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680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680A
KR20070098680A KR1020070031033A KR20070031033A KR20070098680A KR 20070098680 A KR20070098680 A KR 20070098680A KR 1020070031033 A KR1020070031033 A KR 1020070031033A KR 20070031033 A KR20070031033 A KR 20070031033A KR 20070098680 A KR20070098680 A KR 2007009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t
primary
transmission
r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095B1 (ko
Inventor
삼 시아우-시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터미널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업링크의 전송이 시작되었을 때, 만약 하나의 특정한 정보요소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하여(즉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함), 작업전송허가값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plink transmission start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도 1은 무선통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종의 네트워크터미널의 시그널링 전송을 감소시켜,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막는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의 무선액세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효율, 거리에 상관없는 커버율 및 고품질,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동시에, 더욱이 각종 상이한 QoS 서비스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탄력성을 구비한 다양화된 양방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비교 적 우수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여, 통신 중단률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는 무선통신장치(예를 들어 핸드폰)로 실시간 영상통신, 전화 회의(Conference Call), 실시간 게임, 온라인 음악방송, 전자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반드시 빠르고 즉각적인 전송에 의지해야 한다. 따라서 3세대 이동통신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종래의 기술에서는 주파수대역의 사용효율 및 패킷 데이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High Speed Downlink Package Access, 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을 제공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의 전송 속도를 개선시켰다.
그 중,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의 상행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잘못 전송된 데이터의 신속한 재전송이 가능하므로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채널 품질의 좋고 나쁨에 따라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률 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기지국 고속 스케줄링 기술(Node B Scheduling),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및 숏프레임 전송(Sort Frame Transmission) 등의 기술을 채택하였다. 이와 대응하여,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의 운용을 제어하기 위하여, 향상된 전용채널(Enhanced Dedicated Transport Channel, E_DCH)을 정의하였다. 향상된 전용채널은 새로운 물리층 채널 E_HICH, E_RGCH, E_AGCH, E_DPCCH, E_DPDCH를 도입하여, 하이브리드 자 동반복요청 확인 정보(ACK/NACK),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제어 평면(Control Plane) 정보 및 사용자 평면(User Plane) 정보 등을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상세한 정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가 제정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통신프로토콜 규범(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25.321 V6.7.0을 참고하기 바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지국 고속 스케줄링 기술을 통하여, 기지국은 그 신호 전송 범위(Cell) 내의 사용자터미널의 전송률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터미널 업링크의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액세스 제어 통신프로토콜 규범 중 9.2.5.2.1 및 9.2.5.2.2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터미널은 향상된 전용채널 상대전송속도 허가채널(E_DCH Relative Grant Channel, E-RGCH) 및 향상된 전용채널 절대전송속도허가채널(E_DCH Absolute Grant Channel, E_AGCH)을 통하여 상대전송속도허가(Relative Grant) 정보 및 절대전송속도허가(Absolute Grant) 정보를 사용자터미널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터미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송률을 제어하게 된다. 그 중, 향상된 전용채널 절대전송속도허가채널은 하나의 공유 채널(Shared Channel)로서, 향상된 전용채널 무선네트워크 임시 식별자(E-DCH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E_RNTI)를 사용하여,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특정한 사용자터미널로 전송한다.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는 사용자터미널의 전송률값을 직접 조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1차(Primary)와 2차(Secondary)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그 서비스 범위 내의 어떤 특정한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고,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어느 한 그룹(Group)의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필요한 시그널링 전송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는 절대전송속도허가값 칼럼 및 하나의 범위 칼럼을 포함한다.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의 범위는 「단일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Per HARQ Process) 또는 「모든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All HARQ Process)로서, HARQ 프로세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가 하나 또는 전체의 HARQ 프로세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사용자터미널이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한 후의 운용 방식에 관하여, 상기 미디어 엑세스 제어 통신프로토콜 규범 중 11.8.1.3.1을 참고할 수 있다. 그 중 사용자터미널이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한 후, 만약 대응되는 E_RNTI의 유형이 「1차」이면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이 「비활성」(INACTIVE)이고, 범위 칼럼은 「단일한 HARQ 프로세스」이며, 또한 사용자터미널이 2ms의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터미널은 현재의 HARQ 프로세스, 즉 변수 CURRENT_HARQ_PROCESS에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켜야 한다. 