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916A - T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T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916A
KR20070098916A KR1020077018691A KR20077018691A KR20070098916A KR 20070098916 A KR20070098916 A KR 20070098916A KR 1020077018691 A KR1020077018691 A KR 1020077018691A KR 20077018691 A KR20077018691 A KR 20077018691A KR 20070098916 A KR20070098916 A KR 2007009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o
propenyl
amino
benzoic aci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렌스 스테인만
마이클 플라텐
페기 푸이-카이 호
Original Assignee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07009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 또는 그것의 길항제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TH1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8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세포 기능화, 자가면역.

Description

T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A METHOD OF MODULATING T CELL FUNCTIONING}
본 발명은 대체로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 및 그것에 유용한 제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트립토판 대사물질 또는 그것의 유도체, 예를 들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TH1 세포의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자동반응성 TH1 반응을 TH2 반응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비정상의, 원하지 않는 또는 부적합한 TH1 세포 기능, 특히 자가면역 TH1 기능, 예를 들면 다발성 경화증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저자가 언급한 문헌의 서지 상세는 상세한 설명의 끝에서 알파벳순서로 정리한다.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계가 방향이 잘못되어 실질적으로 보호해야할 하나 이상의 기관을 공격하는 질환의 군을 설명한다. 자가면역 질환의 약 75%는 여성에게서, 가장 빈번하게는 임신 기간 동안 발생한다.
면역계는 보통 몸을 방어하고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침입하는 다른 미생물 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을 제거하는 세포 및 세포 성분의 복잡한 네트워크이다. 개인이 자가면역 질환이 있는 경우, 면역계는 자신을 잘못하여 공격하고, 자신의 몸의 세포, 조직, 및 기관을 표적화한다. 표적부위에 면역계 세포 및 분자들을 모으는 것을 넓게 염증이라 지칭한다.
많은 다른 유형의 자가면역 질환이 있으며, 그것들은 각각 몸에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가면역 반응은 다발성 경화증에서 미엘린으로, 크론병에서 장으로 유도된다. 전신홍반성루푸스(루푸스)와 같은 다른 자가면역 질환에서, 영향을 받은 조직 및 기관은 질환이 있는 개체간에 다양할 수 있다. 루푸스가 있는 한 개인은 피부 및 관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편, 다른 개인은 피부, 신장 및 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면역계에 의한 어떤 조직의 손상은 1형 당뇨병에서 췌장의 인슐린 생산 세포의 파괴와 같이 영구적일 수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유발은 다양하며, 단독 또는 조합하여 작용하는 면역학적, 유전학적, 바이러스의, 약물-유도 및 호르몬 인자를 포함한다. 현재, 많은 각각의 메커니즘이 확인되었지만, 그것들이 어떻게 면역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여 이러한 비정상 반응을 유도하는 지는 어떤 상황 또는 질환 상태로부터 다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대체로 명료히 설명되지 않는다. 결국 자기 내성의 파괴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난 메커니즘은:
(1) 바이러스에 의한 체조직의 감염,
(2) 세포 표면에 어떤 약물의 결합으로 인한 변형된 자기-Ag의 발생,
(3) 박테리아성 Ag 및 자기-결정소에 일부 Ab의 교차 반응성,
(4) 몸에서 새롭게 노출된 Ag의 발생,
(5) 호르몬의 영향, 및
(6) 자신을 인식하는 면역 네트워크의 파괴
를 포함한다.
자가면역은 흔히 만성적이어서, 평생의 보살핌과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다. 현재, 일부 자가면역 질환만을 치료할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MS)은 축삭 손상 및 신경 손실과 연관된 중추신경계에서 미엘린제거 상해를 특징으로 신경학적 자가면역 질환이다. 임상적 징후는 시력손실, 외안운동 장애, 이상감각증, 감각의 손실, 허약, 언어운동장애, 경직, 운동장애 및 방광부전을 포함한다. 대게의 패턴은 재발성 발작과 이어지는 부분적 회복의 하나이지만, 급성 전격성 및 만성 진행성 형태가 또한 발생한다. 재수초 및 신경 손실은 동시에 회복될 수 있기 때문에, 자가면역 공격에 의하여 야기된 손상은 질환의 진행을 악화시킬 수 있는 영구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비정상의 면역세포 기능화를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 신규 수단을 개발할 지속적인 필요가 있다. 스테로이드 및 면역억제 기반 치료의 대안을 제공하는 치료 및/또는 예방 치료 양생법의 개발은 이들 현대 치료와 연관될 수 있는 부작용의 심각성에 비추어 고려할 때 매우 가치있는 것이다.
트립토판은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서 그것의 상대적 희소성 때문에 감염에 대한 방어에서 유일한 역할을 한다. 감염의 과정에서, 몸은 감염 개체를 굶기려는 시 도로 트립토판의 희소성을 증가시키는 트립토판 분해 효소를 유도한다[Brown, et al. 1991]. 미해결의 만성 감염에서, 트립토판 대사는 방해되어 있다. 광범위한 트립토판 결핍에 의하여 야기된 생물학적 방해는 실질적으로 인지력결핍, 신경내분비 조절장애, 및 AIDS와 연관된 면역불능, 자가면역 질환, 및 다른 만성 질환 상태 중 일부에 관여할 수 있다.
일부 조직에서 다른 효소계가 트립토판을 대사시킨다. 트립토판 동화의 1차적 부위는 트립토판 산화제가 트립토판을 산화제인 산소 분자로 대사하는 간이다. 산소는 키누레닌(KYN) 유도체를 생성하는 트립토판 분자의 5-부재 질소 함유 고리를 절단하는 데 사용된다.
약 10년 전, 트립토판 산화제는 트립토판 동화 효소로만 널리 믿어졌었다. 그 후, 일본인 연구가가 인돌 산화제라고 불리는 인돌레아민-2,3-디옥시제나제(IDO)를 발견하였다. 말초 조직 및 뇌에서, IDO는 산화제인 초과산화 음이온을 사용하는 트립토판-동화 효소이다. IDO는 더 일반적인 효소이다. 이것은 트립토판과 화학적으로 관련된 인돌이라고 불리는 넓은 부류의 화합물을 산화시키는 제한된 능력을 가진다. IDO는 간의 트립토판 산화제 효소보다 트립토판에 대하여 작은 특이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IDO 효소계에 의하여 생성된 트립토판 대사물질, 및 그것의 유도체, 예를 들면 트라닐라스트는 TH1 반응을 TH2 반응으로 변형시키는 면에서 TH1 세포의 기능화를 하향조절한다는 것이 결정되었다.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수단의 명료한 설명은 TH1 세포 면역반응, 특히 미엘린제거 상태와 같은 자가면역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제 모든 면역세포의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도록 유도한 종래의 면역억제와 연관된 부작용을 피하는 방식으로 TH1 세포 기능화를 선택적으로 하향조절하는 강력한 수단을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이어지는 청구범위 전체에서, 본문에서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용어 "포함한다"는 어떤 다른 수 또는 단계 또는 수들 또는 단계들의 군을 배제하지 않고 진술한 수 또는 단계 또는 수들 또는 단계들의 군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서지 목록 이후에 제시되는, 프로그램 PatentIn 버전 3.1을 사용하여 준비된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함유한다.
각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숫자 지표 <210>과 이어서 서열 식별자에 의하여 서열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면, <210>1, <210>2 등). 길이, 서열의 유형(DNA, 아미노산 등) 및 각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공급 개체는 숫자 지표 <211>, <212> 및 <213>에 제공된 정보로 지정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은 지표 SEQ ID NO:와 이어서 서열 식별자(예를 들면, SEQ ID NO:1, SEQ ID NO:2 등)로 확인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서열 확인자는 서열 확인자(예를 들면, <400>1, <400>2 등)를 수반하는 서열목록에서의 숫자 지표 <400>에 제공 된 정보와 서로 관련이 있다. 즉,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SEQ ID NO:1은 서열목록에서 <400>1로 지시된 서열과 서로 관련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포유동물에서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서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TH1 세포반응을 TH2 세포반응으로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과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R6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2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1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및 CO2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접합된 페닐 고리를 함께 형성하고;
R3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C1 - 4알킬, C2 - 4알케닐,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및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3
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CO2C1 - 4알킬, NH2 및 NHR12로부터 선택되고;
R6는 H, C1 - 4알킬, OH 및 C1 - 4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 - 4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옥소기를 함께 형성하거나, 또는 R7 및 R9는 결합을 형성하고;
R11은 CH(CO2H)NH2, CH(CO2C1 - 4알킬)NH2, C(O)CO2H, C(O)CO2C1- 4알킬, C(O)H, CO2H, CO2C1 - 4알킬, C(O)NH2, C(O)NHR13, CH2NH2, CH2NHC1 - 4알킬 및 CH2N(C1 - 4알킬)2로부터 선택되고;
R12는 H, C1 - 4알킬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H, C1 - 4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할로, NH2, NHC1 - 4알킬 및 N(C1 - 4알킬)2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바람직한 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3-히드록시키뉴레닌산(3-HKA), 3-히드록시안트라닐산(3-HAA), 피콜린산(PA) 또는 퀴놀린산(QA)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유도체는 화학식(Ⅱ)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4
상기 식에서, R1 및 R2의 각각은 수소원자 또는 C1-C4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 로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이거나 다른 화학결합을 함께 형성하고, 각각의 X는 히드록실기, 할로겐원자, C1-C4알킬기 또는 C1-C4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두 개의 X기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일 때, 이것들은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카르복실기는 방향족 고리의 2-, 3-, 또는 4-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는 2-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모두 수소 원자이다.
