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328A -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 및 이 정보 매체의판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 및 이 정보 매체의판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328A
KR20070095328A KR1020077016009A KR20077016009A KR20070095328A KR 20070095328 A KR20070095328 A KR 20070095328A KR 1020077016009 A KR1020077016009 A KR 1020077016009A KR 20077016009 A KR20077016009 A KR 20077016009A KR 20070095328 A KR20070095328 A KR 20070095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area
light
phase shift
informatio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트 에프. 엠. 헨드릭스
레비누스 피. 바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9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03Shapes of record carriers other than disc shape
    • G11B7/24012Optical c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optical elements ; using other beam accessed elements, e.g. electron or ion beam

Abstract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의도된 데이터 영역을 갖는 정보 매체 상에 데이터 세트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서, 각 데이터 영역은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인접하지 않은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의 어레이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된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발생되도록, 상기 데이터 영역의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세트, 정보 매체, 데이터 영역, 인코딩, 투과 계수, 위상 편이 계수

Description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 및 이 정보 매체의 판독 시스템{Method of encoding data on an information carrier, system for reading such an information carrier}
본 발명은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 및 그러한 정보 매체의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 저장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근래, 콘텐트 배포에 있어 예컨대, DV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표준에 기초한 저장 시스템에 광 저장 솔루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광 저장은 정보 매체의 재생이 쉽고 경제적이라는 점에서 하드 디스크 및 고체(solid-state) 저장 방식에 비해 큰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드라이브 내의 이동 요소의 큰 용량에 기인하여, 광 저장 솔루션을 이용한 공지된 어플리케이션은 판독/기록 동작 중 상기 이동 요소에 대해 요구되는 안정성을 고려할 때 그러한 판독/기록 동작시의 충격에 강하지 못하다. 결국, 광 저장 솔루션은 휴대용 기기에서와 같이 충격을 받기 쉬운 어플리케이션에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없다.
그에 따라 최근 광 저장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 솔루션은 값싸고 분리 가능한 정보 매체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광 저장 방식의 장점과, 정보 매체가 조용하고 또한 그 판독에 제한된 수의 이동 요소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고체 저장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광 저장 솔루션을 나타내는 시스템의 3차원 도면이다.
이 시스템은 정보 매체(101)를 포함한다. 정보 매체는 s로 지시되는 크기를 가지고 매트릭스 내에 배열되는 데이터 영역 세트를 구비한다. 데이터는 다른 투과도 레벨, 예컨대 2-상태 데이터의 코딩을 위해 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료를 사용하는데 있어 2 레벨,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N 투과도 레벨(예컨대, N은 2log(N)-상태 데이터의 코딩을 위한 2의 정수 파워(integer power)이다)를 취하도록 의도된 재료의 사용을 통해 각 데이터 영역에 코딩된다.
이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 인가되도록 의도된 광 스폿(103)의 어레이를 생성시키기 위한 광 요소(102)를 또한 구비한다. 이 광 요소(102)는 그 입력에 가간섭성 광 빔(105)이 인가되는 도 2에 도시된 2차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대응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각 광 스폿은 상이한 서브-세트의 데이터 영역 위에 모든 광 스폿을 동시에 전이시키도록 광 요소(102)를 2차원으로 전이시키는 액츄에이터의 사용시 서브-세트의 데이터 영역에 연속적으로 인가되도록 의도된다(본 실시예에서 서브-세트는 4*4 데이터 영역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광 스폿이 인가된 데이터 영역의 투명도 상태에 따라, 광 스폿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대응하는 데이터를 회복시키도록, 수신 광 신호를 변환하도록 된 화소를 가지는 CMOS 또는 CCD 검출기(104)에 (전혀,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전달된다.
이 공지된 시스템에서, 정보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는 검출기 상에 자체 결상되는데(self-imaged), 이는 투명 또는 불투명 데이터 영역에 의해 형성된 패턴이 검출기 상에 동일하게 재생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체 결상을 이용하는 것은 기술적 한계를 가진다.
