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944A -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944A
KR20070099944A KR1020060031368A KR20060031368A KR20070099944A KR 20070099944 A KR20070099944 A KR 20070099944A KR 1020060031368 A KR1020060031368 A KR 1020060031368A KR 20060031368 A KR20060031368 A KR 20060031368A KR 20070099944 A KR20070099944 A KR 20070099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vehicle
key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6003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944A/ko
Publication of KR2007009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05B81/60Control of actuators using pulse control, e.g. pulse-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키를 스티어링 휠의 키 박스에 삽입한 체 도어락을 잠근 경우 차키 없이도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고, 상기 도어의 잠김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락 구동부와, 자동차의 키 박스에 자동차 키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키 삽입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수를 가지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자동차 유리의 두들김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고, 상기 소리에 대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펄스 생성부와,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통해 자동차의 도어의 잠김이 검출되고 상기 키 삽입 검출부를 통해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펄스가 입력하면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와 대응되게 입력하면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락, 마이크로폰, 똑똑, 펄스, 탑승자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키를 스티어링 휠의 키 박스에 삽입한 체 도어락을 잠근 경우 차키 없이도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을 난감하게 하는 상황이 차키를 키 박스 꽂아 놓고 내린 경우 일 것이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운전자들은 보조키를 차 밑이나 카드키 등 을 지갑 등에 넣어 다닌다. 또한, 보조키 마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운전자는 보험사 나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에 전화를 걸어 긴급 충동을 요청하여 차문을 열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키를 키 박스에 꽂아 놓고 차문을 잠근 경우 운전자는 보조키를 구비하여야 하나 자동차의 특정 부분에 보조키를 구비하는 것은 도난의 위험성이 있고, 카드키 또는 보조키를 소지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조키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긴급 출동 서비스를 받아야 하므로 운전자는 긴급 출동 요원이 운전자 차량이 위치한 곳까지 도착하는 동안의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며, 때에 따라 긴급 출동 비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차키를 스티어링 휠의 키 박스에 삽입한 체 도어락을 잠근 경우 차키 없이도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고, 상기 도어의 잠김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락 구동부와, 자동차의 키 박스에 자동차 키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키 삽입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수를 가지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자동차 유리의 두들김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로폰 을 통해 입력받고, 상기 소리에 대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펄스 생성부와,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통해 자동차의 도어의 잠김이 검출되고 상기 키 삽입 검출부를 통해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펄스가 입력하면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와 대응되게 입력하면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의 도어락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잠기고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운전자가 상기 자동차의 유리를 두드린 회수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에 대응되게 입력하면 상기 자동차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동차 키를 키 박스에 꽂아 놓고 문을 잠근 상태에서 하차한 경우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회수만큼 차문 유리 또는 전면 유리를 손으로 두들겨 도어락의 잠김을 해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운전자가 숫자로 구성되는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비밀번호의 각 수에 대응되는 수만큼 차문 유리 또는 전면 유리를 손으로 순차적으로 두들겨 도어락의 잠김을 해제 할 수 있는 것이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유리를 두드릴 경우 상기 비밀번호의 각 숫자 사이에는 일정 시간의 간격을 두고 입력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운전자가 자동차의 유리를 두들기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폰을 사용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차문을 두들기는 소리가 감지되면 펄스를 생성하여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는 도어락이 잠기고, 키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는 도어락이 잠기고,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고, 차량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 설정된 도어락 제어 모드는 도어락이 오픈되었을 때 또는 차량이 주행중일 때 자동으로 해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는 제어부(10)와 저장부(20)와 입력부(30)와 디스플레이부(40)와 키 삽입 검출부(50)와 탑승자 검출부(60)와 시동 검출부(70)와 속도 검출부(80)와 마이크로폰(MIC)과 펄스 생성부(90)와 도어락 구동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제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는 자동차의 도어가 잠기고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으면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운전자가 자동차 문의 유리 또는 전면 유리를 두들기는 회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회수와 운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어락 해제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자동차의 도어락을 해제한다. 제어부(1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다.
