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497A -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497A
KR20070099497A KR20070093154A KR20070093154A KR20070099497A KR 20070099497 A KR20070099497 A KR 20070099497A KR 20070093154 A KR20070093154 A KR 20070093154A KR 20070093154 A KR20070093154 A KR 20070093154A KR 20070099497 A KR20070099497 A KR 20070099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erver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9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661B1 (ko
Inventor
노환규
Original Assignee
노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환규 filed Critical 노환규
Priority to KR2007009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6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66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출하는 음성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서버에 전송 및 녹취하고 녹취된 음성정보를 추후 인터넷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인터넷상에 구현된 웹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서버에 간편하게 접속하고 녹취된 음성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신호의 송출과정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를 적용한 부호화(符號化, encoding)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로 녹취된 음성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높은 보안수준을 달성할 수 있어 녹취 서비스의 이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관련 서비스의 수요를 창출하고 이용자 저변을 확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동통신. 인터넷, 녹취, 부호화(符號化)

Description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Recording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interne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출하는 음성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서버에 전송 및 녹취하고 녹취된 음성정보를 추후 인터넷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인터넷상에 구현된 웹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서버에 간편하게 접속하고 녹취된 음성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신호의 송출과정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를 적용한 부호화(符號化, encoding)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동통신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 기능인 통화외에 단말기의 입출력장치를 통한 다양한 부가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사업자 및 관련 정보제공사업자도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기능 내지 부가서비스의 일종으로 음성사서함 및 녹취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공히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전자적 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된다.
통상의 음성사서함 및 녹취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의 이용자로 기 등록된 이동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하면, 음성신호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어, VMS(Voice Mail Service)서버와 같이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이와 연결된 스토리지(Storage)에 디지털화된 음성정보로 저장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추후 사용자가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가 해당 음성정보를 인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음성사서함 및 녹취 서비스는 기본적인 입출력 수단이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저장상태의 음성정보가 디지털화된 데이터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은 매 요청시에 일회성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음성신호이며, 따라서 복제하거나 회람하는 등 사용자가 녹취된 음성정보를 사용함에 있어서, 별도의 녹취기기 또는 연결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많은 애로점에 있었다.
또한, 저장된 음성정보의 인출시에만 사용자의 인증절차를 수행할 뿐 단말기를 통한 음성신호의 송출시, 통상의 통화와 다름없는 전송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전송의 각 단계별로 일반적인 통화과정과 동일한 통신규약 등이 적용되며 최종 저 장단계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므로, 혼선 또는 도, 감청은 물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VMS서버 등에 대한 해킹에도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일한 보안수단이라 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증절차도 단순한 비밀번호를 통한 인증과정일 뿐 아니라, 이러한 비밀번호도 기타 부가서비스를 망라하여 적용되는 비밀번호로서 매 녹취시마다 설정할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된 음성신호를 녹취하고 녹취된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버(220) 및 인터넷(100)에 연결된 서비스서버(120)와, 서비스서버(120)와 연결되고 단말기(21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수록되는 사용자DB(121)와, 서비스서버(120)와 연결되고 녹취된 음성정보가 수록되는 녹취DB(122)가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이동통신서버(220)에 접속하여 서비스서버(120)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S11)와, 이동통신서버(220)가 해당 단말기(210)의 식별정보를 