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803A - 키토산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로부터 형성된항미생물성 배리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토산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로부터 형성된항미생물성 배리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803A
KR20070088803A KR1020077016712A KR20077016712A KR20070088803A KR 20070088803 A KR20070088803 A KR 20070088803A KR 1020077016712 A KR1020077016712 A KR 1020077016712A KR 20077016712 A KR20077016712 A KR 20077016712A KR 20070088803 A KR20070088803 A KR 20070088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antimicrobial barrier
matrix
tissue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몬 제이. 맥 카르티
켄톤 더블유. 그레고리
존 더블유. 모르간
Original Assignee
헴콘,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020,365 external-priority patent/US20050147656A1/en
Application filed by 헴콘, 인크. filed Critical 헴콘,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8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61F13/0103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6Use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3/08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06Wound bandages emergency bandages, e.g. for first 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46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251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with macroscopic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14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 A61F2013/00327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to create projections or depressions in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72Plasters use haemostatic with chem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54Plasters use for deep w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48Plasters form or structure 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5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859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with macroscopic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27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 A61F2013/0093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chi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산 생물질(biomaterial)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항미생물성 배리어에 관한 것이다. 항미생물성 배리어는 예를 들면, (i) 조직 손상, 조직 외상 또는 조직 접근 부위의 지혈, 봉합 또는 안정화; 또는 (ii)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형성; 또는 (iii) 항바이러스성 패치의 형성; 또는 (iv) 출혈 장애의 중재; 또는 (v) 치료제의 방출; 또는 (vi) 점막 표면의 처치; 또는 (vii) 이들의 조합에 사용될 수 있다.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구조체는 압축에 의해 치밀화될 수 있다.
키토산, 항미생물성 배리어, 지혈, 치밀화

Description

키토산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로부터 형성된 항미생물성 배리어, 시스템 및 방법 {ANTIMICROBIAL BARRIER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TRUCTURES SUCH AS CHITOSAN}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1년 6월 14일자로 출원된 특허 가출원 제60/298,773호의 이점을 청구하는 2002년 6월 14일자로 출원된 국제 출원 PCT/US02/18757의 37 C.F.R. §371 하의 국내 단계 출원인, 2004년 10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480,827호 (영문 명칭: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03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743,052호 (영문 명칭: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04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020,365호 (영문 명칭: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들은 각각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거즈 붕대로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는 것은 여전히 혈류, 특히 심각한 출혈 상처로부터의 혈류를 멈추게 하는데 사용되는 1차 중재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는 심한 혈류를 지혈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지도 안전하지도 않다. 이는 상처로부터의 심각한 치명적 출혈의 경우에 주요 생존 문제였고, 계속해서 그러하다.
콜라겐 상처 드레싱 또는 건성 피브린 트롬빈 상처 드레싱 또는 키토산 및 키토산 드레싱과 같은 지혈 붕대가 이용가능하지만, 이러한 드레싱은 다량의 혈류에 의한 용해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성을 갖지 않는다. 이들은 또한 심한 혈류의 지혈에 있어서 임의의 실질적인 목적으로 소용되기에 충분한 접착성을 갖지도 않는다. 이러한 현재 이용가능한 외과용 지혈 붕대는 또한 연약하여 압력에 의한 굽힘 또는 하중에 의해 손상되어 파괴되기 쉽다. 이들은 또한 출혈액 중에 용해되기 쉽다. 이들 붕대의 이러한 용해 및 붕괴는, 상처에 대한 접착력의 감소를 초래하고 출혈이 줄지 않은 채 계속되도록 둘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출혈을 적절하게 예방하고 제한함과 동시에, 상처 또는 병변, 및 그 주위에서 세균 감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가 행해져야 한다. 지금의 붕대는 이러한 감염의 발생을 적절하게 예방하지 않고 이러한 감염을 치료하지 않는다.
세균 감염의 치료에 도움이 될, 사용하는 동안에 강건하고 지속적인 내용해성을 갖는 개선된 지혈 드레싱이 여전히 요망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키토산 생물질(biomaterial)을 포함하는 구조체로부터 형성된 항미생물성 배리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항미생물성 배리어는 예를 들면, (i) 조직 손상, 조직 외상 또는 조직 접근 부위를 지혈하거나, 봉합하거나 안정화하거나, (ii) 항미생물성 배리어를 형성하거나, (iii) 항바이러스성 패치를 형성하거나, (iv) 출혈 장애를 중재하거나, (v) 치료제를 방출하거나, (vi) 점막 표면을 처치하는 데 사용되거나, (vii) 이들의 조합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미생물성 배리어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압축에 의해 치밀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혈액, 유체 또는 습기의 존재하에 신체 조직에 부착될 수 있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 조립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최종 조사(irradiation) 및 보관을 위해 밀봉 파우치에 포장된 도 1에 도시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사용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를 노출시키기 위해 찢어져 개방되고 있는 도 3에 도시된 밀봉 파우치의 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표적 조직 부위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적용하기 전에 손으로 접거나 구부려 조작되고 있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A/B는 지혈하기 위해 표적 조직 부위에 적용되고 있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지혈하기 위해 절단되어 표적 조직 부위에 맞춰진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조각의 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표적 조직 부위에 일치하도록 손으로 오목한 모양 또는 컵 모양으로 성형하여 조작되고 있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형성 방법의 단계들의 개략도이다.
도 15, 도 16A/B 및 도 17A/B는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를 컨디셔닝하여 개선된 가요성 및 순응성을 제공하는 마이크로-균열을 형성하는 단계의 실시양태의 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개선된 가요성 및 순응성을 제공하는 깊은 부조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를 컨디셔닝하는 단계의 실시양태의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F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단계에 따라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를 컨디셔닝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부조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처리 단계가 제공할 수 있는 가요성 및 순응성의 개선을 입증하는 그래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개선된 가요성 및 순응성을 제공하는 수직 채널 (천공)을 형성함으로써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를 컨디셔닝하는 단계의 실시양태의 도면이다.
도 22는 혈액, 유체 또는 습기의 존재하에 신체 조직에 부착될 수 있는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투시 조립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투시 분해도이다.
도 24A는 시트 형태로 배열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투시 조립도이다.
도 24B는 롤 형태로 배열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투시 조립도이다.
도 25는 지혈하기 위해 롤 형태의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를 표적 조직 부위에 채워넣는 것의 투시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F는 도 22에 도시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형성 방법의 단계들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최종 조사 및 보관을 위해 밀봉 파우치에 포장된 도 16에 도시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28은 도 1에 도시된 미처리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와 비교하여, 도 22에 도시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가요성 및 순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9A는 감마-조사 전에 도 21에 도시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모사된 상처 봉합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9B는 감마-조사 전과 그 후에 도 21에 도시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모사된 상처 봉합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0은 유치 카테터(indwelling catheter)를 위한 접근 부위 주변에 부착되어 그를 봉합하는 개스킷 조립체를 형성하는 모양 및 형태를 갖는 복합 조직 드레싱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개스킷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2는 유치 카테터를 위한 접근 부위 주변에 부착되어 그를 봉합하는 개스킷 조립체를 형성하는 모양 및 형태를 갖는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33은 유치 카테터를 위한 접근 부위 주변에 부착되어 그를 봉합하는 개스킷 조립체를 형성하는 모양 및 형태를 갖는 도 22에 도시된 유형의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다른 이용가능한 항미생물성 제품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조립체의 발광 검출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6, 도 37 및 도 38은 다른 항미생물성 제품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조립체의 세균 생존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기재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루어진 주제를 그 순서대로 배열하여 하기 목록으로 요약하였다.
기재된 주제의 목록
I.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A. 개관
1.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2. 백킹재
3. 파우치
B.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의 사용
실시예 1
C. 조직 드레싱 패드 조립체의 제조
1. 키토산 용액의 제조
2. 키토산 수용액의 탈기
3. 키토산 수용액의 동결
4. 키토산/얼음 매트릭스의 동결 건조
5. 키토산 매트릭스의 치밀화
6. 백킹재의 고정
7. 파우치에 넣기
8. 최종 멸균
D.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의 순응성 변경
1. 제어된 마이크로-균열형성
2. 제어된 매크로-텍스쳐링
실시예 2
3. 제어된 수직 채널 형성
II.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A. 개관
B.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사용
C.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제조
실시예 3 및 4
III.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의 추가의 적용 및 형태
A. 항미생물성 배리어
실시예 5 및 6
IV. 결론
본 기재내용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고 정확하게 설명되어 있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물리적 실시양태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다른 특정 구조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하였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
I. 조직 드레싱 패드 조립체
A. 개관
도 1은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나타낸다. 사용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혈액, 또는 체액, 또는 습기의 존재하에 조직에 부착될 수 있다.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출혈, 유체 누출 또는 삼출, 또는 다른 형태의 유체 유실에 대하여, 조직 손상, 또는 조직 외상, 또는 조직 접근 (예, 카테터 또는 주입관) 부위를 지혈, 봉합 및/또는 안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처치되는 조직 부위는 예를 들면, 동맥 및/또는 정맥 출혈부, 또는 열상, 또는 상처 입구/침투부, 또는 조직 천공, 또는 카테터 접근 부위, 또는 화상, 또는 봉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직 처치 부위 또는 그 주변에 항균성 및/또는 항미생물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보호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나타낸다. 도 2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12), 및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12)의 한 표면에 중첩되는 패드 백킹재 (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12) 및 백킹재 (14)는 간병인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 텍스쳐를 갖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구별된다.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의 크기, 모양 및 형태는 그의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패드 조립체 (10)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형태, 기다란 형태,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이들의 복합체 또는 복합적인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패드 조립체 (10)의 모양, 크기 및 형태는 사용하는 동안이나 사용하기 이전에 절단, 굽힘 또는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외부 출혈 또는 유체 유실의 임시적인 억제에 매우 유용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의 대표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그의 크기는 10 cm × 10 cm × 0.55 cm이다.
1.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12)는 바람직하게는, 차후의 치밀화 공정 (하기에서 설명됨)에 의해 치밀화된, 탄성률이 낮은 친수성 중합체 매트릭스, 즉 본질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12)로부터 형성된다.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12)는 바람직하게는 혈액, 체액 또는 습기의 존재하에 반응하여 강력한 접착제 또는 풀이 되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는 또한 다른 유익한 속성, 예를 들면 항균성 및/또는 항미생물성 항바이러스성, 및/또는 손상에 대한 신체의 방어 작용을 촉진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조직 드레싱 메트릭스 (12)는 친수성 중합체 형태, 에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알기네이트, 키토산, 친수성 폴리아민, 키토산 유도체, 폴리리신, 폴리에틸렌 이민, 크산탄, 카라기이난, 4급 암모늄 중합체,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전분, 개질 셀룰로오스 중합체, 덱스트란, 히알루로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분은 아밀라아제, 아밀로펙틴, 및 아밀로펙틴과 아밀라아제의 조합물로 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매트릭스 (12)의 생체적합성 물질은 비-포유류 물질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다 흔하게는 키토산이라고 불리는 폴리[β-(1→4)-2-아미노-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스]를 포함한다. 매트릭스 (12)를 위해 선택된 키토산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 kD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0 kDa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300 kDa 이상이다.