저장부(20)는 본 발명의 도어락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운전자에 의해 설정되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는 하나의 수일 수도 있고, 4자리 이상의 비밀번호가 될 수도 있다.
입력부(30)는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 입력 및 도어락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운전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한 키신호 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 입력 시 입력부(30)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들을 표시하고, 본 발명의 도어락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키 삽입 검출부(50)는 키 박스에 구성되며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자동차 키 삽입 시 자동차 키가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탑승자 검출부(60)는 자동차 내부의 각 좌석에 압력 센서, 자기장 센서 등의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탑승자가 검출되는 경우 탑승자가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시동 검출부(70)는 자동차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고, 자동차의 시동이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속도 검출부(80)는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마이크로폰(MIC)은 자동차의 차문 유리 가까운 곳 또는 전면 유리 일측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유리를 두드리는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출력한다.
펄스 생성부(90)는 상기 소리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 입력 시마다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상기 펄스 생성부(90)는 일반적인 소리와 두드리는 소리를 구분하기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전기적인 신호에 대해서만 펄스를 발생한다.
도어락 구동부(10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자동차 도어의 잠금 및 잠근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인지 잠금 해제 상태인지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설정해 놓아야 한다.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는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40)를 보면서 입력부(30)의 키를 눌러 입력하고, 입력부(30)의 등록키 또는 저장키와 같은 키를 누르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상기 입력된 도어락 해제 번호를 저장부(20)에 저장한다.
그러면 제어부(10)는 201단계에서 도어락 구동부(100)를 모니터링하여 도어가 잠기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에 도어가 잠기면 제어부(1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키 삽입 검출부(50)를 통해 키 박스에 키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키 박스에 자동차 키가 삽입되어 있으면 제어부(10)는 205단계에서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펄스 생성부(90)를 구동한다. 이때부터 펄스 생성부(90)는 마이크로폰(MIC)를 통해 소리가 감지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소리는 운전자가 차문 유리 또는 전면 유리를 손으로 두들기는 소리, 일예로 "똑" 소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1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펄스 생성부(90)로부터 소리 입력에 대한 펄스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7단계의 검사 중에 펄스가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펄스 입력을 카운트한다.
상기 209단계 후 제어부(10)는 210단계와 211단계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펄스 생성부(90)로부터 펄스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펄스 입력하면 상기 209단계에서 카운트 한다. 즉, 제어부(10)는 상기 209단계 내지 211단계에서 펄스가 일정 시간 이내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입력하는지를 검사하고, 펄스 입력 시마다 펄스 카운트값을 증가시킨다.
상기 211단계에서 이정 시간 이내에 펄스가 입력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카운트된 펄스 수(값)와 저장부(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213단계의 판단결과, 동일하면 제어부(1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도어락 구동부(100)를 제어하여 도어를 오픈한다.
그러나 상기 213단계에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는 217단계에서 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고, 일정 시간이 초과하면 상기 205단계로 돌아가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도어락 해제 번호가 단일 수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도면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는 2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보안을 위해서 상기 비밀번호는 4자리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4자리 숫자의 비밀번호를 도어락 해제 번호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0)가 비밀번호의 각 숫자들에 대한 펄스 입력을 구분하기 위해 운전자는 비 밀번호의 각 숫자 사이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차의 유리를 두들겨야 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비밀번호로 '1234'를 설정한 경우, 운전자는 '1'에 대해 자동차의 유리를 "똑" 두들기고, '2'에 대해 일정 시간 후에 유리를 "똑똑", 그리고 상기 일정 시간 후에 '3'에 대해 "똑똑똑', 그리고 '일정 시간 후 '4'에 대해 "똑똑똑똑" 두들겨야 한다. 만일, 운전자가 연속해서 "똑똑똑똑똑똑똑똑똑똑" 두들긴다면 제어부(10)는 10으로 인식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탑승자 검출부(60)를 통해 탑승자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탑승자가 없을 경우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제어부(10)는 301과 303단계에서 도어가 잠기고 키 박스에 키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305단계로 진행하여 탑승자 검출부(60)를 통해 자동차 내부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탑승자가 없으면 제어부는 상기 도 2의 205단계 이후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인 307단계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307단계 이후의 과정은 상기 도 2의 205단계 이후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도 2의 205단계와 도 3의 307단계에서 설정되는 도어락 제어 모드는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도어락이 열리거나 시동 검출부(70)를 통해 시동이 걸리거나 탐승자 검출부(60)를 통해 탑승자가 검출되는 경우 해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동차 키를 자동차 내부의 키 박스에 꽂아 놓고 문을 잠근 경우에도 별도의 보조키를 구비하지 않고도 운전자만 자동차 도어의 잠김을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3)

