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584A - 벽 매립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벽 매립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584A
KR20070094584A KR1020070047224A KR20070047224A KR20070094584A KR 20070094584 A KR20070094584 A KR 20070094584A KR 1020070047224 A KR1020070047224 A KR 1020070047224A KR 20070047224 A KR20070047224 A KR 20070047224A KR 20070094584 A KR20070094584 A KR 20070094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ll
foot bar
foo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477B1 (ko
Inventor
전인성
Original Assignee
전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성 filed Critical 전인성
Priority to KR102007004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4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or against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며, 언제라도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벽 매립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8)에 매립되는 케이스(10,20)와, 이 케이스(10,20) 내부에 구비된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벽, 매립, 운동기구, 윗몸일으키기, 발걸이봉

Description

벽 매립형 운동기구{Wall insert type sport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발걸이봉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케이스 20. 내부케이스
30. 발걸이봉 32. 봉부재
34. 쿠션재 40. 와이어
47. 고정홈 48. 가이드홈
본 발명은 벽 매립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며, 언제라도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벽 매립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감에 따라, 집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 중에는 절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보관해 두었다가 사용시에 펼쳐서 사용하도록 된 것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첩가능한 운동기구라 하더라도 펼쳤을 때에는 상당히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기구가 실내에 놓여져 있으면, 실내 인테리어를 해치게 되며, 흉물스러워 보이는 등 보기에 좋지가 않다. 따라서 운동기구를 눈에 띄지 않도록 보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된다.
한편, 윗몸일으키기는 뱃살 등의 군살을 줄이는 운동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도 매우 좁은 장소에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운동이다. 그러나 윗몸일으키기를 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발을 잡아 주거나 또는 발을 걸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사람이 누울 수 있도록 된 침대에 발걸이봉이 구비된 윗몸일으키기대가 제공되기도 하나, 이 윗몸일으키기대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윗몸일으키기 운동 하나를 위해 윗몸일으키기대를 구비하여 사용하기란 공간활용도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무리가 따른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며, 필요에 따라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윗몸일으키기를 하기 위한 발걸이봉의 위치를 조절하여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가족 구성원 전원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벽 매립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이 개방되도록 벽면(8)에 매립되는 케이스(10,20)와, 이 케이스(10,20) 내부에 구비된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20)는 전방이 개방되며 벽에 매립되는 외부케이스(10)와, 이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나사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기 운동기구가 구비되는 내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 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케이스(10,2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걸 수 있도록 된 발걸이봉(30)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상기 발걸이봉(30)에 발을 걸어서 윗몸일으키기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20)의 내측면 또는 발걸이봉(30)의 양단부에는 와이어(4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걸이봉(30)에 발을 걸어서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상기 와이어(40)를 잡고 상체를 일으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걸이봉(30)은 상기 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걸이봉(30)의 회전중심축선에서 직교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발걸이봉(30)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중심축선에서 편심되는 형상이거나 또는 회전중심축선에서 외주면에 이르는 거리(d1,d2,d3,d4)가 외주면의 위치가 따라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20)의 좌우 측면에는 상 하로 연장되어 상기 발걸이봉(30)의 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8)과, 이 가이드홈(4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위치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홈(47)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걸이봉(30)을 가이드홈(48)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위치의 고정홈(47)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 매립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것인데, 운동기구가 윗몸일으키기를 위한 발걸이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되는 한쌍의 내,외부케이스(10,20)와, 케이스(10,20)의 내부에 구비된 발걸이봉(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20)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되어, 건물의 실내측 벽면에 바닥면과 최대한 근접되도록 매립설치되는 것으로, 벽면에 매립설치되는 외부케이스(10)와, 이 외부케이스(20)의 내부에 나사고정되며 상기 발걸이봉(30)이 설치되는 내부케이스(2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건물의 벽을 쌓을 때 벽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그 내측벽면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0)와 결합되는 나사축(11)이 입구를 향하도록 돌출형성되고, 그 입구 내측 둘레부에는 나사(22)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브라켓(14)이 구비된다.
