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293A -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293A
KR20070100293A KR1020077016342A KR20077016342A KR20070100293A KR 20070100293 A KR20070100293 A KR 20070100293A KR 1020077016342 A KR1020077016342 A KR 1020077016342A KR 20077016342 A KR20077016342 A KR 20077016342A KR 20070100293 A KR20070100293 A KR 2007010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rcin
viral
ssm
functional derivative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비 카츠
콜름 제이. 킹
리랜드 사피로
Original Assignee
캐비트 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비트 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캐비트 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61K38/13Cyclospo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3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derived from pro-opiomelanocortin, pro-enkephalin or pro-dynorphin
    • A61K38/35Corticotropin [AC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IDS & HIV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Abstract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 및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질환을 저해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비롯한 천연 및 인공 산물을 포함하는 저해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 감염, 저해, 투베르신, 조성물, 치료 방법

Description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본 출원은 2004년 12월 16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636,091호의 이점을 청구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을 저해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 야기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천연 및 인공 투베르신(Tubercin), 마루야마(Maruyama) 물질의 특이적 물질 또는 이들의 기능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저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는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으로 칭해지는 서서히 진행하는 퇴행성 면역계 질환의 주 요인에 연관되어 있다(Barre-Sinoussi, F., et al., 1983, Science 220:868-870; Gallo, R., et al., 1984, Science 224:500-503). 다음과 같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타입의 HIV가 존재한 다: HIV-1(Barre-Sinoussi, F., et al., 1983, Science 220:868-870; Gallo, R., et al., 1984, Science 224:500-503) 및 HIV-2(Clavel, F., et al., 1986, Science 233:343-346; Guyader, M., et al., 1987, Nature 326:662-669). 또한, 다량의 유전적 이질성이 이들 각 타입의 집단내에 존재한다. 인간에서, HIV 복제는 주로 CD4.sup.+ T 림프구 집단에서 발생하며, HIV 감염은 이러한 세포 타입을 결핍시킴으로써 결국에 면역 부전, 기회 감염, 신경계 장애, 신생물 성장을 야기하여 종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한다.
HIV는 레트로바이러스의 렌티바이러스 패밀리 일원이다(Teich, N., et al., 1984, RNA Tumor Viruses, Weiss, R., et al., eds., CSH-Press, pp. 949-956). 레트로바이러스는 단일-가닥의 RNA 게놈을 함유하며 RNA-의존성 DNA 폴리머라제인 바이러스-코딩된 역전사효소에 의해 생산된 DNA 중간체를 통해 복제하는 소형 인벨롭 바이러스이다(Varmus, H., 1988, Science 240:1427-1439).
HIV 바이러스 입자는 바이러스 RNA 게놈 및 초기 복제 과정에 필요한 효소와 함께 캡사이드 단백질 부분으로 구성된 바이러스핵을 포함한다. 미리스틸화 gag 단백질은 바이러스핵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를 형성하며, 감염 세포막으로부터 유래된 지질막 인벨롭으로 에워 싸여진다. HIV 인벨롭 표면 당단백질은 바이러스 출아동안 세포 프로테아제에 의해 두 개의 당단백질, gp41 및 gp120으로 절단되는 단일 16.0 킬로달톤의 전구체 단백질로서 합성된다. gp41은 막 당단백질이며, gp120은 경우에 따라 트리머 또는 멀티머 형태로 gp41과 비공유적으로 연관되는 세포외 당단백질이다(Hammarskjold, M., & Rekosh, D., 1989, Biochem. Biophys. Acta 989:269-280).
CD4 세포 표면 단백질(CD4)이 HIV-1 바이러스에 대한 세포 수용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HIV는 CD4.sup.+ 세포로 표적화된다(Dalgleish, A., et al., 1984, Nature 312:763-767; Klatzmann et al., 1984, Nature 312:767-768; Maddon et al., 1986, Cell 47:333-348). 바이러스의 세포 진입은 세포 CD4 수용체 분자에 결합하는 gp120에 좌우되며(McDougal, J. S., et al., 1986, Science 231:382-385; Maddon, P. J., et al., 1986, Cell 47:333-348), 이는 HIV가 CD4.sup.+ 세포에 친화성이면서, gp41은 바이러스막내 인벨롭 당단백질 복합체에 위치함을 설명해 준다. 이들 바이러스:세포 상호작용이 감염에 필수적이나, 추가의 바이러스:세포 상호작용이 또한 필요하다는 증거도 있다.
HIV 치료
HIV 감염은 세계적이며, HIV-관련 질환은 세계적으로 주요한 건강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AIDS를 치유하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약물을 개발하려는 일환으로, HIV 생활 주기의 다수 단계가 치료적 개입에 대한 표적으로 고려되어 왔다(Mitsuya, H., et al, 1991, FASEB J. 5:2369-2381). HIV 생활 주기에 개입하는 많은 바이러스 표적이 해로운 부작용을 가질 수 있는 숙주 세포 단백질을 방해한다는 유력한 전망으로서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코딩 역전사효소는 약물 개발의 한 초점이다. HIV에 대해 활성적인 것으로 밝혀진 2',3'-디데옥시뉴클레오시드 유사체, 예컨대 AZT, ddI, ddC, 테노파비르, 네베리핀, 에파비렌즈, 델라비르딘 및 d4T를 비롯하여 다수의 역전사효소-표적화 약물이 개발되었 다(Mitsuya, H., et al., 1991, Science 249:1533-1544).
역전사효소 (RT)를 표적으로 하는 항-HIV 화합물의 조합, 예컨대 아지도티미딘(AZT), 라미부딘(3TC), 디데옥시이노신(ddI), 디데옥시시티딘(ddC)을 HIV-1 프로테아제 저해제와 조합하여 사용한 HIV-1에 대한 새로운 치료 요법이 AZT 단독(약 1 로그 감소)에 비해 바이러스 적재에 훨씬 효과적이다(2 내지 3 로그 감소). 예를 들어, 최근 AZT, ddI, 3TC 및 리토나비르의 조합물에 대해 인상적인 결과가 얻어졌다(Perelson, A. S., et al., 1996, Science 15:1582-1586). 그러나, 이들 시약의 조합물을 장기 사용하는 경우 특히 골수에 독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장기 세포독성 요법은 또한 살해 세포 활성(Blazevic, V., et al., 1995, AIDS Res. Hum. Retroviruses 11:1335-1342) 및 억제 인자, 주로 케모킨 Rantes, MIP-1.알파 및 MIP-1.베타의 방출(Cocchi, F., et al., 1995, Science 270:1811-1815)을 통해 HIV 조절에 필수적인 CD8.sup.+ T 세포를 억제할 수도 있다(Cocchi, F., et al., 1995, Science 270:1811-1815). 장기 화학적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의 다른 주요 문제는 부분 또는 완전 내성을 가진 HIV 돌연변이의 발생이다(Lange, J. M., 1995, ATDS Res. Hum. Retroviruses 10:S77-82). 이러한 돌연변이는 항-바이러스 요법의 피할수 없는 결과이다. CD4.sup.+ T 세포수의 동시 감소와 함께 치료에 의한 야생형 바이러스의 소실 및 돌연변이 바이러스의 출현 패턴은 적어도 일부 화합물에 있어서, 바이러스 돌연변이의 출현이 AIDS 요법 실패의 주요한 기본 요인임을 제시한다.
또한, HIV 감염의 초기 단계에 바이러스가 세포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여기에서는, HIV에 대한 세포 표면 수용체 인 CD4에 초점을 맞추었다. 재조합 가용성 CD4는, 예를 들어 일부 HIV-1 균주에 의한 CD4.sup.+ T 세포의 감염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mith, D. H., et al., 1987, Science 238:1704-707). 그러나, 특정의 일차 HIV-1 분리체는 재조합 CD4에 의한 저해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Daar, E., et al., 1990, Proc. Natl. Acad. Sci. USA 87:6574-6579). 또한, 재조합 가용성 CD4의 임상 실험은 확실한 결과를 제공하지 못했다(Schooley, R., et al., 1990, Ann. Int. Med. 112:247-253; Kahn, J. O., et al., 1990, Ann. Int. Med. 112:254-261; Yarchoan, R., et al., 1989, Proc. Vth Int. Conf. on AIDS, p. 564, MCP 137).
특정 바이러스 코딩 단백질의 중요한 바이러스-특이적 과정을 포함하는 HIV 복제의 후기 단계가 또한 가능한 항-HIV 약물 표적인 것으로 제안된 바 있다. 후기 단계 과정은 바이러스 프로테아제의 활성에 의존하며, 이러한 프로테아제를 저해하는 약물이 개발되었다(Erickson, J., 1990, Science 249:527-533). 최근에, CD8.sup.+ T 세포에 의해 생산된 케모킨이 HIV 감염 억제에 연루된다고 제안되었다(Paul, W. E., 1994, Cell 82:177; Bolognesi, D. P., 1993, Semin. Immunol. 5:203). CD8.sup.+ T 세포에 의해 분비된 케모킨 RANTES, MEP-1.알파. 및 MIP-1.베타.는 시험관내에서 HIV-1 또는 HIV-2 분리체로 감염된 세포에서 HIV-1 p24 항원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occhi, F, et al., 1995, Science 270:1811-1815). 따라서, 이들 및 다른 케모킨은 HIV 감염에 유용한 치료제로 입증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이들 및 다른 후보 약물의 성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다.
HIV 감염 치료에 대한 백신 개발에도 주의가 기울여 졌다. HIV-1 인벨롭 단 백질(gp160, gp120, gp41)은 AIDS 환자에 존재하는 항-HIV 항체에 대한 주 항원인 것으로 나타났다(Barin et al., 1985, Science 228:1094-1096). 따라서, 이들 단백질은 항-HIV 백신 개발에 대한 항원으로 작용할 가장 가망성 있는 후보인 것으로 보여진다. 수개의 그룹이 숙주 면역계에 대한 면역원성 표적으로서 gp160, gp120 및/또는 gp41의 다양한 부분들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참조예: Ivanoff, L., et al., 미국 특허 제 5,141,867호; Saith, G., et al., WO 92/22,654호; Shafferman, A., WO 91/09,872호, Formoso, C, et al., WO 90/07,119호. HIV 단백질에 대한 백신은 바이러스를 신속히 돌연변이화하여 이들 백신중 대다수를 쓸모없게 만드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를 설계하고 시험하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효과적이면서 비독성인 치료제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HIV-1에 대한 종래 요법의 장애 및 결함으로 인해, 새로운 치료 양식이 요망되고 있다.
헤르페스비리다에(Herpesviridae)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핵에서 복제하는 이중가닥 DNA 바이러스이다. 헤르페스 비리온은 숙주 세포내에 어셈블링되는 30개 이상의 상이한 단백질로 구성된다. 약 6-8개가 캡사이드에 사용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바람직한 숙주 세포는 척추동물 세포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많은 질환의 치료제이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한 동물 바이러스이다. 엡스타인-바(Epstein-Barr) 바이러스는 암의 개시에 연루되며; 거대세포 바이러스(CMV)는 AIDS 환자를 가장 크게 위협하는 감염이고; 바리셀라 조스터(Varicella Zoster) 바이러스는 수두 및 대상포진 원인제이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아형 1 및 2(HSV-1, HSV-2)는 인간이 마주칠 수 있는 가장 흔한 헤르페스 바이러스이다. 이들 바이러스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감염, 예컨대 재발성 입술 단순 헤르페스에서부터 중증이면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 예컨대 단순 헤르페스 뇌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 스펙트럼의 질환을 야기한다. 미국 인구의 상당수가 일정 형태의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감염되고 있다. 매년 9천 8백만명이 입술 헤스페스(HSV-1)를 앓으며, 매년 약 3천만명이 생식기 헤르페스(HSV-2)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이들 바이러스는 점막 표면 및 벗겨진 피부에서 바이러스 노출에 의해 전파되어 표피 및 진피에서 바이러스 진입 및 바이러스 복제를 가능케 한다.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병소외에, 잠복 감염이 특히 신경 세포에 잔존할 수 있다. 이는 감염을 근절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이용가능한 치료의 무지로 인해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 감염을 경험한 대부분의 인간은 오히려 양성 증상, 예컨대 권태감, 열, 오한, 비염 및 설사를 동반한다. 그러나,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보다 심각한 건강 문제, 예컨대 연조직 육종, 암종, 전이 질환, 형질세포 종양, 골수종, 림프종, 망막모세포종, 리-프라우메니(Li-Fraumeni) 증후군, 가드너(Gardner) 증후군, 베그너(Werner) 증후군, 모반양 기저 세포 암종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1 형 및 일부 면역결핍 증후군을 비롯한 특정 유전적 상태에 연루된다. 주목할만한 임상적인 다른 증상은 백반, 정낭궤양성 점막 질환, 특발성 입작열, 아프타 궤양화이다.
예를 들어, 단일 종의 헤르페스 패밀리 바이러스, 즉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EBV)는 풍토성 버킷(Burkitt) 림프종,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관련 림 프종, 이식후 림프증식 질환, 호지킨(Hodgkin) 질환(HD) 및 희귀 T-세포 림프종과 관련된다.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는 또한 구강 털 백색반증, 림프증식 질환, 림프상피 암종, B-세포 림프종, 및 비-각화 및 편평 세포 코인두 암종과도 관련된다.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8은 모든 형태의 카포시 육종, 일차 삼출 림프종, 다발 골수종,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병증, 및 캐슬맨(Castleman) 병에 연루된다. HHV-8은 또한 체강부 림프종으로 불리는 희귀 B 세포 림프종, 신장 이식을 받은이에서 상피 종양, 악성 중피종, 혈관육종 및 혈관림프구 과다형성을 비롯한 특정 림프종과도 관련된다.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6은 림프증식 질환, 림프종, 호지킨 질환 및 구강 편평 세포 암종에서 검출되며 그와 관련된다.
HSV-1에 의한 일차 감염은, 아토피 습진이 널리 퍼져 뇌염을 수반함으로써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는 해도, 심각한 문제를 거의 야기하지 않는다. 각막결막염, 인두염 및 간염은 또한 일차 감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일부 단계의 집단에서 20 내지 40%가 HSV에 의한 재발 입술 감염을 가지나, 이들 케이스중 1% 만이 심각한 재발을 겪는다. 다형성 재발 홍반은 환자의 65%가 이전에 입술 헤르페스를 가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HSV-1과 연관이 있다.
헤르페스 조스터 감염은 전형적으로 종양 침윤으로 발생하는 다발 신경병증, 운동 신경병증, 감각 신경병증, 다발신경근병증, 자율 신경병증, 초점 또는 다초점성 뇌 신경병증, 신경근병증 및 신경얼기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카포시 육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 질환, 결막의 편평 세포 암종 및 소아 평활근육종의 위험이 증가한다. 이들 암의 대부분이 특정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HHV) 감염과 연관된다는 것이 주목을 끈다: HHV-8은 카포시 육종과 연관되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 질환, 및 경우에 따라 또한 소아 평활근육종과 연관된다. 또한, 면역억제되지 않은 인간에서 이들 바이러스와 암 사이에 비록 일치하지는 않더라도 유사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헤르페스비리다에-관련 질환의 일부 측면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문헌 [Flaitz and Hicks, Flaitz CM, Hicks MJ. Molecular piracy: Virus link to carcinogenesis. Oral Oncol 1998 Nov; 34(6):448-53]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종래 요법의 장애 및 결함으로 인해, 새로운 치료 양식이 요망되고 있다.
천연두
천연두의 원인제인 두창 바이러스는 원숭이 폭스, 소 폭스 및 우두 바이러스도 포함하는 오소폭스바이러스 속의 일원이다. 두창 주요 균주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은 저감염 용량(10-100 비리온), 장기 인큐베이션(평균 12 일), 열, 체질적 증상, 농포 단계로의 발진 진행, 발병자의 30% 이하 사망 및 생존자의 얼굴 흉터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질환은 접촉(소적) 및 경우에 따라서는 에어졸에 의해 호흡 경로를 통해 인간에서 인간으로 확산된다.
천연두는 20세기 중반까지 전세계적으로 이환률 및 사망률의 가장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일부, 바이러스에 대한 동물 병원소의 부족으로 인해, 백신(생 약독화 우두 바이러스)의 계통적 사용이 이러한 질환에 대처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실제로, 1967-1977년에, 전세계적인 천연두 근절 프로그램으로 자연적인 질환은 제거되기에 이르렀다(Fenner et al., WHO, Geneva, p. 1460, 1988). 천연두 부재 및 백신-관련 부작용의 위험으로 인해, 어린이, 병원 직원 및 직업 군인의 일상적인 예방접종이 중단되었고, 실험실에서 우두 및 관련 바이러스 작업자만이 현재 면역화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 인구의 상당 부분이 천연두에 대한 면역을 가지지 않는다. 백신 면역성이 일차 예방접종후 5년 및 재예방접종후 20년 미만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나머지 인구는 잔류 면역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천연두 근절 및 예방접종 중단은 잠복 침입 또는 두창 바이러스를 사용한 세균전에 있는 인구에 취약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사건이 일어난다면, 유행성 확산이 인구의 면역 방어체에 의해 억제되지 않을 것이다(Anon.(Editorial), Lancet 353:1539, 1999; Henderson, Science 283:1279-1282, 1999; Henderson et al., J.A.M.A. 281:2127-2137, 1999).
