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107A -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107A
KR20070100107A KR1020070019236A KR20070019236A KR20070100107A KR 20070100107 A KR20070100107 A KR 20070100107A KR 1020070019236 A KR1020070019236 A KR 1020070019236A KR 20070019236 A KR20070019236 A KR 20070019236A KR 20070100107 A KR20070100107 A KR 20070100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creen
service
logical
scre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이광기
변성욱
글렌 에이. 아담스
정운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MX200801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MX2008012871A/es
Priority to CA002648928A priority patent/CA2648928A1/en
Priority to PCT/KR2007/001671 priority patent/WO2007114665A1/en
Publication of KR2007010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107A/ko
Priority to US11/957,739 priority patent/US20080088744A1/en
Priority to TW97106235A priority patent/TW200849990A/zh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전송된 패킷에 포함된 플래그를 이용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는 수신된 소정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가 표현된 상기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하는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전송된 패킷에 포함된 플래그를 이용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TV 또는 디지털 셋톱 박스(set-top box)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하나의 컨텐츠만 보여주거나, 또는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주화면과 부화면의 두 가지 화면을 동시에 보여 주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때, 주화면과 부화면을 동시에 보여 주는 경우라 하더라도 방송 수신 장치에서 이미 정해진 몇 가지 방식으로만 두 화면을 배치할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주화면에 보여지는 컨텐츠의 경우에만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가 재생되고, 부화면을 통해서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일부 요소만 제한적으로 재생된다.
또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로서 위성 방송,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과 같은 방송 서비스 외에도 DVD와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된 외부 기기 등이 있는데, 이렇게 다양한 소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어떻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낼 지에 대해서도 제한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MHP (Multimedia Home Platform), ACAP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OCAP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등과 같은 인터렉티브 TV(Interactive TV)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스크린은 하나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인터렉티브 TV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환경에서는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규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데, HAVi UI 표준에서 스크린의 개수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실제 사용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스크린은 하나인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다수의 독립적인 스크린을 통해 보여 주면서, 동시에 각각의 스크린에 표현된 컨텐츠에 대해 디코딩, 디지털 신호 처리,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 처리 등을 수행하거나,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라이프 사이클(life-cycle)과 리소스(resource) 사용을 각각의 스크린 별로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소정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는 수신된 소정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가 표현된 상기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하는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은 수신된 소정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가 표현된 상기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을 정의하도록 한다.
'서비스(service)'는 하나의 묶음으로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서, 다수의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들이 하나의 서비스를 이루게 된다.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는 서비스(service)를 구성하는 일 부분으로서, 비디오 컴포넌트(video component), 오디오 컴포넌트(audio component), 데이터 컴포넌트(data component) 등을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컴포넌트(data component)는 서비스(service) 내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가리킨다.
'서비스 컨텍스트(service context)'는 서비스(service)를 실행하는데 관계되는 각종 리소스(resource), 디바이스(device), 실행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비스(service)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객체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화면(physical display device)'은 서비스(service)의 내용이 실제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장치(device), 서비스의 내용이 출력되는 외부 출력 포트(output port) 또는 서비스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
'출력 스크린(display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제로 출력되는 스크린으로서, 임의의 서비스가 출력 스크린에 직접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표현되거나, 출력 스크린의 일정한 영역으로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된다.
'논리 스크린(logical screen)'은 임의의 서비스가 표현되는 공간으로서, 출력 스크린에 매핑되기 전에는 메모리상에 가상적으로만 존재하며 실제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표현되지 않는다.
또한,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은 백그라운드 스틸 이미지(background still image), 비디오 래스터(video raster) 그리고 그래픽 래스터(graphic raster)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그래픽 래스터(graphic raster)는 텍스트(text), 선(line), 컬러(color) 그리고 이미지(image)가 합성되거나, 비디오 프레임들이 혼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서비스(main service)'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 또는 리모컨을 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API를 통해 주 서비스로서 선택한 서비스를 의미하며, 메인 서비스가 표현되는 스크린을 '메인 스크린(main screen)'이라고 한다.
