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21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211A
KR20070097211A KR1020060028097A KR20060028097A KR20070097211A KR 20070097211 A KR20070097211 A KR 20070097211A KR 1020060028097 A KR1020060028097 A KR 1020060028097A KR 20060028097 A KR20060028097 A KR 20060028097A KR 20070097211 A KR20070097211 A KR 2007009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torage
bottle
seating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하
장영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7211A/ko
Priority to US11/705,543 priority patent/US20070228909A1/en
Priority to EP07102223A priority patent/EP1840491A2/en
Priority to CNA2007100847094A priority patent/CN101046343A/zh
Publication of KR2007009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얹어 저장할 수 있도록 병 수납선반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저장실의 내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병 수납선반을 포함하며 병 수납선반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1 안착부가 마련된 제 1 분할선반과,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2 안착부가 마련된 제 2 분할선반을 포함한 것으로, 제 1 안착부와 제 2 안착부는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제 2 분할선반이 후진하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질 수 있게 되므로, 제 2 분할선반을 후진시켜 저장실의 전방측 공간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세워서 저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병 수납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병 수납선반이 저장실의 후방측 공간과 전방측 공간을 모두 상하로 구획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병 수납선반이 저장실의 후방측 공간만을 모두 상하로 구획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병 수납선반이 저장실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병 수납선반에 적용된 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병 수납선반에 적용된 록킹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저장실
12: 제 1 가이드레일 12a: 제 1 가이드홈
12b: 걸림턱 13: 제 2 가이드레일
13a: 제 2 가이드홈 14: 스토퍼
20: 도어 30: 병 수납선반
31: 제 1 분할선반 31a: 제 1 안착부
31c: 제 1 지지부재 32: 제 2 분할선반
32a: 제 2 안착부 32c: 제 2 지지부재
32d: 제 1 지지홈 31b, 32b: 관통공
33: 록킹부재 33a: 가이드돌기
33b: 손잡이부 40: 범용 수납선반
41: 제 2 지지홈
본 발명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얹어 저장할 수 있도록 병 수납선반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에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장실이 마련되어 저장실에 담긴 저장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써, 외관을 형성하며 저장물이 담기는 저장실이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도어와, 본체 내에 내장되어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냉장고 중에는 한국특허공개 2005-11038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 은 와인냉장고가 있다.
종래의 와인 냉장고는 병 타입 용기에 담긴 와인, 즉, 와인이 담긴 와인병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와인 냉장고의 저장실에는 다수의 와인병을 효율적으로 저장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의 병 수납선반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와인 냉장고에 저장되는 와인병은 통상 그 입구가 코르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데, 외부 공기 유입에 의한 와인의 산화를 막기 위해서는 코르크가 젖은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하므로, 와인이 담긴 와인병은 눕혀진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와인 냉장고에는 와인병들이 병 수납선반에 눕혀진 상태로 저장되며, 병 수납선반은 다수의 와인병이 효율적으로 수납 및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병 수납선반들 사이의 간격은 와인병의 직경에 비해 약간 넓은 정도로 형성된다.
그런데, 마시기 위해 입구를 개봉하였던 와인병의 경우, 와인이 남아 보관을 위해 코르크로 와인병의 입구를 다시 막는다 할지라도 와인병 입구의 밀봉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개봉되었던 와인병을 저장실에 눕힌 상태로 수납할 경우 와인병의 입구와 코르크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남아있던 와인이 흘러나올 수 있다.