천연두 근절을 둘러싼 불확실성 때문에, 백신은 비상용으로 비축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와이어스 래보래토리즈사(Wyeth Laboratories)에 의해 생산된 155,000개의 백신 바이얼(명목상 천오백오십만 투약량)이 질병 예방 통제 센터(CDC)(미국 조지아, 애틀랜타 소재)의 관리하에 최초로 비축되었다. 1999년 1월에 미국 백신 자문 위원회 회의에서, CDC는 국제 천연두 백신 저장소의 상태에 대해 보고하였다. 그 시기에, 와이어스사가 보유하고 있는 천오백오십만 투약량중, 3백 4십만 투약량이 품질 관리 시험에 통과하지 못했으며, 1백 3만 투약량은 기간 연장에 대한 최종 관리 시험에 따라 기입된 유효 기간이 지나 1백 7십만 투약량만이 방출 규격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LeDuc, Presentation to National Vaccines Advisory Committee, Washington D. C, Jan. 11-12, 1999). 공급 제한 외에도, 백신은 100 투약 바이얼로 포장되어 배급이 제한적이어서 비상사태에 고갈의 위험이 높다.
미국 비축량 외에,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네덜란드, 빌토벤 소재)에서 저장하고 있는 공급물량의 백신(Lister, Elstree strain)이 있으며, 다른 특정 국가가 천연두 백신 공급물량을 소유하고 있어 근절시 최대 3억 투약량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저장시 안정성의 유사 문제로 인해 이 공급량은 5천만 투약량에 못미친다(Henderson, Science 283:1279-1282, 1999).
따라서, 다양한 항-바이러스제 및/또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사용하여 일부 성공적인 치료법이 있음에도, 이들 다른 바이러스 표적에 대한 추가의 개선된 치료가 여전히 절실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오래동안 바라왔던 바이러스 감염 치료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조성물 및 방법을 다룬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치료적 활성 화합물,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특히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 또는 생성을 저해하는 치료적 활성 화합물은 투베르신, 투베르신-3, 투베르신-5, 투베르신-7, SSM(SSMA 또는 마루야마의 특이적 물질로도 알려져 있음), 또는 Z-100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 또는 생성을 저해하는 약제는 투베르신, 투베르신-3, 투베르신-5, 투베르신-7 SSM, 또는 Z-100-기초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또는 지질 아라비노만난-단백질 접합체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한다.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 또는 생성을 저해하는 약제는 천연, 합성 및 생합성 분자를 비롯한 소형 유기 분자, 천연 및/또는 합성 분자를 비롯한 소형 무기 분자를 포함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대적으로 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바이러스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민감한 포유동물에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포유동물의 바이러스 감염을 저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체예로, 감염 포유동물로부터 저해되는 바이러스는 헤파드나비리다에, 아데노비리다에, 파르보비리다에, 파포바리리다에, 폭스비리다에, 이리도비리다에 및 헤르페스비리다에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는 속으로부터의 DNA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로, 감염 포유동물로부터 저해되는 바이러스는 피코르나비리다에, 칼시비리다에, 토가비리다에, 플라비비리다에, 코로나비리다에, 랍도비리다에, 필로비리다에, 파라믹소비리다에, 오르토믹소비리다에, 분야비리다에, 아레나비리다에, 레오비리다에 및 비르나비리다에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는 속으로부터의 RNA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로, 감염 포유동물로부터 저해되는 바이러스는 HTLV-I, HTLV-II, HTLV-III(HIV-1) 및 HIV-2를 포함한 렌티비리다에 및 A, B, C, 델타, E 및/또는 G형 간염 바이러스를 포함한 간염 바이러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는 속으로부터의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방법은 AIDS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방법은 권태감, 열, 마른 기침, 근육통 및 가슴 통증, 환기 손상, 발한, 열, 복부 통증, 설사 및 점막 궤양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AIDS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구체예로,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투여하여 포유동물에서 저해되는 특이적 바이러스 질환은 특히나 바이러스 간염(A, B, C, 델타, E 및 G형), 인풀루엔자, 바이러스 폐렴, 바이러스 기관지염, 헤르페스 감염(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전염 증단핵구), 헤르페스 조스터(바리셀라 조스터 바이러스(VZV)), 회색질 척수염, AIDS(HIV-1 감염), 성인 T-세포 백혈병(ATL), 유두종(HPV), 홍역, 풍진, 돌발성 발진, 감염 홍반, 바이러스 뇌염, 바이러스 척수염, 비스나(양) 및 말 빈혈,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볼거리, 수두, 광견병, 바이러스 장염, 바이러스 심근염, 바이러스 심장막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로,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투여하여 포유동물에서 저해되는 특정 증상 및/또는 질환은 특히나 권태감, 아구창, 야간 발한 및 감기 증상, 열, 오한, 비염, 설사, 아토피 습진, 뇌염, 각막결막염, 인두염, 치은 구내염, 헤르페스 간염, 재발 구안점막피부 병소 또는 헤르페스 순음증, 대상포진, 소형 수두 피부 궤양, 수두 피부 궤양, 다형 홍반, 특발성 입작열, 아프타 궤양화, 베체트(Behcet) 증후군, 증단핵구, 버킷 림프종, 일차 삼출 림프종, 다발 골수종,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병증, 캐슬맨 병,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관련 림프종, 이식후 림프증식 질환, 호지킨 질환, T-세포 림프종, 구강 털 백색반증, 림프증식 질환, 림프상피 암종, 체강부 림프종 또는 B-세포 림프종, 비-각화 암종, 편평 세포 코인두 암종, 신장 이식-관련 상피 종양, 악성 중피종, 혈관육종, 카포시(Kaposi) 육종, 혈관림프구 과다형성, 전립선 신생물, 자궁경부암, 음문 신생물, 망막모세포종,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가드너 증후군, 베그너 증후군, 모반양 기저 세포 암종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1 형, 다발 신경병증, 운동 신경병증, 감각 신경병증, 다발신경근병증, 자율 신경병증, 초점 또는 다초점성 뇌 신경병증, 신경근병증, 전형적으로 종양 침윤으로 야기되는 신경얼기병증, 만성 요로 감염, 질증, 질염, 자궁경부 형성이상, 생식기 사마귀, 발바닥 사마귀, 성적 또는 주생기(perinatally) 전파 헤르페스 질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투여하여 포유동물에서 저해되거나 치료될 수 있는 특정 질환 및/또는 증상은 전달성 해면 뇌병증(TSE)으로 알려져 있는 진행성 퇴행 신경계 질환을 비롯한 전파 요인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전달성 해면 뇌병증(TSE)은 스크라피(Scrapie), 만성 소모병(CWD), 소 해면 뇌병증(BSE)(종종 "광우병"으로도 언급됨) 및 변형 및 전형적인 크로펠츠-야콥(Creutzfeldt-Jakob)병(CJ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로,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각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 및/또는 증상의 감소 또는 저해 정도는 약 10-20% 감소 또는 저해이다. 다른 구체예로, 통증의 감소 또는 저해 정도는 30-40%이다. 다른 구체예로, 통증의 감소 또는 저해 정도는 50-60%이다. 또 다른 구체예로, 상기 언급된 각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의 감소 또는 저해 정도는 75-100%이다. 본 원에서는 열거된 범위가 또한 열거된 범위내에 모든 특정 퍼센트의 양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약 75 내지 100% 범위는 또한 여기에 실질적으로 특정 범위를 언급하지 않은 76 내지 99%, 77 내지 98% 등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b) 레트로바이러스 역전사효소 저해제, 레트로바이러스 프로테아제 저해제 및 진입 저해제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조합을 이를 필요로 하는 숙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레트로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뉴클레오시드 RT 저해제: 레트로비르(AZT/지도부딘; Glaxo Wellcome); 콤비비르(Glaxo Wellcome); 에피비르(3TC, 라미부딘; Glaxo Wellcome); 비덱스(ddI/디다노신; Bristol-Myers Squibb); 히비드(ddC/잘시타빈; Hoffmann-La Roche); 제리트(Zerit)(d4T/스타부딘; Bristol-Myers Squibb); 지아겐(아바카비르, 1592U89; Glaxo Wellcome); 테노포비르, 엠트리시타빈, 히드레아(하이드록시우레아/HO; 뉴클레오시드 RT 효능제, Bristol-Myers Squibb) 또는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저해제(NNRTIs): 비라뮨(네비라핀; Roxane Laboratories); 렙스크립터(델라비르딘; Pharmacia & Upjohn); 서스티바(에파비렌즈, DMP-266; DuPont Merck); 프레베온(아데포비르 디피복실, 비스-POM PMEA; Gilead)을 포함하는 군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프로테아제 저해제(PI)는 포르토바제(사퀴나비르; Hoffmann-La Roche); 노르비르(리토나비르; Abbott Laboratories); 크릭시반(인디나비르; Merck & Company); 비라셉트(넬피나비르; Agouron Pharmaceuticals); 안게네라제(암프레나비르/141W94; Glaxo Wellcome), 아타자나비르, 칼레트라(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VX-478, KNI-272, CGP-61755 및 U-103017, 또는 진입 저해제 T20(푸제온 또는 엔푸비르티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부형제가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항-바이러스 약물 및/또는 염증 화합물 및/또는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면역조절제와 함께,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특정 구체예에서, 항염증성 화합물 또는 면역조절 약물은 인터페론; 베타세론, 베타-인터페론을 비롯한 인터페론 유도체; 일로프로스트, 시카프로스트를 비롯한 프로스탄 유도체; 코르티솔,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을 비롯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사이클로스포린 A, FK-506, 메톡살렌, 탈리도미드, 설파살라진,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를 비롯한 면역억제제; 질레우톤, MK-886, WY-50295, SC-45662, SC-41661A, BI-L-357을 비롯한 리폭시게나제 저해제; 류코트리엔 길항제; ACTH 및 그의 유사체를 비롯한 펩티드 유도체; 가용성 TNF-수용체; TNF-항체; 인터류킨, 다른 사이토킨, T-세포-단백질의 가용성 수용체; 인터류킨, 다른 사이토킨, T-세포-단백질의 수용체에 대한 항체; 및 칼시포트리올 및 그의 유사체를 단독으로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화합물 또는 면역조절제와 배합하여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통증 또는 증상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바이러스 질환 또는 징조로 고통받고 있는 포유동물에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 또는 증상을 경감 또는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징조를 저해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징조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항박테리아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과 함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배합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바이러스 감염 및/또는 바이러스 징조를 치료적으로 또는 예방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은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바이러스 징조 발생후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은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바이러스 징조 발생전에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 방법 모두 포유동물의 바이러스 감염을 저해한다.
일 구체예로, HIV-1, 간염 바이러스 또는 생쥐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특정적으로 제외되는 것은 Yutaka 등의 문헌에 기술된 Z-100의 사용이다(대식세포에서 인간형 tubercle bacilli 결핵균으로부터 추출한 면역조절제인 Z-100에 의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형 복제의 저해; Yutaka Emoril et al. J Gen Virol 85(2004), 2603-2613).
또 다른 구체예로, 헤르페스 바이러스 1 형에 의해 야기된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특정적으로 제외되는 것은 Kobayashi M 등의 문헌에 기술된 Z-100의 사용이다(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 결핵균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아라비노만난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열적으로 손상된 마우스의 내성을 향상시킨다(Kobayashi M et al. Immunol Lett. 1994 Jun; 40(3):199-205)).
바람직한 투여 용량은 제형의 ml 또는 mg당 약 10 ng 내지 약 10 mg의 임의 범위일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또한 몰 농도로도 측정될 수 있으며, 약 1 nM 내지 약 10 mM 범위일 수 있다. 제형은 또한 약제학적 또는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되는 것이 고려되기도 한다. 정확한 용량은 과도한 실험없이 익히 알려진 일상적인 임상 실험으로 확립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노출 위험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대상에서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제시된 바이러스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하며, 대상이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 상기 노출의 증상을 예방한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에서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제시된 바이러스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하며, 대상이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 상기 노출 증상을 예방한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개선을 요하는 대상에서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제시된 바이러스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한다.
또한, 노출후 예방을 제공하여 직업 및 비직업 환경의 민감한 개체에서 헤르페스 감염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방법도 구상된다. 바이러스 감염 감소의 유사 목표가 유효한 항바이러스 용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경구, 직장 및/또는 질강에 제공하여 헤르페스의 성적 전파를 예방 및/또는 자궁 전파를 예방 또는 저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체예의 유도의 일환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다른 화합물, 예컨대 항-헤르페스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시클로비르 등의 뉴클레오시드 약물과 배합하여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환자에서 헤르페스 바이러스 복제를 감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상술된 조성물을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의 기존의 병소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에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의 기존의 병소 및 궤양을 치료하고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의 앞으로 있을 병소 및 궤양을 치료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원에서는 치료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매개된 병리 상태로 고통받고 있는 포유동물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도 또한 제공되는 것이 구상된다. 이러한 병리 상태, 예컨대 염증 반응, 종양형성, 자가면역 질환 등은 상기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초래될 수 있다.
헤르페스 및 다른 바이러스 감염을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치유하기 위한 새로운 의학적 치료 및 의약이 제공된다. 국소 제형이 감염 부위상에 도포되어 질환의 물리적인 증상이 사라지고 환자가 편안하면서 정상적인 외관을 나타낼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들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구체예 외에, 표재성 바이러스 감염 또는 피부의 표재성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야기된 생리적인 상태, 체강 점막 표면을 가지는 개체를 치료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이 구상된다는 것도 자명할 것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감염될 수 있는 점막 표면의 예는 경구 연조직; 중이; 위장관; 비뇨생식관; 기도/폐 조직, 안구; 및 복막의 감염을 포함한다.
상기 구체예에 따라, 상기 제시된 조직 및 기관의 치료 표적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국소적으로 저해하거나, 증상을 국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때 기관은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와 충분한 시간동안 접촉된다.
이러한 바이러스를 치료하는데 바람직한 화합물중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천연 또는 합성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가 있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 및 유사 활성 화합물은 일련의 어세이로 동정할 수 있으며, 이때 화합물(천연 또는 합성 투베르신 및/또는 SSM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은 어세이에서 대조군에 대해 바이러스 저해 활성을 나타낼 것이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들 어세이중 하나는 U1 단핵 세포에서 인터류킨-18 또는 IL-18-유도되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생산을 봉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어세이는 자극제, 예컨대 IL-6, NaCl, LPS, TNF, 및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HIV 자극을 봉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어세이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MAGI-CCR-5 세포 어세이 및 PBMC 어세이를 포함한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다른 유사 바이러스 저해-기초 어세이를 이용하여 상기 언급된 임의의 하나의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천연 또는 합성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동정할 수 있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투여하여 바이러스-유래 종양을 치료 및 예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는 바이러스-유래이거나 아닐 수 있지만 전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암을 치료하기 위해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양은 섬유육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연골육종, 골육종, 척삭종, 혈관육종, 내피육종, 림프혈관육종, 림프혈관내피육종, 윤활막종, 중피종, 어윙 종양, 평활근육종, 랍도미오육종, 랍도육종, 결장직장 암종,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흑색종, 편평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선암종, 땀샘 암종, 피부 기름샘 암종, 유두상 암종, 유두상 선암종, 낭선암종, 골수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신장 세포 암종, 간암, 담관 암종, 융모막 암종, 고환종, 배아 암종, 윌름(Wilms) 종양, 자궁경부암, 고환 종양, 폐 암종, 소형 세포 폐 암종, 방광 암종, 상피 암종, 신경아교종, 별아교세포종, 속질모세포종, 두개인두종, 뇌실막세포종, 솔방울샘종, 혈관모세포종, 청신경초종, 희소돌기아교세포종, 수막종, 신경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 골수종, 림프종 및 백혈병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투베르신 및/또는 SSM을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펩티드와 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단백질/펩티드 배합 요법에 대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상기 언급된 바이러스, 바이러스 징조 및/또는 질환에서 임의의 하나를 치료하기에 바람직한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정제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 또는 펩티드이다. 이러한 단백질 또는 그의 펩티드 단편을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화학적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변형 사카라이드 또는 변형 올리고사카라이드와 연관시켜 당단백질 또는 글리코폴리펩티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분자의 비-사카라이드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 부류의 대표적인 예는 항체, 효소, 성장 인자, 사이토킨 및 케모킨을 포함한다. 본 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 사카라이드와 연관될 수 있는 항체는 CDP-571, 겜투주마브 오조가마이신, 비시로마브, 임시로마브, 카프로마브, .sup.111인듐 사투모마브 펜데티드, 베바시주마브, 이브리투모마브 티욱세탄, 세툭시마브, 설레소마브, 아펠리모마브, HuMax-CD4, MDX-RA, 팔리비주마브, 바실릭시마브, 이놀리모마브, 레르델리무마브, 펨투모마브, 이디오타입 백신(CEA), 티탄, 류코트로핀, 에타너셉트, 펙셀리주마브, 알렘투주마브, 나탈리주마브, 에팔리주마브, 트라스투주마브, 에프라투주마브, 팔리비주마브, 다클리주마브, 린투주마브, 시토감, Engerix-B, 엔브렐, 가미뮨(IgG), 메닝기텍, 리툭산, 시나기스, 레오프로, 헤르셉틴, 산도글로불린, 멘주게이트 및 BMS-188667을 포함한다. 비-사카라이드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성장 인자, 효소 및 수용체는 베네픽스, 메닝기텍, 레팍토, 프로시트, 에포겐, 에프렉스, 인트론 A, 뉴포겐, 휴물린, 아보넥스, 베타세론, 세레자임, 게노트로핀, 코게네이트, 네오레코르몬, 고날-F, 휴말로그, 노보세븐, 퓨레곤, 노르디트로핀, 레비프, 뉴트로핀, 악티바세, 에스포, 뉴포겐, 인터그릴린, 로페론, 인수만, 세로스팀, 프롤라스틴, 뮬모자임, 그라노사이트, 크레온, 헤트로딘 HP, 다센, 사이젠, 류킨, 리페르겐, 레타바세, 프로류킨, 레그라넥스, Z-100, 소마트로핀, 휴마트로프, 뉴트로핀 데포, 소마트로핀, 에포에틴 델타, 유트로핀, 라피르나제, 인플릭시마브, 티파고긴, 오프렐베킨, 인터페론-알파, 알데스류킨, OP-1, 드로트레코긴 알파, 타소네르민, 오프렐베킨, 에타너셉트, 아펠리모마브, 다클리주마브, 티모신 알파 1, 베카프레민 및 A-74187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비-사카라이드 부분에는 펙셀리주마브, 아나킨라, 다베포에틴 알파, 인슐린 글라르긴, 아보넥스, 알렘투주마브, 류코트로핀, 베타세론, 알데스류킨, 도나세 알파, 테넥테플라스, 오프렐베킨, 코리오고나도트로핀 알파 및 나사루플라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 또는 세르핀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포유동물 α1-항트립신(AAT) 또는 α1-항트립신 활성(AAT)을 비롯한 AAT-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와 배합하여 바이러스 감염으로 고통받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세린 단백질 분해(SP) 활성에 의해 촉진되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합 요법은 바이러스 복제, 바이러스의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로의 부착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증상 및/또는 징조를 효과적으로 저해한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AAT 배합 요법에 대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하나의 제형으로 함께 혼합되거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 화합물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 또는 세르핀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포유동물 α1-항트립신(AAT) 또는 α1-항트립신 활성(AAT)을 포함하는 AAT-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기 전, 투여와 동시에 또는 투여후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AAT 배합 요법에 대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또한 화학 업계에 알려진 일상적이거나, 진보된 합성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AAT 화합물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에 직접 접합될 수도 있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AAT 배합 요법에 대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임의의 하나의 상기 언급된 바이러스, 바이러스 징조 및/또는 질환을 치료하기에 바람직한 화합물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천연 또는 재조합 AAT가 있다. 바람직하게, AAT는 야생형, 돌연변이, 또는 형질전환 포유동물 출처로부터 실질적으로 정제되거나, 야생형, 돌연변이 또는 형질변환 세포 배양물로부터 분리된다.
