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400A -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400A
KR20070099400A KR1020060090749A KR20060090749A KR20070099400A KR 20070099400 A KR20070099400 A KR 20070099400A KR 1020060090749 A KR1020060090749 A KR 1020060090749A KR 20060090749 A KR20060090749 A KR 20060090749A KR 20070099400 A KR20070099400 A KR 2007009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aper
pattern
coated
b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138B1 (ko
Inventor
김홍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ublication of KR2007009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64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21H25/06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of impregnated or co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지를 아크릴계 수지에 함침하는 함침단계; 함침된 원지를 기본물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1차 베이스 AP코팅 단계; 1차 코팅 후 50~60에서 12시간 숙성하고 케미컬 방식으로 문양을 각인한 후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2차 문양 AP코팅 단계; 2차 코팅 후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는 은나노를 AP코팅액에 첨가하여 은나노 코팅하는 3차 은나노 AP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이다. 함침된 종이를 사용하고 나노실버 AP코팅으로 내수성, 가공성,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테이프박리성, 표면질감에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로고 등의 문양코팅과,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다.
가구표면지, 문양, 은나노코팅.

Description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SHEET FOR FURNITURE}
도 1은 본 발명의 가구표면지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흐름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가구표면지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함침부 20; 1차 코팅부
30,60; 숙성부 40; 2차 코팅부
50; 3차 코팅부
일반적으로 가구용 판넬에 사용되는 표면소재는 천연무늬목, PVC(Polyvinyl chloride), 코팅페이퍼, LPM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요소수지와 EVA를 접착제로 하는 천연무늬목과 코팅페이퍼, PVC, 멜라민수지로 고온고압 성형하는 LPM이 있다.
이중 천연무늬목의 경우에는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나무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으며, 크게 유럽산과 북미산으로 구분되며 가구용재로 사용가능한 수종을 조림하여 한정된 수량만 벌목하기 때문에 수급상의 문제가 발생되고 고가의 가격으로 소 비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또한 썩지 않게 하기 위해 다량의 포르말린을 방부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힐 수 있다.
특히 PVC는 다른소재에 비해 제조과정도 복잡하지 않고 원재료인 수지 가격도 저렴하여 시트에 다양한 색상, 다양한 패턴으로 인쇄하고 엠보스롤로 각종 문양을 표시하여 레핑용(감싸기 접착), 오버레이용(평판접착), M/B용(곡면접착) 뿐만 아니라, 에지재(재단면 마감) 등의 다용도로 가구산업에서 제일 큰 비중으로 사용하고는 있지만, 열에 약하며 내오염성과 내용제성이 약해 제품의 청결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판넬에 접착한 후 가구로 가공되어 소비자의 집에서 시공이 되고 제품의 교환주기가 지나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시 재활용이나 매립이 되지 않아 전량 소각처리 하는데 다량의 다이옥신과 염소가스의 발생으로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된다.
LPM은 종이에 다양한 패턴으로 인쇄를 한 다음 멜라민수지에 함침건조된 시트를 여러가지 문양의 경면판으로 열압 성형하는 소재로 질감과 내구성은 우수하지만 열압성형하는 과정에서 속자재의 물성/강도를 저감시킨다든가 판넬에 열압접착후 열이 식기 전에 후공정 투입이 불가능한 문제로 별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여 효율저하와 더불어 가장 치명적인 것은 곡면 성형을 할 수 없어 평판 디자인 외에는 지원이 되지 않는 단점때문에 LPM자재를 가구에 선택하여 사용하려면 에지나 래핑용,M/B용은 별도의 다른 소재를 같이 사용해야 하고 뿐만 아니라 멜라민이나 요소수지에다 함침을 한 소재의 특성상 완전한 친환경자재라고는 볼 수 없다.