따라서, 일단 개봉되었던 와인병의 경우 세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와인 냉장고는 병 수납선반들 사이의 간격이 와인병의 직경에 비하여 약간 높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인병을 세운 상태로 저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와인과 같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세운 상태나 눕힌 상태 중 선택하여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실 내측에 깊숙하게 배치되어 있는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내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병 수납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병 수납선반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1 안착부가 마련된 제 1 분할선반과,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2 안착부가 마련된 제 2 분할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은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전방측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지며, 상기 제 1 안착부와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질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부는 제 1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 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가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각각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양 측단에는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양 측단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1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마련된 제 1 가이드레일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마련된 제 2 가이드레일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진퇴이동이 상기 제 1 가이드홈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양측에 측방으로 각각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부재와, 상기 제 1 가이드레일로부터 돌출되어 측방으로 전진한 상기 록킹부재의 후단에 걸리는 걸림턱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방을 향한 상기 록킹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단이 상기 걸림턱 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좌우 방향 폭과 상기 가이드돌기의 좌우 방향 폭의 합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좌우 방향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의 하면에는 외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록킹부재를 측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의 전후 방향 양단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부 및 상기 제 2 안착부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부 및 상기 제 2 안착부에는 냉기가 상하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또한, 상기 병 수납선반의 하측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범용 수납선반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전단 상측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입구측 단부가 비스듬히 경사지게 지지되는 제 1 지지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범용 수납선반의 상면 전방측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하단 후방측이 지지되는 제 2 지지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내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병 수납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병 수납선반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는 제 1 분할선반과,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전방측에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지는 제 2 분할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분할선반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1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1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안착부와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질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부는 제 1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가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각각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며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다수의 제 1 안착부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 1 분할선반과, 상기 제 1 분할선반 의 전방측에 후방측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다수의 제 2 안착부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 2 분할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이 서로 지지되게 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 중 상기 제 1 안착부들의 전단에 고정된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들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분할선반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들이 서로 지지되게 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 중 상기 제 2 안착부들의 후단에 고정된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종류의 냉장고 중 병 타입 용기에 담긴 와인의 저장을 위한 와인 냉장고를 예로써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와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저장실(11)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체(10) 내에는 저장실(1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저장실(11)에는 저장실(11)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다수의 저장물이 효율적으로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수납선반(30, 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납선반(30, 40)에는 와인병과 같이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병 수납선반(30)과,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저장물이 모두 얹혀져 수납될 수 있게 하는 범용 수납선반(40)이 포함되어 병 수납선반(30)과 범용 수납선반(40)이 저장실(11)의 상하측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병 수납선반(30)은 와인병 등의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세워서 저장하는 경우 등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실(11)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실(11)의 전방측 공간이 병 수납선반(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획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저장실(11)에 저장될 저장물의 높이가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낮을 경우에는 저장실(11)의 전방측 및 후방측 공간이 모두 병 수납선반(30)에 의해 구획되도록 하다가, 저장실(11)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세워진 상태로 저장될 경우와 같이 저장될 저장물의 높이가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높을 경우에는 병 수납선반(3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줄여 병 수납선반(30)이 저장실(11)의 후방측 공간만을 상하로 구획하게 함으로써, 저장실(11)의 전방측 공간에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저장실(11)의 전방측 공간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로 구 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병 수납선반(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실(11)의 후방측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분할선반(31)과, 제 1 분할선반(31)의 전방측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진하며 제 1 분할선반(31)과 겹쳐지는 제 2 분할선반(32)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분할선반(32)이 제 1 분할선반(3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장실(11)의 전방측 공간은 제 2 분할선반(3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저장실(11)의 후방측 공간은 제 1 분할선반(3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므로 병 수납선반(30)에 의해 저장실(11)의 전방측 공간과 후방측 공간은 모두 상하로 구획된다.