'PiP 서비스(Picture-in-Picture service)'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 또는 리모컨을 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API를 통해 메인 스크린 내에서 부 서비스로서 선택한 서비스를 의미하며, PiP 서비스는 'PiP 스크린(Picture-in-Picture screen)' 또는 메인 스크린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PiP 스크린(Picture-in-Picture screen)'은 도 1의 (a) 내지 (d)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스크린 내의 일부 영역을 차지하는 스크린과, 도 1의 (e) 및 (f)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스크린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동시에 보여지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또한 도 1의 (g) 및 (h)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와 영역에 보여지거나, 다른 스크린과 겹쳐져서 표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는 논리 스크린(210, 212, 214)을 통하여 표현될 수 있고, 이러한 논리 스크린들은 소정의 매핑 블록(230)에 의해 출력 스크린(220, 222, 224)으로 매핑되어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220으로 참조되는 출력 스크린은 210과 212로 참조되는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어 표현되고 있고, 222로 참조되는 출력 스크린은 212와 214로 참조되는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어 표현되고 있으며, 224로 참조되는 출력 스크린은 210, 212 및 214로 참조되는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어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가 표현되는 적어도 1이상의 논리 스크린은 매핑 블록(230)에 의해 출력 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으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매핑 블록(230)은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을 매핑하도록 하는 다양한 정보의 집합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예로서, 논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 논리 스크린 및 출력 스크린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 출력 스크린에 다수의 논리 스크린이 표현되는 순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핑 블록(230)은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되어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함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정보들을 파라미터로 하여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과의 관계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매핑 블록(230)은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간에 매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 스크린에는 다양한 소스(source)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들이 표현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데, 도 3에서 이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로서, 지상파 방송(320), 케이블 방송(330)과 같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가 있고, PVR(Personal Video Recorder)(340)과 같이 소정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되고 있지 않으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방송 수신 장치(310)는 이러한 소스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고, 각각의 서비스를 표현하는 논리 스크린을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기설정된 방식,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임의의 서비스가 출력 스크린에 직접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화면(350)을 통하여 표현되거나, 출력 스크린의 일정한 영역으로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화면(350)을 통하여 출력된다. 도 3에서는 지상파 방송(320), 케이블 방송(330) 그리고 PVR(34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디스플레이 화면(350)을 통해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의 예로서, 지상파 방송(320), 케이블 방송(330), PVR(Personal Video Recorder)(340)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묶음으로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한다면 본 발명에서의 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서비스에는 추상 서비스(abstract service)와 비추상 서비스(non-abstract service)가 있는데 이를 도 4a와 도 4b에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추상 서비스(abstract service)는 방송 신호로부터 실시간 전달되는 서비스가 아닌 방송 채널에 대하여 독립된 서비스로서,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 중에서 비디오 컴포넌트, 오디오 컴포넌트가 없이, 데이터 컴포넌트, 즉 어플리케이션만으로 이루어진 서비스가 추상 서비스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규격에서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들로 이루어진 서비스가 여기에 속한다.
비추상 서비스(non-abstract service)는 추상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 각각에 대하여 독립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상 서비스는 논리 스크린을 거치지 않고 직접 출력 스크린에 설정되고, 비추상 서비스는 논리 스크린에 표현되어 추상 서비스가 설정된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출력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서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 모두 각각 별도의 논리 스크린에 매핑된 후 각각의 논리 스크린이 하나의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될 수도 있다. 즉,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는 각각 독립된 형태로서 출력 스크린에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은 각각 별도의 객체로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스크린'이라는 하나의 객체가 갖는 속성 정보에 따라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으로서 기능하거나 출력 스크린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즉, 스크린 객체에 관한 속성 정보들 중에서 타입(type) 정보를 통해서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인지 출력 스크린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Unbound Application)과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Service Bound Application)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채널과 관련되지 않으므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채널 전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실행을 위한 자원이 원활하게 할당된다.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는 특수한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된다.
