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004A -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004A
KR20070093004A KR1020077018548A KR20077018548A KR20070093004A KR 20070093004 A KR20070093004 A KR 20070093004A KR 1020077018548 A KR1020077018548 A KR 1020077018548A KR 20077018548 A KR20077018548 A KR 20077018548A KR 20070093004 A KR20070093004 A KR 20070093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male end
female end
mal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031B1 (ko
Inventor
제롬 쇼팽
Original Assignee
아. 레이몽 에 씨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 레이몽 에 씨에 filed Critical 아. 레이몽 에 씨에
Publication of KR2007009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결 장치(10)는, 암형 단부(12), 상기 암형 단부(12)에 삽입되기 위한 수형 단부(11), 및 연결 후에 상기 수형 단부(11)를 상기 암형 단부(12)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 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부재(18)는, 헤드와 2개의 측 방향 암을 가진 스테이플 형태를 가진다. 상기 수형 단부(11)는 작동 원추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작동 원추부는 상기 잠금 부재(18)를 들어올리고, 상기 수형 단부(11)를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암들 사이에 위치시킨다. 상기 잠금 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 방향 암에 변형 가능한 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 가능한 혀형부는, 상기 잠금 부재(18)를 잠금 위치로 복귀시키고, 삽입 종료시에 상기 수형 단부(11)를 상기 암형 단부(12)에 고정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을 형성한다.
제1 부재, 암형 단부, 제2 부재, 수형 단부, 헤드, 암, 잠금 부재, 작동 수단, 탄성 복귀 수단.

Description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CONNECTING TWO ELEMENTS}
본 발명은,
제1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암형 단부,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암형 단부에 삽입되기 위한 수형 단부, 및
헤드와 2개의 측 방향 암을 가지며, 연결 후에 상기 수형 단부를 상기 암형 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테이플 형태의 잠금 부재
를 포함하는 2개의 부재의 연결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라인 등의 부재에 적용된다.
호스와 같은 제1 부재의 수형(male) 단부를 더 큰 직경의 다른 호스와 같은 제2 부재의 암형(female) 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두 가지 공지되어 있는 원리적 형태의 연결 장치가 있다.
연결 장치의 제1 예는 와이어 형태의 잠금 부재를 이용한다. 특히, 문헌 US 5000614는, 헤드가 2개의 암에 의해 연장된, 핀 형태의 잠금 부재를 기술하고 있다. 수형 단부는 암형 단부에 삽입되고, 핀의 암은, 암형 단부의 벽에 형성되는 리세스를 통해 수형 단부를 암형 단부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그러한 핀은 조정하기 어렵고, 상기 2개의 단부를 조립할 때 분실될 수 있다. 연결 장치의 기계적 강도는, 핀의 암이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약하다. 또한, 핀의 헤드는 수형 단부를 암형 단부에 조립한 후에 연결 장치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연결 장치가 크게 된다.