제 2 분할선반(32)이 후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분할선반(31)과 겹쳐져 있을 경우에는 제 1 분할선반(31) 및 제 2 분할선반(32)에 의해 저장실(11)의 후방측 공간만이 상하로 구획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분할선반(31)에는 병 타입 용기가 얹혀질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안착부(31a)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분할선반(32)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얹혀질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 2 안착부(32a)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분할선반(32)이 제 1 분할선반(3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분할선반(31)에 마련된 제 1 안착부(31a)와 제 2 분할선반(32)에 마련된 제 2 안착부(32a)에 각각 1열씩 총 2열로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 1 분할선반(31)과 제 2 분할선반(32)이 서로 겹쳐져 병 수납선반(30)의 길이가 줄어들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안착부(31a)와 제 2 안착부(32a) 중 어느 하나에만 1열로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안착시켜 저장하고, 제 2 분할선반(32)에 의해 구획되어 있던 저장실(11) 전방측 공간에는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안착부(31a)와 제 2 안착부(32a)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 1 안착부(31a)와 제 2 안착부(32a)에는 냉기가 상하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31b, 32b)이 각각 마련되어 상측에 얹힌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에 냉기가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 2 분할선반(32)이 후방측으로 이동하며 제 1 분할선반(31)과 겹쳐지는 과정에서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2 분할선반(32)은 제 1 분할선반(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분할선반(32)은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하며 제 1 분할선반(31)과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분할선반(3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1 분할선반(31)에 겹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안착부(31a)와 제 2 안착부(32a)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분할선반(32)이 후방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제 2 안착부(32a)들 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는 제 1 안착부(31a)들 사이의 공간으로 각각 진입하게 되므로 제 2 분할선반(32)은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하며 제 1 분할선반(31)과 겹쳐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은 변화하지 않으면서도 병 수납선반(30)의 전체적인 전후 방향 길이는 줄어들어 제 2 분할선반(3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던 저장실(11)의 전방측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저장실(11)의 전방측 공간에 병 타입 용기를 세운 상태로 저장하거나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분할선반(31)에는 다수의 제 1 안착부(31a)들이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지지부재(31c)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 2 분할선반(31)에는 다수의 제 2 안착부(32a)들이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지지부재(32c)가 포함되어 제 1 지지부재(31c)와 제 2 지지부재(32c)를 통해 제 2 분할선반(32)의 진퇴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지지부재(31c)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제 1 안착부(31a)들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다수의 제 1 안착부(31a)들이 상호 지지되게 하며, 제 2 지지부재(32c)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며 다수의 제 2 안착부(32a)들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다수의 제 2 안착부(32a)들이 상호 지지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지지부재(31c)는 한 쌍이 마련되어 제 1 안착부(31a)들의 전단 및 후단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제 2 지지부재(32c)는 한 쌍이 마련되어 제 2 안착부(32a)들의 전단 및 후단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 1 안착부(31a)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안착부(32a)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지지부재(31c)들 중 전단측에 고정된 제 1 지지부재(31c)의 상면은 제 1 안착부(31a)들 사이의 공간으로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제 2 지지부재(32c)들 중 후단측에 고정된 제 2 지지부재(32c)의 상면은 제 2 안착부(32a)들 사이의 공간으로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노출되어 있는 제 1 지지부재(31c)의 상면에 제 2 안착부(32a)들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노출되어 있는 제 2 지지부재(32c)의 상면에 제 1 안착부(31a)들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 1 분할선반(31)과 제 2 분할선반(32)이 전단측에 위치한 제 1 지지부재(31c)와 후단측에 위치한 제 2 지지부재(32c)를 통해 서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제 2 분할선반(32)의 진퇴이동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로 저장실(11)의 전방측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분할선반(32)의 전단에는 상측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입구측 단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제 1 지지홈(32d)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병 수납선반(30)의 하측에 위치한 범용 수납선반(40)의 상면 전방측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하단 후방측이 지지되는 제 2 지지홈(41)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입구측은 제 1 지지홈(32d)에 지지되고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하단은 제 2 지지홈(41)에 지지되어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저장실(11)의 전방측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병 수납선반(30)을 