한편,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과 관련된 것으로서,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결정적인(critical) 시스템 기능은 수행하지 않으며, 자원에 대한 경쟁이 발생하는 경우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보다 자원 할당을 포기할 가능성이 더욱 크다.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전송 중인 스트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형과 전송 중인 스트림에 무관하게 동작하는 비연동형이 있다.
OCAP 기반의 단말기 또는 셋톱 박스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VOD(Video On Demand), 어플리케이션 XYZ 및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5는 두 개의 서비스가 두 개의 논리 스크린에 각각 설정되고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되어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서비스는 비디오/오디오/데이터의 3가지 서비스 컴포넌트가 모두 존재하는 서비스이며, 제 2 서비스는 비디오 컴포넌트와 오디오 컴포넌트만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한 제약 사항을 두지 않으며, 도 5의 경우는 하나의 가능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서비스와 제 2 서비스가 종래의 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지만, 본 발명을 따를 경우 매핑(mapping)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개수의 제한 없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다양한 위치에 독립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컴포넌트는 서비스 내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PiP 스크린에서 실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 정보(signal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예로서, MHP 규격에 따른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과 OCAP 규격에 따른 XAIT(eXtende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등이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상기 시그널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DVB-MHP 규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에 종속적인 것으로서, 그 라이프 사이클(lifecycle)이 현재 선택되어 전송되는 서비스에 따라 결정됨에 반하여, OCAP 규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되는 서비스에 종속적이지 않고, 그 라이프 사이클도 시그널 정보에 독립적이다.
어플리케이션으로는 호스트 장치 제조자(Host device manufacturer)의 어플리케이션, XAIT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등록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시그널이 수신됨에 따라 OCAP 단말기는 바운드 또는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OCAP 규격에 따라, 서비스 바운드 및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그널링이 지원되는데, 이러한 시그널링의 결과로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Application Database)의 내용이 생성되거나 갱신된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통합적인 이름(collective name)으로서,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어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API(Application Lifecycle API)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수신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및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각 어플리케이션에는 식별자가 부여되는데, 만일 동일 식별자가 부여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실행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만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시그널링의 형태로는 3가지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것이고, 나머지 둘은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시그널링은 멀티스크린(Multi-Screen)의 지원 여부를 OCAP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하여도 사용된다. 즉, 방송 사업자(600)는 OCAP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면서, 현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멀티스크린을 지원하는 것인지를 시그널을 통해 통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OCAP 단말기는 수신된 시그널을 이용하여 현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논리 스크린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면서 화면 크기, 화면 위치 및 일시 정지 등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방송 사업자(600)가 OCAP 단말기(이하,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라 한다)(700)에게 시그널을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방송 사업자(600)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로 송신하면서 다중 스크린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된 시그널(650)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논리 스크린을 별도로 할당하고, 해당 논리 스크린의 화면 크기, 화면 위치 및 일시 정지 등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은 MPEG 스트림을 통해 전송되는 XAIT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여기서, XAIT에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내용을 생성하도록 하는 필수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버전의 XAIT가 수신되면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와 연관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시그널링된 정보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선택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그 동작을 달리할 수 있다.
a)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XAIT에 의하여 시그널링된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b)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이전의 시그널링에 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만 더 이상 시그널링되지 않는 경우, 다중 스크린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다.
c)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이 시그널링되는 경우,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현재 시그널링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d)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활성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active application instance)와 관련 없는 새로운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이 시그널링되는 경우,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현재 시그널링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e)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활성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와 관련 있는 새로운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이 시그널링되는 경우,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이전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완료하거나, 현재 수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만을 허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 서비스 처리 모듈(762), 출력 모듈(764) 그리고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을 포함한다.
이 때,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source)로서, 방송 신호 수신 모듈(710), 저장 매체(720) 또는 외부 입력 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가 출력되는 매체로서 디스플레이 화면(770), 저장 매체(780) 또는 외부 출력 모듈(7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은 방송 신호 수신 모듈(710), 저장 매체(720) 또는 외부 입력 모듈(73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서비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정보들, 예를 들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한다.