서비스서버(120)에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단계(S12)와, 서비스서버(120)가 사용자DB(121)의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식별정보조회단계(S13)와, 전송된 식별정보가 유효할 경우 서비스서버(120)가 해당 단말기(210)의 접속을 수락하는 접속수락단계(S20)와, 단말기(210)가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단계(S30)와, 서비스서버(120)가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정보로 녹취 DB(122)에 수록하는 저장단계(S40) 및, 컴퓨터(110)가 인터넷(100)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20)로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인증정보전송단계(S51)와, 서비스서버(120)가 사용자DB(121)의 인증정보를 조회하는 인증정보조회단계(S52)와, 전송된 인증정보가 유효할 경우 서비스서버(120)가 해당 컴퓨터(110)의 접속을 수락하는 컴퓨터접속단계(S53)와, 컴퓨터(110)가 소정의 음성정보를 서비스서버(120)에 요청하는 정보요청단계(S60)와, 서비스서버(120)가 해당 음성정보를 녹취DB(122)에서 인출하는 정보인출단계(S71)와, 서비스서버(120)가 인출된 음성정보를 인터넷(100)을 통하여 컴퓨터(110)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S72)와, 전송된 음성정보가 입력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단계(S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기억장치(202)에는 부호기(211)가 탑재되어, 상기 송출단계(S30)는 제어부(201)가 음성신호를 부호기(211)에 입력하는 음성신호입력단계(S31)와, 부호기(211)가 기 입력된 암호로 음성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S32)와, 부호기(211)가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제어부(201)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출력단계(S33)와, 제어부(201)가 RF모듈(207)을 통하여 상기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음성신호송출단계(S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퓨터(110)에는 복호기(111)가 탑재되어, 상기 실행단계(S80)는 컴퓨터(110)에 탑재된 복호기(111)가 실행되는 복호기실행단계(S81)와, 복호기(111)가 입력된 암호를 독취하는 암호입력단계(S82)와, 복호기(111)가 독취된 암호로 음성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단계(S8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 법이자, 상기 서비스서버(120)에는 난수발생기(123)가 탑재되어, 상기 접속수락단계(S20)는 녹취자측 단말기(210a)가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의 번호를 서비스서버(120)로 전송하는 번호전송단계(S21)와, 난수발생기(123)가 피녹취자용 암호를 생성하는 암호생성단계(S22)와, 서비스서버(120)가 생성된 암호를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로 전송하는 암호전송단계(S23)와,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20)로 승인신호를 발신하는 승인신호발신단계(S24)와, 서비스서버(120)가 녹취자측 단말기(210a)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용단계(S2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로 녹취된 음성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높은 보안수준을 달성할 수 있어 녹취 서비스의 이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관련 서비스의 수요를 창출하고 이용자 저변을 확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절차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210), 이동통신망(200), 이동통신서버(220), 서비스서버(120), 사용자DB(Database)(121), 녹취DB(122), 인터넷(100) 및 이와 연결된 컴퓨터(110)를 통하여 수행된다.
서비스서버(120)는 단말기(210)가 송출한 음성신호가 이동통신망(200) 및 이동통신서버(220)를 통하여 전송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사업자 또는 유관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되며, 인터넷(10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컴퓨터(110)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20)에는 단말기(210) 식별정보 및 사용자 인증정보 등이 수록되는 사용자DB(121)와 녹취된 음성정보가 수록되는 녹취DB(122)가 연결되며, 도 2에 사용자DB(121)의 수록 내용이 예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을 통한 녹취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이를 통하여 녹취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이동통신서버(220)에 접속하여 서비스서버(120)와의 접속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는 소정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도 7에서와 같은 부가서비스의 실행으로써 수행된다.
이후 이동통신서버(220)는 해당 단말기(210)의 식별정보 즉, 전화번호를 서비스서버(120)에 전송하고, 서비스서버(120)는 사용자DB(121)를 조회하여 전송된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사용자DB(121)의 조회결과 상기 식별정보가 유효하면 서비스서버(120)가 해 당 단말기(210)의 접속을 수락하게 되고, 서비스서버(120)와 단말기(210) 간에는 통화로(session)가 개설된다.
이후 단말기(210)가 음성신호를 송출하면 서비스서버(120)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지털화된 음성정보로 녹취DB(122)에 저장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녹취DB(122)에 저장된 음성정보는 사용자가 인터넷(100)과 연결된 컴퓨터(110)를 통하여 서비스서버(120)에 접속함으로써 인출이 가능한데, 본 발명을 통한 음성정보의 인출과정이 도 13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컴퓨터(110)와 서비스서버(120) 간의 인터넷(100)을 통한 접속은 컴퓨터(110)가 인터넷(100)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20)로 인증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개시되며, 여기서 인증정보란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및 비밀번호(password)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전송방식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를 통한 입력방식을 들 수 있다.