바람직하게는, R3 및 R4는 함께 화학결합을 형성한다. 불포화 결합을 가진 이 화합물은 E 또는 Z 기하이성질체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은 1 또는 2이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각 X는 할로겐, C1-C4 알킬 또는 C1-C4알콕시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X는 할로겐 및 C1-C4알콕시 중에서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n은 2이고 두 X는 특히 두 X가 메톡시일 때 C1-C4알콕시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5
화학식(II)의 화합물의 예는
2-[[3-(2-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틸페닐)-l-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트리메틸렌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트리메틸렌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메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및
2-[[3-(3,4-에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II)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트라닐라스트, TNL)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피험체의 TH1 세포반응을 TH2 세포반응으로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및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TH2 사이토카인 생산을 상향조절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가 미엘린 단백질로 유도되는 자가면역 TH1 세포기능화를 상향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피험체의 TH1 세포반응을 TH2 세포반응으로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및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TH2 사이토카인 생산을 상향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포유동물에서 억제된 TH1 세포기능화를 상향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방법은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의 길항제 또는 화학식(I) 또는 화학식(I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양태는 포유동물에서 비정상의 TH1 세포기능화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방법은 상기 TH1 기능화를 하향조절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및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추가 양태에서,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기능화를 특성으로 하는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TH1 세포반응을 TH2 세포반응으로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및 상태 하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추가 양태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가 미엘린 기초단백질로 유도되는,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 기능화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TH1 세포반응을 TH2 세포반응으로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및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TH2 사이토카인 생산을 상향조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비정상의 TH1 세포기능화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상기 TH1 세포기능화를 하향조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때 전술한 대사산물 또는 유도체 또는 전술한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것의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도 1A-1C: Trp 대사산물들에 의한 T 세포 증식의 조정
(A) Trp 대사산물들의 화학적 구조. 3-HKA, 3-히드록시-키뉴렌산; PA, 피콜린산; QA, 퀴놀린산; 3,4-DAA,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B) MBPAc1-11 TCR 트랜스젠 마우스로부터의 비장세포를 Trp 대사산물들 PA, QA, 3-HKA, 3-HAA, 3,4-DAA(200μM씩)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MBPAc1-11(5㎍/ml)로 자극하였다. 증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48시간 후에 세포를 18시간 동안 3H-티미딘으로 펄싱하였다. 데이터는 3회 반복한 것의 분 당 평균 횟수(cpm)와 표준오차 평균(SEM)으로 표시하며, 4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p<0.05, ***p<0.001.
(C) MBPAc1-11 TCR 트랜스젠 마우스로부터의 비장세포를 200μM(IL-2, IFN- γ, TNF-α, IL-6 및 IL-12/23 p40) 또는 30μM(IL-4, IL-10)씩의 Trp 대사산물들 PA, QA, 3-HKA, 3-HAA, 3,4-DAA의 존재하에 또는 이것들 없이 MBPAc1-11(0.5-2.5㎍/ml)로 활성화하였다. 시토카인 방출을 48시간(IL-2, IL-6, IL-12/23 p40), 72시간(IFN-γ, TNF-α) 또는 120시간(IL-4, IL-10) 후에 ELISA(OptEIA 시토카인 세트, BD Pharminge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히트맵으로 표시한다.
도 2A-2G: 3,4-DAA에 의해 조정된 APC 및 T 세포 기능의 메커니즘.
(A, B) MBPAc1-11 TCR 트랜스젠 마우스(n=3, 군 당)에게 5일간 3,4-DAA를 주었다(500mg/kg/d).
(A) 비히클(Na-CMC)-치료(빈 막대) 또는 3,4-DAA-치료(채워진 막대)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모집하여 MBPAc1-11(5㎍/ml) 또는 ConA(2㎍/ml)로 시험관내 자극하였다. 증식 및 시토카인 분석을 도 1과 같이 수행하였다. 3회 반복한 것의 평균값과 SEM이 주어지며, 2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데이터이다. *p<0.05, **p<0.01.
(B) 모집한 비장세포를 유동세포계수기를 이용하여 CD11b 및 II형 MHC(I-As)의 세포 표면 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오른쪽 패널은 항-MHCII로 염색된 CD11b+ 단핵세포의 히스토그램이다. 수치들은 II+ 형 MHC CD11b+ 세포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것이다.
(C-G) EOC20 세포를 배지만에서, 비히클(DMSO) 또는 나타낸 농도의 3,4-DAA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IFN-γ(200U/ml) 및/또는 LPS(200 ng/ml)로 자극하였다.
(C) II형 MHC(I-Ak), CD40, CD80 및 CD86의 세포 표면 발현을 유동세포계수 기를 이용하여 48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히스토그램은 3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것이며, 수치들은 평균 형광지수를 나타낸다.
(D) 24시간 후에 RNA를 추출하여 역 번역하였다. CIITA cDNA 발현을 실시간 PCR을 이용하여 반 정량하였다. 수치들은 3회 반복한 것의 수의적 발현 수준의 평균과 β-액틴의 발현에 대해 정규화된 SEM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것이다. *p <0.05.
(E) 비-자극(다이아몬드), IFN-γ-자극(원) 또는 IFN-γ- 및 LPS-자극 세포의 아질산염 방출을 Griess 분석법을 이용하여 48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수치들은 3회 반복한 것의 평균 아질산염 농도와 SEM으로서, 이것은 3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것이다.
(F) 24시간 후에 RNA를 추출하여 역 번역하였다. iNOS cDNA 발현을 실시간 PCR을 이용하여 반 정량하였다. 비-자극(빈 막대) 및 IFN-γ-자극(채워진 막대)에 대한 수치들은 3회 반복한 것의 수의적 발현 수준의 평균과 β-액틴의 발현에 대해 정규화된 SEM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2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것이다.
(G) 인-특이적 STAT1α 항체를 이용한 IFN-γ 자극 15분 후 추출한 전체 세포 단백질에 대한 웨스턴 블랏 분석. 비-인-특이적 STAT1α 항체로 막을 다시 프로브하여 동등한 로딩량을 확보하였다.
도 3A-3D: 3,4-DAA는 확립된 EAE를 개선한다.
(A-D) 7-8주령 암컷 SJ/L 마우스를 PLP139-151로 면역화하였다. 16일째 치료를 개시하였으며, 1일 2회의 경구 위관영양법을 이용한다.
(A) 비히클-치료된 마우스(빈 다이아몬드) 및 100mg/kg/d(회색 원) 또는 300 mg/kg/d(검은색 원)의 3,4-DAA로 치료된 마우스의 임상점수를 매일 평가했다(0, 증상 없음; 1, 꼬리 처짐; 2, 부분적인 뒷다리 부전마비; 3, 뒷다리 마비; 4, 사지마비; 5, 사망 직전 또는 사망). 데이터는 평균 점수(n=9, 비히클 및 300mg/kg/d; n=10, 100mg/kg/day)와 SEM을 나타낸다.
(B) 면역화 60일 후 분리된 비히클-치료(n=6) 또는 3,4-DAA-치료(n=7, 100mg /kg/d; n=6, 300mg/kg/d) 마우스로부터 모집한 비장세포의 유동세포계수 분석. 수치들은 이중 양성 세포를 나타낸다.
(C) 비히클-치료(n=6, 빈 막대) 또는 3,4-DAA-치료(n=7, 100mg/kg/d, 회색막대; n=6, 300mg/kg/d, 검은색 막대)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60일 후 분리, 모집하여 PLP139-151(20㎍/ml)로 시험관내 자극하였다. 도 3과 같이 증식을 평가했는데, 단 세포는 배양 72시간 후에 펄싱하였다. 도 3과 같이 시토카인을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3회 반복한 것의 평균값과 SEM을 나타낸다. *p<0.05, **p<0.01.
(D) 면역화 60일 후 뇌와 척수를 추출했다. 비히클-치료(n=3, 빈 막대) 및 3,4-DAA-치료(n=3, 100mg/kg/d, 검은색 막대) 마우스로부터 무작위 선택한 뇌의 염증성 세포를 침윤시켜 이 치료에 대해 알지 못하는 신경병리학자에게 계수하게 하였다. 데이터는 염증성 병터의 평균 수와 SEM을 나타낸다. *p<0.05.
도 4A-4B: 3,4-DAA는 EAE에서 CNS 항원-제시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A) 7-8주령 암컷 SJ/L 마우스를 치료 개시 2일 후에 PLP139-151로 면역화하 였다. 뇌 또는 척수를 II형 MHC(I-Ak), CD40, CD80, CD86 및 iNOS로 염색하였다.
(B) 7-8주령 암컷 SJ/L 마우스를 PLP139-151로 면역화하였다. 16일째 치료를 개시하였으며, 1일 2회의 경구 위관영양법을 이용한다. 나이브 동물을 대조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면역화 60일 후 척수에서 RNA를 분리하였다(n=3). 역 전사 후, 나타낸 전사체들의 cDNA 발현을 실시간 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치들은 3회 반복한 것의 수의적 발현 수준의 평균과 β-액틴의 발현에 대해 정규화된 SEM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3회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것이다. *P<0.05, **p<0.01.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들 및 그 유도체가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한다는 놀라운 측정결과를 부분적으로 말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TH1 시토카인 방출이 하향-조절되는 것과 동시에 TH2 시토카인의 생성은 상향-조절된다. 이 결과 TH 세포 반응이 TH1 반응에서 TH2 반응으로 반드시 기울어져, 이로써 어떤 더 이상의 TH1 반응성이 억제된다. 이런 발견으로 인해 이제는 자가면역 TH1 세포 기능화와 같은 비정상적 TH1 세포 기능화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치료학적으로 또는 예방학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수단의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상태의 예는 다발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미엘린탈락병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포유동물에서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 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유효량을, TH1 세포 반응을 TH2 세포 반응으로 기울게 하는데 충분한 조건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이란 말은 IDO 효소 시스템에 의한 트립토판의 대사에 따라서 생기는 어떤 분자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사산물들의 예는 3-히드록시키뉴렌산(3-HKA), 3-히드록시안트라닐산(3-HAA), 피콜린산(PA), 및 퀴놀린산(QA)을 포함하나, 이것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트라닐라스트(tranilast)와 같은,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유도체의 용도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트라닐라스트, TNL)는 본래 비만세포 탈과립의 억제제로서 확인된 항알러지제이다(Zampini P. 등, 1983). 본 발명에 따르면, 3-HAA의 합성 유도체인 이 분자는 자가면역 TH1 반응을 TH2 반응으로 기울게 하는 기능을 하며, 이로써 TH1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6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R6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7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1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및 CO2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과 R2가 함께 선택적으로 치환된 융합 페닐 고리를 형성하고;
R3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C1 - 4알킬, C2 - 4알케닐,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및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8
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CO2C1 - 4알킬, NH2 및 NHR12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C1 - 4알킬, OH 및 C1 - 4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 - 4알킬이거나, 또는 R7과 R8이 함께 옥소 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R7과 R9가 결합을 형성하고;
R11은 CH(CO2H)NH2, CH(CO2C1 - 4알킬)NH2, C(O)CO2H, C(O)CO2C1- 4알킬, C(O)H, CO2H, CO2C1 - 4알킬, C(O)NH2, C(O)NHR13, CH2NH2, CH2NHC1 - 4알킬 및 CH2N(C1 - 4알킬)2로부터 선택되고;
R12는 H, C1 - 4알킬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R13은 H, C1 - 4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며, 여기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할로, NH2, NHC1 - 4알킬 및 N(C1 - 4알킬)2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3-HKA, 3-HAA, PA 또는 QA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유도체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09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 -C4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이거나, 또는 함께 다른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고,
각 X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기, 할로겐 원자, C1-C4알킬 기 또는 C1-C4알콕시 기로부터 선택되거나, 2개의 X 기가 알킬 또는 알콕시 기일 때, 이것들은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카르복실 기가 방향족 고리의 2-, 3- 또는 3-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르복실 기는 2-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R1과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R1과 R2가 모두 수소 원자이다.