사실, 각 데이터 영역에 의해 발생된 광 빔은 빠르게 분기되기 때문에, 자체 결상은 검출기 측에서는 완벽하지 않아서, 데이터 누화(crosstalk)와 데이터 회복의 에러를 야기한다. 데이터 누화는 정보 매체와 검출기 사이의 거리를 줄이면 다소 완화될 수 있으나, 이는 이러한 시스템의 설계에 큰 기계적 제약을 가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데이터 영역을 갖는 정보 매체 상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영역은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되며, 상기 방법은 쉽고, 확실하고 비용 효과적인 데이터 회복을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은 인접하지 않은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 어레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되는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세트의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간격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데이터 영역의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검출기 상에 데이터가 자체 결상되는 종래 기술과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은 인터페이스 현상, 즉 광 스폿 어레이에 응답하여 정보 매체를 형성하는 상이한 데이터 영역에 의해 야기되는 회절을 통해 데이터의 재생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데이터 누화의 문제가 해결된다.
검출기 상에서 판독되는 패턴은 정보 매체 상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직접 대응한다. 따라서, 이 인코딩 방법은 추가의 복잡한 처리 공정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이다.
실행의 관점에서 볼 때, 데이터 회복을 위해, 정보 매체와 검출기 사이의 리더(reader) 장치에 추가적인 광 화상 요소가 필요하지 않으며, 검출기는 정보 매체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데이터 판독 시스템의 설계를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매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정보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다른 측면들은 하기에 제시될 것이다.
동일 부분 또는 서브-단계가 동일한 방식으로 지정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되고 고려되는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을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판독을 위한 공지된 시스템을 도시하며,
도 2는 광 스폿 어레이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된 광 기여에 의해 발생되는 검출기에서의 전기장 계산을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매체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전에 인코딩되고 정보 매체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판독을 위한 시스템의 3차원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미리 인코딩된 회복된 세트의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정보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시스템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2차원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세트의 인코딩에 관한 것일지라도, 이해를 위해, 1차원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도록 된 오직 1차원의 정보 매체를 고려 하여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당업자들은 1차원 정보 매체의 지식을 쉽게 2차원 정보 매체에 적용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투과 판독되는 정보 매체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당업자는 이 지식을 반사 방식(즉, 데이터 영역의 투과 대신에 반사하는 것으로) 으로 사용된 정보 매체에 쉽게 적용할 것이다. 이 경우, 정보 매체는 데이터 층에 적층된 반사층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세트의 인코딩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보 매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된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며, 각 데이터 영역은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된다. 따라서, 정보 매체는 위상 구조 및/또는 진폭 구조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는(즉, 저장될 데이터의 이진값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인접하지 않은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 어레이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되는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생성되도록 인코딩된다.
광 스폿 어레이는 예컨대, 전술한 개구(aperture) 어레이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정보 매체에 인가된 광은 가간섭적이며, 레이저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각 광 스폿은 정보 매체의 단일 데이터 영역을 통해 투과된다. 각각의 단일 광 스폿은 배경 기술 부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세트 데이터 영역(예, 4*4 데 이터 영역의 서브-세트) 중 데이터 영역에 연속적으로 동시에 인가된다. 이 경우, 각 광 스폿을 다른 데이터 영역의 전방에 측방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출력 광 패턴은 정보 매체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검출기에 의해 회복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광 스폿 일부를 흡수하거나, 광 스폿에 소정의 위상 편이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흡수 및 위상 편이는 단일 데이터 영역의 복소 투과 계수(tj)로 일반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1
여기서,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2
는 투과 계수이고,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3
는 j 순위의 데이터 영역에 의해 야기되는 위상 편이이다.
도 3은 (x', y') 평면에 위치된 정보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의해 P' 지점에서 출력된 광 기여에 의해 발생된 검출기 평면(x, y)의 P 지점에서의 전기장 계산을 2차원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해를 위해, 오직 1개의 광 스폿만이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간명성을 위해, 단일 스폿의 회절 패턴은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지라도 프라운호퍼(Fraunhofer) 회절을 이용하여 근사화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된 계산을 보다 유리하게 한다. 단일 스폿의 프라운호퍼 회절 패턴의 표 현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4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5
여기에서, ∝는 "비례함"을 의미하고,
x'는 정보 매체 상의 측방 위치에 대응하고,
x는 검출기 상의 측방 위치에 대응하고,
z는 수직 위치에 대응하고, z=0은 스폿의 초점면이고,
ω는 입력 광의 주파수에 대응하며,
d는 스폿의 직경에 대응하며,
R은 (x',y')=(0,0) 지점으로부터 (x,y) 지점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며,
n은 데이터 영역을 형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에 대응하고,
k0는 진공 내에서의 파(wave) 벡터의 길이에 대응한다(즉, λ0가 진공 내에서의 광 파장일 때 k0=2π/λ0).