매트릭스 (12)를 형성할 때, 키토산을 바람직하게는 글루탐산, 락트산, 포름산, 염산 및/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산과 함께 용액에 넣는다. 상기 산 중에서 염산 및 아세트산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키토산 아세테이트 염 및 키토산 클로라이드 염은 혈액에서의 용해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반면, 키토산 락테이트 염 및 키토산 글루타메이트 염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분자량 (Mw)이 더 큰 음이온은 키토산 염의 파라-결정질 구조를 파괴하여 구조체의 가소화 효과 (가요성 증가)를 유발한다. 바람직하지 못하게도, 이것은 또한 이렇게 보다 큰 Mw를 갖는 음이온 염이 혈액 중에 신속하게 용해되게 한다.
매트릭스 (12)의 한 바람직한 형태는 키토산 아세테이트 용액을 동결 및 냉동건조시켜 형성된 밀도 0.035 g/㎤ 미만의 "압축되지 않은" 키토산 아세테이트 매트릭스 (12)를 포함하며, 이는 이어서 압축에 의해 0.6 내지 0.25 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20 g/㎤의 밀도로 치밀화된다. 이러한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또한 압축된 친수성 구조체로 규정될 수 있다.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상기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는 특성들을 모두 나타낸다. 이것은 또한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기재하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동안 매트릭스에 강건성 및 지속성(longevity)을 부여하는 특정한 구조적 및 기계적 이점을 갖는다.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강건하고, 투과성이며, 비표면적이 크고, 양으로 하전된 표면을 제공한다. 양으로 하전된 표면은 적혈구 및 혈소판 상호작용을 위한 고반응성 표면을 형성한다. 적혈구 막은 음으로 하전되어 있어 키토산 매트릭스 (12)로 끌린다. 세포막은 접촉시에 키토산 매트릭스 (12)에 융합된다. 혈괴가 매우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지혈에 일반적으로 필요한 응혈 단백질에 대한 즉각적인 필요를 배제한다. 이러한 이유로,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정상인 및 항응고화제로 처방된 개인 뿐만 아니라, 혈우병 같은 응고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모두 효과적이다.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또한 세균, 내독소 및 병원균과 결합하고, 접촉시에 세균, 병원균 및/또는 바이러스를 사멸할 수 있다.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구조, 조성, 제법, 및 다른 기술적 특징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에 기술하겠다.
2. 백킹재(backing)
조직 드레싱 패드 조립체는 간병인의 손가락 및 손으로 조작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백킹재 (14)는 간병인의 손가락과 손을 유체-반응성 키토산 매트릭스 (12)로부터 격리시킨다 (예를 들어 도 8 참조). 백킹재 (14)는 키토산 매트릭스 (12)가 간병인의 손가락이나 손에 부착되거나 달라붙지 않고 취급, 조작되어 조직 부위에 적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백킹재 (14)는 합성 및 천연 중합체로 된 저탄성률 망 및/또는 필름 및/또는 제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적인 외부 상처에의 적용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백킹재 (14)는 유체 불투과성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3M 1774T 폴리에틸렌 발포체 의료용 테이프, 0.056 cm 두께)을 포함하나, 다른 유사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임시적 상처 적용에서 백킹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중합체로는 셀룰로오스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메탈로센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내부 상처 적용의 경우, 재흡수성 백킹재를 친수성 스폰지 붕대 형태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붕대 형태는 생분해성인 생체적합성 백킹재 물질을 사용할 것이다. 합성 생분해성 물질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폴리(e-카프로락톤), 폴리(β-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β-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디옥사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말산), 폴리(타르트론산), 폴리포스파젠,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상기 언급된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된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천연 생분해성 중합체로는 키틴, 알긴, 전분, 덱스트란, 콜라겐 및 알부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3. 파우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바람직하게는 사용 전에 기밀의 열 밀봉된 호일-라이닝 파우치 (16)에, 낮은 수분 함량으로,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수분 함량으로 진공 포장된다. 이어서, 감마 조사를 이용하여,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파우치 (16) 내부에서 최종적으로 멸균시킨다.
파우치 (16)는 사용 순간에 간병인에 의해 뜯어져서 개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 참조). 파우치 (16)는 한쪽 단부를 따라 박리됨으로써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파우치 (16)의 대향 연부들을 잡고 양쪽으로 잡아당겨 사용하려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노출시킨다.
B.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의 사용
일단 파우치 (16)에서 꺼내면 (도 6 참조),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즉시 표적 조직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을 촉진하기 위한 적용전 조작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사용하려는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보호재를 떼어낼 필요가 없다.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그 자체로 혈액, 유체 또는 습기와 접촉시 강력한 접착성을 나타내므로 접착 표면은 그대로(in-situ)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파우치 (16)를 개봉한 후 1시간 이내에 손상 부위에 적용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부위의 형상 및 형태(morphology)에 일치하도록 미리 성형 및 개조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치 부위의 특정 형상 및 형태에 가장 잘 일치하도록,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일부러 다른 형태, 예컨대 컵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처치 부위에 위치시키기 전의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의 성형 또는 다른 조작 동안, 간병인은 손 또는 손가락의 습기와 키토산 매트릭스 (12)가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접촉은 키토산 매트릭스 (12)가 끈적거리고 취급하기 어렵게 되도록 한다. 이것이 백킹재 (14)의 주 목적이지만, 백킹재 (14)는 또한 매트릭스의 기계적 지지력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자연적인 접착성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해, 2분 이상 동안 견고한 압력을 가한다.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접착 강도는 압력을 가하는 기간 동안, 약 5분까지 증가할 것이다. 이 시간 동안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 전체에 압력을 고르게 가하는 것이 보다 균일한 접착 및 상처 봉합을 제공할 것이다. 커를릭스(Kerlix) 롤 (18) (도 9A 참조)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특한 기계적 특성 및 접착성으로 인해, 필요할 경우, 상처 또는 조직 부위를 채우기 위해 2개 이상의 드레싱 패드 조립체를 중첩할 수 있다. 한 패드 조립체 (10)의 키토산 매트릭스 (12)가 인접한 드레싱 패드 조립체 (10)의 백킹재 (14)에 부착될 것이다.
드레싱 패드 조립체 (10)는 또한 상처 또는 조직 부위의 크기에 일치하도록 부위상에서 찢어지거나 또는 절단될 수 있다 (도 10 참조). 양호한 조직 부착 및 봉합을 제공하기 위해, 드레싱 패드 조립체 (10)의 주변부가 상처 또는 조직 부위보다 적어도 1/2 인치만큼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레싱 조립체의 보다 작은 패치 조각을 부위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도 11 참조), 처치 부위의 형상 및 형태에 가장 근접하도록 또다른 패드 조립체 (10)의 주변부에 맞추어 부착시킬 수 있다.
조직 드레싱 패드 조립체가 손상 부위에 달라붙지 않을 경우, 그것을 제거하여 폐기하고, 다른 새로운 드레싱 패드 조립체 (10)를 적용할 수 있다. 조직이 심하게 파괴되었거나, 조직면이 깊은 상처, 또는 관통상인 경우, 백킹재 (14)를 떼어내고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상처내에 채워넣은 후 제2의 드레싱으로 상처를 덮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 2 내지 5분 동안 압력을 가하고/하거나 양호한 드레싱 부착 및 상처 또는 조직 부위의 피복에 의해 지혈의 억제가 달성되면, 제2의 통상적인 드레싱(예, 거즈)을 적용하여 드레싱을 고정시키고, 상처에 깨끗한 배리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B 참조). 이후 상처가 물에 잠기게 되는 경우에는, 물이 통하지 않는 덮개를 적용하여 드레싱이 과수화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FDA 승인받은 임시 드레싱 형태의 경우,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적용 후 48시간 이내에 정식 외과 치료를 위해 제거된다.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상처에서 떼어내며, 일반적으로는 단일의 온전한 드레싱으로서 상처에서 분리될 것이다. 몇몇 경우에는, 잔류 키토산 겔이 남을 수 있고, 이것은 부드럽게 문지르면서 염수 또는 물을 사용하고 거즈 드레싱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키토산은 체내에서 생분해성이고 양성 물질인 글루코사민으로 분해된다. 그렇지만, 임시 드레싱의 경우에는, 정식 치료시 상처로부터 모든 키토산을 제거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드레싱은 내부 용도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1
사용 효과 보고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에서의 독립작전 동안의 수술시 효과에 대한 군의료진의 보고는 드레싱 패드 조립체의 부작용없는 성공적인 임상적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미국 텍사스주의 포트 샘 휴스턴(Fort Sam Houston)에 있는 미군 외과 연구소(US Army Institute for Surgical Research)는 심각한 치명적 출혈이 있는 외상 모델에서 드레싱 패드 조립체 (10)를 평가하고, 상기 드레싱을 표준 4 × 4 인치 면 거즈 드레싱과 비교하였다.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실혈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소생 수액 요구량을 감소시켰다.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적용한 군은, 면 거즈 생존 군에 비해 1시간 후 생존률이 증가하였다. 군의료진은 통상의 상처 드레싱으로는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총상, 유탄 및 지뢰에 의한 상처 및 다른 손상을 성공적으로 처치하였다.
C. 조직 드레싱 패드 조립체의 제조
이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설명하겠다. 도 16에 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냈다. 물론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1. 키토산 용액의 제조
키토산 용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키토산은 바람직하게는 탈아세틸화 분율이 0.78보다 크지만 0.97보다는 작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의 탈아세틸화 분율은 0.85보다 크지만 0.95보다는 작다.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로 가공하기 위해 선택된 키토산은 1%(w/w) 아세트산(AA)의 1%(w/w) 용액 중 25℃에서의 점도가, 스핀들 LVI 30 rpm에서 약 100 센티포아즈 내지 약 2000 센티포아즈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은 1%(w/w) 아세트산(AA)의 1%(w/w) 용액 중 25℃에서의 점도가, 스핀들 LVI 30 rpm에서 약 125 센티포아즈 내지 약 1000 센티포아즈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은 1%(w/w) 아세트산(AA)의 1%(w/w) 용액 중 25℃에서의 점도가, 스핀들 LVI 30 rpm에서 약 400 센티포아즈 내지 약 800 센티포아즈이다.
