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681A -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 Google Patents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681A
KR20070094681A KR1020060025087A KR20060025087A KR20070094681A KR 20070094681 A KR20070094681 A KR 20070094681A KR 1020060025087 A KR1020060025087 A KR 1020060025087A KR 20060025087 A KR20060025087 A KR 20060025087A KR 20070094681 A KR20070094681 A KR 2007009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broadcast stream
storage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235B1 (ko
Inventor
김덕호
유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235B1/ko
Priority to US11/606,049 priority patent/US9215399B2/en
Priority to TW096101082A priority patent/TWI380695B/zh
Priority to EP07101965A priority patent/EP1835502B1/en
Priority to DE602007003395T priority patent/DE602007003395D1/de
Priority to CN2007100059382A priority patent/CN101039401B/zh
Publication of KR2007009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유니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은,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수신된 방송 스트림을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하는 단계;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하는 단계;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면, 제 1 저장 유니트와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Broadcasting stream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nd TV capable of recording broadcasting stre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송 스트림 데이터 출력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 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방송 스트림(broadcasting stream)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Television, 이하 TV라고 약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으로 저장 유니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TV에 관한 것이다.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개인용 비디오 리코더(Personal Video Recorder, PVR)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 PVR 시스템은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igital Video Recorder)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PVR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트림(또는 방송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재생해주는 HDD(Hard Disk Drive, 이하 HDD라고 약함)를 저장 유니트로 내장한 제품이다.
HDD의 내장으로 PVR 시스템은 기존 아날로그 VCR(Video Cassette Recorder)과 달리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서, 무한정 녹화 재 생을 하더라도 정보의 손실 없는 화질이 보장되며, VCR과 유사한 기능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PVR 시스템의 핵심 기능은 시청자로 하여금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저장 및 재생하는 타임시프트(time shift) 기능이다. 예컨대, 이 타임 시프트 기능은 현재 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전화가 왔을 경우, 리모콘의 일시 정지(pause) 버튼을 누르면 이 이후의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고 전화 통화가 끝난 후 다시 리모콘의 재생버튼을 누르게 되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던 일시 정지된 화면 이후의 장면부터 시청이 가능하다. 즉, 타임 시프트 기능을 이용하여 PVR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해서 저장과 재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PVR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역시 상술한 타임시프트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타임 시프트 기능을 위해 기존의 PVR 시스템이나 PVR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은 내장된 HDD의 동작 상태를 항상 온 상태로 유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HDD는 온 상태로 설정되어 초기 구동을 완료하면, 1분당 5400∼7200RPM 이상 회전되므로, 동작 상태가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HDD의 수명이 단축된다. HDD의 수명 단축은 PVR 시스템이나 PVR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수명 단축을 초래한다.
또한, HDD의 초기 구동시간으로 인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이 손실되고,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출력시간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장 유니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장 유니트의 초기 구동시간으로 인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이 손실되고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출력시간이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한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저장 유니트와 제 2 저장 유니트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은,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제 2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단계는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저장 유니트; 구동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저장 유니트; 상기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 및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저장 유니트; 구동되면,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저장 유니트;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기능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기능 블록도는 개인용 비디오 리코더((Personal video recorder, 이하 PVR이라 약함)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는, 제 1 저장 유니트(101), 제 2 저장 유니트(102), 출력부(103), 및 제어부(104)를 포함한다.