광 스폿이 다수 개이고, 전기장은 각 광 스폿에 대해 동일하다고 하면 다음의 패턴이 얻어진다: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6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7
여기에서, p는 광 스폿의 피치이고,
j는 데이터 영역의 순위이고,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8
이다.
복소 투과 계수(tj)의 도입으로 다음과 같은 표현식이 얻어진다:
Figure 112007051032697-PCT00009
검출기를 정보 매체로부터의 거리(z0)에 배치시 데이터를 회복하도록 선택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 수학식을 푸는 것에 의해 상기 데이터 영역의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112007051032697-PCT00010
여기에서, I(x)는 정보 매체 상에 저장될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며,
K는 E 및 I의 정규화에 의존하는 인자이다.
검출기에서의 전기장의 위상은 소정 값(강도 계측만이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수학식은 모든 계수(
Figure 112007051032697-PCT00011
)에 대해 다중의 해법을 갖는다. 이후 인코딩은 최적의 투과 및 위상 편이 계수를 선택시 정보 매체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상황에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영역의 투과는 균등 설정될 수 있어서(즉, 일정한 흡수이거나 어떤 흡수도 없음), 위상 편이 계수를 계산하고, 따라서 순수한 위상 프로 파일로서 정보 매체 등가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 파일은 쉽게 엠보싱될 수 있고 투과 광량이 최대화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수학식 6을 풀기 위해, 처리 유닛(예, 메모리에 저장된 단일 프로세서 실행 코드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최소 자승법(least square fitting)과 같은 분석적 수치적 접근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인코딩 방법은 I(x)가 I(x)+I0가 되도록 오프셋 성분(I0)을 요구 강도 패턴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실, 제로-강도의 비트를 형성하는 것보다 소정의 제로가 아닌 강도의 비트를 형성하는 것이 훨씬 쉽다. 이것은 제로 강도가 아닌 비트를 형성하는 프로파일이 다수 존재하지만 비트 영역 어디에서도 제로인 프로파일에 의해서만 제로 강도를 성취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도 4는 데이터 세트의 저장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매체(IC)의 3차원 도면이다.
정보 매체는 예컨대, 정사각형의 인접한, 유리하게는 서브 세트(굵은 선으로 구획됨)로 구성된 데이터 영역 어레이를 구비한다.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의도된 것으로, 각 데이터 영역은 상기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인접하지 않은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의 어레이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된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발생되도록,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된다.
각 데이터 영역을 위해, 투과 계수는 데이터 영역을 형성하는 재료(예, 플라스틱)의 투과도 요소를 변화시킬 때 설정될 수 있다. 별법으로, 투과 계수는 흡수층에 투명 홀을 만드는 것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홀의 구경은 흡수도를 결정한다. 또한, 재료의 두께가 흡수도를 결정하는 흡수재로 행해질 수 있다.
각 데이터 영역의 경우, 위상 편이 계수는 데이터 영역의 높이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데이터 영역에 걸쳐 균일하다. 별법으로, 굴절률 변조로써 행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인코딩되고 정보 매체(501) 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 독하는 시스템의 3차원 도면이다.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매체는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입력 가간섭성 광 빔(505)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영역에 인가되도록 된 광 스폿(503)의 어레이를 생성하는 광학 요소(502)(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또한 포함한다.
각 광 스폿은 데이터 영역의 서브세트에 연속적으로 인가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서브 세트는 상이한 서브 세트의 데이터 영역 위에 동시에 모든 광 스폿을 전이시키도록 광학 요소(502)를 2차원으로 전이시키는 액츄에이터(도시 생략)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 예시에서는 굵은 선으로 표시된 4*4 데이터 영역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인접하지 않는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의 어레이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되는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거리(z0)에 생성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출력 광 패턴을 검출하도록 된 화소를 갖는 CMOS 또는 CCD 검출기(504)를 구비한다. 검출기의 상기 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계 연산의 코드 명령을 실행하는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처리 유닛(507)에 의해 분석되는 전기 신호(506)를 제공한다. 응답시, 처리 유닛(507)은 정보 매체(501) 상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508)를 전달한다.