공지되어 있는 연결 장치의 다른 예는 스테이플 형태의 잠금 부재를 이용한다. 문헌 FR-A-2795156은 스테이플을 기술하고 있는데, 스테이플은, 제1 암형 부재를 둘러싸는 헤드, 및 상기 암형 부재에 삽입되는 수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가요성 암을 구비한다. 수형 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스테이플의 헤드는 눌려져, 암이 펼쳐져 수형 부재를 통과하게 한다. 스테이플의 헤드를 해제함으로써, 수형 부재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스테이플은 연결을 위해 수동 작업을 필요로 한다. 스테이플은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조립할 때,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로부터 제거할 때 손실되기 쉽다. 또한, 연결 장치의 기계적 강도는, 스테이플이 너무 유연하기 때문에 약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해소하여, 수형 단부를 암형 단부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연결 뒤에는 수형 단부를 암형 단부에 최적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연결 장치가,
상기 수형 단부가 상기 암형 단부에 삽입되면 상기 수형 단부를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암들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수형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잠금 부재와 함께 작동하기 위한, 상기 잠금 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 및
상기 수형 단부의 삽입 종료 시에,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암형 단부 내의 상기 수형 단부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암형 단부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상기 잠금 부재와 결합되는 탄성 복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 수단이, 상기 수형 단부의 삽입 시에 상기 잠금 부재를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수형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헤드의 하부 에지와 접촉하는 작동 원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복귀 수단이 하나 이상의 변형 가능한 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혀형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1개의 대응하는 암과 일체이며, 상기 암형 단부 내로 상기 수형 단부가 삽입되는 동안에 대응하는 미끄럼 면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 및 상기 수형 단부를 상기 암형 단부에 자동적으로 잠글 수 있게 하는 상기 탄성 복귀 수단을 가진 그러한 연결 장치는, 수형 단부를 암형 단부에 축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2개의 단부가 동시에 연결되고 잠겨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변형 가능한 혀형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대응하는 암과 일체인 고정 단부, 및 각각의 상기 미끄럼 면 상에서 미끄러지는 1개의 둥근 자유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단부가 각각의 미끄럼 면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노치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노치가 상기 수형 단부를 상기 암형 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의 대응하는 상기 변형 가능한 혀형부를 고정한다.
상기 잠금 부재를 잠그기 위한 그러한 시스템은, 상기 수형 단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인 방향으로 단순한 축 방향 병진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수형 단부를 상기 암형 단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제한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특정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수형 단부가 암형 단부 내로 삽입되기 위해 대기하는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연결 장치의 암형 단부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수형 단부와의 연결을 대기하는 상태에 있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암형 단부의 도면이다.
도 4는, 암형 단부 내의 잠금 부재의 다른 위치를 도시하는, 도 3에 따른 암형 단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암형 단부의 A-A 축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암형 단부 내의 잠금 부재의 잠금을 도시하는, 도 5에 따른 암형 단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잠그기 전에 수형 단부가 암형 단부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 있는, 도 1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시도 및 B-B 축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수형 단부가 암형 단부에 잠겨진 상태에서, 도 1, 도 7 및 도 8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시도 및 C-C 축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변경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잠금 부재의 변경예의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 장치(10)는,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호스와 같은 제1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다른 호스와 같은 제2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암형 단부(12)에 삽입되기 위한 수형 단부(11)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수형 단부(11)와 암형 단부(12)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관형이고,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에 동축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수형 단부(11)와 암형 단부(12)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암형 단부(12)는, 연결될 부재와 일체인 제1 단부(14), 및 수형 단부(11)와 함께 작동하고 제1 단부(14)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연결 단부(15)를 가지는 주 본체(13)를 포함한다.
암형 단부(12)는, 본체(13)의 연결 단부(15)에 형성되는 홈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개스킷(16)(도 2)을 포함한다. 특히, 개스킷(16)은,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2개의 라인이 연결될 때, 연결 장치(10)의 밀봉을 보장한다.
암형 단부(12)는, 바람직하게는, 개스킷(16)을 본체(13) 내에 고정시키고, 수형 단부(11)가 암형 단부(12)에 삽입될 때 수형 단부(11)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링(17)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연결 장치(10)의 실시예의 특정한 형태에서, 본체(13)의 연결 단부(15)와 안내 링(17)은 상보적 형상을 가져, 함께 완전히 장착될 수 있고, 암형 단부(12)를 수납하기 위한 칼라를 형성할 수 있다(도 3).
암형 단부(12)는, 또한, 암형 단부(12)의 본체(13)의 연결 단부(15)에 위치되는 잠금 부재(18)를 가진다(도 3). 잠금 부재(18)는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에 삽입 완료 시에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에 잠그기 위한 것이다.
예로서, 잠금 부재(18)는, 도 2에 도시되었듯이,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플 형태의 단일 부재를 형성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진 띠강(strip steel) 또는 시트 메탈을 절단 및 굽힙으로써 얻어진다.
