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257B1 -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257B1
KR100885257B1 KR1020070027238A KR20070027238A KR100885257B1 KR 100885257 B1 KR100885257 B1 KR 100885257B1 KR 1020070027238 A KR1020070027238 A KR 1020070027238A KR 20070027238 A KR20070027238 A KR 20070027238A KR 100885257 B1 KR100885257 B1 KR 10088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q process
user terminal
absolute
harq
absolut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243A (ko
Inventor
삼 시아우-시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터미널에 사용되어 제1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제1 HARQ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이때 모든 HARQ 프로세스가 이미 비활성화되고,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었다면,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고, 2차 절대전송속도 정보가 지정한 값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임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activa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도 1은 무선통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가 비활성화 된 후에도, 여전히 사용자터미널의 전송 파라미터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에 영향을 받는 상태를 유지하여, 네트워크터미널의 신호전송량을 줄이고 나아가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줄이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의 무선액세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효율과, 거리에 상관없는 커버율 및 고품질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QoS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탄력성을 구비한 다양한 양방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비교적 우수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여 통신 중단율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있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무선통신장치(예를 들어 핸드폰)로 실시간 영상통신, 전화 회의(Conference Call), 실시간 게임, 온라인 음악방송, 전자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반드시 빠르고 즉각적인 전송에 의지해야 한다. 따라서 3세대 이동통신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종래의 기술에서는 주파수대역의 사용효율 및 패킷 데이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High Speed Downlink Package Access, 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을 제공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의 전송 속도를 개선시켰다.
그 중,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의 상행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잘못 전송된 데이터의 신속한 재전송이 가능하므로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채널 품질의 좋고 나쁨에 따라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출력(전송률) 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기지국 고속 스케줄링 기술(Node B Scheduling),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및 숏프레임 전송(Sort Frame Transmission) 등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대 응하여, 3세대 이동통신 파트너쉽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의 운용을 제어하기 위하여, 향상된 전용채널(Enhanced Dedicated Transport Channel, E-DCH)을 정의하였다. 향상된 전용채널은 새로운 실체층 채널 E_HICH, E-RGCH, E-AGCH, E_DPCCH, E_DPDCH를 도입하여,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확인 정보(ACK/NACK),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제어측(Control Plane) 정보 및 사용자측(User Plane) 정보 등을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상세한 정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가 제정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통신프로토콜 규범(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25.321 V6.7.0을 참고하기 바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숏프레임 전송기술을 통하여,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2ms 또는 10ms의 전송시간 간격(Transmit Time Interval, TTI)을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시간 간격의 길이가 다름에 따라, HARQ 프로세스의 수량(개수)도 역시 달라진다. 상기 미디어 액세스 제어 통신협정 규범의 11.8.1.1.1 절에서 알 수 있듯이, HARQ 프로세스의 수량은 HARQ의 패킷 왕복시간(Round Trip Time, RTT), 즉 하나의 패킷이 전송될 때부터 대응되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같다. 전송시간 간격이 2ms일 때, HARQ의 패킷 왕복시간이 8이면, HARQ 프로세스의 수량 역시 8이고, 전송시간 간격이 10ms일 때, HARQ의 패킷 왕복시간이 4라면, HARQ 프로세스의 수량 역시 4이다.