제 1 저장 유니트(101)는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되어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한다. 제 1 저장 유니트(101)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저장 유니트(102)는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되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한다. 상기 구동은 제어부(103)에 의해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로 설정된 후 초기 구동이 완료된 정상적인 구동 상태이다. 제 2 저장 유니트(102)는 HDD와 같은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03)는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저장 유니트(101)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한다. 즉,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지 않으면, 출력부(103)는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면, 출력부(103)는 제어부(104)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103)는 제어부(104)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구동여부에 따라 제 1 저장 유니트 (101)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 요구에 해당되면,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 2 저장 유니트(102)는 초기 구동을 시작한다.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로 설정된 후, 초기 구동이 완료될 때까지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구동은 정상적인 구동이 아니다. 따라서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설정한 후, 초기 구동이 완료될 때까지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이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되도록 제 1 저장 유니트(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초기 구동이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제어부(104)는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이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되도록 제 1 저장 유니트(101)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제 2 저장 유니트(102)로 전송되도록 제 1 저장 유니트(101)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될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연속성을 갖도록 방송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라이트 어드레스를 관리할 수 있다.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방송 스트림 출력 요구에 해당되면,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구동여부에 따라 출력부(1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방송 스트림 출력 요구에 해당될 때, 제 2 저장 유니트(102) 가 구동되지 않으면,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부(103)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로 전송되도록 제 1 저장 유니트(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방송 스트림 출력 요구에 해당될 때,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면,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부(103)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로 전송되도록 제 1 저장 유니트(101)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 요구 해제에 해당되면,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구동은 중단된다. 이 때,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 및 출력부(103)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으나 제 1 저장 유니트(101) 및 출력부(103)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기능 블록도는 PVR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는, 전송 유니트(201), 제 1 저장 유니트(202), 제 2 저장 유니트(203), 출력부(204), 및 제어부(205)를 포함한 다.
제 2 저장 유니트(203)가 구동되지 않으면, 전송 유니트(201)는 제어부(205)에 의해 제어되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1 저장 유니트(202)로 전송한다. 제 2 저장 유니트(203)가 구동되면, 전송 유니트(201)는 제어부(205)에 의해 제어되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2 저장 유니트(202)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전송 유니트(201)는 제어부(205)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저장 유니트(202)는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어 전송 유니트(201)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한다. 즉, 제 1 저장 유니트(202)는 제 2 저장 유니트(203)가 구동되기 전에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한다.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구동은 도 1의 제 2 저장 유니트(102)에서 정의한 구동과 동일하다. 제 1 저장 유니트(202)에 저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는 디지털 형태를 갖는다. 제 1 저장 유니트(202)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로 구성되거나 버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저장 유니트(203)는 방송 스트림 저장이 요구되면, 제어부(105)에 의해 동작 상태가 온 되어 초기 구동을 수행하고, 초기 구동이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한다. 도 2의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가 PVR 시스템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는 PVR 기능 수행 요구에 해당된다. 상기 PVR 기능 수행 요구는 일시 정지 이벤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제 2 저장 유니트(203)는 HDD와 같은 기록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저장 유니트(203)에 저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는 디지털 형태를 갖는다. 상기 PVR 기능 수행 요구는 일시 정지 이벤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출력부(204)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면, 제어부(205)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저장 유니트(202)와 제 2 저장 유니트(203)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한다. 즉,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될 때, 제 2 저장장치(203)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면, 출력부(204)는 제어부(205)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저장 유니트(2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한다.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될 때 제 2 저장 유니트(203)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출력부(204)는 제어부(205)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저장 유니트(203)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20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디지털 형태의 방송 스트림 데이터이다.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일시 정지 이벤트에 의해 발생되면, 상기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 요구는 일시 정지 해제 이벤트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제 1 저장 유니트(202) 또는 제 2 저장 유니트(203)로부터 출력부(204)로의 방송 스트림 데이터 전송을 제 1 저장 유니트(202) 또는 제 2 저장 유니트(203)로부터 출력부(204)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푸시(push)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에 해당되면,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동작 상태를 온 시키면서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이 제 1 저장 유니트(202)로 전송되도록 전송 유니트(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은 제 1 저장 유니트(202)에 저장된다.