  1.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고, 상기 도어의 잠김 여부를 검출하는 도어락 구동부와,
    자동차의 키 박스에 자동차 키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키 삽입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수를 가지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자동차 유리의 두들김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고, 상기 소리에 대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펄스 생성부와,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통해 자동차의 도어의 잠김이 검출되고 상기 키 삽입 검출부를 통해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펄스가 입력하면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와 대응되게 입력하면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기준 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4자리의 비밀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펄스가 일정 시간을 두고 입력하면 상기 비밀번호의 다음 수에 대한 펄스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통해 도어의 잠김 해제를 검출하면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통해 도어의 잠김 해제를 검출하면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탑승자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탑승자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의 잠김 및 키의 삽입을 검출한 후 상기 탑승자 검출부를 통해 상기 자동차 내부에 탑승자가 없을 경우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통해 도어의 잠김 해제를 검출하면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8.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도어락 해제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의 도어락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잠기고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운전자가 상기 자동차의 유리를 두드린 회수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에 대응되게 입력하면 상기 자동차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잠기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잠기면 키 박스에 상기 자동차 키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으면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자동차 내부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동차 내부에 탑승자가 없으면 상기 도어락 제어 모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도어락 제어 모드에서 운전자가 상기 자동차의 유리를 두드림에 대한 펄스가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가 입력하면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에 대응되게 입력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에 대응되면 상기 도어를 잠 김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해제 번호가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4자리의 비밀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의 각 수에 대응되는 펄스 수를 구분하기 위해 일정 시간 후에 입력하는 펄스는 비밀번호의 다음 수에 대응하는 펄스로 간주하여 카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31368A 2006-04-06 2006-04-06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99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368A KR20070099944A (ko) 2006-04-06 2006-04-06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368A KR20070099944A (ko) 2006-04-06 2006-04-06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944A true KR20070099944A (ko) 2007-10-10

Family

ID=3880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368A KR20070099944A (ko) 2006-04-06 2006-04-06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9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9363A (zh) * 2014-10-23 2016-05-04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用门把手模块及具有该模块的车辆用门开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9363A (zh) * 2014-10-23 2016-05-04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用门把手模块及具有该模块的车辆用门开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6897B (zh) 车辆用防盗装置
CN104554145B (zh) 认证车辆部件的系统和方法
EP2535209A1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onboard tire pressure device thereof
EP2782075A2 (en) Knock to unlock vehicle security system
JP5272815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車両盗難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99944A (ko) 자동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93002B1 (ko) 차량용 콘솔박스 로킹시스템
KR20110054570A (ko) 차량의 지문인식 도어 장치
EP2963214A1 (en) Operation input confirmation device, and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101359309B1 (ko) 인증키 실내감지 경보 및 도어언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303253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state monitoring method
JP6959744B2 (ja) 機械式駐車設備
KR20090105016A (ko)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3819A (ko)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24556B1 (ko) 자전거 안전주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주차방법과 출차방법
JP2009003827A (ja) 利用者認証システム
KR20130017468A (ko) 도어의 잠금 상태 해제방법
JP71913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212428B1 (ko) 도난방지 옵션 변경 기능을 가지는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68481Y1 (ko) 음향신호를 이용한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해제시스템
KR20230148909A (ko) 차량의 도어시스템 제어방법 및 장치
JP2017089330A (ja) 立体駐車装置の制御システムとこれを備える立体駐車装置、及び立体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H01295976A (ja) キーレス解錠装置
JP2698655B2 (ja) 運転者制限装置
KR200347820Y1 (ko) 지문인식을 통한 차량도난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