저장실(11)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 1 분할선반(31)의 양측에는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제 2 분할선반(32)의 양 측단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2)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실(11)의 양 측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의 제 1 가이드레일(12)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13)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이드레일(12)에는 제 2 분할선반(32)의 양단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제 1 가이드홈(12a)이 마련되고 제 2 가이드레일(13)에는 제 1 가이드레일(12)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홈(13a)이 마련되며, 제 2 분할선반(32)의 양측에는 제 1 가이드홈(12a) 내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3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2)의 전단에는 제 1 가이드홈(12a)에 수용되어 있는 가이드돌기(33a)의 전단에 걸려 제 2 분할선반(32)의 진퇴이동이 제 1 가이드레일(12) 내에서만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 스토퍼(14)가 각각 고정된다. 이때, 스토퍼(14)의 후면에는 제 1 가이드홈(12a) 내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부(14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장실(11)에 수납선반(30, 40)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해 제 2 분할선반(32)이 저장실(11)의 후방측으로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해 제 2 분할선반(31)을 전방측으로 당기면 제 2 분할선반(32)이 제 1 가이드레일(12)에 의해 안내되어 저장실(11)의 전방측으로 이 동하다가 스토퍼(14)에 부딪쳐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제 2 분할선반(32)이 제 1 분할선반(31)의 전방측에 배치되므로 제 1 분할선반(31)과 제 2 분할선반(32)에 각각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장실(11) 내측에 위치한 제 1 분할선반(31)에 저장물을 수납하거나 제 1 분할선반(31)에 얹힌 저장물을 인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제 2 분할선반(32)에 힘을 가하여 전방측으로 당기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이 스토퍼(14)를 통해 제 1 가이드레일(12)에 전달되어 제 1 가이드레일(12)이 제 2 가이드레일(13)에 마련된 제 2 가이드홈(13a)에 의해 안내되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레일(12)에 설치되어 있는 병 수납선반(30)이 전체적으로 저장실(11)의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저장실(11)의 깊은 곳에 위치하던 제 1 분할선반(31)에 담긴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제 1 분할선반(31)에 저장물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와인 냉장고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분할선반(32)이 제 1 가이드레일(12)의 전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록킹장치를 더 포함한다.
록킹장치는 제 2 분할선반(32)의 양측에 각각 양 측방으로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록킹부재(33)와, 제 1 가이드레일(12)로부터 돌출되어 록킹부재(33)가 제 2 분할선반(32)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경우에 록킹부재(33)의 후단에 걸려 제 2 분할선반(32)의 후방측으로의 진행을 막는 걸림턱(12b)을 포함하며, 록킹부재(33)의 하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 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3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을 향하고 있는 록킹부재(33)의 선단에 상기에 언급한 가이드돌기(3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걸림턱(12b)은 제 1 가이드홈(12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돌기(33a)의 후단이 걸림턱(12b)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홈(12a)의 좌우 방향 폭(W1)은 록킹부재(33)가 측방으로 진퇴이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록킹부재(33)의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3a)의 좌우 방향 폭(W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돌기(33a)의 좌우 방향 폭(W2)과 걸림턱(12b)의 좌우 방향 폭(W3)의 합(W2+W3)은 제 1 가이드홈(12a)의 좌우 방향 폭(W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가 록킹부재(33)가 양 측방으로 전진한 상태에서는 가이드돌기(33a)가 걸림턱(12b)에 걸려 제 1 가이드홈(12a)을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제 2 분할선반(32)이 제 1 가이드레일(12)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손잡이부(33b)를 통해 외력을 가해 록킹부재(33)가 제 2 분할선반(32)측으로 후진하게 하면 가이드돌기(33a)가 제 1 가이드홈(12a)을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분할선반(32)을 제 1 가이드홈(12a)을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록킹부재(33)의 후단측은 탄성부재(33c)에 의해 측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으며, 걸림턱(12b)의 전후 방향 양단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33b)에 의해 힘이 가해질 경우 뿐만 아니라 제 2 분할선반(32)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도 록킹부재(33)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걸림턱(12b)의 전후 방향 양단 면을 따라 이동하며 후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수납선반(30)이 와인 냉장고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인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냉장고에도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눕힌 상태로 수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제 1 분할선반에 마련된 제 1 안착부와 제 2 분할선반에 마련된 제 2 안착부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지도록 제 2 분할선반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 2 분할선반을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저장실 전방측 공간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을 세워서 저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병 수납선반이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이 다시 다시 저장실의 양측에 설치된 