만약 E_RNTI가 「1차」이면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은 「비활성」(INACTIVE)이고, 범위 칼럼은 「모든 HARQ 프로세스」이며, 또한 사용자터미널에 2차 E_RNTI가 배치되어 있으면(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었음을 나타냄), 사용자터미널은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켜, 작업전송속도허가값(Serving_Grant)을 저장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설정하고(즉 설정변수 Serving Grant는 변수 Stored_Secondary_Grant와 동일함),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none) 으로 설정하면(즉 설정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함), 작업전송속도허가량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제어를 받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이밖에,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이 「비활성」과 다를 때, 만약 대응되는 E_RNTI의 유형이 「2차」이면, 즉 설정 변수 Stored_Secondary_Grant의 값이 상기 절대전송속도허가값과 동일하고, 반대로, 만약 대응되는 E_RNTI의 유형이 「1차」이거나 또는 변수 Primary_Grant_Abailable이 「거짓」(false)으로 설정된 경우, 즉 사용자터미널의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을 상기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설정한다. 즉 변수 Serving Grant를 절대전송속도허가값과 동일하도록 설정한다. 그 중, INACTIVE, Strored Secondary_Grant, Primary_Grant_Available, Serving_Grant의 정의는 상기 미디어 액세스 제어 통신프로토콜 중 3.1.2절을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으로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사용자터미널이 2ms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여, 그것이 수신한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 중의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이 「비활성」이면서 그 범위가 「단일한 HARQ 프로세스」일 때, 사용자터미널은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게 되고, 아울러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의 값을 유지하게 된다.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은 사용자터미널 작업전송속도허가값(Serving Grant)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또는 상대전송속도허가 두 정보의 영향만 받는 것인지의 여부를 대표하며, 그 값이 「참」(True)일 때, 사용자터미널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 또 는 상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만 받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 값이 「거짓」일 때는, 즉 사용자터미널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 또는 상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으로, 상기 미디어 액세스 제어 통신프로토콜 규범의 11.8.1.3.2절에서는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이 시작될 때, 즉 무선 리소스 제어변수 E_DCH_TRANSMISSION이 거짓에서 참으로 변할 때, 사용자터미널은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때 만약 상층(무선 리소스 제어층)이 이미 하나의 작업전송속도허가값(Serving Grant Value) 정보요소 및 1,2차 전송속도허가 셀렉터(Primary/Secondary Grant Selector)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작업전송허가량 정보(Serving Grant)를 제공하였다면, 사용자터미널은 상층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를 근거로, 변수 Serving_Grant 및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설정해야 한다. 반대로, 만약 상층이 상기 정보요소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즉 사용자터미널은 변수 Serving_Grant를 하나의 파라미터인 Zero_Grant(작업전송허가값이 0임을 나타냄)로 설정하고,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참」으로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터미널의 작업전송허가값이 1차 절대전송허가값 정보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따라서 2차 절대전송허가값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이 시작될 때, 만약 상층에서 작업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이 「참」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터미널의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은 2차 절대전송속도 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한, 사용자터미널의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은 계속 파라미터 Zero_Grant를 유지하게 되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해, 서버 기지국은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해서만 사용자터미널의 HARQ 프로세스의 작업전송허가값을 바꿔줄 수 있으며, 즉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장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어, 서버 기지국의 시그널링 전송의 증가 및 무선리소스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종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사용자터미널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터미널의 시그널링 전송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터미널에서 하나의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업링크 전송 시작 후, 만약 특정한 정보요소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변수를 「없음」(즉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함)으로 설정하여,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됨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업링크 전송의 시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하는데 사용되 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됨과 아울러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프로그램코드 중에는 상기 업링크의 전송 시작시, 만약 특정한 정보요소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하여(즉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함)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2차 절대전송속도값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도 1은 무선통신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입력장치(102), 출력장치(104), 제어회로(106), 중앙처리장치(108), 메모리장치(110), 프로그램코드(112) 및 송수신기(114)만 표시하였다. 무선통신 장치 중에서 제어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8)를 통하여 메모리장치(11)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112)를 실행시키고, 나아가 무선통신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는 입력장치(102)(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장치(105)(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신기(114)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회로(106)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회로(106)에서 형성된 신호를 무선전신 방식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통신프로토콜의 구조로 말하면, 송수신기(114)는 제1층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제어회로(106)는 제2층 및 제3층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112)의 설명도이다. 