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949A -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949A
KR20070093949A KR1020070087668A KR20070087668A KR20070093949A KR 20070093949 A KR20070093949 A KR 20070093949A KR 1020070087668 A KR1020070087668 A KR 1020070087668A KR 20070087668 A KR20070087668 A KR 20070087668A KR 20070093949 A KR20070093949 A KR 20070093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ion
mask
weight
mask pack
m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근
Original Assignee
최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근 filed Critical 최희근
Priority to KR102007008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3949A/ko
Publication of KR2007009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에 천연오일과 로션 또는 로션혼합제제를 혼합한 혼합젤을 마스크에 일정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알부틴용액이나 콜라겐용액 등의 화장수와 함께 포장하므로써, 황토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면서 부작용이 없고, 황토 특유의 효능과 더불어 자연물에서 추출한 조성물의 효능이 부가됨으로써 피부세포의 활성화와 더불어 미백효과 및 피부보습, 뛰어난 피부보호효능, 모공수축효과, 여드름 피부에 효과, 각질제거기능, 주름살을 펴주며,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효과가 있으며, 마스크에 흡착된 황토가 화장수에 의해 분산되지 않으며, 마스크팩을 사용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되어도 황토가루가 떨어지거나 날리거나 묻어나지 않으며, 마스크팩의 사용이 완료되어 건조되어도 보관하였다가 물에 적시기만 하면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황토, 갯펄, 머드, 마스크

Description

마스크팩{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에 천연오일과 로션 또는 로션혼합제제를 혼합한 혼합젤을 마스크에 일정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알부틴용액이나 콜라겐용액 등의 화장수와 함께 포장하므로써, 황토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면서 부작용이 없고, 황토 특유의 효능과 더불어 자연물에서 추출한 조성물의 효능이 부가됨으로써 피부세포의 활성화와 더불어 미백효과 및 피부보습, 뛰어난 피부보호효능, 모공수축효과, 여드름 피부에 효과, 각질제거기능, 주름살을 펴주며,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효과가 있으며, 마스크에 흡착된 황토가 화장수에 의해 분산되지 않으며, 마스크팩을 사용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되어도 황토가루가 떨어지거나 날리거나 묻어나지 않으며, 마스크팩의 사용이 완료되어 건조되어도 보관하였다가 물에 적시기만 하면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62473호(인용발명)에는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발명은 마스크팩을 화장수와 혼합하는 경우 황토가 화장수에 분산되며, 마스크팩이 건조되는 경우 황토가루가 떨어지거나 날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황토에 천연오일과 로션 또는 로션혼합제제를 혼합한 혼합젤을 마스크에 일정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알부틴용액이나 콜라겐용액 등의 화장수와 함께 포장하므로써, 황토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마스크에 흡착된 황토가 화장수에 의해 분산되지 않으며, 마스크팩을 사용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되어도 황토가루가 떨어지거나 날리거나 묻어나지 않으며, 마스크팩의 사용이 완료되어 건조되어도 보관하였다가 물에 적시기만 하면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팩과 상기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면서 부작용이 없고, 황토 특유의 효능과 더불어 자연물에서 추출한 조성물의 효능이 부가됨으로써 피부세포의 활성화와 더불어 미백효과 및 피부보습, 뛰어난 피부보호효능, 모공수축효과, 여드름 피부에 효과, 각질제거기능, 주름살을 펴주며,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효과가 있으며, 마스크에 흡착된 황토가 화장수에 의해 분산되지 않으며, 마스크팩을 사용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되어도 황토가루가 떨어지거나 날리거나 묻어나지 않으며, 마스크팩의 사용이 완료되어 건조되어도 보관하였다가 물에 적시기만 하면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팩은,
천연오일 20~40중량%, 로션 또는 로션혼합제제 20~40중량%, 황토, 갯펄, 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이 30~50중량%의 비율로 함유된 혼합젤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팩에는 화장수가 추가로 포함되어 포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오일은 라벤더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션혼합제제는 로션 40~60중량%, 세틸알콜 20~30중량%, 스테아린산 2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은,
