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810A -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810A
KR20070093810A KR1020070017331A KR20070017331A KR20070093810A KR 20070093810 A KR20070093810 A KR 20070093810A KR 1020070017331 A KR1020070017331 A KR 1020070017331A KR 20070017331 A KR20070017331 A KR 20070017331A KR 20070093810 A KR20070093810 A KR 2007009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face
authentication
subje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366B1 (ko
Inventor
마사히로 센가
타카시 카키우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40Spoof detection, e.g. liveness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이 높은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휴대 전화(1)는,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카메라(2)와, 피인증자의 얼굴이 경사 아래 방향으로부터 촬상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비교부(5)와, 피인증자의 얼굴이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되고 있지 않다고 촬상 방향 비교부(5)가 판정하는 경우에,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주제어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인증 장치

Description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도 1은 한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한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한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의 경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화상 해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얼굴의 구성 부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는 것이고, (a)는 피인증자의 얼굴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피인증자의 얼굴이 윗방향을 향하고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피인증자의 얼굴이 아래방향을 향하고 있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화상 해석부에 있어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한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인의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모인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인증 장치)
2 : 카메라(촬상 수단)
3 : 경사 센서(경사 검출 수단)
4 : 화상 해석부(화상 해석 수단)
5 : 촬상 방향 비교 부(방향 판정 수단)
8 : 주제어부(판단 수단)
11 : 인증 화상
20 : 피인증자
21 : 윤곽(얼굴의 구성 부분)
22a : 오른쪽 눈(얼굴의 구성 부분)
22b : 왼쪽 눈(얼굴의 구성 부분)
23 : 코(얼굴의 구성 부분)
24 : 입(얼굴의 구성 부분)
41 : 절대 위치 검출부(위치 검출 수단)
42 : 상대 위치 산출부(상대 위치 산출 수단)
43 : 얼굴 방향 판정부(얼굴 방향 판정 수단)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피인증자의 얼굴 촬상 화상에 근거하고 본인 확인을 행한 인증 장치 및 인증 방법에 관하는 것이다.
(배경 기술)
휴대 단말의 보급·기능의 강화에 따라, 보안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 머니와 같은 금융거래에 직결한 기능을 탑재한 경우에는, 보안의 확보는 절대 조건으로 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종래의 비밀번호·패스워드라고 칭하는 보안 대책에 추가하여, 보다 보안의 확보가 용이한 생체 인증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얼굴 인증은, 평소의 생활에서 사람이 극히 보통으로 행하고 있는 식별 방법이고, 정신적인 저항이 적은 것,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의 보급으로 촬상 가능한 장치가 증가하고, 적은 투자로 실현 가능하는 것, 등으로부터 채용된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인증 방법과 마찬가지로, 얼굴 인증에 있어서도, 본인(본래의 피인증자)이 아닌자가 본인인양 행세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종래의 얼굴 인증 장치로는, 피인증자를 정면에서 촬상하는 것에 의해 인증을 위한 화상이 취득되지만, 본인을 정면에서 촬상한 사진은, 비교적 간단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정면에서의 사진을 이용함으로서 본인인양 행세 할 수 있다.
도 8은 본인의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모인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듯이, 본인의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모인을 행하는 경우에 는, 휴대 전화(50)의 카메라(51)의 정면에, 본인의 얼굴(53)이 찍히고 있는 사진(52)을 배치하고, 사진(52)을 촬상한다. 이와 같은 촬상을 행하고, 본인의 얼굴을 촬상하고 있는 것과 같게 보이게 하는 것으로 본인 모인을 행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면이 아닌 방향에서 촬상한 화상을 얼굴 인증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인 모인에 의한 오인증을 막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개인 인증 장치에서는, 피인증자의 얼굴을 미리 정해진 정면이 아닌 특정 방향에서 촬상하고, 그 촬상 화상을 인증 사전에 등록하고 있다. 그리고, 인증시에, 상기 특정한 방향에서 촬상된 피인증자의 얼굴 화상과 인증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화상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피인증자가 본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본인 확인을 위한 장치는 아니지만, 인물의 화상을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는 것에 의해 인물 인증을 행하는 발명으로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를 열거 할 수 있다. 이 화상 처리 장치로는, 인물의 화상을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할 수 있는 화상 입력부를 설치하고, 해당 화상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에 근거하여 인물 인증을 행하고 있다.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는 것에 의해, 대상자의 신장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대상자의 얼굴 화상을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얼굴 인증용의 화상으로부터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의 발명으로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특징점 추출 방법을 열거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3-178306호 공보(2003년 6월 27일 공개)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00-259814호 공보(2000년 9월 22일 공개)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인증 장치는,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도록 촬상 수단이 고정되고 있는 것임에 대하여,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장치로는, 카메라와 피인증자의 얼굴과의 위치 관계는 용이하게 변화해 버린다. 가령, 항상 일정한 방향에서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을 휴대 단말의 유저에게 강요하면, 유저에 있어 큰 부담으로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의 구성을 휴대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인증 장치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정해진 촬상 방향에서 촬상한 등록 화상을 등록할 필요가 있고, 그러한 등록 화상을 등록하는 것이 귀찮은 동시에, 등록시와 인증시의 얼굴 방향을 일치킬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촬상 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고정되고 있는 것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모인이 행해지는 리스크가 높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이 높은 인증 장치 및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한 인증 장치이고,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다 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방법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한 인증 장치에 의한 인증 방법이고,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한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공정에 있어 판정하는 경우,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인(본래의 피인증자)의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모인을 행하는 경우에는, 통상, 촬상 수단을 사진에 대하여 제대로 배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은,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 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 수단이 판단한다.