이밖에, 기지국 고속 스케줄링 기술을 통하여, 기지국은 그 신호 전송 범위 내(Cell)의 사용자터미널의 전송 출력(전송률)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터미널 업링크의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액세스 제어 통신프로토콜 규범 중 9.2.5.2.1 및 9.2.5.2.2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터미널은 향상된 전용채널 상대전송속도 허가채널(E-DCH Relative Grant Channel, E-RGCH) 및 향상된 전용채널 절대전송속도허가채널(E-DCH Absolute Grant Channel, E-AGCH)을 통하여 상대전송속도허가(Relative Grant) 정보 및 절대전송속도허가(Absolute Grant) 정보를 사용자터미널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터미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송률를 제어하게 된다. 그 중, 향상된 전용채널 절대전송속도허가 채널은 하나의 공유 채널(Shared Channel)로서, 향상된 전용채널 무선네트워크 임시ID(E-DCH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E-RNTI)를 사용하여,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특정한 사용자터미널로 전송한다.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는 사용자터미널의 전송률을 직접 조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1차(Primary)와 2차(Secondary)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그 서비스 범위 내의 어떤 특정한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고,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어느 한 그룹의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필요한 신호전송량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는 절대전송속도허가값 칼럼 및 하나의 범위 칼럼을 포함한다.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의 범위는 '단일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Per HARQ Process) 또는 '모든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All HARQ Process)로서, HARQ 프로세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하나 또는 전체의 HARQ 프 로세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사용자터미널이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한 후의 운용 방식에 관하여는 상기 미디어 엑세스 제어 통신프로토콜 규범 중 11.8.1.3.1을 참고할 수 있는데, 아래에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터미널이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한 후, 만약 대응되는 E-RNTI의 유형이 '1차'이면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이 '비활성'(INACTIVE)이고, 범위 칼럼은 '단일한 HARQ 프로세스'이며, 또한 사용자터미널이 2ms의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터미널은 현재의 HARQ 프로세스, 즉 변수 CURRENT_HARQ_PROCESS에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켜야 한다. 만약 E-RNTI가 '1차'이면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은 '비활성'(INACTIVE)이고, 범위 칼럼은 '모든 HARQ 프로세스'이며, 또한 사용자터미널에 2차 E-RNTI가 배치되어 있으면, 사용자터미널은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켜 작업전송속도허가값(Serving_Grant)을 저장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설정하고(즉 설정변수 Serving Grant는 변수 Stored_Secondary_Grant와 동일함), 1차 전송속도허가 상태 변수를 '없음'으로 설정하면(즉 설정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함), 작업전송속도허가량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제어를 받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이밖에,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이 '비활성'과 다를 때 만약 대응되는 E-RNTI의 유형이 '2차'이면, 설정 변수 Stored_Secondary_Grant의 값은 상기 절대전송속도허가값과 동일하고, 반대로, 만약 대응되는 E-RNTI의 유형이 '1차'이거나 또는 변수 Primary_Grant_Abailable이 '거짓'(false)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터미널의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을 상기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설정 한다. 즉 변수 Serving_Grant를 절대전송속도허가값과 동일하도록 설정한다. 그 중, INACTIVE, Strored_Secondary_Grant, Primary_Grant_Available, Serving_Grant의 정의는 상기 미디어 액세스 제어 통신프로토콜의 3.1.2절을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터미널이 2ms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여, 그것이 수신한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 중의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이 '비활성'이면서 그 범위가 '단일한 HARQ 프로세스'일 때, 사용자터미널은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게 되고, 아울러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의 값을 유지하게 된다.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은 사용자터미널 작업전송속도허가값(Serving Grant)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또는 상대전송속도허가 두 정보의 영향만 받는 것인지의 여부를 대표하며, 그 값이 '참'(True)일 때, 사용자터미널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 또는 상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만 받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 값이 '거짓'일 때는 사용자터미널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 또는 상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이 때 모든 HARQ 프로세스가 비활성화되면, 배경기술로는 신호전송을 낭비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터미널이 2ms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고, 제1 HARQ 프로세스를 실행하며,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의 값이 '참'인 경우, 이때 만약 서버기지국(Serving Cell)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사용자터미널로 출력하면, 그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은 '비활성'이면서 범위는 '단일한 HARQ 프로세스'이 다. 배경기술에 따르면, 사용자터미널은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고,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의 값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의 값이 여전히 '참'을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터미널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 또는 상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만 받게 된다. 즉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은 받지 않는 것이다. 