바람직하게는, R3과 R4가 함께 화학적 결합을 형성한다. 불포화 결합을 갖는 이러한 화합물은 E 또는 Z 기하 이성질체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n은 1 또는 2이고, 각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할로겐, C1-C4 알킬 또는 C1-C4알콕시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X는 할로겐 및 C1-C4알콕시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 n은 2이고, X는 모두 C1-C4알콕시로부터 선택되며, 특히 이때 X는 모두 메톡시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의 화학식 III을 갖는 것들이다: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0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예들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2-[[3-(2-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톡시)-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트리메틸렌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트리메틸렌페닐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메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및
2-[[3-(3,4-에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III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트라닐라스트, TNL)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C1-C4알킬"은 1 내지 4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을 말한다. 이러한 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C2-C4알케닐"은 2 내지 4개 탄소 원자와 1개 또는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을 말한다. 이러한 기의 예는 비닐, 프로페닐, 부테닐 및 부타디에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C1-C4알콕시"는 1 내지 4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로 치환된 히드록시 기를 말한다. 이러한 기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sec-부톡시 및 tert-부톡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 원자를 말한다.
적합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의 염들,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붕산, 술팜산, 및 브롬화수소산의 염, 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산의 염들,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히드록시말레산, 푸마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락트산, 뮤식산, 글루콘산, 벤조산, 숙신산, 옥살산, 페닐아세트산, 메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살리실산, 술파닐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에데트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라우르산, 판토텐탄, 탄닌산, 아스코르브산 및 발레르산의 염을 포함한다.
염기성 염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 및 알킬암모늄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들을 포함한다.
염기성 질소-함유 기는 저급 알킬 할로겐화물,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염화물, 브롬화물 및 요오드화물; 디메틸 및 디에틸 디알킬 황산염과 같은 디알킬 황산염류; 등과 같은 제제를 사용하여 4차화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본원에 참고자료 로서 포함된 US 3,940,422를 참조한다.
또한, 화학식 I의 어떤 화합물은 비대칭 중심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하나 이상의 입체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이 인정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이성질체 형태의 화합물, 예를 들어 약 90% ee 이상, 예를 들어 약 95% 또는 97% ee 또는 99% ee 이상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그것의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키랄 중간체를 이용한 비대칭 합성에 의해서, 또는 키랄 분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어떤 한 이론이나 작용방식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경구 활성 항알러지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명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또는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트라닐라스트"라고도 한다. 또한, 화학식은 C18H17NO5이고, 상표명은 Rizaben이다.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1
"TH1 세포" 또는 "TH2 세포"라는 말은 DC4와 함께 T 세포 수용체를 발현하고 체액성 면역반응 또는 세포-매개 면역/염증에 대한 작동세포의 유도인자로서 작용하는 면역세포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한 이론이나 작용방식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세포는 항원-제시 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된 II형 MHC 분자의 주위에 존재하는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TH1 세포는, 특히 IL-2, IFN-γ, 및 TNF-α를 생성하고, 세포 매개/염증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TH 세포로서 기능적으로 정의된다. TH2 세포는, 특히 IL-4, IL-5, 및 IL-1O을 생성하고, 체액성 반응을 매개하는 TH 세포로서 기능적으로 정의된다. 이들 TH 하위부류 간에는 교차-억제가 일어나는데, 즉 어떤 한 하위부류의 특징을 갖는 시토카인의 생성은 그 하위부류의 TH 세포의 확장 및 기능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다른 하위부류의 기능화는 하향-조절한다.
본 발명을 어떤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발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서, TH1-분화 자가반응 CD4+ 세포는 염증 과정을 추진시킨다. 사실, 치료학적 접근법은 미엘린-특이적 자가면역 TH 세포의 시토카인 프로파일을, 예를 들어 변경된 펩티드 리간드(APL),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스타틴류") 또는 IL-4의 유전자 송달과 조합된 DNA 백신접종의 사용에 의해 TH1에서 TH2로 기울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들은 다발경화증의 동물 모델에서 성공적이었다(Brocke, S 등, Nature 379, 343-6, 1996; Garren, H. 등, Immunity 15, 15-22, 2001; Youssef, S. 등, Nature 420, 78-84, 2002). 더욱이, 다발경화증에 대해 현재 승인된 치료제는 다발경화증을 가진 환자의 시토카인 프로파일에서 TH2 이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Steinman, L., Science 305, 212-6, 2004). 또한, "T 세포"라는 말은 T 세포 돌연변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돌연변이"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전적으로 변형된 세포와 같은, 자연적으로 또는 비-자역적으로 변형된 T 세포를 포함한다. 또한, "T 세포"란 말은 T 세포 이미지에 귀속하여 나타나는 세포들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세포는 발생의 어떤 분화 단계에서 있을 수 있다.
TH1 "기능화"란 말은 발생의 어떤 분화 단계에서 TH1 세포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적 활성 중 어떤 하나 이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TH1 증식, 분화 및/또는 시토카인 생성을 포함한다. 또한, 하위부류의 교차-억제로 인해 TH1 기능화를 효과적으로 하향-조절하는 TH2 기능화의 상향-조절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TH1 기능화는 TH2 시토카인 생성의 상향-조절로 인해 하향-조절된다.
이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유효량을, 당해 TH1 세포 반응을 TH2 세포 반응으로 기울게 하는데 충분한 조건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 하며, 이때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는 TH2 시토카인 생성을 상향-조절한다.
당해 TH1 세포가 "자가면역" 세포라는 말은 상기 TH1 세포의 T 세포 수용체 (TCR)가 자기-항원을 내보낸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TH1 세포 TCR은 유일하게 배타적으로 자기-항원을 내보낼 수도 있고, 비-자기-항원을 내보내면서 자기-항원과의 교차-반응성을 나타낼 수도 있고, 또는 자기-항원을 내보내면서 비-자기-항원과의 교차-반응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어떤 한 이론이나 작용방식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항원에 의한 T 세포 작동 기능의 활성화 및 유도는 자가면역반응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자가항원은 미엘린 단백질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이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TH1 세포가 미엘린 단백질에 관련되는 자가면역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유효량을, 당해 TH1 세포 반응을 TH2 세포 반응으로 기울게 하는데 충분한 조건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는 TH2 시토카인 생성을 상향-조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엘린 단백질은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2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R6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3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1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및 CO2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과 R2가 함께 선택적으로 치환된 융합 페닐 고리를 형성하고;
R3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C1 - 4알킬, C2 - 4알케닐,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및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4
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CO2C1 - 4알킬, NH2 및 NHR12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C1 - 4알킬, OH 및 C1 - 4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 - 4알킬이거나, 또는 R7과 R8이 함께 옥소 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R7과 R9가 결합을 형성하고;
R11은 CH(CO2H)NH2, CH(CO2C1 - 4알킬)NH2, C(O)CO2H, C(O)CO2C1- 4알킬, C(O)H, CO2H, CO2C1 - 4알킬, C(O)NH2, C(O)NHR13, CH2NH2, CH2NHC1 - 4알킬 및 CH2N(C1 - 4알킬)2로부터 선택되고;
R12는 H, C1 - 4알킬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R13은 H, C1 - 4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며, 여기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할로, NH2, NHC1 - 4알킬 및 N(C1 - 4알킬)2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3-HKA, 3-HAA, PA 또는 QA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유도체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 -C4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이거나, 또는 함께 다른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고,
각 X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실 기, 할로겐 원자, C1-C4알킬 기 또는 C1-C4알콕시 기로부터 선택되거나, 2개의 X 기가 알킬 또는 알콕시 기일 때, 이것들은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조절되는 TH1 세포는 포유동물에 국소화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당해 방법은 생체내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당해 세포가 분리 여부에 관계없이 세포 또는 조직의 군 중 하나일 경우, 당해 방법은 그 군 또는 그 군의 TH1 세포의 바로 하위군에 있는 모든 TH1 세포의 기능화를 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포유동물의 생물학적 기능화의 조절에 관하여, 당해 조절은 전신 적으로든 국소적 방식으로든 TH1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것과 관련하여 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된 수단에 관계없이, TH1 세포 기능화의 변화에 대한 세포적 영향이 관련된 환경에 있는 모든 세포 또는 바로 하위군의 세포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다.
TH1 세포의 기능적 활성을 "하향-조절하는"이란 말은 상기 활성의 하나 이상의 양태의 예방, 감소(예를 들어, 지체) 또는 억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상향-조절하는"이란 말은 반대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사람, 유인원, 가축(예를 들어, 양, 돼지, 소, 말, 당나귀), 실험실 시험용 동물(예를 들어, 마우스, 토끼, 래트, 기니피그), 반려동물(예를 들어, 개, 고양이) 및 사로잡힌 야생동물(예를 들어, 여우, 캥거루, 사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은 사람 또는 실험실 시험용 동물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은 사람이다.
