포 벨트는 세정부(6)에서 세정 풀(6A), 샤워 파이프(6B, 6C)에 의해 세정되고, 이어서 교축부(7)의 한 쌍의 스퀴즈 롤(7A, 7B)에서 수분이 짜져서, 공급 박스(2)로 되돌아가고, 새로운 피탈수 처리물(S)이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에서, 여포 벨트로서, 걸어넣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오픈 엔드의 벨트를 사용하고, 이것을 탈수 장치상에서 무단 형상으로 접합한 심 부착 여포 벨트로서 사용한다.
심 부착 여포 벨트에 사용하는 유단 벨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에 복수의 루프(L)가 설치되어 있다. 여포 벨트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포에 의한 바탕천(B)과, 2층의 배트층(W)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트층(W)은 바탕천(B) 위에 적층된 웨브 섬유를 니들 펀치로 서로 얽혀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된다. 바탕천(B)은 도 4와 같이 MD(경사) 방향의 사재(絲材 ; 21∼29)와, CD(위사) 방향의 사재(11∼19)를 제직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리고, MD 방향의 사재가 단부에서 되접어져서, 루프(L)가 구성된다. 사용시에는, 유단 형상의 여포 벨트를 탈수 장치에 걸어넣어, 양 단부를 맞대고, 한쪽 단부의 루프 사이에 다른 쪽 단부의 루프를 끼워 맞추도록 하여, 양 단부의 루프끼리를 맞물리게 한다. 이 맞물리는 작업은, 도 3의 (a)와 같이 양 단부를 산 형상으로 맞붙인 후, 루프끼리를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한쪽 루프 사이에 다른 쪽 루프를 끼워 장착시키는 경우, 다른 쪽 루프는 그 하측으로부터 상측(또는 그 반대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한쪽의 루프 사이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또한, 맞물림 작업에서는, 전용의 지그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양 단부의 루프군(L, L)이 맞물려지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하는 루프의 구멍부에 의해 터널이 형성되고, 거기에 심선(T)을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산 형상으로 맞붙여진 단부를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무단 형상의 여포 벨트(F)가 형성된다.
유단 벨트의 한쪽 단부에 설치한 루프(L) 사이에 다른 쪽 단부의 루프를 끼워 맞추도록 하여, 양 단부의 루프끼리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심 부착 여포 벨트가 형성되는데, 루프(L)는 MD 방향의 사재(21∼29)와, CD 방향의 사재(11∼19)를 제직할 때, MD 방향의 사재의 단부에서의 되접기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 사재(11∼)와 MD 사재(21∼)로 제직된 바탕천에서 MD 사재의 되접기부가 루프(L)가 된다. 이 바탕천의 단부에서의 CD 방향 단면도의 일례를 나타내면 도 5와 같다. 도 5에서, MD 방향 사재(21A∼29A, 21B∼29B)는 각각이 단부로 연결되어 있고, 되접어져서 루프(L)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직된 바탕천에서는, CD 방향 사재와 MD 방향 사재의 제직 에 의해 걸리는 힘의 벡터가, 인접하는 MD사에서는 역방향이 되며, 그 때문에 인접하여 형성된 루프(L)군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생긴다. 그 때문에, 심선(T)을 통하여 양 단부의 루프끼리를 맞물리게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6과 같이, CD 사재 중의 단부 가장자리에 CD 사재와는 다른 직물 패턴에 의해 짜여진 조정사(30)를 설치하여, 양 단부 가장자리의 MD 방향 사재를 외측 방향 및/또는 CD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가압함으로써, 루프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 조정사가 부착된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과 같이, 바탕천(B)과 그 한 면 또는 양 면에 니들링된 배트층(W1, W2)으로 이루어지는 여포에서, 기부(基部)의 양 단부의 루프(L1, L2)가 심선(T)에 의해 연결된 후, 배트층의 플랩 부분(W1a)이 기부의 이음매를 덮도록 배치된 구조의 여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스에 의한 이음매의 손상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여포 벨트 위에 공급된 피탈수 처리물(S)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양 단부의 루프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심 부착 벨트가 형성된 후, 이음매 부분의 표면 상태를 개량하여, 벨트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 등의 목적에서, 벨트의 이음매부를 수지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랩 부분으로 이음매를 덮은 경우, 플랩 부분 및 그 주변을 수지 가공함으로써, 벨트 주행시 플랩 부분으로부터 배트 섬유의 탈락을 방지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의 탈수 처리에서는, 여포 벨트의 표면 균일성이나 평활성은 요구되지 않으므로, 플랩 부분의 수지 가공에 의한 표면 처리는 유효한 수단이다. 수지 가공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우레탄, 아크릴,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합성 고무 등이 적합하다.
여포 벨트(1)는 통상, 두께가 2∼10mm, 폭이 500∼4000mm 정도의 심 부착 여포 벨트로서, 상기와 같이 통상 바탕천에 표면 웹층을 적층한 적층 구조의 것이 사용되며, 바탕천과 표면층은 니들 펀치 가공 등에 의해 서로 섬유가 얽히도록 접합되어 있다.