이 때, 방송 신호 수신 모듈(710)은 위성,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모듈이고, 저장 매체(720)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등이 저장된 기기를 나타내고, 외부 입력 모듈(73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기기로부터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모듈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은 수신된 서비스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이 때 복수의 서비스를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원된 서비스는 추상 서비스 또는 비추상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 '복수의 서비스'란 예를 들어 방송 신호 수신 모듈(710)에서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고, 방송 신호 수신 모듈(710)과 저장 매체(720)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2개의 이상의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에서 복원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을 통한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에 따라 복원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느 서비스를 어떤 스크린에 연결할 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은 수신된 데이터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스크린상에서 실행되는지 여부를 확인 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은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650)의 소정 플래그를 확인하여 실행의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결과는 동작 모듈(760) 및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플래그가 1이면 스크린상에서의 실행이 지원되는 것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이하, 제 1 제어 신호라 한다)를 전달하고, 플래그가 0이면 스크린상에서의 실행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이하, 제 2 제어 신호라 한다)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 때,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은 수신된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을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저장 매체(72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인데,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은 시그널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갱신되는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로는 논리 스크린의 수, 서비스의 종류 및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등이 포함된다. 한편,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중 해당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삭제된다.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동작 모듈(760)은 제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그 동작을 달리하는데, 만일 제 1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동작 모듈(760)은 스크린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제 2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동작 모듈(760)은 스크린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스크린으로는 PiP 스크린 및 PoP 스크린을 포함한다.
또한,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을 논리 스크린에서 동작시킨 후 논리 스크린을 출력 스크린에 매핑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출력 스크린을 통해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동작 모듈(760)은 서비스 처리 모듈(762) 및 출력 모듈(7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처리 모듈(762)은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에 의해 복원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논리 스크린 및 출력 스크린을 생성한다. 여기서, 논리 스크린은 시그널링을 통하여 스크린상에서의 실행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하여 할당된 스크린일 수 있다.
수신된 시그널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플래그 및 종료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는데, 설정 플래그는 다중 스크린 설정의 변경 또는 논리 스크린간의 서비스 컨텍스트의 이동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고, 종료 플래그는 설정 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낸다. 즉, 동작 모듈(760)은 설정 플래그 및 종료 플래그에 설정된 값을 참조하여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설정 플래그는 다시 매핑 영역 플래그와 기본 디바이스 설정 플래그로 구분될 수 있는데, 매핑 영역 플래그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그래픽 영역이 동작하는 하나의 논리 스크린의 영역이 출력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완전 매핑되는지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고, 기본 디바이스 설정 플래그는 논리 스크린 영역의 크기, 논리 스크린의 해상도, 논리 스크린의 화면 비율 또는 활용 가능한 자원의 변경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낸다.
종료 플래그는 1비트의 정보로 구성되는데, 종료 플래그가 1로 설정된 경우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종료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기본 디바이스 설정 플래그도 1비트의 정보로 구성되는데, 기본 디바이스 설정 플래그가 1로 설정된 경우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을 중지시키거나 종료 플래그의 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기본 디바이스 설정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종료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매핑 영역 플래그도 1비트의 정보로 구성되는데, 매핑 영역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을 중지시키거나 종료 플래그의 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매핑 영역 플래그가 1로 설정된 경우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종료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설정 플래그 및 종료 플래그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지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은 재동작될 수도 있는데, 만일 재동작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에 인풋 포커스(input focus)가 존재하는 경우 동작 모듈(760)은 인풋 포커스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 때,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에 인풋 포커스의 제거 사실을 통지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재동작하는 경우 재동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풋 포커스의 제거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자원을 사용 중인 경우 동작 모듈(760)은 외부 자원이 사용을 중지시킬 수 있는데 이 때, 동작 모듈(760)은 어플리케이션에 외부 자원의 사용 중지 사실을 통지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재동작하는 경우 재동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외부 자원의 사용 중지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출력 모듈(764)은 출력 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서비스 처리 모듈(762)에 의해 생성된 논리 스크린들을 매핑하고 출력한다. 