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612A -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612A
KR20070103612A KR1020060035416A KR20060035416A KR20070103612A KR 20070103612 A KR20070103612 A KR 20070103612A KR 1020060035416 A KR1020060035416 A KR 1020060035416A KR 20060035416 A KR20060035416 A KR 20060035416A KR 20070103612 A KR20070103612 A KR 20070103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ction
bidding
online
product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코원
Priority to KR102006003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612A/ko
Publication of KR2007010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경매품에 대해 행해지는 입찰수가 그 경매품에 대해 미리 정한 입찰 제한 수에 이른 경우 입찰을 종료하여 낙찰이 되도록 한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는 온라인 경매몰에 의한 경매 중개 방법에 있어서, (a) 임의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온라인 경매몰에 접속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경매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경매품 정보를 확인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각각 입찰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입찰가를 입력한 구매 클라이언트의 수를 나타내는 입찰수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확인한 입찰수가 미리 정해진 입찰 제한 수에 이르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매품의 입찰을 종료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입찰 종료 후, 입찰에 참여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 중에서 임의의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경매품을 낙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인터넷, 경매, 입찰 수, 낙찰, 유찰, 마일리지, 복지기금

Description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mediating method for on-line a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경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온라인몰 운영 업체의 시스템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구매자 200: 판매자
300: 복지기관 400: 결제기관
500: 유/무선 통신망 600: 온라인몰 운영 업체
610: 관리서버 611: 회원 관리 모듈
612: 상품 관리 모듈 613: 경매몰 관리 모듈
614: 쇼핑몰 관리 모듈 615: 유찰몰 관리 모듈
616: 결재 관리 모듈 620: 온라인몰 서버
621: 쇼핑몰 서버 622: 경매몰 서버
623: 유찰몰 서버 630: 결제서버
640: 회원 DB 650: 상품 DB
651: 쇼핑품 DB 652: 경매품 DB
653: 유찰품 DB 654: 낙찰품 DB
660: 결제 DB 661: 입금내역 DB
662: 출금내역 DB 670: 중개료 DB
680: 보상료 DB
본 발명은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매 상품에 참여한 입찰자의 수에 의거하여 그 경매 상품의 낙찰 시기가 정해지도록 한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상거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상품 거래로 정의될 수 있는바, 그 대표적인 형태로써 구매의 방식 및 그 주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business to customer; B2C), 공동 구매(customer and customer to business; C&C2B), 온라인 경매(customer to customer; C2C) 및 온라인 역경매(customer to business; C2B)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경매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경매 상품(이하 경매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그 경매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를 모집하여 그들로부터 가격 신청을 받아 입찰 기간 내에 최고 가격을 제시하는 구매자와 매매 계약을 하는 것을 말하는바, 이를 통해 판매자는 더 높은 가격에 팔 수 있다는 기대 심리가 작용하고, 아울러 구매자는 원하는 경매품을 좀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기대 심리가 작용한다. 또한, 구매자는 경매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 가격이 정해진 채로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온라인 쇼핑몰보다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하는바, 이로써 온라인 경매는 구매자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한편, 최근에는 온라인 경매가 비공개 방식인 일명, 텐더(tender)형 경매로 변모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텐더형 경매는 임의의 경매품에 미리 정해진 입찰 최고가와 입찰 최저가 사이에 구매자가 입찰가를 정해 비공개로 입찰하면, 경매품의 수량만큼 낙찰자를 선정하고 그 낙찰 가격에 경매품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비공개로 진행되므로 충동 구매를 방지하고 구매자가 원하는 적정 가격대에 경매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온라인 경매에 따르면 소정의 입찰 기간이 지난 후에 낙찰자를 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바, 임의의 경매품에 대해 입찰자의 수 즉, 입찰수가 급증하여 신속하게 매매계약이 처리되도록 요구되는 상황임에도 입찰 종료 시점이 유동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인기 경매품에 대해서는 그 입찰 기간을 다른 경매품보다 좀 더 단축하여 신속하게 낙찰되도록 유도할 수도 있지만 입찰수가 예측보다 적을 수도 있으며, 짧은 입찰 기간으로 인해 판매자가 제시한 매매 조건에 충족되지를 못함으로써 유찰될 가능성 또한 높아지는 것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임의의 경매품에 대해 행해지는 입찰수가 그 경매품에 대해 미리 정한 입찰 제한 수에 이른 경우 입찰을 종료하여 낙찰이 되도록 한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는 온라인 경매몰에 의한 경매 중개 방법에 있어서, (a) 임의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온라인 경매몰에 접속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경매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경매품 정보를 확인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각각 입찰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입찰가를 입력한 구매 클라이언트의 수를 나타내는 입찰수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확인한 입찰수가 미리 정해진 입찰 제한 수에 이르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매품의 입찰을 종료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입찰 종료 후, 입찰에 참여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 중에서 