키토산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25℃에서 고상 키토산 박편 또는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휘저음, 교반 또는 진탕에 의해 고체를 액체 중에 분산시켜 제조한다. 액체 중에 키토산이 분산되면, 산 성분을 첨가하고, 분산액 전체에 혼합하여 고상 키토산을 용해시킨다. 용해 속도는 용액의 온도, 키토산의 분자량 및 교반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용해 단계는 교반 날개가 장착된 밀폐식 탱크 반응기 또는 밀폐식 회전 용기에서 수행된다. 이것은 키토산을 균질하게 용해되게 하고, 고점도 잔류물이 용기 측면에 포획될 가능성을 없앤다.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용액 백분율 (w/w)은 키토산 0.5% 초과 및 키토산 2.7%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용액 백분율 (w/w)은 키토산 1% 초과 및 키토산 2.3% 미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용액 백분율은 키토산 1.5% 초과 및 키토산 2.1%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산은 아세트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은 아세트산 용액 백분율 (w/w)이 0.8% 초과 및 4% 미만이 되도록 용액에 첨가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은 아세트산 용액 백분율 (w/w)이 1.5% (w/w) 초과 및 2.5% 미만이 되도록 용액에 첨가된다.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구조 또는 형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형적으로 용액으로부터 실시되며, 동결 (상분리 유발), 비용매 다이 압출 (필라멘트 제조), 전기방사 (필라멘트 제조), 상 역전 및 비용매 침전 (투석 및 필터 막 제조에 흔히 사용되는 것과 같음) 또는 미리 형성된 스폰지형 또는 제직물 제품으로의 용액 코팅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결에 의해 2개 이상의 구분되는 상이 형성되는 동결의 경우 (전형적으로 물이 얼음으로 동결되면서, 키토산 생물질이 별도의 고체상으로 분화됨), 동결된 용매 (전형적으로 얼음)를 제거하여 동결된 구조를 흐트러뜨리지 않으면서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제조하기 위한 추가의 단계가 필요하다. 이것은 동결건조 및/또는 동결 치환 단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필라멘트는 부직 방사 공정에 의해 부직 스폰지형 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통상의 방사 및 제직 공정에 의해 필라멘트를 펠트 제직물로 만들 수 있다. 생물질의 스폰지형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고상 키토산 매트릭스 (12)로부터 첨가된 포로겐(porogen)을 용해시키거나 상기 매트릭스로부터 물질을 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2. 키토산 수용액의 탈기
바람직하게는 (도 14의 단계 B 참조), 키토산 생물질에서 일반적인 대기 기체를 탈기한다. 전형적으로, 탈기는 키토산 생물질로부터 충분한 잔류 기체를 제거하여, 차후 동결 단계를 거치는 동안 기체가 빠져나가 상처 드레싱 제품에 원치 않는 큰 공극 또는 큰 기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탈기 단계는 키토산 생물질을 일반적으로 용액 형태로 가열한 후 거기에 진공을 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기는 키토산 용액을 약 45℃로 가열하고 곧바로 약 500 mTorr의 진공을 약 5분 동안 가하면서 용액을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초기 탈기 후에 조절된 분압으로 특정 기체를 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그러한 기체는 아르곤, 질소 및 헬륨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단계의 장점은 소정의 분압의 상기 기체를 함유하는 용액이 동결시에 미세공극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미세공극은 이후 빙결전선(ice front)이 진행함에 따라 스폰지 전체로 이동한다. 이것은 스폰지 공극의 상호연결성을 보조하는 잘 한정되고 제어된 채널을 남긴다.
3. 키토산 수용액의 동결
다음으로 (도 14의 단계 C 참조), 키토산 생물질 (상기한 바와 같이 이것은 이제 전형적으로 산 용액으로서 탈기된 상태임)을 동결 단계로 가져간다. 동결은 바람직하게는 주형 내에 지지된 키토산 생물질 용액을 냉각시키고, 용액 온도를 실온으로부터 빙점 미만의 최종 온도로 낮춤으로써 실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동결 단계는 판형 냉각면을 통한 열 손실에 의해 주형 내의 키토산 용액에 열 구배를 도입하는 판형 동결 장치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판형 냉각면은 주형과 양호하게 열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판형 동결 장치 표면과 접촉하기 전의 키토산 용액 및 주형의 온도는 실온 근처이다. 바람직하게는, 판형 동결 장치 표면 온도는 주형 + 용액을 도입하기 전에 -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주형 + 용액의 열 질량은 판형 동결장치 선반 + 열 전달 유체의 열 질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주형은 금속 원소, 예컨대 철, 니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함금, 티탄, 티탄 합금, 바나듐, 몰리브덴, 금, 로듐, 팔라듐, 백금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주형은 키토산 용액의 산 성분 및 키토산 염 매트릭스와의 반응이 없도록, 얇은 비활성 금속 코팅, 예컨대 티탄, 크롬, 텅스텐, 바나듐, 니켈, 몰리브덴, 금 및 백금으로 코팅될 수 있다. 주형의 열 전달을 조절하기 위해, 금속 주형에 단열 코팅 또는 단열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형 표면은 동결된 키토산 용액과 결합하지 않는다. 주형의 내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테플론), 플루오르화 에틸렌 중합체 (FEP), 또는 다른 플루오르화 중합체 물질로부터 형성된 얇고 영구적으로 결합된 플루오르화 이형 코팅으로 코팅된다. 코팅된 금속 주형이 바람직하지만, 벽이 얇은 플라스틱 주형도 용액의 지지를 위한 편리한 대안일 수 있다. 그러한 플라스틱 주형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사출 성형, 기계 가공 또는 열성형에 의해 제조된 주형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열 부재가 국소적으로 배치된 금속 주형의 장점은, 이들이 동결 스폰지 내에서의 열 흐름 및 구조의 제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 또한 제공한다는 것이다. 열 흐름 제어의 향상은 주형 내의 열 전도 부재와 단열 부재 위치 간의 열 전도성 차이가 큰 것에 기인한다.
이와 같은 방식의 키토산 용액의 동결은 제조되는 상처 드레싱 제품의 바람직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하기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판 동결 온도는 최종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구조 및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판 동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하이다. -10℃에서 동결시, 압축되지 않은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구조는 매우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스폰지 구조가 전반적으로 수직이다. -25℃에서 동결시, 압축되지 않은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구조는 보다 폐쇄적이지만, 여전히 수직이다. -40℃에서 동결시, 압축되지 않은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구조는 폐쇄적이고 수직이 아니다. 대신,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강화된 맞물린 구조를 더 많이 포함한다.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접착성/유착밀봉성은 낮은 동결 온도를 사용할수록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약 -40℃의 동결 온도는 뛰어난 접착성/유착성을 갖는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위한 구조를 형성한다.
동결 단계 동안, 예정된 시간에 걸쳐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토산 생물질 용액의 동결 온도는 약 90분 내지 약 160분의 시간 동안 약 -0.4℃/mm 내지 약 -0.8℃/mm의 일정한 온도 냉각 속도로 판 냉각시켜 실온으로부터 -45℃까지 낮출 수 있다.
4. 키토산/얼음 매트릭스의 동결 건조
바람직하게는 동결된 키토산/얼음 매트릭스에서 동결된 물질의 틈새 내로부터 물을 제거한다 (도 14의 단계 D 참조). 이러한 물 제거 단계는 동결된 키토산 생물질의 구조적 완전성(integrity)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최종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구조적 배열을 붕괴시킬 수 있는 액체 상태를 생성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동결된 키토산 생물질 중의 얼음은 고체 동결 상태에서 중간의 액체 상태를 형성하지 않고 기체 상태로 전환된다 (승화). 승화된 기체는 동결된 키토산 생물질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진공 응축실에서 얼음으로서 포획된다.
물 제거 단계를 실시하는 바람직한 방식은 동결건조 또는 냉동건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동결된 키토산 생물질의 동결건조는 동결된 키토산 생물질을 더욱 냉각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전형적으로 진공을 가한다. 다음으로, 진공 동결된 키토산 물질을 서서히 가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결된 키토산 생물질을 약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5℃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1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추가로 동결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 이어서 응축기를 약 -4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5℃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다음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100 mTor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0 mTor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 mTorr 이상의 진공을 가할 수 있다. 진공 동결된 키토산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약 1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시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시간 이상 동안 약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에서 가열할 수 있다.
진공 압력을 200 mTorr 정도로 유지하면서, 약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의 선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36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2시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8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추가의 동결 건조를 수행한다.
5. 키토산 매트릭스의 치밀화
치밀화 전의 키토산 매트릭스 (밀도가 약 0.03 g/㎤임)를 "압축되지 않은 키토산 매트릭스"라고 부를 것이다. 상기 압축되지 않은 매트릭스는 혈액에 신속하게 용해되고 기계적 성질이 열악하므로 지혈에 효과적이지 않다. 키토산 생물질은 반드시 압축되어야 한다 (도 14의 단계 E 참조). 가열된 압반을 이용하여 친수성 매트릭스 중합체 표면에 수직으로 압축 하중을 가하여, 건조한 "압축되지 않은"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압축하여 매트릭스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밀도를 증가시킨다. 압축 단계 (간단히 "치밀화"라고 부르기도 할 것임)는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접착 강도, 유착 강도 및 내용해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한계밀도 (0.1 g/㎤에 가까움) 이상으로 압축된 적절하게 동결된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37℃의 혈류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
압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5℃ 이상이고 약 85℃ 이하이다.
치밀화 후, 매트릭스 (12)의 밀도는 매트릭스 (12)의 바닥 ("활성") 표면(즉, 조직에 노출되는 표면)과 매트릭스 (12)의 상부 표면 (백킹재 (14)가 적용되는 표면)에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표면에서 측정된 평균 밀도가 0.2 g/㎤의 가장 바람직한 밀도치이거나 그에 근접하는 전형적인 매트릭스 (12)에서, 상부 표면에서 측정된 평균 밀도는 예를 들어, 0.05 g/㎤으로서 현저히 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치밀화된 매트릭스 (12)의 바람직한 밀도 범위는, 혈액, 유체 또는 습기에 대한 노출이 처음으로 발생되는 매트릭스 (12)의 활성면 또는 그 근방의 밀도 범위를 의도한 것이다.
이어서 치밀화된 키토산 생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오븐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75℃ 이하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하의 온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하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예비컨디셔닝된다 (도 14의 단계 F). 예비컨디셔닝은 전형적으로 약 0.25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35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45시간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0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실시된다. 상기 예비컨디셔닝 단계는 접착성의 20 내지 30%를 감소시키지만 저비용으로 내용해성을 더욱 현저히 개선한다.
6. 백킹재의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에의 고정
백킹재 (14)를 키토산 매트릭스 (12)에 고정시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형성한다 (도 14의 단계 G 참조). 백킹재 (14)는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상층과의 직접 접착에 의해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별법으로, 3M 9942 아크릴레이트 스킨 접착제(3M 9942 Acrylate Skin Adhesive)와 같은 접착제, 또는 피브린 풀, 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풀을 사용할 수 있다.
7. 파우치에 넣기
이어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파우치 (16)에 포장할 수 있고 (도 14의 단계 H 참조), 상기 파우치는 바람직하게는 아르곤이나 질소 기체와 같은 비활성 기체로 퍼징하고, 배기하고, 열 밀봉할 수 있다. 파우치 (16)는 장시간 (24개월 이상) 동안 내용물을 멸균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시간 동안 대기 기체 침투 및 습기에 대한 매우 강력한 배리어를 제공한다.
8. 멸균
파우치에 넣은 후, 가공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바람직하게는 멸균 단계로 가져간다 (도 14의 단계 I 참조).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멸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방법은 조사, 예컨대 감마 조사를 이용하는 것이며, 이것은 상처 드레싱의 혈액에 대한 내용해성, 인장성 및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조사는 약 5 kGy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kGy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kGy 이상의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다.