즉, 피인증자의 얼굴이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되지 않으면, 인증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인 모인을 행하기 위해 본인의 사진을 정면에서 촬상한 경우에는, 인증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촬상 방향을 본인 모인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 기준으로서 촬상 방향을 이용할 수 있고,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아래방향이란, 피인증자가 자신의 얼굴을 연직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촬상 수단을 갖는 인증 장치를 지지한 때에,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앙각을 한 상태에서, 피인증자의 턱을 거의 제대로 파악한 위치에서 촬상한 경우의 촬상 방향이다.
또,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피인증자 얼굴의 화상인 인증 화상을 해석하고, 상기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 방향을 판정하는 화상 해석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고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화상 해석 수단이, 인증 화상을 해석하는 것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 방향을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근거하고 방향 판정 수단은,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판정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인증 장치라도 이용되고 있는 인증 화상을 이용하고 촬상 방향을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 방향 판정에 필요한 정보를 새롭게 취득하는 일 없이 촬상 방향의 판정을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화상 해석 수단은, 상기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의 여러 구성 부 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추출한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성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대 위치 지표를 산출한 상대 위치 산출 수단과, 상기 상대 위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상대 위치 지표를 기초로 상기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 방향을 판정하는 얼굴 방향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검출 수단은,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의 여러의 구성 부분, 예를 들면, 얼굴의 윤곽, 목, 비, 입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대 위치 산출 수단은,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대 위치 지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대 위치 지표에 근거하고, 얼굴 방향 판정 수단은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 방향을 판정한다.
그 때문에, 인증 화상에 있어서 피인증자의 얼굴 방향에 근거하고 촬상 방향을 판정할 수 있고, 유저가 촬상 방향을 자유롭게 바꾸었던 경우에도 정확하게 촬상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함으로서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이고,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수단과,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때의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은 것을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다 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방법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의한 인증 방법이고,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한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다 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인(본래의 피인증자)의 사진을 이용하여 본인 모인을 행하는 경우에는, 통상, 촬상 수단을 사진에 대하여 제대로 배치한다. 이 때,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은,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이 되거나, 수평면에 대하여 부각을 이루는 것이 많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경사 검출 수단은,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때의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고,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때의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 수단이 판단한다.
그 때문에, 촬상 방향을 본인 모인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 기준으로서 촬상 방향을 이용할 수 있고,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인증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기능 시키기 위한 인증 프로그램 및 해당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장치는, 이상과 같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장치는, 이상과 같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수단과,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때의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은 것을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방법은, 이상과 같이,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한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공정에 있어 판정하는 경우,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방법은, 이상과 같이, 인증 장치가 구비된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한 구성이다.
그 때문에, 촬상 방향을 본인 모인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 기준으로서 촬상 방향을 이용할 수 있고,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인증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1)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이 휴대 전화(1)는, 유저의 인증을 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메일 수신용이나 과금 결제용의 것이지만,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전화(1)가 갖는 것이라도 좋고, 휴대 전화(1)와 통신을 행한 외부의 장치가 갖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에서, 외부의 장치란, 유저의 인증 결과를 필요로 한 자가 소유한 장치이고, 예를 들면, 상품을 판매한 업자나 크레디트 회사가 소유한 컴퓨터이다.
(휴대 전화(1)의 구성)
도 1은, 휴대 전화(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휴대 전화(1)는, 카메라(2)(촬상 수단), 경사 센서(3)(경사 검출 수단), 화상 해석 부(4)(화상 해석 수단), 촬상 방향 비교부(5), 조합부(6), 데이터베이스(7), 주제어부(8)(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 전화(1)는, 통신부, 마이크로폰,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도 1에서는 생략되고 있다.
카메라(2)는, 피인증자인 유저의 얼굴의 화상(이하, 인증 화상이라고 칭한다)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이다. 카메라(2)는, 예를 들면, CCD 카메라이고, 입력부(9)를 이용하고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카메라(2)에 의해 취득된 인증 화상은, 화상 해석부(4)에 출력된다.
도 2는, 휴대 전화(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카메라(2)는, 유저의 얼굴(20)을 촬상하기 쉬운 듯이, 휴대 전화(1)의, 입력부(9)나 표시부(10)가 마련되어 있는 면과 동일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센서(3)은, 휴대 전화(1)의 경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고,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용의 장치에도 편입되고 있다, 3축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스코프 센서이다. 이 경사 센서(3)는, 휴대 전화(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고, 그 경사의 정보를,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출력한다. 즉, 경사 센서(3)는, 유저가 어떤 각도로 휴대 전화(1)를 지지하고 있는 것인가를 검출한다.
화상 해석부(4)는, 인증 화상을 해석하고, 얼굴 방향으로부터 카메라(2)의 촬상 방향을 판정한다. 화상 해석부(4)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화상 해석부(4)의 판정 결과는,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출력된다.