관심있는 펩티드는 동종 및 유사 펩티드이다. 동족체는 서열 상동성을 갖는 천연 펩티드이나, 유사체는 펩티딜 유도체, 예컨대 이러한 펩티드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 유도체일 것이다. AAT 및 AAT의 펩티드 유도체에 제한됨이 없이,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및 트리아졸 펩토이드 및 특정 페닐렌디알카노에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물질 등과 같은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서, 본 발명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AAT 배합 요법 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포유동물 α1-항트립신 또는 세린 프로테아제 활성 물질의 저해제는 또한 AAT의 부분 또는 단편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펩티드를 포함한 일련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없이, AAT의 10 아미노산 단편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펩티드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특히 고려된다. 이는 특히 아미노산 펩티드 MPSSVSWGIL(서열 번호 19); LAGLCCLVPV(서열 번호 20) SLAEDPQGDA(서열 번호 21); AQKTDTSHHD(서열 번호 22) QDHPTFNKIT(서열 번호 23); PNLAEFAFSL(서열 번호 24); YRQLAHQSNS(서열 번호 25); TNIFFSPVSI(서열 번호 26); ATAFAMLSLG(서열 번호 27); TKADTHDEIL(서열 번호 28); EGLNFNLTEI(서열 번호 29); PEAQIHEGFQ(서열 번호 30); ELLRTLNQPD(서열 번호 31); SQLQLTTGNG(서열 번호 32); LFLSEGLKLV(서열 번호 33); DKFLEDVKKL(서열 번호 34); YHSEAFTVNF(서열 번호 35); GDHEEAKKQI(서열 번호 36); NDYVEKGTQG(서열 번호 37); KIVDLVKELD(서열 번호 38); RDTVFALVNY(서열 번호 39); IFFKGKWERP(서열 번호 40); FEVKDTEDED(서열 번호 41); FHVDQVTTVK(서열 번호 42); VPMMKRLGMF(서열 번호 43); NIQHCKKLSS(서열 번호 44); WVLLMKYLGN(서열 번호 45); ATAIFFLPDE(서열 번호 46); GKLQHLENEL(서열 번호 47); THDIITKFLE(서열 번호 48); NEDRRSASLH(서열 번호 49); LPKLSITGTY(서열 번호 50); DLKSVLGQLG(서열 번호 51); ITKVFSNGAD(서열 번호 52); LSGVTEEAPL(서열 번호 53); KLSKAVHKAV(서열 번호 54); LTIDEKGTEA(서열 번호 55); AGAMFLEAIP(서열 번호 56); MSIPPEVKFN(서열 번호 57); KPFVFLMIEQ(서열 번호 58); NTKSPLFMGK(서열 번호 59); VVNPTQK(서열 번호 60),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이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AAT 배합 요법 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AAT 펩티드가 또한 상술한 서열 번호 1의 10 아미노산 AAT 펩티드 이외 임의의 모든 특이적 AAT 펩티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작정이다. 예를 들어, 서열 번호 1의 AAT 펩티드 아미노산 1-10, 아미노산 11-20, 아미노산 21-30 등이 본 원에 나열되었지만, 본 원에서는 서열 번호 1의 각 특이적인 AAT 펩티드를 실질적으로 열거하지 않으면서도 동일 조성물 및 방법의 사용이 서열 번호 1의 모든 가능한 AAT 펩티드 조합, 예컨대 아미노산 2-12, 아미노산 3-13, 4-14 등 뿐만 아니라 서열 번호 1의 선택된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임의의 모든 AAT 펩티드 단편을 특정적으로 포함하고자 의도된다. 따라서,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본 출원인은 서열 번호 1로 표시된 아미노산 서열에 기초한 임의의 모든 AAT 펩티드 변형체를 기본으로 한 조성물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이들 조성물의 사용에 대한 소유의 권리를 가진다.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융합 폴리펩티드의 일부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융합 폴리펩티드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상기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에 이종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융합 폴리펩티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예를 들어 변형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비롯한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IgG1 불변 영역은 Fc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항체-의존성 세포 세포독성(ADCC) 반응을 개시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융합 폴리펩티드는 융합 폴리펩티드의 동정, 추적 또는 정제에 유용한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융합 폴리펩티드는 또한 FLAG 또는 HIS tag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융합 폴리펩티드는 또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로부터 이종 아미노산 서열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 분해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자체로 보조제로서 투여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은 후술하는 의사 참고용 약전(Physicians Desk Reference)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제약과 함께 사용되는 면역자극제 또는 면역조절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은 자체로 공지된 모든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기생충 항원 제제에 대한 백신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신 제제의 보조제로서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은 후술하는 의사들의 약전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제약과 함께 사용되는 면역자극제 또는 면역조절제로서 작용한다.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서,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저해하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천연, 합성 및 생합성 분자 또는 화합물을 비롯한 소형 유기 분자 또는 화합물, 천연 및/또는 합성 분자 또는 화합물을 비롯한 소형 무기 분자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단 이들 분자 또는 화합물은 특히 후술하는 시험관내 어세이에 의해 시험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 또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유사 활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전신적으로, 이식에 의해, 정맥내로, 국소적으로, 수막강내로, 두개내로, 뇌실내로, 흡입에 의해 또는 비강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특정 구체예에서, 대상 또는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구체예에서, 대상 또는 포유동물은 가축 및/또는 길들여진 포유동물이다.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SSM 및 이들의 기능성 유도체를 이용하여 기술되었지만, 상기 언급된 각 방법이 과도한 실험없이 면역자극제 및 항-종양제로서 이전에 사용된 다른 박테리아 세포벽 추출물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에 따라,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박테리아 세포벽 추출물의 대표적인 예는 전체가 본 원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어지는, 미코박테리움(Mycobacterium),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노카디아(Nocardia) 및 액티노마이세테스(Actinomycetes) 속으로부터의 모든 박테리아종 뿐 아니라 바실러스 칼메테-구에린(Bacillus Calmette-Guerin)(BCG), 폴리사카라이드 K, 베타 1,3-글루칸,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엘. 락티스(L. Lactis), 엘. 퍼멘(L. fermentum), 엘. 아시도폴루스(L. acidopholus) 및 에스. 락티스(S. lactis)의 추출물이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무라밀 펩티딜 글리칸 복합체(MPGC)는 가변 길이의 만노스가 풍부한 폴리사카라이드에 부착된 무람산 부분을 함유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의 비독성 박테리아 세포벽 추출물이다. 만노스가 풍부한 폴리사카라이드는 전체 무람산-함유 복합체의 내재화를 촉진하며, 본 발명의 각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여를 보다 잘 알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 다소 광범하게 약술된다. 이하,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체예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하기 설명 및 도면에 예시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및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원에 사용된 용어 및 문구는 설명만을 목적으로 하며 제한의 의도는 없다.
당업자들은 설명이 기초로 하고 있는 개념이 그 자체로,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 및 이점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방법들을 설계하는데 기초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러한 등가적인 구성이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U1 세포에서 투베르신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2는 U1 세포에서 투베르신 및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3은 세포에서 실시한 증식 및 독성 조사의 결과이다.
도 4는 HIV로 감염된 인간 말초혈액 단핵 세포(PBMC)에서 투베르신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PBMC 배양물중 하나에서 IL-8의 정량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배양물에서 측정한 IL-6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MAGI 세포에서 HTV-I 감염의 투베르신 저해 결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표준 방법
본 발명에 따라 당업자들 수준에 있는 통상적인 분자 생물학, 미생물학 및 재조합 DNA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문헌에 완벽하게 설명되어 있다. 참조예: Sambrook, Fritsch & Maniatis, Molecular Cloning: Laboratory Manual, Second Edition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 Y.; Animal Cell Culture R.I. Freshney, ed., 1986).
치료 방법
본 발명은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조 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즉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제형 투여는 바이러스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유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으로, 약제는 혈액뇌 장벽을 경유함으로써 정맥내 또는 경구 투여가 가능한 투베르신 및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유사체이다. 혈액뇌 장벽 경유에는 분자의 소수성 증가; 예컨대 혈액뇌 장벽에서 수용체로 표적화된 트랜스페린과 같이, 분자를 접합체로서 담체에 도입하는 것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많은 전략이 가능하다. 다른 구체예로, 약제는 두개내 또는 보다 직접적으로, 뇌실내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 약제는 흡입 또는 비강내 방식으로 투여될 수도 있다.
그밖의 구체예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면역계의 바이러스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적으로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그밖의 또 다른 구체예로, 바이러스 질환의 증상 또는 징후 발현전, 심각한 증상 또는 징후 발현전에 본 발명의 약제를 예방제로서 시의 적절히 투여함으로써 질환을 예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바이러스 질환의 위험이 있는 환자를 예방책으로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로 처리할 수도 있다.
유효량의 본 발명의 약제 및 적절한 치료 요법은 징조 및 환자 상태, 및 분자 자체의 특성, 예컨대 생체내 반감기 및 활성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는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다룰 수 있으며, 일상적인 실험으로 측정할 수 있 다.
바람직한 투여 용량은 치료 환자의 생체액 ml 당 약 1 피코그램 내지 약 500 ㎍의 임의 범위일 수 있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와 유사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은 또한 몰 농도로도 측정될 수 있으며, 약 1 nM 내지 약 2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바이러스 질환
본 발명의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저해하는 치료적 방법이 유익한 특이적 바이러스 질환 또는 장애에는 D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 및 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 질환 또는 장애가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로, 감염 포유동물로부터 저해되는 바이러스는 헤파드나비리다에, 아데노비리다에, 파르보비리다에, 파포비리다에, 폭스비리다에, 이리도비리다에 및 헤르페스비리다에를 포함하는 속으로부터의 DNA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로, 감염 포유동물로부터 저해되는 바이러스는 피코르나비리다에, 칼시비리다에, 토가비리다에, 플라비비리다에, 코로나비리다에, 랍도비리다에, 필로비리다에, 파라믹소비리다에, 오르토믹소비리다에, 분야비리다에, 아레나비리다에, 레오비리다에 및 비르나비리다에를 포함하는 속으로부터의 RNA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그밖의 다른 구체예로, 감염 포유동물로부터 저해되는 바이러스는 HTLV-I, HTLV-II, HTLV-III(HIV-1) 및 HIV-2를 포함한 렌티비리다에 및 A, B, C, 델타 및/또는 E 형 간염 바이러스를 포함한 간염 바이러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는 속으로부터의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가능한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증상
다른 구체예로,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투여하여 포유동물에서 저해되는 특정 바이러스 질환은 특히 바이러스 간염(A, B, C, E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폐렴, 바이러스 기관지염, 헤르페스 감염(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감염 증단핵구), 헤르페스 조스터), 회색질 척수염, AIDS(HIV-1 감염), 성인 T-세포 백혈병(ATL), 유두종, 홍역, 풍진, 돌발성 발진, 감염 홍반, 바이러스 뇌염, 바이러스 척수염,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볼거리, 수두, 광견병, 바이러스 장염, 바이러스 심근염, 바이러스 심장막염 등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방법은 AIDS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방법은 권태감, 열, 마른 기침, 근육통 및 가슴 통증, 환기 손상, 발한, 방사선 조사시 종격 확대, 목가슴 부종, 괴사 세로칸 림프절염, 비오목 부종, 가피, 구역, 구토, 열, 복부 통증, 혈변 설사, 점막 궤양화 및 출혈성 창자간막 림프절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AIDS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른 구체예로,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투여하여 포유동물에서 저해되는 특정 증상 및/또는 질환은 특히 권태감, 열, 오한, 비염, 설사, 아토피 습진, 뇌염, 각막결막염, 인두염, 치은 구내염, 헤르페스 간염, 재발 구안점막피부 병소 또는 헤르페스 순음증, 소형 수두 피부 궤양, 수두 피부 궤양, 다형 홍반, 특발성 입작열, 아프타 궤양화, 베체트 증후군, 증단핵구, 버킷 림프종, 일차 삼출 림프종, 다발 골수종,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병증, 캐슬맨 병,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관련 림프종, 이식후 림프증식 질환, 호지킨 질환, T-세포 림프종, 구강 털 백색반증, 림프증식 질환, 림프상피 암종, 체강부 림프종 또는 B-세포 림프종, 비-각화 암종, 편평 세포 코인두 암종, 신장 이식-관련 상피 종양, 악성 중피종, 혈관육종, 카포시 육종, 혈관림프구 과다형성, 전립선 신생물, 자궁경부암, 음문 신생물, 망막모세포종,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가드너 증후군, 베그너 증후군, 모반양 기저 세포 암종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1 형, 다발 신경병증, 운동 신경병증, 감각 신경병증, 다발신경근병증, 자율 신경병증, 초점 또는 다초점성 뇌 신경병증, 신경근병증, 전형적으로 종양 침윤으로 야기되는 신경얼기병증, 성적 또는 주생기 전파 헤르페스 질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에 비추어, 본 발명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HIV-1에 노출되거나 노출 위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상에서 AIDS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개선을 요하는 대상에서 AIDS의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투베르신
투베르신-3 및 투베르신-5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투베르신 조성물은 투베르신-3 및 투베르신-5로 지칭되는 투베르신 탄수화물 복합체를 포함한다. 투베르신-3은 문헌 [Chung, T. H., J. Korean Med. Ass., 17, 427-431(1974); Chung, T. H. et al., Yonsei Med. J., 17, 131-135(197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투베르신-5는 전체 내용을 본 원에서 참고로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 6,274,35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엠. 튜베클로시스(M. tuberculosis)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투베르신-5는 만노스, 아라비노스, 글루코스 및 갈락토스와 같은 필수 모노사카라이드 사이에 형성된 직쇄 및 측쇄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지는 폴리사카라이드 혼합물이다. 이러한 폴리사카라이드의 분자량은 7,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3,500 달톤이다.
예를 들어, 투베르신-5 탄수화물 복합체는 필수적으로 만노스, 아라비노스, 글루코스 및 갈락토스를 구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로 구성되는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각 폴리사카라이드의 분자량은 7,000 이하이고, 폴리사카라이드의 부분 산 가수분해 산물은 다음 구조 A를 포함한다:
Figure 112007051732414-PCT00001
상기 구조식에서,
n, o 및 p는 각각 정수이고;
x는 글루코스 및 갈락토스 잔기 사슬이다.