바탕천 및 표면층은 피탈수 처리물의 종류, 함수율 등에 의해 각종 재료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합성 섬유 모노필라멘트로 제직한 바탕천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의 수를 600∼1300/5cm×5cm로 하고, 또한 표면 웹층의 평균 세공 직경이 100∼150㎛로 함으로써, 여과 천의 중력 여과성이 향상되며, 또한, 치수 안정성이 양호해져, 주행성이 향상된다.
또한, 섬도(纖度)가 다른 2층 또는 그 이상을 적층함으로써, 탈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을 구성하는 외면층(1A)과, 그 하면을 구성하는 내면층(1B)과, 이들 사이의 중간층(1C)을 갖는 3층 구조의 펠트재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으로 하여, 외면층(1A)은 피탈수 처리물(S)을 여과하는 극세 섬유층으로 구성하고, 중간층(1C)은 수분의 투과를 촉진하는 중세 섬유층으로 구성하고, 내면층(1B)은 물 빠짐을 촉진하는 바탕천층으로 구성하면, 여과에서 물 빠짐까지가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피탈수 처리물(S) 중의 미세한 입자를 외면층(1A) 위에 응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각 층은 니들 펀치 가공 등에 의해 서로 섬유가 얽히도록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층 위사에 합성 섬유 슬러브 형상 권축사(捲縮絲), 하층 위사에 합성 수지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고, 경사에 합성 수지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제직된 바탕천을 여포 벨트로서 사용하면, 여포 내로의 오니의 침투가 적어, 박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을, 함수율이 낮은 케이크 형상으로 탈수 처리하는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에서, 여포 벨트로서 오픈 엔드의 벨트로 형성된 심 부착 여포 벨트를 사용한 것이다. 종래의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에서, 사용하는 여포 벨트는 오염에 의한 교환 회수가 많고, 게다가 여포 벨트는 장대하고 또한 광폭으로서 탈수 장치 내를 복잡하게 감기므로, 무단 형상 벨트의 경우, 걸어넣기 작업은 곤란하면서 시간이 걸리는 작업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것을 오픈 엔드의 벨트로 형성된 심 부착 여포 벨트로 했기 때문에, 걸어넣기는 오픈 엔드의 벨트를 탈수 장치 내에 끌어넣어 주행시켜서, 장치 내에서 시밍을 행할 수 있으므로, 걸어넣기를 간단히 행할 수 있어, 벨트의 신규 장착, 교환 등을 위한 운전 정지 시간을 절약하고, 또한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광범위한 분야의 슬러리 형상 또는 슬러지 형상의 피탈수 처리물의 탈수 처리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는 여포 벨트로서, 심 부착 여포 벨트를 사용한 것에 의해, 오픈 엔드의 벨트를 탈수 장치 내에 끌어넣어 주행시켜서, 장치 내에서 시밍을 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무단 형상 벨트를 사용한 경우 벨트의 걸 어넣기는 곤란하여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걸어넣기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양 단부(端部)에 심(seam) 루프를 구비한 오픈 엔드의 벨트의 심 루프끼리를 맞물리고, 그것에 의해서 생긴 공통 구멍에 심선(芯線)을 통하여 접합시켜서 형성된 슬러지 탈수용 심 부착 여포(濾布)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여포 벨트의 바탕천의 CD 사재(絲材) 중의 단부(端部) 가장자리에, CD 사재와는 다른 직물 패턴에 의해 짜여진 조정사(調整絲)를 설치하고, 양 단부 가장자리의 MD 방향 사재를 외측 방향 및/또는 CD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가압함으로써, 루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조정사를 부착한 슬러지 탈수용 심 부착 여포 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바탕천 및 그것과 니들링된 표면 배트층으로 이루어지고, 바탕천의 양 단부가 심선에 의해 연결된 후, 배트층의 플랩 부분이 바탕천의 이음매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용 심 부착 여포 벨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의 이음매부가 수지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용 심 부착 여포 벨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을 구성하는 외면층과, 그 하면을 구성하는 내면층과, 이들 사이의 중간층을 갖는 적어도 3층 구조의 펠트재로 이루어지며, 외면층은 피탈수 처리물을 여과하는 극세 섬유층으로 구성되고, 중간층은 수분의 투과를 촉진하는 중세 섬유층으로 구성되고, 내면층은 물 빠짐을 촉진하는 바탕천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용 심 부착 여포 벨트.
  6. 탈수 장치 내에 감겨진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심 부착 여포 벨트와, 상기 여포 벨트 위에 공급된 피탈수 처리물을 가압 벨트 또는 롤러에 의한 가압 및/또는 여포 벨트 하부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여과 탈수하는 탈수부를 구비한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1) 여포 벨트의 상면측에 공급되는 피탈수 처리물에 대해서 여포 벨트의 하면측으로부터 흡인 부압을 작용시켜서 피탈수 처리물을 초기 탈수하는 부압 탈수부와,
    (2) 초기 탈수된 피탈수 처리물을 여포 벨트와 함께 한 쌍의 프레스 롤 사이에서 가압하여 탈수하고, 또한, 탈수된 처리물을 한쪽의 프레스 롤에 회전 부착시켜서 여포 벨트로부터 박리시키는 가압 탈수 회전 부착부와,
    (3) 한쪽의 프레스 롤에 회전 부착된 처리물을 긁어내어 회수하는 처리물 회수부와,
    (4) 처리물이 박리된 여포 벨트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5) 세정된 여포 벨트를 한 쌍의 스퀴즈 롤 사이에서 짜는 교축부를 구비하고,
    연속된 단일의 여포 벨트가 상기 각 부에 걸쳐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포 벨트식 탈수 장치.