촬상 방향 비교부(5)는, 화상 해석부(4)의 판정 결과 및 경사 센서(3)로부터 의 경사 정보에 근거하고 카메라(2)의 촬상 방향을 최종적으로 판정하며, 그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경사 아래로부터 경사 위로의 방향)으로 있는지 아닌지, 즉,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의 촬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상 방향 비교부(5)는, 이 판정 결과를 주제어부(8)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카메라(2)의 촬상 방향이란, 피인증자의 얼굴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서 촬상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피인증자의 얼굴과 카메라(2)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휴대 전화(1)의 경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휴대 전화(1)를 조작한 때, 유저는, 자신의 얼굴(20)에 대하여 휴대 전화(1)를 바로 정면으로 유지하는 것은 아니고, 얼굴의 위치보다도 휴대 전화(1)를 내리고, 또한, 휴대 전화(1)의 단부 중, 위의 쪽의 단부(도 3에 있어서, 카메라(2)가 마련되어 있는 측의 단부)를 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였던 상태에서 지지한 경우가 많다. 이 상태에서 촬상한 때의 촬상 방향을 아래방향이라고 정의한다.
환언하면, 아래방향이란, 유저가 자신의 얼굴을 연직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휴대 전화(1)를 지지한 때에, 휴대 전화(1)의 촬상 방향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앙각을 이룬 경우, 즉, 휴대 전화(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각도 중, 카메라(2)가 배치되고 있는 면이란 반대측의 면의 측에 형성된 각도(도 3에 각도 θ)가 연직 상측에 있어 90도 보다도 작은 경우의 촬상 방향이다. 또한, 유저의 얼굴이 연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우에는, 유저의 얼굴과 카메라(2)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카메라(2)와 유저의 얼굴을 연결한 촬상축도 마찬가지로 기 울이면 좋다.
또, 유저 얼굴의 정면에 카메라(2)를 배치한 상태에서 촬상한 경우의 촬상 방향을 정면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휴대 전화(2)의 촬상 방향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부각을 이룬 상태에서의 촬상 방향을 윗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7)에는, 유저의 얼굴을 촬상하는 화상(이하, 등록 화상이라고 칭한다)이 미리 저장되고 있다. 이 등록 화상은, 카메라(2)에 의해 취득된 것이어도 좋고,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취득된 것이어도 좋다.
조합부(6)는 카메라(2)에 의해 취득된 인증 화상과, 데이터베이스(7)에 저장되고 있는 등록 화상을 조합하고, 양 화상이 얼마만큼 유사하고 있는지에 근거하여, 피인증자가 본인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조합부(6)에 있어서 조합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증 화상의 얼굴 영역에서 특징량을 추출하고, 그러한 특징량과, 등록 화상의 얼굴 영역에서 추출한 특징량과 매칭 시키는 것에 의해 조합을 행해도 좋다.
조합부(6)는, 주제어부(8)로부터 출력된 조합 명령을 수취하면, 상기의 조합 처리를 행하고, 조합 결과를 주제어부(8)에 출력한다.
주제어부(8)는, 조합부(6)로부터 조합 결과를 수취하면, 해당 조합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출력한다. 또,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주제어부(8)는, 표시부(10)를 이용하고 인증 실패 결과를 알려도 좋다.
(화상 해석부(4)의 구성)
다음에, 화상 해석부(4)의 구성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 는, 화상 해석부(4)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하듯이, 화상 해석부(4)는, 절대 위치 검출부(41)(위치 검출 수단), 상대 위치 산출부(42)(상대 위치 산출 수단), 얼굴 방향 판정부(43)(얼굴 방향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절대 위치 검출부(41)는,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의 구성 부분(파트)의 절대 위치를 검출한다. 이 구성 부분으로서, 얼굴의 윤곽, 목, 구, 코를 열거할 수 있다. 이들 구성 부분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이 방법으로는, 원형이나 타원형등의 특정 형상의 영역을 추출한 분리도 필터와 템플릿 패턴과의 조합의 조합에 의해 특징점 추출을 행한다.
도 5는, 얼굴의 구성 부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하듯이, 인증 화상(11)의 좌하의 모서리부를 원점으로서, 해당 모서리부로부터 오른쪽 밑의 모서리부에 신장한 변을 포함한 X축과, 상기 좌하의 모서리부로부터 왼쪽 위의 모서리부에 신장한 변을 포함한 Y축을 설정하고, X 좌표 및 Y좌표에 의해 각 구성 부분의 위치를 규정한다.
절대 위치 검출부(41)는, 추출한 구성 부분의 위치(좌표)의 정보(위치 정보)를 상대 위치 산출부(42)에 출력한다.
상대 위치 산출부(42)는, 절대 위치 검출부(41) 따라서 추출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구성 부분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값(이하, 상대 위치 지표라고 칭한다)을 산출한다. 이 상대 위치 산출부(42)는, 산출한 상대 위치 지표를 얼굴 방향 판정부(43)에 출력한다. 상기 상대 위치 지표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는 후술한다.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상대 위치 산출부(42)에서 산출된 목, 입, 코의 상대 위치 지표가 각각 소정의 범위내의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모든 상대 위치 지표가 소정의 범위내인지 어떤지에 의해 얼굴 방향(촬상 방향)을 판정한다.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판정 결과를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출력한다.