바람직한 방법은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또한 어떤 환경에서는 이 활성의 상향-조절을 유도하는 것에 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조건에서, 앞서 정의된 화학식 I의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의 투여는 적합한 전신적 치료요법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요법의 부작용은 어떤 세포 군 또는 어떤 조직 부위에서의 TH1 세포 기능화의 원치않는 하향-조절일 수 있다. 화학식 I의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의 투여를 중지함으로써 이런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이 분자의 길항제를 (예를 들어, 부위에 직접 투여하는 방식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화학식 I의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을 사용한 치료요법은, 포유동물에 도입되었지만 그 기능적 활성의 지체 또는 중단이 필요하게 된 화합물의 기능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이들 분자의 길항제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억제된 TH1 세포 기능화"란 말은 포유동물의 TH1 세포 기능화의 적어도 일부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당해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효과로 인해 억제된, 지체된 또는 지연된 기능화를 나타낸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포유동물에서 억제된 TH1 세포 기능화를 상향-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길항제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길항제"라는 말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대사산물 또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세포 기능화 억제 활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억제, 지연 또는 하향-조절하는 어떤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 분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길항제의 확인은 당업자게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이상의 양태는 질환 상태 또는 다른 원치않는 상태 또는 이러 한 상태의 개시에 대한 소인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관련한 본 발명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가면역 TH1 반응성과 같은 비정상적 또는 원치않는 TH1 세포 기능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상태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어떤 이론이나 작용방식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치료될 수 있는 상태는 TH1-매개 자가면역 상태들을 포함하나, 이것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태는 중추신경계나 주변부의 자가면역 미엘린탈락병, 예를 들어 다발경화증, 급성 염증성 다발신경근병증(acute inflammatory polyradiculopathy)(귈레인바레 증후군), 다발신경근병증(polyradiculoneuropathy) 또는 만성 염증성 미엘린탈락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포유동물에서 비정상적 TH1 세포 기능화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TH1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데 충분한 조건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포유동물에서 자기 면역성 TH1 세포 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TH1 세포 반응을 TH2 세포 반응으로 왜곡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 및 조건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는 TH2 시토킨 생산을 상향 조절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기 면역성 TH1 세포는 미엘린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엘린 단백질은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포유동물에서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에 관한 자기 면역성 TH1 세포 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TH1 세포 반응을 TH2 세포 반응으로 왜곡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 및 조건에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 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는 TH2 시토킨 생산을 상향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병은 중추신경계 또는 말초신경계의 자기 면역성 말이집탈락병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초신경의 말이집탈락병은 급성 염증성 다발근병증, 다발신경근병증 또는 급성 염증성 말이집탈락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6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R6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7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1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및 CO2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접합된 페닐 고리를 함께 형성하고;
R3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C1 - 4알킬, C2 - 4알켄일,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및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8
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CO2C1 - 4알킬, NH2 및 NHR12로부터 선택되고;
R6는 H, C1 - 4알킬, OH 및 C1 - 4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 - 4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옥소기를 함께 형성하거나, 또는 R7 및 R9는 결합을 형성하고;
R11은 CH(CO2H)NH2, CH(CO2C1 - 4알킬)NH2, C(O)CO2H, C(O)CO2C1- 4알킬, C(O)H, CO2H, CO2C1 - 4알킬, C(O)NH2, C(O)NHR13, CH2NH2, CH2NHC1 - 4알킬 및 CH2N(C1 - 4알킬)2로부터 선택되고;
R12는 H, C1 - 4알킬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H, C1 - 4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할로, NH2, NHC1 - 4알킬 및 N(C1 - 4알킬)2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3-HKA, 3-HAA, PA 또는 QA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유도체는 화학식(Ⅱ)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19
상기 식에서, R1 및 R2의 각각은 수소원자 또는 C1-C4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이거나 다른 화학결합을 함께 형성하고, 각각의 X는 히드록실기, 할로겐원자, C1-C4알킬기 또는 C1-C4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두 개의 X기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일 때, 이것들은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I), 화학식(Ⅱ) 또는 이것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대사산물, 유도체 및 화합물은 또한 다른 치료 요법, 예를 들어, 자기 면역성 질병이 치료되는 정도의 면역 억제성 또는 항-염증성 치료 계획과 함께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효량"은 소망하는 반응을 얻거나, 또는 발병의 지연 또는 진행의 억제 또는 치료되는 특정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을 완전히 정지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필요한 양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치료될 개체의 건강 및 육체적 상태, 치료될 개체의 분류학상의 군, 소망하는 보호의 정도, 조성물의 제제, 의료상황의 평가, 및 다른 관련된 요소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유효량은 일상적인 실험을 통하 여 결정될 수 있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본문의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언급은 그것의 가장 넓은 문맥상의 의미로 이해될 것이다. "치료"라는 용어는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대상이 치료되는 것은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예방"은 대상이 마지막까지 질환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치료 및 예방은 특정 질병의 증상의 개선 또는 방지, 또는 특징 질병의 발달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발성 경화증의 문맥상의 의미는, 예들 들어, 일부 신경 영역의 염증의 개선 또는 방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신경 영역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대상 화합물이 모든 병에 걸린 조직이 아니라 일부의 병에 걸린 조직에 국부적으로 투여되는 곳에 나타날 수 있다. "예방"이란 용어는 특정 질병의 고통 및 발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치료"는 또는 존재하는 질병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화학식(I), 화학식(Ⅱ) 또는 이것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화합물 또는 그 길항제(본문에서 "조절제"라 한다)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의 투여는 임의의 편리한 수단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조절제는 개별적인 상황에 의존하는 양으로 투여될 때 치료상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인간 및 동물 및 선택되는 조절제에 따라 변화가 있다. 넓은 범위의 투여량이 적용될 수 있다. 환자를 고려하면, 1일에 체중의 킬로그램당 약 0.1mg 내지 1mg의 조절제가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계획은 최적의 치료상의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번으로 나누어진 투여량이 매일, 매주, 매달 또는 다른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투여량이 해당 상황의 조건이 지시한 대로 비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조절제는 경구, 정맥내(수용성인 경우), 복막내, 근육내, 피하, 피내 또는 좌약 루트 또는 이식(예를 들어, 점진적 배출 분자를 사용함)과 같은 편리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조절제는 산첨가 염 또는 금속 착물, 예를 들어, 아연, 철 등(본 출원의 목적을 위한 염으로 고려되는 것)의 금속 착물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산첨가 염의 예는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인산염, 말레산염, 아세트산염, 시트르산염, 벤조산염, 숙신산염, 말레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타르트르산염 등이다. 활성 성분이 정제 형태로 투여된다면, 정제는 트래거캔스 고무,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알긴산과 같은 붕해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조절제는 임의의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 분자와 연결, 결합 또는 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절제는 국부에 약물 표적화를 허용하는 분자와 연합될 수 있다.
투여 루트는,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호흡기, 기관내, 코인두, 정맥내, 복막내, 머리내, 피내, 근육내, 안구내, 경막내, 뇌내, 코내, 주입, 경구, 직장, IV 점적을 통하여, 패치 및 이식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약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분자와 함께 공동투여될 수 있다. "공동투여"란 동일한 또는 다른 루트를 통하여 동일한 제제 또는 두 개의 다른 제제로의 동시 투여 또는 동일한 또는 다른 루트에 의한 순차적 투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상 약물은 그것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작용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순차적" 투여란 두 번의 분자의 투여 사이의 초, 분, 시간 또는 일의 시간 차이를 의미한다. 이들 분자는 임의의 순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비정상의 TH1 세포 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생산에서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화합물의 투여는 상기 TH1 세포 작용을 하향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병은 자기 면역성 질병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엘린 단백질에 관한 면역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면역성 질병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병은 CNS 또는 말초신경계의 자기 면역성 말이집탈락병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생산에서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 유도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0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R6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1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1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및 CO2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접합된 페닐 고리를 함께 형성하고;
R3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C1 - 4알킬, C2 - 4알켄일,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및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2
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CO2C1 - 4알킬, NH2 및 NHR12로부터 선택되고;
R6는 H, C1 - 4알킬, OH 및 C1 - 4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 - 4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옥소기를 함께 형성하거나, 또는 R7 및 R9는 결합을 형성하고;
R11은 CH(CO2H)NH2, CH(CO2C1 - 4알킬)NH2, C(O)CO2H, C(O)CO2C1- 4알킬, C(O)H, CO2H, CO2C1 - 4알킬, C(O)NH2, C(O)NHR13, CH2NH2, CH2NHC1 - 4알킬 및 CH2N(C1 - 4알킬)2로부터 선택되고;
R12는 H, C1 - 4알킬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H, C1 - 4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할로, NH2, NHC1 - 4알킬 및 N(C1 - 4알킬)2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3-HKA, 3-HAA, PA 또는 QA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유도체는 화학식(Ⅱ)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3
상기 식에서, R1 및 R2의 각각은 수소원자 또는 C1-C4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이거나 다른 화학결합을 함께 형성하고, 각각의 X는 히드록실기, 할로겐원자, C1-C4알킬기 또는 C1-C4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두 개의 X기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일 때, 이것들은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본 발명은 대상 대사산물만 또는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앞에서 정의된 그것의 길항제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대상산물의 투여를 계획한다. 상기 약물은 활성 성분이라 한다.
주사가능한 용도로 적합한 약제학적 형태는 무균의 수용액(수용성의 경우) 또는 분산 및 무균의 주사가능한 용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무균의 가루 또는 분산을 포함하거나, 또는 크림의 형태 또는 국부 적용에 적합한 다른 형태로 될 수 있다. 그것은 생산 및 저장의 환경하에서 안정적이어야 하고, 박테리아 및 균류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항하여 보존되어야 한다. 담체는 용매 또는 분산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레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것들의 적당한 혼합물 및 식물성 기름을 함유하는 분산매가 될 수 있다. 적당한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코팅제의 이용에 의해, 분산의 경우에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미생물의 활동의 방지는 다양한 항균성 및 항진균성 약물,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메로살 등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등장제, 예를 들어, 당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가능한 조성물의 연장된 흡수는 흡수를 연장하는 약물,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의 조성물로의 사용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무균의 주사가능한 용액은 활성 화합물을 적절한 용매에 요구되는 양으로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위에서 나열한 다른 다양한 성분들과 함께 혼입하여 제조되고, 이어서 여과 살균된다. 일반적으로, 분산은 다양한 살균된 활성 성분을 기본적인 분산 매체 및 위에서 열거된 것들로부터 요구되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무균의 매개물에 혼입함으로써 제조된다. 무균의 주사가능한 용액의 제조를 위한 무균의 가루의 경우에, 제조의 바람직한 방법은 진공 건조 및 냉동 건조 기술이고, 이 기술은 이전의 무균 여과 용액으로부터 임의의 추가적인 소망하는 성분에 더하여 활성 성분의 가루를 산출한다.