PP(Poly propylene)는 PVC보다 친환경적인 소재이고 PVC와 유사한 작업성과 장점을 가지며 특히 열이나 외부 온습도에 저항력이 강하여 특수하게 열압성형하는 판넬의 후면이나 도장판넬 후면 등으로도 사용하고 있지만 성형작업이 까다롭고 접착력 보증이 어려워 시트의 접착면에 항상 프라이머 처리를 해야하고 인쇄작업시 특수잉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와 정전기 발생이 강하여 쉽게 때가 타는 문제와 오염성에 약하고 절삭작업시 PP찌꺼기가 발생하는 문제 등으로 시트 제조공정에서 별도 특수처리를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CPR(Coated Print Paper),F/F(Finishing Foil)는 종이에 인쇄를 한 다음 PU나 UV코팅을 한 소재로 LPM이나 PVC에 비해 질감이 떨어지고 표면경도와 방습성이 약하고 절삭시 꺼스름 문제로 가공효율저하와 코어재의 상태에 따라서 은폐력, 요철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별도의 특수처리를 하는 등 취급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코팅페이퍼는 내수성과 박리, 가공성에서 마감품질이 깨끗하지 않아 소비자 불만사항으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기존의 F/F는 인쇄원지에 함침 후 락카코팅으로 마감한 소재이며, 사전함침공법과 사후함침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은나노를 기존 AP(acryl polymer) 코팅수지와 블렌딩할 때 잘 혼합이 안되고 로고작업시 코팅면 돌출로 인한 내오염성의 문제가 발생하며 내수성,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의 기준치 미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구표면지를 프레스 작업시 로고부분이 프레스 경면판 등으로 오염되 고 페이퍼 함침 후 코팅작업시 자주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가장 환경친화적이고 다양한 패턴의 인쇄와 3차원 곡면 접착은 물론 열압성형이나 상온접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소재, 래핑이나 M/B, 오버레이공법접착, 에지재로도 활용이 동시에 가능한 소재, 접착 후 별도의 양생이 필요없고 일반적으로 표면의 경도를 얼마든지 상승시켜줄 수 있는 소재, 방염처리까지 가능하여 미래의 가구 마감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재와 동일한 질감이 있는 종이재질을 사용함으로서 천연무늬목에 가깝고 폐기물 처리시 재활용도 가능하며 소각 및 매립시 토양의 일부분으로 환원되는 친환경적 가구표면지를 제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함침공정을 통하여 코팅페이퍼가 가지고 있던 가공시 박리 및 보푸라기 현상을 해결하고 은나노 코팅으로 방충, 항균, 살충, 전자파 차단 등의 효과를 가지는 가구표면지를 제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에 얼룩 발생시에도 세척력이 뛰어나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구표면지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구표면지 제조방법은 원지를 아크릴계 수지에 함침하는 함침단계;상기 함침된 원지를 기본물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베이스 AP 코팅 단계;상기 베이스 코팅 후 50~60에서 12시간 숙성하고 케미컬 방식으로 문 양을 각인한 후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2차 코팅 단계;상기 2차 코팅 후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는 은나노를 AP코팅액에 첨가하여 은나노 코팅하는 3차 코팅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표면지는, 함침(acryl + melamine)된 종이 위에 패턴을 인쇄한 후 은나노코팅으로 마감한 표면소재 또는 함침이 안된 티탄지에 인쇄 후 함침한 다음 은나노코팅한 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표면지는 LPM의 단점인 곡면가공 및 얇은 보드류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평판용, 뒷판용, "U" profile 래핑용, membrane door 후면용, 인테리어 접착시트(sheet)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구표면지는 종이(30~80g/m2)를 수성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 후 수성아크릴을 주성분으로 소량의 멜라민이 중합된 18~33g/m2의 수지로 함침시킨 후 고온에서 건조시킨다. 그 후 1차 베이스 AP코팅한 후 50~60℃에서 12시간 숙성시키고 케미칼 방식의 문양으로 2차코팅하고 다시 은나노를 첨가한 AP코팅을 한다.
상기 원지는 수지에 함침하기 전에 또는 함침한 후에 인쇄될 수 있다.
은나노는 은을 10억분의 1미터로 나노화한 것으로 항균, 살균, 세균성 냄새제거, 정전기 방지, 전자파 차폐, 항온, 단열 등의 기능을 가진다. 기존의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들은 인체에 축적되어 나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세균의 내성을 키워주는 부작용이 있었으나 은은 천연 항균 소재로서 이러한 부작용이 없다.