(상대 위치 산출부(42)에 있어서의 산출 방법)
다음에, 상대 위치 산출부(42)에 있어 상대 위치 지표를 산출한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절대 위치 검출부(41)로부터 출력된 구성 부분의 좌표로부터 특정한 좌표를 추출한다. 즉, 윤곽(21)중, 가장 큰 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를 Y outline_upper, 가장 작은 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를 Y outline_lower로 하여, 오른쪽 눈(22a)의 Y좌표를 Y eye_left, 왼쪽 눈(22b)의 Y좌표를 Y eye_right로 하여, 코(23)중, 가장 큰 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를 Y nose_upper, 가장 작은 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를 Y nose_lower로 하여, 입 (24)의 Y좌표를 Y mouth로 한다.
그리고, 윤곽(21)의 Y축 방향의 길이(H out), 눈 위치(Y좌표)(H eye), 코의 위치(Y좌표)(H nose)를 아래와 같이 산출한다.
H out = Y outline_upper - Y outline_lower
H eye = (Y eye_left + Y eye_right)/2
H nose=(Y nose_upper + Y nose_lower )/2
즉, 윤곽(21) 중, 가장 큰 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로부터, 가장 작은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를 빼는 것에 의해, 윤곽(21)의 Y축 방향의 길이를 산출한다. 또, 오른쪽 눈(22a)의 Y좌표와 왼쪽 눈(22b)의 Y좌표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눈의 Y좌표를 산출한다. 또, 코(23)중, 가장 큰 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와, 가장 작은 Y좌표를 갖는 부분의 Y좌표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코의 Y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1)눈의 Y좌표와 Y outline_lower와의 차이에 대한 윤곽(21)의 길이의 비인 R eye, 2)코의 Y좌표와 Y outline_lower와의 차이에 대한 윤곽(21)의 길이의 비인 R nose, 3)입의 Y좌표와 Y outline_lower와의 차이에 대한 윤곽 (21)의 길이의 비인 R eye를 산출한다.
즉, 각 구성 부분의, 윤곽(21)의 상단부에 대한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대 위치 지표인, R eye, R nose, R mouth를,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산출한다.
R eye =(H eye-Y outline_lower)/H out
R nose =(H nose-Y outline_lower )/H out
R mouth =(Y mouth-Y outline_lower )/H out
즉, R eye, R nose, R mouth는, 윤곽(21)의 상단부에 눈, 비, 입이 얼마만큼 근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이러한 값이 커질수록 눈, 비, 입이 윤곽(21)의 상단부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대 위치 산출부(42)는, R eye, R nose, R mouth의 각 상대 위치 지표를 얼굴 방향 판정부(43)에 출력한다.
(얼굴 방향 판정부(43)에 있어서의 방향 판정 방법)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상대 위치 산출부(42)로부터 출력되는 R eye, R nose, R mouth의 각 상대 위치 지표의 크기로부터 얼굴 방향(촬상 방향)을 판정한다. 각 상대 위치 지표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각각 3개(제 1∼제 3 범위) 로분되어 있고,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각 상대 위치 지표가 어느 범위의 것인지에 근거하여 촬상 방향을 판정한다.
즉,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상대 위치 지표가 제 1범위의 것이라면, 촬상 방향은 아래방향이라고 판정하고, 제 2범위의 것이라면, 촬상 방향은 정면 방향이고, 제 3범위의 것이라면, 촬상 방향은 윗방향이라고 판정한다.
환언하면, 상대 위치 지표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분할한 분할 범위를 정하고, 해당분할 범위에 대하여 촬상 방향을 각각 대응시키고 있다. 그리고,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상대 위치 지표가 어느 분할 범위에 속하는 것인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촬상 방향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R eye에 관하여, 0.8< R eye ≤1.0 (제1 범위), 0.6 < R eye ≤ 0.8 (제2 범위), R eye ≤ 0.6 (제3 범위)가 설정되고 있고, R nose에 관하여, 0.7 < R nose ≤ 1.0 (제1 범위), 0.4 < R nose ≤ 0.7 (제2 범위), R nose ≤ 0.4 (제3 범위)가 설정되고 있고, R mouth에 관하여, 0.3 < R mouth ≤ 0.5 (제1 범위), 0.1 < R mouth ≤ 0.3 (제2 범위), R mouth ≤ 0.1 (제3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R eye, R nose, R mouth의 3개의 상대 위치 지표를 기초로 촬상 방향을 판정 하는 경우에는,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이하의 3개의 처리중, 적어도 1)의 처리를 행한다.
1)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각 상대 위치 지표의 모두가 제1 범위내의 것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0.8 < R eye ≤ 1.0
0.7 < R nose ≤ 1.0
0.3 < R mouth ≤ 0.5
각 상대 위치 지표의 모두가 상기 식을 충족시키는 경우,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해당 인증 화상은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영된 것이(얼굴은 윗측으로 향하며, 도 5의 (b)에 나타내는 상태)라고 판정한다.