다시 말해, 모든(이전 또는 이후)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이 모두 사용자터미널에 의해 사용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이어지는 HARQ 프로세스 역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활성화되거나 제어될 방법이 없게 된다. 이는 즉 서버기지국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만을 통하여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장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서버기지국의 신호 전송의 증가 및 무선전신 리소스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그 관련장치를 제공하여, 네트워크터미널의 신호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사용자터미널에 사용되어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이때 모든 HARQ 프로세스가 이미 비활성화되고, 또한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면, 모든 HARQ 프로세스가 활성화되어, 하나의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처리하여, 무선 신호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데 사용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접수하여,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수단; 및 만약 이때 모든 HARQ 프로세스가 이미 비활성화되고, 또한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면,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는 수단; 및 하나의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터미널을 이용하여 사용자터미널의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고,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에 남은 유일하게 아직 비활성화되지 않은 HARQ 프로세스일 때,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범위를 모든 HARQ 프로세스로 설정하고,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에게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 화시키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사용자터미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사용자터미널의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켜, 무선 신호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됨과 아울러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프로그램코드 중에는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에 유일하게 아직 비활성화되지 않은 HARQ 프로세스일 때,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범위를 모든 HARQ 프로세스로 설정하고,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에게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수단; 및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터미널로 출력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무선통신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입력장치(102), 출력장치(104), 제어회로(106), 중앙처리장치(108), 메모리장치(110), 프로그램코드(112) 및 송수신기(114)만 표시하였다. 무선통신 장치 중에서 제어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8)를 통하여 메모리장치(11)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112)를 실행시키고, 나아가 무선통신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는 입력장치(102)(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장치(105)(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신기(114)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회로(106)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회로(106)에서 형성된 신호를 무선전신 방식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통신프로토콜의 구조로 말하면, 송수신기(114)는 제1층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제어회로(106)는 제2층 및 제3층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112)의 설명도이다. 프로그램코드(112)는 응용프로그램층(200), 제3층 인터페이스(202) 및 제2층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고, 제1층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다. 제2층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서브(sub)층이 포함되며, 각각 하나의 무선링크제어유닛(224)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이다. 무선링크제어유닛(224)의 주요 기능은 각기 다른 전송품질 처리를 제공하고, 각기 다른 전송품질의 요구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에 대하여 분할(Segmentation), 재조합(Reassembly), 연결(Concatenation), 패딩(Padding), 재전송(Retransmission), 데이터 암호화(Ciphering), 시퀀스 체크(Sequence Check), 중복 검사(Duplicate detection) 등의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다.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은 제3층 인터페이스(무선 리소스 제어층)(202)의 무선 리소스 분배 명령에 따라, 무선링크제어유닛(224)으로부터 나온 상이한 로직 채널(Logic Channel)의 패킷을 보통, 공유 또는 전용 등 성질의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에 대응시킴으로써, 채널 매핑(Channel Mapping), 다중화(Multiplexing), 전송포맷 선택(Transport Format Selection), 랜덤 액세스 제어(Random Access Control) 등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어떤 활용 상태에서는, 만약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능을 실현시키고자 할 때,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은 네트워크터미널이 출력하는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근거로, 그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프로그램코드(22)를 제공하여, 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처리함으로써 무선리소스의 낭비를 막고, 불필요한 전송을 감소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3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30)는 무선통신 시스템 중 하나의 사용자터미널이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되며, 이는 비활성화 HARQ 프로세스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다. 플로우(30)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0: 시작.
단계 302: 하나의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단계.
단계 304: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단계 306: 만약 이때 모든 HARQ 프로세스가 이미 비활성화되고, 또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면,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고,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단계.
단계 308: 종료.