임의의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경매품을 낙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경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경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온라인몰을 운영하는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와; 각종 상품의 정보를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에 등록하는 판매 클라이언트(이하 판매자)(200)와;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를 통해 각종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 클라이언트(이하 구매자)(100)와; 구매자(100), 판매자(200) 및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 간의 상품 거래에 의해 발생이 되는 각종 대금을 결제하는 결제기관(400)과; 구매자(100)와 판매자 (200)간의 상품 거래로 인해 파생되는 복지 기금을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로부터 전달받는 복지기관(300)과; 구매자(100), 판매자(200), 복지기관(300) 및 결제 기관(400)을 온라인몰 운영 업체(500)와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구매자(100) 및 판매자(200)는 거래 규모에 상관없이 개인 또는 기업이 될 수 있으며,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에 접속하는바, 여기서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user)가 탑재된 노트북이나 데스크 탑이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왑 브라우저(WAP Brouser)(이하 웹 브라우저와 왑 브라우저를 통틀어, '브라우저'라고도 한다.)가 탑재된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그리고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기반의 무선통신장치이다.
다음, 결제 기관(400)은 신용카드사, 은행,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 등과 같이 상품 거래에 따른 대금을 지급하고 청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결제 기관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유/무선 통신망(500)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선망과 이동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무선 인터넷망,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망이 될 수 있다. 특히, 결제 기관(400)과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간의 연결은 부가가치 통신망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온라인몰 운영 업체의 시스템 구성도인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의 구성은 온라인몰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컴퓨터 그래픽스 등과 같은 제반 솔루션(solution)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공하는 온라인몰 서버(620); 결제 기관(400)과 연결되어 상품 결제에 관한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결제 서버(630);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에 가입된 회원 즉, 판매자(200) 및 구매자(100)의 신용정보가 저장되는 회원 DB(640); 판매자(200)가 등록한 상품의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상품 DB(650); 회원과의 상품 거래에 따른 결제 내역이 저장되는 결제 DB(660); 구매자(100)와 판매자(200) 간의 거래 성사에 따라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가 판매자(200)로부터 받게 되는 중개료의 정보가 저장되는 중개료 DB(670); 구매자(100)가 쇼핑몰 운영 업체(600)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경매품에 대해 입찰한 후 낙찰받지 못하였을 경우, 이 구매자(100)에게 지급되는 보상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보상료 DB(680) 및 각 서버 및 각 DB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서버(6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온라인몰 서버(620)는 지정된 가격의 상품(이하 쇼핑품)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쇼핑몰 서버(621); 경매품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매몰 서버(622) 및 경매몰 서버(622)에서 유찰된 경매품(이하 유찰품)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유찰몰 서버(6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회원 DB(640)에는 각 회원별로, 온라인몰 서버(620)에 로그인시 필요한 회원 아이디와 그에 따른 비밀 번호; 온라인몰 서버(620)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즉, 경매품, 쇼핑품 및 유찰품)의 구입시 사용될 수 있는 전자화폐의 정보; 전자 화폐를 대신하여 쇼핑품이나 유찰품의 구입시 사용될 수 있는 보상료(이하 마일리지)의 정보; 전자 화폐의 일정 금액 예를 들어, 2000원으로 전환되며 경매품에 대한 입찰시 사용되는 쿠폰의 정보 및 여타의 신용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여타의 신용 정보는 회원이 개인인 경우에는 주민 번호, 이름, 주소, 직업, 이메일 주소, 성별, 거래 은행의 계좌 번호 및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와의 거래 건수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회원이 기업인 경우에는 사업자 번호, 업체명, 사업 영역, 매출액, 거래 은행의 계좌 번호 및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와의 거래 건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다음, 상품 DB(650)는 쇼핑품 DB(651), 경매품 DB(652), 유찰품 DB(653) 및 경매몰에서 임의의 구매자(100)에게 낙찰된 경매품(이하 낙찰품)의 정보가 저장되는 낙찰품 DB(6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각각의 DB(651, 652, 653, 654)에는 공통적으로 상품의 외관을 보인 영상, 상품명, 정가, 판매 가능한 수량, 배송비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상품들은 상품 종류별, 상품을 등록한 판매자(200) 등의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경매품 DB(652)에는 각각의 경매품에 대한 입찰 최고가 및 최저가의 정보, 각각의 경매품의 입찰에 참여한 회원의 수(이하 입찰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 결재 DB(660)는 구매자(100)가 구매한 임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 예를 들어, 결제 금액, 결제일, 결제 여부 및 결제 수단 등이 저장되는 입금 내역 DB(661)와, 판매자(200)에게 지급한 금액에 관한 결제 정보가 저장되는 출금 내역 DB(6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관리서버(610)는 회원관리 모듈(611), 상품관리 모듈(612), 경매몰 관리 모듈(613), 쇼핑몰 관리 모듈(613), 유찰몰 관리 모듈(615) 및 결재관리 모듈(6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관리서버(610)의 구성에서, 회원관리 모듈(611)은 회원 DB(640)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바, 특히 온라인몰 서버(62)를 통해 접속하는 회원의 인증 및 신규 등록을 처리한다.