2)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각 상대 위치 지표의 모두가 제2 범위내의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0.6 < R eye ≤ 0.8
0.4 < R nose ≤ 0.7
0.1 < R mouth ≤ 0.3
각 상대 위치 지표의 모두가 상기 식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인증 화상은 정면에서 촬영된 것이다(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도 5의 (a)에 나타내는 상태)라고 판정한다.
3)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상대 위치 지표중, 제3 범위에 포함된 것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제3 범위에 포함된 것이 있는 경우에 해당 인증 화상은 윗방향으로부터 촬영된 것이다(얼굴은 하향, 도 5의 (c)에 나타내는 상태)라고 판정한다.
(화상 해석부(4)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
다음에, 화상 해석부(4)에 있어서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화상 해석부(4)에 있어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하듯이, 먼저, 절대 위치 검출부(41)는, 카메라(2)에 의해 취득된 인증 화상에 포함되는 얼굴의 구성 부분의 위치를 검출하고(S1), 그 위치 정보를 상대 위치 산출부(42)에 출력한다.
위치 정보를 수취하면, 상대 위치 산출부(42)는, 윤곽(21)의 Y축 방향의 길이(H out), 눈 위치(H eye), 코의 위치(H nose)를 산출하고, 또한, 윤곽(21)의 상단부에 대한 눈, 비, 입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대 위치 지표(R eye, R nose, R mouth)를 산출한다(S2). 그리고, 상대 위치 산출부(42)는, 각 상대 위치 지표를 얼굴 방향 판정부(43)에 출력한다.
상대 위치 지표를 수취하면,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각 상대 위치 지표가 전부 제1 범위내의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S3).
각 상대 위치 지표가 전부 제1 범위내의 것이라면(S3에서, YES),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얼굴은 위를 향한(촬상 방향은 아래방향)것이라고 판정한다(S4).
한편, 상대 위치 지표 중, 하나라도 제1 범위외의 것이 있으면(S3에, NO),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각 상대 위치 지표가 제2 범위내의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 한다(S5).
상대 위치 지표가 전부 제2 범위내의 것이라면(S5에, YES),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얼굴은 정면 방향(촬상 방향은 정면 방향)에 있다고 판정한다(S6).
한편, 상대 위치 지표 중, 하나라도 제2 범위외의 것이 있으면(S5에, NO),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얼굴은 하향(촬상 방향은 윗방향)으로 있다고 판정한다(S7).
얼굴 방향 판정부(43)는, 상기의 판정 결과를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출력한다(S8).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있어서의 판정 방법)
다음에,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있어서, 촬상 방향의 최종 판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촬상 방향 비교부(5)는, 경사 센서(3) 및 얼굴 방향 판정부(43)로부터 수취한 정보의 양쪽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인증 화상의 촬상 방향을 판정한다.
경사 센서(3)로부터의 정보 및 얼굴 방향 판정부(43)의 판정 결과가 모두, 촬상 방향은 아래방향인 것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 또는, 경사 센서(3)로부터의 정보 또는 얼굴 방향 판정부(43)의 판정 결과의 어느 한쪽이, 촬상 방향은 아래방향인 것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 촬상 방향 비교부(5)는, 촬상 방향은 아래방향이라고 판정한다. 그 결과, 조합부(6)에 있어서 조합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상기의 경우 이외의 경우는, 조합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상기의 판정 방법을 표에 나타낸다면 이하와 같이 된다.
[표 1]
센서이용 화상이용 카메라 윗방향 카메라 정면방향 카메라 아래방향
아래에서 촬상 (카메라 윗방향) 조합 조합 조합안함
정면에서 촬상 (카메라 정면방향) 조합 조합안함 조합안함
위에서 촬상 (카메라 아래방향) 조합안함 조합안함 조합안함
표 1에 있어서, 센서 이용이란, 경사 센서(3)에 의해 검출된 휴대 전화(1)의 경사에서 판정된 촬상 방향을 의미하고, 화상 이용이란, 화상 해석부(4)(얼굴 방향 판정부(43))에 있어서, 촬상 방향의 판정 결과를 의미하고 있다.
또, 판정 기준을 보다 엄하게 하여, 경사 센서(3)로부터의 정보 및 얼굴 방향 판정부(43)의 판정 결과가 모두, 촬상 방향은 아래방향인 것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만, 촬상 방향은 아래방향이라고 판정하고, 조합부(6)에 조합 처리를 행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판정 방법을 표에 나타낸다면 이하와 같이 된다.
[표 2]
센서이용 화상이용 카메라 윗방향 카메라 정면방향 카메라 아래방향
아래에서 촬상 (카메라 윗방향) 조합 조합 조합안함
정면에서 촬상 (카메라 정면방향) 조합안함 조합안함 조합안함
위에서 촬상 (카메라 아래방향) 조합안함 조합안함 조합안함
촬상 방향 비교부(5)는, 최종 판정하는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인 경우에는,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인 것을 나타내는 아래방향 정보를, 아래방향이 아닌 경우에는,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비(非)아래방향 정보를, 주제어부(8)에 출력한다.
(휴대 전화(1)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
다음에, 휴대 전화(1)에 있어서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휴대 전화(1)에 있어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하듯이, 먼저, 유저에 의해 인증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조작이 입력부(9)를 이용하고 행해지면, 카메라(2)에 의해 유저의 얼굴이 촬상된다(화상 취득 공정)(S11).