활성 성분이 적절하게 보호될 때,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비활성 희석제와 함께 또는 동화가능한 식용 담체와 함께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딱딱 하거나 연한 젤라틴 캡슐로 둘러싸여질 수 있거나, 또는 정제로 압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음식물에 직접 혼입될 수 있다. 경구적인 치료상의 투여를 위하여, 활성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될 수 있으며, 섭취가능한 정제, 구강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 및 제제는 활성 물질의 무게당 적어도 1%를 함유하여야 한다. 조성물 및 제제의 백분율은, 물론 변화될 수 있으며, 알맞게는 한단위의 무게의 약 5 내지 약 80% 사이가 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의 경우, 그러한 치료적으로 유용한 조성물에서 활성 화합물의 양이 얻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 또는 제제는 경구 투여의 단위 형태가 활성 화합물의 약 0.1μg과 2000mg 사이를 함유한다.
정제, 트로키, 알약, 캡슐 등은 또한 아래의 열거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검,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겹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재;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 등과 같은 붕해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및 수크로스, 락토스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가 첨가될 수 있거나, 박하, 노루발풀의 기름 또는 체리 향과 같은 향신제가 첨가될 수 있다. 투여 단위 형태가 캡술일 때, 그것은 상기 종료의 물질에 더하여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물질이 코팅제로 존재할 수 있거나, 아니면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알약 또는 캡슐이 셸락, 당 또는 둘 모두로 코팅될 수 있다. 시럽 또는 엘릭시르는 활성 화합물, 감미제로서 수크로스, 방부제로서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염료 및 체리 또는 오랜지 향과 같은 향신제를 함유할 수 있다. 물론, 어떠한 투여 단위 형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어떠한 물질도 약제학적으로 순수하고 사용되는 양에서 실질적으로 무독성이어야 한다. 추가로, 상기 화합물은 서방성 조제약 및 제제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때,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대사산물 또는 유도체 또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이것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TH 세포 반응을 하위 분류로 왜곡하는 것에 근거한 TH2 작용을 상향 조절하는 방법에까지 확장된다. 이것은 본문에 토의된 방법에 따라 달성되며, 여기에서 TH1 반응을 왜곡하는 것에 관한 개시된 방법론의 적용은 본질적으로 TH1 반응의 하향 조절 및 TH2 반응의 동시의 상향 조절을 모두 달성할 것이다. TH2 반응이 체액의 반응을 보조하기 때문에, TH2 반응의 상향 조절은 그러한 면역 반응 결과의 유도로부터 이익을 얻는, 치료상 및/또는 예방상 계획의 합리적인 설계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채워진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팩 또는 키트를 제공한다. 그러한 용기와 관련하여, 약품 또는 생물학적 제품의 생산, 사용 또는 판매를 조절하는 정부 기관에 의해 규정된 형태의 통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통지는 인간 투여에 대한 생산, 사용 또는 판매의 대행에 대한 허가를 반영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의 완전한 개시 및 기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며, 발명자가 그들의 발명으로 생각하는 범 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의도한 것이 아니며, 또한 아래의 실험은 수행된 모둔 실험 또는 단 하나의 실험이라는 것을 나타내려고 의도한 것도 아니다. 사용된 수치(예를 들어, 양, 온도 등)에 대하여 정확성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노력한 것이지만, 일부 실험적인 오류 및 편차가 고려되어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지시되지 않는다면, 부분은 질량부이고, 분자량은 중량평균 분자량이고, 혼도는 섭씨온도이고, 압력은 대기압 또는 그 부근이다.
각각의 개별 출판물 또는 특허 출원서가 명확하게 그리고 개별적으로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내어 진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출판물 및 특허 출원서는 본문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바람직한 양식을 포함하도록 본 발명자에 의하여 발견되고 제안된 특정한 실시예로서 기재되었다. 본 개시에 비추어 보면, 다수의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의도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예시되는 특정 구체예에 생길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코돈 중복 때문에, 단백질 서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초를 이루는 DNA 서열에 변경이 생길 수 있다. 더욱이, 생물학적 작용의 등가적인 참작 때문에, 종류 또는 양에서의 생물학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백질 구조에 변경이 생길 수 있다. 그러한 모든 변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어떠한 선행 기술에 대한 인용도 선행기술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일반적인 상식의 부분을 형성한다는 지식 또는 어떠한 형태의 제안으로도 고려되지 않으며,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제안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더욱 한정된다.
3,4- DAA , 경구 활성 합성 TRP 대사산물로의 , 확립된 자가면역 신경염증( autoimmune neuroinflammation )의 치료
[결과]
APL로 처리된 T 세포에서 분화 조절된 유전자 전사체를 동정하였다. 따라서,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myelin basic protein;MBP) 펩티드 Ac1-11에 특이적인 트랜스제닉 TCR를 갖는 마우스로부터 T 세포주를 얻은 후, 유전자 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변형된 펩티드 리간드 Ac1-11[4Y]는, 원래의 펩티드보다 더 큰 결합력으로,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II형 I-Au에 결합한다. Ac1-11는 우선 TH1 반응을 유도하는 반면, Ac1-11[4Y]는 TH2 반응을 유도한다(Pearson et al, J Exp Med. 185:583- 99, 1997). 마이크로 어레이 분석결과, 인돌아민-2,3-디옥시게나제(IDO)에 대한 전사체가, Ac1-11[4Y]-활성화 T 세포에서 48시간 이후에, Ac1-11-활성화 T 세포에 비하여 70배 이상 상향조절되었다.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4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5
IDO에 의해 생긴 Trp 대사물은, 3-히드록시카이누레닉산(3-Hydroxykynurenic acid;3-HKA), 3-히드록시안트라닐릭산(3-Hydroxyanthranilic acid;3-HAA), 피콜리닉산(picolinic acid;PA) 및 퀴놀리닉산(quinolinic acid;QA)을 포함한다(R. Schwarcz, Curr. Opin. Pharmacol. 4:12-7, 2004). 카이누레닌이, 미엘린 특이 T 세포의 활성화에 어떠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시험하기 위하여,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MBP) 펩티드 Ac1-11에 특이적인 트랜스제닉 TCR를 갖는 B10.PL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splenocyte)를, MBP Ac1-11와 Trp 대사물인 PA, QA, 3-HAA, 3-HKA 및 3,4-DAA 합성유도체의 조합물로 자극하였다. 3,4-DAA는, 3-HKA와 3-HAA와 함께 안트라닐릭산 코어를 공유하며(도 1A), 인간에 있어서 바람직한 약동학(pharmacokinetics)을 나타내는, 경구 활성 화합물이다(Isaji et ah, Cardiovascular Drug Reviews, 16:288-299, 1998). 3-HAA, 3-HKA 및 3,4-DAA에 의한, MBPAc1-11 TCR 트랜스제닉 CD4+ 세포의 항원-특이 증식의 용량 의존성(dose-dependent) 억제가 있었다(도 1B). 3,4-DAA에 의한 T 세포 반응의 억제는, 세포독성(cytotoxicity)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CD4 세포에서 G1/S 단계의 교착(G1/S phase arrest)과 관련이 있다.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의 동물모델인 자기면역성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EAE)과 같은 TH1 매개성 자가면역 질환은, IFN-γ 및 TNF-α와 같은 전면역(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자가-반응성 CD4+ 세포에 의해 야기된다(L. Steinman, J Exp Med. 197:1065-71, 2003). 따라서, Trp 대사물이 MBP Ac1-11 자극 TCR 트랜스제닉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천연의 Trp 대사물과 3,4-DAA 모두가, 활성화된 CD4 세포로부터 IL-2 및 TH1 사이토카인 IFN-γ와 TNF-α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반대로, TH2 사이토카인 IL-4 및 IL-10이, 항원으로 자극한 후의 MBP Ac1-11 TCR 트랜스제닉 T 세포에서 상향조절되었다(도 1C 및 표 3). 따라서, 천연의 Trp 대사물과 3,4-DAA 모두가, 미엘린 특이 TH 세포의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을 TH1 형질에서 TH2 형질로 변경하였다.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6
생체내(in vivo) 미엘린-특이 T 세포에 미치는 3,4-DA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MBPAc1-11 TCR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5일동안 3,4-DAA로 사육하였다. 비장세포를 MBP Ac1-11로 생체외(ex vivo) 자극할 경우, MBP Ac1-11-특이 T 세포 증식의 억제가 있었다. 유사하게, 항원에 의해 유도된 전염증 사이토카인 IFN-γ, TNF-α 및 IL-12/23 p40의 분비는, 3,4-DAA-처리 마우스 유래의 비장세포에서 매우 억제되었으며(도 2A), 이는 3,4-DAA가 경구활성되어, 항원-특이 자가반응성 TH1 세포의 생성을 억제함을 나타낸다. 또한, FACS 분석결과, CD11b+ 단구(monocytes)상의 MHC 제II형 분자 및 공동자극 분자(costimulatory molecules)의 발현이 하향조절되었으며(도 2B 및 표 3), 이는 3,4-DAA이 항원-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의 활성을 생체내에서 억제함음을 나타낸다. CD4+TH 세포에 항원을 효율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MHC 제II형 분자에의 항원 제시, CD40, CD80 및 CD86와 같은 공동자극 분자의 전달이 필요가 있다. MHC 제II형 분자 및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은, IFN-γ에 의해 유도된다(Carreno et ah, Anna Rev Immunol. 20:29-53, 2002).
항원의 제시에 미치는 Trp 대사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EOC20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모델로 이용하였다. EOC20 세포는, IFN-γ에 의해 빠르게 상향조절될 수 있는 낮은 수준의 MHC 제II형 분자 및 공동자극 분자를 상시 발현한다. 3,4-DAA는, IFN-γ에 유도되는 MHC 제II형 분자 및 공동자극 분자의, 용량 의존성 감소를 유발한 반면, 이들 분자들의 상시 발현은 그대로 유지시켰다(도 2C).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 염색 결과, 3,4-DAA는 200μM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OC20 세포에서 IFN-γ-유도된 MHC 제II형 분자 발현의, 3,4-DAA-매개 억제가, 제II형 트랜스활성자(transactivator) CIITA의 억제에 의해 병행되었다(도 2D). 또한, 3,4-DAA가,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IFN-γ 및 지질 다당질(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해, EOC20 세포로부터의 산화질소(NO) 분비가 유도되었다(도 2E, F). 따라서, 3,4-DAA는 일반적으로 IFN-γ 시그널링을 저해한다. EOC20 세포가 3,4-DAA와 함께 사전배양되면, IFN-γ에 의해 유도된 STAT1α의 인산화가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도 2G). 따라서, 3,4-DAA는 IFN-γ 시그널링을 방해하므로써, 항원제시세포의 활성화를 저해한다.