1차 실행에서, 검출기의 1 화소가 데이터 영역의 1 서브 세트를 향한다.
2차 실행에서, 검출기의 적어도 2개의 화소가 데이터 영역의 1 세브 세트를 향한다. 이는 검출기에 대한 정보 매체의 측방 정렬이 덜 임계적이기 때문에 유익하다.
3차 실행에서, 검출기의 1 화소가 데이터 영역의 적어도 2개 서브 세트를 향한다. 이는 투과 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솔루션(수학식 6)을 찾는데 있어 보다 자유롭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6은 p=16μ, λ=0.4μ, z0=500μ에서, 관계 수학식 6으로부터 계산된 복소 투과 계수를 갖는 데이터 영역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미리 인코딩된 회복된 세트의 데이터를 예시하고 있다. 회복될 데이터 세트는 [0,1,1,0,1,0,0,1]에 대응하며, 강도 패턴(I(x))으로 표현된다.
출력 광 패턴(OLP)은 상기 데이터 영역과 광 스폿 어레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 소정 거리(z0)에 형성된다.
데이터 세트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동작하는 임계 과정을 통해 (정규화된) 출력 광 패턴(OLP)으로부터 용이하게 회복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주어진 한계 TH (예, 출력 광 패턴(OLP) 진폭의 절반) 이상인 출력 광 패턴(OLP)의 일부는 "1"로서 간주되고,
-상기 한계 TH 이하인 출력 광 패턴의 부분은 "0"으로서 간주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은 판독 장치 RA(예, 가정용 재생 장치,...), 휴대용 기기 PD(예, 휴대용 디지털 기기, 휴대용 컴퓨터, 게임 재 생 유닛,...), 또는 휴대폰 MT에 유익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들 장치 및 기기들은 데이터 판독/기록의 관점에서 광 스폿 어레이가 인가되도록 된 정보 매체(IC)를 수납하도록 된 개구(OP)를 구비한다.
"구비하다 또는 포함하다" 및 그 활용형의 용어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요소 또는 단계에 단수형의 사용은 그러한 요소 또는 단계가 복수 개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9)

  1.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의도된 데이터 영역을 갖는 정보 매체 상에 데이터 세트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서,
    각 데이터 영역은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인접하지 않은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의 어레이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된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발생되도록, 상기 데이터 영역의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트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강도 패턴에 오프셋 값을 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트 인코딩 방법,
  3.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도록 의도된 정보 매체로서,
    상기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인접하지 않은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의 어레이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영 역에 의해 출력된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발생되도록,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되는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도록 의도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 영역은 상기 투과 계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영역의 두께에 연계된 상이한 투명도 인자를 가지거나 상이한 크기의 투명 홀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매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영역은 상기 위상 편이 계수를 형성하기 위해, 그 영역에 걸쳐 균일한 상이한 높이값을 갖는 재료나 상이한 굴절률 변조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매체.
  6. 데이터 세트의 강도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광 패턴이, 인접하지 않은 데이터 영역에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광 스폿의 어레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영역에 의해 출력된 광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매체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발생되도록, 투과 계수 및 위상 편이 계수에 의해 특징화되는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도록 의도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광 스폿 어레이를 생성하는 광학 요소와,
    상기 주어진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광 패턴을 검출하도록 된 화소를 갖는 검출기와,
    상기 출력 광 패턴으로부터 데이터를 회복시키기 위한 임계 연산의 코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판독 시스템.
  7. 제6항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8. 제6항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
  9. 제6항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게임 플레이어 유닛.