프로그램코드(112)는 응용프로그램층(200), 제3층 인터페이스(202) 및 제2층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고, 제1층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다. 제2층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서브(sub)층이 포함되며, 각각 하나의 무선링크제어유닛(224)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이다. 무선링크제어유닛(224)의 주요 기능은 각기 다른 전송품질 처리를 제공하고, 각기 다른 전송품질의 요구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에 대하여 분할(Segmentation), 재조합(Reassembly), 연결(Concatenation), 패딩(Padding), 재전송(Retransmission), 데이터 암호화(Ciphering), 시퀀스 체크(Sequence Check), 중복 검사(Duplicate detection) 등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다.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은 제3층 인터페이스(무선 리소스 제어층)(202)의 무선 리소스 분배 명령에 따라, 무선링크제어유닛(224)으로부터 나온 상이한 로직 채널(Logic Channel)의 패킷을 보통, 공유 또는 전용 등 성질의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에 대응시킴으로써, 채널 매핑(Channel Mapping), 다중화(Multiplexing), 전송포맷 선택(Transport Format Selection), 랜덤 액세스 제어(Random Access Control) 등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어떤 활용 상태에서는, 만약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능을 실현시키고자 할 때,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이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을 시작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업링크의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데 사용하고, 아울러 무선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며, 불필요한 전송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업링크 전송시작 프로그램코드(220)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3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30)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하나의 사용자터미널이 하나의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업링크 전송 시작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될 수 있다. 플로우(30)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0: 시작.
단계 302: 업링크 전송 시작시, 만약 하나의 특정한 정보요소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하여(즉 하나의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함),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단계.
단계 304: 종료.
플로우(30)에 따르면, 사용자터미널이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을 시작한 후(무선 리소스 제어 변수 E_DCH_TRANSMISSION이 거짓에서 참으로 변함), 만약 사용자터미널이 특정한 정보요소(작업전송허가값 정보요소 및 1, 2차 전송속도허가 셀렉터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작업전송속도허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사용자터미널은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을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즉 변수 Primary_Grant_Ab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 시작시, 만약 상층에서 작업전송속도허가값 정보요소 및 1, 2차 전송속도허가 셀렉터 정보요소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은 「거짓」으로 설정하면, 사 용자터미널의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터미널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하는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뒤에 이어지는 HARQ 프로세스 역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서버 기지국은 시그널링 전송 및 무선 리소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그 서버 범위 내의 어느 하나의 특정한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고,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값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어느 한 그룹의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배경 기술에서는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이 시작되었을 때, 만약 상층에서 작업전송속도허가값 정보요소 및 1, 2차 전송속도허가 셀렉터 정보요소를 제공하지 않으면, 사용자터미널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하는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네트워크터미널은 1차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만을 통하여 그 전송 공률을 제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터미널의 시스널링 전송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플로우(30)를 통하여,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 시작시, 만약 상층에서 작업전송속도허가값 정보요소 및 1,2차 전송속도허가 셀렉터 정보요소를 제공하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터미널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하는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을 여전히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네트워크터미널의 시그널링 전송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의 거하여 진행한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이 포괄하는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전용채널의 전송 시작시, 만약 상층에서 작업전송속도허가값 정보요소 및 1, 2차 전송속도허가 셀렉터 정보요소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하면, 사용자터미널의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터미널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하는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뒤에 이어지는 HARQ 프로세스 역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서버 기지국에 있어서 시그널링 전송 및 무선 리소스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8)