제 2 가이드레일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가이드레일을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며 병 수납선반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저장실 깊숙한 곳에 수납되어 있던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내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병 수납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병 수납선반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1 안착부가 마련된 제 1 분할선반과,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2 안착부가 마련된 제 2 분할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은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전방측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지며, 상기 제 1 안착부와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질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는 제 1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가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각각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양 측단에는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양 측단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1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마련된 제 1 가이드레일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마련된 제 2 가이드레일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진퇴이동이 상기 제 1 가이드홈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양측에 측방으로 각각 진퇴이동 가능 하게 설치된 록킹부재와, 상기 제 1 가이드레일로부터 돌출되어 측방으로 전진한 상기 록킹부재의 후단에 걸리는 걸림턱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측방을 향한 상기 록킹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좌우 방향 폭과 상기 가이드돌기의 좌우 방향 폭의 합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좌우 방향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하면에는 외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록킹부재를 측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 함하며, 상기 걸림턱의 전후 방향 양단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 및 상기 제 2 안착부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 및 상기 제 2 안착부에는 냉기가 상하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납선반의 하측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범용 수납선반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전단 상측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입구측 단부가 비스듬히 경사지게 지지되는 제 1 지지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범용 수납선반의 상면 전방측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하단 후방측이 지지되는 제 2 지지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내에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병 수납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병 수납선반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는 제 1 분할선반과,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전방측에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지는 제 2 분할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선반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1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은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제 1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안착부와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과 겹쳐질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는 제 1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 2 안착부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가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 사이의 공 간으로 각각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양 측단에는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양 측단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1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마련된 제 1 가이드레일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 2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마련된 제 2 가이드레일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진퇴이동이 상기 제 1 가이드홈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선반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양측에 측방으로 각각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부재와, 상기 제 1 가이드레일로부터 돌출되어 측방으로 전진한 상기 록킹부재의 후단에 걸리는 걸림턱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측방을 향한 상기 록킹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좌우 방향 폭과 상기 가이드돌기의 좌우 방향 폭의 합은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좌우 방향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하면에는 외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록킹부재를 측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의 전후 방향 양단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 및 상기 제 2 안착부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착부 및 상기 제 2 안착부에는 냉기가 상하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수납선반의 하측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범용 수납선반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 2 분할선반의 전단 상측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입구측 단부가 비스듬히 경사지게 