잠금 부재(18)는, 원형이고 본체(13)의 연결 단부(15)의 형상을 따르는 헤드(19)(도 1 및 도 3), 및 2개의 평행한 측 방향 암(20a, 20b)을 포함한다. 헤드(19)와 암(20a, 20b)은 암형 단부(12)(도 1)에 삽입될 때 수형 단부(11)와 함께 작동된다. 암형 단부(12)의 본체(13)는, 각각 잠금 부재(18)의 암(20a, 20b)을 위한 측 방향 리셉터클(21a, 21b), 및 잠금 부재(18)의 헤드(19)를 위한 리세스 (22)(도 2)를 가진다. 안내 링(17)을 가진 암형 단부(12)의 경우에, 상기 링은 또한 잠금 부재(18)의 암(20a, 20b)을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21a, 21b)을 가진다(도 2). 리셉터클(21a, 21b)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형 단부(11)의 삽입 결과로서 잠금 부재(18)가 들어 올려질 때, 잠금 부재(18)의 암(20a, 20b)을 위한 안내 및 미끄럼 레일로서 작용한다.
도 3에서, 잠금 부재(18)는 휴지(rest) 위치에서, 수형 단부(11)의 삽입을 대기한다. 잠금 부재(18)의 헤드(19)는, 연결 단부(15)에 의해 형성되는 오리피스 내로 돌출한다.
도 2 및 도 4에서, 각각의 측 방향 암(20a, 20b)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 방향 암(20a, 20b)에 사전 절단되는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를 가진다. 각각의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각각의 측 방향 암(20a, 20b)과 일체인 고정 하단부, 및 바람직하게는 후크 모양의 둥근 부재(24a, 24b)가 형성되는 상부 자유 단부를 가진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 부재(18)의 실시예의 특정한 형태에서, 후크의 만곡 부재(24a, 24b)는 잠금 부재(18)의 2개의 측 방향 암(20a, 20b)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을 향한다.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와 관련되는 부분만 도시된 도 4에서, 각각의 후크의 만곡 부재(24a, 24b)는, 암형 단부(12)의 삽입 시에, 암형 단부(12)의 본체(13)와 일체인 미끄럼 면(25a, 25b)을 따라 미끄러진다. 미끄럼 면(25a, 25b)은 암형 단부(12)(도 2)의 본체(13)의 연결 단부(15)에 위치된다.
미끄럼 면(25a, 25b)의 경사는,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가 미끄럼 면(25a, 25b)의 하단부의 제1 위치(A)(도 4)로부터 미끄럼 면(25a, 25b)의 상단부의 제2 위치(B)(도 4)로 통과하도록, 미리 계산된다. 위치(A)는, 암형 단부(12)의 삽입 전의 잠금 부재(18)의 휴지 위치에 대응하며(도 1 및 도 3), 휴지 위치에서,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응력을 받지 않으며, 잠금 부재(18)의 측 방향 암(20a, 20b)에 대해 평행하다. 위치(B)는, 수형 단부(11)가 암형 단부(12)에 고정되기 전의(도 8), 수형 단부(11)의 삽입 위치에 대응한다. 이러한 위치(B)는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의 최대 변형 위치에 대응한다.
위치(B) 뒤에,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위치(A, B)들 사이의 위치(D)로 이동하며, 위치(D)는, 수형 단부(11)의 삽입 종료 위치, 즉, 수형 단부(11)가 암형 단부(12)에 고정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위치(D)는, 잠금 부재(18)가 수형 단부(11)와 중첩되는, 잠금 부재(18)의 최종 위치에 대응한다. 잠금 위치(D)는 휴지(rest) 위치와는 다르며,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수형 단부(11)의 잠금 위치에서 약간의 응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되는데(도 4), 왜냐하면, 수형 단부(11)가 잠금 부재(18)가 초기 휴지 위치(A)로 복귀하는 것을 막기 때문이다.