D.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의 순응성 변경
사용하기 직전에,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를 파우치 (16)로부터 꺼낸다 (도 4 내지 도 6 참조).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수분 함량이 낮으므로 파우치 (16)에서 꺼낼 때 비교적 유연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고 표적 손상 부위의 굴곡이 있고 불규칙적인 표면에 곧바로 잘 맞지 않을 수 있다. 표적 손상 부위에 위치시키기 전에 패드 조립체 (10)를 굽히고/거나 성형하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고 이를 권장하였다. 패드 조립체 (10)를 성형하는 능력은 심한 출혈을 억제하려 할 때 특히 중요한데, 이는 심각한 출혈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패드 조립체 (10)를 손상된 혈관에 바로 부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출혈 관은 불규칙한 모양의 상처 내부에 깊숙이 존재한다.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패드 조립체 (10)는 그의 한 예에 불과함)에서는, 구조체의 가요성 및 순응성이 클수록, 구조체를 상처의 모양에 맞추어 상처 내부의 불규칙한 표면에 스폰지 구조체를 부착할 때 인열 및 파괴에 대한 저항성이 더 크다. 인열 및 파괴에 대한 저항성이 상처 봉합 및 지혈 효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인열 및 파괴에 대한 저항성은 유용하다. 순응성 및 가요성은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예, 패드 조립체 (10))를 균열이나 현저한 패드 조립체 (10) 용해 없이 깊거나 갈라진 틈 모양의 상처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키토산 함유 용액에 특정 가소제를 사용하여 가요성 및 순응성을 개선하는 것은, 특정 가소제가 패드 조립체 (10)의 다른 구조적 속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토산 글루타메이트 및 키토산 락테이트는 키토산 아세테이트보다 유연하다. 그러나, 키토산 글루탐산 및 락트산 염은 혈액의 존재하에 신속하게 용해되는 반면, 키토산 아세테이트 염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개선된 순응성 및 가요성이 강건성 및 내용해성의 지속성의 감소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순응성 및 가요성의 개선은, 제조 후의 임의의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물리적 조작에 의해, 강건성 및 내용해성의 지속성이라는 유용한 특성의 상실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제조 후 그러한 물리적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몇몇 방법을 이제 설명할 것이다. 키토산 매트릭스 (12) 관점에서의 방법이 기술될 것이나, 이러한 방법은 어떠한 형태의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그의 한 예에 불과함)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1.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제어된 마이크로-균열형성
키토산 매트릭스 (12)와 같은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하부구조의 제어된 마이크로-균열형성은 건조 패드 조립체 (10)의 계획적인 물리적 예비컨디셔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패드 조립체 (10)의 제어된 물리적 예비컨디셔닝은 그의 사용시에 패드 조립체 (10)의 심각한 파괴를 발생시키지 않고, 개선된 가요성 및 순응성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컨디셔닝은 파우치 (16) 내에 밀봉된 패드 조립체 (10)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조립체 (10) (즉,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활성면을 위로 유지하고, 1 내지 1.5 mm 깊이의 반복되는 손가락 모양 자국 (48)을 전체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국소적 압력을 가한 후에,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사각형 패드 조립체 (10)의 한 연부를 활성 면을 위로 유지한 채로 직경 7.5 cm × 길이 12 cm의 실린더 (50)의 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실린더 (50)를 패드 조립체 (10)상에서 굴려서 직경 7.5 cm의 오목면을 패드 조립체 (10)에 형성한다. 실린더 (50)를 떼어내고 패드 조립체 (10)를 90° 회전하여 (도 16B 참조), 또다른 7.5 cm 직경의 오목면이 패드 조립체 (10)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처리 후에, 패드 조립체 (10)를 뒤집어서 (즉, 백킹재 (14)가 위로 오게 함) (도 17A 및 17B 참조), 90°로 어긋나는 7.5 cm 직경의 오목면을 패드 조립체 (10)의 백킹재 (14)에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패드 조립체 (10)의 조작은 최종 출하 포장재에 적재하여 밀봉하기 직전에 그의 가공 중에 물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물리적 예비컨디셔닝은 손가락으로 찌르기(probing) 및/또는 실린더로의 연신에 의한 예비컨디셔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비컨디셔닝은 또한, 임의의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내부에 물리적 변화를 제공하여 스폰지 지혈 효능의 현저한 감소 없이 스폰지 굽힘 탄성률을 향상시키는 임의의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예비컨디셔닝은, 굽히기, 비틀기, 회전, 진동, 찌르기, 압축, 연신, 흔들기(shaking) 또는 주무르기(kneading)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임의의 친수성 스폰지 구조체의 물리적 조작을 포함할 것이다.
2.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제어된 매크로-텍스쳐링
주어진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제어된 매크로-텍스쳐링 (깊은 부조 패턴의 형성에 의함)은 사용시 패드 조립체 (10)의 심한 파괴를 발생시키지 않고, 가요성 및 순응성을 개선할 수 있다. 키토산 매트릭스 (12)에 있어서, 깊은 부조 패턴은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활성 표면, 또는 백킹재 (14), 또는 두 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A 및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깊은 (0.25 내지 0.50 cm) 부조 표면 패턴 (52) (매크로-텍스쳐드 표면)은 스폰지를 80℃에서 열 압축함으로써 패드 조립체 (10)에 형성될 수 있다. 스폰지 열 압축은 제어되는 가열 장치 (56)를 포함하는 양각 부조 압축 압반 (54)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부조 패턴 (52) 유형의 다양한 대표적인 예를 도 24A 내지 24D에 나타내었다. 음각 부조 패턴이 가열된 압반 (54)에 부착된 양각 부조로부터 형성된다.
패턴 (52)의 목적은, 부조 패턴이 그의 길이를 따라 향상된 굴곡을 허용하는 국소적인 힌지(hinge)처럼 작용하도록, 부조 (52)에 대하여 직각으로의 굽힘 저항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건조 패드 조립체의 순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부조 (52)는 패드 조립체 (10)의 백킹재 (14)에만 적용되고, 손상부의 봉합 및 국소적인 혈괴 형성을 촉진하여 지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키토산 매트릭스 (12)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키토산 매트릭스 (12)에 매크로-텍스쳐링된 깊은 부조 패턴 (52)은 혈액이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빠져나가는 채널을 제공하여 봉합성을 상실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 24E 및 도 24F에 나타낸 유형의 별법의 부조 패턴 (52)을 바닥 부조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것은 봉합성의 상실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부조 (52)는 매트릭스의 바닥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백킹재 (14) 또는 매트릭스의 상부 표면에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여전히 덜 바람직하다. 스폰지 압축 중에 상부 및 하부 압반에 부착된 2개의 양각 부조 표면을 사용하면, 패드 조립체 (10)의 상부 표면 및 바닥 표면에 동시에 부조 패턴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상부 표면에 하나의 양각 부조를 사용하여 하나의 깊은 부조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시험 패드 조립체 (각각 10 cm × 10 cm × 0.55 cm이고, 백킹재 (14) (3M 1774T 폴리에틸렌 발포체 의료용 테이프, 두께 0.056 cm)가 부착됨)에 대해 기계적 굽힘 시험을 행하였다. 한 패드 조립체 (10) (패드 1)는 주로 수직인 라멜라(lamella) 구조를 갖는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포함하였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고온의 동결 온도에서 제조됨). 다른 패드 조립체 (10) (패드 2)는 주로 수평의 맞물린 라멜라 구조를 갖는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포함하였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저온의 동결 온도에서 제조됨).
패드 1 및 패드 2를 각각 반으로 절단하였다. 각각의 압축된 키토산 패드 1 및 2의 1/2 조각 (5 cm × 10 cm × 0.55 cm) 2개를 80℃에서 국소적으로 압축하여 도 19A의 형태로 백킹재 (14)에 부조 패턴을 형성하였다. 패드 1 및 2의 나머지 1/2 조각들은 처리하지 않은 채로 두어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외과용 메스를 사용하여 패드 조립체 (10)의 각각의 1/2 조각으로부터 3개씩의 시험편 (10 cm × 1.27 cm × 0.55 cm)을 잘라내었다. 이들 시험편에 대해 3점 굽힘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편은 상부 표면에 깊이 0.25 cm 및 폭 0.25 cm의 부조 자국을 가졌다. 각각의 자국은 그의 인접 자국으로부터 1.27 cm 이격되었다. 50 N 하중 셀을 사용한 인스트론 단축 기계 시험기 (모델 번호 5844)에서 시험한 3점 굽힘 시험을 수행하여 전폭(span) 5.8 cm 및 크로스헤드 속도 0.235 cm/s에서 0.55 cm 두께의 시험편에 대한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굽힘 하중을 2개의 패드 1 및 2 (처리 및 미처리)에 있어서, 중간점 굽힘 변위에 대하여 플롯팅하였고, 이를 각각 도 20A 및 20B에 나타내었다. 패드 1 및 2 (처리 및 미처리)의 처리된 시험편과 미처리된 시험편의 굽힘 탄성률을 각각 표 9A 및 9B에 나타내었다.
굽힘 시험은, 어느 유형의 건조 패드 조립체 (10)에서나 제어된 매크로-텍스쳐링에 의해 가요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입증하였다.
패드 유형 1 (수직 라멜라)의 기계적 시험의 요약
최대 굽힘 응력에서의 굽힘 하중 (N) 탄성률 (자동) (MPa) 탄성률 (영률(Young's) - 커서(cursor)) (MPa)
1 0.5 2.7 2.7
2 0.5 2.3 2.3
3 0.6 3.1 3.1
4 1.2 8.3 8.2
5 1.1 9.5 9.5
6 1.1 8.5 8.5
시험편 번호 1 우측 연부 - 굴곡이 있는 힌지 형성
시험편 번호 2 내부 우측 연부 - 굴곡이 있는 힌지 형성
시험편 번호 3 중앙 - 굴곡이 있는 힌지 형성
시험편 번호 4 중앙 - 대조군
시험편 번호 5 내부 좌측 연부 - 대조군
시험편 번호 6 좌측 연부 - 대조군
패드 유형 2 (수평 라멜라)의 기계적 시험의 요약
최대 굽힘 응력에서의 굽힘 하중 (N) 탄성률 (자동) (MPa) 탄성률 (영률 - 커서) (MPa)
1 0.4 2.1 2.0
2 0.5 2.7 2.7
3 0.5 3.0 3.0
4 0.9 6.1 6.1
5 0.9 5.6 5.7
6 0.8 6.3 6.3
시험편 번호 1 우측 연부 - 힌지 형성
시험편 번호 2 내부 우측 연부 - 힌지 형성
시험편 번호 3 중앙 - 힌지 형성
시험편 번호 4 중앙 - 대조군
시험편 번호 5 내부 좌측 연부 - 대조군
시험편 번호 6 좌측 연부 - 대조군
3.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제어된 수직 채널 형성
주어진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그의 한 예에 불과함)의 벌크에 그를 통해 제어된 방식으로 혈액을 도입하는 것은, 개선된 초기 구조적 순응성 및 구조체 내용해성의 지속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주어진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에 수직 채널을 제어된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은 그의 사용시에 구조체의 심한 파괴를 발생하지 않고 가요성 및 순응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벌크에 그를 통해 제어된 방식으로 혈액을 도입하는 것은, 구조체의 개선된 초기 순응성 및 구조체의 내용해성의 지속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구조체에 수직 채널을 도입함으로써, 혈액이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내로 더욱 잘 흡수될 수 있다. 채널 단면적, 채널 깊이 및 채널 갯수 밀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혈액 흡수 속도 및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내로의 흡수 혈액의 분배를 보장할 수 있다. 키토산 매트릭스 (12)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5 g 내지 15 g의 혈액 흡수에 따른 키토산 매트릭스 (12) 질량의 200% 증가에 의해 굽힘 탄성률이 7 MPa에서 2 MPa로 72% 가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키토산 매트릭스 (12)에 제어된 방식으로 혈액을 도입하면 유착성이 보다 큰 매트릭스가 얻어질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 매트릭스의 이러한 강도 개선은 혈소판 및 적혈구와 같은 혈액 성분과 상기 매트릭스의 반응에 따른 결과이다. 혈액이 스폰지 구조체에 도입되고 스폰지 구조체와 혈액 성분이 반응하여 혈액과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아말감(amalgam)"을 생성하는 시간을 허용한 후에, 이후의 스폰지 구조체는 체액에 대하여 내용해성을 가지며, 특히 키토산 산 염 매트릭스의 경우, 염수 용액의 도입에 의해 쉽게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혈액과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반응 전에, 특히 키토산 산 염 매트릭스의 경우에, 염수의 도입은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급속한 팽윤, 겔화 및 용해를 유도한다.