3,4-DAA가 자가반응성 TH1의 기능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을 자가면역 질환모델에서 시험하였다. SJ/L 마우스를 PLP139 -151로 면역화하면, 다발성 경화증의 전형적인 동물모델인 재발-완화성(relapsing-remitting) 실험적 알레르기성 뇌척수염(EAE)을 유도한다(L. Steinman, Nat Immunol. 2:762-4, 2001). 재발-완화성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더 많은 공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임상증상의 제1 발현 후에 치료된다. 따라서, 임상 세팅과 유사하게 하기 위하여, 동물들이 그들의 기능 무력화가 피크에 이르렀을 때, 질환의 발현후에 동물에서 치료가 개시되었다. 임상 스코어에 따른 임의화 후에, 마우스를 경구 위관영양에 의해 면역화한 지 15일 또는 16일 후에 시작하여 하루에 2번 치료하였다. 대부분의 동물은 초기 급성단계 후에 회복되었다. 위약 대조군(vehicle-treated animals)이 질병의 전 코스에 걸쳐 심각한 발병을 보인 반면, 3,4-DAA 처리 동물은 거의 발병의 임상적인 징후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도 3A). 어떠한 용량수준에서, 임상질환지수(clinical disease index; CDI) 및 피크 발병 스코어(peak relapse score)의 유의있는 감소가 있었다(표 2).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7
흥미롭게도, 100 내지 200mg/kg/d에서 가장 효율적인 용량을 갖는, 벨 모양의 용량-반응 곡선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EAE에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3,4-DAA에 의해 변형된 독특하고 뚜렷한 메커니즘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우선, 3,4-DAA은, 활성화된 미엘린 특이 T 세포에 의한 IFN-γ의 발생을 억제한다(표 1). 또한, 3,4-DAA은, 항원제시세포에서 IFN-γ-시그널링을 제거한다(도 3). IFN-γR의 유전적 제거를 통하여 IFN-γ-시그널링을 억제하거나 또는 항체를 중화하는 것이 EAE를 더 악화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또한, STAT1를 유전적으로 제거하면, 아마도 TR 세포의 발생이 저해되어(Nishibori et al, J Exp Med. 199:25-34, 2004), 다중 기관 염증을 야기하여(W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16209-14, 2002), STAT1-결핍 마우스가 야생형 마우스보다 더 심한 EAE를 발생시킨다. 또한, NOD 마우스는, STAT1을 통한 IFN-γ의 시그널링 결핍이 Trp 동화작용의 유도를 저해하여(Grohmann et al., J Exp Med. 198:153-60, 2003), 자가면역에 걸리기 쉬울 수 있다. 반면, 3,4-DAA는, 산화질소의 분비 및 항원제시세포상의 MHC 제II형 분자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도 2E). 3,4-DAA는, Trp 동화의 요구를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미엘린-특이 CD4+ T-세포의 직접적인 억제를 통한 자가반응성 TH1 세포의 발생을 억제한다고 생각된다. 시험관내 시험에서 사용된 높은 마이크로몰 용량의 3,4-DAA는, 생체내에서 잘 달성된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SJ/L 마우스에 있어서, 100mg/kg/day에서 44.3μM 및 300mg/kg/day에서 314.9μM의 정상상태 혈장 수준이 관찰되었다(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음). 또한, 인간에 있어서, 경구흡입 이후에 피크 혈장 수준은 200mg에서 125μM이다(Charng et al, J Food Drug Anal. 10:135- 8, 2002)고, 경구흡입 이후에 정상상태 혈장 수준은, 쥐에서는 550 mg/kg/day에서 52μM이고, 인간에서는 600mg/day에서 50-200μM이다(Izawa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e Biol. 21:1172-8).
3,4-DAA가 시험관내에서 미엘린-특이 TH1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한다는 발견과 관련하여, 3,4-DAA로 처리된 EAE를 갖는 EAE-유도 마우스에 있어서, 활성화된 T 세포의 빈도가 감소되었음이 발견되었다. 활성화 마커인 CD25, CD44 또는 CD69를 공동발현하는 CD4 세포가 40% 감소되었다(도 3B). 또한, 3,4-DAA로 처리된 동물에 있어서, PLP-특이 T 세포의 증식이 감소되었다. 더욱이, 전-염증 사이토카인 IFN-γ, TNF-α 및 IL-12/23 p40의 분비가 3,4-DAA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감소되었다(도 3C). ConA-유도된 T 세포 증식은 3,4-DAA 처리된 마우스에서 바뀌지 않았으며, 이는 PLP-특이 T 세포에 대한 특이적 효과를 나타낸다(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음). 다음, 염증의 징후를 위해, EAE 마우스의 뇌 및 척수를 조사하였다. 위약 대조군 마우스와 비교하여, 3,4-DAA로 처리된 마우스 유래의 CNS 조직에 있어서, 유조직(parenchymal) 및 전체의 염증 부위가 감소되었다(도 3D). 생체내에서 CNS 항원제시세포의 활성화가 억제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면역조직화학 및 RT-PCR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약으로 처리된 EAE의 SJ/L 마우스의 척수에서 microglial 형태를 갖는, 유조직 세포에 있어서, MHC 제II형, CD40, CD80, CD86 및 iNOS가 강하게 발현되었다. 반면, 3,4-DAA로 처리된 동물에서, 이들 분자의 발현은 매우 감소되었다. 또한, RT-PCR 실험 결과, 3,4-DAA로 처리된 동물의 척수에서, 제II형 트랜스활성자 CIITA, TNF-α 및 IL-12/23 p40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도 4B), 이는 3,4-DAA의 면역억제 작용에서 주요한 메커니즘으로서, 항원제시세포의 억제를 암시한다.
따라서, 3,4-DAA는, IL-12/23의 억제 및 STAT 분자를 통한 시그널링의 저해를 포함한 독특한 면역조절성을 갖는, 합성 Trp 대사물을 대표한다. 따라서, 3,4-DAA와 같은 Trp 대사물 및 이것의 유도체는, TH1-매개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신규 의약을 대표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8
Figure 112007058967017-PCT00029
재료 및 방법
동물
Jackson Laboratory(Bar Harbor)에서 5주령의 암컷 SJL/J 마우스를 구입하였다. C. Janeway Jr.(Hardardottir et al, Proc Natl Acad Sd USA 92:354-8, 1995)로부터 입수한 MBP Ac 1-11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B1O.PL 백그라운드로 백크로스하였다. 모든 동물 프로토콜은, NIH 가이드라인에 따라, 스탠포드 대학의 비교의약부(Division of Comparative Medicine at Stanford University) 및 캘리포니아 대학 동물연구위원회(Committee of Animal Research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에 의해 승인받았다.
시약
시그마(Sigma)에서, 피콜리닉산, 퀴놀리닉산, 3-히드록시-안트라닐릭산 및 3-히드록시-카이누레닉산을 구입하였다. 바이오소스(Biosource)에서, 쥐 재조합 IFN-γ 및 IL-6를 구입하였다. Angiogen Pharmaceuticals Pty. Ltd.에서, 3,4-DAA를 합성 및 제공받았다. 펩티드 MBP Ac1-11(Ac-ASQKRPSQRHG) (SEQ ID NO:36) 및 PLP pl39-151 (HCLGKWLGHPDKF) (SEQ ID NO:37)는, 표준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보닐 화학법에 의해, 펩티드 합성기(model 9050; MilliGen)로 합성하였으며, HPLC로 정제하였다. 아미노산 서열은, 아미노산 분석 및 질량 분석기(mass spectroscopy)로 확인하였다. 각 펩티드의 정제도는 95% 이상이었다.
미세아교세포( Microglia ) 및 대식세포
비-바이러스 불멸화 공정(Walker et al, J Neuroimmunol. 63:163-74, 1995)을 이용한 C3H/HeJ CH-2k 마우스 유래의 미세아교세포 EOC 20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한 후, 1mM 피루빈산나트륨, 10%(v/v) 태아소혈청(fetal calf serum), 및 CSF-I의 소스로서 LADMAC 마우스 골수 세포(ATCC, CRL-2420)에 의해 조건화된 20% (v/v) 조건배지로 보충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미세아교세포를 1-3일령의 129Sv/Ev 마우스로부터 분리하였다(Youssef et al, Nature 420:78-84, 2002). 형광활성 세포분류(FACS)에 의하면, 1차 미세아교세포는 95% CD11b+이었다. 1ml의 3% (w/v) 티오글리콜레이트(thioglycollate)로 복강내 주입한지 24시간 후에, B10.PL 마우스로부터 1차 대식세포(복강내 세포)(peritoneal exudate cell, PEC)를 수집하였다. PEC를 72시간동안 배지로 배양한 후 IFN-γ(100 U ml-1)로 활성화하거나, 또는 배지만으로 처리하였다. PEC는 FACS 분석에 의해 98% (w/v) CD11b+ 였다.
3,4- DAA 처리
3,4-DAA(Angiogen Pharmaceuticals, Pty. Ltd.)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0.5%)에 현탁하였다. 3,4-DAA를 20-mm 피딩 바늘(Feeding Needle)(Popper and Sons Inc.)을 사용하여, 하루에 2번 0.5 ml Na-CMC로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자기면역 뇌척수염의 유도
SJL/J 마우스에서, 4mg ml-1의 가열사멸된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 (Difco Laboratories)를 함유하는 프로인드 완전 애주번트(complete Freund's adjuvant;CFA)로 유화된 100μg의 PLP p139-151로 피하 면역시켜 EAE를 유도하였다. EAE의 임상징후를 위하여 마우스를 매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스코어를 매겼다: 0, 마비없음; 1, 꼬리색조의 상실; 2, 뒷다리약화; 3, 뒷다리마비; 4, 뒷다리 및 앞다리 마비; 5, 빈사 또는 사망.