이 때, 출력 스크린 상으로의 매핑은 이미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을 통하여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비디오, 오디오뿐만 아니라 멀티 스크린이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매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750)에 의해 복원된 서비스는 서비스 처리 모듈(762)에서 논리 스크린과 연결되지 않고, 출력 스크린과 직접 연결되어 출력 모듈(764)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 모듈(764)에 의해 출력 스크린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770)을 통하여 출력되거나, 저장 매체(78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 매체(780)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이 가능하고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DVD, DVD-ROM, BD(Blu-ray Disc)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출력 모듈(790)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기기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 모듈(764)은 출력 스크린이 제공되는 다수의 출력 포트(output port)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이미 설정된 기본 출력 포트 또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을 통하여 지정된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을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복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을 통하여 다수의 출력 스크린 중 임의의 출력 스크린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각 모듈들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분리되어 도시되고 있으므로,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각각 다른 모듈들과의 결합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데이터 정보 등은 예를 들어 MPEG 스트림과 같은 소정의 포맷에 따라 전달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서비스를 실행하는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서비스를 복원하게 된다(S810). 이 때, 복원되는 서비스는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되거나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770)에서 나타나는 메뉴나 리모컨을 이용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API를 이용하여 어느 서비스를 어떤 스크린에 연결할 지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면서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수신된 데이터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스크린상에서 실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20).
이 때,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을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동작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S830).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상에서의 실행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를 통하여 출력되는데,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650)에 멀티 스크린이 지원된다는 플래그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74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기능(논리 스크린 할당 및 화면 크기 제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S840).
또한,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시그널(650)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시그널(650)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시그널은 다중 스크린 설정의 변경 또는 논리 스크린간의 서비스 컨텍스트의 이동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플래그 및 설정 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종료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는데,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설정 플래그 및 종료 플래그에 설정된 값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S850).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시킴에 있어서,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지가 불가능하거나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의 재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으며,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에 인풋 포커스가 존재하거나 외부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인풋 포커스를 제거하거나 외부 자원의 사용을 중지시킬 수 있다.
시그널링 확인 후,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상기 복원된 서비스를 본 발명에 따른 논리 스크린에서 표현되도록 설정하고(S860), 상기 논리 스크린을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한다(S870). 이 때, 사용자는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논리 스크린에 할당하고, 그 크기 및 위치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입력된 내용대로 논리 스크린을 출력 스크린에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700)는 디스플레이 화면(770), 저장 매체(780)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출력 스크린을 제공한다(S880).
한편, 도 8에서는 복원된 서비스가 논리 스크린을 거쳐 출력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논리 스크린을 거치지 않고 직접 출력 스크린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PiP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2가지 모드로서 PiP 서비스가 표현될 수 있는데 제1 모드에서는 PiP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논리 스크린 예컨대 PiP 스크린이 생성되지 않고, 메인 스크린에서 선택된 PiP 서비스의 비디오 컴포넌트만 표현되고, 제2 모드에서는 모드에서는 PiP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논리 스크린이 생성되어 생성된 PiP 스크린 내에서 선택된 PiP 서비스가 표현된다.