천연오일 20~40중량%, 로션 또는 로션혼합제제 20~40중량%, 황토, 갯펄, 머 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이 30~5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젤을 40~70℃의 밀폐용기에서 8~12시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마스크를 준비하는 마스크준비단계와, 상기 마스크에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혼합젤을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15~30℃의 실온에서 1~2시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마스크팩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준비단계는, 마스크를 증류수에 적신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단계는, 상기 마스크팩에 화장수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오일은 라벤더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션혼합제제는 로션 40~60중량%, 세틸알콜 20~30중량%, 스테아린산 2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션은 기초화장품으로, 여러 가지 화장품에 로션이란 이름을 붙이고 있으나, 본래는 에탄올ㆍ글리세롤ㆍ글리콜ㆍ붕산ㆍ시트르산ㆍ식물점액ㆍ정제수(精製水) 등을 주원료로 한 피부전용 화장수로서, 피부에 윤기를 주고 피부 표면의 pH를 조절하거나 수렴(收斂:수축)ㆍ살균ㆍ방취(防臭) 등의 효과가 있다. 대중적인 것으로는 피부를 수렴시켜서 청량감을 주는 산성의 아스트린젠트 로션, 피부를 유연하게 하여 매끄러움을 주는 알칼리성 화장수, 산화아연 등을 배합한 칼라민로션 등이 있다. 또한 크림류를 배합한 밀크로션이 있는데, 사용법은 로션과 비슷하나 크림으로서 취급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피부에 윤기를 주고 피부 표면의 pH를 조절하거나 수렴(收斂:수축)ㆍ살균ㆍ방취(防臭) 등의 효과가 있는 상용화된 모든 로션, 밀크로션 등을 의미한다.
천연오일은 라벤다, 로즈마리, 레몬, 페파민트, 파인, 스피아민트, 조조바, 알로에, 올리브, 스위트 아몬드, 아보카도, 밀배아, 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오일이며, 위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제1혼합단계(100), 제2혼합단계(110), 숙성단계(120), 마스크준비단계(130), 도포단계(140), 건조단계(150), 포장단계(160)로 구분된다. 제1혼합단계(100)는 천연오일과 황토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제1혼합단계(100)에서 천연오일과 황토, 갯펄, 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을 대략 3:4의 비율로 혼합한다.
제2혼합단계(110)는 제1혼합단계(100)에서 혼합된 천연오일과 황토, 갯펄, 머드에 로션혼합제제를 추가하여 혼합한다. 제2혼합단계(110)에서는 천연오일:황토, 갯펄, 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로션혼합제제=3:4:3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한다. 로션혼합제제는 단순히 로션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2혼합단계(110)에서 로션혼합제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로션:세틸알 콜:스테아린산=5:2.5:2.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다.
제1혼합단계(100)와 제2혼합단계(110)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천연오일:황토, 갯펄, 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로션혼합제제=3:4:3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한 후 혼합하여 혼합젤을 만든다.
숙성단계(120)는 상기 제1혼합단계(100)와 제2혼합단계(120)를 거친 혼합젤을 40~70℃의 밀폐용기에서 8~12시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이다. 일실시예로는 60℃에서 10시간정도 숙성시킨다. 혼합젤이 숙성단계(120)를 거치면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마스크준비단계(130)는 얼굴형상(눈, 입, 코 부분이 개방된)의 부직포로 된 마스크를 증류수에 적신후 건조시킨다. 마스크를 증류수에 적신후 건조시키는 것은 혼합젤이 잘 흡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스크를 증류수에 적시고 건조시키지 않아도 혼합젤이 잘 흡착되는 경우에는 마스크준비단계(130)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마스크는 반드시 부직포로 된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얼굴피부에 유해하지 않으면 어떤 종류라도 무방하다.
도포단계(140)는 숙성단계(120)를 거친 혼합젤을 마스크준비단계(130)를 거친 마스크의 일측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한다. 마스크에 혼합젤을 도포하는 것은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도포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압착할 수 있다.