이 외부케이스(10)는 벽돌로 벽을 쌓을 때 벽에 매립되어 미처 고정되지 않은 벽돌의 무게에 의해 놀리게 되더라도 벽돌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강도 가 높은 재질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케이스(10)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이 돌출부(19)에 의해 외부케이스(10)의 강도가 향상되고, 외부케이스(10)가 외측으로 당겨지더라도 벽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매립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돌출부(19) 대신 외부케이스(10)의 외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외부케이스(10)에 요철이 형성되면, 외부케이스(10)와 벽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외부케이스(10)가 한층 더 견고하게 매립설치된다.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에 비해 사이즈가 작은 사각 박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케이스(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입구를 통해 외부케이스(10)에 끼움결합되는데, 그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축(11)이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며, 그 입구 외측 둘레부에는 외부케이스(10)의 내측브라켓(14)에 대응되는 외부브라켓(22)이 구비되어, 외부브라켓(22)을 관통하는 나사(8)에 의해 내부브라켓(14)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내부케이스(20)의 배면은 발바닥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을 갖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20)가 한쌍의 내부, 외부케이스(10,20)로 이루어지면 건물 축조시 외부케이스(10)를 미리 매립설치 한 운동기구, 즉, 발걸이봉(30)이 구비된 내부케이스(20)를 설치하면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운동기구의 유지, 보수시 내부케이스(20)만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을 하면 되므로 사후 관리도 편리하고 실용적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입구에 운동기구가 외 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어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는 힌지식이나 슬라이드식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걸이봉(30)은 원형바로 되어 양단이 내부케이스(20)의 좌우 측면에 결합되는 금속재 봉부재(32)와, 발등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봉부재(3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쿠션재(34)로 이루어져서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봉부재(32)는 쿠션재(34)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쿠션재(34)에 커버되지 않는 양단부 외주면은 널링가공되어 손잡이부(35)를 형성한다.
이러한 발걸이봉(30)의 양단부에는 고리(39)가 구비되고, 이 고리(39)에 와이어(40)가 연결된다. 이 와이어(40)는 탄성을 갖으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등산용 로프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부에는 상기 고리(39)에 걸어서 연결하기 위한 후크(42)가 구비된다.
이러한 발걸이봉(30)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윗몸일으키기를 하는데, 발걸이봉(30)에 와이어(40)가 구비되면,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와이어(40)를 잡고 운동을 하면, 손쉽게 윗몸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노약자 등도 용이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40)를 손으로 잡고 당기면서 상체운동 또는 팔운동 등을 할 수도 있으며, 윗몸일으키기와 별도로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손으로 와이어(30)를 당겨 팔운동이나 등근육운동을 할 수 있다. 도 3은 머리가 발걸이봉(30)을 향하도록 누운 상태에서 손으로 발걸이봉(30) 잡고 다리를 쭉 뻗은 상태에서 들어 올리거나 좌우로 비틀어서 들어 올리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발걸이봉(30)을 이용해 윗몸일으키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걸이봉(30)은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발걸이봉(30)과 내부케이스(20)의 바닥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걸이봉(30)은 내부케이스(20)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발걸이봉(30)의 회전중심축선에 직교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쿠션재(34)의 단면은 그 외주면이 상기 회전중심축선에서 외주면 각 부위에 이르는 거리(d1,d2,d3,d4)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다. 즉, 쿠션재(34)의 외주면이 상기 회전중심축선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걸이봉(30)을 회전시키면 내부케이스(10)의 바닥면에서 발걸이봉(30)에 이르는 거리, 즉, 발걸이봉(3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발 크기에 따라 발걸이봉(30)을 회전시켜 사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발이 큰 사람은 쿠션재(34)의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부분이 하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내부케이스(20)의 바닥면과 발걸이봉(30)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하여 운동을 하며, 발이 작은 사람은 쿠션재(34)의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된 부분이 하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내부케이스(20)의 바닥면과 발걸이봉(30)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좁게 하여 운동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쿠션재(34)가 발걸이봉(30)의 회전중심축선에서 편심되게 형성되어도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걸이봉(30)과 이 발걸이봉(20)이 결합되는 내부케이스(20)의 좌우 측면에는 발걸이봉(3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구비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20)의 좌우 측면에는 발걸이봉(30)의 양단부를 회전가 능하게 끼우기 위한 결합홈(24)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24)에는 원주를 이루도록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볼삽입홈(26)이 형성되고, 이 볼삽입홈(26)에는 스프링(6)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가압되도록 볼(28)이 내장되며, 상기 발걸이봉(30)의 양측단에는 상기 볼삽입홈(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걸림홈(3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걸림홈(38)이 볼삽입홈(26)에 정렬되면 볼삽입홈(26) 외측으로 돌출된 볼(28)의 일부가 볼걸림홈(38)으로 삽입되므로 발걸이봉(30)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발걸이봉(30)을 회전시키면 발걸이봉(30)의 단부에 의해 볼(28)이 가압되어 볼삽입홈(26)으로 완전히 삽입되므로 발걸이봉(30)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발걸이봉(30)의 손잡이부(35)를 잡고 발걸이봉(30)을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24)과 볼삽입홈(26)은 내부케이스(20)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블록(29)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걸이봉(30)이 상하로 이동되어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좌우 측면에는 발걸이봉(30)의 양단부가 끼워져서 이동되는 가이드홈(48)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48)에는 상하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홈(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발크기에 맞혀서 발걸이봉(30)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발걸이봉(30)을 가이드홈(48)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킨 후 발걸이봉(30)을 원하는 위치의 고정홈(47)에 끼워서 발걸이봉(30)을 고정시킨다.