다음, 상품관리 모듈(612)은 상품의 신규 등록 및 기존 상품 정보의 수정 등과 같이 상품 DB(650)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바, 특히 판매자(200)가 등록하는 경매품 및 쇼핑품에 대한 정보를 각각 경매품 DB(652) 및 쇼핑품 DB(651)에 저장시키고, 경매품 DB(652)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경매몰 서버(622)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바, 특히 경매품에 대한 입찰수가 해당 경매품에 미리 정해놓은 입찰 제한 수에 이르게 되면, 그 경매품의 입찰을 종료시킨다. 예를 들어,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경매품 DB(652)를 검색하여 입찰이 진행되는 경매품의 정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가에 적정 비율 예를 들어, 10%를 더 부과하여 얻어진 가격을 쿠폰 가격으로 나누어 입찰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입찰 제한 수를 구한다. 즉,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에 서 판매하는 쿠폰 가격이 2000원이며 어느 경매품의 정가가 10만원인 경우, 그 정가에 10%를 더 부과한 가격이 11만원인바, 이를 통해 얻게 되는 입찰 제한 수는 '55'가 된다. 그리고 구매자(100)가 경매몰 서버(622)에 접속하여 상기 정가가 10만원인 경매품에 대한 입찰 참여시 보유한 쿠폰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식으로 다수의 구매자(100)들이 사용한 쿠폰 수가 즉, 입찰수가 '55'에 이르게 되면, 그 입찰이 종료되게 된다.
또한,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임의의 경매품이 낙찰되는 경우에는 그 경매품의 정보를 낙찰품 DB(654)로 이동시키고 유찰되는 경우에는 그 경매품의 정보를 유찰품 DB(654)로 이동시킨다.
다음, 쇼핑몰 관리 모듈(614)은 쇼핑몰 서버(620)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며, 유찰몰 관리 모듈(615)은 유찰몰 서버(623)를 총체적으로 관리한다. 다음, 결제관리 모듈(616)은 결제 서버(630) 및 결제 DB(660)를 총체적으로 관리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1에서 구매자(100)는 임의의 통신 단말기를 구동시켜 웹 브라우저(또는 왑 브라우저)를 실행시킨 후, 단계 13으로 진행하여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에 접속한다. 다음, 단계 S15에서 온라인몰 서버(620)는 접속한 구매자(100)의 통신 단말기로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 단계 S17에서 구매자(100)는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된 메인 화면에서 로그인 란에 자신의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단계 S19에서 회원 관리 모듈(611)은 구매자(100)가 입력한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와 맞는 데이터가 구매자 DB(641)에 있는지를 검색한 후 그 검색 결과를 토대로 로그인한 구매자(100)가 회원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19에서의 판단 결과,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21로 진행하는바, 이에 따라 온라인몰 서버(620)는 브라우저로 회원 가입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구매자(100)의 통신 단말기로 표시되는 화면은 온라인몰의 이용약관, 신용 정보 기입란 및 가입을 추천한 추천인 정보 기입란 등의 단계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23에서 구매자(100)는 온라인몰 운영 업체(600)에서 요구하는 각종 신용 정보를 입력하고, 그 다음으로 이 온라인몰에 가입하도록 종용한 추천인이 있을 경우 추천인 정보 기입란에 추천인의 신용 정보를 기입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25에서 회원 관리 모듈(611)은 구매자(100)가 입력한 정보 중에 추천인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25에서의 판단 결과 추천인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7로 진행하여 회원 DB(640)에서 입력된 추천인 정보에 상응하는 회원 정보를 찾아 그 회원의 마일리지 정보를 갱신 즉, 소정의 마일리지를 제공한다. 반면, 단계 S25에서의 판단 결과 추천인 정보가 없는 경우나 단계 S27 이후에는 단계 S29로 진행하여 입력된 신용 정보를 토대로, 신규 회원을 회원 DB(640)에 등록한다.