KR1020077016009A 2004-12-16 2005-12-13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 및 이 정보 매체의판독 시스템 KR20070095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300906.7 2004-12-16
EP04300906 2004-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328A true KR20070095328A (ko) 2007-09-28

Family

ID=3658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009A KR20070095328A (ko) 2004-12-16 2005-12-13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 및 이 정보 매체의판독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45047A1 (ko)
EP (1) EP1829030A2 (ko)
JP (1) JP2008524762A (ko)
KR (1) KR20070095328A (ko)
CN (1) CN101080769A (ko)
TW (1) TW200634770A (ko)
WO (1) WO200606445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477A2 (ko) * 2009-12-31 2011-07-07 Lim Chang-Su 투과형 광디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3660A1 (de) 2018-03-12 2019-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einem Datensatz von einem Kraftfahrzeug zu einem HMI außerhalb d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9977A (en) * 1969-06-20 1973-06-13 Tokyo Shibaura Electric Co Information conversion systems utilizing optical memories
US3631411A (en) * 1969-10-15 1971-12-28 Rca Corp Electrically and optically accessible memory
US5056080A (en) * 1989-09-22 1991-10-08 Russell James T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system using interference techniques
US6111776A (en) * 1991-12-30 2000-08-29 Ioptics, Incorporated Compact optical random access memory having multiple reflections
US5696714A (en) * 1991-12-30 1997-12-09 Information Optics Corporation Optical random access memory
NO303098B1 (no) * 1995-06-23 1998-05-25 Opticom As Optisk datalagringsmedium med diffraktive optiske elementer og fremgangsmÕte til skriving og lesing av data i dette
US6122081A (en) * 1999-08-18 2000-09-19 Lucent Technologies Inc. Using the Talbot Effect for lensless imaging of periodic structures in a holographic memory system
GB0031016D0 (en) * 2000-12-20 2001-01-31 Alphafox Systems Ltd Security systems
US20040041082A1 (en) * 2001-11-27 2004-03-04 Harmon Gary R. Molecular sensing array
EP1576385A2 (en) * 2002-11-26 2005-09-21 James F. Munro An apparatus for high accuracy distance and velocity measurement and methods thereof
US20060250932A1 (en) * 2002-12-20 2006-1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KR20060079227A (ko) * 2003-09-18 2006-07-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정보매체와, 그 정보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판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477A2 (ko) * 2009-12-31 2011-07-07 Lim Chang-Su 투과형 광디스크
WO2011081477A3 (ko) * 2009-12-31 2011-12-15 Lim Chang-Su 투과형 광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0769A (zh) 2007-11-28
US20090245047A1 (en) 2009-10-01
TW200634770A (en) 2006-10-01
EP1829030A2 (en) 2007-09-05
JP2008524762A (ja) 2008-07-10
WO2006064458A3 (en) 2006-08-31
WO2006064458A2 (en)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1860B1 (en) Information carrier, system and apparatus for reading such an information carrier
JPWO2005098830A1 (ja) ホログラム記録用2次元変調方法及びホログラム装置
CN101373371A (zh) 全息数据存储的相位掩模
EP1771849B1 (en) Information carrier, system for reading said information carrier,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information carrier
KR20060079227A (ko) 정보매체와, 그 정보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판독 시스템
US8976638B2 (en) Holographic memory information encoding method, holographic memory recording method, and holographic memory device
KR20070095328A (ko) 정보 매체 상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 및 이 정보 매체의판독 시스템
EP2083420A1 (en) Hologram recording device, hologram reproducing device, information encoding method,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EP1665244B1 (en) System for shifting at least one light spot
JP2007087466A (ja) 二次元符号化方法
JPH11317084A (ja) ビタビ検出装置及び光情報再生装置並びに光情報記録再生装置
EP1665242B1 (en) System for reading data stored on an optical information carrier
CN101120405A (zh) 具有零差检测的全息存储器件
KR100472541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타 저장 시스템의 코딩 및 디코딩장치와 이에 관련된 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70065444A (ko) 정보매체 주사용 광학장치
WO2006013519A1 (en) Method of storing data in an information carrier, system for reading such an information carrier.
US20060062040A1 (en) Optical memory medium and optical memory medium reproducing device
KR100551373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의 코딩 및 디코딩 방법
JP3537686B2 (ja) 情報記録媒体とその記録再生方法
KR100475235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타 저장 시스템의 코딩 및 디코딩장치와 이에 관련된 코딩 및 디코딩 방법
JP2009140606A (ja) ホログムメモリ再生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メモリの再生方法
KR100551372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의 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70084094A (ko) 광 스폿의 어레이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KR100439996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타 저장 시스템의 멀티 레벨 비트코딩 및 디코딩 장치와 이에 관련된 코딩 및 디코딩 방법
CN101667430A (zh) 信息载体和用于读取存储在此信息载体上的数据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