은나노의 응용분야는 화장품, 섬유, 치약, 플라스틱 용기, 페인트, 음식포장제 등 각종 세균에 대한 항균 기능을 필요로 하는 생활제품에 대한 활용성이 뛰어나고 전기적 전도성 또는 원적외선 방사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자파 차폐 및 전도성 전극으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은나노 코팅이란, 은을 나노크기로 가공하여 코팅수지와 섞은 다음 그라비아 코팅으로 고온 건조시키고 50℃에서 48시간 숙성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은나노 코팅액에서 은나노의 형태는 Ag+의 이온형태가 아닌 Ag 입자 상태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powder나 colloid 상태에서도 원래의 은 입자를 그대로 유지하며, 은 입자끼리 뭉치거나 결합하여 특성이 변하는 부작용이 없다. 또한 나노크기의 은입자의 표면을 실리콘 산화물로 코팅함으로써 무기항균제의 사용시 수분과의 접촉에서 항균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표면지의 제조공정을 도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구표면지의 제조공정>
1. 원지 준비
원지로서 평량 30~80g의 티탄지(종이펄프에 티타늄을 20~40% 혼합하여 만든 원지)를 사용한다. 티타늄 혼합시에는 인쇄 패턴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시트자체의 은폐력을 향상시키며 경도를 높여 절삭력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2. 인쇄
안료를 혼합한 수성잉크로 인쇄하여 인체에 유해한 VOC와 냄새를 제거한다. 인쇄는 함침 전/후 모두 실시할 수 있다.
3. 함침
원지를 수성아크릴을 주성분으로 소량의 멜라민이 중합된 18~33g/m2의 아크릴계 수지에 함침한다. 아크릴계 수지는 HCHO, VOC가 전혀 없는 수지로서 각 층간 결합력, 절삭력, 경도를 향상시키고 열압성형도 가능한 물성으로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함침액의 아크릴:멜라민+요소의 적합한 비율을 알기 위해 다음의 실시예들로 실험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율 테스트 결과
실시예1 ("A"type 수지) 아크릴(8):멜라민+요소(2) 재단/NC가공시 재단면의 보푸라기 현상이 발생.
실시예2 ("B"type 수지) 아크릴(5):멜라민+요소(5) 재단/NC가공시 재단면의 보푸라기 현상은 해결되나 그 위에 베이스 코팅 및 문양, 은나노 코팅 작업시 원지가 자주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
실시예3 ("C"type 수지) 아크릴(6.5):멜라민+요소(3.5) 재단/NC 가공시 보푸라기 현상이 없으며 코팅작업시 원지가 끊어지지는 않음.
즉, 아크릴(6.5):멜라민요소(3.5)의 비율의 아크릴계 수지를 함침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포일의 재단/NC 가공시 보푸라기 현상이 없고 코팅작업시 끊어지는 않으며 각 층간 결합력, 절삭력, 경도를 향상시키고 열압성형도 가능한 물성으로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함침공정은 인쇄 전/후 함침도 가능하다.
4. 1차 베이스 AP코팅
상기 함침된 원지는 고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1차로 AP(acryl polymer)코팅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PU나 UV 코팅을 처리하지만 PU 코팅을 할 경우는 표면경도나 물성이 떨어지고, UV코팅은 표면경도는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코팅작업시 완전 경화되지 못하여 미경화된 monomer가 잔존하여 인체에 해로운 성분의 냄새가 방출되고 세계적으로 완전 무황변 타입이 개발되지 않아 황변의 우려가 있으므로,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AP코팅제를 사용한다.
AP(acryl polymer) 코팅액은, 96~98%의 아크릴폴리우레탄을 주원료로 한다. 주제의 주성분은 아크릴이고, 경화제로 주제의 15~20%의 우레탄용을 사용한다. 슬립(slip)제로 1~4%의 불소계수지, 실리콘 또는 왁스를 사용한다.