다른 구체예로, 구조 A로 나타내어진 투베르신-5 추출물의 부분 산 가수분해 산물은 다른 구조 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51732414-PCT00002
상기 구조식에서,
l 및 m은 각각 정수이고;
x는 글루코스 및 갈락토스 잔기 사슬이다.
또 다른 구체예로, 구조 B로 나타내어진 투베르신-5 추출물의 부분 산 가수분해 산물은 다른 구조 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51732414-PCT00003
또 다른 구체예로, 구조 A로 나타내어진 투베르신-5 추출물의 부분 산 가수분해 산물은 하기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상술된 임의의 부분 산 가수분해 산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51732414-PCT00004
Figure 112007051732414-PCT00005
마루야마의 특이적 물질(SSM)
SSM은 도쿄 니폰 의과 대학의 작고한 교수인 치사토 마루야마로부터 이름을 따 마루야마의 특이적 물질이라는 명칭을 가지는, 결핵 균주로부터 유래된 백신을 의미한다. SSM(본 원에서 종종 SSMA로도 언급됨)은 아라비노만난을 폴리사카라이드로 포함하고,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상기 아라비노만난에 부착된 지방산을 가지며, 상기 리포폴리사카라이드내 지방산 함량은 3 내지 28%이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인간 튜베클 바실러스(tubercle bacillus),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균주 아오야마(Aoyama) B 또는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 균주 H.sub.37 R.sub.v의 세포체를 열수 추출하고 정제하여 수득한다. 따라서, SSM은 리포아라비노만난이고, 화학 조성이 명확한 리포폴리사카라이드 구조를 가지며, 전체 내용을 본 원에서 참고로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 4,394,502호 또는 전체 내용을 본 원에서 참고로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 4,329,45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제 및 분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SSM 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지방산을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아라비노만난에 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아라비노만난은 인간 튜베클 바실러스,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 균주 아오야마 B 또는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 균주 H.sub.37 R.sub.v의 세포체를 알칼리 추출하고 정제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리포폴리사카라이드내 지방산 함량은 3 내지 28%이다. 다른 구체예로, SSM 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지방산을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리포아라비노만난에 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고, 상기 리포아라비노만난은 인간 튜베클 바실러스,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 균주 아오야마 B 또는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 균주 H.sub.37 R.sub.v의 세포체를 열수 추출하고 정제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리포폴리사카라이드내 지방산 함량은 3 내지 28%이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지방산은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튜베쿨로스테아르산, 헵타데칸 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이며, 상기 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30 내지 74%의 아라비노스, 20 내지 50%의 만노스, 0 내지 10%의 글루코스 및 0 내지 13%의 갈락토스의 모노사카라이드 조성을 갖는다.
HBe 항원 제거에 대한 SSM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토무라 케이 등(Satomura K et al.)은 SSM이 인간 말초혈액 세포에서 IFN-감마의 생산을 촉진한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또한 SSM으로 HBe 항원-양성 만성 간염 B 환자를 처리하는 경우 HBe 항원이 제거되어 IL-10 저해 및 IFN-감마 자극을 통해 혈청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수준이 정상화된다는 것도 제안하였다. (사이토킨의 HBe 항원-양성 만성 간염 B-임상 효능 및 조절에 대한 SSM(마루야마의 특이적 물질) 효과, J Nippon Med Sch. 2000 Aug; 67(4):261-6).
Z-100
Z-100은 SSM의 보다 강력한 변형체이다. Z-100은 SSM과 동일한 시약이나, 상이한 농도로 사용된다. Z-100은, 예컨대 인터류킨 12, 인터페론 감마(IFN-) 및 -케모킨 유도와 같은 다양한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미코박테리움 튜베쿨로시스로부터 추출된 아라비노만난이다(대식세포에서 인간형 튜베클 바실리로부터 추출된 면역조절제인 Z-100에 의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형 복제 저해, Yutaka Emoril et al. J Gen Virol 85(2004), 2603-2613). 유타카 등(Yutaka et al.)은 인간 단핵세포-유래 대식세포(MDM)에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형(HIV-1) 복제에 대한 Z-100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MDM에서, Z-100은 대식세포-성(M-tropic) HIV-1 균주(HIV-1JR-CSF) 뿐 아니라 양친화성 몰로니 생쥐 백혈병 바이러스 또는 소포 구내 염 바이러스 G 인벨롭을 가지는 HIV-1 슈도형의 복제를 현저히 억제한다. 유타카 등은 또한 감염 24 시간후에 첨가된 조차도 Z-100이 HIV-1 발현을 저해한다는 것도 입증하였다. 또한, 유타카 등은 또한 벡터가 MDM으로 직접 형질감염된 경우 Z-100이 pNL431ucenv 벡터의 발현을 실질적으로 저해한다고도 입증하였다(여기에서 env 유전자는 결여되어 있으며, nef 유전자는 개똥벌레 루시퍼라제 유전자로 대체됨). 이들 발견은 다같이 Z-100이 바이러스 복제를 주로 HIV-1 전사 수준으로 저해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유타카 등은 또한 Z-100이 또한 MDM에서 세포 표면 수용체 CD4 및 CCR5의 발현을 하향조절하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이는 HIV-1 진입에 대한 일부 저해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유타카 등에 의한 추가 실험으로 Z-100은 세포에서 IFN-생산을 유도하여 HIV-1 말단의 긴 반복 전사를 억제하는 16-kDa CCAAT/인핸서(enhancer) 결합 단백질(C/EBP) 전사 인자의 유도로 이어진다고 입증되었다. 이들 효과는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의 특이적 저해제인 SB 203580에 의해 경감되었으며, 이는 p38 MAPK 신호 경로가 MDM에서 HIV-1 복제의 Z-100-유도 억제에 관여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유타카 등의 상기 발견들을 종합하여 보면 Z-100은 HIV-1 감염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면역조절제임을 제안한다.
또한,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 균주 아오야마 B로부터 추출한 지질-아라비노만난인 Z-100의 효과를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 형(HSV) 감염 Z-100에 대한 열 손상 마우스(TI-마우스)의 저항성에 대해 조사하였다(Kobayashi M et al. 미코박테리움 튜베클로시스로부터 추출한 지질-아라비노만난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열 손상 마우스의 저항성을 향상시킨다[Kobayashi M et al. Immunol Lett. 1994 Jun;40(3):199-205]). 고바야시 등(Kobayashi M et al.)은 감염에 대한 TI 마우스의 민감성이 정상 마우스(N 마우스)에 비해 약 100 배 이상이라고 증명하였다. 그러나, Z-100로 치료한 경우(10 mg/kg 복막내; 열 손상후 1, 3 및 5 일), 감염에 대한 TI 마우스의 민감성 증가는 N 마우스에 발견된 수준으로 효과적으로 중화된다. 고바야시 등은 TI 마우스로부터 획득한 화상-관련 CD8+ CD11b+ TCR 감마/델타 + 억제인자 T(BAST) 세포의 인입 전달(adoptive transfer)이 HSV에 의한 감염에 대해 N 마우스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나. Z-100-처리 TI 마우스(ZTC)로부터 획득한 CD8+ T-세포 분획으로 접종된 N 마우스는 감염에 대한 민감성이 변하지 않았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고바야시 등은 항-IL-4 모노클로날 항체(mAb)의 존재하에서 시험관내로 분석된 경우, BAST 세포의 억제인자 세포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BAST 세포는 IL-4를 자극없이 그의 배양액으로 방출하였다. ZTC의 억제인자 세포 활성 및 ZTC에 의한 IL-4 생산은 최소한이었다. 고바야시 등의 상기 발견들을 종합하여 보면 Z-100은 BAST 세포 조절 및/또는 이들 세포로부터 IL-4의 방출을 통해 HSV 감염에 대한 TI 마우스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나타낸다.
상술된 투베르신 및 SSM(Z-100) 화합물 및/또는 물질 외에, 또 다른 구체예로,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모든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SSM 및/또는 투베르신 조성물은 특히 튜베클 바실러스를 뜨거운 수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SSM 및/또는 투베르신 기능성 유도체 조성물일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폴리사카라이드는 아라비노스, 만노스 및 글루코스 잔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모든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SSM 및/또는 투베르신 기능성 유도체 조성물은 또한 폴리사 카라이드의 분자량이 겔 여과에 측정된 경우, 약 5.배.lO.sup.2 - 5.배.lO.sup.4인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SSM/투베르신 기능성 유도체 조성물의 폴리사카라이드는 10-72 중량%의 만노스, 3-30 중량%의 아라비노스 및 5-30중량%의 글루코스로 구성된다.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의 SSM/투베르신 기능성 유도체 조성물의 폴리사카라이드는 40-50 중량% 만노스, 15-25 중량%의 아라비노스 및 5-15중량%의 글루코스로 구성된다. SSM/투베르신 기능성 유도체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 6,015,796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 및 분리될 수 있다. 본 원에서 인용된 범위는 또한 인용된 범위 사이의 모든 특정 퍼센트 양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약 10 내지 72%의 범위는 또한 여기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나 11 내지 71%, 12 내지 70% 등도 포함한다.
투베르신 및/또는 SSM-AAT 배합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 또는 세르핀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포유동물 α1-항트립신(AAT) 또는 α1-항트립신 활성(AAT)을 비롯한 AAT-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약제학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와 배합하여 바이러스 감염으로 고통받고 있거나 고통받기 시작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세린 단백질 분해(SP) 활성에 의해 촉진되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합 요법은 바이러스 복제, 바이러스의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로의 부착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증상 및/또는 징조 를 효과적으로 저해한다.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개선 및/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포유동물 알파-1-항트립신(AAT) 또는 α1-항트립신 활성(AAT)을 비롯한 AAT-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선택적 방법에 비해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 않은 다수의 이점이 얻어진다:
1. 세린 프로테아제 합성 저해제(AAT-류 모방체)가 개발될 수 있고 개발되었다(이하 참조, CE-2072). 이러한 약제학적 제제는 해당 경구 섭취용 환제로 제형화되거나, 흡입에 의해 확산성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흡입제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2. 인간에서 대체 요법으로 승인받은 시판 제제가 바이러스 감염 치료용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들 제제는 현재 바이러스 감염 이외의 징조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사용 AAT, 혈장 제제, 아프로티닌 등을 포함한다(American J. Of Resp Critical Care Med 1998, VIl 158: 49-59). 본 발명의 한가지 가능한 사례는 즉시 실용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적이나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흡입에 의해 환자에 전달된다.
3. 이러한 항-바이러스 요법의 접근 수단은 안전할 것이다. 유전성 AAT 결핍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주사용 AAT를 사용한 임상 실험이 상당수 있었다. 현재까지 다루기 어려운 장기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American J. Of Resp Critical Care Med 1998, VIl 158: 49-59; Wencker et al. Chest 2001 119:737-744). 더우기, 숙주 세린 프로테아제의 소형 분자 저해제는 가와사키병 환자(Ulinistatin, Ono Pharmaceuticals)에게 뛰어난 안정성 및 내성을 보이면서 투여되었다. 또한, 숙주 세린 프로테아제를 저해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것은 단기 치료기간만을 요하여 AAT 또는 AAT-류 모방체/또는 세린 프로테아제의 다른 저해제에 장기 노출로 인해 수반될 수도 있는 임의의 문제를 최소화할 것이다.
이에 따라, 알파-1-항트립신(AAT) 또는 α1-항트립신 활성(AAT)을 비롯한 AAT-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의 약제학적 유효량과 배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고려되는 세린 프로테아제 및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세린 프로테아제 및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
세린 프로테아제는 생명 기능의 활성화를 매개로 하여 인간 생리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의 일반적인 생리적 기능외에, 세린 프로테아제는 인간의 다수의 병리 상태에 관여한다. 세린 프로테아제는 활성 부위에서 아스파르트산, 히스티딘 및 세린의 촉매적 삼원소를 특징으로 한다.
천연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일반적으로 주로 디설파이드 결합 패턴 및 반응 부위의 서열 상동성에 기초해 패밀리로 분류되는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이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세르핀으로 공지된 군을 포함하는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미생물, 식물, 동물, 곤충 및 다른 유기체의 조직 및 유체에서 발견된다. 프 로테아제 저해제 활성은 1894년에 페르미 및 페모시(Fermi and Pemossi)에 의해 인간 혈장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적어도 9개의 분리된 충분히 특성화된 단백질이 현재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각종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능력을 공유하고 있다. 다양한 세린 프로테아제, 즉 백혈구 엘라스타제, 트롬빈, 카텝신 G, 키모트립신,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및 플라스민에 대한 수개의 저해제, 즉 α1-항트립신-프로테이나제 저해제, 항트롬빈 III, 항키모트립신, C1-저해제 및 α2-항플라스민이 함께 분류된다. 이들 저해제는 α1-항트립신-프로테이나제 저해제 부류의 일원이다. 단백질 α2-마크로글로불린은 다음과 같은 네 촉매 부류의 일원들을 저해한다: 세린, 시스테인, 아스파르트 및 금속프로테아제. 그러나, 특이적인 부류인 다른 타입의 프로테아제 저해제들이 있다. 예를 들어, α1-항트립신-프로테이나제 저해제((α1-항트립신 또는 AAT)로도 공지) 및 인터-알파-트립신 저해제는 세린 프로테아제만을 저해하며, α1-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를 저해하고, α1-항콜라게나제는 금속효소 부류의 콜라겐분해 효소를 저해한다.
인간 중성구 엘라스타제(NE)는 각종 염증 자극에 반응하여 다형핵 백혈구에 의해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NE의 용량 붕괴는 비교적 고혈장 농도의 α1-항트립신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중성구 자극으로 활성 산소 대사가 폭발적으로 되며, 이중 일부(예를 들어 하이포아염소산)는 α1-항트립신에서 중요한 메티오닌 잔기를 산화시킬 수 있게 된다. 산화된 α1-항트립신은 NE 저해제로서 제한적인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프로테아제/항프로테아제 밸런스 변경에 따라 NE가 그의 붕괴 기능을 국소 및 제한적인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됨을 제안하는 것이다.
α1-항트립신은 417개의 아미노산 및 3개의 올리고사카라이드 곁사슬을 가지는 MW 51,000의 당단백질이다. 인간 α1-항트립신은 초기에 췌장 트립신을 불활성시키는 것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항-트립신으로 칭해졌다. 인간 α1-항트립신은 시스테인 또는 글루타치온에 정상적으로 분자내 설파이드 결합된 단일 시스테인 잔기만을 가지며 내부 디설파이드 결합을 갖지 않는 단일 폴리펩티드 사슬이다. α1-항트립신의 반응 부위는 담배 연기 또는 다른 산화 오염 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산화되기 쉬운 메티오닌 잔기를 함유한다. 이러한 산화는 α1-항트립신의 생물학적 활성을 감소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그 부위에서 다른 아미노산, 즉 알라닌, 발린, 글리신,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또는 리신의 치환은 보다 안정한 α1-항트립신 형태를 형성한다. α1-항트립신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51732414-PCT00006
Figure 112007051732414-PCT00007
문헌 [Ciliberto, et al. in Cell 1985, 41, 531-540]을 참조바람. α1-항트 립신의 카복시말단에 인접한 중요한 아미노산 서열은 굵은 글씨로 나타내어지고 밑줄쳐졌으며, 본 발명에 적절한 것이다(상세한 서열은 예를 들어 전체 내용을 본 원에서 참고로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 5470970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T의 정상적인 혈장 농도는 급성기 반응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더라도, 1.3 내지 3.5 mg/ml이며, 염증 및/또는 조직 손상, 예컨대 임신, 급성 감염 및 종양에 대한 숙주 반응동안 3-4배 증가한다. 이는 조직 공간으로 용이하게 확산되며, 표적 프로테아제, 주로 중성구 엘라스타제와 1:1 복합체를 형성한다. 다른 효소, 예컨대 트립신, 키모트립신, 카텝신 G, 플라스민, 트롬빈, 조직 칼리크레인 및 Xa 인자가 또한 기질로 제공될 수 있다. 효소/저해제 복합체는 세르핀-효소 복합체(SEC) 수용체 결합에 의해 순환으로부터 제거되며, 간 및 비장에 의해 이화된다. α1-항트립신의 순환 수준이 정상의 15% 미만인 인간은 어린 나이에 폐 질환, 예컨대 가족성 폐기종 발생에 민감하다. 가족성 폐기종은 α1-항트립신 대 세린 프로테아제, 특히 엘라스타제의 낮은 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해제는 세린 프로테아제에 의한 공격에 대해 방어 기전의 중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α1-항트립신은 현재 프로테아제 불균형에 대한 임상 요법의 승인을 받은 몇개 되지 않는 천연 포유동물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중 하나이다. 치료적 α1-항트립신은 80년대 중반부터 상업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정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예를 들어 Bollen et al., 미국 특허 제 4,629,567호; Thompson et al., 미국 특허 제 4,760,130호; 5,616,693호; WO 98/56821호를 참조바람). 프롤라스틴은 α1-항트립신의 정제된 변이체에 대한 상표명이며, 현재 바이엘 컴퍼니 사(Bayer Company)에서 시판하고 있다(미국특허 제 5,610,285호, Lebing et al., 1997년 3월 11일).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재조합 α1-항트립신의 비변형 및 돌연변이 변이체가 또한 공지되었으며(미국 특허 제 4,711,848호); 사용방법, 예컨대 α1-항트립신 유전자 요법/전달도 또한 공지되었다(참조예: 미국 특허 제 5,399,346호, French Anderson et al.).