미끄럼 면(25a, 25b)은, 잠금 부재(18)를 잠금 위치(C)(도 4)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 노치(26a, 26b)에 의해 각각 연장된다. 잠금 노치(26a, 26b)는 잠금 부재(18)의 평형점을 포함하여, 수형 단부(11)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인 방향을 따른 단순한 축 방향 병진 운동에 의해 수형 단부를 자유롭게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위치(C)에서, 잠금 부재(18)는 수형 단부(11)를 더 이상 고정하지 않으며, 수형 단부(11)는 암형 단부(12)로부터 자유롭게 제거될 수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에서, 잠금 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 방향 암(20a, 20b)(도 2)에 형성되는 캐치 치형부(27a, 27b)를 가진다. 캐치 치형부(27a, 27b)는, 측 방향 암(20a, 20b)의 바깥쪽에서, 예를 들면 후크의 만곡 부재(24a, 24b)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캐치 치형부(27a, 27b)는, 암형 단부(12)의 본체(13)와 각각 일체인 측 방향 멈춤부(28a, 28b)와 함께 작동한다(도 5 및 도 6).
도 5에서, 잠금 부재(18)는 최대 상승 위치에 있는데, 최대 상승 위치에서, 캐치 치형부(27a, 27b)는 멈춤부(28a, 28b)를 눌러, 잠금 부재(18)가 암형 단부(12)로부터 제거되지 않게 한다(도 6). 따라서, 잠금 부재(18)는, 수형 단부(11)의 삽입 전에, 암형 단부(12)에 제거 불능하게 사전 조립되며, 그것은 잠금 부재(18)가 손실되는 어떠한 위험성도 방지한다.
도 1, 도 8 및 도 10에서, 수형 단부(11)는, 암형 단부(12)의 연결 단부(15)에 삽입될 제1 연결 단부(29), 및 연결될 부재에 연결되고 연결 단부(29)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진 제2 자유 단부(30)를 가진다.
수형 단부(11)는 작동 원추부(31)를 가지며, 작동 원추부(31)는 연결 단부(29)와 일체이고, 잠금 부재(18)가 리셉터클(21a, 21b) 내에서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잠금 부재(18)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형 단부(11)는 하나 이상의 고정 홈(32)을 가지며, 고정홈(32)은 수형 단부(11)의 자유 단부(30)에 위치되고, 잠금 부재(18)의 헤드(19)를 잠금 위치(도 10)에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2)은 작동 원추부(31)에 인접하여, 잠금 부재(18)는, 작동 원추부(31)의 상부를 지난 뒤 즉시, 수형 단부(11)의 삽입 종료시에, 자동적으로 잠금 위치로 간다.
잠금 부재(18)의 헤드(19)는, 수형 단부(11)의 삽입시에, 작동 원추부(31)가 지지되는(도 8) 하부 에지(33)를 포함한다. 하부 에지(33)는 바람직하게는 둥글게 되어, 특히 수형 단부(11)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경우에, 하부 에지(33)는 수형 단부(11)를 마모시키지 않는다. 하부 에지(33)는, 수형 단부(11)의 삽입 및 잠금 부재(18)의 미끄럼을 최적화하도록, 수형 단부(11)의 외경의 형상을 따르는 원형을 가진다.
잠금 부재(18)의 헤드(19)는 또한 상부 에지(34)를 포함하며, 상부 에지(34)는, 암형 단부(12)의 본체(13)의 연결 단부(15)로부터 돌출하는 고정 칼라(35)와 함께 작동하도록 하나 이상의 만곡 스트립(37)을 포함한다. 칼라(35) 주위로 굽혀지는 상부 에지(34)는, 수형 단부(11)의 제거 시에 예상하지 않은 응력을 받는 경우에 잠금 부재(18)가 이탈하는 것에 대한 최적 내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만곡 스트립(3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에지(34)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거나, 도 1,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에지(34)의 일부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예로서, 만곡 스트립(37)은 상부 에지(34)의 길이의 1/8에 걸쳐 연장된다.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에 조립하는 것과, 삽입 종료 시에 수형 단부(11)를 잠그는 것에 대해 도 1,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에서, 잠금 부재(18)는 암형 단부(12) 내의 휴지 위치에 있고,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도 4의 위치(A)에서 측 방향 암(20a, 20b)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휴지 위치에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수형 단부(11)는 암형 단부(12) 내로 화살표(F)를 따라 삽입되고, 작동 원추부(31)는 헤드(19)의 하부 에지(33)에 접촉함으로써 잠금 부재(18)가 상승되게 한다(도 8). 잠금 부재(18)의 암(20a, 20b)은 암형 단부(12)의 리셉터클(21a, 21b) 내에서 미끄러지고,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암형 단부(12)의 미끄럼 면(25a, 25b)을 따라 미끄러져 도 4의 삽입 위치(B)에 도달한다. 수형 단부(11)는 측 방향 암(20a, 20b) 사이에 위치되며, 측 방향 암(20a, 20b)은, 잠금 부재(18)가 상승될 때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최대로 변형된다(도 4).