AP코팅액은 인쇄 원지에 잘 흡수되어 층간 박리, 황변의 문제가 없고 표면 경도가 우수하여 기존 CPR이나 F/F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1차 코팅 후에는 숙성실에서 50~60℃ 에서 12시간 숙성시킨다.
5. 2차 문양 AP코팅(케미컬 방식 문양 각인)
상기 1차 코팅 후 숙성을 거쳐 케미컬 로고 각인 AP코팅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PVC나 PP, PET, LPM, HPM 등은 시트에 별도의 로고나 문양을 표시할 때는 경면판으로 각인하거나 엠보스롤에서 처리하는 방식인데 일반적으로 CPR이나 F/F은 별도의 로고나 문양표시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P코팅시 케미컬 엠보스 방식의 로고 표시 공법을 적용하였다.
케미컬 엠보 문양 코팅시 적합한 동판의 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4 내지 6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심도를 #110으로 하고 기존의 아크릴과 폴리우레탄을 중합한 수지에 은펄 또는 베이스 색상과 명도/채도가 대비되는 안료잉크를 첨가하면 고급스러운 문양이 나타났다.
실시예 4
인쇄용 종이에 무늬목 패턴을 인쇄한 후 상기 실시예 3의 "C'type 수지로 함침한 후 아크릴과 폴리우레탄을 중합한 수지로 base코팅후 chemical embo 문양 코팅시 동판의 심도를 #90으로 작업하였다.
그 결과 문양의 선명도가 떨어져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없게 된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작되었던 동판의 심도를 #110으로 제작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한 결과 문양의 선명도는 확보되었으나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실시예 6
동판 제작은 #110으로 하고 코팅용 수지를 기존의 아크릴과 폴리우레탄을 중합한 수지에 은펄 또는 베이스 색상과 명도/채도가 대비되는 안료잉크를 첨가하면 고급스러운 문양이 나타난다.
6. 3차 은나노 AP코팅
주방에서는 각종 양념과 조리시의 냄새, 음식물찌꺼기의 부패냄새가 발생하고, 하수구나 바닥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성 물질과, 곰팡이 세균 등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2차코팅 공정 후 99.9% 이상의 항균효과와 99.9% 살균효과가 있는 은나노를 처리하여 판넬 자체에서 발생하는 잔존 유해 물질과 냄새 제거는 물론 외부에서 발생되는 부분까지도 차단, 억제, 제거할 수 있고 각종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은나노 AP코팅시 AP코팅엑에 은나노 입자는 0.3~0.4% 첨가한다.
코팅시에 유기계항균제를 첨가하여 코팅하는 경우 황변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예 7 내지 9로 행하였다.
실시예 7
기존의 수지 아크릴과 폴리우레탄을 중합한 수지에 유기계항균제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경우 항균력이 폭넓고 가격이 저렴하며 균이나 곰팡이 억제력이 강한 반면 항균지속력이 짧고 인체에 유해하며 열과 빛에 의한 황변현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실시예 8
유기계 항균제를 무기계 항균제로 대체하였으며 항균력이 반영구적이고 내열성이 좋고 인체에 독성이 거의 없으며 황변현상 또한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분과의 접촉에서 항균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8에서의 문제점인 무기항균제의 사용시 수분과의 접촉에서 항균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나노크기의 은입자 표면을 실리콘 산화물로 코팅함으로써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그 후 은나노 코팅된 제품을 50~60℃에서 48시간 숙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코팅을 총 3회를 실시하여 층간 박리, 방습성 향상, 절삭력 개선, 로고 보호, 표면경도를 높이고 코어재나 인쇄 잉크에 잔존해 있는 각종 냄새나 유해물질들을 완전 차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케미칼로고 및 항균/살균 기능을 가질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의 상기 가구표면지 제조장치를 본 발명의 가구표면지 제조공정에 따라서 설명한다.