즉, 사용자 컴퓨터(110)에 탑재된 브라우저(browser)가 인터넷(100)상에 구현되고 상기 서비스서버(120)에 의하여 운영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인증정보가 서비스서버(120)에 전송되는 방식이다.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서비스서버(120)는 사용자DB(121)을 조회하여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할 경우 해당 컴퓨터(110)의 접속을 수락하게 되며, 도 3의 전면부와 같은 웹페이지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녹취DB(122)내 자신의 할당 영역에 수록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컴퓨터(110)가 소정의 음성정보를 서비스서버(120)에 요청하면, 서비스서버(120)는 해당 음성정보를 녹취DB(122)에서 인출하여 컴퓨터(110)로 전송하게되는데, 이 과정은 도 3의 전면부에 도시된 웹페이지에서 특정 음성파일(sound file)을 다운로드(download)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통하여 음성신호 형태로 전송된 녹취내용을 인터넷(100)을 통하여 음성파일 형태의 음성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음성정보는 미디어플레이어(media player) 등의 상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재생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자유롭게 복제 또는 전송이 가능하므로 그 효용성이 매우 크다.
한편,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통하여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음성정보로서 녹취DB(122)에 저장하며, 음성정보를 전송받은 컴퓨터(110) 내에서 이를 복호화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10) 및 컴퓨터(110)에는 각각 부호기(211) 및 복호기(111)가 탑재된다.
여기서 부호기(211) 및 복호기(111)는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기억장치(202) 및 컴퓨터(110)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에 의하여 음성신호를 부호화(符號化, encoding) 및 복호화(復號化,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을 통한 음성신호의 전송에는 각 단계별로 다양한 부호화 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는 전송부하의 감소 또는 주파수의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표준화된 통신규약(protocol)에 의거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암호를 설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부호화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기억장치(202)에 일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부호기(211)를 탑재하고, 녹취를 위한 음성신호의 송출시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에 의하여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부호기(211)에 대응되는 복호기(111)와 유효한 암호 없이는 음성신호를 해독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부호기(211)는 도 5에서와 같이,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20)로부터 제공받거나 부호기(211)가 저장된 컴퓨터(110c)와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유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데, 통상 OTA-SD방식(over the air - software download)이라 불리우는 이동통신망(200)상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는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나 각종 부가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에 상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또한, 근래에 들어 대부분의 이동통신 사업자가 단말기(210)를 통한 특정 웹페이지접속 서비스,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또는 VM(Virtual Machine)기반 데이터통신 서비스 및 각종 멀티미디어 기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단말기(210) 또한 상기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처리능력을 구비하고 있어 이들 부가서비스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바,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플랫폼(platform) 내지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 행 방식에 대하여도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부호기(2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210)의 기억장치(202)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근래에 제조되는 대부분의 단말기(210)는 비교적 대용량의 기억장치(202)를 내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추가 저장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착탈식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가 적용된 경우가 많으며, 부호기(211)의 초기 설치과정 또한 OTA-SD방식 등을 통한 설치가 가능하므로, 외부기기와의 연결이나 추가 부품의 설치 없이도 본 발명의 수행이 가능하다.
도 6은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구성도로서, 기억장치(202)에 부호기(211)가 탑재된 상태 또한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통화에 있어서 각 부분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면, 송신음은 마이크(204)를 통하여 코덱(CODEC:Coder-Decoder)(203)에 입력되어 디지털화되고 제어부(201)를 통하여 표준규약에 따라 부호화된 후 기저대역처리부(206) 및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07)을 통하여 송출되며, 수신음은 역순의 과정을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205)를 구동하게 된다.
입력부(208) 및 표시부(209)는 각각 키패트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전화번호 등의 입력 및 각종 정보의 표시기능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기억장치(202)는 휘발성 여부 및 담당 영역에 따라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FlashROM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메모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FlashROM의 예 에서와 같이, 휘발성 여부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기억용량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메모리의 이용방식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물리적인 구분은 의미가 없는 바, 동 도면의 하부에서와 같이, 기억장치(202)를 통합하여 부호기(211)의 탑재상태를 도시할 수 있다.