한편, 단계 S19에서의 판단 결과, 회원인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31로 진행하여 접속한 구매자(100)의 통신 단말기로 로그인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 단계 S33에서 구매자(100)는 경매몰에 접속하고, 단계 S35에서 경매몰 서버(622)는 단계 S33에서의 구매자(100)의 요청에 따라 각종 경매품 정보 예를 들어, 정가, 입찰 최고가 및 입찰 최저가 등이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는바, 특히 다른 구매자들이 제시한 입찰가 정보는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단계 S37에서 구매자(100)는 임의의 경매품을 선택하고, 입찰 최고가와 입찰 최저가 사이에서 그 입찰가를 입력한다.
다음, 단계 S39에서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구매자(100)가 그 경매품의 입찰에 다시 참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경매품 DB(652)에 기저장된 회원 정보에 구매자(100)의 신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9에서의 판단 결과, 구매자(100)의 신용 정보가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1로 진행하는바, 경매몰 서버(622)는 해당 경매품의 입찰에 다시 참여할 수 없음을 구매자(100)의 통신 단말기로 통보한다. 반면, 단계 S39에서의 판단 결과 구매자(100)의 신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3으로 진행하는데, 만약 경매몰 관리 모듈(613)에 재 입찰이 가능토록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39의 과정을 생략하고 단계 S37에서 바로 단계 S43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음, 단계 S43에서 회원관리 모듈(611)은 회원 DB(640)를 검색하여 구매자(100)의 신용 정보에 쿠폰의 잔여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 잔여 쿠폰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5로 진행하여 구매자(100)와 쿠폰 구입 절차를 수행한다. 구매자(100)는 잔여 전자화폐를 쿠폰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전자화폐가 없는 경우에는 결제기관(400)에 신용카드 결제나 ARS 결제 등을 통해 전자화폐를 충전할 수 있다. 반면, 단계 S43에서의 확인 결과 잔여 쿠폰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S47로 진행하여 회원 DB(640)의 회원 소정의 쿠폰 수 예를 들어, 쿠폰 하나를 차감한다. 다음, 단계 S49에서 상품관리 모듈(612)은 경매품 DB(652)에 구매자(100)의 신용 정보가 포함되도록, 즉 입찰수가 증가되도록 단계 S37의 과정에서 구매자(100)가 선택한 경매품 정보를 갱신한다. 만약,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매몰 관리 모듈(613)에 재 입찰이 가능토록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구매자(100)가 재 입찰자인 경우에는 경매품 DB(652)에 이미 구매자(100)의 신용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바, 단계 S49에서 상품관리 모듈(612)은 구매자(100)의 입찰 횟수를 경매품 DB(652)에 명기한다.
다음,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51에서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경매품 DB(652)를 검색하여 입찰이 진행되는 경매품의 정가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입찰 제한 수를 얻는다. 다음, 단계 S53에서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경매품 DB(652)를 확인하여 입찰수가 입찰 제한 수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찰 제한 수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55로 진행하여 해당 경매품이 미리 정해진 경매기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바, 판단 결과 미리 정해진 경매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7로 진행하여 계속 경매를 수행하고, 반면 미리 정해진 경매기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59로 진행하여 해당 경매품 즉, 경매기간을 초과한 경매품의 정보를 경매품 DB(652)에서 유찰품 DB(653)로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 S61에서 회원관리 모듈(611)은 해당 경매품에 참여한 모든 입찰자에게 소정의 전자화폐 예를 들어, 쿠폰 가격의 10%를 상환하도록 회원 DB(640)를 갱신한다.