세린 프로테아제 작용의 두 공지된 세포 기전은 직접적인 붕괴 효과 및 G-단백질-커플링된 프로테이나제-활성화 수용체(PAR)의 활성화에 의한다. PAR은 프로테아제 결합후 특이적 펩티드 결합의 가수분해로 활성화됨에 따라 새로운 N-말단 서열이 수용체를 자극하게 된다. PAR의 활성화 결과는 감염 세포 또는 조직상에서 자극받는 PAR 타입에 좌우되며, 포스포리파제 C.베타.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C 활성화 및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저해를 포함할 수 있다(Dery, O. and Bunnett, N. W. Biochem Soc Trans 1999, 27,246-254; Altieri, D. C. J. Leukoc Biol 1995, 58, 120-127; Dery, O. et al. Am J. Physiol 1998, 274, C1429-C1452).
본 발명이 본 원에 기술된 예시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도 본 발명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및 트리아졸을 개시하고 있는 WO 98/24806호에 기술된 저해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5,874,585호에는 다음 군들을 포함하여,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 유용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들이 기술되어 있다: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 (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2-페닐에틸)-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2-메톡시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트리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메틸)-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디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메톡시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2,6-디플루오로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트랜스-스티릴)-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트랜스-4-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트랜스-4-메톡시스티릴)-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티에닐메틸)-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페닐)-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및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I-(3- (5-(3-페닐프로필)-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미국 특허 제 5,216,022호는 다음 군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다른 소형 분자를 교시하였다: 특히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CB-2072로도 또한 공지됨);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2-(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2-(5-(메틸)-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2-(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2-(5-(4-디메틸아미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2-(5-(1-나프틸레닐)-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1-(3-(5-(3,4-메틸렌디옥시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5-디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5-디메톡시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5-디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비페닐메틴)-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 (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4-페닐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페닐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페녹시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사이클로헥실메틸렌)-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디메틸메틸렌)-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1-나프틸메틸렌)-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피리딜메틸)-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3,5-디페닐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N-[1-(3-(5-(4-디메틸아미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L-프롤린아미드; 2-(5-[(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6-옥소-2-(4-플루오로페닐)-1,6-디하이드로-1- 피리미디닐]-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S)-2-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2-(5-아미노-6-옥소-2-(4-플루오로페닐)-1,6-디하이드로-1-피리미디닐]-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2-(5-[(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6-옥소-2-(4-플루오로페닐)-1,6-디하이드로-1-피리미디닐]-N-[1-(2-(5-(3-메틸벤질)- 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S)-2-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2-(5-아미노-6-옥소-2-(4-플루오로페닐)-1,6-디하이드로-1-피리미디닐]-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피롤-2-카보닐)-N-(벤질)글리실-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피롤-2-카보닐)-N-(벤질)글리실-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S)-메틸프로필]아미드; (2S,5S)-5-아미노-1,2,4,5,6,7-헥사하이드로아제피노-[3,2,1]-인돌-4-온-카보닐-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R,S)-2-메틸프로필]아미드; BTD-[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R,S)-3-아미노-2-옥소-5-페닐-1,4-벤조디아제핀-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2-L-(2,3-디하이드로-1H-인돌)-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벤질옥시카보닐)-L-발릴-2-L-(2,3-디하이드로-1H-인돌)-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아세틸-2-L-(2,3-디하이드로-1H-인돌)-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3-(S)-(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엡실론-락탐-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3-(S)-(아미노)-엡실론-락탐-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3-(S)-[(4-모르폴리노카보닐-부타노일)아미노]-엡실론-락탐-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 릴]카보닐)-2-(R,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6-[4-플루오로페닐]-엡실론-락탐-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2-(2-(R,S)-페닐-4-옥소티아졸리딘-3-일]-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2-(2-(R,S)-페닐-4-옥소티아졸리딘-3-일]-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하이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2-(2-(R,S)-벤질-4-옥소티아졸리딘-3-일]-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2-(2-(R,S)-벤질-4-옥소티아졸리딘-3-일 옥사이드]-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R,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벤조일-3,8-퀴나졸린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벤조일-3,6-피페라진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페닐-3,6-피페라진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페닐-3,6-피페라진디온)-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퀴놀린-2-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7-피페리디닐-퀴놀린-2-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3-(카보메톡시-퀴놀린-2-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3-(아미노-퀴놀린-2-온)-N-[1-(2-(5- (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3-[(4-모르폴리노)아세토]아미노-퀴놀린-2-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3,4-디하이드로-퀴놀린-2-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아세틸-3-(4-플루오로벤질리덴)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아세틸-3-(4-디메틸아미노벤질리덴)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아세틸-3-(4-카보메톡시벤질리덴)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아세틸-3-[(4-피리딜)메틸렌]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1-벤질-3-(R)-벤질-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1-벤질-3-(S)-벤질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1-벤질-3(R)-벤질피페라진-2,5-디온]-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1-벤질-3-(S)-벤질피페라진-2,5-디온]-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1-벤질-3-(S)-벤질피페라진-2,5-디온]-N-[1-(3-(5-(2-디메틸아미노에틸)-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1-메틸-3-(R,S)-페닐피페라진-2,5-디온]-N-[1-(3-(5-(3-트리 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메틸-3-(R,S)-페닐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1-(4-모르폴리노에틸)-3-(R)-벤질피페라진-2,5-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5-(R,S)-페닐-2,4-이미다졸리딘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5-(R)-벤질-2,4-이미다졸리딘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5-(S)-벤질-2,4-이미다졸리딘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5-(S)-벤질-2,4-이미다졸리딘디온-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5-(R)-벤질-2,4-이미다졸리딘디온-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1-벤질-4-(R)-벤질-2,5-이미다졸리딘디온-N-[1-(2-(5-(3-메틸벤질)-1,3,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및 1-벤질-4-(R)-벤질-2,5-이미다졸리딘디온-N-[1-(3-(5-(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릴]카보닐)-2-(S)-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 제 5,869,455호에는 N-치환된 유도체가 기술되었으며; 미국 특허 제 5,861,380호에는 프로테아제 저해제-케토 및 디-케토 함유 환 시스템이 기술되었고; 미국 특허 제 5,807,829호에는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트리펩토이드 유사체가 기술되었으며; 미국 특허 제 5,801,148호에는 세린 프로테아제 저 해제-프롤린 유사체가 기술되었고; 미국 특허 제 5,618,792호에는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 유용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이 기술되었다. 이들 특허 및 PCT 공보 및 이하 기술되는 다른 문헌들은 전체내용을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하도록 본 원에 인용되었다. 예컨대 벼룩으로부터의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개시하고 있는 WO 98/20034호에서와 같이, α1-항트립신을 대신하여 또는 α1-항트립신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등가의 유리한 분자가 구상된다. 이러한 단일 문헌에 한하지 않고, 당업자들은, 예컨대 세린 프로테아제를 저해하는데 유용한 아미노구아니딘 및 알콕시구아니딘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는 WO98/23565호에서와 같은 화합물을 과도한 실험없이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추가의 배합 요법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각 측면 및 구체예에서, 상술된 이외의 요법이 또한 본 원에서 명백히 구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마크롤라이드 또는 비-마크롤라이드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기생충제, 항염증 또는 면역조절 약물 또는 약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마크롤라이드 항생제의 예에는 특히 다음과 같은 합성, 반합성 또는 천연 마크롤라이드 항생제 화합물이 포함된다: 메티마이신, 네오메티마이신, YC-17, 리토린, 에리스로마이신 A-F, 올레안도마이신, 록시트로마이신, 디리트로마이신, 플루리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다버신, 아지트로마이신, 조사마이신, 키타사마이신, 스피라마이신, 미데카마이신, 로 키타마이신, 미오카마이신, 란카시딘 및 이들 화합물의 유도체. 따라서, 에리스로마이신 및 에리스로마이신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은 "마크롤라이드"로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부류의 항생제에 속한다. 바람직한 에리스로마이신 및 에리스로마이신-류 화합물의 예에 에리스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및 트롤레안도마이신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마크롤라이드 항생제외 추가의 항생제에는, 예를 들어 수명을 방해, 저해 또는 파괴하는 경향이 있는 임의의 분자가 포함되며, 그 자체로 및 본 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기생충제를 포함한다. 이들 제제는 시판품으로 입수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제약 회사, 예컨대 Eli Lilly, Indianapolis, Lid.; Sigma, St. Louis, Mo.), 약제를 제공하는 유기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TB 항생제 이소니아지드(이소니코틴산 히드라지드)가 효과적인 경우가 빈번하나, 이소니아지드는 종종 치명적인 중증 간염을 야기한다. 간염 위험률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증가한다. 또한, 이소니아지드는 일부 수용체에서 용량-관련 방식으로 말초 신경병증을 일으킨다. TB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항생제인 리팜핀이 이소니아지드와 같은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리팜핀과의 배합 치료 요구는 초기 치료뿐 아니라 폐 TB의 재치료에도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및 에티오나미드는 경구적으로 주어진다. 스트렙토마이신은 전형적으로 근육내로 주어진다. 아미카신은 근육내 또 는 정맥내로 주어진다. 나병 치료를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 클로파지민은 경구적으로 주어진다.
아미카신은 카나마이신 A로부터 유도되는 반합성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제이다. 그의 제조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 3,781,268호를 참조하기 바라며, 문헌 [Kerridge,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Drug Substances 1:125-153, M. E. Goldberg, ed.(1977)]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아미카신은 보통 근육내 또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임상 약리학, 징조, 부작용 및 제형을 비롯한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는 의사 참고용 약전(Physicians Desk Reference, 42 ed.(1988), pages 744-746(이후 PDR로 언급됨)을 참고하기 바란다.
클로파지민은 LAMPRENE.RTM.으로도 알려져 있는 항박테리아제이다. 그의 제조에 대해서는 문헌 [Barry, et at., Nature 179:1013(1957)]를 참조하기 바라며, 문헌 [Karat, et al., Brit. Med. J. 3:175(1971)]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클로파지민은 일반적으로 경구적으로 주어진다. 임상 약리학, 징조, 부작용 및 제형을 비롯한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는 PDR 982쪽을 참고하기 바란다.
에티오나미드는 AMIDAZINE.RTM. 및 TRECATOR.RTM.으로도 알려져 있는 항박테리아제이다. 영국 특허 제 800,250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약물은 전형적으로 경구적으로 주어진다. 주의사항 및 제형을 비롯한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는 PDR 2310쪽을 참고하기 바란다.
시프로플록사신은 경구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 스펙트럼의 합성 항박테리아제이다. 이는 또한 CIPRO.RTM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총 500 내지 1,000 mg의 1일 용량으로 주어지며, 보통 24 시간내에 2회 동일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는 PDR(1989) 1441-1443쪽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와 같은 플루오로퀴놀론 부류의 항생제의 다른 멤버로는 오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트로베오플록사신, 페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및 목시플록사신이 포함된다.
항-박테리아 항생제의 다른 예로는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카바세펨, 세파마이신, 카바페넴, 모노박탐, 아미노글리코시드, 글리코펩티드, 퀴놀론, 테트라사이클린, 마크롤라이드, 옥사잘리디논 및 플루오로퀴놀론이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생제의 예에 페니실린 G(CAS Registry No.: 61-33-6); 메티실린(CAS Registry No.: 61-32-5); 나프실린(CAS Registry No.: 147-52-4); 옥사실린(CAS Registry No.: 66-79-5); 클록사실린(CAS Registry No.: 61-72-3); 디클록사실린(CAS Registry No.: 3116-76-5); 암피실린(CAS Registry No.: 69-53-4); 아목시실린(CAS Registry No.: 26787-78-0); 티카실린(CAS Registry No.: 34787-01-4); 카베니실린(CAS Registry No.: 4697-36-3); 메즐로실린(CAS Registry No.: 51481-65-3); 아즐로실린(CAS Registry No.: 37091-66-0); 피페라실린(CAS Registry No.: 61477-96-1); 이미페넴(CAS Registry No.: 74431-23-5); 아즈트레오남(CAS Registry No.: 78110-38-0); 세팔로틴(CAS Registry No.: 153-61-7); 세파졸린(CAS Registry No.: 25953-19-9); 세파클로르(CAS Registry No.: 70356-03-5); 세파만돌 포르메이트 소듐(CAS Registry No.: 42540-40-9); 세폭시틴(CAS Registry No.: 35607-66-0); 세푸록심(CAS Registry No.: 55268-75-2); 세포시니드(CAS Registry No.: 61270-58-4); 세프메타졸(CAS Registry No.: 56796-20-4); 세포테 탄(CAS Registry No.: 69712-56-7); 세프프로질(CAS Registry No.: 92665-29-7); 로라카베프(CAS Registry No.: 121961-22-6); 카페타메트(CAS Registry No.: 65052-63-3); 세포페라존(CAS Registry No.: 62893-19-0); 세포탁심(CAS Registry No.: 63527-52-6); 세프티족심(CAS Registry No.: 68401-81-0); 세프트리악손(CAS Registry No.: 73384-59-5); 세프타지딤(CAS Registry No.: 72558-82-8); 세페핌(CAS Registry No.: 88040-23-7); 세픽심(CAS Registry No.: 79350-37-1); 세프포독심(CAS Registry No.: 80210-62-4); 세프설로딘(CAS Registry No.: 62587- 73-9); 플레록사신(CAS Registry No.: 79660-72-3); 날리딕산(CAS Registry No.: 389-08-2); 노르플록사신(CAS Registry No.: 70458-96-7); 시프로플록사신(CAS Registry No.: 85721-33-1); 오플록사신(CAS Registry No.: 82419-36-1); 에녹사신(CAS Registry No.: 74011-58-8); 로메플록사신(CAS Registry No.: 98079-51-7); 시녹사신(CAS Registry No.: 28657-80-9); 독시사이클린(CAS Registry No.: 564-25-0); 미노사이클린(CAS Registry No.: 10118-90-8); 테트라사이클린(CAS Registry No.: 60-54-8); 아미카신(CAS Registry No.: 37517-28-5); 젠타마이신(CAS Registry No.: 1403-66-3); 카나마이신(CAS Registry No.: 8063-07-8); 네틸마이신(CAS Registry No.: 56391-56-1); 토브라마이신(CAS Registry No.: 32986-56-4); 스트렙토마이신(CAS Registry No.: 57-92-1); 아지트로마이신(CAS Registry No.: 83905-01-5); 클라리트로마이신(CAS Registry No.: 81103-11-9); 에리스로마이신(CAS Registry No.: 114-07-8); 에리스로마이신 에스톨레이트(CAS Registry No.: 3521-62-8); 에리스로마이신 에틸 숙시네이트(CAS Registry No.: 41342-53- 4); 에리스로마이신 글루코헵토네이트(CAS Registry No.: 23067-13-2); 에리스로마이신 락토비오네이트(CAS Registry No.: 3847-29-8); 에리스로마이신 스테아레이트(CAS Registry No.: 643-22-1); 반코마이신(CAS Registry No.: 1404-90-6); 테이코플라닌(CAS Registry No.: 61036-64-4); 클로람페니콜(CAS Registry No.: 56-75-7); 클린다마이신(CAS Registry No.: 18323-44-9); 트리메토프림(CAS Registry No.: 738-70-5); 설파메톡사졸(CAS Registry No.: 723-46-6); 니트로푸란토인(CAS Registry No.: 67-20-9); 리팜핀(CAS Registry No.: 13292-46-1); 무피로신(CAS Registry No.: 12650-69-0); 메트로니다졸(CAS Registry No.: 443-48-1); 세팔렉신(CAS Registry No.: 15686-71-2); 록시트로마이신(CAS Registry No.: 80214-83-1); 코-아목시클라불라네이트; 피페라실린과 타조박탐 배합물; 및 이들의 다양한 염, 산, 염기 및 다른 유도체가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균제에는 카스포푼긴, 터비나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니스타틴, 암포테리신 B, 그리세오풀빈,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니트레이트, 플루사이토신, 플루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클로트리마졸, 벤조산, 살리실산 및 셀레늄 설파이드가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바이러스제에는 발간사이클로비르, 아만타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만타딘, 아시클로비르, 팜시클로비르, 포스카네트, 간시클로비르 소듐, 이독수리딘, 리바비린, 소리부딘, 트리플루리딘, 발라시클로비르, 비다라빈, 디다노신, 스타부딘, 잘시타빈, 지도부딘, 인터페론 알파 및 에독수딘이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기생충제에는 피레트린/피페로닐 부톡사이드, 퍼메트린, 요오도퀴놀, 메트로니다졸, 디에틸카바마진 시트레이트, 피페라진, 피란텔 마모에이트, 메벤다졸, 티아벤다졸, 프라지콴텔, 알벤다졸, 프로구아닐, 퀴니딘 글루코네이트 주사, 퀴닌 설페이트, 클로로퀸 포스페이트, 메플로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리마퀸 포스페이트, 아토바쿠온, 코-트리목사졸(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 및 펜타미딘 이세티오네이트가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예를 들어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항염증 또는 면역조절 약물 또는 약제를 투여하여 조성물을 보충할 수 있다. "면역조절 약물 또는 약제"라는 것은, 예를 들어 면역계 세포, 예컨대 T-세포, B-세포, 대식세포 또는 항원 전달 세포(APC)의 세포 활성을 촉진 또는 억제하거나, 면역계 외 성분들을 활성화하여 면역계, 예컨대 호르몬, 수용체 작용제 또는 길항제 및 신경전달물질을 자극, 억제 또는 조절하여 면역계에서 직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약제를 의미하며; 면역조절제는 예컨대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자극제일 수 있다. "항염증 약물"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염증 반응, 즉 손상에 대한 조직 반응을 치료하는 약제, 예컨대 면역계, 혈관계 또는 림프계를 치료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염증 또는 면역조절 약물 또는 약제에는 인터페론 유도체, 예컨대 베타세론, 베타-인터페론; 프로스탄 유도체, 예컨대 PCT/DE93/0013호에 기술된 화합물, 이를테면 일로프로스트, 시카프로스트;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컨대 코르티솔,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면역억제제, 예컨대 사이클로스포린 A, FK-506, 메톡살렌, 탈리도미드, 설파살라진,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리폭시게나제 저해제, 예컨대 질레우톤, MK-886, WY-50295, SC-45662, SC-41661A, BI-L-357; 류코트리엔 길항제, 예컨대 DE 40091171 독일 특허출원 제 P 42 42 390.2호호에 기술된 화합물; WO 9201675; SC-41930; SC-50605; SC-51146; LY 255283(D.K. Herron et al, FASEB J. 2: Abstr. 4729, 1988); LY 223982(D. M. Gapinski et al. J. Med. Chem. 33: 2798-2813, 1990); 예컨대 문헌 [J. Morris et al., Tetrahedron Lett. 29: 143-146, 1988, C. E. Burgos et al., Tetrahedron Lett. 30: 5081-5084, 1989]에 기술된 U-75302 및 유사체; 문헌 [B. M. Taylor et al., Prostaglandins 42: 211-224, 1991]에 기술된 화합물; 미국 특허 제 5,019,573호에 기술된 화합물; 예컨대 문헌 [K. Kishikawa et al., Adv. Prostagl. Thombox. Leukotrien Res. 21: 407-410, 1990; M. Konno et al., Adv. Prostagl. Thrombox. Leukotrien Res. 21: 411-414, 1990]호에 기술된 ONO-LB-457 및 유사체; 예컨대 미국 특허 제 4,963,583호에 기술된 WF-11605 및 유사체; WO 9118601호, WO 9118879호; WO 9118880호, WO 9118883호에 기술된 화합물; 항염증 물질, 예컨대 문헌 [L. Noronha-Blab. et al., Gastroenterology 102(SuppL):A 672, 1992; NPC 15669]에 기술된 NPC 16570, NPC 17923 및 문헌 [R. M. Burch et al., Proc. Nat. Acad. Sci. USA 88: 355-359, 1991; S. Pou et al., Biochem. Pharmacol. 45: 2123-2127, 1993]호에 기술된 NPC 15669 및 유사체; 펩티드 유도체, 예컨대 ACTH 및 유사체; 가용성 TNF-수용체; TNF-항체; 인터류킨, 다른 사이토킨, T-세포-단백질의 가용성 수용체; 인터류킨, 다른 사이토킨 및 T-세포-단백질의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자체로 보조제로 투여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치료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가 단독으로 또는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약물과 배합 사용되는 면역자극제 또는 면역조절제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자체로 공지된 모든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기생충 항원 제제에 대한 백신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신 제제의 보조제로서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치료적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가 단독으로 또는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약물과 배합 사용되는 면역자극제 또는 면역조절제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약제학적 약물의 예에는 이후 언급되는 것 및 전체를 본 원에서 나타내고 PDR(전체를 본 원에서 참고로 포함함)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 약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특정적으로 명시된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치료제는 동물 대상 또는 환자, 및 보다 바람직하게,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 및 예컨대 비-인간 영장류,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기니 피그 및 설치류를 비롯한 포유동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융합 단백질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각 측면 및 구체예에서, 융합 폴리펩티드가 또한 본 원에서 명백히 구상된다.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융합 폴리펩티드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재조합 발현의 대안으로, 본 발명의 융합 폴리펩티드는 표준 펩티드 합성 기술에 의해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융합 폴리펩티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각 방법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융합 폴리펩티드의 일부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상기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에 이종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중에는, 예를 들어,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가 있다.