부호기(211)는 동일한 유형의 입력치 및 출력치를 가지는 즉, 입력데이터 및 출력데이터 공히 음성신호의 형태를 가지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작동을 위하여 기억장치(202)내에 소정의 버퍼메모리(buffer memory)를 설정할 수도 있다.
부호기(211)를 통한 녹취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부가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녹취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개시되며, 도 8에서와 같이, 매건의 녹취마다 개별적인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취 서비스에 있어서 부호기(211)를 통한 음성신호의 송출과정을 도 6 및 도 14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녹취될 음성이 마이크(204) 및 코덱(203)을 통하여 제어부(201)에 입력되면, 제어부(201)가 이를 부호기(211)에 입력하고, 부호기(211)는 도 8에서와 같이 기 설정된 암호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부호화한다.
부호화된 음성신호는 부호기(211)에 의하여 제어부(201)로 출력되고, 제어부(201)는 이를 RF모듈(207)을 통하여 송출하게 되며, 송출된 부호화 음성신호는 서비스서버(120)로 수신되어 녹취DB(122)에 저장된다.
한편, 부호화되어 녹취DB(122)에 저장된 음성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도 13의 과정을 통하여 컴퓨터(110)로 전송되는데, 전송된 음성정보는 부호화된 상태 로서 재생이 불가능하거나 가청의 음성이 재생되지 않으므로 최초 단말기(210)에 입력된 음성신호 형태로 복호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복호화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복호기(111)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호기(111)는 컴퓨터(110)에 탑재되는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에 의하여 부호화된 음성정보를 복호화하게 되며, 최초 부호화시 사용된 암호와 복호화시 사용되는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생이 불가능하하거나 가청의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음성정보 즉, 사용이 불가능한 음성파일이 생성된다.
복호화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부호화된 음성정보가 컴퓨터(110)에 저장되면, 컴퓨터(110)에 탑재된 복호기(111)가 실행되고, 복호기(111)가 입력된 암호를 독취하여 음성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새로운 음성정보, 즉 음성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결국, 본 발명의 녹취 서비스에 있어서 전술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각각 음성신호 송출 및 제공된 음성정보의 가공에 적용함으로써, 유효한 복호기(111) 및 암호 없이는 녹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녹취 서비스 과정의 전반에 있어서 보안수준을 제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녹취된 음성정보를 복사, 보관 또는 타인에게 전송함에 있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녹취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녹취대상이 사용자 자신의 음성만이 아니라, 타인과의 대화내용이라면 필요에 따라 대화상대의 동의를 구해야 할 경우가 있다.
즉, 대화의 참여자 모두 대화내용이 녹취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녹취에 동의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대화 참여자 동의의 증빙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녹취가 완료된 후에도 대화 참여자 일방이 임의로 녹취된 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서버(120)에서 소정의 암호를 생성하여 대화 상대방 즉, 피녹취자의 단말기(210b)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210b)가 승인신호를 발신하면 비로소 서비스서버(120)가 가입자인 녹취자측 단말기(210a)의 접속을 허용함으로써, 대화 참여자 전원 동의하의 녹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대화내용 녹취 서비스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녹취를 직접 수행하게 되는 녹취자측 단말기(210a)외에, 대화 상대방인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와 서비스서버(12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인 난수발생기(random number generator)(123) 등이 추가된다.
또한, 녹취 후 녹취자의 컴퓨터(110a)는 물론 피녹취자도 자신의 컴퓨터(110b)를 통하여 서비스서버(120)에 접속하여 녹취DB(122)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인증은 녹취시 서비스서버(120)로부터 전송된 암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화내용 녹취 서비스의 수행 과정을 도 10 및 도 16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2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가입자 즉, 녹취자가 서비스서버(120)에 접속을 요청하면서 자신의 단말기(210a)를 통하여 피녹취자 즉, 대화 상대방 단말기(210b)의 번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서비스서버(120)가 난수발생기(123)를 실행하여 암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를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로 전송한다.