지지되는 제 1 지지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범용 수납선반의 상면 전방측에는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의 하단 후방측이 지지되는 제 2 지지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며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다수의 제 1 안착부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 1 분할선반과, 상기 제 1 분할선반의 전방측에 후방측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병 타입 용기를 갖는 저장물이 눕혀진 상태로 안착되는 다수의 제 2 안착부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 2 분할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할선반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이 서로 지지되게 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 중 상기 제 1 안착부들의 전단에 고정된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들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선반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들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제 2 안착부들이 서로 지지되게 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 중 상기 제 2 안착부들의 후단에 고정된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다수의 제 1 안착부들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60028097A 2006-03-28 2006-03-28 냉장고 KR20070097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097A KR20070097211A (ko) 2006-03-28 2006-03-28 냉장고
US11/705,543 US20070228909A1 (en) 2006-03-28 2007-02-13 Refrigerator
EP07102223A EP1840491A2 (en) 2006-03-28 2007-02-13 Refrigerator
CNA2007100847094A CN101046343A (zh) 2006-03-28 2007-02-26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097A KR20070097211A (ko) 2006-03-28 2006-03-2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211A true KR20070097211A (ko) 2007-10-04

Family

ID=3820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097A KR20070097211A (ko) 2006-03-28 2006-03-2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28909A1 (ko)
EP (1) EP1840491A2 (ko)
KR (1) KR20070097211A (ko)
CN (1) CN1010463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20115U1 (de) * 2004-12-29 2006-05-11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gerät
US20090173101A1 (en) * 2008-01-04 2009-07-09 Vinotemp International Corporation Wine cabinet
TWI448655B (zh) * 2008-02-29 2014-08-11 Panasonic Corp A track device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device
US8926034B2 (en) * 2008-07-14 2015-01-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611612B1 (ko) * 2009-05-12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22153A (ko)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TR201010502A2 (tr) * 2010-12-15 2012-07-23 Bsh Ev Aletleri̇ San Ti̇c. A.Ş. Bir ev aleti ve özellikle bir şarap soğutucusu için raf düzeni
US9028020B2 (en) 2011-03-11 2015-05-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bilizing panel
US20140047851A1 (en) * 2011-03-28 2014-02-20 Praxair Technology, Inc. Bulk freezing of biopharmaceuticals
CN102261805B (zh) * 2011-06-30 2012-12-12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101911955B1 (ko) * 2011-10-26 2018-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881660B2 (en) * 2011-12-09 2014-11-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assembly
US8833875B2 (en) * 2011-12-22 2014-09-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Wine presenter
USD746643S1 (en) 2012-05-29 2016-01-05 Interdesign, Inc. Organizer
CN102721255A (zh) * 2012-07-06 2012-10-1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酒架及其制造方法和具有该酒架的冰箱
US9211009B2 (en) * 2012-09-28 2015-12-15 Youcopia Products, Inc.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varying shaped and sized spice bottles or containers
USD711936S1 (en) * 2013-02-08 2014-08-26 Vinotemp International Corporation Black wine rack face
US8840205B2 (en) * 2013-02-22 2014-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shelf assembly for the same
US20140246554A1 (en) * 2013-03-01 2014-09-04 Diane V. Forbus Inclined bottle holding device
US9222723B2 (en) * 2013-07-09 2015-12-29 Whirlpool Corporation Foldable rack for a refrigerator
CN104180602B (zh) * 2014-08-07 2016-05-25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组合式层架结构
US9335089B1 (en) * 2014-11-20 2016-05-1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rmless slide under shelf
US9593879B2 (en) * 2015-03-17 2017-03-14 Whirlpool Corporation U-shaped tuck shelf
USD826291S1 (en) * 2016-06-24 2018-08-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839323S1 (en) * 2016-07-01 2019-01-29 Lg Electronics Inc. Door for refrigerator
USD844033S1 (en) * 2016-07-01 2019-03-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843422S1 (en) * 2016-07-01 2019-03-19 Lg Electronics Inc. Door for refrigerator
US10874211B2 (en) 2016-10-13 2020-12-29 Cellar Solutions Inc. Shelving system for cellar
