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615Y1 -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 Google Patents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615Y1
KR200239615Y1 KR2019980001594U KR19980001594U KR200239615Y1 KR 200239615 Y1 KR200239615 Y1 KR 200239615Y1 KR 2019980001594 U KR2019980001594 U KR 2019980001594U KR 19980001594 U KR19980001594 U KR 19980001594U KR 200239615 Y1 KR200239615 Y1 KR 200239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door
article
receiving portio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897U (ko
Inventor
윤수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1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61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615Y1/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가드에는 복수의 계란수용홈을 갖는 계란수용부와;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수용부가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어가드내에 계란 및 물품을 구획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며, 계란 및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
본 고안은,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 및 물품을 보관가능하며, 계란의 양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공간활용 가능한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저온의 냉동실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장실을 가지며, 이들 냉동실과 냉장실내에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선반과 저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냉동실과 냉장실 전방에 형성되어 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냉장고의 도어에는 도어가드가 설치되어 있어서, 병 및 캔류의 음료수와 적게 포장된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냉장고의 도어가드와 도어가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어(131)는, 판상의 도어외판(미도시)과, 도어외판(미도시)과 단열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도어내판(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도어외판(미도시)의 일측영역에는 도어(131)의 개폐를 위한 파지를 제공하는 도어손잡이(13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31)의 내벽면(135)에는 물품을 수용하는 도어가드(101)가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어가드(101)는 직사각 통형상을 가지며, 상향 개구된 물품수용부(109)를 형성하고 있다. 상호 대향하는 양측 외면에는 상하방향의 슬라이딩홈(107)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은 도어(101)의 내벽면(135)에 대응하여 형성된 슬라이딩안내돌기(137)에 슬라이딩 장착된다. 그리고, 개구 상면에는 물품수용부(109)내에 수용되는 병이나 그밖의 물품을 지지하는 가드바아(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의 냉각실내에서는, 도어(131)의 내벽면(13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도어가드(101)에 물품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도어가드(101)내에 계란을 수용할 때, 계란의 유동이 발생하여 계란이 파손될 수 있으며, 계란수용을 위한 도어가드 또는 별도로 제작된 계란용기를 사용할 때, 재료비 상승 및 계란 이외의 물품을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계란저장용기 및 물품저장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방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도어가드와 도어가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조계란판이 물품수용부 위에 위치한 I-I선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2의 보조계란판이 계란수용부 위에 위치한 I-I선의 부분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냉장고의 도어가드와 도어가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냉장실
21 : 도어 31 : 도어
33 : 도어손잡이 35 : 내벽면
37 : 슬라이딩안내돌기 39 : 돌출부
41 : 도어가드 43 : 계란수용부
45 : 계란수용홈 46 : 걸림턱
47 : 물품수용부 48 : 지지돌기
49 : 슬라이딩홈 51 : 보조계란판
53 : 보조수용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가드에는 복수의 계란수용홈을 갖는 계란수용부와;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수용부가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계란수용부는 상기 물품수용부의 기준면에 대해 층상으로 융기되어 있고; 상기 계란수용홈은 상기 계란수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란수용부와 상기 물품수용부는 좌우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란수용부의 계란수용홈에 대응하는 다수의 보조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계란수용부와 상기 물품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위치고정가능한 보조계란판을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란수용부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계란판을 수평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계란수용부와 상기 물품수용부의 격벽에는 상기 보조계란판의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냉동실(미도시)과 냉장실(11)이 좌우로 구획된 본체(1)가 있으며, 냉동실(미도시)과 냉장실(11)의 개구전면에는 힌지를 축으로 회동개폐하는 도어(21,31)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1)에는 복수의 선반(13)이 수평하게 층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복수의 저장실(19)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음식물 냄새를 제거해 주는 저온탈취기(17)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21,31)에는, 판상의 도어외판(미도시)과, 도어외판(미도시)과 단열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도어내판(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외판(미도시)의 일측영역에는 냉장실도어(31)의 개폐시, 파지를 제공하는 도어손잡이(3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내벽면(35)에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도어가드(41)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드와 도어가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조계란판이 물품수용부 위에 위치한 I-I선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보조계란판이 계란수용부 위에 위치한 I-I선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어가드(41)는, 도어(21,31)의 내벽면(35)에 장착되며, 상부 및 후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가드(41)에는 상부 좌측영역에 계란을 수용할 수 있는 계란수용부(43)와, 우측영역에 계란보다 크기가 작거나 계란 이외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물품수용부(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란수용부(43)와 물품수용부(47)의 상부에 위치이동 가능한 보조계란판(51)이 마련되어 있다.
계란수용부(43)는 거의 작사각형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란수용부(43)의 상부에는 복수의 원형형태의 계란수용홈(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물품수용부(47)와 인접한 우측 연부에는 상부로 연장하여 형성된 걸림턱(46)이 형성되어 있다. 계란수용홈(45)은 계란의 일부를 하부로 관통시키며, 계란의 나머지 부분을 상부에 접촉지지하여 계란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턱(46)은 보조계란판(51)을 계란수용부(43)에 설치시, 물품수용부(47)의 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며, 보조계란판(51)을 물품수용부(47)에 설치시, 계란수용부(43)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즉, 걸림턱(46)은 측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준다.