KR1020070038465A 2006-04-20 2007-04-19 슬러지 탈수용 여포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KR20070104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6452 2006-04-20
JP2006116452A JP2007283270A (ja) 2006-04-20 2006-04-20 スラッジ脱水用濾布ベル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スラッジ脱水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67A true KR20070104267A (ko) 2007-10-25

Family

ID=3875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465A KR20070104267A (ko) 2006-04-20 2007-04-19 슬러지 탈수용 여포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283270A (ko)
KR (1) KR20070104267A (ko)
CN (1) CN101091851A (ko)
TW (1) TW2008003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52B1 (ko) * 2008-05-15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세식 방지시설의 흡수액 재생장치
JP2016073928A (ja) * 2014-10-07 2016-05-12 株式会社石垣 ベルトプレスのろ布展開装置
JP2016073929A (ja) * 2014-10-07 2016-05-12 株式会社石垣 ベルトプレスのろ布折り装置
CN116354575A (zh) * 2023-05-31 2023-06-30 长春市城建维护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协同处理污水处理厂臭气的污泥处理设备及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8334A (ja) * 2010-04-14 2011-11-04 Sumitomo Heavy Ind Ltd 食品排水処理システム
CN101829447A (zh) * 2010-06-10 2010-09-15 杨玉刚 带式滤布防卡钩泄真空装置
CN101862563A (zh) * 2010-06-29 2010-10-20 路坤 水族箱带式过滤器
US9242191B2 (en) * 2011-12-13 2016-01-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ltration dehydration apparatus
US20130146515A1 (en) * 2011-12-13 2013-06-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ltration dehydration apparatus
CN103366849B (zh) * 2013-07-15 2016-08-24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放射性淤泥处理方法
ITVE20130047A1 (it) * 2013-09-05 2015-03-05 Giancarlo Ciprian Filtro a nostro drenante
CN108126399A (zh) * 2017-12-20 2018-06-08 中冶宝钢技术服务有限公司 冶金沉泥脱水装置
CN108585409A (zh) * 2018-03-14 2018-09-28 合肥银创宏达机器人有限公司 一种新型淤泥脱水设备
CN112057950B (zh) * 2020-09-14 2021-07-02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河道垃圾污染处理过滤系统
CN114618220B (zh) * 2022-03-30 2023-09-22 江西城宏实业有限公司 一种污泥过滤自动清洗设备
CN114748900B (zh) * 2022-04-07 2023-05-02 北京科技大学 滤布铺折布料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52B1 (ko) * 2008-05-15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세식 방지시설의 흡수액 재생장치
JP2016073928A (ja) * 2014-10-07 2016-05-12 株式会社石垣 ベルトプレスのろ布展開装置
JP2016073929A (ja) * 2014-10-07 2016-05-12 株式会社石垣 ベルトプレスのろ布折り装置
CN116354575A (zh) * 2023-05-31 2023-06-30 长春市城建维护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协同处理污水处理厂臭气的污泥处理设备及处理方法
CN116354575B (zh) * 2023-05-31 2023-09-01 长春市城建维护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协同处理污水处理厂臭气的污泥处理设备及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83270A (ja) 2007-11-01
CN101091851A (zh) 2007-12-26
TW200800358A (en)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4267A (ko) 슬러지 탈수용 여포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KR101184893B1 (ko) 이송 벨트 및 프레스 직물용 반투과성 직물
US8042577B2 (en) Seam press fabric
CN102304834B (zh) 轧光的工业加工织物及其加工方法
TWI248996B (en) Anti-rewet press fabric
JP2011122292A (ja) フルオロポリマーの層を有する工業用ファブリ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1002642A1 (en) Molded paper clothing
EP2145048B1 (en) Paper machine fabric
JP3711222B2 (ja) 濾布ベルト式脱水装置
EP1270807A1 (en) Pin seamed papermaker's press felt with laminated base fabric having low melt material machine directions yarns
JP2005023450A (ja) 抄紙用フェルト
JPH0128608B2 (ko)
US65143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echanical thickening of slurry
JPH0247924B2 (ko)
CA2281549A1 (en) Filter press belt
US20050227561A1 (en) Anti-rewet press fabric or filter media comprising a fine porous layer of splittable microfibers
JPH0214880Y2 (ko)
JPS61174913A (ja) 固液分離用濾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44547A1 (en) Sacrificial recoverable displacing agent for improved paper dewatering
JPH031048Y2 (ko)
JPS646894Y2 (ko)
JP2004100064A (ja) 脱水フェルト
JPS63171613A (ja) 固液分離用濾布の製造方法
JPS63171614A (ja) 固液分離用濾布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