가구표면지 제조장치는 원지를 수지에 함침하는 함침부(10);상기 함침된 원지를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1차 베이스 AP코팅부(20);상기 1차 코팅된 원지를 건조시키는 숙성부(30);상기 건조되어 숙성된 원지를 케미컬 방식으로 문양을 각인한 후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2차 문양 AP코팅부(40);상기 2차 코팅 후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는 은나노를 AP코팅액에 첨가하여 은나노 코팅하는 3차 은나노 AP코팅부(50);및 상기 3차 코팅된 원지를 건조시키는 숙성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지는 함침부(10)에서 수성아크릴을 주성분으로 소량의 멜라민이 중합된 18~33g/m2의 아크릴계 수지에 함침된다. 아크릴계 수지는 HCHO, VOC가 전혀 없는 수지로서 각 층간 결합력, 절삭력, 경도를 향상시키고 열압성형도 가능한 물성으로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함침된 인쇄종이는 상기 함침된 원지는 고온에서 건조시킨 후 1차 코팅부(20)로 이동되어 1차적으로 베이스 AP 코팅되고 숙성부(30)에서 50~60℃에서 12시간 숙성된다. PU 코팅을 할 경우는 표면경도나 물성이 떨어지고, UV코팅은 표면경도는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코팅작업시 완전 경화되지 못하여 미경화된 모노머(monomer)가 잔존하여 인체에 해로운 성분의 냄새가 방출되고 세계적으로 완전 무황변 타입이 개발되지 않아 황변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P코팅제를 사용한다.
1차 AP 코팅된 종이는 2차코팅부(40)로 이동되어서 문양이 인쇄된 후 다시 AP 코팅된다. 일반적으로 PVC나 PP, PET, LPM, HPM 등은 시트에 별도의 로고나 문양을 표시할 때는 경면판으로 각인한다든가 인쇄롤에서 처리한다든가 엠보스롤에서 처리하는 방식인데 일반적으로 CPR이나 F/F은 별도의 로로나 문양표시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AP코팅시 케미컬 엠보스 방식의 로고 표시 공법을 적용하여 문양, 로고 등을 인쇄한다. 케미컬 엠보 문양 코팅시 적합한 동판의 심도는 #110이며 기존의 아크릴과 폴리우레탄을 중합한 수지에 은펄 또는 베이스 색상과 명도/채도가 대비되는 안료잉크를 첨가하면 고급스러운 문양이 나타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차 코팅이 끝나면 3차 은나노 코팅부(50)에서 은나노 코팅이 행해지며 숙성부(60)를 통과하여 숙성된 후 최종적으로 친환경적 표면소재인 가구표면지 제품이 생산된다.
함침된 종이를 사용하고 나노실버 코팅으로 제조한 가구표면지 제품은 내수 성, 가공성,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테이프 박리성, 표면질감이 우수하다.
또한 로고 등의 문양을 3중 코팅하여 로고의 손상을 막고 내오염성을 방지하고 기존의 가구표면지 제품과 차별화시킬 수 있다.
은나노 코팅으로 항균, 살균, 세균성 냄새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환경친화적 제품으로서 또한 가구표면지 소재가 종이이므로 자투리자재 발생시 전량소각, 매립 가능하고 시공이 완료된 가구도 하드웨어류를 제거하면 재활용 가능한 PB(particle board)로도 생산가능하고 매립시 썩어서 토양의 일부분이 되므로 환경규제를 받지 않는 친환경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인체나 환경에 전혀 무해하면서 단열자재로 어떠한 형태, 어떠한 설비에서도 접착이 가능하고 별도의 양생기간이 필요없고 질감과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용도로 전환이 가능한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1. 원지를 아크릴계 수지에 함침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된 원지를 기본물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1차 베이스 AP코팅 단계;
    상기 베이스 AP 코팅한 원지를 50~60℃에서 12시간 숙성하고 케미컬 방식으로 로고 문양을 각인한 후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2차 문양 AP코팅 단계;
    상기 2차 문양 AP코팅한 원지를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는 은나노 입자를 첨가한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3차 은나노 AP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에서는 상기 원지를 수지에 함침하기 전에 또는 함침한 후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에서 수지는 아크릴과 요소가 각각 6.6: 3.5의 배합비로 중합된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 코팅시 나노크기의 은입자의 표면을 실리콘 산화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구표면지.