유세포분류기( Flow Cytometry )
다음과 같이 면역형광염색을 실시하였다.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FACS 완충액(0.1% (w/v) 나트륨 아지드화물(sodium azide) 및 2% (v/v) FCS를 포함하는 PBS)로 세정한 후, 항-마우스 CD16/CD32 모노클로널 항체(clone 2.4G2, PharMingen)로 4℃에서 10분동안 사전배양하여, Fc 리셉터에 대한 비-특이 결합을 블락킹하였다. PharMingen에서, 형광색소-부착 모노클로널 항체(쥐 항-마우스 Mac-1/CD11b-PE (M1/70, IgG2b), 마우스 항-마우스 MHC class II (I-Ak)-FITC (10-3.6, IgG2b), 햄스터 항-마우스 CD40-FITC (HM40-3, IgM), 햄스터 항-마우스 CD80-FITC (16-10A1, IgG), 쥐 항-마우스 CD86-FITC (GL1, IgG2a), 항-CD4-FITC, 항-CD4-PE, 항-CD44-PE, 항-CD25-FITC 및 항-CD69-PE를 구입하였다. 대응하는 동형 대조군 항체(PharMingen)로 세포를 염색하므로서, 백그라운드 형광을 평가하였다. 배양후, 세포를 FACS 완충액으로 2번 세정한 후, CellQuest software (Becton Dickinson)를 이용하여 FACScan으로 분석하였다. 세포주기 분석을 위하여, 비장세포를 세정한 후, 항-CD4-FITC (Pharmingen)로 염색하였다. 90% 빙냉 에탄올로 세포를 고정한 후, 100 U/ml RNase A를 함유하는 PBS중의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50 g/ml)로 세포를 30분동안 염색하였다.
T-세포 증식 어세이
EAE의 마우스로부터 비장세포 또는 림프절 세포(LNC)를 분리하여, 면역화용 특이적 뇌척수염 펩티드 (PLP pl39-151) 또는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Con A) (양성대조군) 또는 오브알부민(ovalbumin)(음성대조군)로 시험관내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microtitre plate)에서, 106 세포 ml-1의 2-5배 농도로 배양하였다. 배지는, L-글루타민 (2mM), 피루빈산나트륨 (1mM), 비-필수 아미노산 (0.1mM), 페니실린 (100 U ml-1), 스트렙토마이신 (0.1mg ml-1), 2-머캡토에탄올 (5배 10-5M) 및 10% (v/v) FBS로 보충된 RPMI 1640로 구성된다. SJL/J 마우스 유래의 비장세포 및 LNC를 72시간동안 배양하고, 반면 MBPAc- 1-11 Tg 마우스 유래의 배양액을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수확전에 웰당 1μCi의 [3H]-티미딘으로 18시간동안 펄스주었다.
사이토카인 분석
증식 어세이에 사용된 세포들과 함께 배양된 비장세포 또는 림프절 세포(LNC) 유래의 상청액을 사이토카인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이토카인 레벨 측정을 위해, 다른 시간에,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IL-2, IL-12/23 p40 및 IL-6에 대하여 48시간; IFN-γ 및 TNF-α에 대하여 72시간; IL-4 및 IL-1O에 대하여 120시간. 사이토카인 수준은, 제조사의 프로토콜(anti-mouse OPTEIA Kits, PharMingen)에 따라, 대응하는 사이토카인용의 특이적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반정량 ( Semiquantitative ) PCR
마우스를 면역화 후 60일째 희생하여, 20ml의 냉 멸균 PBS를 주입하였다. 온칼럼(on-column) DNA-분해 단계를 포함해서, RNA Mini Kit (Stratagene)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척수조직 및 미세아교세포 조직 유래의 총 RNA를 분리하였다.
제1가닥 cDNA의 합성을 위해, Superscript II RNase H-역전사효소(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3μg의 총 RNA를 cDNA로 전환시켰다. 생성된 cDNA는, 고속 열 사이클러(thermal cycler)(LightCycler3; Roche Diagnostics, Indianapolis, IN)를 이용한 실시간(real-time) 정량 PCR 및 SYBR Green I (Qiagen)에 의한 생성물 검출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PCR 프라이머는 부록에 리스트화했다. 증폭 사이클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행하였다: 95℃에서 900s 동안, 94℃에서 15s동안 60사이클, 56℃에서 20s동안, 72℃에서 15s동안; 65℃에서 15s동안, 및 40℃에서 30s동안. 발현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하우스키핑(housekeeping) 유전자로서 β-엑틴을 모든 샘플로부터 증폭하였다. 각 프라이머에 대하여는 대조군(역전사 없음)이 포함되어, DNA 오염을 제어하였다. 용융곡선(Melting curves)을 통하여, 단지 하나의 산물만 증폭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정량을 위하여, 농축된 총 cDNA의 10배 희석 시리즈가, 각 반응에 포함되었다.
iNOS 활성
상기한 바와 같이, Griess 어세이(Plarten et al, Biochem Pharmacol 66:1263-70, 2003)에 의해 iNOS 활성을 평가하였다. 즉, 조절된 상청액을 1% 설파닐아미드, 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 H3PO4를 포함하는 같은 부피의 Griess 시약으로, 실온에서 5분간 배양하였다. 54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MEM으로 희석된 NaNO2를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세포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크리스탈바이올렛으로 세포를 염색하였다. iNOS 활성은, 48hr/105 세포에 축적된 아질산염(nitrite)으로 표시하였다.
웨스턴 블랏 분석( Western blot analyses )
20mg ml-1 아프로티닌, 20mg ml-1 루펩틴, 1.6mM Pefablock SC(Roche), 10mM NaF, 1mM Na3VO4 및 1mM Na4P2O7(Sigma)를 포함하는 단백질 추출 완충액에 미세아교세포를 녹였다. 용해액에, 40mM DTT와 함께 2x SDS 로딩완충액(loading buffer) (Cell Signaling Technology)를 첨가하였다. 10% SDS-PAGE 겔상에서 생성물을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겔을, 100V에서, 25mM Tris, 192mM 글리신 및 20%(v/v) 메탄올 중의 PVDF막에 블랏팅한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0.1% (v/v) Tween-20 및 5% (w/v) 탈지분유를 함유하는 Tris-완충염(Tris-buffered saline;TBS)으로 블라킹하였다. 막을, TBS 및 0.1% (v/v) Tween 20으로 세정한 후, TBS, 0.1% (v/v) Tween 20 및 5% (w/v) BSA로 1:1,000 희석된, 항-인-STAT1α 항체 또는 항-인-STAT3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Inc.)로, 4℃에서 밤새 혼성화하였다. 다음, 밴드를 관찰하기 위하여, 막을 ECL 플러스 프로토콜(Amersham BioSciences, Inc.)로 처리하였다. 막을, 대조군으로서의 항-항-STAT-1α로 재탐지하여, 동량 단백질 로딩을 확인하였다. STAT 분자는, 상대분자량 90kDa으로 이동하였다.
조직병리학
마취된 마우스에 차가운 PBS 20ml를 관류하였다. 뇌와 척수를 4%(w/v)의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고정시키고, 파라핀에서 포매시켰다.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절단부를 염색하였다. 절단된 뇌, 흉부 및 허리 척수의 절단부를 동물의 치료 상태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조사자에 의하여 평가하게 하였다.
통계적 분석
데이타를 평균 및 s.e.m.으로 나타내었다. 임상학적 스코어를 위하여, 각각의 두 군간의 유의도를 다중 비교용의 일방 다영역의 변량분석시험(one-way multiple-range analysis of variance test;ANOVA)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p<0.05의 값은 유효하다고 판단되었다.
당업자는 특정하게 기재된 것 이외에 본 출원서에 기재된 발명이 변경이나 변형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변경이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별 또는 집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 나타낸 모든 단계, 특징, 조성물과 화합물, 및 상기 단계 또는 특징의 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참고문헌 목록
Bettelli E. et al., J Exp Med 200, 79-87 (Jul 5, 2004).
Brocke, S5 et al., Nature 379, 343-6 (1996)
Brown, et al., 1991
Carenno B.M., Collins M., Annu Rev Immunol 20, 29-53 (2002).
Charng MJ. et al., J Food Drug Anal 10, 135-8 (2002).
Garren, H., et al., Immunity 15, 15-22 (2001)
Grohmann U. et al., J Exp Med 198, 153-60 (JuI 7, 2003).
Hardardottir, F., Baron, J.L. & Janeway, C.A., Jr. T cells with two functional antigen- specific receptors. Proc Natl Acad Sci USA 92, 354-8 (1995)
Isaji M., Miyata H., Ajisawa Y., Cardiovascular Drug Reviews 16, 288-299. (1998).
Izawa A., Suzuki J., Takahashi W., Amano J., Isobe M., Arterioscler Thromb Vase Biol 21, 1172-8. (2001).
Nishibori T., Tanabe Y., Su L., David M., J Exp Med 199, 25-34 (Jan 5, 2004).
Pearson CL, van Ewijk W., McDevitt H.O., J Exp Med 185, 583-99 (Feb 17, 1997).
Platten, M., Eitel, K., Wischhusen, J., Dichgans, J. & Weller, M. Involvement of protein kinase Cdelta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2 in the suppression of microglial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y N-[3,4-dimethoxycinnamoyl]-anthranilic acid (tranilast). Biochem Pharmacol 66, 1263-70 (2003)
Schwarcz R., Curr Opin Pharmacol 4, 12-7 (Feb, 2004).
Steinman, L., Science 305, 212-6 (2004)
Steinman L., J Exp Med 197, 1065-71 (May 5, 2003).
Steinman L., Nat Immunol 2, 762-4. (2001).
Walker, W.S., Gatewood, J., Olivas, E., Askew, D. & Havenith, CE. Mouse microglial cell lines differing in constitutive and interferon-gamma-inducible antigen-presenting activities for naive and memory CD4+ and CD8+ T cells. J Neuroimmunol 63, 163-74 (1995)
Wang J., Schreiber R.D., Campbell I.L., Proc Natl Acad Sci U S A 99, 16209-14 (Dec 10, 2002).