또한, 키토산 매트릭스 (12)와 같은 주어진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에 혈액이 과도하게 도입되면 유체화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평균 채널 단면적, 평균 채널 깊이 및 채널 갯수 밀도를 조절하여 혈액 흡수 속도가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구조를 매몰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에 수직 채널을 제어된 방식으로 분포시키는 것은 스폰지 구조체 제조의 동결 단계 동안에 달성될 수도 있고, 별법으로 압축 (치밀화) 단계 동안에 스폰지 구조체를 천공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바닥 기핵 동결 단계 동안에, 잔류 기체로 동결 용액을 과포화시킴으로써 수직 채널을 동결 용액에 도입할 수 있다. 상기 기체는 주형 내의 용액이 동결되기 시작할 때 용액의 바닥에서 기포를 생성한다. 기포는 동결 단계 동안 용액을 통해 상승하여 수직 채널을 남긴다. 냉동건조 동안의 채널 주변의 얼음의 승화는 생성되는 스폰지 매트릭스 내에 채널을 보존한다.
별법으로, 채널은 또한 동결 단계 동안에 주형의 바닥에 수직 막대 부재를 위치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형은 금속 원소, 예컨대 철, 니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탄, 티탄 합금, 바나듐, 몰리브덴, 금, 로듐, 팔라듐, 백금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금속 막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원소, 예컨대 철, 니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탄, 티탄 합금, 바나듐, 몰리브덴, 금, 팔라듐, 로듐 또는 백금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형은 또한, 키토산 용액의 산 성분 및 키토산 염 매트릭스와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얇은 비활성 금속 코팅, 예컨대 티탄, 크롬, 텅스텐, 바나듐, 니켈, 몰리브덴, 금 및 백금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단열 코팅 또는 단열 부재를 금속 주형 및 수직 막대 부재와 함께 사용하여 주형 및 수직 막대 부재의 열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금속 주형 및 수직 금속 막대 부재가 바람직하지만, 플라스틱 주형 및 수직 플라스틱 주형 막대 부재는 채널 형성을 위한 편리한 대안일 수 있다. 단열 부재를 국소적으로 배치한 금속 주형 및 그의 금속 막대 부재의 장점은, 이들이 동결 스폰지 구조체 내부의 열 흐름 및 구조의 제어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열 흐름 제어의 개선은 주형의 열 전도 부재와 단열 부재 간의 열 전도성 차이가 크고, 또한 막대 부재를 통해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용액의 벌크 내에서 국소적인 열 구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스폰지 구조체의 냉동건조 후, 압축 (치밀화) 공정 동안에 수직 채널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폰지 구조체의 바닥에 짧고 (2.5 mm 깊이) 동등하게 이격된 천공 (62)을 형성하도록, 압축 장치 (58)에 바늘방석(pincushion) 형상의 패턴을 갖는 기구 (60)가 있을 수 있다.
천공 (62)의 목적은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바닥으로 그를 통해 제어된 느린 속도로 국소적 혈액 침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투의 목적은 먼저 건조 스폰지를 혈액으로 가소화하여 매트릭스의 보다 신속한 굽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차후 신체 공동 내에 존재하는 용해 작용원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매트릭스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혈액을 매트릭스 전체에 보다 균일하게 분산 및 혼합하기 위한 것이다. 천공된 바닥 표면이 없는 경우, 1, 6, 16 및 31분 후에 혈액이 단지 스폰지 구조체의 표면에만 침투되는 반면 (< 1.5 mm 깊이), 천공의 존재시에는 혈액이 31분 후 1.8 내지 2.3 mm 깊이로 침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천공이 없는 매트릭스에 비해 천공된 매트릭스의 굽힘 탄성률이 보다 신속하게 감소하게 된다.
II.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A. 개관
도 22는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하고 도 1에 나타낸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와 마찬가지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는 사용시 혈액 또는 체액 또는 습기의 존재하에 조직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도 출혈 또는 다른 형태의 유체 유실에 대하여, 조직 손상 또는 외상 또는 접근 부위를 지혈, 봉합 및/또는 안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에 의해 처치되는 조직 부위는 예를 들면, 동맥 및/또는 정맥 출혈부, 또는 열상, 또는 상처 입구/침투부, 또는 조직 천공, 또는 카테터 접근 부위, 또는 화상, 또는 봉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는 또한 조직 처치 부위 또는 그 주변에 항균성 및/또는 항미생물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보호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2는 사용 전의 상태에 있는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를 나타낸다. 도 23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는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68)의 층들 사이에 둘러싸인 제직 또는 부직 망 물질로 된 시트 (66)를 포함한다.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68)는 시트 (66)에 함침된다.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 (68)는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다.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의 크기, 모양 및 형태는 그의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시트 조립체 (64)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형태, 기다란 형태,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이들의 복합체 또는 복합적인 조합일 수 있다.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는 출혈 범위에서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신속한 순응성을 달성한다.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는 바람직하게는 (패드 조립체 (10)에 비해) 얇으며, 두께가 0.5 mm 내지 1.5 mm 범위이다. 시트 조립체 (64)의 얇고 강화된 구조체의 바람직한 형태는, 면 거즈와 같이 흡수성 붕대 웨빙(webbing)으로 강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 또는 스폰지를 0.10 내지 0.20 g/㎤의 전형적인 키토산 매트릭스 밀도로 포함하고, 그에 따른 붕대 두께는 1.5 mm 이하이다.
시트 조립체 (64)는 평평한 다층-시트 형태 (70) (도 24A 참조)로 포장하기 위한 조밀한 시트 형태 (예, 10 cm × 10 cm × 0.1 cm)로서 또는 조밀한 감긴 시트 형태 (72) (도 24B 참조)로 포장하기 위한 연신된 시트 형태 (예, 10 cm × 150 cm × 0.1 cm)로서 제조될 수 있다. 시트 (66)는 조립체 (64) 전체를 강화하는 한편, 또한 혈액 흡수에 이용가능한 상당한 비표면적을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에 제공하기도 한다. 제직 또는 부직 시트 (66)의 존재는 또한 전체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트 (66)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래 물질, 예컨대 거즈 면 망으로부터 형성된 제직 및 부직 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강화재의 예로는 흡수성 저탄성률 망 및/또는 다공질 필름 및/또는 다공질 스폰지 및/또는 합성 및 천연 중합체의 제직물이 포함된다. 합성 생분해성 물질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폴리(e-카프로락톤), 폴리(β-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β-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디옥사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말산), 폴리(타르트론산), 폴리포스파젠,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상기 언급된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된 단량체들의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천연 중합체로는 셀룰로오스, 키틴, 알긴, 전분, 덱스트란, 콜라겐 및 알부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분해성 합성 강화재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B.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사용
얇은 시트 조립체 (64)는 매우 우수한 순응성을 가지며, 곧바로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예,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손상 부위에 우수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트의 강화는 전체 조립체가 심한 출혈 범위에서 내용해성을 갖도록 한다. 시트 조립체 (64)는, 상처 부위 내에서 압력을 이용하는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예,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적층, 압착 및/또는 감기 (즉, "채워넣기" (도 25 참조))를 도모하여 심한 동맥 및 정맥 출혈에 대해 전체 구조체를 더욱 강화한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구조체를 겹쳐지게 채워넣음으로써, 혈액과 웨빙 내부에 주입된 친수성 중합체 (예, 키토산) 간의 상호작용이, 상처가 매우 깊거나, 그렇지 않으면 명백하게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의 적용에 있어서 장점을 제공한다. 시트 조립체 (64)를 출혈 상처 안에 채워넣고 겹쳐서 압축하는 것은 접착성이 높고 불용성이며 잘 합치되는 붕대 형태를 제공한다.
C.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제조
키토산 매트릭스 (12)의 밀도가 0.15 gm/㎤에 가까운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 (10 cm × 10 cm × 0.15 cm)는, 11 cm × 11 cm × 2 cm의 깊은 알루미늄 주형에 2% 키토산 아세테이트 용액 (도 26의 단계 A 참조)을 0.38 cm 깊이까지 충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도 26 (단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66) (예를 들어, 10 cm × 10 cm의 흡수성 거즈 웨빙 층을 포함함)를 주형 내의 용액 상단에 위치시키고 키토산으로 적셔지게 한다. 키토산은 시트 (66)에 함침된다.
도 26 (단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로 0.38 cm 깊이의 키토산을 함침된 거즈 시트 (66)의 상단에 부을 수 있다.
도 26 (단계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형을 예를 들면, 비르티스 게네시스(Virtis Genesis) 25XL 동결건조기의 -30℃ 선반 위에 놓는다. 용액을 동결시키고, 그 후에 냉동건조에 의해 얼음을 승화시킨다.
도 26 (단계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된 거즈로 강화된 시트 조립체 (64)를 80℃에서 압반들 사이에서 0.155 cm 두께로 압축시킨다. 이어서, 압축된 시트 조립체 (64)를 80℃에서 30분 동안 베이킹(baking)한다 (도 26의 단계 F). 제조된 시트 조립체는 상술한 방식으로 멸균될 수 있다. 최종적인 멸균 및 보관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시트 조립체를 열 밀봉된 호일-라이닝 파우치 (74) 등에 시트 형태 또는 롤 형태로 포장할 수 있다 (도 27 참조).
실시예 3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굽힘 특성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의 3점 굽힘 시험을 행하였다. 50 N 하중 셀을 사용한 인스트론 단축 기계 시험기 (모델 번호 5844)에서 3점 굽힘 시험을 수행하여, 전폭 5.8 cm 및 크로스헤드 속도 0.235 cm/s에서 시험편의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8에 나타내었다. 도 28은 시험된 1.5 mm 두께의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가 5.5 mm 두께의 조직 드레싱 패드 조립체보다 훨씬 더 유연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4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의 접착성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의 시험편 (5 cm × 5 cm × 0.15 cm)을 그의 제조 후 96 시간 이내에 절단하였다. 시트 조립체 (64)는 시험 전에 감마 방사선 멸균을 행하지 않았다. 시험편을 시트르산 처리한 소 전혈에 10초 동안 침지하고 곧바로 SAWS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 동안, 3개의 시험편을 함께 적층하여, 복합체 키토산 밀도를 0.15 g/㎤ 정도로 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도 29에 나타내었다.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의 3개 층은 연장된 기간 (즉, 약 400 초) 동안 80 mmHg에 가까운 상당한 생리학적 혈압을 유지하였다. 이것은 봉합 및 응혈의 존재를 나타낸다.