본 발명의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이종 아미노산 서열이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예를 들어 변형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비롯한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IgG1 불변 영역은 Fc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항체-의존성 세포 세포독성(ADCC) 반응을 개시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일 구체예로, 융합 단백질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면역글로불 린 단백질 패밀리의 일원으로부터 유래된 서열로서, 예를 들어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예컨대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이를테면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가지는 이종 서열을 포함한다. 융합 단백질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714,147호, 미국 특허 제 5,116,964호, 미국 특허 제 5,514,582호 및 미국 특허 제 5,455,16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아미노-말단 또는 카복실-말단에 융합되거나 접합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면역글로불린 단백질 패밀리의 일원으로부터 유래된 서열과 융합되는 구체예에서, 면역글로불린의 FcR 영역은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로, Fc 수용체와 상호반응하지 않고 ADCC 반응을 개시하지 않는 면역글로불린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융합 단백질의 면역글로불린 이종 서열은 돌연변이화하여 상기 반응을 저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985,279호 및 WO 98/06248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일부로 사용되는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이종 아미노산 서열은 또한 융합 폴리펩티드를 동정, 추적 또는 정제하는데 유용한 아미노산 서열, 예컨대 FLAG 또는 His tag 서열도 포함할 수 있다.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또한 예를 들어,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또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세린 프로테아제 유도체 또는 합성 모방 서열의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저해제 또는 α1-항트립신으로부터 이종 아미노산 서열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단백질 분해 절단 부위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이종 아미노산 서열은 또한 융합 폴리펩티드를 동정, 추적 또는 정제하는데 유용한 아미노산 서열, 예컨대 FLAG(예를 들어 Hoop, T. P. et al., Bio/Technology 6, 1204-1210(1988); Prickett, K. S. et al., Biotechnique 7, 580-589(1989)를 참조바람) 또는 His tag(예를 들어 Van Reeth, T. et al., Biotechnique 25, 898-904(1998)을 참조바람) 서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또한 예를 들어,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로부터 이종 아미노산 서열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단백질 분해 절단 부위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GST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또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본 발명의 세린 프로테아제 유도체 또는 합성 모방 서열의 접합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저해제 또는 α1-항트립신은 GST 서열의 C-말단에 융합된다. 이러한 융합 단백질은 본 발명의 재조합 폴리펩티드의 정제를 촉진할 수 있다. GST, FLAG 또는 HisTag 융합 작제물이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융합 단백질의 작제에 사용되는 구체예에서, 융합 부분으로부 터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분리한 후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정제할 수 있도록, 단백질 분해 절단 부위가 임의로 융합 부분과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결합 부분에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효소 및 이들의 동족 인식 서열은 예를 들어 Xa 인자, 트롬빈 및 엔테로키나제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융합 발현 벡터는 pGEX(Pharmacia Biotech Inc.; Smith and Johnson(1988) Gene 67:31-40), pMAL(New England Biolabs, Beverly, Mass.) 및 pRIT5(Pharmacia, Piscataway, NJ.)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GST), 말토스 E 결합 단백질 또는 단백질 A에 융합하여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표적화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원핵생물(예컨대 E. coli) 또는 진핵생물 세포(예컨대 곤충 세포(바큘로바이러스 발현 벡터 이용), 효모 세포 또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본 발명의 융합 폴리펩티드의 발현을 위해 일상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적합한 숙주 세포는 또한 문헌 [Goeddel, 상동]에서도 검토되었다. 또한, 재조합 발현 벡터는 예를 들어 T7 프로모터 조절 서열 및 T7 폴리머라제를 이용하여 시험관내에서 전사되거나 해독될 수 있다.
원핵생물내에서 단백질의 발현은 가장 빈번히 융합 또는 비-융합 단백질의 발현을 지시하는 구조 또는 유도 프로모터를 함유하는 벡터를 이용하여 E. coli에서 수행된다. 융합 벡터는 여기에 코딩된 단백질, 일반적으로 재조합 단백질의 아 미노 말단에 다수의 아미노산을 첨가한다. 이러한 융합 벡터는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목적을 제공하게 된다: 1)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증가; 2) 재조합 단백질의 용해성 증가; 및 3) 친화성 정제에서 리간드로 작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를 용이하게 함. 종종 융합 발현 벡터에서는, 융합 부분으로부터 재조합 단백질을 분리한 후 융합 단백질의 정제를 위해 단백질 분해 절단 부위가 융합 부분과 재조합 단백질의 결합 부분에 도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효소 및 이들의 동족인식 서열은 Xa 인자, 트롬빈 및 엔테로키나제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융합 발현 벡터는 pGEX(Pharmacia Biotech Lie; Smith and Johnson(1988) Gene 67:31-40), pMAL(New England Biolabs, Beverly, MA) 및 pRIT5(Pharmacia, Piscataway, NJ)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GST), 말토스 E 결합 단백질 또는 단백질 A에 융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표적화한다.
적합한 유도성 비-융합 E. coli 발현 벡터에는 pTrc(Amann et al.,(1988) Gene 69:301-315) 및 pET 11d(Studier et al, Gene Expression Technology: Method in Enzymology 185,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1990) 60-89)가 포함된다. pTrc 벡터로부터 표적 유전자 발현은 하이브리드 trp-lac 융합 프로모터로부터 숙주 RNA 폴리머라제 전사에 좌우된다. pET 11d 벡터로부터 표적 유전자 발현은 공발현 바이러스 RNA 폴리머라제(T7 gn1)에 의해 개재되는 T7 gn10-lac 융합 프로모터로부터의 전사에 좌우된다. 이러한 바이러스 폴리머라제는 lacUV 5 프로모터의 전사 조절하에 잔류 프로파지 수확 T7 gn1 유전자로부터의 숙주 균주 BL21(DE3) 또는 HMS174(DE3)에 의해 공급된다.
E. 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 발현을 최대화하기 위한 한가지 전략은 재조합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적으로 절단하는 능력이 손상된 숙주 박테리아에서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것이다(Gottesman, Gene Expression Technology: Method in Enzymology 185,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1990) 119-128). 다른 전략은 발현 벡터에 삽입되는 핵산의 핵산 서열을 변경시켜 각 아미노산에 대한 개별 코돈이 E. coli에서 우선적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다(Wada et al.(1992) Nucleic Acids Res. 20:2111-2118). 본 발명의 이러한 핵산 서열 변경은 표준 DNA 합성 기술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 발현 벡터는 효모 발현 벡터이다. 효모 에스. 세리비사에(S. cerivisae)에서 발현을 위한 벡터로는 pYepSecl(Baldari et al.(1987) EMBO J. 6:229-234), pMFa(Kurjan and Herskowitz, (1982) Cell 30:933-943), pJRY88(Schultz et al.(1987) Gene 54:113-123), pYES2(Invitrogen Corporation, San Diego, CA) 및 pPicZ(Invitrogen Corp, San Diego, CA)가 포함된다.
또한, 발현 벡터는 바큘로바이러스 발현 벡터이다. 배양 곤충 세포(예컨대 Sf9 세포)에서 단백질 발현에 이용가능한 바큘로바이러스 벡터는 pAc 계통(Smith et al.(1983) Mol. Cell Biol. 3:2156-2165) 및 pVL 계통(Lucklow and Summers(1989) Virology 170:31-39)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의 핵산은 포유동물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포유동물 세포에서 발현된다. 포유동물 발현 벡터의 예에는 pCDM8(Seed(1987) Nature 329:840) 및 pMT2PC(Kaufman et al.(1987) EMBO J. 6:187-195)가 포함된다. 포유동 물 세포에 사용되는 경우, 발현 벡터의 조절 기능은 종종 바이러스 조절 요소에 의해 제공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통상 사용되는 프로모터는 폴리오마, 아데노바이러스 2, 거대세포 바이러스 및 원숭이 바이러스 40으로부터 유래된다. 원핵생물 및 진핵생물 세포에 대한 다른 적절한 발현 시스템에 대해서는 상기 언급된 문헌 [Sambrook et al., chapters 16 및 17]을 참조하기 바란다.
다른 구체예로, 재조합 포유동물 발현 벡터는 핵산의 발현을 특정 세포 타입에 선택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예컨대 조직-특이적 조절 요소가 핵산 발현을 위해 사용됨). 조직-특이적 조절 요소는 당업계에 공지되었다. 적합한 조직-특이적 프로모터의 예에는 알부민 프로모터(간-특이적; Pinkert et al.(1987) Genes Dev. 1:268-277), 림프-특이적 프로모터(Calame and Eaton(1988) Adv. Immunol. 43:235-275), 특히 T 세포 수용체의 프로모터(Winoto and Baltimore(1989) EMBO J. 8:729-733) 및 면역글로불린(Banerji et al.(1983) Cell 33:729-740; Queen and Baltimore(1983) Cell 33:741-748), 뉴론-특이적 프로모터(예컨대 신경미세섬유 프로모터; Byrne and Ruddie(1989) Proc. Natl. Acad. ScL USA 86:5473-5477), 췌장-특이적 프로모터(Edlund et al.(1985) Science 230:912-916), 및 유선-특이적 프로모터(예컨대 유청 프로모터; 미국 특허 제 4,873,316호 및 유럽 출원 공보 264,166호)가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발육-조절 프로모터, 예를 들어 생쥐 혹스 프로모터(Kessel and Grass(1990) Science 249:374-379) 및 알파-태아단백질 프로모터(Campes and Tilghman(1989) Genes Dev. 3:537-546)가 또한 포함된다.
숙주 세포는 임의의 원핵생물(예컨대 E. coli) 또는 진핵생물 세포(예컨대 곤충 세포, 효모 또는 포유동물 세포)일 수 있다.
벡터 DNA는 통상적인 형질전환 또는 형질감염 기술에 의해 원핵생물 또는 진핵생물 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본 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형질전환" 및 "형질감염"은 인산칼슘 또는 요오드화칼슘 공침전, DEAE-덱스트란-매개 형질감염, 리포펙션 또는 전기천공을 비롯하여, 숙주 세포에 이종 핵산을 도입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인식하고 있는 각종 기술을 의미하고자 한다. 숙주 세포를 형질전환시키거나 형질감염시키기에 적합한 방법은 문헌 [Sambrook, et al. 상동] 및 다른 실험 매뉴얼에서 찾아볼 수 있다.
투여 방식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양한 치료제의 투여 방식을 이하 예시하겠다. 그러나, 약제는 다음 경로를 포함하여 임의의 각종 경로로 전달될 수 있다: 주사(예컨대 피하,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복막내), 연속 정맥내 주입, 피부, 피내, 경피, 경구(예컨대 정제, 환제, 액체 약), 삼투 펌프(예컨대 Alza Corp.) 삽입, 좌제 또는 에어졸 스프레이.