이상에서는 발걸이봉(30)이 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 우에 따라 상기 발걸이봉(30)은 U자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운동기구가 발걸이봉(30)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운동기구는 철봉이나 푸샵기구, 완력기구 등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10,20)는 붙박이장의 일부로 이루어져서, 운동기구가 붙박이장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기구가 벽에 설치되므로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며, 필요시에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어서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벽 매립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종래 운동기구 사용시에는 운동기구를 보관된 장소에서 꺼내 운동을 하고 다시 운동기구를 보관장소로 옮겨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종래 데드 스페이스인 벽면을 유효공간으로 활용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운동기구가 발걸이봉(30)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발걸이봉(30)과 바닥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운동기구로 가족 구성원 모두가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발걸이봉(30)에 와이어(40)가 연결된 경우에는 이 와이어(40)를 이용해 윗몸일으키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윗몸일으키기와 별도로 팔운동이나 등근육운동 등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전방이 개방되도록 벽면(8)에 매립되는 케이스(10,20)와, 이 케이스(10,20) 내부에 구비된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20)는 전방이 개방되며 벽에 매립되는 외부케이스(10)와, 이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나사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기 운동기구가 구비되는 내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케이스(10,2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걸 수 있도록 된 발걸이봉(30)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상기 발걸이봉(30)에 발을 걸어서 윗몸일으키기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20)의 내측면 또는 발걸이봉(30)의 양단부에는 와이어(4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걸이봉(30)에 발을 걸어서 윗몸일으키기를 할 때 상기 와이어(40)를 잡고 상체를 일으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봉(30)은 상기 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걸이봉(30)의 회전중심축선에서 직교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발걸이봉(30)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중심축선에서 편심되는 형상이거나 또는 회전중심축선에서 외주면에 이르는 거리(d1,d2,d3,d4)가 외주면의 위치가 따라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20)의 좌우 측면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발걸이봉(30)의 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8)과, 이 가이드홈(4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위치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홈(47)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걸이봉(30)을 가이드홈(48)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위치의 고정홈(47)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립형 운동기구
KR1020070047224A 2007-05-15 2007-05-15 벽 매립형 운동기구 KR10084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24A KR100840477B1 (ko) 2007-05-15 2007-05-15 벽 매립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24A KR100840477B1 (ko) 2007-05-15 2007-05-15 벽 매립형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625U Division KR200422247Y1 (ko) 2006-03-16 2006-05-11 벽 매입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584A true KR20070094584A (ko) 2007-09-20
KR100840477B1 KR100840477B1 (ko) 2008-06-20

Family

ID=3868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224A KR100840477B1 (ko) 2007-05-15 2007-05-15 벽 매립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41B1 (ko) * 2007-10-02 2008-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트 액자형 운동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34B1 (ko) 2009-07-21 2011-06-28 유재이 놀이 시설물용 매립형 발목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323A (en) 1997-07-07 1998-09-01 Ansel; Cliff Adjustable hip and thigh execi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41B1 (ko) * 2007-10-02 2008-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트 액자형 운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477B1 (ko)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277B1 (ko) 볼 스윙 구조를 갖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US8485953B2 (en) Exerciser
US7563206B1 (en) Swimming exercising device
US10744367B2 (en) Bed with exercise function
US10143274B2 (en) Fitness apparatus
JP2019524166A (ja) スクワット運動のための運動装置
KR100840477B1 (ko) 벽 매립형 운동기구
KR200422247Y1 (ko) 벽 매입형 운동기구
KR200441378Y1 (ko) 족구 공격 연습구
KR200436695Y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210008208A (ko)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130093219A (ko) 철봉 운동용 기구
KR20070000974A (ko)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0449845Y1 (ko) 거꾸리발걸이운동기구
EP3181198A1 (en) Portable abs exercise device
KR101232794B1 (ko) 휴대용 운동기구
WO2019185752A1 (en) Exercise device
KR101348743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장치
KR102395323B1 (ko) 요가 기구용 고정구
KR100867117B1 (ko) 다용도 헬스기구
KR200438233Y1 (ko)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319059Y1 (ko) 허리 운동기구
KR101404053B1 (ko) 굴림식 운동기구
KR20120057057A (ko) 상체 및 복근 운동을 위한 운동기구
KR200330512Y1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