도 9 및 도 10에서, 수형 단부(11)는 암형 단부(12) 내의 삽입 종료 위치에 위치된다. 헤드(19)의 하부 에지(33)는 작동 원추부(31)의 상부를 지나서, 암형 단부(12)의 고정 홈(32) 내로 장착된다. 미끄럼 면(25a, 25b)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의 탄성으로 인해, 잠금 부재(18)는 최종 잠금 위치인 도 4의 위치(D)에 있게 된다(도 10).
잠금 부재(18)는 이제 수형 단부(11)와 중첩되고, 상부 에지(34)는 수형 단부(11)의 예상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도록 본체(13)의 칼라(35)를 덮는다. 잠금 부재(18)의 헤드(19)의 하부 에지(33)는 수형 단부(11)의 홈(32)의 저면에 접촉하여, 수형 단부(11) 내의 잠금 부재(18)의 최적 고정을 보장한다. 상부 에지(34)는 작은 여유를 두고서 칼라(35)를 덮어, 이탈에 대한 최적 내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잠금 위치에서(도 10), 수형 단부(11)는 암형 단부(12)의 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암형 단부(12)의 삽입 종료 위치는 잠금 부재(18)에 의한 잠금에 대응하는 것이지, 암형 단부(12)의 저면에 도달하는 것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2개의 단부(11, 12) 사이의 잔여 공간은, 수형 단부(11)가 정 위치에 올바르게 고정되었거나 암형 단부(12)의 저면에 딱 맞게 삽입되었는지를 입증할 수 있게 하는 안전 수단이다.
암형 단부(12) 내의 수형 단부(11)의 조립은 따라서 단순한 축 방향 병진 이동에 의해 달성되며, 암형 단부(12) 내의 수형 단부(11)의 잠금은 잠금 부재(18)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1,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연결 장치(10)의 변경 실시예에서, 암형 단부(12)의 본체(13)는 수형 단부(11)의 휴지 위치 및/또는 삽입 종료 위치에서 잠금 부재(18)를 완전히 둘러싼다. 따라서, 연결 장치(10)의 소형화, 및 잠금 부재(18)의 이탈에 대한 내성은 최적으로 된다.
따라서, 그러한 연결 장치(10)는 단순한 축 방향 병진 이동에 의해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 내에 동시에 조립하고 자동적으로 잠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암형 단부(12)의 잠금 노치(26a, 26b)에 의해 수형 단부(11)가 용이하게 제거되고, 그것은 수형 단부(1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연결 장치(10)는, 특히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만 변형될 수 있는 제거 불가능한 금속 잠금 부재(18)에 의해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또한, 잠 금 부재(18)의 온도에 대한 내성이 양호하고, 연결 장치(10)의 이탈에 대한 내성은 특히 암형 단부(12)의 칼라(35)와 중첩되는 잠금 부재(18)의 헤드(19)의 상부 에지(34)에 의해 보장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형 단부(12)의 본체(13)는, 선택 사항으로서, 잠금 부재(18)를 막아 이탈에 대한 최적 내성을 보장하기 위한 멈춤부를 형성하는 원형 플랜지(3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형태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잠금 부재(18)가 수형 단부(11)의 삽입 시에 수형 단부(11)에 의해 작동되고, 잠금 부재(18)가 삽입 종료 시에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 내에 자동적으로 잠그는 한, 잠금 부재(18), 암형 단부(12), 및 수형 단부(11)의 형상은 다르게 될 수 있다.