패드 조립체에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가 감마 조사를 거친 후에는 보다 양호한 접착성/유착성이 얻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도 29B는 이를 확인해 주는데, 감마 조사 후에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의 3개 층은 0.55 cm 두께의 키토산 조직 패드 (10)와 매우 유사하게 기능하였다.
III.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의 추가의 적용 및 형태
상기 기재내용은 주로 상처 부위에서 혈액 및/또는 유체 유실을 멈추게 하는데 있어서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 및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의 사용에 촛점을 맞추었다. 다른 적용은 이미 언급되었으며, 이들 중 일부 및 다른 추가의 적용들을 이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물론, 압축된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키토산 매트릭스는 그의 한 예에 불과함)가 갖는 현저한 기술적 특징이 다양한 모양, 크기 및 형태의 드레싱 구조체에 도입되어 여러가지의 상이한 적용에 소용될 수 있음을 이제 알 것이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어진 압축된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예, 키토산 매트릭스 (12))가 취할 수 있는 모양, 크기 및 형태는 상기한 패드 조립체 (10) 및 시트 조립체 (64)로 한정되지 않고, 특정 적용의 요구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몇몇 대표적인 예를 기재할 것이고, 여기에는 제한의 의도가 전혀 없다.
B. 항미생물성 배리어
특정 적용에서, 처치의 촛점은 손상에 의해 또는 내부 조직 영역으로의 접근 입구를 만들어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위험에 노출된 조직 영역을 통해 세균 및/또는 병원균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후자 경우의 예로는 복막 투석, 또는 외부 소변주머니 또는 배변주머니의 연결을 도모하거나, 경정맥 영양공급을 실시하거나, 샘플링 및 모니터링 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유치 카테터의 설치; 또는 예를 들어 기관절개술, 또는 복강경 또는 내시경 절차 동안 신체의 내부 영역 접근을 위한 절개부의 형성, 또는 혈관 내로의 카테터 기기의 도입 이후가 포함된다.
도 40 및 도 41에서, 항미생물성 개스킷 조립체 (82)의 한 대표적인 실시양태를 나타내었다. 개스킷 조립체 (82)는 접근 부위, 및 특히 유치 카테터 (88)가 존재하는 접근 부위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항미생물성 개스킷 조립체 (82)는 조직에 부착되는 담체 요소 (84)를 포함하며, 여기에 항미생물성 요소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성 요소는 앞서 기술한 유형의, 치밀화를 거친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유형의 키토산 구조체, 또는 다른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 또는 조직 드레싱 매트릭스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담체 요소 (84)는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성 요소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매트릭스 (12))를 접근 부위 상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 표면 (86)을 포함한다. 도 30 및 도 31에서, 항미생물성 요소 (12) 및 담체 (84)는 유치 카테터 (88)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 (9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기밀하게 밀봉된 맞음새를 제공하기 위해, 관통 구멍 (90)의 내경은 유치 카테터 (88)의 외경과 근사치로 한다. 카테터가 존재하지 않는 접근 부위 또는 절개 부위만이 있는 상황에서는 항미생물성 요소가 관통 구멍을 포함하지 않을 것임을 알 것이다.
별법의 배열에서 (도 3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항미생물성 배리어 패드 조립체 (10)는 항미생물성 개스킷 조립체 (82)를 포함하도록, 접근 부위의 면적에 비례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서, 패드 조립체 (10)에 유치 카테터 (존재할 경우)의 통과를 도모하는 관통 구멍 (90)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배열에서 (도 33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조직 드레싱 시트 조립체 (64)는 항미생물성 개스킷 조립체 (82)를 포함하도록, 접근 부위의 면적에 비례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서, 시트 조립체 (64)에 유치 카테터 (존재할 경우)의 통과를 도모하는 관통 구멍 (90)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항미생물성 특성
치밀화된 키토산 아세테이트 매트릭스 및 치밀화된 키토산 아세테이트 매트릭스를 도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드레싱은 하기 표 11에 요약된 체외(in vitro) 시험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항미생물성 효능을 가졌다.
치밀화된 키토산 아세테이트 매트릭스의 USP 27<51> 시험 결과
유기체 Log10 감소
0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7일 14일 28일
에스 . 아우레우스(S. Aureus ) 0.9 5.8 3.8 5.8 5.8 5.8 5.8
피.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 3.8 5.8 5.8 5.8 5.8 5.8 5.8
이. 콜라이(E. coli ) 0.0 2.8 5.1 5.1 5.1 5.1 5.1
씨. 알비칸스(C. albicans ) 5.5 5.5 5.5 5.5 5.5 5.5 5.5
에이. 니게르 (A. niger) 0.2 -0.3 0.8 0.6 -0.6 -0.3 -0.7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그의 우수한 접착성 및 기계적 성질로 인해 사지 (상피용) 및 신체 내부의 항미생물성 적용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한 적용은 환자가 쇼크 상태에 있어 정식 외과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에 카테터 인도 입구/출구 지점에서, 샘플링 및 투여용 생물의학 기구의 입구/출구 지점에서, 심한 상해 부위에서 감염 및 출혈의 단기 내지 중기 (0 내지 120시간) 억제가 포함될 것이다.
실시예 6
국소적 항미생물성 효능의 생체내 시험
추가로 치밀화된 키토산 아세테이트 매트릭스 (12)의 생체내 시험을 수행하여 유사한 드레싱 및 처치법, 특히 알기네이트 드레싱 및 Ag 술파디아진과 비교하였다. 대략 생후 6주령의, 체중이 대략 20 내지 25 그램인 BALB/c 계통 수컷 마우스를 시험하였다. 마우스의 하부를 전모하고 9:1 비율로 케타민 HCl과 자일라진 (100 mg/kg)을 주사하여 마취하였다. 목적하는 크기의 전층 결손 상처를 근막층을 관통하지는 않도록 하여 절개하였다.
마우스를 생체내 생물발광 영상화가 가능하도록 전 세균 럭스(lux) 오페론을 안정하게 형질도입한, 그람-음성 종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19660 균주) 및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51393 균주)로 감염시켰다. 균주를 세균 배양액으로 사용하고, 배양액 1 ml를 멸균 BHI(brain.heart infusion) 배지 30 내지 40 ml에 사용하였다. 세균을 37℃ 배양기에서 진탕하면서 2시간 동안 대수 증식기까지 증식시켰다. 세균 현탁액의 O.D.를 BHI 배지에 대하여 측정하고 목적하는 세균 현탁액을 그에 따라 준비하였다.
하맘츠(Hamamtsu) CCD 카메라를 사용하는 생물발광 영상화를 수행하여 마우스의 상처 감염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검출하였다.
절개 상처 (5 × 5 mm)에 50 × 106개의 세포를 접종하였다. 드레싱 패드 조립체 (10)를 관통하여 전달되는 발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조절된 두께 (1.6 내지 2.4 mm)의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 구조체를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 드레싱의 바닥 표면 (공칭 두께 5.5 mm)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키토산 매트릭스 (12) 시험편은 치수가 10 mm × 10 mm × 2.1 mm이었다. 3개의 대조군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은 술파디아진의 양성 대조군; 알기네이트 스폰지의 음성 대조군 (10 mm × 10 mm × 2.0 mm); 및 처치하지 않은 또다른 음성 대조군. 모든 처치는 상처에 세균을 접종한 후 15 내지 30분 이내에 적용되었다.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 스폰지 시험편을 적용하기 전에 우선 Na 아세테이트 완충액 (pH 4)으로 적셨다. 이것은 손상부에 대해 접착성을 갖고 매우 잘 합치하였다. 알기네이트 대조군을 적용 전에 PBS 용액으로 적셨다. 이것 또한 손상부에 잘 접착되었다. 은 술파디아진 크림 (50 mg)을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으로 감염된 상처에 발랐다. 동물 생존을 15일에 걸쳐서 규칙적인 간격 (8 내지 16시간)으로 생물발광 방사 및 동물 활동을 관찰하면서 주시하였다.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 군 (N = 5)의 경우에는, 모든 동물이 생존하였고 알기네이트 군 (p < 0.01)보다, 비처치군 (p < 0.005)보다, 은 술파디아진 군 (p < 0.005)보다 생존에 있어서 상당한 유리함을 보여주었다 (도 38 참조). 또한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연구 기간 동안, 생물발광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낸 유일한 물질이었고, 이는 상기 드레싱의 현저한 살균 활성을 암시한다 (도 34 및 도 35 참조). 알기네이트 군 (N = 6)에서는 5일 이상 생존한 동물이 없었고 생물발광 결과는 상기 군에서 세균이 증식하였음을 암시하였다 (도 35 및 도 36 참조).
데이터는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가 전신 침윤이 일어날 수 있기 전에 상처에서 세균을 신속히 사멸시키고, 단기간 내에 세균 성장을 조장할 수 있는 알기네이트 드레싱 및 은 술파디아진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설명해주었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균이 치밀화된 키토산 매트릭스 (12)와 접촉하였을 때, 그의 생존 분율은 급속히 감소하였다. 처치 2시간 이내에, 거의 모든 세균이 키토산 매트릭스 (12)에 의해 사멸하였다.
키토산 매트릭스 (12)는 상처 부위에 잘 접착되고 신속한 항미생물 작용을 나타냈다. 항미생물성과 지혈 특성의 조합은, 전투 상황, 전장 또는 중중도 분류 상황에서와 같이 초기 응급 치료에서 유용한, 선행기술에 비해 우수한 상처 드레싱을 제공하였다.
IV. 결론
키토산 매트릭스 (12)와 같은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가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드레싱 또는 플랫폼과의 (패드 형태, 시트 형태, 복합체 형태, 적층된 형태, 유연한 형태로) 조합에 적당하여, 의료 및/또는 외과 분야의 숙련자라면 신체 표면, 내부 또는 전반에 대한 다양한 적용에 따라 키토산 매트릭스 (12)와 같은 임의의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를 채택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단지 그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고 그로 제한되지 않음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그의 등가물을 포함하는 하기 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Claims (17)

  1. 키토산 생물질(biomaterial)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가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항미생물성 배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가 친수성 물질인 항미생물성 배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가 (i) 사용 전의 물리적 조작에 의한 구조체의 상당 부분의 마이크로-균열, 또는 (ii) 사용 전 구조체의 상당 부분에 형성된 표면 부조 패턴, 또는 (iii) 사용 전 구조체의 상당 부분에 형성된 유체 유입 채널의 패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항미생물성 배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마이크로-균열이 굽히기, 비틀기, 회전, 진동, 찌르기(probing), 압축, 연신, 흔들기(shaking) 또는 주무르기(kneading)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초래된 것인 항미생물성 배리어.
  6. 제4항에 있어서, 표면 부조 패턴이 열 압축으로부터 초래된 것인 항미생물성 배리어.
  7. 제4항에 있어서, 구조체가 바닥 표면 및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표면 부조 패턴이 상부 표면에 형성되고 바닥 표면에는 형성되지 않은 항미생물성 배리어.
  8. 제4항에 있어서, 유체 유입 채널의 패턴이 천공을 포함하는 것인 조직 드레싱.
  9.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가 바닥 표면 및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백킹재 표면이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10. 제1항에 정의된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제조 방법.
  11. (i) 조직 손상, 조직 외상 또는 조직 접근 부위의 지혈, 봉합 또는 안정화; 또는 (ii)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형성; 또는 (iii) 항바이러스성 패치의 형성; 또는 (iv) 출혈 장애의 중재; 또는 (v) 치료제의 방출; 또는 (vi) 점막 표면의 처치; 또는 (vii)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제1항에 정의된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사용 방법.