한편,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서비스가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스크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서비스가 다수의 논리 스크린을 통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하나의 출력 스크린 내의 임의의 영역으로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화면(770)을 통하여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에 따르면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소정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컨텐츠에 할당된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iP 스크린이 배치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서비스가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되어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710 : 방송 신호 수신 모듈
720 : 저장 매체
730 : 외부 입력 모듈
740 :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
750 :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
760 : 동작 모듈
770 : 디스플레이 화면
780 : 저장 매체
790 : 외부 출력 모듈

Claims (24)

  1. 수신된 소정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가 표현된 상기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하는 동작 모듈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상기 논리 스크린의 수, 상기 서비스의 종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은 다중 스크린 설정의 변경 또는 상기 논리 스크린간의 서비스 컨텍스트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플래그; 및
    상기 설정 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종료 플래그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플래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그래픽 영역이 동작하는 하나의 논리 스크린의 영역이 상기 출력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완전 매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매핑 영역 플래그; 및
    상기 논리 스크린 영역의 크기, 상기 논리 스크린의 해상도, 상기 논리 스크린의 화면 비율 또는 활용 가능한 자원의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기본 디바이스 설정 플래그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설정 플래그 및 상기 종료 플래그에 설정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시키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지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동작 중지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에 인풋 포커스(input focus)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풋 포커스를 제거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재동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인풋 포커스의 제거 사실을 통지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자원을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외부 자원의 사용을 중지시키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듈은 상기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재동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외부 자원의 사용 중지 사실을 통지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13. 수신된 소정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시그널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가 표현된 상기 복수 개의 논리 스크린을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상기 논리 스크린의 수, 상기 서비스의 종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은 다중 스크린 설정의 변경 또는 상기 논리 스크린간의 서비스 컨텍스트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플래그; 및
    상기 설정 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종료 플래그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플래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그래픽 영역이 동작하는 하나의 논리 스크린의 영역이 상기 출력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완전 매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매핑 영역 플래그; 및
    상기 논리 스크린 영역의 크기, 상기 논리 스크린의 해상도, 상기 논리 스크린의 화면 비율 또는 활용 가능한 자원의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기본 디바이스 설정 플래그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플래그 및 상기 종료 플래그에 설정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지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중지시키는 단계는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의 재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 과정에 따라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에 인풋 포커스(input focus)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풋 포커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재동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인풋 포커스의 제거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 과정에 따라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자원을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외부 자원의 사용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중지된 어플리케이션이 재동작하는 경우, 상기 재동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외부 자원의 사용 중지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
KR1020070019236A 2005-08-05 2007-02-26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20070100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X2008012871A MX2008012871A (es) 2006-04-06 2007-04-05 Aparato para proporcionar pantallas mutliples y metodo para configurar dinamicamente pantallas multiples.
CA002648928A CA2648928A1 (en) 2006-04-06 2007-04-05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PCT/KR2007/001671 WO2007114665A1 (en) 2006-04-06 2007-04-05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US11/957,739 US20080088744A1 (en) 2005-08-05 2007-12-17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TW97106235A TW200849990A (en) 2007-02-26 2008-02-22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creen management for multiple screen configu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957706P 2006-04-06 2006-04-06
US60/789,577 2006-04-06
US81209006P 2006-06-09 2006-06-09
US60/812,090 2006-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107A true KR20070100107A (ko) 2007-10-10

Family

ID=38805247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230A KR20070100106A (ko) 2005-08-05 2007-02-26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20070019236A KR20070100107A (ko) 2005-08-05 2007-02-26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20070024324A KR20070100111A (ko) 2005-08-05 2007-03-13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KR1020070024323A KR20070100110A (ko) 2005-08-05 2007-03-13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20070024326A KR20070100112A (ko) 2005-08-05 2007-03-13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KR1020070027300A KR20070100113A (ko) 2005-08-05 2007-03-20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230A KR20070100106A (ko) 2005-08-05 2007-02-26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324A KR20070100111A (ko) 2005-08-05 2007-03-13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KR1020070024323A KR20070100110A (ko) 2005-08-05 2007-03-13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20070024326A KR20070100112A (ko) 2005-08-05 2007-03-13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KR1020070027300A KR20070100113A (ko) 2005-08-05 2007-03-20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0701001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621A (ko) 2010-11-04 2012-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홉 다중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113A (ko) 2007-10-10
KR20070100112A (ko) 2007-10-10
KR20070100106A (ko) 2007-10-10
KR20070100111A (ko) 2007-10-10
KR20070100110A (ko)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3198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KR20070100139A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EP191127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KR20070100107A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746041B1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US2008009450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JP2009504066A (ja) 多重スクリーンを提供する装置及びその多重スクリーンの動的構成方法
US20080088744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KR100791302B1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725421B1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791301B1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WO2007114675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781529B1 (ko)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25420B1 (ko)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00975B1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900974B1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KR100900973B1 (ko)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구성 방법
WO2007114665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JP2009503602A (ja) 多重スクリーン提供装置及び方法
EP1935174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