암형 단부(12)는 여러 개의 개스킷(16)을 포함할 수 있고, 잠금 부재(18)는 인발 가공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수형 단부(11)는 축(C-C)에 대해 대칭인 2개의 고정 홈(32)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 부재(18)의 변경예에서,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다른 방향 즉 측 방향 암(20a, 20b)에 의해 경계가 설정되는 공간의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암형 단부(12)와 결합되는 미끄럼 면(25a, 25b)은 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캐치 치형부(27a, 27b)는 변경 가능한 혀형부(23a, 23b)의 만곡 부재(24a, 24b)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한다. 잠금 부재(18)는, 미끄럼 면(25a, 25b)을 따라 미끄러지는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의 변형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또한, 헤드(19)의 상부 에지(34)는, 이탈에 대한 내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나란히 위치되고 암형 단부(12)의 고정 칼라(35)와 함께 작동하는 여러 개의 만곡 스트립(37)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19)는, 또한, 잠금 부재(18)가 변형되는 경우의 이탈에 대한 내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돌출부(36)(도 8, 도 10, 도 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단부(11)를 암형 단부(12)에 자동적으로 잠그는 그러한 연결 장치(10)는, 주로 자동차 산업에서 특히 유체를 운반하는 호스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모든 영역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제1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암형 단부(12),
    제2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암형 단부(12)에 삽입되기 위한 수형 단부(11), 및
    헤드(19)와 2개의 측 방향 암(20a, 20b)을 가지며, 연결 후에 상기 수형 단부(11)를 상기 암형 단부(12)에 고정하기 위한 스테이플 형태의 잠금 부재(18)
    를 포함하는 2개의 부재의 연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부(11)가 상기 암형 단부(12)에 삽입되면 상기 수형 단부(11)를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암(20a, 20b)들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수형 단부(11)와 결합되고 상기 잠금 부재(18)와 함께 작동하기 위한, 상기 잠금 부재(18)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31, 33), 및
    상기 수형 단부(11)의 삽입 종료 시에, 상기 잠금 부재(18)가 상기 암형 단부(12) 내의 상기 수형 단부(11)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암형 단부(12)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상기 잠금 부재(18)와 결합되는 탄성 복귀 수단(23a, 23b; 25a, 25b)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수형 단부(11)의 삽입 시에 상기 잠금 부재(18)를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수형 단부(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헤드(19)의 하부 에지(33)와 접촉하는 작동 원추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헤드(19)의 상기 하부 에지(33)는 라운드형(round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부(12)는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암(20a, 20b)을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 홈(21a, 21b)을 가지고, 상기 홈(21a, 21b)은 상기 잠금 부재(18)의 작동 시에 미끄럼 레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 수단은 하나 이상의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를 포함하고, 상기 혀형부(23a, 23b)는 상기 잠금 부재(18)의 1개의 대응하는 암(20a, 20b)과 일체이며, 상기 암형 단부(12) 내로 상기 수형 단부(11)가 삽입되는 동안에 대응하는 미끄럼 면(25a, 25b)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는, 상기 잠금 부재(18)의 대응하는 암(20a, 20b)과 일체인 고정 단부, 및 대응하는 상기 미끄럼 면(25a, 25b) 상에서 미끄러지는 만곡 자유 단부(24a, 24b)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면(25a, 25b)은 상기 암형 단부(12)와 일체이며, 상기 수형 단부(11)의 삽입 종료 위치에서, 대응하는 상기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의 탄성 복귀를 보장하는 경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부(12)는 각각의 미끄럼 면(25a, 25b)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노치(26a, 26b)를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 노치(26a, 26b)는, 상기 수형 단부(11)를 상기 암형 단부(12)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잠금 해제 위치(C)에서 상기 잠금 부재(18)의 대응하는 상기 변형 가능한 혀형부(23a, 23b)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부(11)는 하나 이상의 고정 홈(32)을 가지며,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헤드(19)는 상기 수형 단부(11)의 삽입 종료 위 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홈(32)에 