건조단계(150)는 실온(20~30℃)에서 1~2시간 건조시켜 완성된다. 실온이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우에는 건조시간을 길게하거나 짧게 하므로써 해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건조장치를 구비하여 건조시킬수 있다. 별도의 건조 장치에서는 열풍건조, 차압건조, 감압건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건조단계(150)을 거친 마스크는 적당한 크기로 접어 소정의 화장수(알부틴용액, 콜라겐용액 등)와 함께 소정 용량의 알루미늄박을 입힌 폴리에틸렌 팩에 넣어 포장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라벤더유 300g에 황토400g을 넣고 10분간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로션150g+세틸알콜75g+스테아린산75g을 넣어 만든 로션혼합제제300g을 추가하고 다시 10분간 추가로 교반 혼합한 다음, 60℃의 밀폐용기에서 10시간 숙성시켰다. 마스크를 증류수에 적신후 실온에서 30분동안 건조시키고, 마스크의 일측면 위에 숙성된 혼합젤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였다. 혼합젤이 도포된 마스크팩을 실온(25℃)에서 1시간 30분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마스크팩을 충분히 적셔질 정도의 알부틴용액과 콜라겐용액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내부가 알루미늄박이 입혀진 폴리에틸렌 팩에 넣고 포장하였다.
[실시예2]
라벤더유 350g에 황토300g을 넣고 10분간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로션175g+ 세틸알콜87.5g+스테아린산87.5g을 넣어 만든 로션혼합제제350g을 추가하고 다시 10분간 추가로 교반 혼합한 다음, 60℃의 밀폐용기에서 10시간 숙성시켰다. 이후의 과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실시예3]
라벤더유 250g에 황토500g을 넣고 10분간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로션125g+세틸알콜62.5g+스테아린산62.5g을 넣어 만든 로션혼합제제250g을 추가하고 다시 10분간 추가로 교반 혼합한 다음, 60℃의 밀폐용기에서 10시간 숙성시켰다. 이후의 과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실시예4]
라벤더유 200g에 황토600g을 넣고 10분간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로션100g+세틸알콜50g+스테아린산50g을 넣어 만든 로션혼합제제200g을 추가하고 다시 10분간 추가로 교반 혼합한 다음, 60℃의 밀폐용기에서 10시간 숙성시켰다. 이후의 과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실시예5]
실시예1에서 로션혼합제제 대신에 동일한 양의 로션을 사용하였다.
[실시예6]
실시예2에서 로션혼합제제 대신에 동일한 양의 로션을 사용하였다.
[실시예7]
실시예3에서 로션혼합제제 대신에 동일한 양의 로션을 사용하였다.
[실시예8]
실시예4에서 로션혼합제제 대신에 동일한 양의 로션을 사용하였다.
실시예2에 의한 황토젤은 실시예1보다 황토의 양이 적어 실시예1보다 옅은색을 띠고 있었다.
[사용예]
실시예1 ~ 실시예8에 의해 생산된 마스크팩을 3일이 경과한 후에 포장을 열었다. 마스크에 흡착된 혼합젤은 화장수에 분산되지 않고 일정한 두께 및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실시예1 ~ 실시예8에 의해 생산된 마스크팩을 안면에 덮고 30분이상 경과한 후에 장단점을 살폈다(여기서, 30분은 통상적으로 마스크팩이 건조되는 시간이며, 이는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의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실시예1 ~ 실시예4에 의한 마스크팩은 안면에 덮은 후 안면에 약간의 따가움을 느꼈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5 ~ 실시예8에 의한 마스크팩은 따가움이 없었다. 이에 따라, 로션혼합제제에 포함된 세틸알콜과 스테아린산에 의한 안면 자극으로 따가움을 느낀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1 ~ 실시예4의 황토젤의 따가움도 3~5회 이상 반복적으로 사용한 후에는 잘 느껴지지 않았다.