이때 암호의 전송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암호와 함께 녹취 동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수신한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가 승인신호를 발신하면, 이를 수신한 서비스서버(120)가 비로소 녹취자측 단말기(210a)의 접속을 수락하게 되며, 이후 녹취가 진행된다.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가 발신하는 승인신호는 도 11의 예에서와 같이 단순한 통화개시, 즉 호출신호일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120)로부터 발신된 암호 외에 자신이 임의로 설정한 암호를 송신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녹취 서비스에 있어서 전술한 대화 녹취 서비스를 통하여 녹취행위에 의한 인권침해 및 불법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녹취에 대한 대화 참여자 동의 증빙을 확보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DB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 화면 예시도
도 4는 부호화가 적용된 본 발명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호기 설치과정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행과정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복호기 예시도
도 10은 피녹취자 승인절차가 적용된 본 발명의 구성도
도 11은 피녹취자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녹취과정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녹취내용 확인과정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송출단계 일 실시예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행단계 일 실시예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접속수락단계 일 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인터넷
110 : 컴퓨터
111 : 복호기
120 : 서비스서버
121 : 사용자DB
122 : 녹취DB
123 : 난수발생기
200 : 이동통신망
201 : 제어부
202 : 기억장치
203 : 코덱
204 : 마이크
205 : 스피커
206 : 기저대역처리부
207 : RF모듈
208 : 입력부
209 : 표시부
210 : 단말기
211 : 부호기
220 : 이동통신서버
S11 : 접속요청단계
S12 : 식별정보전송단계
S13 : 식별정보조회단계
S20 : 접속수락단계
S21 : 번호전송단계
S22 : 암호생성단계
S23 : 암호전송단계
S24 : 승인신호발신단계
S25 : 접속허용단계
S30 : 송출단계
S31 : 음성신호입력단계
S32 : 부호화단계
S33 : 음성신호출력단계
S34 : 음성신호송출단계
S40 : 저장단계
S51 : 인증정보전송단계
S52 : 인증정보조회단계
S53 : 컴퓨터접속단계
S60 : 정보요청단계
S71 : 정보인출단계
S72 : 정보전송단계
S80 : 실행단계
S81 : 복호기실행단계
S82 : 암호입력단계
S83 : 복호화단계

Claims (5)

  1.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된 음성신호를 녹취하고 녹취된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버(220) 및 인터넷(100)에 연결된 서비스서버(120)와, 서비스서버(120)와 연결되고 단말기(21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수록되는 사용자DB(121)와, 서비스서버(120)와 연결되고 녹취된 음성정보가 수록되는 녹취DB(122)가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이동통신서버(220)에 접속하여 서비스서버(120)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S11)와;
    이동통신서버(220)가 해당 단말기(210)의 식별정보를 서비스서버(120)에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단계(S12)와;
    서비스서버(120)가 사용자DB(121)의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식별정보조회단계(S13)와;
    전송된 식별정보가 유효할 경우 서비스서버(120)가 해당 단말기(210)의 접속을 수락하는 접속수락단계(S20)와;
    단말기(210)가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단계(S30)와;
    서비스서버(120)가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정보로 녹취DB(122)에 수록하는 저장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2.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된 음성신호를 녹취하고 녹취된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버(220) 및 인터넷(100)에 연결된 서비스서버(120)와, 서비스서버(120)와 연결되고 단말기(21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수록되는 사용자DB(121)와, 서비스서버(120)와 연결되고 녹취된 음성정보가 수록되는 녹취DB(122)가 설치되어;
    컴퓨터(110)가 인터넷(100)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20)로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인증정보전송단계(S51)와;
    서비스서버(120)가 사용자DB(121)의 인증정보를 조회하는 인증정보조회단계(S52)와;
    전송된 인증정보가 유효할 경우 서비스서버(120)가 해당 컴퓨터(110)의 접속을 수락하는 컴퓨터접속단계(S53)와;
    컴퓨터(110)가 소정의 음성정보를 서비스서버(120)에 요청하는 정보요청단계(S60)와;
    서비스서버(120)가 해당 음성정보를 녹취DB(122)에서 인출하는 정보인출단계(S71)와;
    서비스서버(120)가 인출된 음성정보를 인터넷(100)을 통하여 컴퓨터(110)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S72)와;
    전송된 음성정보가 입력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단계(S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기억장치(202)에는 부호기(211)가 탑재되고, 송출단계(S30)는 제어부(201)가 음성신호를 부호기(211)에 입력하는 음성신호입력단계(S31)와;
    부호기(211)가 기 입력된 암호로 음성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S32)와;
    부호기(211)가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제어부(201)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출력단계(S33)와;
    제어부(201)가 RF모듈(207)을 통하여 상기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음성신호송출단계(S3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컴퓨터(110)에는 복호기(111)가 탑재되고, 실행단계(S80)는 컴퓨터(110)에 탑재된 복호기(111)가 실행되는 복호기실행단계(S81)와;