Youssef, S. et al. The HMG-CoA reductase inhibitor, atorvastatin, promotes a Th2 bias and reverses paralysis in central nervous system autoimmune disease. Nature 420, 78-84 (2002)
<1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120> A METHOD OF MODULATING T CELL FUNCTIONING <150> US 60/644,502 <151> 2005-01-14 <160> 1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8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 ggatgcttcc tgagtttg 18 <210> 2 <211> 21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 acggtcacta cacttaaaat g 21 <210> 3 <211> 16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 ccaaggtcag cgttcc 16 <210> 4 <211> 21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4 gacgtttatg ttgtagaggt g 21 <210> 5 <211> 16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5 aatgtgcccc gtatcc 16 <210> 6 <211> 24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6 ccttgtctac tgctaacgac tcct 24 <210> 7 <211> 16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7 gacggcaaac atgact 16 <210> 8 <211> 18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8 ctggtttcat aaacgccg 18 <210> 9 <211> 22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9 cataactata atgctacggg ga 22 <210> 10 <211> 1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0 gtttggtccc gtgtgat 17 <210> 11 <211> 16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1 gtctcgcctc ctttgt 16 <210> 12 <211> 1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2 ggaggtgtga agttgct 17 <210> 13 <211> 19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3 agttggtccc ccttctcca 19 <210> 14 <211> 1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4 ccactcgtac ttgggat 17

Claims (39)

  1. 포유동물에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TH1 세포반응을 TH2 세포반응으로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및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TH2 사이토카인 생산을 상향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자가면역 TH1 세포가 미엘린 단백질로 유도되는 자가면역 TH1 세포 기능화를 하향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 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화학식(I)의 화합물이며:
    (화학식 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0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R6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1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1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및 CO2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접합된 페닐 고리를 함께 형성하고;
    R3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C1 - 4알킬, C2 - 4알케닐,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및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2
    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CO2C1 - 4알킬, NH2 및 NHR12로부터 선택되고;
    R6는 H, C1 - 4알킬, OH 및 C1 - 4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 - 4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옥소기를 함께 형성하거나, 또는 R7 및 R9는 결합을 형성하고;
    R11은 CH(CO2H)NH2, CH(CO2C1 - 4알킬)NH2, C(O)CO2H, C(O)CO2C1- 4알킬, C(O)H, CO2H, CO2C1 - 4알킬, C(O)NH2, C(O)NHR13, CH2NH2, CH2NHC1 - 4알킬 및 CH2N(C1 - 4알킬)2로부터 선택되고;
    R12는 H, C1 - 4알킬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H, C1 - 4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할로, NH2, NHC1 - 4알킬 및 N(C1 - 4알킬)2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3-히드록시키뉴렌산(3-HKA), 3-히드록시안트라닐산(3-HAA), 피콜린산(PA) 또는 퀴놀린산(QA)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화학식(II)의 화합물이고:
    (화학식 I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3
    상기 식에서, R1 및 R2의 각각은 수소원자 또는 C1-C4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이거나 다른 화학결합을 함께 형성하고, 각각의 X는 히드록실기, 할로겐 원자, C1-C4 알킬기 또는 C1-C4 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두 개의 X기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일 때, 그것들은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O2H는 방향족 고리의 2-, 3- 또는 4-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CO2H는 2-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R1 및 R2의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R3 및 R4는 함께 화학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결합은 E 또는 Z 기하이성질체의 형태의 불포화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n은 1 또는 2이고; 각각의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할로겐, C1-C4 알킬 또는 C1-C4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X는 할로겐 및 C1-C4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n은 2이고 두 X는 C1-C4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두 X는 메톡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2-[[3-(2-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 아미노]벤조산; 2-[[3-(3-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플 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틸페닐)-1-옥소-2- 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톡시페닐)-1-옥소-2- 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 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 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 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트리메틸렌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트리메틸렌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메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및 2-[[3-(3,4-에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트라닐라스트, TN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의 방법 중 어떤 것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22.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의 사용.
  23.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화학식(I)의 화합물이고:
    (화학식 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4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R6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5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1은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및 CO2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융합된 페닐 고리를 함께 형성하고;
    R3는 H,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C1 - 4알킬, C2 - 4알케닐,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및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6
    로부터 선택되고;
    R5는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할로, CO2H, CO2C1 - 4알킬, NH2 및 NHR12로부터 선택되고;
    R6는 H, C1 - 4알킬, OH 및 C1 - 4알콕시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 - 4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옥소기를 함께 형성하거나, 또는 R7 및 R9는 결합을 형성하고;
    R11은 CH(CO2H)NH2, CH(CO2C1 - 4알킬)NH2, C(O)CO2H, C(O)CO2C1- 4알킬, C(O)H, CO2H, CO2C1 - 4알킬, C(O)NH2, C(O)NHR13, CH2NH2, CH2NHC1 - 4알킬 및 CH2N(C1 - 4알킬)2로부 터 선택되고;
    R12는 H, C1 - 4알킬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H, C1 - 4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은 C1 - 4알킬, OH, C1 - 4알콕시, CO2H, CO2C1 - 4알킬, 할로, NH2, NHC1 - 4알킬 및 N(C1 - 4알킬)2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은 3-히드록시키뉴렌산(3-HKA), 3-히드록시안트라닐산(3-HAA), 피콜린산(PA) 또는 퀴놀린산(QA)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화학식(II)의 화합물이고:
    (화학식 II)
    Figure 112007058967017-PCT00037
    상기 식에서, R1 및 R2의 각각은 수소원자 또는 C1-C4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이거나 다른 화학결합을 함께 형성하고, 각각의 X는 히드록실기, 할로겐 원자, C1-C4 알킬기 또는 C1-C4 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두 개의 X기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일 때, 그것들은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CO2H기는 방향족 고리의 2-, 3- 또는 4-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8. 제 27 항에 있어서, CO2H는 2-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9. 제 26 항에 있어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0. 제 26 항에 있어서, R1 및 R2은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적 조성물.
  31. 제 26 항에 있어서, R3 및 R4는 함께 화학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결합은 E 또는 Z 기하이성질체 형태의 불포화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3. 제 26 항에 있어서, n은 1 또는 2이고; 각각의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할로겐, C1-C4 알킬 또는 C1-C4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4. 제 26 항에 있어서, X는 할로겐 및 C1-C4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5. 제 26 항에 있어서, n은 2이고 두 X는 C1-C4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6. 제 26 항에 있어서, 두 X는 메톡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2-[[3-(2-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프로필페닐)-1-옥소-2- 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플루오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브로모페닐)-1-옥소-2- 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4-브로모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 (3,4-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폭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에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4-디프로필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메틸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 -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클로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3-히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메톡시-4-히드록시페닐)-1- 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트리메틸렌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2,3-트리메틸렌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2-[[3-(3,4-메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 및 2-[[3-(3,4-에틸렌디옥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그것의 유도체는 2-[[3-(3,4-디메톡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벤조산(트라닐라스트, TN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9. 포유동물 TH1 세포 기능화를 상향조절하는 방법으로서, IDO-매개 트립토판 대사산물 또는 화학식(I) 또는 화학식(I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18691A 2005-01-14 2006-01-12 T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 KR20070098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450205P 2005-01-14 2005-01-14
US60/644,502 2005-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916A true KR20070098916A (ko) 2007-10-05

Family

ID=3667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691A KR20070098916A (ko) 2005-01-14 2006-01-12 T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2) EP2253313A1 (ko)
JP (1) JP2008526983A (ko)
KR (1) KR20070098916A (ko)
CN (1) CN101232878A (ko)
AU (1) AU2006204871A1 (ko)
BR (1) BRPI0605925A2 (ko)
CA (1) CA2594460A1 (ko)
IL (1) IL184523A0 (ko)
WO (1) WO2006076580A2 (ko)
ZA (1) ZA2007067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0617A1 (en) * 2007-08-17 2009-03-04 Sygnis Bioscience GmbH & Co. KG Use of tranilast and derivatives thereof for the therapy of neurological conditions
FR3055548B1 (fr) 2016-09-05 2018-09-28 Metabrain Research Utilisation de metabolites du tryptophane dans le traitement de l'atrophie musculaire
CN110607335B (zh) * 2018-06-14 2021-08-03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烟酰胺腺嘌呤二核苷酸类化合物生物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710B2 (ko) 1973-01-18 1981-09-22
EP1369114A1 (en) * 2002-06-07 2003-12-10 Peter Priv. Doz. Dr. Terness Use of tryptophan metabolites as pharmaceutical agents
US20050239892A1 (en) * 2003-11-21 2005-10-27 Trustees Of Tufts College Therapeutic avenathramide compounds
ZA200704871B (en) * 2004-11-17 2008-09-25 Angiogen Pharmaceuticals Pty L A method of modulating B cell func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94460A1 (en) 2006-07-20
EP1845967A2 (en) 2007-10-24
EP2253313A1 (en) 2010-11-24
IL184523A0 (en) 2008-12-29
ZA200706751B (en) 2008-10-29
CN101232878A (zh) 2008-07-30
BRPI0605925A2 (pt) 2009-05-26
WO2006076580A2 (en) 2006-07-20
AU2006204871A1 (en) 2006-07-20
WO2006076580A3 (en) 2007-07-12
JP2008526983A (ja) 2008-07-24
EP1845967A4 (en)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Indoleamine 2, 3-dioxygenase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
JP6856900B2 (ja) トール様受容体7またはトール様受容体9の活性化阻害剤
De Sarno et al. Lithium prevents and ameliorates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Tamura et al. The IRF family transcription factors in immunity and oncogenesis
Qiu et al. Toll‐like receptor‐mediated IRE1α activation as a therapeutic target for inflammatory arthritis
Gambhir et al. GPR109A as an anti-inflammatory receptor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and its relevance to diabetic retinopathy
Ilmarinen et al. Eosinophil apoptosis as a therapeutic target in allergic asthma
Zambetti et al. The rhapsody of NLRPs: master players of inflammation… and a lot more
US2011028195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proliferation and viability of lymphoblastoid cells
WO2017143014A1 (en) Jak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ang et al. Mechanism by which TRAF6 participates in the immune regulation of autoimmune diseases and cancer
Han et al. Prodigiosin blocks T cell activation by inhibiting interleukin-2Rα expression and delays progression of autoimmune diabetes and collagen-induced arthritis
US20090054358A1 (en) Flt3 inhibitors for immune suppression
Tortola et al. IL-21 promotes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by driving apoptosis of FoxP3+ regulatory T cells
US20120142750A1 (en) Indoleamine 2,3-dioxygenase pathways in the generation of regulatory t cells
JP2010516628A (ja) Hatアセチル化プロモーター及び免疫原性を促進する際のその組成物の使用
Marchi et al. Gene therapy with interleukin-10 receptor and interleukin-12 induces a protective interferon-γ-dependent response against B16F10-Nex2 melanoma
Lee et al. Suppression of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collagen‐induced arthritis by chebulagic acid screened from a natural product library
JP2021527648A (ja) 後細胞シグナル伝達因子の調節による免疫活性の低減
JP7235259B2 (ja) Gvhd又は腫瘍を治療するための骨髄系由来サプレッサー細胞のインフラマソーム活性化の調節
Chalise et al. IDO1 and TGF-β mediate protective effects of IFN-α in antigen-induced arthritis
KR20070098916A (ko) T 세포 기능화를 조절하는 방법
NZ581748A (en)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with immunomodulator compounds
US20080009519A1 (en) Method of modulating t cell functioning
US2022008964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