  12. 키토산 생물질을 포함하고, 압축에 의해 치밀화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항미생물성 배리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가 0.6 내지 0.1 g/㎤의 밀도로 압축된 것인 항미생물성 배리어.
  14. 제12항에 정의된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제조 방법.
  15. (i) 조직 손상, 조직 외상 또는 조직 접근 부위의 지혈, 봉합 또는 안정화; 또는 (ii)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형성; 또는 (iii) 항바이러스성 패치의 형성; 또는 (iv) 출혈 장애의 중재; 또는 (v) 치료제의 방출; 또는 (vi) 점막 표면의 처치; 또는 (vii)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제12항에 정의된 항미생물성 배리어의 사용 방법.
  16. 세균 군을 키토산 생물질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균 개체수 감소 방법.
  17. 세균 군을 2시간 미만의 기간 동안 키토산 생물질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균 개체수의 비-침윤 수준으로의 감소 방법.
KR1020077016712A 2004-12-23 2005-12-20 키토산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로부터 형성된항미생물성 배리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88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20,365 US20050147656A1 (en) 2001-06-14 2004-12-23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11/020,365 2004-12-23
US11/202,558 US20060004314A1 (en) 2001-06-14 2005-08-12 Antimicrobial barrier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tructures such as chistosan
US11/202,558 2005-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803A true KR20070088803A (ko) 2007-08-29

Family

ID=3661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712A KR20070088803A (ko) 2004-12-23 2005-12-20 키토산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로부터 형성된항미생물성 배리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60004314A1 (ko)
EP (1) EP1830755A4 (ko)
KR (1) KR20070088803A (ko)
AU (1) AU2005322272A1 (ko)
CA (1) CA2592018A1 (ko)
NO (1) NO20073298L (ko)
WO (1) WO200607164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661B1 (ko) * 2020-10-26 2021-07-09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생체적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1335B2 (en) 2002-06-14 2014-06-03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Hemostatic compositions,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particulate hemostatic agent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foam such as Chitosan
AU2002312493B2 (en) * 2001-06-14 2007-08-09 Gregory, Kenton W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
US7371403B2 (en) * 2002-06-14 2008-05-13 Providence Health System-Oregon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
WO2003057735A1 (en) * 2002-01-09 2003-07-17 Abbott Laboratories De Costa Rica Ltd. Chitosan-calcium complex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complex
US20050137512A1 (en) * 2003-12-23 2005-06-23 Campbell Todd D.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
US8269058B2 (en) * 2002-06-14 2012-09-18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Absorbab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7943810B2 (en) * 2003-02-04 2011-05-17 Buckman Robert F Method and apparatus for hemostasis
US9204957B2 (en) * 2005-03-17 2015-12-08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emorrhage control and or tissue repair
JP5633953B2 (ja) * 2006-01-31 2014-12-03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超柔軟発泡体
WO2007103209A2 (en) * 2006-03-01 2007-09-13 Fmc Biopolymer As Gelled composite
EP2026850B1 (en) 2006-05-23 2014-07-09 Providence Health System-Oregon d/b/a Providence St. Vincent Medical Center System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nd applying a bandage structure within a body lumen or hollow body organ
US9198995B2 (en) 2006-09-20 2015-12-01 Ore-Medix Llc Conformable structured therapeutic dressing
US8623842B2 (en) * 2006-09-27 2014-01-07 Hemostasis, Llc Hemostatic agent and method
US8414550B2 (en) * 2006-09-29 2013-04-09 Lexion Medical, Llc System and method to vent gas from a body cavity
US7850382B2 (en) * 2007-01-18 2010-12-14 Sanford, L.P. Valve made from two materials and writing utensil with retractable tip incorporating same
US7488130B2 (en) * 2007-02-01 2009-02-10 Sanford, L.P. Seal assembly for retractable instrument
WO2009011856A1 (en) * 2007-07-16 2009-01-22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Absorbab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stosan
US8585646B2 (en) 2008-03-03 2013-11-19 Lexion Medical, Llc System and method to vent gas from a body cavity
US9061087B2 (en) * 2008-03-04 2015-06-23 Hemostasis, Llc Method of making a hemostatic sponge wound dressing comprising subjecting the sponge to water vapor
US8226312B2 (en) * 2008-03-28 2012-07-24 Sanford, L.P. Valve door having a force directing component and retractable instruments comprising same
WO2009132227A1 (en) * 2008-04-24 2009-10-29 Medtronic, Inc. Protective gel based on chitosan and oxidized polysaccharide
US9198997B2 (en) * 2008-04-24 2015-12-01 Medtronic, Inc. Rehydratable thiolated polysaccharide particles and sponge
WO2009132228A1 (en) * 2008-04-24 2009-10-29 Medtronic, Inc. Chitosan-containing protective composition
CA2721986C (en) 2008-04-24 2017-03-14 Medtronic, Inc. Rehydratable polysaccharide particles and sponge
EP2313104B2 (en) * 2008-04-24 2020-08-26 Medtronic, Inc Thiolated chitosan gel
WO2009134447A1 (en) * 2008-05-02 2009-11-05 Providence Health System-Oregon D/B/A Providence St. Vincent Medical Center Wound dressing devices and methods
WO2010003935A2 (en) 2008-07-07 2010-01-14 Laboratoire Medidom S.A. Temperature reducing, healing wound dressing
US20100260824A1 (en) * 2008-08-28 2010-10-14 Tyco Healthcare Group Lp Antimicrobial Foam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WO2010024928A1 (en) * 2008-08-28 2010-03-04 Tyco Healthcare Group Lp Environmentally activated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WO2010042540A1 (en) 2008-10-06 2010-04-15 Providence Health System - Oregon Foam medical devices and methods
US8221012B2 (en) * 2008-11-07 2012-07-17 Sanford, L.P. Retractable instruments comprising a one-piece valve door actuating assembly
US8393814B2 (en) * 2009-01-30 2013-03-12 Sanford, L.P. Retractable instrument having a two stage protraction/retraction sequence
US20110052663A1 (en) * 2009-09-01 2011-03-03 Hemostasis, Llc Hemostatic Sponge with Enzym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642088B2 (en) 2009-09-04 2014-02-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Tannin-chitosan composites
US20110311632A1 (en) * 2010-06-16 2011-12-22 Abbott Vascular, Inc. Stable chitosan hemostatic external patch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715719B2 (en) * 2010-06-16 2014-05-06 Abbott Vascular, Inc. Stable chitosan hemostatic implant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700648B2 (en) 2010-10-27 2017-07-11 Medtronic, Inc. Artificial scab for use in an airway
EP2856987A1 (en) * 2013-10-07 2015-04-08 Absorbest AB A wound dress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und dressing
USD754862S1 (en) * 2013-11-27 2016-04-26 Tracey Huff Decorated bandage clip
WO2015181828A2 (en) * 2014-05-29 2015-12-03 First Care Products Ltd. Wound dr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ES2773324T3 (es) 2015-04-21 2020-07-10 Moelnlycke Health Care Ab Una compresa para heridas y un miembro autoadhesivo que comprende una compresa para heridas
US20170087024A1 (en) * 2015-09-25 2017-03-30 Mohammad Al-Bakkour Ear Cleaner
MX2018008757A (es) * 2016-01-19 2018-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ulo de consumo para fregar con remocion de manchas y metodo para fabricarlo.
US10441761B2 (en) 2016-07-01 2019-10-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9988509B2 (en) * 2016-08-17 2018-06-05 Richard S. Carlisle Cellulose cyanoacrylate and method of employment
US20180185544A1 (en) * 2017-01-01 2018-07-05 Ying Shi Apparatus for treating human wound
CN115591066A (zh) 2017-01-10 2023-01-13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Us) 用于输送粉末药剂的装置和方法
ES2935765T3 (es) 2018-01-12 2023-03-09 Boston Scient Scimed Inc Polvo para hemostasia
US11766546B2 (en) 2018-01-31 2023-09-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owdered agents
US11504263B2 (en) * 2018-09-14 2022-11-22 Garry Allan Hrushka Sanitary stoma system and method
EP4176912A3 (en) 2018-10-02 2023-08-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fluidization and delivering a powdered agent
JP7442512B2 (ja) 2018-10-02 2024-03-04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粉末剤の流体化及び送達のための機器
CN114746003A (zh) 2019-12-03 2022-07-12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用于药剂输送的医疗装置及相关的使用方法
CN114786590A (zh) 2019-12-03 2022-07-22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药剂施用医疗装置
MX2022012055A (es) * 2020-03-27 2022-10-13 Arkema Inc Dispositivo para liberar agua y vapor antimicrobiano en un espacio encerrado o parcialmente encerrado.
WO2021209493A2 (en) * 2020-04-15 2021-10-21 Solyplus Gmbh Means and methods of preventing and treating infections
TR202008937A2 (tr) * 2020-06-09 2020-07-21 Gigabiomol Biyoteknoloji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Elastik Polimer ile Mikroorganizma Konsantrasyon Yöntemi
USD1014764S1 (en) * 2021-11-16 2024-02-13 Raymond Lovell Francis Skin-attachable block set that provides no-touch protection for skin insults

Family Cites Families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0625A (en) * 1947-10-14 1952-09-16 Armour & Co Surgical sponge and the preparation thereof
US2858830A (en) * 1956-10-01 1958-11-04 Frank C Lowe Surgical dressing
US2923664A (en) * 1957-09-11 1960-02-02 Johnson & Johnson Hemostatic product
US3632754A (en) * 1968-02-12 1972-01-04 Lescarden Ltd Use of chitin for promoting wound healing
US3801675A (en) * 1970-02-20 1974-04-02 Johnson & Johnson Polymer blend containing polyacrylic acid,polyvinyl alcohol,and a polyacrylate
US3911116A (en) * 1970-04-13 1975-10-07 Leslie L Balassa Proces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with chitin derivatives
US3849238A (en) * 1972-04-07 1974-11-19 S Ronel Artificial skin
US3800792A (en) * 1972-04-17 1974-04-02 Johnson & Johnson Laminated collagen film dressing
US3954493A (en) * 1972-10-19 1976-05-04 Avicon, Inc. Regenerated cellulose sponge
US3902497A (en) * 1974-03-25 1975-09-02 American Cyanamid Co Body absorbable sponge and method of making
US4040884A (en) * 1974-06-19 1977-08-09 American Cyanamid Company Medical sponges
CH596233A5 (ko) * 1975-04-10 1978-03-15 Nestle Sa
US4068757A (en) * 1976-11-03 1978-01-17 American Cyanamid Company Chitin derived powder in sterile surgical element package
US4056103A (en) * 1977-03-11 1977-1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Wrapper structure for tampons containing superabsorbent material
US4195175A (en) * 1978-01-03 1980-03-25 Johnson Edwin L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hitosan
US4292972A (en) * 1980-07-09 1981-10-06 E. R. Squibb & Sons, Inc. Lyophilized hydrocolloio foam
US4532134A (en) * 1981-04-06 1985-07-30 Malette William Graham Method of achieving hemostasis, inhibiting fibroplasia, and promoting tissue regeneration in a tissue wound
US4394373A (en) * 1981-04-06 1983-07-19 Malette William Graham Method of achieving hemostasis
US4460642A (en) * 1981-06-26 1984-07-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swellable composite sheet of microfibers of PTFE and hydrophilic absorptive particles
US4373519A (en) * 1981-06-26 1983-02-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wound dressing
US4759348A (en) * 1981-09-28 1988-07-26 Cawood Charles David Endoscope assembly and surgical instrument for use therewith
EP0075791B1 (de) * 1981-09-30 1986-04-09 VEB Leipziger Arzneimittelwerk Absorbierender Wundverb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501835A (en) * 1982-03-08 1985-02-26 Polaroid Corporation Polyacrylic acid/chitosan polyelectrolyte complex
JPS58206751A (ja) * 1982-05-26 1983-12-02 日石三菱株式会社 創傷被覆材
US4973493A (en) * 1982-09-29 1990-11-27 Bio-Metric Systems, Inc. Method of improving the biocompatibility of solid surfaces
US4452785A (en) * 1982-11-08 1984-06-05 Malette William Graham Method for the therapeutic occlusion
EP0122085B1 (en) * 1983-04-06 1987-06-24 Smith and Nephew Associated Companies p.l.c. Dressing
US4958011A (en) * 1983-06-27 1990-09-18 Bade Maria L Ester-stabilized chitin
DE3527482A1 (de) * 1984-07-31 1986-02-06 Fuji Spinning Co., Ltd., Tokio/Tokyo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oernigem poroesen chitosan
DE3583263D1 (de) * 1984-08-03 1991-07-25 Unitika Ltd Geformte gegenstaende aus chitin.