취득된 화상(인증 화상)은, 화상 해석부(4)에 보내지고,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 방향(촬상 방향)이 판정된다(S12). 그리고, 그 판정 결과는,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출력된다.
한편, 인증 화상이 취득된 때의 휴대 전화(1)의 경사는, 경사 센서(3)에 의해 검출되고(경사 검출 공정)(S13), 그 검출 결과는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출력된다.
화상 해석부(4) 및 경사 센서(3)로부터의 정보를 수취하면, 촬상 방향 비교부(5)는, 상술했던 것처럼, 양쪽의 정보를 고려하고 촬상 방향을 판정하고(촬상 방향 판정 공정)(S14), 그 최종 판정 결과가 아래방향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S15).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인 경우에는 (S15에, YES), 촬상 방향 비교부(5)는, 아래방향 정보를 주제어부(8)에 출력한다.
아래방향 정보를 수취하면, 주제어부(8)은, 조합부(6)에 조합 명령을 출력한다. 이 조합 명령을 수취하면, 조합부(6)는, 인증 화상과, 데이터베이스(7)에 저장 되고 있는 등록 화상을 조합한다(S16).
인증 화상과, 등록 화상이 일치한 경우, 즉, 피인증자가 본인이라고 판단하는 경우(S17에, YES), 조합부(6)는, 인증 성공 정보를 주제어부(8)에 출력한다.
인증 성공 정보를 수취하면, 주제어부(8)는, 인증 성공 정보를,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출력한다(S18).
한편, 인증 화상과, 등록 화상이 일치하지 않았던 경우(S17에, NO), 조합부(6)는, 인증 실패 정보를 주제어부(8)에 출력한다.
인증 실패 정보를 수취하면, 주제어부(8)는, 인증 실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출력함과 동시에, 표시부(10)를 이용하고 인증이 실패한 취지를 알린다(S19).
한편,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이 아녔던 경우에는 (S15에, NO), 촬상 방향 비교부(5)는, 비아래방향 정보를 주제어부(8)에 출력한다.
비아래방향 정보를 수취하면, 주제어부(8)는,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고(판단 공정), 인증 실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출력함과 동시에, 표시부 (10)을 이용하고 인증이 실패한 취지를 알린다(S20).
또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유저가 소망한 동작을 행한다. 이 때, 외부의 장치와 휴대 전화(1)와의 사이에서 여러 가지의 통신이 행해져도 좋다.
(휴대 전화(1)의 효과)
이상과 같이, 휴대 전화(1)로는, 조합부(6)에 있어서 조합 처리에 추가하여, 인증 화상의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인지 아닌지를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있어서 판 정한다. 그 때문에,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화상 해석부(4)에 있어서,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의 구성 부분의 위치 관계로부터 촬상 방향을 판정하는 것에 의해, 경사 센서 등의 경사 검출 수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촬상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변경예)
상술한 구성에서는, 촬상 방향 비교부(5)는, 화상 해석부(4) 및 경사 센서(3)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고, 촬상 방향을 최종적으로 판정하고 있지만, 촬상 방향 비교부(5)는, 화상 해석부(4) 또는 경사 센서(3)의 한편에서의 정보를 기초로 촬상 방향을 판정해도 좋다.
또, 주제어부(8)는, 비아래방향 정보를 수취하고,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후, 소정의 시간후에, 인증 실패 결과를 알리고도 좋다.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이 아닌 경우에 인증 결과가 나올 때까지의 시간은,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인 경우보다도 짧다. 왜냐하면,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인 경우에는, 조합부(6)에 있어서 조합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이 아닌 경우에, 곧바로 인증 실패 결과를 알리면, 조합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는 것이, 본인을 가장한 인간에게 알려지는 가능성이 있다. 조합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것을 찰지하면, 그 사람은 어떠한 대항책을 강구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의 구성에 의해,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이 아니고, 조합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본인을 가장한 인간에게, 조합 처리가 행해지고 있 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으며, 본인 행세를 재차 행해지는 가능성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조합부(6) 및 데이터베이스(7)를 외부의 장치에 설치하고, 휴대 전화(1)와 해당 외부의 장치가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서 조합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 상술한 구성에서는, 얼굴의 구성 부분으로서, 얼굴의 윤곽, 목, 입, 코를 열거하며, 얼굴 윤곽의 상단부에 대한 눈, 입, 코의 위치에 의해 촬상 방향을 판정했지만, 촬상 방향의 판정에 이용한 구성 부분의 수나 구성 부분의 종류는 상술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판정 정밀도를 고려하면, 보다 많은 구성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촬상 방향을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목, 입, 코 이외의 구성 부분, 예를 들면 눈섭을 이용하여 얼굴 방향을 판정해도 좋다.