자동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헤드(19)는 상부 에지(34)를 가지고, 상기 상부 에지(34)는 상기 암형 단부(1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고정 칼라(35)와 함께 작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만곡 스트립(37)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부(12)는, 상기 잠금 부재(18)의 상기 측 방향 암(20a, 20b)의 자유 단부와 일체인 캐치 치형부(27a, 27b)와 함께 작동하는 측 방향 멈춤부(28a, 28b)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18)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시트 메탈 또는 띠강(strip steel)을 절단하고 구부림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KR1020077018548A 2005-03-25 2006-03-02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0884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2969 2005-03-25
FR0502969A FR2883607A1 (fr) 2005-03-25 2005-03-25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004A true KR20070093004A (ko) 2007-09-14
KR100884031B1 KR100884031B1 (ko) 2009-02-17

Family

ID=3526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548A KR100884031B1 (ko) 2005-03-25 2006-03-02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79621A1 (ko)
EP (1) EP1866565B1 (ko)
JP (1) JP2008528899A (ko)
KR (1) KR100884031B1 (ko)
CN (1) CN100575761C (ko)
FR (1) FR2883607A1 (ko)
WO (1) WO2006099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8731A1 (de) 2009-04-27 2010-10-28 Khs Gmbh Werkzeugloser Austausch von Flaschenführungskurven
US9523454B2 (en) * 2009-10-21 2016-12-20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Anti-rotation gripper ring
FR2958004B1 (fr) * 2010-03-24 2014-12-19 Mann & Hummel Gmbh Dispositif de connexion rapide par encliquetage de deux troncons de conduit
JP2013002498A (ja) * 2011-06-14 2013-01-07 Sony Corp 保持部材
FR2983556B1 (fr) 2011-12-06 2013-12-13 Hutchinson Organe de verrouillage d'un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transfert de fluide, ce dispositif et son procede de verrouillage.
CN103322072A (zh) * 2012-03-21 2013-09-25 日扬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旋转件续接用的衔接单元
DE102012208482A1 (de) * 2012-05-21 2013-11-21 Hilti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DE102013105913B4 (de) * 2013-06-07 2017-09-14 Khs Gmbh Behälterbehandlungsanlage mit auswechselbarem Formatteil
US9228372B2 (en) * 2014-02-26 2016-01-05 Maurizio C. Bertato Fence rail and bracket system
JP6167084B2 (ja) * 2014-09-12 2017-07-19 株式会社ニフコ 管部材を連結対象に連結するための連結構造
US10422459B2 (en)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DE102016013752A1 (de) 2016-11-18 2018-05-24 Mann + Hummel Gmbh Kupplungsvorrichtung für medienführende Leitungen
CN207906212U (zh) * 2018-02-22 2018-09-25 埃马克(中国)机械有限公司 防错装置以及工具系统
DE102018107507A1 (de) 2018-03-28 2019-10-02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Medienleitungen"
CN108397629A (zh) * 2018-04-10 2018-08-14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管路快速接头结构
US11137094B2 (en) * 2018-04-23 2021-10-05 Reliance World Wide Corporation Clip end device
FR3082586B1 (fr) * 2018-06-13 2020-05-22 A. Raymond Et Cie Embout femelle d'un raccord permettant l'insertion d'un embout male avec un effort reduit
US11560967B2 (en) 2018-09-04 2023-01-24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Rotation-resistant push-on conduit coupling cartridge
DE102018122597A1 (de) * 2018-09-14 2020-03-19 Norma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röhrenförmiger Objekte
DE102019108768A1 (de) * 2019-04-03 2020-10-08 Norma Germany Gmbh Einsatzstück zum Einsetzen in eine Schnellverbinder-Vorrichtung für Fluidleitungen
AT522804B1 (de) * 2019-09-03 2021-02-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EP3904747B1 (en) 2020-04-27 2024-02-14 Illinois Tool Works Inc.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T523066B1 (de) * 2020-05-27 2021-05-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6497A (en) * 1971-07-09 1972-08-22 Salvatore Di Salvo Adjustable headlamp