플로우(30)에 따르면, 사용자터미널이 마지막 하나 남은 아직 비활성화되지 않은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킨 후, 사용자터미널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터미널은 2ms의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고,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범위가 단일한 HARQ 프로세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터미널이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한 후, 만약 대응되는 E-RNTI의 유형이 '1차'이고, 절대전송허가값이 '비활성'(INACTIVE)이면, 범위 칼럼은 '단일한 HARQ 프로세스'이고, 또한 사용자터미널이 2ms의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할 때는 사용자터미널이 현재의 HARQ 프로세스, 즉 변수 CURRENT_HARQ_PROCESS에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만약 모든 HARQ 프로세스가 비활성화되고, 상층에 이미 2차 E-RNTI가 사용자터미널에 배치되면, 사용자터미널은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되며,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을 저장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값(즉 설정변수 Serving_Grant가 변수 Stored Secondary_Grant와 동일함)으로 설정하고, 설정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터미널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뒤에 이어지는 HARQ 프로세스 역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활성화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버기지국은 신호 전송 및 무선 리소스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를 통하여, 기지국은 그 서 비스 범위 내에 있는 어떠한 특정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고,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은 즉 어떤 한 그룹의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배경기술에서는, 사용자터미널이 마지막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킨 후, 사용자터미널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하는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을 사용할 수 없어, 네트워크터미널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만을 통하여 그 전송률을 제어할 수밖에 없으므로, 네트워크터미널의 신호 전송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플로우(30)를 통하여, 사용자터미널이 마지막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킨 후, 사용자터미널은 여전히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터미널의 신호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로우(30)는 사용자터미널에 실현되어, 네트워크터미널의 신호 전송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터미널에 실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4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40)는 무선통신 시스템 중 하나의 네트워크터미널이 사용자터미널의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되며, 이는 비활성화 HARQ 프로세스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다. 플로우(40)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0: 시작.
단계 402: 사용자터미널의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고,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 남은 하나의 아직 비활성화되지 않은 HARQ 프로세스일 때,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범위를 모든 HARQ 프로세스 로 설정하고,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에게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단계.
단계 404: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터미널로 출력하는 단계.
단계 406: 종료.
플로우(40)에 따르면, 네트워크터미널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킬 때, 만약 사용자터미널의 2차 E-RNTI가 이미 배치되어 있으면(즉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었다면), 네트워크터미널은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범위를 모든 HARQ 프로세스(All HARQ process)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터미널이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터미널이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게 되어, 작업전송속도허가값을 저장된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설정하며(즉 변수 Serving_Grant를 변수 Stored_Secondary_Grant로 설정),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한다(즉, 작업전송허가는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우(40)을 통하여, 네트워크터미널이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고자 할 때, 네트워크터미널은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범위 칼럼을 '모든 HARQ 프로세스'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터미널이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터미널은 변수 Primary_Grant_Available을 '거짓'으로 설정하여, 네트워크터미널이 2차 절대전송 속도허가 정보를 통해 사용자터미널의 전송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터미널이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통하는 동시에 한 그룹의 사용자터미널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플로우(40)는 네트워크터미널의 신호 전송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무선리소스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의거하여 진행한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이 포괄하는 범위 내에 속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은 각각 사용자터미널과 네트워크터미널에 실현시킬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킨 후, 사용자터미널의 전송 파라미터가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을 받도록 유지시킴으로써 네트워크터미널의 신호 전송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무선리소스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터미널에 사용되어 제1 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Primary Absolute Grant)를 수신하여,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이때 모든 HARQ 프로세스가 이미 비활성화되고,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어 있으면,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고,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터미널에 사용되어 제1 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터미널은 2ms의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는 단일한 HARQ 프로세스(Per HARQ process)에 대하여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부가되 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제1 HARQ 프로세스의 비활성화를 처리함으로써, 무선 신호 리소스의 낭비를 막는데 사용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데 사용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그 중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Primary Absolute Grant)를 수신하여,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수단과;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수단; 및