TR201701862A2 (tr) * 2017-02-08 2018-08-27 Arcelik As Bi̇r şi̇şe tutucu i̇çeren bi̇r buzdolabi
USD847218S1 (en) * 2017-04-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D859932S1 (en) 2017-05-01 2019-09-17 YouCopia Products Inc. Bottle organizer
USD847220S1 (en) 2018-07-18 2019-04-30 The Wine Enthusiast, Inc. Shelf for wine bottles
US11751700B2 (en) 2018-08-29 2023-09-12 Pepsico, Inc. Cooler for beverage and food products
USD919372S1 (en) 2019-03-01 2021-05-18 Youcopia Products, Inc. Bottle organizer
USD914407S1 (en) 2019-03-01 2021-03-30 Youcopia Products, Inc. Bottle organizer
USD919676S1 (en) * 2019-03-07 2021-05-18 Landig + Lava Gmbh & Co. Kg Shelf design
US10820725B1 (en) 2019-11-12 2020-11-03 Whirlpool Corporation Shelf and drawer assemblies for storing bottles
DE102020201781A1 (de) * 2020-02-13 2021-08-19 BSH Hausgeräte GmbH Lebensmittel-Lagereinheit mit spezifischer Flaschen-Lagerschiene, Auszugsvorrichtung, sowie Haushaltsgerät
US11519664B2 (en) 2020-07-16 2022-12-06 Hal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tractable soft-close shelf system
USD958850S1 (en) * 2020-10-14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R3121823B1 (fr) * 2021-04-16 2023-10-06 Frio Entreprise alimentation électrique de clayettes de cave à vin
US11723459B2 (en) * 2021-05-04 2023-08-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system for a beverage cabinet
USD973723S1 (en) * 2021-12-21 2022-12-27 Foshan Alpicool Electric Appliance Co., LTD. Car fridge
US20230228479A1 (en) * 2022-01-20 2023-07-2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ppliance
US11740012B2 (en) * 2022-01-21 2023-08-29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shelv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USD965033S1 (en) * 2022-03-25 2022-09-27 Guangzhou Tsunami Industrial Equipment Co., Ltd. Refrigerator
USD966349S1 (en) * 2022-06-07 2022-10-11 Guangzhou Boju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Refrigerator
USD973724S1 (en) * 2022-07-01 2022-12-27 Jiangsu Haitu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Ice mak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7432A (en) * 1932-02-01 1935-04-09 Copeland Refrigeration Corp Shelf construction
US2095811A (en) * 1934-03-30 1937-10-12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724630A (en) * 1952-05-08 1955-11-22 Gen Motors Corp Extensible slides for refrigerator shelves
US3859932A (en) * 1973-09-06 1975-01-14 Gen Electric Adjustable shelf assembly
US5813741A (en) * 1996-01-23 1998-09-2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shelf for a refrigerator
US5624043A (en) * 1996-03-19 1997-04-29 Baptista; Nelson L. Wine bottle supporting and serving tray
US6361129B1 (en) * 1999-05-21 2002-03-26 Boergen Arden L. Wine rack and display shelf
US6148813A (en) * 1999-08-17 2000-11-21 Maytag Corporation Telescoping oven rack assembly
US6729704B2 (en) * 2000-12-22 2004-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vable glass encapsulated shelves
US7270385B2 (en) * 2002-02-12 2007-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Spill proof shelf assembly method and structure
JP2003265280A (ja) * 2002-03-18 2003-09-24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の棚装置
US7063219B2 (en) * 2003-02-03 2006-06-20 Viking Range Corporation Adjustable wine rack
US6981597B2 (en) * 2003-05-22 2006-01-03 Cash James M Storage unit and system
DE202004001240U1 (de) * 2004-01-28 2005-06-09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Flaschenbord und Flaschenlager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0491A2 (en) 2007-10-03
US20070228909A1 (en) 2007-10-04
CN101046343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7211A (ko) 냉장고
EP2594874B1 (en) Refrigerator
KR20110002589A (ko)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8608263B2 (en) Beverage container storage and dispensing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KR100875427B1 (ko) 냉장고의 캔 수납장치
RU2331029C2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70065750A (ko) 분할판을 갖는 저장용기
KR20090005503U (ko) 달걀트레이를 갖는 냉장고
US20210059409A1 (en) Beverage holder
KR101510695B1 (ko) 냉장고
CN113375392A (zh) 冰箱
KR20030023076A (ko) 냉장고의 와인병 수납장치
KR200318313Y1 (ko) 와인통 겸용 병 수납장치_
JPH0930333A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
KR100575222B1 (ko) 냉장고
KR20070019219A (ko) 냉장고용 야채박스커버
KR200239615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19990021442A (ko) 냉장고용 도아의 선반구조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JP2022112733A (ja) 冷蔵庫
KR20050003865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200208225Y1 (ko) 냉장고의가드가이드
CN113375393A (zh) 冰箱
KR100388688B1 (ko) 냉장고
KR200235379Y1 (ko) 냉장고의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