US4431218A (en) * 1982-02-05 1984-02-14 Dayco Corporation Fluid coupl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00614A (en) * 1989-05-05 1991-03-19 Huron Products Corporation Conduit quick connector assembly having a ramped housing with a hair pin retainer
US5275443A (en) * 1992-09-15 1994-01-04 Itt Corporation Sliding collar quick connect
US5405175A (en) * 1993-09-24 1995-04-11 Siemens Automotive L.P. Clip attachment of fuel tube to fuel rail
US5341773A (en) * 1993-11-04 1994-08-30 Ford Motor Company Joint for an automative air induction system
US5586792A (en) *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US5730475A (en) * 1995-10-13 1998-03-24 Form Rite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collet retainer
US5683117A (en) * 1995-12-14 1997-11-04 Flex Technologies, Inc. Retainer clip for a connector
US5964483A (en) * 1997-11-19 1999-10-12 Dayco Products, Inc. Fluid coupling assembly, locking member therefor, and method of assembly
US6293596B1 (en) * 1999-01-06 2001-09-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after incident indicator clip
US6292142B1 (en) * 1999-05-24 2001-09-18 Raytheon Company Locking assembly
DE10055348C2 (de) * 2000-11-08 2003-01-30 Henn Ges M B H & Co Kg Dornbi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lauchsteckverbindung und danach hergestellte Schlauchsteckverbindung
US6431612B1 (en) * 2000-12-28 2002-08-1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Air flow conduit quick connector
US7029036B2 (en) * 2004-03-09 2006-04-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ion
JP4291989B2 (ja) * 2002-10-01 2009-07-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配管用コネクタ
FR2855590B1 (fr) * 2003-05-27 2006-10-20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US6955512B2 (en) * 2003-07-21 2005-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unting device for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to an equipment rack
US6893051B1 (en) * 2003-12-31 2005-05-17 Join Top Co., Ltd. Pipe coupling
US7270350B2 (en) * 2005-06-03 2007-09-18 Gerald Cronley Quick-connecting coupler for hoses, pipes and fauc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6565A1 (fr) 2007-12-19
CN100575761C (zh) 2009-12-30
WO2006099933A1 (fr) 2006-09-28
US20080279621A1 (en) 2008-11-13
EP1866565B1 (fr) 2012-11-21
JP2008528899A (ja) 2008-07-31
KR100884031B1 (ko) 2009-02-17
CN101107469A (zh) 2008-01-16
FR2883607A1 (fr)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031B1 (ko) 2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1096008B1 (ko) 퀵-커넥트 엔드 피팅
KR101305856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JP4623371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RU2413121C2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контроля
JP5025091B2 (ja) 急速継手用の補助ラッチ/確認機構
KR101328375B1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JP4354794B2 (ja) チェッカー付きコネクタ
CN111306388A (zh) 用于连接软管的快速接头总成
EP1369634A1 (en) Connector with check function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CN109210303B (zh) 快速连接器
KR950002506B1 (ko) 피봇죠인트
US20050230968A1 (en) Quick connector
JP2005291497A5 (ko)
GB2253666A (en) A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e to a pipe which has a peripheral retaining rib
EP3339709B1 (en) Connector
US7648286B2 (en) Shutter assembly
SK158994A3 (en) Quick-fit union connector with indicator of connection
JP4462893B2 (ja) 管継手
JP4703044B2 (ja) スピゴット継手
JP4629245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4330415B2 (ja) 管継手
JP4776521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を保持する保持具
WO2014010234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