실시예1 ~ 실시예3 및 실시예5 ~ 실시예7의 황토젤은 도포후 약 30분 경과하여 건조된 후, 마스크팩을 안면으로부터 떼어내도 황토는 마스크팩에 도포된 최초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안면에는 황토가 거의 묻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8 및 사용예에서 황토 대신에 갯펄이나 머드 또는 황토, 갯펄, 머드중 어느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갯펄이나 머드 또는 황토, 갯펄, 머드중 어느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도 황토를 사용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있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제1혼합단계 110. 제2혼합단계 120. 숙성단계
130. 마스크준비단계 140. 도포단계 150. 건조단계
160. 포장단계

Claims (7)

  1. 마스크팩에 있어서,
    라벤더, 로즈마리, 레몬, 페파민트, 파인, 스피아민트, 조조바, 알로에, 올리브, 스위트 아몬드, 아보카도, 밀배아, 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오일 20~40중량%,
    글리세롤, 글리콜,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 20~40중량% 또는 글리세롤, 글리콜,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과 세틸알콜 및 스테아린산을 포함하는 로션혼합제제 20~40중량%,
    황토, 갯펄, 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이 30~50중량%의 비율로 함유된 혼합젤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에는 화장수가 추가로 포함되어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션혼합제제는 글리세롤, 글리콜,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 40~60중량 %, 세틸알콜 20~30중량%, 스테아린산 2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4.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라벤더, 로즈마리, 레몬, 페파민트, 파인, 스피아민트, 조조바, 알로에, 올리브, 스위트 아몬드, 아보카도, 밀배아, 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오일 20~40중량%; 글리세롤, 글리콜,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 20~40중량% 또는 글리세롤, 글리콜,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과 세틸알콜 및 스테아린산을 포함하는 로션혼합제제 20~40중량%; 황토, 갯펄, 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을 30~5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젤을 40~70℃의 밀폐용기에서 8~12시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마스크를 준비하는 마스크준비단계와,
    상기 마스크에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혼합젤을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15~30℃의 실온에서 1~2시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마스크팩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준비단계는, 마스크를 증류수에 적신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계는, 상기 마스크팩에 화장수를 첨가하여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션혼합제제는 글리세롤, 글리콜,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 40~60중량%, 세틸알콜 20~30중량%, 스테아린산 2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070087668A 2007-08-30 2007-08-30 마스크팩 KR20070093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68A KR20070093949A (ko) 2007-08-30 2007-08-30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68A KR20070093949A (ko) 2007-08-30 2007-08-30 마스크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007A Division KR20070003532A (ko) 2006-02-22 2006-02-22 마스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949A true KR20070093949A (ko) 2007-09-19

Family

ID=3868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668A KR20070093949A (ko) 2007-08-30 2007-08-30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39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913A (zh) * 2019-10-25 2019-12-31 张赞红 一种中药深层祛痘面膜
KR20210001272A (ko) 2019-06-27 2021-01-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팩용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분말 조성물을 이용한 셔벗 형태의 미용팩용 마이크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72A (ko) 2019-06-27 2021-01-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팩용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분말 조성물을 이용한 셔벗 형태의 미용팩용 마이크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623913A (zh) * 2019-10-25 2019-12-31 张赞红 一种中药深层祛痘面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6B1 (ko)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WO2005034888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odor neutralizing metal oxide silicates
US11020326B2 (en) Hollow particles and cosmetic
KR100858716B1 (ko) 마스크시트 제조방법
TWI768066B (zh) 用於改善頭髮保濕力的含有精氨酸、透明質酸和澳洲堅果油的混合物的化妝品組合物
CN113274338A (zh) 一种具有打底功能的儿童妆前保湿乳及其制备方法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93949A (ko) 마스크팩
KR102528220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40005340A1 (en) Aqueou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rous silica particles and at least one humectant
KR102038502B1 (ko) 마스크시트 제조방법
KR20070003531A (ko) 황토젤
KR20070093950A (ko) 마스크팩
KR101264530B1 (ko) 일라이트 복합 기능성 분체를 함유한 고 보습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3532A (ko) 마스크팩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93948A (ko) 황토젤
KR20070093947A (ko) 황토젤
EP4091600A1 (en) Solid personal care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P3614995A1 (en) Cosmetic composition showing a natural and a healthy-looking appearance
EP1596820B1 (en) Ambiphilic porous matrix
KR20120005773A (ko) 일라이트를 함유한 탈크 프리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995998B1 (ko)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90063A (ko) 머드(Mud) 팩의 조성물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