    복호기(111)가 입력된 암호를 독취하는 암호입력단계(S82)와;
    복호기(111)가 독취된 암호로 음성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단계(S8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서버(120)에는 난수발생기(123)가 탑재되고, 접속수락단계(S20)는 녹취자측 단말기(210a)가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의 번호를 서비스서버(120)로 전송하는 번호전송단계(S21)와;
    난수발생기(123)가 피녹취자용 암호를 생성하는 암호생성단계(S22)와;
    서비스서버(120)가 생성된 암호를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로 전송하는 암호전송단계(S23)와;
    피녹취자측 단말기(210b)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20)로 승인신호를 발신하는 승인신호발신단계(S24)와;
    서비스서버(120)가 녹취자측 단말기(210a)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용단계(S2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KR20070093154A 2007-09-13 2007-09-13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KR10080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3154A KR100803661B1 (ko) 2007-09-13 2007-09-13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3154A KR100803661B1 (ko) 2007-09-13 2007-09-13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97A true KR20070099497A (ko) 2007-10-09
KR100803661B1 KR100803661B1 (ko) 2008-02-19

Family

ID=3880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93154A KR100803661B1 (ko) 2007-09-13 2007-09-13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8037B2 (en) 2008-11-11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service in IP multimedia subsystem
KR20180035420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온피아 데이터 변조를 통한 녹취파일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139B1 (ko) * 1999-08-07 2007-0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이동 단말을 이용한 녹음 서비스 방법
KR20040082752A (ko) * 2003-03-20 2004-09-3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 통화내용 녹음/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60102404A (ko) * 2005-03-23 2006-09-27 김남희 전화통신망 및 인터넷 기반의 녹취 시스템
KR100767337B1 (ko) * 2006-12-08 2007-10-17 솔루텍 주식회사 중앙 집중식 통화녹취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8037B2 (en) 2008-11-11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service in IP multimedia subsystem
KR20180035420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온피아 데이터 변조를 통한 녹취파일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661B1 (ko) 200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5677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media content by capturing media content at a client device and storing the media content at a network accessible media repository
KR10080898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파일 실행방법 및 장치
US10715572B2 (en) Electronic devices for capturing media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media content to a network accessible media repository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175058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s channel authentication
JPWO2011083867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949959B (zh) Oauth协议中的授权认证方法及装置
JP2009193272A (ja) 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JP4552797B2 (ja) 電話番号の登録・認証システム,方法,認証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59168B1 (ko) 안전키 생성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992973A (zh) 对用户终端功能进行权限管理的方法及系统
KR100803661B1 (ko)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녹취 서비스 방법
KR1007134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불법 사용 방지 방법
US20090012888A1 (en) Text-to-speech streaming via a network
US84779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90011152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9026267A (ja) 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用プログラム
KR100563711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101020058B1 (ko) 무선통신장치와 그 기록매체
KR100886763B1 (ko) 웹사이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5524A (ko) 벨소리와 그림 파일의 이동 통신 단말기 전송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1282998A (ja) 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70067274A (ko)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비밀 번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및 보안 관리 서버
JP2016200996A (ja) 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により実行される認証方法
KR20090006038A (ko) 휴대폰에서의 자체 옵트인 설정 방법
JP2003122641A (ja) アクセス制御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