    이때 모든 HARQ가 이미 비활성화되고, 또한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어 있으면, 모든 HARQ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고, 2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지정한 절대전송속도허가값으로 전송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2ms의 전송시간 간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는 단일한 HARQ 프로세스(Per HARQ process)에 대하여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부가되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일종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터미널에 사용되어 사용자터미널의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 남은 유일하게 비활성화되지 않은 HARQ 프로세스일 때,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범위를 모든 HARQ 프로세스(All HARQ process)로 설정하고,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에게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터미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터미널에 사용되어 사용자터미널의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부가되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일종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터미널의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켜 무선 신호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데 사용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사용자터미널의 2차 전송속도허가 기능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1 HARQ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의 마지막 남은 유일하게 비활성화되지 않는 HARQ 프로세스일 때,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의 영향범위를 모든 HARQ 프로세스(All HARQ process)로 설정하고,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가 상기 사용자터미널에게 상기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는 수단; 및
    상기 1차 절대전송속도허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터미널로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터미널의 제1 HARQ 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켜 무선 신호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통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부가되 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70027238A 2006-03-20 2007-03-20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885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356106P 2006-03-20 2006-03-20
US60/743,561 2006-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243A KR20070095243A (ko) 2007-09-28
KR100885257B1 true KR100885257B1 (ko) 2009-02-23

Family

ID=3819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238A KR100885257B1 (ko) 2006-03-20 2007-03-20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73450B2 (ko)
EP (1) EP1838027B1 (ko)
JP (1) JP4504393B2 (ko)
KR (1) KR100885257B1 (ko)
CN (1) CN101043307B (ko)
ES (1) ES2851223T3 (ko)
TW (1) TWI3494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3156B2 (en) 2006-04-19 2010-04-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user equipment operation by considering scheduling information with regard to the use of relative grants
CN101436888B (zh) * 2007-11-15 2013-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的方法、系统、基站和用户终端
US9526091B2 (en)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EP2914045B1 (en) * 2012-11-20 2017-03-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Group scheduling method and corresponding user equipment
US10455611B2 (en) * 2015-09-16 201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N111756480B (zh) * 2019-03-28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关闭harq进程的方法、接收设备以及发送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077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압축 모드를 고려하여 스케쥴링을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098B1 (ko) 1999-04-27 2003-05-14 휴우즈 일렉트로닉스 코오포레이션 통신 네트워크에서 레이트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는시스템 및 방법
DE60040805D1 (de) 1999-12-20 2008-12-24 Research In Motion Ltd Hybrid-wiederholungsaufforderungsystem und -verfahren
ATE309652T1 (de) 2001-11-16 2005-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rq wiederübertragungsverfahren mit inkrementaler redundanz unter verwendung von bit umordnungsarten
ATE303687T1 (de) 2001-11-16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ybrides arq verfahren zur datenpaketübertragung
CN1245041C (zh) * 2002-02-01 2006-03-08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利用harq进程的接收状态避免停顿的方法
TWI301381B (en) * 2005-03-24 2008-09-21 Nokia Corp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and mobile station and network nod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824953B2 (ja) * 2005-06-23 2011-11-3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並びに移動局及び基地局
US7613157B2 (en) * 2005-08-30 2009-11-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nhanced uplink scheduling gra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077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압축 모드를 고려하여 스케쥴링을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3gpp.org/FTP/tsg_ran/TSG_RAN/TSGR_28/Docs/PDF/RP-050326.pdf, 3GPP TSG-RAN-WG2 Meeting #47, R2-051707, 8-14 May 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243A (ko) 2007-09-28
TW200737816A (en) 2007-10-01
JP4504393B2 (ja) 2010-07-14
CN101043307B (zh) 2010-11-03
US8073450B2 (en) 2011-12-06
ES2851223T3 (es) 2021-09-03
EP1838027B1 (en) 2020-11-18
US20070218907A1 (en) 2007-09-20
CN101043307A (zh) 2007-09-26
TWI349457B (en) 2011-09-21
EP1838027A3 (en) 2010-09-15
JP2007259443A (ja) 2007-10-04
EP1838027A2 (en)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029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서의 서빙그랜트 설정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9309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시작을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US8031738B2 (en) Method of enhancing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CA2599194C (en) Retransmission process control method
KR101236250B1 (ko) E-dch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702234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5101704B2 (ja) Ulレート違反検知
KR10089265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8525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프로세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724395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再送を起動させる方法及び装置
JP2010515369A (ja) 瞬間データ速度の高速化による効率的上り回線動作
US20080070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rving gra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120452A (ko) 무선통신시스템의 미디어액세스제어층에 패킷을 구축하는방법 및 장치
KR10094423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채널의 컨피겨레이션을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2534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빙그랜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