그 다음 제어부(205)는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초기 구동이 완료되면, 제어부(205)는 제 1 저장 유니트(202)를 제어하여 제 1 저장 유니트(2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제 2 저장 유니트(203)로 전송(또는 이동(move))시킨다. 상기 전송은 덤프(dump)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제 1 저장 유니트(2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한꺼번에 제 2 저장 유니트(203)로 전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초기 구동이 완료된 후,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5)는 제 2 저장 유니트(203)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 2 저장 유니트(203)와 출력부(204)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초기 구동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 2 저장 유니트(203)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전까지 제어부(205)는 제 1 저장 유니트(2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 1 저장 유니트(202)와 출력부(204)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2 저장 유니트(203)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제어부(205)는 제 2 저장 유니트(203)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 2 저장 유니트(203)와 출력부(20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제 1 저장 유니트(202)에서 출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와 제 2 저장 유니트(203)에서 출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연속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로 재생되도록 제어부(205)는 제 1 저장 유니트(202), 제 2 저장 유니트(203), 및 출력부(20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출력부(204)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원이 제 1 저장 유니트(202)에서 제 2 저장 유니트(203)로 변경될 때, 리드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리드 어드레스가 연속되도록 제어부(205)는 제 1 저장 유니트(202)와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라이트 및 리드 어드레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저장 유니트(202)에서 출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의 리드 어드레스가 0000 0011일 때, 출력부(204)의 소스원이 제 2 저장 유니트(203)로 바뀌면,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0000 0100에 상당하는 리드 어드레스 포인트의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리드되도록 제어부(205)는 제 2 저장 유니트(20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저장 유니트(203)에서 리드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제 1 저장 유니트(202)에서 리드되었던 방송 스트림 데이터에 연속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되도록 제어부(205)는 제 1 저장 유니트(202)와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라이트 어드레스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5)는 사용자에 의해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 해제가 요구되면,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동작 상태를 오프시켜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이 때, 제어부(205)는 전송 유니트(201), 제 1 저장 유니트(202), 및 출력부(204)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은 리모콘(미 도시됨)을 이용하여 입력되거나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프론트 패널에 구비된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저장 유니트(203)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전에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은 제 1 저장 유니트(202)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재생함으로써,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초기 구동시간으로 인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출력 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의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및 저장된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전송 유니트(201), 제 1 저장 유니트(202), 및 출력부(204)를 구동하고, 제 2 저장 유니트(203)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여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텔레비전은 튜너(301), 제 1 저장 유니트(302), 제 2 저장 유니트(303), 출력부(304), 제어부(305), 및 디코더(306)를 포함한다.
튜너(301)는 제어부(305)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튜너(301)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방송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제 1 저장 유니트(302), 제 2 저장 유니트(303), 출력부(304), 및 제어부(305)는 도 1의 제 1 저장 유니트(101), 제 2 저장 유니트(102), 출력부(103), 및 제어부(104)와 동일하게 구성 및 동작한다.
따라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에 해당되면, 제 1 저장 유니트(302), 제 2 저장 유니트(303) 및 제어부(305)는 구동되어 튜너(301)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한다.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방송 스트림 출력 요구에 해당되면, 제 1 저장 유니트(302), 제 2 저장 유니트(303), 출력부(304) 및 제어부(305)는 구동되어 제 1 저장 유니트(302) 또는 제 2 저장 유니트(303)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한다.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 해제이면, 제어부(305)는 제 2 저장 유니트(303)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디코더(306)는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 후,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출력부(304)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일시 정지 이벤트에 의해 발생되면, 상기 방송 스트림 출력 요구는 일시 정지 해제 이벤트에 의해 발생된다.
반면에 텔레비전이 정상적인 방송 수신 모드로 동작하면, 라인(307)을 통해 튜너(301)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도 3의 텔레비전은 정상적인 방송 수신 모드시에 튜너(301)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라인(307)을 통해 전송되지 않고 제 1 저장 유니트(302)와 출력부(304)를 통해 디코더(306)로 전송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텔레비전은 라인(307)이 삭제되고, 정상적인 방송 수신 모드 시, 제 1 저장 유니트(302)와 출력부(304)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출력하고, 제 2 저장 유니트(303)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여 운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텔레비전은 튜너(401), 전송 유니트(402), 제 1 저장 유니트(403), 제 2 저장 유니트(404), 출력부(405), 제어부(406), 및 디코더(407)를 포함한다.
튜너(401)는 제어부(406)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튜너(401)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방송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전송 유니트(402), 제 1 저장 유니트(403), 제 2 저장 유니트(404), 출력부(405) 및 제어부(406)는 도 2에 도시된 전송 유니트(201), 제 1 저장 유니트(202), 제 2 저장 유니트(203), 출력부(204) 및 제어부(205)와 동일하게 구성 및 동작한다.