  1. 무선통신 시스템의 사용자터미널에서 업링크(Uplink)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의 전송을 시작할 때, 만약 하나의 특정한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함으로써 작업전송속도허가값(Serving Grant)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Secondary Absolute Grant)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요소는 하나의 작업전송허가 정보이며, 상기 작업전송허가 정보는 하나의 작업전송허가값(Serving Grant Value) 정보요소 및 1, 2차 전송허가 셀렉터(Primary/Secondary Grant Selector) 정보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하는 것은 하나의 변수 Primary Grant Available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능의 향상된 전용채널(Enhanced Dedicated Transport Channel, E_DCH)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업링크(Uplink) 전송의 시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어,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막는, 무선통신 시스템용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상기 업링크의 전송 시작시, 만약 하나의 특정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하여, 작업전송허가값(Serving Grant)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Secondary Absolute Grant)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요소는 하나의 작업전송허가 정보로서, 상기 작업전송허가 정보는 작업전송허가값(Serving Grant Value) 정보요소 및 1,2차 전송속도허가 셀렉터(Primary/Secondary Grant Selector) 정보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하는 것은 하나의 변수 Primary Grant Available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고속 업링크 패킷 엑세스(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능의 향상된 전용채널(Enhanced Dedicated Transport Channel, E_DCH)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70031033A 2006-03-29 2007-03-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93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394206P 2006-03-29 2006-03-29
US60/743,942 2006-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680A true KR20070098680A (ko) 2007-10-05
KR100893095B1 KR100893095B1 (ko) 2009-04-10

Family

ID=3816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033A KR100893095B1 (ko) 2006-03-29 2007-03-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46746B2 (ko)
EP (1) EP1841265A3 (ko)
JP (1) JP4634411B2 (ko)
KR (1) KR100893095B1 (ko)
CN (1) CN101083519A (ko)
TW (1) TW2007378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17447B (zh) * 2006-02-08 2011-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上行分组接入系统中服务授权的配置方法及设备
US8520654B2 (en) * 2006-03-20 2013-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identifying frequency resources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JP5054108B2 (ja) * 2006-08-21 2012-10-2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ップリンクにおいてharqプロセスを動的に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014359B2 (en) * 2006-10-27 2011-09-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adio resources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parameters on a random access channel
EP2276315B8 (en) 2007-09-28 2014-07-16 Signal Trust for Wireless Innovation Method for completing an enhanced dedicated channel (E-DCH)
US20090109912A1 (en) * 2007-10-25 2009-04-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llocation of uplink channel resources
CN101426254B (zh) 2007-10-31 201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信息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CN101426253B (zh) 2007-10-31 2013-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信息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JP5127933B2 (ja) * 2008-01-02 2013-01-2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ル再選択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47128A (ko) * 2009-10-29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상향링크 주파수들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CN109831282B (zh) * 2019-01-31 2022-03-08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包重传、重传发送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645B1 (ko) * 2004-01-0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EP1728338A4 (en) 2004-05-06 201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 RECEIVING TRANSMIT STATUS AND HAZARD CONDI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ACKAGE SERVICE IN UPWARD DIRECTION
KR20050118071A (ko) 2004-05-06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전송상태정보의 통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0398A1 (en) 2007-10-04
CN101083519A (zh) 2007-12-05
EP1841265A3 (en) 2010-07-07
TW200737800A (en) 2007-10-01
US7646746B2 (en) 2010-01-12
KR100893095B1 (ko) 2009-04-10
JP4634411B2 (ja) 2011-02-16
EP1841265A2 (en) 2007-10-03
JP2007267387A (ja)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09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39029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3151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연속패킷 연결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5833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연속패킷 연결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장치
JP200800549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tx−ackエラーを検出・回復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702234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89265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8525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954819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력다중출력(mimo)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070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rving gra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120452A (ko) 무선통신시스템의 미디어액세스제어층에 패킷을 구축하는방법 및 장치
KR100980102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리소스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및 장치
KR10092392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베어러 매핑을 실행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4423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채널의 컨피겨레이션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2534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2455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트래픽 대 파일럿 전력비 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