SE8501022L (sv) * 1985-03-01 1986-09-02 Pharmacia Ab Format alster och forfarande for dess framstellning
JPS61240963A (ja) * 1985-04-18 1986-10-27 ユニチカ株式会社 創傷被覆保護材
JPS61253065A (ja) * 1985-05-02 1986-11-10 片倉チツカリン株式会社 キトサン誘導体およびコラ−ゲンの複合材の医用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US4960413A (en) * 1985-11-09 1990-10-02 The Shirley Institute Wound dressing
US5300494A (en) * 1986-06-06 1994-04-05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Delivery systems for quaternary and related compounds
US5254301A (en) * 1988-03-29 1993-10-19 Ferris Mfg. Corp. Process for preparing a sheet of polymer-based foam
US4952618A (en) * 1988-05-03 1990-08-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ydrocolloid/adhesive composition
US5006071A (en) * 1988-05-09 1991-04-09 Carter Dewey G Technique for the prevention of alveolar osteitis
US5024841A (en) * 1988-06-30 1991-06-18 Collagen Corporation Collagen wound healing matrice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4948540A (en) * 1988-08-01 1990-08-14 Semex Medical, Inc. Method of preparing collagen dressing sheet material
US4956350A (en) * 1988-08-18 1990-09-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ound filling compositions
JPH06104116B2 (ja) * 1988-11-29 1994-12-21 三菱化成株式会社 創傷被覆材
US5062418A (en) * 1989-01-31 1991-11-05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Napped nonwoven fabric having high bulk and absorbency
GB2228682B (en) * 1989-02-23 1992-08-12 Ultra Lab Ltd Wound dressing
CA2030593C (en) * 1989-12-29 2002-03-26 Donald H. Lucast Multi-layered dressing
IT1243260B (it) * 1990-11-26 1994-05-26 Riccardo Muzzarelli Metil pirrolidon chitosano, processo di produzione e suo uso.
US6054122A (en) * 1990-11-27 2000-04-25 The American National Red Cross Supplemented and unsupplemented tissue sealants, methods of their production and use
US5206028A (en) * 1991-02-11 1993-04-27 Li Shu Tung Dense collagen membrane matrices for medical uses
US5804213A (en) * 1991-10-09 1998-09-08 Lectec Corporation Biologically active aqueous gel wound dressing
US5525710A (en) * 1991-12-20 1996-06-11 Alliedsignal Inc. Highly porous chitosan bodies
US5454719A (en) * 1992-08-03 1995-10-03 Hamblen; Lamae E. Sterile dental packs and method of utilizing same
JP3863913B2 (ja) * 1992-12-01 2006-12-27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永続性抗菌剤
US5797960A (en) * 1993-02-22 1998-08-25 Stevens; John H. Method and apparatus for thoracoscopic intracardiac procedures
DE4322956C2 (de) * 1993-07-09 1995-12-21 Haack Karl Werner An Folie aus Chitosan zur Wundversiegelung
US5858350A (en) * 1993-12-01 1999-01-12 Marine Polymer Technologi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oly-β-1→4-N-acetylglucosamine cell therapy system
US5420197A (en) * 1994-01-13 1995-05-30 Hydromer, Inc. Gel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polyvinylpyrrolidone with chitosan derivatives
US5634936A (en) * 1995-02-06 1997-06-03 Scimed Life Systems, Inc. Device for closing a septal defect
EP0830381A4 (en) * 1995-06-09 2000-11-22 William N Drohan CHITINE HYDROGELS, PRODUCTION METHOD AND USE
US5827265A (en) * 1996-02-07 1998-10-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raluminal tissue welding for anastomosis
JP2822174B2 (ja) * 1996-03-01 1998-11-11 オーミケンシ株式会社 キチンキトサン繊維及び構造体の製造法
US5952618A (en) * 1996-07-11 1999-09-14 Deslauriers; Richard J. Acoustic conduit for use with a stethoscope
US6485667B1 (en) * 1997-01-17 2002-11-26 Rayonier Products And Financial Services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soft, strong, absorbent material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NL1005812C1 (nl) * 1997-04-15 1997-06-04 Claus Jurgen Timmermans Superabsorberend wondverband.
DE69817574T2 (de) * 1997-07-02 2004-06-24 Coloplast A/S Herstellungsmethode für ein faserfreies, poröses material
FR2776518B1 (fr) * 1998-03-24 2002-11-29 Oreal Patch a matrice adhesive
US6042877A (en) * 1998-07-28 2000-03-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nti-microbial articles
US6454787B1 (en) * 1998-12-11 2002-09-24 C. R. Bard, Inc. Collagen hemostatic foam
GB9900348D0 (en) * 1999-01-09 1999-02-24 Bristol Myers Squibb Co Multi layered wound dressing
GB2348136B (en) * 1999-03-24 2003-06-04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Wound dressings having low adherency
ES2395057T3 (es) * 1999-03-25 2013-02-07 Metabolix, Inc. Dispositivos y aplicaciones médicas de polímeros polihidroxialcanoato
US6726712B1 (en) * 1999-05-14 2004-04-27 Boston Scientific Scimed Prosthesis deployment device with translucent distal end
KR100721752B1 (ko) * 2000-01-24 2007-05-25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수팽윤성 고분자 겔 및 그 제조법
DE10009248C2 (de) * 2000-02-28 2002-06-27 Freudenberg Carl Kg Medizinisches Verbandsmaterial
DK1259269T3 (da) * 2000-03-03 2008-10-20 Syntacoll Ag Middel til sårbehandling
WO2002009792A1 (en) * 2000-07-28 2002-02-07 Anika Therapeutics, Inc. Bioabsorbable composites of derivatized hyaluronic acid
US20020161376A1 (en) * 2001-04-27 2002-10-31 Barry James J.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coated implants
US7371403B2 (en) * 2002-06-14 2008-05-13 Providence Health System-Oregon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
US7897832B2 (en) * 2001-06-14 2011-03-01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ssemblies, and methods applied during or after a dental procedure to ameliorate fluid loss and/or promote healing, using a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 such as chitosan
AU2002312493B2 (en) * 2001-06-14 2007-08-09 Gregory, Kenton W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
US20050147656A1 (en) * 2001-06-14 2005-07-07 Hemcon, Inc.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8741335B2 (en) * 2002-06-14 2014-06-03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Hemostatic compositions,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particulate hemostatic agent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foam such as Chitosan
US6599891B2 (en) * 2001-07-20 2003-07-29 Qlt Inc. Treatment of macular edema
US6693180B2 (en) * 2002-04-04 2004-02-17 China Textile Institute Composite sponge wound dressing made of β-Chitin and Chitosa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992233B2 (en) * 2002-05-31 2006-01-31 Medafor, Inc. Material delivery system
US20070066920A1 (en) * 2002-06-14 2007-03-22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Supp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20050137512A1 (en) * 2003-12-23 2005-06-23 Campbell Todd D.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vere, life-threatening bleeding
AU2003282886B2 (en) * 2002-09-30 2009-07-2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US6863924B2 (en) * 2002-12-23 2005-03-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US20050036955A1 (en) * 2003-08-13 2005-02-17 Degould Michael D. Bioresorbable tooth extraction socket dressing
US8133500B2 (en) * 2003-12-04 2012-03-13 Kensey Nash Bvf Technology, Llc Compressed high density fibrous polymers suitable for implant
JP4812630B2 (ja) * 2003-12-23 2011-11-09 ヘムコン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トサンのような親水性ポリマースポンジ構造体から形成される、組織被覆用のアセンブリ、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05216094B2 (en) * 2004-02-23 2010-12-23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Hemostatic agent for topical and internal use
US20050278010A1 (en) * 2004-05-27 2005-12-15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livery system with imaging capability
US7402172B2 (en) * 2004-10-13 2008-07-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traluminal therapeutic patch
US20070083137A1 (en) * 2004-12-23 2007-04-12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Supp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softened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9204957B2 (en) * 2005-03-17 2015-12-08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emorrhage control and or tissue repair
CN1833732A (zh) * 2005-03-17 2006-09-20 李毅彬 一种抗菌医用敷料的制造方法及其用途
US7536962B2 (en) * 2005-04-19 2009-05-26 Kamterter Ii, L.L.C. Systems for the control and use of fluids and partic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661B1 (ko) * 2020-10-26 2021-07-09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생체적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8177B1 (ko) * 2020-10-26 2021-09-06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생체적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92585A1 (ko)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생체적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73298L (no) 2007-09-24
US20070066924A1 (en) 2007-03-22
WO2006071649A2 (en) 2006-07-06
CA2592018A1 (en) 2006-07-06
EP1830755A2 (en) 2007-09-12
WO2006071649A3 (en) 2007-10-18
US20060004314A1 (en) 2006-01-05
EP1830755A4 (en) 2012-12-19
AU2005322272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8803A (ko) 키토산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구조체로부터 형성된항미생물성 배리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05081B1 (ko) 키토산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스폰지 구조체로부터 형성된조직 드레싱 조립체, 시스템 및 방법
US8269058B2 (en) Absorbab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20050147656A1 (en)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20070083137A1 (en) Supp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softened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US20070082023A1 (en) Supp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JP4332030B2 (ja) 創傷被覆材、および重篤で生命にかかわる出血を制御する方法
US20070066920A1 (en) Supp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KR101148248B1 (ko) 생명을 위협하는 심한 출혈을 억제하기 위한 상처용 드레싱및 방법
US8313474B2 (en) Method for preparing a compressed wound dressing
EP2173293A1 (en) Absorbab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stosan
AU2007294765A1 (en) Supp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JP2008525112A (ja) キトサンのような親水性ポリマー構造から形成された抗微生物バリア、系及び方法
US20080128932A1 (en) Supple tissue dressin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s such as chitos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