물품수용부(47)는 계란수용부(43)의 기준면에 대하여 함몰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좌측연부가 상부로 연장되어 외부측면에서 계란수용부(43)의 우측 말단과 수직연결된다. 이러한 물품수용부(47)의 좌측연부와 계란수용부(43) 우측 말단의 연결부의 상부로 상술한 걸림턱(46)이 형성되는 것이다. 물품수용부(47)에는 계란보다 적은 크기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상부로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즉, 물품수용부(47)는 계란 이외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물품수용부(47)에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양측연부의 내부에 한쌍의 지지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돌기(48)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내향돌출되어 있으며, 지지돌기(48)의 상면에는 물품수용부(47)에 보조계란판(51)을 수용할 때, 물품수용부(47)의 양측 말단영역의 하부면이 지지돌기(48)의 상면에 접촉유지되어 물품수용부(47)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보조계란판(51)은 계란수용부(43)와 물품수용부(47)의 상면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계란수용부(43)와 물품수용부(47)의 상부에 위치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계란판(51)에는 물품수용부(47)의 지지돌기(49)의 상부에 지지되어 계란을 수용할 경우에, 상술한 계란수용부(43)에 형성된 계란수용홈(45)과 동일하게 계란을 지지해 주며, 보조계란판(51)을 계란수용부(43)의 상부에 위치시, 계란수용부(43)의 계란수용홈(45)의 상부에 위치하며, 동일한 원형모양을 가지는 보조계란공(5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장고 도어(21, 31)의 내벽면(35)에는 상하 방향 양측 연부를 따라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도어가드(41) 장착을 위한 복수쌍의 돌출부(39)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의 상호 대면에는 각각 도어가드(41)의 슬라이딩홈(49)내에 수용되는 슬라이딩안내돌기(37)가 내향돌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냉장고에는, 도어(31)의 내벽면(35)에 도어가드(41)가 슬라이딩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가드(41)내에 계란 및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가능하다. 계란의 양이 적을 경우에 보조계란판(51)을 계란수용부(43)의 상부에 위치시키며, 계란은 보조계란판(51)의 보조수용공(53)과 계란수용부(43)의 계란수용홈(45)을 통하여 접촉유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물품수용부(47)에는 계란이외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계란의 양이 많을 경우에, 보조계란판(51)을 물품수용부(47)에 형성된 지지돌기(48) 위에 안착시켜서, 계란수용부(43) 및 보조계란판(51)에 계란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계란판(51)이 설치된 물품수용부(47)의 바닥면에는 보조계란판(51)에 수용된 계란의 밑면까지의 높이보다 적은 물품을 보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계란의 양에 따라서, 보조계란판(51)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계란수용부(43) 및 물품수용부(47)를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계란수용홈(45)이 계란수용부(43)에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계란수용홈(45)이 계란수용부(43)의 기준면에 대하여 함몰되어 바닥면을 형성함에 의해서도,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후벽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어가드(4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어가드(41)에 후벽면을 형성함에 의해서도,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드바아를 갖지않는 도어가드(4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어가드(41) 양측 상부면에 설치공을 마련하고, 가드바아를 설치함에 의해서도,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계란수용부(43)가 물품수용부(47)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를 융기되어 있는 도어가드(4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계란수용부(43)를 물품수용부(47)와 동일의 평면에 형성하며, 계란수용부(43)의 양측연부 상단에 물품수용부(47)에 형성된 지지돌기(48)와 동일한 지지대를 형성하여, 보조계란판(51)을 계란수용부(43)의 상방에 설치해서 계란수용부(43) 및 보조계란판(51)에 각각 계란을 수용함에 의해서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가드내에 계란수용부 및 물품수용부를 마련하여, 계란 및 물품을 수용시킬 수 있으며, 계란의 양에 따라서, 도어가드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드에는 복수의 계란수용홈을 갖는 계란수용부와,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계란수용부와 상기 물품수용부는 걸림턱에 의해 좌우구획되고;
    상기 계란 수용부의 계란 수용홈에 대응하는 다수의 보조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계란수용부와 상기 물품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보조계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수용부는 상기 물품수용부의 기준면에 대해 층상으로 융기되어 있고;
    상기 계란수용홈은 상기 계란수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계란 수용부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계란판을 수평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계란판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80001594U 1998-02-10 1998-02-10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200239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594U KR200239615Y1 (ko) 1998-02-10 1998-02-10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594U KR200239615Y1 (ko) 1998-02-10 1998-02-10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97U KR19990035897U (ko) 1999-09-15
KR200239615Y1 true KR200239615Y1 (ko) 2001-11-22

Family

ID=6971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594U KR200239615Y1 (ko) 1998-02-10 1998-02-10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6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97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4877B1 (en) Refrigerator
KR101644018B1 (ko) 냉장고
US8608263B2 (en) Beverage container storage and dispensing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KR200265318Y1 (ko) 냉장고의도어가드
KR200239615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20090005503U (ko) 달걀트레이를 갖는 냉장고
KR20020012443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설치구조
KR200239614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20040100494A (ko) 냉장고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EP4242563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ainer
KR980009158U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KR100255865B1 (ko) 냉장고
KR19990032731U (ko) 냉장고용 도어가드
KR19990032729U (ko) 냉장고
KR20070062350A (ko) 냉장고용 선반
KR200217532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200217350Y1 (ko) 냉장고의 도어가드 높이 조절 구조
KR200164795Y1 (ko) 냉장고의 도어선반
KR20050003865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101838066B1 (ko) 냉장고 선반
KR19990029026U (ko) 도어가드를 갖는 냉장고
KR20020059173A (ko) 음료용기 보관함을 가진 냉장고
KR20000002567U (ko) 냉장고
KR19990032724U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