즉, 방송 스트림 저장이 요구되면, 전송 유니트(402)는 제어부(406)에 의해 제어되어 튜너(401)로부터 수신된 방송 스트림을 제 1 저장 유니트(403)와 제 2 저장 유니트(406)중 하나로 전송한다.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 시와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 후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 요구 시 전송 유니트(402), 제 1 저장 유니트(403), 제 2 저장 유니트(404), 출력부(405)와 그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6)의 동작은 도 2의 전송 유니트(201), 제 1 저장 유니트(202), 제 2 저장 유니트(203), 출력부(204) 및 제어부(205)의 동작과 동일하다.
그러나, 방송 스트림 저장이 요구되지 않으면, 튜너(401)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는 라인(408)를 통해 디코더(407)로 바로 전송된다.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 후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디코더(407)는 출력부(405)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텔레비전이 정상적인 방송 수신 모드로 동작하면, 라인(408)을 통해 튜너(401)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도 3 및 도 4의 텔레비전은 각각 디코더(306, 407)의 뒤단에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렌더링(rendering)하는 렌더러(renderer)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의 전송 유니트(201, 402)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4에서의 출력부(204, 304, 405)는 도 1의 출력부(103)와 같이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각각에서의 제 1 저장 유니트(202, 302, 403)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로 구성되고, 제 2 저장 유니트(203, 303, 404)는 HDD와 같은 기록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5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제어부(104)는 수신된 방송 스트림을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시킨다(501, 502).
제 503 단계에서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4)는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한다(504).
제 505 단계에서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면,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한다.
도 6은 도 5의 제 505 단계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출력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는지 체크한다(401).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구동은 도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체크결과,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지 않으면,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되도록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601, 602).
그 다음 제 603 단계에서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는지 체크한다.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지 않으면, 제어부(104)는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되도록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602, 603).
그러나 제 601 단계 또는 제 603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면,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되도록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604). 상기 제 2 저장 장치(102)의 구동은 초기 구동이 완료된 후의 정상적인 구동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7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제 701 단계 내지 제 703 단계는 도 5의 제 501 단계 내지 제 503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되고, 제 705 단계 및 제 706 단계는 도 5의 제 504 단계 및 제 505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도 7의 실시 예가 도 5의 실시 예와 다른 것은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면,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제 2 저장 유니트(102)로 전송하는 단계(704)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제 2 저장 유니트(102)로 전송하는 것은 도 1에서와 같이 수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를 참조하여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수신되면,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 상태를 온시키면서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한다(801, 802, 803).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초기 구동을 완료하여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제어부(104)는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시킨다(804, 805).
그러나,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초기 구동을 완료하지 않아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면, 제어부(104)는 제 806 단계로 진행되어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었는지 체크한다. 그러나, 제 805 단계를 수행한 후에도 제어부(104)는 제 806 단계로 진행되어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었는지 체크한다.
제 806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었으면, 제어부(104)는 제 807 단계에서 제 1 저장 유니트(101)와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된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일시 정지 이벤트에 의한 것이면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 요구는 일시 정지 해제 이벤트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제 806 단계에서 체크결과,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04)의 동작은 제 804 단계로 리턴된다. 따라서, 제어부(104)는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하는 작업을 유지하면서 제 804 단계 내지 제 806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제 808 단계에서 제어부(104)는 사용자에 의해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해제되었는지 체크한다. 제 808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사용자에 의해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4)는 제 807 단계로 리턴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4)는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동작 상태를 오프시켜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9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의 제 901 단계 내지 제 904 단계는 도 8의 제 801 단계 내지 제 804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또한, 제 904 단계에서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행되는 제 908 단계 및 제 911 단계는 도 8의 제 806 단계 및 제 809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제 904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정상적으로 구동되 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4)는 제 905 단계에서 현재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동작 상태가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된 상태인지 체크한다. 체크결과,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된 상태가 아니면, 제 906 단계로 진행되어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제 2 저장 유니트(102)로 전송한다. 이 때,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는 제 2 저장 유니트(102)로 덤프(dump)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04)는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시킨다.