또, 상술의 구성에서는, Y축방향에 있어서 얼굴의 구성 부분의 배치를 기초로 촬상 방향을 판정했지만, 얼굴의 구성 부분의 위치 관계를 구하기 위한 방향축은, 상술한 Y축으로 한정하지 않고, 얼굴의 구성 부분의 위치 관계를 구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상대 위치 지표의 구분의 방법 및 얼굴 방향 판정부(43)에 있어서 촬상 방향의 판정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즉, 상대 위치 지표를 단락을 짓는 분할 범위의 수나 각분할 범위의 크기는,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대 위치 지표의 범위를 제1 범위와 제2 범위 2개로 나누고, 상대 위치 지표가 제1 범위내의 것인지 어떤지를 판정함으로서,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인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좋다. 또, 상대 위치 지표가 어느 분할 범위에 포 함된 것인가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 순서나 각 처리의 조합 쪽도 상술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대 위치 지표가 제2 범위의 것인지 어떤지를 판정한 후에 제1 범위의 것인지 어떤지를 판정해도 좋고, 상대 위치 지표가 어떤 하나의 분할 범위에 속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또, 촬상 방향 비교부(5)에 있어서, 촬상 방향의 최종 판정 방법은, 표 1·표 2에 나타냈던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또, 상술의 구성에서는, 촬상 방향을 판정하고, 해당 촬상 방향이 아래방향이라고 판정한 후에, 조합부(6)에 있어서 조합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촬상 방향의 판정에 관한 처리와 조합 처리를 병행하여 행해도 상관없다. 그러나, 먼저 촬상 방향의 판정을 행한 쪽이, 피인증자가 본인이 아닌 경우의 처리량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량 절감이라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설명으로는, 본 발명의 인증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1)를 들었지만, 상기 인증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 장치이라면 좋으며, 카메라를 구비한 PAD(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퍼스널 컴퓨터라도 좋다.
또, 휴대 전화(1)의 각 블록은,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구성해도 좋고, 다음과 같이 CPU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즉, 휴대 전화(1)는, 각 기능을 실현한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Read Only Memory),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한 RAM(Random Access Memory),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한 소프트웨어이다, 휴대 전화(1)의 제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실행 형식 프로그램, 중간 코드 프로그램, 소스 프로그램)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한 기록 매체를, 휴대 전화(1)에 공급하고, 그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고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한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 계, 플로우피디스크(등록상표)디스크/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CD-R 등의 광디스크를 포함한 디스크 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하다)/광카드(card) 등의 카드 계, 또는 마스크 ROM/EPROM/EEPROM/플래시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계 등을 이용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1)를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공급해도 좋다. 이 통신 네트워크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 네트, LAN, ISDN, VAN, CATV 통신 망, 가상 전용 망(virtual private network), 전화 회선망, 이동체 통신 망, 위성 통신망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한 전송 매체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IEEE1394, USB, 전력선 반송, 케이블 TV 회선, 전화선, ADSL 회선등의 유선이라도, IrDA나 리모트 콘트롤과 같은 적외선, Bluetooth(등록상표), 802.11 무선, HDR, 휴대 전화 망, 위성 회선, 지상파 디지털 망 등의 무선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전자적인 전송으로 구현화된 반송파 또는 데이터 신호열의 형태라도 실현되고 얻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된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냈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키고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인 모인에 의한 오인증이 일어나는 가능성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을 행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장치는, 이상과 같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장치는, 이상과 같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수단과,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때의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은 것을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방법은, 이상과 같이,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한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공정에 있어 판정하는 경우,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인증 방법은, 이상과 같이, 인증 장치가 구비된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한 구성이다.
그 때문에, 촬상 방향을 본인 모인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 기준으로서 촬상 방향을 이용할 수 있고, 본인 모인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한 인증 장치에 있어서,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피인증자의 얼굴 화상인 인증 화상을 해석하고, 상기 인증 화상에서 얼굴 방향을 판정하는 화상 해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 방향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해석 수단은,
    상기 인증 화상에 있어서, 얼굴의 복수의 구성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추출한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성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대 위치 지표를 산출하는 상대 위치 산출 수단과,
    상기 상대 위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상대 위치 지표를 기초로 상기 인증 화상에서 얼굴 방향을 판정하는 얼굴 방향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4.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있어서,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수단과,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때의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은 것을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5.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의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한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촬상 방향 판정 공정과,
    상기 촬상 수단이 피인증자의 얼굴을 해당 얼굴에 대하여 경사 아래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촬상 방향 판정 공정에서 판정하는 경우,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6.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것에 의해 본인 확인을 행하는 인증 장치에 의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가 구비되는 촬상 수단에 의해 피인증자의 얼굴을 촬상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서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앙각을 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경사 검출 수단이 판정하는 경우에, 해당 피인증자는 본인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방법.
  7.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 기재된 인증 장치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 서,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기능 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프로그램.