  6. 원지를 아크릴계 수지에 함침하는 함침부(10);
    상기 함침된 원지를 기본물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1차 베이스 AP코팅부(20);
    상기 베이스 AP 코팅한 원지를 건조시키는 숙성부(30);
    상기 건조되어 숙성된 원지를 케미컬 방식으로 문양을 각인한 후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2차 문양 AP코팅부(40);
    상기 2차 문양 AP코팅된 원지를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는 은나노 입자를 첨가한 AP코팅액으로 코팅하는 3차 은나노코팅부(50);및
    상기 3차 은나노 코팅된 원지를 건조시키는 숙성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표면지의 제조장치.
KR1020060090749A 2006-04-04 2006-09-19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KR100796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0727 2006-04-04
KR1020060030727 200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00A true KR20070099400A (ko) 2007-10-09
KR100796138B1 KR100796138B1 (ko) 2008-01-21

Family

ID=3880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749A KR100796138B1 (ko) 2006-04-04 2006-09-19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1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939B1 (ko) * 2020-07-29 2021-10-08 위캔지 주식회사 구리를 함유한 친환경 고항균성 lpm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lpm
WO2022094735A1 (es) * 2020-11-09 2022-05-12 Investigaciones Forestales Bioforest S.A. Proceso de impregnación de papel para recubrir tableros de madera con efecto antimicrobiano
KR102479010B1 (ko) 2022-06-03 2022-12-20 서우산업 주식회사 분산성과 접착성을 개선한 항균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8221A (ko) 2022-06-03 2023-12-13 서우산업 주식회사 분산성과 접착성을 개선한 항균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70Y1 (ko) * 2001-09-15 2001-12-24 오태준 다용도 전기면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939B1 (ko) * 2020-07-29 2021-10-08 위캔지 주식회사 구리를 함유한 친환경 고항균성 lpm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lpm
WO2022094735A1 (es) * 2020-11-09 2022-05-12 Investigaciones Forestales Bioforest S.A. Proceso de impregnación de papel para recubrir tableros de madera con efecto antimicrobiano
KR102479010B1 (ko) 2022-06-03 2022-12-20 서우산업 주식회사 분산성과 접착성을 개선한 항균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8221A (ko) 2022-06-03 2023-12-13 서우산업 주식회사 분산성과 접착성을 개선한 항균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138B1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1615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KR100796138B1 (ko) 가구표면지의 제조방법
CN102643562B (zh) 一种含天然玉石粉的抗菌乳胶漆及其制备方法
KR100753752B1 (ko) 은나노코팅 표면재의 제조방법
WO2016047780A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CN205272720U (zh) 一种光触媒uv生态板
KR100864572B1 (ko) 내스크래치성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7224688A (ja) 床材
KR100817231B1 (ko) 환경친화적인 조명 기구 제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따른 조명 기구 제품
JP4289527B2 (ja) 化粧材
KR102484374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을 함유하며,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성형보드
CN211922079U (zh) 一种抗菌负离子型木纹装饰纸
CN104245805B (zh) 一种生产装饰薄板的方法及其应用
RU2008133640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го элемента
KR101324874B1 (ko) 홀로그램 무늬가 형성된 보드의 제조방법
KR102384870B1 (ko) 세라믹 코팅에 의해 마모성이 강화된 친환경 표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5285A (ko) 자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와 그 제조방법
KR102484372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을 함유하며,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성형보드를 적용한 수납가구
KR101792129B1 (ko) 친환경 피니싱포일을 이용한 pet uv 포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4468B1 (ko) 내스크래치성 코팅 조성물
KR101247466B1 (ko) A-페트 시트지가 포함된 친환경 건축 자재용 합판의 uv 하이그로시 제조 방법
KR101283456B1 (ko) 한지를 포함하는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한지를 포함하는 패널.
KR200432043Y1 (ko) 전도성 인쇄 무늬지, 및 이를 포함한 전도성 멜라민 화장판
JP2006142292A (ja) タイルのコ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銀粉が表面にコートされたタイル
KR102156508B1 (ko)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