한편, 제 905 단계에서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 요구 상태이면, 제어부(104)는 제 912 단계로 진행되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제 2 저장 유니트(102)에 저장하면서, 제 2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또는 재생)되도록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9에서 방송 스트림 저장 요구가 일시 정지 이벤트에 의한 것이면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 요구는 일시 정지 해제 이벤트에 의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는지 체크한다(1001, 1002). 제 2 저장 유니트(102)의 구동은 도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지 않으면, 제 1003 단계에서 수신된 방송 스트림을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시킨다.
그 다음에 수행되는 제 1004 단계 내지 제 1006 단계는 도 5의 제 503 단계와 505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제 1002 단계에서 제 2 저장 유니트(102)가 구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4)는 제 1005 단계로 진행되어 도 5의 제 504 단계 및 제 505 단계에서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 10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는 제 1004 단계에서 제 1005 단계로 진행될 때, 제 1 저장 유니트(101)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제 2 저장 유니트(102)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저장 유니트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함으로써, 저장 유니트의 수명을 연장시킨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및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할 수 있고, 저장 유니트의 수명 단축으로 인한 리콜(recall)을 줄일 수 있으며,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및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PVR 시스템 및 PVR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 별도의 메모리와 HDD를 이용하여 방송 스트림을 저장함으로써, HDD의 수명을 연장시킨 PVR 시스템 및 PVR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할 수 있고, HDD의 수명 단축으로 인한 리콜(recall)을 줄일 수 있고, PVR 시스템 및 PVR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저장 유니트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바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및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함으로써, 저장 유니트의 초기 구동시간으로 인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출력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R 시스템 및 PVR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 HDD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전에 별도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HDD의 초기 구동시간으로 인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출력시간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20)

  1. 제 1 저장 유니트와 제 2 저장 유니트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이 요구되면,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이 요구되면,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 요구가 해제되면,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구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는 메모리이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9.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저장 유니트;
    구동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저장 유니트;
    상기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 및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 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는 메모리이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이 요구되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이 요구되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저장 요구가 해제되면, 구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는,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는 전송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장치
  17.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저장 유니트;
    구동되면,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저장 유니트;
    방송 스트림에 대한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방송 스트림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에 저장된 방송 스 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1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가 구동되면, 상기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상기 제 2 저장 유니트로 전송하는 전송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KR1020060025087A 2006-03-18 2006-03-18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KR10083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87A KR100833235B1 (ko) 2006-03-18 2006-03-18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US11/606,049 US9215399B2 (en) 2006-03-18 2006-11-30 AV signal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broadcast stream storage function
TW096101082A TWI380695B (en) 2006-03-18 2007-01-11 Av signal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broadcast stream storage function
EP07101965A EP1835502B1 (en) 2006-03-18 2007-02-08 Dual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ed AV signal for Time Shift recording function.
DE602007003395T DE602007003395D1 (de) 2006-03-18 2007-02-0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oppelten Speichern von streamed AV-Signalen für Zeitversetztesaufnahmefunktion.
CN2007100059382A CN101039401B (zh) 2006-03-18 2007-02-15 音频视频信号存储方法和装置及有广播流存储功能的电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087A KR100833235B1 (ko) 2006-03-18 2006-03-18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681A true KR20070094681A (ko) 2007-09-21
KR100833235B1 KR100833235B1 (ko) 2008-05-28

Family

ID=3805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087A KR100833235B1 (ko) 2006-03-18 2006-03-18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15399B2 (ko)