  8. 청구항 제 7항에 기재된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017331A 2006-03-15 2007-02-21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85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1849A JP4899551B2 (ja) 2006-03-15 2006-03-15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JP-P-2006-00071849 2006-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810A true KR20070093810A (ko) 2007-09-19
KR100885366B1 KR100885366B1 (ko) 2009-02-26

Family

ID=3819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331A KR100885366B1 (ko) 2006-03-15 2007-02-21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53004B2 (ko)
EP (1) EP1835440A3 (ko)
JP (1) JP4899551B2 (ko)
KR (1) KR100885366B1 (ko)
CN (1) CN1004684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5243B (zh) * 2008-06-25 2016-03-23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斜坡式图像获取装置及人脸识别系统
ES2495425T3 (es) 2011-07-11 2014-09-17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Detección de vida
US9202105B1 (en) 2012-01-13 2015-12-01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 analysis for user authentication
KR101884337B1 (ko) * 2012-04-26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인식 방법 및 장치
FR2997211B1 (fr) * 2012-10-18 2021-01-01 Morpho Procede d'authentification d'une capture d'image d'une entite tridimensionnelle
US10848642B2 (en) * 2013-04-18 2020-11-24 Infineon Technologies Ag Apparatus for generating trusted image data, an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of an imag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trusted image data
JP6291722B2 (ja) * 2013-04-26 2018-03-14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プログラム、生体認証方法
EP3012996A1 (fr) * 2014-10-22 2016-04-27 Atos Worldline NV/SA Évaluation d'un niveau de confiance dans la récolte d'informations par un terminal de communication par rapport des empreintes
US10198645B2 (en) * 2014-11-13 2019-02-05 Intel Corporation Preventing face-based authentication spoofing
CN107111745A (zh) 2014-11-13 2017-08-29 英特尔公司 图像生物特征识别中的欺骗检测
KR101696602B1 (ko) 2015-08-11 2017-01-23 주식회사 슈프리마 제스처를 이용한 생체 인증
US10210380B2 (en) 2016-08-09 2019-02-19 Daon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user liveness detection
US10217009B2 (en) * 2016-08-09 2019-02-26 Daon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user liveness detection
US11115408B2 (en) 2016-08-09 2021-09-07 Daon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user liveness and verifying user identities
US10628661B2 (en) 2016-08-09 2020-04-21 Daon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user liveness and verifying user identities
US10498742B2 (en) * 2017-06-01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e access with trusted proximity device
US10606993B2 (en) * 2017-08-09 2020-03-31 Jumio Corporation Authentication using facial image comparison
WO2020149339A1 (ja) * 2019-01-17 2020-07-2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JP7363455B2 (ja) * 2019-01-17 2023-10-18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US10726246B1 (en) 2019-06-24 2020-07-28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Automated vending machine with customer and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USD963407S1 (en) 2019-06-24 2022-09-13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EP3869395A1 (en) 2020-02-21 2021-08-25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Identity and liveness verification
JP7461912B2 (ja) 2021-06-29 2024-04-04 株式会社クボタ 管理機制御システム及び歩行型管理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913B2 (ja) 1996-03-18 2002-04-30 株式会社東芝 人物認証装置、特徴点抽出装置及び特徴点抽出方法
KR100325365B1 (ko) * 1999-02-23 2002-03-04 김재희 응시위치 추적시스템
JP2000259814A (ja) * 1999-03-11 2000-09-22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4526639B2 (ja) * 2000-03-02 2010-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顔認識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3178306A (ja) * 2001-12-12 2003-06-27 Toshiba Corp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方法
JP2003216940A (ja) 2002-01-17 2003-07-31 Nippon Signal Co Ltd:The 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4131180B2 (ja) 2003-03-12 2008-08-13 オムロン株式会社 顔認証装置
JP2007510234A (ja) * 2003-10-31 2007-04-19 イオタ・ワイアレス・エルエルシー 携帯デバイス用同時データ入力
KR100467152B1 (ko) * 2003-11-25 2005-01-24 (주)버뮤다정보기술 얼굴인식시스템에서 개인 인증 방법
US20050146620A1 (en) * 2004-01-02 2005-07-07 Monroe Darrin D.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capturing and method therefor
JP2006236244A (ja) * 2005-02-28 2006-09-07 Toshiba Corp 顔認証装置および入退場管理装置
JP2007013768A (ja) * 2005-07-01 2007-01-1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6509A1 (en) 2007-09-27
JP4899551B2 (ja) 2012-03-21
KR100885366B1 (ko) 2009-02-26
EP1835440A2 (en) 2007-09-19
CN101038614A (zh) 2007-09-19
EP1835440A3 (en) 2009-11-25
CN100468444C (zh) 2009-03-11
JP2007249586A (ja) 2007-09-27
US8353004B2 (en)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366B1 (ko)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8423785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JP469913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20190286798A1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and device therefor
WO2011156143A2 (en) Distinguishing live faces from flat surfaces
WO2019216091A1 (ja) 顔認証装置、顔認証方法および顔認証システム
KR101724971B1 (ko)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얼굴 인식 방법
US2022001977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899552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396357B2 (ja) 顔画像認証装置
JP7318833B2 (ja) 画像処理デバイス、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15518A (ja) 眼画像撮影装置及び認証装置
KR20070093809A (ko) 인증 장치,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5179329B2 (ja) 顔認証システム
CN113935004A (zh) 一种基于国产cpu和操作系统环境的人脸识别登录方法
CN107423687B (zh)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的身份认证方法及装置
WO2021166289A1 (ja) データ登録装置、生体認証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6085289A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顔認証方法
JP2018169943A (ja) 顔認証処理装置、顔認証処理方法及び顔認証処理システム
JPWO2008081527A1 (ja) 認証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並びに認証方法
JP3245447U (ja) 顔認識システム
US11544961B2 (en) Passive three-dimensional face imaging based on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mage sizing
JP2005141678A (ja) 顔画像照合システム及びicカード
JP2007004534A (ja) 顔判別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顔認証装置
CN115880787A (zh) 一种人脸活体检测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