본 발명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단백질/펩티드(예를 들어, AAT) 배합 요법에 사용되는 펩티드 접합체를 기초로 한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전적으로 또는 일부 과잉 세린 프로테아제 활성에 의해 야기되는 생리적인(특히 병리적인) 증상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치료제로 사용된다. 펩티드 접합체가 유리 펩티드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생화학 합성업자들은 상업적 규모의 펩티드 접합체에 관해, 이들 펩티드 접합체가 바람직하게 재조합 DNA 기술, 합 성 기술 또는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펩티드의 화학적 유도화에 의해 제조됨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단백질/펩티드(예를 들어, AAT) 배합 요법에 사용되는 펩티드 접합체를 기초로 한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예컨대 문헌 [Merrifield, J. Am. Chem. Soc, 85, p 2149(1963)]에 최초로 기술된 방법과 같이, 임의의 적절한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세린 프로테아제에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합성 펩티드 및 그의 제조 방법이 본 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글로버(Glover)에 의한 미국 특허 제 4,829,052호, 5,157,019호; 밀러(Miller)에 의한 미국 특허 제 5,420,110호; 카투누마(Katunuma)에 의한 미국 특허 제 4,963,654호에 기술되었다. 또한, 단백질에 사카라이드를 첨가하는 방법이 당업자들에게 알려졌다. 예를 들어, 표적화를 목적으로 항체에 시알릴 루이스산 X를 첨가하는 것이 미국 특허 제 5,723,583에 기술되었고;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변형하여 백신을 형성하는 방법이 미국 특허 제 5,370,872호에 기술되었다. 단백질-사카라이드 접합체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전략은 미국 특허 제 5,554,730호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었다. 또한, 추가의 합성 방법을 전체를 본 원에서 참고로 포함하는 미국 특허 출원 제 20040214228호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들은 문헌 [Budavari, Susan(Editor), "The Merck Index"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 and Biologicals; Merck & Co., Inc.]를 따른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는 것은 화합물 또는 펩티드 접합체의 치료적 성질(예: 효능, 독성 등)에 현저히 또는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AAT 배합 요법에 사용되는 펩티드 접합체를 기초로 한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 또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및 또는 그의 기능성 등가물의 산 부가염 또는 금속 복합체를 의미한다. 화합물 또는 펩티드 접합체는 대부분의 경우 화합물 또는 펩티드 및/또는 그의 약제학적 염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개체에 투여되어야 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는 것은 화합물 또는 펩티드 접합체의 치료적 성질에 현저히 또는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고체 및 액체 담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펩티드 접합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개체, 특히 인간에 정맥내, 피하, 근육내, 비강내, 경구, 국소, 경피, 비경구, 위장, 경기관지 및 경치조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국소적 투여는 치료적 유효량의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국소 도포 크림, 겔, 린스 등에 의해 실시된다. 경피 투여는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피부에 침투시켜 혈류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크림, 린스, 겔 등을 도포하여 실시된다. 비경구 투여 경로에는 직접 주사, 예컨대 정맥내, 근육내, 복막내 또는 피하 주사가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장 투여 경로에는 섭취 및 직장내가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기관지 및 경치조 투여 경로에는 예컨대 기관절개, 기관창냄술, 기관내 삽관 또는 계량 흡입기 또는 연속 흡입기를 이용한 입 또는 또는 비강내를 통한 흡입 및 기도 직접 주입이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삼투 펌프가 투여에 이용될 수 있다. 필요한 제형은 치료할 특정 증상, 투여 방법 및 체내로부터 분자의 제거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원에 개시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및/또는 이들의 기능성 유도체는 순수한 약품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이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및/또는 이들의 기능성 유도체 및/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함께 하나 이상의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다른 치료 및/또는 예방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담체(들)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이면서 그의 수용체에 불리하지 않다는 점에서 허용가능하여야 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근육내, 피하, 피부, 흡입 및 정맥내 포함) 투여에 적합한 것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편의상 분리된 단위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활성 화합물을 액체 담체, 고체 매트릭스, 반고체 담체, 미분 고체 담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접촉시킨 후 필요에 따라 생성물을 목적하는 전달 시스템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분리된 단위 제형, 예컨대 각각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질 또는 연질 캅셀, 카세 또는 정제; 산제 또는 과립제; 액체, 현탁물 또는 에멀젼으로 존재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거환제, 연약 또는 페이스트로도 존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정제 및 캅셀제는 통상적인 부형제, 예컨대 결합제, 충전제, 활택제, 붕해제 또는 습윤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제는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방법에 따라 피복, 예컨대 장용피복될 수 있다.
경구 액체 제제는, 예를 들어, 수성 또는 오일성 현탁물, 액체, 에멀젼, 시 럽 또는 엘릭시르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사용전에 물 또는 다른 적절한 비히클로 재구성될 수 있는 건조 제품으로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현탁화제, 유화제, 비수성 비히클(식용 오일을 포함할 수 있음) 또는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비경구 투여(예컨대 주사, 예를 들어, 일시 주사 또는 연속 주입)용으로 제형화될 수도 있으며, 앰풀, 사전충전 시린지, 소형 거환제 주입 컨테이너 또는 방부제가 첨가된 다중 용량 컨테이너에 단위 용량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 비히클내 현탁물, 액체 또는 에멀젼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현탁화제, 안정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공식 제제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활성 성분은 사용전에 적절한 비히클, 이를테면 무발열물질 무균수로 재구성되도록 멸균 고체의 무균 분리 또는 용액의 동결건조에 의해 수득된 분말 형태일 수도 있다.
표피에 국소 투여하는 경우, 화합물 또는 펩티드 접합체는 연고, 크림 또는 로션, 또는 활성 성분의 경피 패치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경피 전달 시스템은 예를 들어, 피셔 등(Fisher et al.)의 미국 특허 제 4,788,603호 또는 바와스 등(Bawas et al.)의 미국 특허 제 4,931,279호, 4,668,504호 및 4,713,224호에 기술되었다. 연고 및 크림은, 예를 들어 적절한 농후제 및/또는 겔화제를 첨가하여 수성 또는 오일성 기제와 함께 제형화되기도 한다. 로션은 수성 또는 오일성 기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또한 하나 이상의 유화제, 안정제, 분산제, 현탁화제, 농후제 또는 착색제들을 함유할 것이다. 활성 성분은 또한 예컨대 미국 특허 제 4,140,122호, 4,383,529호 또는 4,051,84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 온삼투 요법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들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두 타입의 방출이 가능하다. 매트릭스가 비다공성인 경우 확산에 의해 방출이 일어난다.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화합물은 매트릭스 자체에 용해되어 그를 통해 확산된다.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화합물이 매트릭스 기공내 액상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 미소다공성 유동에 의한 방출이 일어난다.
구강내 국소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단위 제형, 예컨대 착향 기제, 일반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드에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로젠지; 불활성 기제,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에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향정; 적절한 액체 담체에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점막흡착 겔 및 구강청결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상술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천연 겔, 합성 중합체 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특정의 친수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배합하여 사용된 활성 성분을 서서히 방출하도록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다른 보조제, 예컨대 향미제, 착색제, 항미생물제 또는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기도 하다.
또한 치료에 사용하기에 필요한 투베르신 및/또는 SSM 및/또는 기능성 유도체 화합물, 또는 그의 활성 염 또는 유도체의 양이 선택한 특정 염 및 투여 경로, 치료할 증상의 성향 및 환자의 연령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주치의의 재량에 따라 선택될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한다. 이들 조성물은 용액, 현탁물, 정제, 환제, 캅셀, 분말, 서방성 제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 담체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90, pp. 1519-1675, Gennaro, A. R.,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기술되어 있다. 본 원에 개시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화합물 및/또는 이들의 기능성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의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 분자와 배합하여 리포좀 또는 중합체로 투여될 수 있다(참조: Langer, R. Nature 1998, 392, 5). 이러한 조성물은 대상에 절적한 투여 형태로 제공되도록 적절한 양의 담체와 함께 치료적 유효량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편의상 예를 들어, 단위 제형당 5 내지 2000 mg, 편리하게는 10 내지 1000 mg, 가장 편리하게는 50 내지 50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위 제형으로 투여된다.
약 0.01-5.0 mg/kg/hr를 제공하기 위한 연속 주입 또는 약 0.4-20 mg/kg의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간헐적 주입에 의해 소정 혈액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완충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도 있다.
소정 용량은 편의상 적절한 간격으로 투여되는 단일 용량 또는 분할 용량, 예를 들어 1일 2회, 3회, 4회 또는 그 이상의 준용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준용량은 자체로, 예를 들어 취입기로부터 복수회 흡입하거나 또는 안구에 여러 방울을 적용하는 것과 같이, 다수 불연속적인 부정확한 거리를 통한 투여로 추가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내 활성 성분의 실질적인 투약량 수준은 특정 환자, 조성물 및 투여 방식에 대해 소정 치료 반응을 이루기에 효과적인 활성 화합물(들)의 양을 제공하도록 달라질 수 있다. 선택한 투약량 수준은 본 발명의 특정 약제학적 화합물 또는 그의 유사체의 활성, 투여 경로, 치료할 증상의 중증성 및 치료할 환자의 상태 및 기존 약물의 이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소정 치료 효과를 이루기에 필요한 용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시작하여 소정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서서히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의학 및 인간 치료 둘 다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질환 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을 급성 또는 만성적으로 관리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 또는 치료적 용량 크기는 치료할 증상의 중증성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용량 및 경우에 따라 투여 빈도는 또한 각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서도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총량은 일반적으로 1일 체중 1 kg당 활성 화합물 약 1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 약 1 내지 약 20 mg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mg이며, 포유동물 환자에 투여된다. 경우에 따라, 유효 1일 용량은 투여를 목적으로 다중 용량, 예를 들어 1일 2 내지 4회 분리된 용량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의 총 1일 용량은 프로테아제 저해제의 혈청 수준을 10-100 마이크로몰로 증가시키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본 원에서 상기 기입된 범위에 의해, 언급된 범위가 또한 언급된 범위 사이의 모든 용량 범위량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0 범위 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각 특정 범위가 언급되어 있지 않더라도 2 내지 99, 3-98 등을 포함하고자 한다. 활성 성분의 실제 바람직한 양은 각 경우마다 포유동물의 종, 치료할 특정 질환의 특성 및 중증도 및 투여 방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30 mg, 50 mg, 75 mg 등과 같이 명시되지 않은 범위내 용량은 제시된 범위 한계를 약간 벗어나는 양이라도 제시된 범위에 포괄되는 것으로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활성 성분의 실제 바람직한 양은 각 경우마다 포유동물의 종, 치료할 특정 질환의 특성 및 중증도 및 투여 방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특정 질환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할 때마다 개체 환자에 주기적으로 투여된다. 조성물의 투여 기간 및 총 투약량은 필요에 따라, 각 경우마다 치료할 특정 질환의 특성 및 중증성 및 이러한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 또는 환자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어린이, 65세 이상의 환자 및 신장 또는 간 기능이 손상된 자들에게는 초기에 저 용량을 공급하고 그 후에 개별적인 반응(들) 또는 혈액 수준(들)에 기초해 적정되는 것이 또한 권장된다.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 이들 범위를 벗어나는 투약량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임상의 또는 치료 의사는 일상적인 실험으로 개별 환자 반응과 연관시켜 치료를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중단, 조정 또는 종결시켜야 함을 알고 있음을 주목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용한 투약량은 그의 시험관내 활성 및 동물 모델에서 생체내 활성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유효 투약량을 마우스 및 다른 동물에서 인간으로 외삽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938,949호를 참조바람.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보다 잘 이해하고 알 수 있도록 하기 특정 실시예가 제공된다. 이들 특정 실시예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제한은 물론 청구범위만으로 한정된다.
실시예 1
개요/물질 및 방법:
HIV는 숙주 게놈에 통합되는 인간 레트로바이러스이다. 숙주 게놈에 프로바이러스로 통합된 후, HIV는 수개의 내인성 및 외인성 전염증성 분자로 자극후 이러한 잠복 저장소로부터 복제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내인성 전염증성 분자의 예에는 특정 사이토킨류 인터류킨(IL)-1, IL-18 및 종양 괴사 인자(TNF)가 포함된다. 외인성 전염증성 물질은 박테리아 세포벽 산물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또는 내독소) 및 그램-양성 세포벽 물질 리포테이코산을 포함한다. U1 세포는 프로바이러스로서 세포핵에 도입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형(HIV)의 2 복제물을 함유하는 인간 단핵 U937 세포로부터 유래되는 인간 세포주이다. 임의의 수개의 전염증성 매개자로 자극되는 경우, 발현된 바이러스의 양은 현저히 증가한다. 따라서, 이들 세포는 만성 HIV 감염의 시험관내 모델을 구성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들 세포 를 24-웰 폴리스티렌 조직 배양 플레이트(Falcon)에서 ml당 1×106 세포의 밀도로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10% v/v 소 태아 혈청(FCS, Life Technologies, Grand Island, NY),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100 ㎍/ml, Life Technologies)이 첨가된 RPMI 조직 배양 배지(Cellgro, Herndon, VA)로 구성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4 시간 인큐베이션(37 ℃, 5% CO2 분위기)한 후, 세포 배양물을 Triton-X-100(Sigma, St Louis, MO)을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p24 ELISA(Beckman-Coulter)를 이용하여 HIV p24의 총량을 정량하였다.
결과: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U1 세포를 배지 단독(대조군)에서, IL-18을 단독 자극(MBL, 2nM 최종 농도)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IL-18을 투베르신 또는 SSMA(공급처: Mr. Colm King)(SSMA는 SSM 또는 마루야마의 특이적 물질임)의 존재하에서 가로축에 있는 최종 농도로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IL-18 자극 2 시간전에 투베르신 또는 SSMA를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베르신은 IL-18-유도되는 HIV를 용량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IL-18 단독에 대한 100%의 최대 저해 효과가 50 ㎍/ml의 투베르신 농도에서 얻어졌다. 투베르신에 의한 유의적인 저해는 6.25 ㎍/ml으로 감소된 최소 농도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배양물에서 SSMA는 800 ng/ml에서 또한 HIV를 실질적으로 저해하였다.
검토:
이들 결과는 만성적으로 HIV-감염된 인간 세포주에서 투베르신 및 SSMA에 대 한 항-HIV 활성을 확증한다. 관찰된 저해는 강력하며(최대 100%), 저해 효과는 용량 의존적이었다. IL-18-유도된 HIV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저해가 6.25 ㎍/ml 정도로 낮은 투베르신 농도에서 관찰되었다.
실시예 2
개요/물질 및 방법:
도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U1 세포주에서, 투베르신 및 SSMA 저해 활성의 일반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IL-18 대신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또한 내독소로도 언급됨)를 사용하여 U1 세포를 자극하여 HIV를 생성하였다. 도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1 세포를 투베르신 또는 SSMA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자극하여 LPS-유도된 HIV에 대한 투베르신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베르신이 50 또는 25 ㎍/ml의 최종 농도로 존재한 경우, 5 ㎍/ml의 LPS에 의해 자극된 HIV의 양이 현저히 저해되었다. 또한, 이들 실험에서 SSMA가 800 ng/ml의 농도로 존재한 경우, HIV 생산이 실질적으로 저해되었다.
검토:
투베르신 및 SSMA가 자극된 HIV를 저해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상기 결과를 도 1의 데이터에 연장하였다. 이에 따라, 투베르신 및 SSMA 저해 효과는 자극-특이적이지 않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실시예 3
개요/물질 및 방법:
U1 세포 생존성 및 U1 세포 복제에 대한 투베르신 및 SSM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1 및 2에서 관찰된 결과는 잠재적으로 진정한 항-HIV 억제 효과 가능성을 나타낸다. 다른 한편, 이들 데이터로부터 투베르신의 독성 효과 또는 항증식성 투베르신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들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혈구계를 이용하여 세포를 계수하고 트립판 블루 생 염색을 하여 가능한 독성 또는 항-증식 투베르신 효과를 결정하였다. 증식 및 독성 조사를 삼중 U1 세포 배양물에서 투베르신 또는 SSMA의 부재(대조군) 또는 존재하에 실시하였다. 인큐베이션 24 시간후, 세포를 혈구계를 이용하여 맹검 방식으로 계수하고, 트립판 블루 생 염색을 하여 세포 생존성을 평가하였다(트립판 블루 염색으로 침윤된 세포는 비생존성이고, 블루-염색 세포는 사멸한 것으로 계수되었음).
결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베르신은 인큐베이션 24 시간후 존재하는 U1 세포의 수를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투베르신 부재하에 실시된 대조군 배양물에 비해). 따라서, 투베르신은 U1 세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항-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대 증식 억제는 50 ㎍/ml 투베르신에서 약 30% 이었다. 그러나, 시험한 임의의 투베르신 농도에서 트립판 블루 배제에 의한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SSMA에 노출된 배양물에서, U1 세포 증식에 뚜렷한 효과는 없었으며, 트립판 블루 배제로 평가된 경우 U1 세포 생존성에 대한 SSMA 효과도 없었다.
검토:
이들 데이터는 투베르신이 U1 세포에서 가장 적절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항-증식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러나, 투베르신에 기인한 U1 세포 세포독성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IL-18 또는 LPS로 자극된 U1 세포에서 얻어진 최대 HIV 억제가 100%에 가깝기 때문에, 최대 크기의 항-증식 활성(50 ㎍/ml 투베르신에서 약 30%)으로 인해 U1 세포 배양물에서 관찰된 항레트로바이러스 투베르신의 효과가 제공되는 것으로 볼 수 없다(도 1 및 2 참조). 이들 결과는 U1 세포에서 투베르신의 독성이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U1 세포에서 자극된 HIV의 투베르신에 의해 유도된 억제(도 1 및 2)는 진정한 항레트로바이러스 투베르신 효과에 의한 것이다.
또한, 항증식 투베르신의 효과는 유의적이면서 용량 의존적이었다. 이러한 투베르신의 항증식 활성이 투베르신 항-HIV 활성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지만, 도 1 및 2에서 관찰된 완전(100%) 항-HIV 효과를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투베르신이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항신생물(항-암) 활성을 소유한다고 보고된 것을 특히 유념하기 바란다. 이러한 효과는 숙주 항신생물 면역 반응의 상향 조절로부터 기인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도 3의 데이터는 상보적인 항신생물 효과가 항신생물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항증식 효과로부터 유래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실시예 4
개요/물질 및 방법:
도 1 및 2에서 U1 세포에서 얻은 항-HIV 결과는 투베르신이 만성적으로 HIV-감염된 U1 세포주에서 자극된 HIV 생산을 저해함을 보여준다. 이들 실험에 다음과 같은 가능한 두 가지 제한이 따른다: a) U1 세포는 인간 불멸화 세포주이므로 감염자에 존재하는 HIV-감염된 천연 세포와는 상이하고, b) U1 세포는 HIV를 프로바이러스로 함유함에 따라 HIV 합성의 순수한 생산 모델이다; 이들 세포에서 데 노보(de novo) HIV 감염은 없었다.