EP (1) EP1835502B1 (ko)
KR (1) KR100833235B1 (ko)
CN (1) CN101039401B (ko)
DE (1) DE602007003395D1 (ko)
TW (1) TWI3806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1163B (zh) * 2017-02-07 2021-1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vr直播的方法、装置及ott业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693B1 (ko) * 1991-04-30 1993-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녹화신호 저장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US20020048448A1 (en) * 1993-03-29 2002-04-25 Microsoft Corporation Pausing the display of a television program as a signal including the television program is received
EP1646047A3 (en) 1995-04-21 2010-01-06 Imedia Corporation An in-home digital video unit with combined archival storage and high-access storage
KR970066826A (ko) * 1996-03-13 1997-10-13 김광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 절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4230400A (en) 1999-04-13 2000-11-14 Sycom Technologies, Inc. Hard disk based portable device
US7468682B2 (en) * 2000-05-18 2008-12-23 Echo Mobile Music Llp Portable recorder/players with power-saving buffers
EP1178390A3 (en) * 2000-08-04 2006-12-27 Hitachi, Ltd. Information storage system with increased reliability for continuous operation,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US6922833B2 (en) * 2001-10-11 2005-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fast write cache for storage devices
US6928518B2 (en) * 2001-11-01 2005-08-09 Sun Microsystems, Inc. Disk drive employing adaptive flushing of a write cache
US7257308B2 (en) * 2001-12-06 2007-08-14 Scientific-Atlanta, Inc. Converting time-shift buffering for personal video recording into permanent recordings
FR2839844A1 (fr) 2002-05-16 2003-11-21 Thomson Licensing Sa Decodeur numerique ayant un mode de fonctionnement dit "revisualisation" et comprenant deux memoires tampon
KR20050059219A (ko) * 2002-10-02 2005-06-1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복수의 기록매체에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방법
US7437053B2 (en) * 2003-01-15 2008-10-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video recorder, method of driving the video recorder and program
JP2004228837A (ja) * 2003-01-22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の蓄積時間保証方法及び装置
EP1443759B1 (en) * 2003-01-23 2008-10-2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recording/playback control method
KR20060073619A (ko) * 2003-09-16 2006-06-2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장치를 위한디스크
US7869316B2 (en) * 2003-11-18 2011-0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rmining buffer refilling time when playing back variable bit rate media streams
KR100955023B1 (ko) * 2003-12-01 201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데이터 연속 기록방법
DE602004017058D1 (de) * 2003-12-18 2008-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fzeichnungsvorrichtung, integrierte schaltung für eine aufzeichnungsvorrichtung, aufzeichnungs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computeraufzeichnungsmedium zur ermöglichung der inhaltsaufzeichnung
KR20050078115A (ko) 2004-01-30 2005-08-04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의 원격 제어시스템
KR100646301B1 (ko) 2004-03-19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기억 장치 및 파일 액세스 방법
US20060224875A1 (en) * 2005-03-11 2006-10-05 Choi Young-Joon Portable digital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5502B1 (en) 2009-11-25
US20070217757A1 (en) 2007-09-20
CN101039401A (zh) 2007-09-19
DE602007003395D1 (de) 2010-01-07
CN101039401B (zh) 2010-11-24
KR100833235B1 (ko) 2008-05-28
US9215399B2 (en) 2015-12-15
TW200737968A (en) 2007-10-01
TWI380695B (en) 2012-12-21
EP1835502A1 (en)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605B1 (ko) 계층적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 기록 재생 장치 및 계층적메모리 구현 방법
JP3887019B2 (ja) 圧縮ビデオ信号受信方法
JP4388887B2 (ja) デジタルビデオ記録中のライブ画像プレゼンテーション
JP2006012225A (ja) 情報処理装置
JP2010021880A (ja) 映像表示装置、映像再生装置、映像再生表示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050056231A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itv 트릭 재생
KR100763385B1 (ko) 방송신호 출력방법 및 장치
US8428438B2 (en) Apparatus for viewing television with pause capability
KR100833235B1 (ko)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KR20060032191A (ko) 방송 콘텐츠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4963247B2 (ja) 放送番組記録再生装置
KR20080064331A (ko) 수신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4736302B2 (ja) 情報提供装置
JP2005333432A (ja) 番組記録再生装置
JP2004072449A (ja) 2画面テレビジョンの受信再生方法、及び2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再生装置
JP6345324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438719B1 (ko) 영상 신호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386820B1 (ko) 방송수신기에서의 방송녹화 및 재생 제어 방법
KR100610680B1 (ko)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KR100729065B1 (ko) 피브이알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녹화 방법
KR100503459B1 (ko) 오류파일 자동삭제 기능을 가지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및그에 따른 오류파일 자동 삭제 방법
JP2006041585A (ja) 入力切換装置
JP2006019781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8211611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62311A (ko) 파일 리스트 디스플레이 영상 및 음성 기록/재생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