한편, 경매몰 관리 모듈(613)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53에서의 판단 결과, 입찰 제한 수에 이른 경우에는 단계 S63으로 진행하여 해당 경매품의 입찰을 종료시키고, 단계 S65에서는 미리 정해진 낙찰자 선정 방식에 의거하여 낙찰자를 선정하고, 경매몰 서버(622)를 통해 접속한 해당 낙찰자의 통신 단말기로 해당 경매품을 낙찰받았음을 통보한다. 여기서 낙찰자 선정 방식은 다음과 같은 순으로 선정하는바, 유일하게 입찰가를 제시하고,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며, 입찰 시기가 가장 빠른 입찰자가 낙찰자로 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방식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예 일뿐, 이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단계 S65에 이어, 단계 S67에서는 낙찰된 경매품의 정보를 경매품 DB(652)에서 낙찰품 DB(654)로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 S69에서 회원관리 모듈(611)은 낙찰받지 못한 모든 입찰자에게 소정의 마일리지 예를 들어, 쿠폰 가격의 40%를 제공하도록 회원 DB(640)를 갱신하고, 결제관리 모듈(616)은 소정의 사회 복지 기금 예를 들어, 쿠폰 가격의 10%를 입찰자의 이름으로 복지기관(300)에 기부하도록, 결제 서버(630)를 통해서 복지기관(300)이 지정한 임의의 결제기관(400)에 해당 액수를 결제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에 따르면, 입찰수에 의거하여 해당 경매품에 대한 입찰 종료시기를 결정함으로써 경매품의 거래 기간이 유동적이며, 특히 인기도가 높은 경매품일수록 신속하게 낙찰이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낙찰받지 못한 입찰자에게도 상품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소정의 마일리지를 제공함으로써, 입찰 참여비 즉, 쿠폰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쿠폰 사용분에 대한 소정 비율을 복지 기금으로 조성하고 이 기금을 복지기관에 기부함으로써, 단지 이익 창출을 위한 요소로 인식되던 경매를 통해 시나브로 기부 문화가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는 온라인 경매몰에 의한 경매 중개 방법에 있어서,
    (a) 임의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온라인 경매몰에 접속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경매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경매품 정보를 확인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각각 입찰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입찰가를 입력한 구매 클라이언트의 수를 나타내는 입찰수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확인한 입찰수가 미리 정해진 입찰 제한 수에 이르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매품의 입찰을 종료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입찰 종료 후, 입찰에 참여한 다수의 구매 클라이언트 중에서 임의의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경매품을 낙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입찰에 참여하는 구매 클라이언트는 쿠폰을 소지한 구매 클라이언트이며, 입찰을 참여할 때마다 상기 쿠폰이 차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 제한 수는 상기 경매품의 정가에 소정 비율을 더 부과하여 얻어진 가격을 상기 쿠폰 가격으로 나누어 구한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 상기 단계 (e)에서 낙찰받지 못한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온라인 상에서 상품 구매에 사용되는 소정의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경매몰은 임의의 복지기관과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되,
    (g) 상기 단계 (e)에서 낙찰받지 못한 구매 클라이언트의 신용 정보와 결합이 된 소정의 기금을 상기 복지기관에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KR1020060035416A 2006-04-19 2006-04-19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KR20070103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416A KR20070103612A (ko) 2006-04-19 2006-04-19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416A KR20070103612A (ko) 2006-04-19 2006-04-19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12A true KR20070103612A (ko) 2007-10-24

Family

ID=3881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416A KR20070103612A (ko) 2006-04-19 2006-04-19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6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61B1 (ko) * 2011-05-16 2014-05-27 이해원 온라인 경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61B1 (ko) * 2011-05-16 2014-05-27 이해원 온라인 경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2330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returning cash points to a user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US20130346175A1 (en) Promotion (e.g., coupon, gift card) redemption after purchase completion
KR102325019B1 (ko) 신용공여 기반의 신용 거래 방법 및 신용 거래 장치
KR100592538B1 (ko) 웹 사이트 분양을 통한 쇼핑몰 운영방법
KR101927516B1 (ko) 가상화폐를 적용한 귀금속류의 거래 서비스 시스템
US20200074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d managing transactions of fractional ownership interests in assets
KR100774261B1 (ko) 보상 처리가 가능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KR101304506B1 (ko) 아이템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2020505713A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KR20000030151A (ko) 인터넷 경매방법
US2017009823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upon redemption with automated proceed investment
US10558995B2 (en) Value management system
KR20120114427A (ko) 온라인 오픈마켓 적립금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US200600853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ctioning government items
KR20070103612A (ko) 온라인 경매 중개 방법
WO2016094912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transfer
KR20010025313A (ko)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185388B1 (ko) 소셜 쇼핑을 이용한 금융 상품을 위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50005724A (ko) 여행패키지상품 가격 결정 및 지불방법
KR20130017042A (ko) 인터넷을 통한 구매약정 전자상거래 방법
KR100387329B1 (ko) 중개시스템을 구비한 멀티경매시스템의 멀티경매방법
Krishnan A Study on Satisfaction Level of Policy Holders on Life Insurance Products of Lic In Erode District
CN117616442A (zh) 用于传输请求的设备
KR20230068813A (ko) 문자 기반의 트레이딩시스템.
KR100421592B1 (ko) 전자 상거래의 즉시 낙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