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567U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567U
KR20000002567U KR2019980012459U KR19980012459U KR20000002567U KR 20000002567 U KR20000002567 U KR 20000002567U KR 2019980012459 U KR2019980012459 U KR 2019980012459U KR 19980012459 U KR19980012459 U KR 19980012459U KR 20000002567 U KR20000002567 U KR 200000025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member
door
door guard
refrigerato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2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567U/ko
Publication of KR20000002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567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내부면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제1도어가드부재와;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도어가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수납물품에 따라 지지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도어가드부재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고안은 냉각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측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가드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냉동실(미도시) 및 냉장실(105)이 형성된 본체(101)와, 냉동실 및 냉장실(105)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도록 본체(101)에 결합되는 냉동실도어(107) 및 냉장실도어(109)를 가진다. 냉장실(105)의 내부영역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저장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105)내 상부영역에는 비교적 신선도가 요구되는 생선 등의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특선저장부(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장실(105)의 하부영역에는 과일 및 야채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야채저장고(113)가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들 특선저장부(111) 및 야채저장고(113)의 사이영역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어 음식물을 수납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선반(11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107,109)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외판(117)과, 도어외판(117)으로부터 단열재의 충전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도어내판(119)과, 도어외판(117)과 도어내판(119)의 상하단부를 차단하도록 이들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캡(121)을 가진다. 도어내판(119)의 좌우측 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23)에는 도어내판(119)과의 사이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배치되는 도어가드부재(125)가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도어가드부재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음료수 및 주류 등의 병류물품의 수납시에는 도어가드부재가 수납물품의 무게중심의 하측을 접촉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도어의 개방시 수납물품이 전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물품에 따라 지지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도어가드부재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냉각실
9 : 냉장실도어 19 : 도어내판
23 : 가이드부 27 : 도어가드부재
29 : 제1도어가드부재 33 : 제2도어가드부재
35 : 절곡수용부 38 : 제1돌기부
39 : 걸림돌기 42 : 제2돌기부
43 : 고정돌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냉각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면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제1도어가드부재와;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도어가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도어가드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의 내측에 수용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도어가드부재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일측단부로부터 다른 하나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절곡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절곡수용부는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수납공간측을 향하여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절곡수용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2도어가드부재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제2도어가드부재가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에 대해 상호 다른 높이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한 제2도어가드부재에는 상기 돌기부와 상호 탄성적으로 맞물림되는 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냉동실(미도시) 및 냉장실(5)이 형성된 본체(1)와, 냉동실 및 냉장실(5)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도록 본체(1)에 결합되는 냉동실도어(7) 및 냉장실도어(9)를 가진다. 냉장실(5)의 내부공간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저장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5)내의 상부영역에는 비교적 신선도가 요구되는 생선 등의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특선저장부(11)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장실(5)의 하부영역에는 과일 및 야채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야채저장고(13)가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들 특선저장부(11)와 야채저장고(13)사이영역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어 음식물을 수납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선반(15)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어(7,9)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외판(17)과, 도어외판(17)으로부터 단열재의 충전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도어내판(19)과, 도어외판(17)과 도어내판(19)의 상하단부를 차단하도록 이들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도어캡(21)을 가진다. 도어내판(19)의 좌우측 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23)의 내측연부에는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3)에는 거의“U”형상을 가지고 도어내판(19)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가드부재(27)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어가드부재(27)는, 양측벽부에 가이드부(23)의 가이드돌기(2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23)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도어가드부재(29)와, 제1도어가드부재(29)내에 승강가능하도록 수용결합되는 제2도어가드부재(33)를 가진다. 이들은 거의 “U”형상을 가지고 상호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제1도어가드부재(29)의 양측벽부의 도어내판영역에는 제2도어가드부재(33)의 측벽부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홈(37)이 형성된 절곡수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수용부(35)의 내벽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수용홈(37)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39)가 형성된 제1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어가드부재(33)의 양측벽부의 내측표면에는 절곡수용부(35)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돌기(39)와 상호 탄성적으로 맞물림결합되어 제2도어가드부재(33)가 제1도어가드부재(29)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돌기(43)가 형성된 제2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수납공간내에 병류의 수납물품이 수용되면 제1도어가드부재(29)에 대해 제2도어가드부재(33)가 인출될 수 있도록 제2도어가드부재(33)을 상측으로 당긴다. 그러면, 제1도어가드부재(29)의 양측벽부에 형성된 절곡수용부(35)의 자유단부측이 수용홈(37)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제2도어가드부재(33)는 제1도어가드부재(29)의 상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도어가드부재는(33) 병류 등의 비교적 긴 형상을 가지는 수납물품의 상부영역을 접촉지지하게 되어 냉장실도어(9)의 개방 등에 따른 수납물품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납물품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어가드부재(33)의 상단을 하향가압하여 제2도어가드부재(33)가 제1도어가드부재(29)내로 수용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2도어가드부재(33)는 수납물품의 하부영역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수납공간내에 수용된 수납물품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도어내판에 결합되는 제1도어가드부재내에 수용결합되는 제2도어가드부재를 구성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제2도어가드부재를 제1도어가드부재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도어가드부재에 절곡수용부를 구성하여 제2도어가드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제2도어가드부재의 단부에 절곡수용부를 형성하여 제1도어가드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납물품에 따라 지지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도어가드부재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5)

  1. 냉각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면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제1도어가드부재와;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도어가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드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의 내측에 수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도어가드부재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일측단부로부터 다른 하나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절곡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수용부는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수납공간측을 향하여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수용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2도어가드부재의 승강방향을 따라 상기 제2도어가드부재가 상기 제1도어가드부재에 대해 상호 다른 높이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한 제2도어가드부재에는 상기 돌기부와 상호 탄성적으로 맞물림되는 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80012459U 1998-07-08 1998-07-08 냉장고 KR200000025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59U KR20000002567U (ko) 1998-07-08 1998-07-0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59U KR20000002567U (ko) 1998-07-08 1998-07-0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567U true KR20000002567U (ko) 2000-02-07

Family

ID=6951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459U KR20000002567U (ko) 1998-07-08 1998-07-0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5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33B1 (ko) * 2001-11-16 2004-05-2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33B1 (ko) * 2001-11-16 2004-05-2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318Y1 (ko) 냉장고의도어가드
KR20000002567U (ko) 냉장고
KR20020012443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설치구조
KR101040795B1 (ko) 냉장고의 홈바
KR0133008Y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KR100844535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설치구조
KR200421232Y1 (ko) 거치 수납구조를 갖는 냉장고
KR200297195Y1 (ko) 냉장고의 도어 포켓
KR19990035661U (ko) 냉장고의 홈바
KR0117761Y1 (ko) 냉장고의 도아선반
KR0133009Y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KR200239615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19990038482U (ko) 냉장고
KR100353369B1 (ko) 냉장고의 다용도 수납장치
KR200340300Y1 (ko) 냉장고의도어포켓지지장치
KR200217350Y1 (ko) 냉장고의 도어가드 높이 조절 구조
KR100255865B1 (ko) 냉장고
KR100389404B1 (ko) 냉장고의 다용도 수납장치
KR200239614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200221240Y1 (ko) 냉장고용 병 지지구조
KR200165779Y1 (ko) 냉장고용 가드의 조립구조
KR20040008042A (ko) 냉장고의 선반어셈블리
KR200165125Y1 (ko) 냉장고용 도어가드
KR19990049526A (ko) 냉장고의 슬라이딩 포켓을 지니는 도어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