일차(천연) 인간 세포에서 투베르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인간 지원자의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인간 말초혈액 단핵 세포(PBMC)를 사용하였다. 헤파린 첨가 혈액을 건강한 지원자로부터 채취하고, 피콜 하이팩(ficoll-hypaque)을 통한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PBMC를 분리하였다. 이어서, PBMC를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른 전술한 프로토콜에 따라 HIV의 M-성 균주를 이용하여 PBMC 1 밀리온당 100 TCID50 HIV로 감염시켰다(Shapiro L, Pott GB, Ralston AH. 알파-1-항트립신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형을 저해한다. FASEB J, 15:115-122, 2001). HIV-감염된 PBMC를 RPMI 배지, 10%(v/v) FCS, 5%(v/v) IL-2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 units/ml/100 ㎍/ml)으로 구성된 R3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감염후, PBMC를 RPMI 배지에서 세척하여 유리된 바이러스를 제거하였다. 세포 분취물을 용해시키고(1% v/v 트리톤-X-100), 총 HIV를 정량화하였다; 이를 인큐베이션전 배양물내 바이러스의 양을 나타내는 T=O 샘플로 정하였다. HIV-감염된 PBMC를 24-웰 폴리스티렌 조직 배양 플레이트(Falcon)에 ml당 1×106 세포의 세포 밀도로 하여 0.5 ml의 최종 부피로 분주하였다. 인큐베이션(37 ℃, 5% CO2) 3 일후에, 세포 배양물을 1%(v/v) 트리톤-X-100으로 용해시키고, 배양물을 p24 ELISA를 이용하여 HIV에 대해 어세이할 때까 지 -7O ℃에서 보관하였다.
결과:
도 4는 두 사람의 별도 제공자로부터 취한 PBMC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3 일 세포 배양물은 배양물에 초기에 첨가된 바이러스의 양에 비해 상당한 양의 새로운 바이러스를 합성하였다(도면에 각각 자발적인 HIV 생산 및 T=O 수준으로 예시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물에 투베르신의 첨가는 두 개체로부터 유래된 감염된 PBMC에서 유의적이면서 용량 의존적으로 HIV 생산을 저해하였다. 실제로, 저해 수준은 50 ㎍/ml 투베르신에서 100%에 가까웠다.
검토:
이들 결과를 일차 감염 세포에 대한 투베르신의 항-HIV 활성 영역으로 연장하였다. 이러한 HIV 생산 모델은 생체내에 상태를 보다 밀접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투베르신이 감염된 환자에서 HIV 생산을 저해할 것이라는 가망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감염된 PBMC에서 HIV 생산은 두 감염 및 생성의 연속 라운드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 결과는 HIV 감염에 있어서 투베르신의 저해 가능성을 제안한다.
실시예 5
개요/물질 및 방법:
HIV-감염된 PBMC에서 투베르신의 독성 및 이들 일차 감염된 세포에서 투베르신 항레트로바이러스 효과의 특이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두 문제는 도 4에 도시된 HIV-감염된 PBMC 배양물중 하나로부터 생산된 사이토킨의 양을 동시에 정량하여 평 가하였다.
결과:
도 5는 배양시 측정된 IL-8을 나타내며, 도 6은 이와 동일한 배양물에서 측정된 IL-6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3 일 배양후, 배지 단독에서 수행된 배양물에서(자발적 배양) IL-8(도 5) 및 IL-6(도 6)는 둘 다 T=O(인큐베이션 3 일전에 배양물에 존재하는 양)에 비해 증가하였다. IL-8 및 IL-6 둘 다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3 일 배양동안 투베르신의 존재는 자발적 배양물에 비해 사이토킨의 양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검토:
이들 결과는 투베르신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한다:
a. 투베르신은 HIV-감염된 PBMC에 비독성이다. 투베르신이 이들 세포에 독성적이라면, 손상 또는 사멸 세포는 사이토킨을 합성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3 일 배양후 사이토킨의 양이 감소하였을 것이다.
b. 항-HIV 활성은 투베르신이 HIV 생산을 실질적으로 저해하나 IL-8 또는 IL-6에 대해서는 억제 효과를 동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4), 특이적이다. 실제로, 투베르신은 농도 25 및 12.5 ㎍/ml에서 IL-6 생산에 대한 유도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실시예 6
MAGI-CCR-5 세포 감염
개요/물질 및 방법:
U1 단핵 세포 및 HIV-감염된 PBMC에서 실시한 실험을 HIV 생산(U1 세포) 또는 HIV 감염 및 생산(PBMC)에 대해 평가하였다. MAGI(갈락토시다제 지표의 다핵 활성화)-CCR-5 세포를 사용하여 HIV 감염에 대한 투베르신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들 세포는 바이러스가 세포내로 진입하는데 필요한 모든 세포 표면 HIV 수용체를 발현하는 인간 HeLa 세포이다. HIV가 세포내로 도입되기만 하면, 바이러스는 핵으로 통합된다. 바이러스 단백질이 세포에서 발현되는 순간, HIV tat 단백질은 β-갈락토시다제의 합성을 유도하는 게놈 리포터 작제물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그 후, 현색제를 이용하여 β-갈락토시다제-함유 세포를 염색하였다. 이 어세이는 HIV 감염 생활 주기의 초기 과정을 암시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MAGI-CCR-5 세포(NIH AIDS Research and Reference Reagent Program, NIAID)를 웰당 4×104으로 하여 1.0 ml 부피로 24-웰 폴리스티렌 플레이트(Falcon)에 분주하였다. 인큐베이션(37 ℃, 5% CO2) 24 시간후, 모든 배지(RPMI, 10% v/v 소 태아 혈청,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를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200 ㎕의 신선한 배지를 가로축상의 최종 농도로 투베르신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200 ㎕ 배지중 20 ㎍/ml DEAE 덱스트란 및 HIV-1의 A018A 균주 300 TdD50을 세포-함유 벽에 첨가하였다. 백그라운드 리포터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포-함유 벽에 바이러스 없이 배지내 DEAE 덱스트란을 첨가하였다. 인큐베이션 2 시간후, 배지를 각 배양물에 첨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0 ㎕로 조정하고, 배양물을 48 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에, 배지를 흡인하고, 세포를 고정시킨 다음, β-갈 락토시다제 염색 용액을 첨가하였다. 50 분의 인큐베이션후 염색된(리포터-활성화) 세포를 현미경으로 맹검 계수하였다.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단독에서 배양된 세포는 100%로 나타내어지는 다량의 HIV 감염을 초래하였다. 가로축에 있는 농도의 투베르신에 노출된 MAGI-CCR-5 세포 배양물은 용량 의존적이면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수준으로 세포의 바이러스 감염을 감소시켰다. 시험한 모든 투베르신 농도에서 유의적인 저해가 관찰되었다(P<O.01 또는 P<0.001). 10 펨토그램/ml 정도로 낮은 투베르신 농도에서조차 HIV 감염을 유의적으로 차단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 최대 저해도는 500 pg/ml 투베르신에서 관찰되었으며, HIV 감염을 약 90% 차단하였다.
검토:
이들 데이터는 투베르신이 HIV 감염의 시험관내 모델에서 HIV 감염을 초기 단계에 저해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전술한 U1 세포 데이터와 연결시키는 경우, 이들 결과는 투베르신이 각 세포에서 HIV 감염 및 HIV 생산 둘 다를 차단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이들 결과는 투베르신을 감염된 인간에서 항-레트로바이러스제로서 임상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비친다. 투베르신이 감염된 환자에서 극히 낮은 농도에서도 항-HIV 효과를 보유할 수 있다는 것도 제시한다. 1-500 pg/ml 범위의 농도라면 생체내에서 HIV 생산을 저해하기에 충분하다.
실시예 7
일반화 가능성 보고:
투베르신 항-HIV 효과는 추가의 바이러스 저해로도 확장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추측은 투베르신이 세포 자체에 영향을 미치고 바이러스-특이적 물질을 표적으로 하지 않는다면 타당한 것으로 보여진다. 가장 흥미를 끄는 것은 U1 세포에서 항-HIV 투베르신 효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상기 참조). 프로바이러스 상태로부터 순수히 HIV를 생산하는 이 모델에서, 투베르신 효과는 바이러스 생산으로 끝나는 신호 전달 과정의 변경에 관여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투베르신은 바이러스 생산으로 끝나는 U1 세포의 IL-18 및 LPS 자극과 관련된 신호 전달 경로를 방해할 것으로 여겨진다(상기 도 7 및 8 참조). 많은(전부는 아님)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감염 및 합성을 위해 세포-관련 신호 전달 활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HIV 감염 및 생산에 대한 투베르신의 저해 효과는 전부는 아니지만, 인간 세포를 감염시키는 임의의 다른 바이러스에도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등가물
본 출원을 통해 다양한 문헌 및 특허들을 참조로 하였다. 이들 문헌 및 특허의 전체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의 현황을 보다 충분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원에 참고로 인용된 것이다.
본 발명이 그의 특정 구체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추가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따르고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 공지되었거나 통상적인 실시에 포함되고 상술한 필수 특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의 영역을 좆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를 벗어나는 것을 비롯하여 본 발 명의 모든 변형, 사용 또는 개작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고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2.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질환 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 또는 증상을 경감하거나 개선하기에 충분한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통증 또는 증상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유효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질환 또는 징조로 고통받고 있는 포유동물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질환 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 또는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개선하는 방법.
  3. 하나 이상의 미코박테리아 질환 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 또는 증상을 경감하거나 개선하기에 충분한 유효량의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통증 또는 증상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유효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질환 또는 징조로 고통받고 있는 포유동물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질환 또는 징조와 관련된 통증 또는 증상을 경감하거나 개선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이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화합물 및/또는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면역조절제와 함께 그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될 수 있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항염증성 화합물 또는 면역조절 약물이 인터페론; 베타세론, 베타-인터페론을 비롯한 인터페론 유도체; 일로프로스트, 시카프로스트를 비롯한 프로스탄 유도체; 코르티솔,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을 비롯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사이클로스포린 A, FK-506, 메톡살렌, 탈리도미드, 설파살라진,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를 비롯한 면역억제제; 질레우톤, MK-886, WY-50295, SC-45662, SC-41661A, BI-L-357을 비롯한 리폭시게나제 저해제; 류코트리엔 길항제; ACTH 및 그의 유사체를 비롯한 펩티드 유도체; 가용성 TNF-수용체; TNF-항체; 인터류킨, 다른 사이토킨, T-세포-단백질의 가용성 수용체; 인터류킨, 다른 사이토킨, T-세포-단백질의 수용체에 대한 항체; 및 칼시포트리올 및 그의 유사체를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이 하나 이상의 항미생물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과 함께 그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될 수 있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징조와 관련된 통증 및/또는 증상의 감소 또는 저해가 약 10-20%, 30-40%, 50-60% 또는 75-100% 감소 또는 저해 정도인 방법.
  8.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대상에서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제시된 바이러스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하며, 대상이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 상기 노출 증상을 예방하는 것인 방법.
  9.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에 노출이 의심되는 대상에서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제시된 바이러스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하며, 대상이 바 이러스에 노출된 경우 상기 노출 증상을 예방하는 것인 방법.
  10.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선을 요하는 대상에서 제시된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는 제시된 바이러스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수용체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저해되거나 예방되는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이 권태감, 열, 오한, 비염, 설사, 아토피 습진, 뇌염, 각막결막염, 인두염, 치은 구내염, 헤르페스 간염, 재발 구안점막피부 병소 또는 헤르페스 순음증, 소형 수두 피부 궤양, 수두 피부 궤양, 다형 홍반, 특발성 입작열, 아프타 궤양화, 베체트 증후군, 증단핵구, 버킷 림프종, 일차 삼출 림프종, 다발 골수종,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병증, 캐슬맨 병,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관련 림프종, 이식후 림프증식 질환, 호지킨 질환, T-세포 림프종, 구강 털 백색반증, 림프증식 질환, 림프상피 암종, 체강부 림프종 또는 B-세포 림프종, 비-각화 암종, 편평 세포 코인두 암종, 신장 이식-관련 상피 종양, 악성 중피종, 혈관육종, 카포시 육종, 혈관림프구 과다형성, 전립선 신생물, 자궁경부암, 음문 신생물, 망막모세포종, 리-프라우메니(Li-Fraumeni) 증후군, 가드너 증후군, 베그너 증후군, 모반양 기저 세포 암종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1 형, 다발 신경병증, 운동 신경병증, 감각 신경병증, 다발신경근병 증, 자율 신경병증, 초점 또는 다초점성 뇌 신경병증, 신경근병증, 전형적으로 종양 침윤으로 야기되는 신경얼기병증, 성적 또는 주생기(perinatally) 전파 헤르페스 질환, 권태감, 열, 마른 기침, 근육통 및 가슴 통증, 환기 손상, 발한, 방사선 조사시 종격 확대, 목가슴 부종, 괴사 세로칸 림프절염, 비오목 부종, 가피, 구역, 구토, 열, 복부 통증, 혈변 설사, 점막 궤양화, 출혈성 창자간막 림프절염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적으로, 전신적으로, 이식에 의해, 정맥내로, 국소적으로, 수막강내로, 흡입에 의해 또는 비강내로 투여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가 융합 폴리펩티드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융합 폴리펩티드는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 및 상기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에 이종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투베르신 및/또는 SSM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그의 기능성 유도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투여하여 상기 환자에서 전염증성 사이토킨 생산을 저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저해되는 사이토킨이 IL-1, TNF알파, IL-18, 산화질소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인 방법.
KR1020077016342A 2004-12-16 2005-12-12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070100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3609104P 2004-12-16 2004-12-16
US60/636,091 2004-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293A true KR20070100293A (ko) 2007-10-10

Family

ID=3669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342A KR20070100293A (ko) 2004-12-16 2005-12-12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155681A1 (ko)
EP (1) EP1830859A2 (ko)
JP (1) JP2008524223A (ko)
KR (1) KR20070100293A (ko)
CN (1) CN101277703A (ko)
AU (1) AU2005325167A1 (ko)
CA (1) CA2591702A1 (ko)
WO (1) WO20060783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8615A2 (en) * 2005-12-15 2007-07-12 Cavit Scien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ancer
WO2009076449A1 (en) * 2007-12-12 2009-06-18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oxviruses
WO2010044929A2 (en) * 2008-06-30 2010-04-22 Adamas Pharmaceuticals, Inc. Emergency preparations for an epidemic
WO2012009715A2 (en) * 2010-07-16 2012-01-19 S&T Global Inc. Novel cyclosporin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 viral infection
US9517224B2 (en) 2012-11-15 2016-12-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of treating patients infected with HIV and HTLV
JP6475865B2 (ja) * 2015-04-03 2019-02-27 コングク ユニバーシティ グローカル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ラボ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Adkたんぱく質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カルバペネム耐性グラム陰性菌に対する抗菌用の組成物
CN111317739A (zh) * 2018-12-14 2020-06-23 复旦大学 依托红霉素在制备特异性抑制病毒感染的药物中的用途
CN113004329A (zh) * 2019-12-20 2021-06-22 厦门大学 阿德福韦酯及其结构类似物用于治疗伪狂犬病病毒的应用
CN111728987A (zh) * 2020-07-09 2020-10-02 广西妙韵圆生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宫颈hpv病毒感染的中药渗透液
CN114259501A (zh) * 2022-01-10 2022-04-01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胸科医院 杀结核菌素在制备脓肿分枝杆菌和/或结核分枝杆菌的抑菌剂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1302B2 (en) * 2001-01-09 2006-05-09 Biother Corporation Therapeutic modulation of the tumor inflammatory respon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0859A2 (en) 2007-09-12
CA2591702A1 (en) 2006-07-27
WO2006078369A3 (en) 2007-06-21
AU2005325167A1 (en) 2006-07-27
US20070155681A1 (en) 2007-07-05
CN101277703A (zh) 2008-10-01
JP2008524223A (ja) 2008-07-10
WO2006078369A2 (en)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0293A (ko)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10913790B2 (en) Compositions of, and methods for, alpha-1 anti trypsin Fc fusion molecules
US2008012430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DE60018273T2 (de) Pegyliertes interferon alpha in kombination mit einem ccr5 antagonisten für eine hiv-therapie
JP2012503669A (ja) 肝炎を治療するためのpeg−インターフェロン、リバビリンおよびvx−950を含む治療レジメ
US20220023287A1 (en) Treatment of hepatitis delta virus infection
JP5441685B2 (ja) チモシンα1の、単独またはPTX3またはガンシクロビルとの組合せにおける、サイトメガロウイルス感染の処置のための使用
US2007016154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ancer
JP2009515933A (ja) インフルエンザにおけるインターフェロン
JP2003525907A (ja) Hiv免疫アジュバント治療
JPH07500106A (ja) 移植受容者における感染の治療のためのifn−ガンマの使用
RU2441906C2 (ru) Применен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стоящей из низкомолекулярных фрагментов пептидогликана грамотрицательных бактерий,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человека
Pluta et al. The use of interferon in medicine
EP1545557B1 (en) Combination therapies with l-fmau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JP2000256211A (ja) Hiv治療薬
RU2242243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потенцирования 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эффектов интерферонов
Saharan Paradigm shift in discovery & secretion of Biosimilars via path breaking innovation
SUZUKI et al. Immunomodulating Antitumor
Davies et al. Isatori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